KR20230155068A -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 Google Patents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068A
KR20230155068A KR1020220054491A KR20220054491A KR20230155068A KR 20230155068 A KR20230155068 A KR 20230155068A KR 1020220054491 A KR1020220054491 A KR 1020220054491A KR 20220054491 A KR20220054491 A KR 20220054491A KR 20230155068 A KR20230155068 A KR 20230155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dehumidifier
chamber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to KR102022005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068A/ko
Publication of KR2023015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3/024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for only dehumidifying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64Ventilators and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 B60H3/0092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in the interior of the HVAC unit, e.g. by spraying substances inside th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2003/028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the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고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제습제를 포함한 제습 필터를 이용하여 에어컨의 내부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에어컨의 내부 공기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나 세균 번식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재생 운전을 수행하여,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증발기에서 냉각 및 제습시킴으로써,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면서도 차실의 공기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Mold prevention device and automobi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하는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 즉 에어컨은 차실을 냉방하기 위한 냉방 시스템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컨은, 차실의 냉방 운전시 차실로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바, 이 때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된 응축수가 증발기의 주변에 맺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에 남아있는 응축수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발생되어, 차실로 송풍되는 공기로 곰팡이가 퍼지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3480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에어컨의 내부를 효율적으로 제습할 수 있는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된 에어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식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 중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1회 이상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컨의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시,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는 작동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재생 운전을 수행한다.
상기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 상기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기가 작동되면 시작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는, 상기 흡기실에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상기 증발기로 흡입되기 이전 공기를 흡입하는 제습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송풍기를 향해 배출하는 제습기 배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제습기 배기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가 상기 제습기 배기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는, 상기 송풍기를 향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습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작동되어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냉각수의 열을 공급받아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냉각수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제를 이용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은, 자동차의 에어컨의 외관을 형성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한 후 차실로 배출하기 위한 공조실을 형성하는 공조 케이스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 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 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공조 케이스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공조실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식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 중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1회 이상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컨의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시,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는 작동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재생 운전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냉방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내부에 설치된 에어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내부 공기를 흡착식 제습제로 흡착시킨 후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배출하여 상기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컨의 증발기를 건조시킨다.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시, 상기 제습제를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재생시킨 후, 상기 재생된 고습도의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배출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서 상기 에어컨의 외부로 드레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는,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고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제습제를 포함한 제습 필터를 이용하여 에어컨의 내부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에어컨의 내부 공기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나 세균 번식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재생 운전을 수행하여,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를 증발기에서 냉각 및 제습시킴으로써,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면서도 차실의 공기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제습 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재생 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50)는, 자동차의 에어컨(10)에 장착된 소형 제습기이며,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컨(10)의 내부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에어컨(10)의 내부가 습기로 인해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에어컨(10)은, 차실을 냉방시키기 위한 공기조화기이며, 공조 케이스(20), 송풍기(22), 에어 필터(24), 증발기(26) 및 히터 코어(28)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 케이스(20)는, 상기 에어컨(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한 후 차실로 배출하기 위한 공조실(S)을 형성한다.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기(22), 상기 에어 필터(24), 상기 증발기(26) 및 히터 코어(28)가 구비된다.
상기 공조 케이스(20)에서 상기 공조실(S)의 입구측에는 신선한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외기 흡기구(20a)와, 차실내 공기인 내기를 순환시켜 흡입하기 위한 내기 흡기구(20b)가 형성된다.
상기 외기 흡기구(20a)에는 외기 흡기구 댐퍼(31)가 설치되고, 상기 내기 흡기구(20b)에는 내기 흡기구 댐퍼(3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상기 공조실(S)의 출구측에는 상기 공조실(S)내의 공기를 차실의 상부로 송풍하기 위한 상방향 토출구(20c), 차실의 바닥을 향해 송풍하기 위한 하방향 토출구(20d), 차실의 창쪽으로 토출하기 위한 제상 토출구(20e)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조실(S)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상방향 토출구(20c), 상기 하방향 토출구(20d) 및 상기 제상 토출구(20e)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상기 차실의 상, 하부 또는 차실의 창쪽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 다양한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상방향 토출구(20c)에는 상방향 토출구 댐퍼(33)가 설치되고, 상기 하방향 토출구(20d)에는 하방향 토출구 댐퍼(34)가 설치되고, 제상 토출구(20e)에는 제상 토출구 도어(35)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22)는, 상기 공조실(S)의 흡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S)내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에어 필터(24)는, 상기 공조실(S)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기(22)보다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조실(S)로 유입된 공기 중 먼지나 이물질 등을 필터링한다.
상기 증발기(26)는, 상기 공조실(S)의 내부에서 상기 송풍기(22)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차실의 냉방 운전시 상기 공조실(S)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26)의 위치는 상기 공조 케이스(20)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 히터 코어(28)는, 상기 공조실(S)의 내부에서 상기 증발기(26)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차실의 난방 운전시 상기 공조실(S)내 공기를 가열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히터 코어(28)의 위치는 상기 공조 케이스(20)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 공조실(S)의 내부에는 공기를 상기 히터 코어(28)측을 향하는 유로와, 상기 히터 코어(28)를 바이패스하는 유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하기 위한 히터코어 댐퍼(36)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50)는, 제습기 케이스(52), 제습 필터(54), 가열부(56)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52)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에 연통되게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한 후 다시 상기 공조 케이스(20)내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52)는, 상기 송풍기(22)와 상기 증발기(26)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습기 케이스(52)의 일측은 상기 송풍기(22)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증발기(26)의 흡입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52)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52)의 내부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흡기실(A), 제습실(D) 및 배기실(E)이 차례대로 구획되고,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흡기실(A)은, 상기 공조실(S)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흡기실(A)에는 제습기 흡기구(61)가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에서 상기 증발기(26)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상기 증발기(26)로 흡입되기 이전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는 상기 증발기(26)의 흡입측과 연통되도록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는 개구홀로 형성되거나 개구홀에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에서 상기 증발기(26)의 흡입측에 연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는 상기 증발기(26)의 토출측 등 상기 공조실(S)로 연결되는 위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 배기실(E)은, 상기 흡기실(A)로 유입되어 제습 또는 재생에 이용된 공기를 다시 배출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배기실(E)에는 제습기 배기구(62)가 형성된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에서 상기 송풍기(22)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상기 배기실(E)에서 나온 공기를 상기 송풍기(22)를 향해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는 덕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조 케이스(20)에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에서 상기 송풍기(22)의 흡입측으로 연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는 상기 송풍기(22)의 토출측 등 상기 공조실(S)로 연결되는 위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62)에는 제습기 배기댐퍼(64)가 설치된다.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되, 상기 송풍기(22)를 향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22)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도 한다.
상기 제습실(D)은, 상기 흡기실(A)과 상기 배기실(E)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E)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실(D)은 통로나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습실(D)의 내부에는 상기 가열부(56)와 상기 제습 필터(54)가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
상기 가열부(56)는, 상기 제습실(D)에서 상기 제습 필터(54)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열부(56)는 상기 재생 운전시 전원을 공급받아서 작동되어 상기 제습실(D)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전기 히터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냉각수의 열을 공급받아 상기 제습실(D)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냉각수 열교환기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자동차의 엔진 룸에서 가열된 공기의 열을 공급받는 공기 열교환기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습 필터(54)는, 상기 공조실(S)의 내부 공기를 제습시키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실(D)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필터이다. 상기 제습 필터(54)는,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식 제습제(이하, 제습제라 칭함)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제는, 약 60 ℃이하의 저온에서도 충분한 재생이 가능한 소재가 사용되어, 재생 운전시 고온 배기에 의해 에어컨의 냉방 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63116호에 기재된 제습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의 재생과 자연 냉각 이후 상기 제습제의 함수율이 낮아진 상태에서 일반적인 설정습도인 50%까지는 흡습량의 변화가 커야만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제의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의 재생시 공기의 상대습도인 20%이하에서의 평형 함수량, 즉 흡습 능력이 낮은 제습제를 사용하여야 상기 재생 운전시 재생이 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5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와 상기 가열부(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10)의 작동과 연계하여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와 상기 가열부(56)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에어컨 제어부와 일체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에어컨 제어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에어컨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에 설치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50)의 제습 운전과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 여부에 연계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제습 운전 또는 재생 운전에 대한 개시 신호를 입력할 경우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운전 시기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제습 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50)의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미리 설정된 제습 시간동안 수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자동차의 운전 중 상기 에어컨(10)이 냉방 운전이 1회 이상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고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제습 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냉방 운전이 종료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더라도 상기 에어컨(10)의 송풍기(22)는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동안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시간은 상기 제습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외기 흡기구(20a), 상기 내기 흡기구(20b), 상기 상방향 토출구(20c), 상기 하방향 토출구(20d) 및 상기 제상 토출구(20e)가 모두 차폐되어, 상기 공조 케이스(20) 내부로 더 이상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가 상기 배기실(E)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열부(56)의 작동은 정지시킨다.
상기 에어컨(10)의 송풍기(22)가 작동되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송풍기(22)에 의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를 순환한다.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동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54)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다. 상기 제습 필터(54)에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동한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통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로 다시 배출된다.
상기 제습 필터(54)에서 제습된 건조 공기가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통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로 다시 배출됨으로써, 상기 공조실(S)의 내부가 제습될 수 있다.
상기 공조실(S)의 내부가 제습되어 상기 공조실(S)의 습도가 낮아짐으로써, 상기 증발기(26)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도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통해 배출된 건조 공기가 상기 공조실(S)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증발기(26)의 표면에 응축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증발기(26)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는 다시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를 통해 상기 제습기 케이스(52)로 흡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54)에서 제습된다.
상기 제습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제습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가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 필터(54)로 제습한 후 다시 상기 공조 케이스(20)로 토출함으로써, 상기 에어컨(10)의 내부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증발기(26)의 수분도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컨(10)의 내부가 건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에어컨(10)의 내부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10)의 내부가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10)의 내부를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습 운전시 제거된 습기는 상기 제습 필터(54)에 저장됨으로써, 실내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 필터(54)는 항균과 항곰팡이 기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습 필터(54)에서는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컨(10)의 송풍기(22)를 통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케이스(52)의 내부에 제습기용 소형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기용 소형 송풍팬(미도시)을 작동시켜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제습기용 소형 송풍팬(미도시)은, 상기 에어컨(10)의 송풍기(22)를 구동시키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차전지 등 별도의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의 재생 운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습 필터(54)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시 미리 설정된 재생 시간동안 수행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냉방 운전이 개시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컨(10)의 냉방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외기 흡기구(20a)와 상기 내기 흡기구(20b)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고, 상기 상방향 토출구(20c), 상기 하방향 토출구(20d) 및 상기 제상 토출구(20e) 중 적어도 하나가 개방되어, 외기 또는 내기가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로 흡입되고,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는 차실로 배출된다.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가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열부(56)를 작동시킨다.
상기 에어컨(10)의 송풍기(22)가 작동되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송풍기(22)에 의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를 순환한다.
이 때,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습기 흡기구(61)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열부(56)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상기 가열부(56)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54)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54)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습 필터(54)를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54)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동한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통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로 다시 배출된다.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통해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송풍기(22)를 거쳐 상기 증발기(26)를 통과하게 되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증발기(26)에서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습 필터(54)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로 배출된 후, 상기 공조 케이스(20)의 내부 공기와 함께 상기 증발기(26)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제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컨(10)이 냉방 운전일 때, 상기 재생 운전시 발생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26)에서 냉각 제습된 후 차실로 토출되기 때문에, 차실의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재생 운전시 차실의 공기가 가습되거나 차실의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재생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한다.
상기 재생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64)가 상기 제습기 배기구(62)를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시 개시됨으로써, 상기 제습 필터(54)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26)에서 냉각 제습된 후 차내로 배출되기 때문에, 차실의 공기가 가습되지 않으므로 차실의 쾌적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부(56)가 전기 히터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냉각수의 열이나 엔진룸의 폐열을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컨 20: 공조 케이스
22: 송풍기 24: 에어 필터
26: 증발기 28: 히터 코어
50: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52: 제습기 케이스
54: 제습 필터 56: 가열부
61: 제습기 흡기구 62: 제습기 배기구
64: 제습기 배기댐퍼

Claims (12)

  1. 자동차에 설치된 에어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식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 중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1회 이상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컨의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시,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는 작동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재생 운전을 수행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 운전은,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종료된 후, 상기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기가 작동되면 시작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케이스는,
    상기 흡기실에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상기 증발기로 흡입되기 이전 공기를 흡입하는 제습기 흡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송풍기를 향해 배출하는 제습기 배기구가 형성된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배기구를 개폐하는 제습기 배기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가 상기 제습기 배기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습기 배기댐퍼는,
    상기 송풍기를 향한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습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송풍기를 향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작동되어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전기 히터를 포함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냉각수의 열을 공급받아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냉각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9. 자동차의 에어컨의 외관을 형성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한 후 차실로 배출하기 위한 공조실을 형성하는 공조 케이스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 내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 내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공조 케이스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공조실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실과, 상기 제습실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공조실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실이 차례대로 형성된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어, 상기 제습실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식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상기 흡기실로부터 상기 제습실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와;
    상기 자동차의 운전 중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이 1회 이상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에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컨의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시,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을 개방시키고, 상기 가열부는 작동시켜, 상기 에어컨의 내부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흡기실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된 후 상기 제습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고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다시 배출시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되도록 하는 재생 운전을 수행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11. 자동차의 실내 공간을 냉방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가 내부에 설치된 에어컨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내부 공기를 흡착식 제습제로 흡착시킨 후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배출하여 상기 에어컨의 내부를 제습시킴으로써 상기 에어컨의 증발기를 건조시키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냉방 운전 시, 상기 제습제를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재생시킨 후, 상기 재생된 고습도의 공기를 상기 에어컨의 내부로 배출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상기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서 상기 에어컨의 외부로 드레인하는 제습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의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KR1020220054491A 2022-05-03 2022-05-0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KR202301550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91A KR20230155068A (ko) 2022-05-03 2022-05-0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91A KR20230155068A (ko) 2022-05-03 2022-05-0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068A true KR20230155068A (ko) 2023-11-10

Family

ID=8874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491A KR20230155068A (ko) 2022-05-03 2022-05-03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06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06B1 (ko) 2001-09-21 2007-07-0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 증발기의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06B1 (ko) 2001-09-21 2007-07-0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컨 증발기의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0590C (zh) 加湿器
US20090044555A1 (en) Desiccant dehumidifier
KR101558001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5944375B2 (ja) フィルタを再生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および実施方法
KR100700191B1 (ko) 환기장치
KR100657808B1 (ko) 환기장치
KR1014455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60095058A (ko) 공기조화기
KR20230155068A (ko)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컨
CN217022125U (zh) 车用空调箱、车用空调系统及车辆
KR10140344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84112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CN114523817A (zh) 车辆及用于干燥车用空调蒸发器的方法、系统、存储介质
KR1015203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3852B1 (ko)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KR101957682B1 (ko) 제가습 장치
KR20040058912A (ko) 차량용 제습기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CN107848377B (zh) 加湿装置
JP2000318422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566788B1 (ko) 공기조화장치의응축수제거시스템
KR101845415B1 (ko) 제습제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에어컨 시스템
KR1020567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631148B2 (ja) 屋内用除湿装置
KR100624729B1 (ko) 공기조화기
JP2006143042A (ja) 車両用空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