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773B1 - 건장고 - Google Patents

건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773B1
KR102495773B1 KR1020220031471A KR20220031471A KR102495773B1 KR 102495773 B1 KR102495773 B1 KR 102495773B1 KR 1020220031471 A KR1020220031471 A KR 1020220031471A KR 20220031471 A KR20220031471 A KR 20220031471A KR 102495773 B1 KR102495773 B1 KR 10249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intake
exhaust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영
김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마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마스터
Priority to KR102022003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773B1/ko
Priority to US18/119,822 priority patent/US202303140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8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air valves, movable baffles or nozz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partly outside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3Humidity by using sorbent or hygroscopic materials, e.g. chemical substances, molecular si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장고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 가능하며, 건조 대상물을 수납한 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건장고가 사용되는 온도와 습도 조건에 적합한 흡습 능력을 갖는 제습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습 운전시 건장고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충분한 제습이 가능하고, 재생 운전시 건장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 필터의 충분한 재생이 가능다. 또한, 재생 운전시 제습 필터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재생 히터 또는 송풍기를 제어함으로써, 60℃이하의 온도에서도 충분한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재생 운전시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 공기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건장고 또는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이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생활에서 건장고를 사용하는 데 제약이 따르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장고{Drying storage}
본 발명은 건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건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제습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켜 습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습기는, 압축기를 포함하므로 부피가 크고 전력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설치 공간에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009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건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장고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되며, 건조 대상물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건장고로서, 건조 대상물을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수납가능하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된 건장고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 투입구 도어와; 상기 수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실과,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습실을 포함하는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고,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도록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제습 필터로 유동하게 하는 재생 히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제습 운전시 흡습량이 증가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공기로 인한 상기 건장고 자체 또는 상기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습 필터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상기 재생 히터 또는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재생 운전에 의하여 재생 능력이 향상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다.
상기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건장고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건장고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흡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흡기구, 상기 내부 흡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기 댐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 댐퍼가 상기 내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흡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 댐퍼가 상기 내부 흡기구를 차폐시키고, 상기 외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흡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건장고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배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 배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배기구, 상기 내부 배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내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내부 배기구를 차폐시키고 상기 외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차폐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건장고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되며, 건조 대상물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건장고로서, 건조 대상물을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수납가능하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된 건장고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 투입구 도어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와; 상기 수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실과,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습실을 포함하는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고,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도록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제습 필터로 유동하게 하는 재생 히터와;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건장고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건장고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흡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기구와; 상기 흡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흡기구, 상기 내부 흡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기 댐퍼와;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건장고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배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배기구, 상기 내부 배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와; 상기 송풍기, 상기 재생 히터, 상기 흡기 댐퍼 및 상기 배기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제습 운전시 흡습량이 증가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공기로 인한 상기 건장고 장체 또는 상기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습 필터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상기 재생 히터 또는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재생 운전에 의하여 재생 능력이 향상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장고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 가능하며, 건조 대상물을 수납한 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건장고가 사용되는 온도와 습도 조건에 적합한 흡습 능력을 갖는 제습제를 사용함으로써, 제습 운전시 건장고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충분한 제습이 가능하고, 재생 운전시 건장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제습 필터의 충분한 재생이 가능다.
또한, 재생 운전시 제습 필터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재생 히터 또는 송풍기를 제어함으로써, 60℃이하의 온도에서도 충분한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재생 운전시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 공기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건장고 또는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이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생활에서 건장고를 사용하는 데 제약이 따르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장고의 구조가 컴팩트하기 때문에, 점유하는 공간의 크기가 작아서 실내 공간에서의 활용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장고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장고의 제습 운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장고의 재생 운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의 상대 습도에 따른 평형상태에서의 흡습 능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 표면에서의 평형상태 습공기선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상적인 사이클 상태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장고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장고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되며, 건조 대상물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건조 저장고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곡류, 분말, 건조 식품 등을 건조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포함된다.
상기 건장고는, 건장고 케이스(100), 투입구 도어(120), 제습기 케이스(10), 송풍기(20), 제습 필터(30), 재생 히터(40), 흡기 댐퍼(50), 배기 댐퍼(6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는, 내부에 건조 대상물을 수납가능하도록 수납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일측면에는, 상기 건조 대상물을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면에 투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타측면에는, 건장고 흡기구(101)와 건장고 배기구(102)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건장고 흡기구(101)는, 상기 건장고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이다.
상기 건장고 배기구(102)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배기실(E)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이다.
상기 투입구 도어(120)는,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가능하도록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에 결합된다. 상기 투입구 도어(120)는,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투입구(110)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10)는,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1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케이스(10)는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내부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흡기실(A), 제습실(D) 및 배기실(E)이 차례대로 구획된다.
상기 흡기실(A)은, 상기 수납 공간(S)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흡기실(A)에는 내부 흡기구(11a)와 외부 흡기구(1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기실(A)의 내부는 후술하는 흡기 댐퍼(5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흡기구(11a)는, 상기 흡기실(A)에서 상기 수납 공간(S)을 향한 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S)의 공기를 상기 흡기실(A)로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이다. 상기 내부 흡기구(11a)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외부 흡기구(11b)는, 상기 흡기실(A)에서 상기 건장고 흡기구(101)에 연통되어, 상기 건장고 흡기구(101)로부터 흡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A)로 흡입하기 위한 흡기구이다. 상기 외부 흡기구(11b)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 흡기구(11b)에는 별도의 흡기 덕트(미도시)가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기실(E)은, 상기 흡기실(A)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외부 또는 상기 수납 공간(S)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 영역이다. 상기 배기실(E)에는 내부 배기구(12a)와 외부 배기구(12b)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배기구(12a)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상기 배기실(E)에서 상기 수납 공간(S)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E)의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S)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기구이다. 상기 내부 배기구(12a)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외부 배기구(12b)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상기 배기실(E)에서 상기 건장고 배기구(102)에 연통되어, 상기 배기실(E)의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이다. 상기 외부 배기구(12b)는 개구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개폐부재나 통풍 그릴 등이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 배기구(12b)에는 별도의 배기 덕트(미도시)가 연결되어,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습실(D)은, 상기 흡기실(A)과 상기 배기실(E)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E)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실(D)은 통로나 덕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습실(D)의 내부에는 상기 재생 히터(40), 상기 제습 필터(30) 및 상기 송풍기(20)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2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 내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송풍기(20)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실(E)을 향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기(20)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거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습 필터(30)는, 상기 수납 공간(S)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실(D)을 통과하는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필터이다. 상기 제습 필터(30)는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제습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의 재생과 자연 냉각 이후 상기 제습제의 함수율이 낮아진 상태에서 일반적인 설정습도인 50%까지는 흡습량의 변화가 커야만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습제의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의 재생시 공기의 상대습도인 20% 이하에서의 평형 함수량, 즉 흡습 능력이 낮은 제습제를 사용하여야 상기 재생 운전시 재생이 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의 상대 습도에 따른 평형상태에서의 흡습 능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 표면에서의 평형상태 습공기선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상적인 사이클 상태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습 운전 및 상기 재생 운전으로 이루어진 사이클 운전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할 때, 상기 제습제의 표면에서 평형상태 습공기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습 운전이 시작되기 이전 시점 또는 상기 재생 운전 이후 자연 냉각이 종료된 시점을 포함하는 제1시점(1)에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약 10℃ 내지 30℃ 범위이고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이다. 여기서는, 상기 제1시점(1)의 온도는 20℃이고, 평형 상대습도는 10%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제습 운전이 종료된 제2시점(2)에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약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약 50%이상이며, 이 때는 상기 제습제의 흡습 능력은 40wt%이상이다. 여기서는, 상기 제2시점(2)의 온도는 20℃이고, 상대습도는 60%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상기 제1시점(1)에서는 상기 제습제의 흡습 능력이 20wt%이하이고, 상기 제2시점(2)에서는 흡습 능력이 40wt%이상으로써, 상기 제1시점(1)과 상기 제2시점(2)의 각 온도와 상대 습도 조건에서 상기 제습제의 흡습 능력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상기 제습 운전시 제습이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운전이 진행될 때 재생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20%이하이다. 여기서는, 재생 온도는 50℃이고, 상대습도는 10%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상기 재생 운전이 진행될수록 제습제가 온도는 50℃, 상대습도는 10%인 공기, 즉 제4시점(4)의 온도와 상대습도 조건의 공기와 평형을 이루게 되므로, 이 조건에서 상기 제습제의 흡습 능력이 20wt%이하로 감소하여야 상기 재생 운전으로 인한 상기 제습제의 재생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60℃이하에서도 충분한 재생이 가능한 소재가 사용되어, 고온 다습한 재생 공기로 인하여 상기 건장고 또는 상기 건장고 배기구(102) 주변의 물품의 변형,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습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63116호에 기재된 제습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재생 히터(40)는,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3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기실(A)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제습 필터(30)로 유동하게 하는 가열 장치이다. 상기 재생 히터(40)는, 상기 제습실(D)의 내부에서 상기 제습 필터(30)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흡기 댐퍼(50)는, 상기 흡기실(A)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내부 흡기구(11a), 상기 외부 흡기구(11b) 및 상기 제습실(D)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이다. 상기 흡기 댐퍼(50)는, 상기 흡기실(A)의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흡기구(11a), 상기 외부 흡기구(11b) 및 상기 제습실(D)의 입구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는 삼방향 댐퍼이다.
상기 배기 댐퍼(60)는, 상기 배기실(E)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내부 배기구(12a), 상기 외부 배기구(12b) 및 상기 제습실(D)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댐퍼이다. 상기 배기 댐퍼(60)는, 상기 배기실(E)의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3개의 상기 내부 배기구(12a), 상기 외부 배기구(12b) 및 상기 제습실(D)의 출구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기의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삼방향 댐퍼이다.
한편,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 또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 센서들과,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습도 센서들이 설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들은,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공기 온도센서, 재생공기 온도센서, 배출공기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흡입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흡입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흡기실(A) 또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에서 상기 수납 공간(S)을 향한 외측면 또는 상기 수납 공간(S)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재생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에서 상기 재생 히터(40)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재생 히터(40)에서 가열되어 나와서 상기 제습 필터(30)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실(E)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는 상기 배기실(E)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센서들은, 흡입공기 습도센서와 배출공기 습도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실내공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흡기실(A) 또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에서 상기 수납 공간(S)을 향한 외측면 또는 상기 수납 공간(S)에 설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배출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습실(D)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실(E)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습도를 측정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기 습도센서는 상기 배기실(E)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장고는,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검출하는 이슬점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온도 검출부(미도시)는,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측정하는 이슬점 온도계인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이슬점 온도를 도출하는 도출부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건장고는, 상기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재생 히터(40), 상기 흡기 댐퍼(50) 및 상기 배기 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이슬점 온도를 직접 도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장고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장고의 제습 운전은,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흡입공기의 습도에 따라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수납공간(S)의 습도에 따라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제습 운전에 대한 개시 신호를 입력할 경우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습 시기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 운전은,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흡입공기의 습도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흡기 댐퍼(50)가 상기 내부 흡기구(11a)와 상기 제습실(D)의 입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풍기(20)를 작동시켜, 상기 수납 공간(S)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흡입공기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습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습 운전을 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장고의 제습 운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송풍기(20)를 작동시키고, 상기 재생 히터(40)의 작동은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흡기 댐퍼(50)가 상기 내부 흡기구(11a)와 상기 제습실(D)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흡기구(11b)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배기 댐퍼(60)가 상기 제습실(D)의 출구와 상기 내부 배기구(12a)를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배기구(12b)를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송풍기(20)가 작동하면, 상기 수납 공간(S)의 내부 공기는 상기 내부 흡기구(11a)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제가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주변 공기의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인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수납 공간(S)의 내부 공기 중 수분을 충분히 흡수하여 제습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내부 배기구(12a)를 통해 상기 수납 공간(S)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수납 공간(S)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로 흡입되어 내부에서 제습된 후, 상기 수납 공간(S)으로 다시 배출되어 순환된다.
한편, 상기 흡입공기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흡입공기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의 온도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변화율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30)를 통과한 배출공기의 온도의 변화가 설정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제1온도차 이내일 경우, 상기 제습 필터(30)가 습기로 포화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1분이고, 상기 제1온도차는 1℃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제습 필터(3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되면서, 공기의 습도는 감소하고 흡착열 방출로 공기의 온도는 증가하는 바, 상기 제습 필터(30)가 흡착된 습기로 포화되어 습기 제거율이 감소하면 온도 변화와 습도 변화가 거의 없어지므로,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을 종료한 직후 상기 재생 운전을 실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장고의 재생 운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송풍기(20)와 상기 재생 히터(40)를 모두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흡기 댐퍼(50)가 상기 내부 흡기구(11a)를 차폐시키고, 상기 외부 흡기구(11b)와 상기 제습실(D)의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배기 댐퍼(60)가 상기 내부 배기구(12a)를 차폐시키고, 상기 외부 배기구(12b)와 상기 제습실(D)의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내부 흡기구(11a)가 차폐되고 상기 외부 흡기구(11b)가 개방되면,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외부 공기가 상기 건장고 흡기구(101)와 상기 외부 흡기구(11b)를 통해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 공간(S)이 밀폐 공간이므로,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 운전에 이용한다.
상기 흡기실(A)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다.
상기 제습실(D)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재생 히터(4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상기 재생 히터(40)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제습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습 필터(30)에 흡수된 수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습 필터(30)를 재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 필터(30)의 제습제는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 능력은 20wt%이하로 감소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재생 운전의 조건에서 충분히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제습 필터(30)를 재생시키고 나온 공기는 상기 배기실(E)로 유입되어, 상기 외부 배기구(12b)와 상기 건장고 배기구(102)를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필터(30)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상기 재생 히터(40) 또는 상기 송풍기(2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일반적인 플라스틱 생활용품의 내열한계온도가 약 60℃이므로, 상기 제습 필터(30)의 재생 온도를 60℃이하이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건장고 배기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공기로 인하여 상기 건장고 자체 또는 상기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생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재생공기의 온도와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의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최소 온도차 이내이면,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최소 온도차는 1℃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재생 운전 동안,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여 상기 재생 히터(40)에서 나온 재생공기의 온도와 거의 비슷해지면, 상기 제습 필터(30)의 재생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재생운전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재생 운전을 종료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재생 운전의 종료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송풍기(20)와 상기 재생 히터(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흡기 댐퍼(50)가 상기 제습실(D)의 입구를 차폐시키고, 상기 배기 댐퍼(60)가 상기 제습실(D)의 출구 차폐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실(D)로부터 상기 배기실(E)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이슬점 온도는 이슬점 온도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와 상기 배출공기 습도센서에서 측정한 습도를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를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와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 범위는 결로 발생 온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결로 발생 온도에 소정의 온도를 뺀 최저 온도 내지 상기 결로 발생 온도에 소정의 온도를 더한 최고 온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의 최고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감소시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배출공기의 이슬점 온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결로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동안,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는 미리 설정된 최저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최저값은, 상기 제습 필터(30)의 재생 효율을 고려하여 실험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상기 최저값 이하이면,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 감소를 중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감소시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킬 때,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상기 최저값 이상인 범위내에서만 낮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결로 발생을 방지하면서 상기 재생공기의 과도한 온도 하강으로 인한 재생 효율의 저하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재생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재생공기의 온도와 상기 배출공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배출공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최소 온도차는 초과하되 미리 설정된 설정 온도차미만인지 판단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와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설정 온도차 미만이면,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보다 상기 설정 온도차 이상으로 높을 경우, 상기 재생 필터(30)를 충분히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와 상기 배출공기의 온도의 차이가 상기 설정 온도차 미만이면, 상기 재생 필터(30)의 재생 효율이 낮다고 판단하여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설정 온도차는 일정한 값으로 설정되며, 약 5℃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설정 온도차는 상기 재생 운전의 경과 시간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재생 운전의 경과 시간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할 경우, 상기 재생 운전 초기에는 제1값으로 설정하고 운전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제1값보다 점차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정 온도차는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동안,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최고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최고값은, 6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상기 최고값 이상이면,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 증가를 중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재생 히터(40)의 출력을 증가시켜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때,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재생공기의 온도가 상기 최고값 미만인 범위내에서만 상승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재생공기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해 과열 소손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습기 케이스(10)에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복수의 센서들에서 감지된 값에 따라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내부에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수납 공간(S)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상기 송풍기(20), 상기 재생 히터(40), 상기 흡기 댐퍼(50) 및 상기 배기 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운전 또는 상기 제습 운전을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건장고에는 센서들이 설치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습 운전 시간과 상기 재생 운전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상기 설정 시간에 따라 상기 송풍기(20), 상기 재생 히터(40), 상기 흡기 댐퍼(50) 및 상기 배기 댐퍼(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운전 또는 상기 제습 운전을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설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건장고 케이스(10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투입구 도어(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재생 운전과 상기 제습 운전의 작동 상태, 상기 수납 공간(S)의 온도, 습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습기 케이스 11a: 내부 흡기구
11b: 외부 흡기구 12a: 내부 배기구
12b: 외부 배기구 20: 송풍기
30: 제습 필터 40: 재생 히터
50: 흡기 댐퍼 60: 배기 댐퍼
A: 흡기실 D: 제습실
E: 배기실 S: 수납 공간
100: 건장고 케이스 101: 건장고 흡기구
102: 건장고 배기구 110: 투입구
120: 투입구 도어

Claims (9)

  1.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되며, 건조 대상물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건장고로서,
    건조 대상물을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수납가능하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된 건장고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 투입구 도어와;
    상기 수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실과,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습실을 포함하며, 상기 건장고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고,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도록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제습 필터로 유동하게 하는 재생 히터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재생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제습 운전시 흡습량이 증가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공기로 인한 상기 건장고 자체 또는 상기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습 필터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상기 재생 히터 또는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재생 운전에 의하여 재생 능력이 향상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상기 제습 운전이 시작되기 이전 시점과, 상기 재생 운전의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습제의 자연 냉각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인 건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건장고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건장고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흡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기구를 더 포함하는 건장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흡기구, 상기 내부 흡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기 댐퍼를 더 포함하는 건장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 댐퍼가 상기 내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흡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흡기 댐퍼가 상기 내부 흡기구를 차폐시키고, 상기 외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흡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제어하는 건장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건장고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배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 배기구를 더 포함하는 건장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배기구, 상기 내부 배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를 더 포함하는 건장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습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내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외부 배기구는 차폐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내부 배기구를 차폐시키고 상기 외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생 운전이 종료되면, 상기 배기 댐퍼가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차폐하도록 제어하는 건장고.
  9.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운반 가능하거나, 사용자의 거주지에 빌트인으로 설치되며, 건조 대상물을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건장고로서,
    건조 대상물을 수납 또는 인출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수납가능하도록 수납 공간이 형성된 건장고 케이스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 투입구 도어와;
    상기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도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실링 부재와;
    상기 수납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실과, 상기 흡기실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실과, 상기 흡기실과 상기 배기실 사이에 연통되어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제습하여 상기 배기실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제습실을 포함하며, 상기 건장고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습기 케이스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제습실에 배치되고, 제습 운전시,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도록 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제습 필터와;
    재생 운전시, 상기 제습 필터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흡기실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가열시켜서 상기 제습 필터로 유동하게 하는 재생 히터와;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건장고의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건장고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흡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외부 흡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흡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 공기를 상기 흡기실로 흡입하기 위한 내부 흡기구와;
    상기 흡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흡기구, 상기 내부 흡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흡기 댐퍼와;
    상기 건장고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건장고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건장고 배기구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건장고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 배기구와;
    상기 제습기 케이스의 상기 배기실에서 상기 수납 공간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실의 공기를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 배기구와;
    상기 배기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습 운전과 상기 재생 운전을 포함하는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배기구, 상기 내부 배기구 및 상기 제습실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배기 댐퍼와;
    상기 송풍기, 상기 재생 히터, 상기 흡기 댐퍼 및 상기 배기 댐퍼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제습 운전시 흡습량이 증가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주변 공기의 온도가 10℃ 내지 30℃ 범위이고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50%이상일 때 흡습능력은 40wt%이상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 운전시 상기 배기실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재생공기로 인한 상기 건장고 장체 또는 상기 건장고의 주변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습 필터의 재생 온도가 60℃이하이도록 상기 재생 히터 또는 상기 송풍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습제는,
    상기 재생 운전에 의하여 재생 능력이 향상되도록 주변 공기의 온도가 40℃ 내지 60℃ 범위이고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일 때 흡습능력은 20wt%이하이고,
    상기 제습 운전이 시작되기 이전 시점과, 상기 재생 운전의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제습제의 자연 냉각이 종료된 시점에서 상기 제습제 표면에서 공기의 평형 상대습도가 20%이하인 건장고.
KR1020220031471A 2022-03-14 2022-03-14 건장고 KR10249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71A KR102495773B1 (ko) 2022-03-14 2022-03-14 건장고
US18/119,822 US20230314074A1 (en) 2022-03-14 2023-03-10 Drying sto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471A KR102495773B1 (ko) 2022-03-14 2022-03-14 건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773B1 true KR102495773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471A KR102495773B1 (ko) 2022-03-14 2022-03-14 건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314074A1 (ko)
KR (1) KR102495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455B1 (ko) * 2021-04-14 2023-03-14 주식회사 은하에어테크 에어드라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건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4079A (ja) * 1990-11-14 1992-07-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乾燥装置
KR102300902B1 (ko) 2014-09-05 2021-09-13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4079A (ja) * 1990-11-14 1992-07-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乾燥装置
KR102300902B1 (ko) 2014-09-05 2021-09-13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장치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14074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1746B2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126032A1 (en) Ductless dryer
JP4455363B2 (ja) 除加湿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KR102351369B1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2495773B1 (ko) 건장고
JP2011092785A (ja) ダクトレス乾燥機
JP3704778B2 (ja) 静止型除湿装置
JP3827703B2 (ja) 除湿機の制御装置
KR101258391B1 (ko)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제습 냉방기
KR102489554B1 (ko) 소형 제습기
JP3838629B2 (ja) 除湿システム
KR102533852B1 (ko) 곰팡이 발생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KR102438815B1 (ko) 소형 제습기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1227863A (ja) 乾燥装置、乾燥方法
CN110873520B (zh) 烘干储存装置
TWI651499B (zh) 除濕空調裝置
KR101401482B1 (ko)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JP2000202232A (ja) 収納除湿装置
JP3667207B2 (ja) 除湿機の制御装置
JPS6123467B2 (ko)
JP5631148B2 (ja) 屋内用除湿装置
KR200435911Y1 (ko) 데시칸트 제습기
TWM557811U (zh) 除濕空調裝置
CN217005127U (zh) 一种闭环式热泵除湿烘干系统
JPH0549842A (ja) 除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