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482B1 -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482B1
KR101401482B1 KR1020130046662A KR20130046662A KR101401482B1 KR 101401482 B1 KR101401482 B1 KR 101401482B1 KR 1020130046662 A KR1020130046662 A KR 1020130046662A KR 20130046662 A KR20130046662 A KR 20130046662A KR 101401482 B1 KR101401482 B1 KR 101401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air
value
regeneration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송기
Original Assignee
박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송기 filed Critical 박송기
Priority to KR102013004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30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영역, 제습로터, 외부공기의 온도 및 습도와, 제습라인의 유속 대 재생라인의 유속 비율에 따라 제습로터, 히터 및 블로어(Blower)의 동작을 최적화여 구동시시키고, 제습로터의 온도 및 습도, 관리영역의 습도, 외부 공기의 습도에 따라 제습라인 및 재생라인의 구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킴과 동시에 재생 및 제습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건식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Dry dehumidifier for enhancing efficiency of dehumidification and recycling}
본 발명은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제습로터의 온도 및 습도, 관리영역의 습도, 외부공기의 습도에 따라 제습라인 및 재생라인의 구동이 결정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제습 및 재생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건식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제습기는 관리영역인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관리영역 내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건조한 공기가 요구되는 각종 필드기기 생산라인, 반도체 생산라인 및 자동화설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습기는 제습방식에 따라 냉각식, 압축식, 흡착식 등으로 분류된다. 이때 냉각식 제습방식은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에 의해 비용이 증가하며, 소음 및 공간소모가 큰 단점을 갖고, 압축식 제습방식은 과도한 동력이 요구되어 특수한 용도에만 사용되는 한계를 갖기 때문에 산업 전반에 흡착식 제습방식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흡착식 제습방식의 흡착식 제습기는 실리카겔 또는 제올라이트와 같은 제습제가 도포된 제습로터가 회전됨에 따라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기가 제습로터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통상적으로 흡착식 제습기는 건조대상인 처리공기를 제습로터가 흡착시키는 제습과정과, 제습과정을 통해 수분이 흡수된 제습로터를 건조 및 탈습하여 제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재생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습로터는 재생과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 제습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재생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히터를 이용하여 재생공기를 140℃까지 가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큰 단점을 갖는다. 특히 제습로터의 수분 흡착량이 제습로터가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흡착량인 상태일 때 재생과정은 더욱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로 이어진다.
또한 재생공기가 제습로터의 수분을 탈습하기 위해서는 재생공기가 낮은 유속으로 제습로터를 통과하는 것이 좋으나, 종래의 흡착식 제습장치에는 이러한 재생공기의 유속을 적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 및 수단이 연구되지 않아 재생공기와 제습로터의 한정된 열전달 면적 및 통과시간에 의하여 효율적인 열 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재생공기가 내부에 순환되는 방식의 경우 고온의 재생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가 구비되어야 하고, 열교환기에 의한 재생공기의 응축에 따라 발생하는 수분을 수용하는 저장부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외부 공기로부터 재생공기를 유입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 및 온도에 따라 재생공기로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외부 공기의 습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재생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히터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다. 즉 흡착식 제습기는 재생공기로 적용되는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 및 온도에 따라 재생과정 구동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흡착식 제습기는 제습 및 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제습 및 재생이 구동되어야 하나, 종래의 흡착식 제습기에는 이러한 점이 감안되지 않아 제습 및 재생 효율이 최적으로 발휘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국내등록특허 제10-0598214호(발명의 명칭 : )에는 제습로터가 가열시켜 외부로 방출하는 흡착식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흡착식 제습기는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제습 및 재생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구성이 전혀 없고, 이에 따라 에너지 손실이 높으며, 제습 및 재생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0437273호(발명의 명칭 : )에는 설정된 노점에 따라 제습로터의 제습 및 재생을 절환하도록 하는 흡착식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흡착식 제습기는 단순히 제습 및 재생이 노점에 의해서만 결정되기 때문에 재생공정이 불필요하게 지속되어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제습라인과 재생라인을 완전히 분리시켜 처리공기와 재생공기의 상충 및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습 및 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건식 제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제습로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제습로터의 온도가 한계치 이상일 때 히터를 동작시켜 재생라인의 구동을 멈추고, 제습로터의 습도가 한계치 이상일 때 히터를 구동시켜 재생라인을 구동시킴으로써 재생 및 제습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건식 제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처리라인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공기의 유속 대 재생라인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공기의 유속의 비율이 3:1로 유지되도록 블로어들을 구동시킴으로써 제습 및 재생이 최적화된 상태로 수행되도록 하는 건식 제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영역의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에 의하여 관리영역의 습도가 한계치 이상일 때 제습라인을 구동시켜 관리영역의 습도를 적정 습도로 유지시킴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건식 제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재생공기로 적용되기 위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외부 공기의 온도 및 습도가 한계치 이상일 때 재생라인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건식 제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로에 연결되는 실외용 건식 제습기에 있어서: 격벽에 의하여 내부가 상부 제습공간과 하부 재생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습공간으로 건조대상인 처리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제1 유입부 및 제1 배출부와, 상기 재생공간으로 재생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제2 유입부 및 제2 배출부가 일측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격벽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며, 회전 시에 상반부가 상기 제습공간으로 노출되고, 하반부가 상기 재생공간으로 노출되는 원판형상의 제습로터; 상기 하우징의 재생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습로터의 하반부를 통과한 재생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제습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처리공기가 상기 제습로터의 상반부를 통과하여 건조된 후 상기 제1 배출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처리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블로어; 상기 재생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재생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제습로터의 하반부 및 상기 히터를 통과하면 상기 재생공기가 상기 제습로터의 하반부를 다시 통과하여 상기 제습로터의 수분을 탈습한 후 상기 제2 배출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재생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블로어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2 유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밸브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로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처리공기의 제습을 위한 제습라인에 적용되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습로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라인에 적용되는 상기 히터 및 상기 제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Threshold1)에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 의한 비교값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상기 제습라인이 정지되도록 상기 제1 밸브의 폐쇄를 결정하는 제1 판단부; 상기 비교부에 의한 비교값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상기 재생라인이 정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전원 차단 및 상기 제2 밸브의 폐쇄를 결정하는 제2 판단부; 상기 제1 판단부 및 상기 제2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제어대상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로터의 습도를 검출하는 제1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제1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값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고, 상기 제2 판단부가 상기 제1 습도센서의 습도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상기 재생라인이 구동되도록 결정하되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제1 습도센서의 습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일 때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재생라인이 정지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제2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제2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값과 기 설정된 제3 설정값(TH3)을 비교하고, 상기 제2 판단부가 상기 제2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3 설정값(TH) 이상일 때 상기 재생라인의 구동을 정지할 것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제2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3 설정값(TH3) 이상일 때 상기 제1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인 것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재생라인이 정지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단부가 상기 제1 유입부에 연결되되 타단부는 관리영역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리영역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유입부로 흡입 및 이동시키는 유입로와, 상기 관리영역 내에 설치되어 상기 관리영역 내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제3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제3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값을 기 설정된 제4 설정값(TH4)에 비교하고, 상기 제1 판단부가 상기 제3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4 설정값(TH4) 이상일 때 상기 제습라인을 구동시킨다고 결정하되 상기 제3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4 설정값(TH4)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습라인이 정지되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배출부를 통과하는 처리공기의 유속을 검출하는 제1 유속센서와, 상기 제2 배출부를 통과하는 재생공기의 유속을 검출하는 제2 유속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처리공기의 유속이 상기 제2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재생공기의 유속보다 크도록 상기 제1 블로어 및 상기 제2 블로어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처리공기의 유속 대 상기 제2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재생공기의 유속의 비율이 3 : 1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블로어 및 상기 제2 블로어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유입부는 상기 제1 배출부보다, 상기 제2 유입부는 상기 제2 배출부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에, 개구된 일면이 상기 제습로터에 향하되 타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격벽과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타면에 상기 제2 유입부 및 상기 제2 배출부의 단부가 돌출되되 중앙에 판재 형상의 분리벽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수평방향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일측 공간으로 제2 유입부가 돌출되되 타측 공간으로 제2 배출부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블로어는 상기 분리부의 타측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면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로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는 상기 상부면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응축기 및 열교환기 없이도 외부 공기를 재생공기로 사용하여 제습로터를 탈습하여 재생시킴으로써 공간 소모를 줄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라인과 재생라인이 분리된 공간에서 수행됨으로써 제습 및 재생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로터의 온도 및 습도, 관리영역의 습도, 외부 공기의 습도에 따라 제습라인 및 재생라인의 구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킴과 동시에 재생 및 제습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라인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공기의 유속 대 재생라인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재생공기의 유속의 비율이 3:1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습 및 재생이 최적의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건식 제습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건식 제습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의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건식 제습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비교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건식 제습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건식 제습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건식 제습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대상인 건물(90) 외부에, 외벽에 밀접하게 설치되며, 건물(90) 내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되는 도 4의 제습로터(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이하 처리공기라고 하기로 함)의 습기를 제거한 후 습기가 제거된 처리공기를 처리공기 배출로(91)를 통해 건물(90) 내부로 균일하게 배출시킨다. 이때 처리공기 배출로(91)는 일단부가 건식 제습기(1)에 연결되는 파이프로 형성되며, 건물(90) 내부의 천장과 같은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처리공기 배출로(91)는 간격을 두고 분사부(93)가 형성되어 건식 제습기(1)로부터 배출되는 처리공기가 건물(90) 내부에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건식 제습기(1)는 건물(90)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이하 재생공기라고 하기로 함)를 가열시켜 제습로터(11)를 통과시킴으로써 제습로터(11)의 수분을 제거하고, 제습로터(11)에 흡착된 수분을 흡수한 재생공기를 건물(90)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건물(90) 내부에는 건물 내부의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A4)가 설치되고, 제1 감지센서(A4)는 주기적으로 감지된 습도 측정값을 후술되는 도 3의 컨트롤러(7)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건식 제습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의 측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5의 건식 제습기(1)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부(3)와, 내부에 공간을 갖되 함체부(3)의 내부 공간의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하우징(5)과, 하우징(5)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제어대상인 후술되는 제습로터(11), 히터(13) 및 블로어(15), (16)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컨트롤러(7)와, 하우징(5)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제습로터(11)를 회전시키는 모터(9)로 이루어진다.
또한 건식 제습기(1)는 하우징(5)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로터(1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감지센서(A1)와, 하우징(5) 내부에 설치되어 제습로터(11)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감지센서(A2)와, 함체(3)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감지센서(A3)와, 제1 배출부(313)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1 배출부(313)를 통과하는 처리공기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감지센서(A5)와, 제2 배출부(317)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2 배출부(317)를 통과하는 재생공기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 감지센서(A6)를 포함하고, 감지센서(A1), (A2), (A3), (A5), (A6)들에 의해 검출된 측정값은 컨트롤러(7)로 전송된다.
이때 함체부(3)는 개구된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이하, 후면이라고 하기로 함)에 제습대상인 처리공기를 제습로터(11)로 유입시키는 제1 유입부(311)와, 제습로터(11)를 통과한 처리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 배출부(313)와, 제습로터(11)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재생공기를 제습로터(11)로 유입시키는 제2 유입부(315)와, 제습로터(11)를 통과한 재생공기를 재생공기 배출부(91)로 배출시키는 제2 배출부(317)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유입부(311) 및 제2 유입부(315)의 일측에는 제습라인 개폐밸브 및 재생라인 개폐밸브가 설치되고, 제습라인 개폐밸브 및 재생라인 개폐밸브는 컨트롤러(7)의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제1 유입부(311), 제1 배출부(313), 제2 유입부(315) 및 제2 배출부(317)는 일단부가 함체부(3)의 후면에, 타단부가 하우징(5)의 측면을 관통하여 하우징(5)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5) 내부에는 하부면과 평행한 격벽(51), (53)들이 동일한 높이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격벽(51), (53)들은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서로 대향되는 단부가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내부 공간은 격벽(51), (53)들에 의해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분리된다. 이때 상부 공간은 제습로터(11)에 의하여 처리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제습라인으로 작용하고, 하부 공간은 재생공기를 이용하여 제습로터(11)를 탈습하여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라인으로 작용한다.
제습로터(11)는 실리카겔(Silica Gel) 및 금속 실리게이트(Metal Silicates) 등의 제습지가 동심원상으로 권취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격벽(51), (53)들 사이에 삽입되어 하우징(5)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선회반경을 이등분할 때 상부영역이 격벽(51), (53)의 상부로, 하부영역이 격벽(51), (53)의 하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격벽(51), (53)의 상부로 돌출된 제습로터(11)의 상부영역은 처리공기를 건조시키고, 격벽(51), (53)의 하부로 돌출된 제습로터(11)의 하부영역은 상부영역에서 흡수된 수분이 재생공기에 의하여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격벽(51), (53)들이 하우징(5)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되 단부가 이격되고, 이격된 사이로 제습로터(11)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하우징(5) 내부에는 설치공을 갖는 격벽이 설치되고, 제습로터(11)가 설치공을 삽입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습로터(11)는 통과되는 공기를 흡수하는 제습지가 코일링되어 형성되고, 상세하게로는 실리카겔(Silica Gel) 및 금속 실리게이트(Metal Silicate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습로터(11)는 제1 유입부(311) 및 제2 유입부(315)에 연통되도록 제1 유입부(311) 및 제2 유입부(315)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유입부(311) 및 제2 유입부(31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5)의 상부 공간에는 제1 필터(18) 및 제1 블로어(15)가 설치되고, 하부 공간에는 분리된 두 개의 수평방향의 공간을 갖는 분리부(55)가 설치된다. 이때 분리부(55)는 격벽(53)의 하부면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격벽(53)과 분리부(55)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5)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격벽(51), (53)에 의해 상부의 제습공간(S1) 및 하부의 재생공간(S2)으로 분리되고, 격벽(51), (53) 사이에 제습로터(11)가 삽입된다. 이때 격벽(51), (53)들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공간은 처리공기를 건조시키는 기능으로, 격벽(51), (53)들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영역은 재생공기에 의하여 재생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또한 하우징(5)은 몸체(31)에 대접되는 면인 후면(50)에 제1 유입부(311), 제1 배출부(313), 제2 유입부(315) 및 제2 배출부(317)의 단부가 돌출된다.
또한 하우징(5)의 상부 공간(S1)에는 제1 유입부(311)의 돌출 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1 유입부(311)를 통해 유입되는 처리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18)와, 제습로터(11)와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필터(18)를 통과한 처리공기가 제습로터(11)를 통과함과 동시에 제습로터(11)를 통과하여 건조된 공기를 제1 배출부(313)로 이동시키는 제1 블로어(15)가 설치된다.
분리부(55)는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가 제습로터(11)에 인접하도록 하우징(5)의 하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분리부(55)는 일측 공간에 제2 필터(19)가 설치되고, 타측 공간에 제2 블로어(16)가 설치됨으로써 재생공기는 일측공간으로 유입되며, 제습로터(11)에 흡착된 수분을 제거한 후 타측 공간, 제2 배출부(3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분리부(55)의 제2 배출부(313)에 연결되는 타측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면의 내면에는 제2 블로어(16)가 설치되고, 제2 블로어(1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모터(161)는 분리부(55)의 상부면의 외면에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5)의 상부 공간에는 함체부(3)의 후면에 대접되는 대접면에, 처리공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부(311)와, 처리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 배출부(313)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배출부(313)는 단부가 처리공기 배출로(93)에 연결됨으로써 습기 제거된 처리공기는 처리공기 배출로(93)를 통해 건물(90)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5)의 상부 공간에는 제1 유입부(311)에 인접한 지점에 제1 유입부(311)를 통해 유입된 처리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필터(18)와, 제1 필터(18)를 통과한 처리공기가 제습로터(11) 및 제1 배출부(313)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처리공기의 유동 및 유속을 제어하는 제1 블로어(15)가 설치된다. 이때 제1 블로어(15)는 제습로터(11)와 전면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5)의 하부 공간에는 대접면과 제습로터(11)의 하부영역 사이에 분리부(55)가 설치되고, 제습로터(11) 및 전면 사이에는 히터(13)가 설치된다.
또한 제1 블로어(15)는 제습로터(11)를 통과한 처리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처리공기를 제습로터(11) -> 제1 배출부(313)로 이동시키고, 제2 블로어(16)는 히터(13)에 의하여 가열된 재생공기를 제습로터(11) -> 제2 배출부(317)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블로어(15) 및 제2 블로어(16)은 제1 블로어(15)에 의하여 제1 블로어(313)로 이동하는 유속이 제2 블로어(16)에 의하여 제2 배출부(317)로 이동하는 유속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구동, 상세하게로는 제1 블로어(15)에 의하여 제1 배출부(313)로 이동하는 유속 대 제2 블로어(16)에 의하여 제2 배출부(317)로 이동하는 유속 비율이 3 : 1이 되도록 구동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건식 제습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건식 제습기(1)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건식 제습기(1)는 함체부(3) 후면 및 하우징(5)의 대접면에 형성되는 제1 유입부(311)를 통해 건물(90) 내 공기가 하우징(5) 내부로, 상세하게로는 하우징(5)의 상부 공간(S1)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처리공기는 제1 필터(18)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후 제습로터(11)의 상부 영역을 통과하고, 제습로터(11)는 내부로 통과하는 처리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처리공기의 수분을 제거한다.
또한 제습로터(11)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처리공기는 제1 블로어(15)에 의하여 다시 제습로터(11)를 통과한 후 제1 배출부(3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습로터(11)는 흡착된 수분이 한계치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5)의 하부공간(S2)으로 유입되는 재생공기를 이용하여 제습로터(11)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건식 제습기(1)의 제습로터(11)의 자체적인 수분 제거 과정을 살펴보면, 제2 유입부(315)를 통해 하우징(5) 하부 공간(S2)의 분리부(55)의 일측 공간으로 유입된 재생공기는 제2 필터(19)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되면 분리부(55)의 공간을 따라 제습로터(11)의 하부영역을 통과한 후 히터(13)에 의해 고온 건조하게 된다.
또한 고온 건조한 재생공기는 분리부(55)의 타측 공간에 설치된 제2 블로어(16)의 흡입에 따라 다시 제습로터(11)를 통과한다. 이때 재생공기는 제습로터(11)에 흡착된 수분을 흡수한다.
또한 제습로터(11)를 통과한 재생공기는 제2 블로어(16)의 제어에 따라 제2 배출부(317)를 통해 배출공기 배출로(91)로 이동됨으로써 본 발명의 건식 제습로터(11)는 수분이 수용되는 별도의 저장부를 장착하지 않고도 처리공기로부터 흡수한 수분을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3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의 컨트롤러(7)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72)와, 센서(A1), (A2), (A3), (A4), (A5), (A6)들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와,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센서(A1), (A2), (A3), (A4)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을 기 설정된 설정값(TH:Threshold)들에 비교하는 비교부(74)와,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유속 감지센서(A5), (A6)의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유속비율을 산출하는 산출부(75)와, 비교부(74)에 의한 비교값을 이용하여 제습라인 개폐밸브(83)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1 판단부(76)와, 비교부(74)에 의하 비교값을 이용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구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2 판단부(77)와, 산출부(75)에 의해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제1 블로어(15) 및 제2 블로어(16)의 토출 압력을 결정하는 제3 판단부(78)와, 센서(A1), (A2), (A3), (A4), (A5), (A6)들에 의해 측정된 값 및 현재 동작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 패널(82)에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79)와, 이들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 (79)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71)로 이루어진다.
또한 컨트롤러(7)는 제습라인 개폐밸브(83) 및 재생라인 개폐밸브(84)를 구동시키는 밸브 구동부(80)와, 제1 블로어(15) 및 제2 블로어(16)의 토출 압력을 제어하는 블로어 구동부(81)에 연결된다.
제어부(71)는 컨트롤러(7)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72), (73), (74), (75), (76), (77), (78), (7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1)는 주기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크롤링(Crawling) 하여 센서(A1), (A2), (A3), (A4), (A5), (A6)들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았는지를 탐색한다.
또한 제어부(7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온도 및 습도 감지센서(A1), (A2), (A3), (A4)들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측정값은 비교부(74)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유속 감지센서(A5), (A6)들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측정값을 산출부(7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71)는 비교부(74)에 의해 비교값이 검출되면 검출된 비교값을 제1 판단부(76) 및 제2 판단부(77)로 입력하고, 산출부(75)에 의해 유속비율이 산출되면 산출값을 제3 판단부(79)로 입력한다.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각 센서(A1), (A2), (A3), (A4), (A5), (A6)들의 식별ID값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제습로터(11)가 정상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제습로터(11)의 최대 온도값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1)과, 제습로터(11)가 처리공기의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제습로터(11)의 최대 습도값인 제2 설정값(TH2)과, 재생공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외부 공기의 최대 습도값인 제3 설정값(TH3)과, 제습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할 수 있는 건물 내부 공기의 최대 습도값인 제4 설정값(TH)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3)는 센서(A1), (A2), (A3), (A4), (A5), (A6)들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A1), (A2), (A3), (A4), (A5), (A6)들로부터 측정값을 전송받는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전송받은 측정값은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비교부(74) 및 산출부(75)로 입력된다.
도 8은 도 7의 비교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의 비교부(74)는 온도 감지센서(A1)에 측정된 측정값을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된 제1 설정값(TH1)에 비교하는 제습로터 제1 비교모듈(741)과, 습도 감지센서(A2)에 측정된 측정값을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는 제습로터 제2 비교모듈(743)과, 습도 감지센서(A3)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제3 설정값(TH3)에 비교하는 제3 비교모듈(745)과, 습도 감지센서(A4)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제4 설정값(TH4)에 비교하는 제4 비교모듈(747)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비교모듈(741) 및 제4 비교모듈(747)에 의해 검출된 비교값은 제1 판단부(76)로 입력되고, 제1 비교모듈(741), 제2 비교모듈(743) 및 제3 비교모듈(745)에 의해 검출된 비교값은 제2 판단부(77)로 입력된다.
산출부(75)는 유속 감지센서(A5), (A6)에 의해 검출된 측정값을 이용하여 처리공기의 유속 대 재생공기의 유속의 비율인 유속비를 산출한다.
즉 산출부(75)는 유속 감지센서(A5)에 의해 검출된 측정값인 처리공기의 유속대 유속 감지센서(A6)에 의해 검출된 측정값인 재생공기의 유속의 비율인 유속비를 산출한다.
또한 산출부(75)에 의해 산출된 유속비는 제어부(71)의 제어에 따라 제3 판단부(78)로 입력된다.
제1 판단부(76)는 제습라인의 구동여부를 판단하여 제습라인 개폐밸브(83)의 개폐를 결정한다.
또한 제1 판단부(76)는 제1 비교모듈(741)로부터 입력된 비교값을 분석하여 만약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제습라인의 구동이 정지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폐쇄'를 결정한다. 이때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제습로터(11)의 온도를 냉각시켜야 하고, 제습로터(11)가 처리공기를 흡입할 때 처리공기의 잠열이 현열로 바뀌기 때문에 온도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판단부(76)는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재생라인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결정한다.
또한 제1 판단부(76)는 제4 비교모듈(747)로부터 입력된 비교값을 분석하여 만약 처리공기인 건물 내부 공기의 습도가 제4 설정값(TH4) 이상이면 제습라인이 구동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개방'을 결정한다.
또한 제1 판단부(76)는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과, 건물 내부의 공기의 습도가 제4 설정값(TH4) 이상인 것 중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에 더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서 건물 내부의 공기의 습도가 제4 설정값(TH4) 이상인 것 중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제습라인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결정하여 제습라인 개폐밸브(83)가 '폐쇄'되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1 판단부(76)에 의해 제습라인 개폐밸브(83)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면 결정된 개폐 여부 결정값은 밸브 구동부(80)로 입력되어 밸브 구동부(80)의 제어에 따라 제습라인 개폐밸브가 구동되게 된다.
다음의 표 1은 제1 판단부(76)의 제습라인 개폐밸브의 개폐 결정을 나타내는 표이다.
제습로터 온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1
TH1 ?
건물내부공기 습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2
TH4 ?
제습라인 개폐밸브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3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4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5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6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7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8
개방
Figure 112013037053624-pat00009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0
폐쇄
표 1을 참조하여 제1 판단부(76)를 살펴보면, 제1 판단부(76)는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건물 내부 공기의 습도와 상관없이 제습라인 개폐밸브(83)를 '폐쇄'시키고, 제습로터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미만일 때 건물 내부 공기의 습도가 제4 설정값(TH4) 이상이면 제습라인 개폐밸브(83)를 '개방'시킨다.
제2 판단부(77)는 재생라인의 구동여부를 판단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개폐를 결정한다.
제2 판단부(77)는 제1 비교모듈(741)로부터 입력된 비교값을 분석하여 만약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재생라인의 구동이 정지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폐쇄'를 결정한다. 이때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제습로터(11)의 온도를 냉각시켜야 하기 때문에 히터(13)가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2 판단부(77)는 제2 비교모듈(743)로부터 입력된 비교값을 분석하여 만약 제습로터(11)의 습도가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재생라인이 구동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개방'을 결정한다.
또한 제2 판단부(77)는 제3 비교모듈(745)로부터 입력된 비교값을 분석하여 만약 외부 공기의 습도가 제3 설정값(TH3) 이상이면 재생라인이 구동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하여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폐쇄'를 결정한다. 이때 외부 공기의 습도가 제3 설정값(TH3) 이상이면 유입된 공기는 재생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제습로터(11)로 수분이 흡착되어 역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2 판단부(77)는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과, 제습로터(11)의 습도가 제2 설정값(TH2) 이상인 것과, 외부 공기의 습도가 제3 설정값(TH3) 이상인 것들 중 제습로터(11)의 습도가 제2 설정값(TH2) 이상인 것에 가장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과 외부 공기의 습도가 제3 설정값(TH3) 이상인 두 가지 상태는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폐쇄'를 결정하기 때문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제2 판단부(77)에 의해 재생라인 개폐밸브(84)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면 결정된 개폐 여부의 결정값은 밸브 구동부(80)로 입력되어 밸브 구동부(80)의 제어에 따라 재생라인 개폐밸브(84)가 구동되게 된다.
다음의 표 2는 제2 판단부(77)의 제습라인 개폐밸브의 개폐 결정을 나타내는 표이다.
제습로터 온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1
TH1 ?
외부공기습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2
TH3 ?
제습로터 습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3
TH2?
재생라인 개폐밸브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4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5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6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7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8
Figure 112013037053624-pat00019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0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1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2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3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4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5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6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7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8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29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0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1
폐쇄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2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3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4
개방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5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6
Figure 112013037053624-pat00037
폐쇄
표 2를 참조하여 제2 판단부(77)를 살펴보면 , 제2 판단부(77)는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이상이거나 또는 외부 공기 습도가 제3 설정값(TH3) 이상이면 제습로터(11)의 습도와 상관없이 재생라인 개폐밸브(84)를 '폐쇄'시킨다.
또한 제2 판단부(77)는 제습로터(11)의 온도가 제1 설정값(TH1) 미만임과 동시에 외부 공기 습도가 제3 설정값 미만일 때 제습로터(11)의 습도가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재생라인 개폐밸브(84)를 '개방'시킨다.
제3 판단부(78)는 산출부(75)로부터 입력된 유속비를 입력받으면 유속비가 기 설정된 3 : 1의 비율인 기준비율인지를 비교한다. 이때 처리공기의 유속과 재생공기의 유속은 기준비율인 3 : 1로 형성될 때 제습 및 재생효율이 높다.
또한 제3 판단부(78)는 처리공기의 유속이 기 설정된 제한속도보다 낮은 이유로 유속비가 기준비율과 다르면 처리공기의 유속 차이값에 대응하여 제1 블로어(15)의 토출 압력을 변형시키도록 결정한다.
또한 제3 판단부(78)는 재생공기의 유속이 기 설정된 제한속도보다 낮은 이유로 유속비가 기준비율과 다르면 재생공기의 유속 차이값에 대응하여 제2 블로어(16)의 토출 압력을 변형시키도록 결정한다.
또한 제3 판단부(78)에 의해 결정된 결정값은 블로어 구동부(80)로 입력되어 블로어 구동부(80)의 제어에 따라 제1 블로어(15) 및 제2 블로어(16)의 토출 압력이 변경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건식 제습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습기 제어 시스템(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건식 제습기(1)의 컨트롤러(7-1), ..., (7-N)들이 관제서버(301)와 데이터 통신망(310)으로 연결되어 센서들의 검출값 및 현재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동상태 정보를 관제서버(301)로 전송하고, 관제서버(301)는 컨트롤러(7-1), ..., (7-N)들로부터 전송받은 측정값 및 구동상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컨트롤러(7-1), ..., (7-N)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관제서버(301)는 각 컨트롤러(7-1), ..., (7-N)의 측정값 및 구동상태 정보가 전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작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320-1), ..., (320-N)들로부터 열람을 요청받으면 기 제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를 요청한 클라이언트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시킴으로써 사용자는 관제서버(301)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에서 건식 제습기(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관제서버(301)는 건식 제습기(1)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버튼이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접속된 클라이언트(320-1), ..., (320-N)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320-1), ..., (320-N)들은 다운로드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명령을 요청하면 관제서버(301)가 컨트롤러(7)와의 통신을 통해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외부에서 건식 제습기(1)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1:건식제습기 3:함체부 5:하우징
11:제습로터 13:히터 15:제1 블로어
17:제2 블로어 71:제어부 72:데이터베이스부
73:통신 인터페이스부 74:비교부 75:산출부
76:제1 판단부 77:제2 판단부 78:제3 판단부
79: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로에 연결되는 실외용 건식 제습기에 있어서:
    격벽에 의하여 내부가 상부 제습공간과 하부 재생공간으로 분리되고, 상기 제습공간으로 건조대상인 처리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제1 유입부 및 제1 배출부와, 상기 재생공간으로 재생공기를 유입 및 배출하는 제2 유입부 및 제2 배출부가 일측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격벽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되며, 회전 시에 상반부가 상기 제습공간으로 노출되고, 하반부가 상기 재생공간으로 노출되는 원판형상의 제습로터;
    상기 하우징의 재생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습로터의 하반부를 통과한 재생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제습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처리공기가 상기 제습로터의 상반부를 통과하여 건조된 후 상기 제1 배출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처리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1 블로어;
    상기 재생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재생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제습로터의 하반부 및 상기 히터를 통과하면 상기 재생공기가 상기 제습로터의 하반부를 다시 통과하여 상기 제습로터의 수분을 탈습한 후 상기 제2 배출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재생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2 블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밸브와, 상기 제2 유입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밸브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로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 온도센서와, 상기 처리공기의 제습을 위한 제습라인에 적용되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습로터의 재생을 위한 재생라인에 적용되는 상기 히터 및 상기 제2 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값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Threshold1)에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에 의한 비교값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상기 제습라인이 정지되도록 상기 제1 밸브의 폐쇄를 결정하는 제1 판단부;
    상기 비교부에 의한 비교값을 분석하여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상기 재생라인이 정지되도록 상기 히터의 전원 차단 및 상기 제2 밸브의 폐쇄를 결정하는 제2 판단부;
    상기 제1 판단부 및 상기 제2 판단부의 결정에 따라 제어대상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로터의 습도를 검출하는 제1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제1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습도값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고, 상기 제2 판단부가 상기 제1 습도센서의 습도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상기 재생라인이 구동되도록 결정하되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제1 습도센서의 습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일 때 상기 제1 온도센서의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재생라인이 정지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제2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제2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값과 기 설정된 제3 설정값(TH3)을 비교하고, 상기 제2 판단부가 상기 제2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3 설정값(TH) 이상일 때 상기 재생라인의 구동을 정지할 것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제2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3 설정값(TH3) 이상일 때 상기 제1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인 것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재생라인이 정지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제1 유입부에 연결되되 타단부는 관리영역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관리영역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 유입부로 흡입 및 이동시키는 유입로와, 상기 관리영역 내에 설치되어 상기 관리영역 내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제3 습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교부가 상기 제3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값을 기 설정된 제4 설정값(TH4)에 비교하고, 상기 제1 판단부가 상기 제3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4 설정값(TH4) 이상일 때 상기 제습라인을 구동시킨다고 결정하되 상기 제3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값이 상기 제4 설정값(TH4) 이상임과 동시에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한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인 것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제습라인이 정지되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부를 통과하는 처리공기의 유속을 검출하는 제1 유속센서와, 상기 제2 배출부를 통과하는 재생공기의 유속을 검출하는 제2 유속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처리공기의 유속이 상기 제2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재생공기의 유속보다 크도록 상기 제1 블로어 및 상기 제2 블로어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처리공기의 유속 대 상기 제2 유속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재생공기의 유속의 비율이 3 : 1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블로어 및 상기 제2 블로어의 토출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부는 상기 제1 배출부보다, 상기 제2 유입부는 상기 제2 배출부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일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공간에, 개구된 일면이 상기 제습로터에 향하되 타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격벽과 이격되어 상기 격벽과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타면에 상기 제2 유입부 및 상기 제2 배출부의 단부가 돌출되되 중앙에 판재 형상의 분리벽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내부 공간이 수평방향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일측 공간으로 제2 유입부가 돌출되되 타측 공간으로 제2 배출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로어는 상기 분리부의 타측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면의 내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블로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는 상기 상부면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제습기.
KR1020130046662A 2013-04-26 2013-04-26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KR10140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662A KR101401482B1 (ko) 2013-04-26 2013-04-26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662A KR101401482B1 (ko) 2013-04-26 2013-04-26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482B1 true KR101401482B1 (ko) 2014-06-19

Family

ID=5113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662A KR101401482B1 (ko) 2013-04-26 2013-04-26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47U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로뎀이엔지 건식 제습기
KR102654767B1 (ko) * 2022-12-30 2024-04-04 심혜옥 복합 제습 환기 및 건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14A (ja) 1999-07-28 2001-02-16 Daikin Ind Ltd 加湿装置
JP2001173994A (ja) 1999-12-15 2001-06-29 Sharp Corp 調湿機
JP2002331221A (ja) 2001-05-09 2002-11-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除湿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10671B1 (ko) 2005-02-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가습장치 및 환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14A (ja) 1999-07-28 2001-02-16 Daikin Ind Ltd 加湿装置
JP2001173994A (ja) 1999-12-15 2001-06-29 Sharp Corp 調湿機
JP2002331221A (ja) 2001-05-09 2002-11-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除湿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610671B1 (ko) 2005-02-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가습장치 및 환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47U (ko) * 2017-01-02 2018-07-11 주식회사 로뎀이엔지 건식 제습기
KR102654767B1 (ko) * 2022-12-30 2024-04-04 심혜옥 복합 제습 환기 및 건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460B1 (ko) 제습 시스템
KR101615168B1 (ko) 제습 시스템
JP5107379B2 (ja) 低露点室の露点温度の制御方法及び除湿システム
CN103727622B (zh) 恒温恒湿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4870843B1 (ja) デシカントロータを用いた空調方法及び空調装置
JP5068293B2 (ja) 空気調和装置
JP6982727B2 (ja) 熱交換型換気扇の制御方法
JP5533973B2 (ja) 調湿換気装置
US11703237B2 (en) Controlling drying conditions to maintain humidity levels during HVAC operation
JP2010151337A (ja) 空調システム
KR101191604B1 (ko) 조습장치
JP5850487B2 (ja) デシカント換気扇
KR101401482B1 (ko) 제습 및 재생효율을 높인 건식 제습기
JP4341373B2 (ja) 調湿装置
JP5104971B2 (ja) 調湿換気装置
JP2010133612A (ja) 空調システム
KR102495773B1 (ko) 건장고
JP6295413B2 (ja) 給排型換気装置
JP2017219258A (ja) 除湿装置、除湿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31478B2 (ja) 可搬型除湿機
KR20200081787A (ko) 전동 브이에이브이(vav) 환기디퓨저의 데이터 기반과 산소발생기를 이용한 공조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73638B1 (ko) 건식 제습공조기
JP2013160471A5 (ko)
KR20220076809A (ko) 폐열 재활용이 가능한 제습기
JP6372517B2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