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556B1 -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품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556B1
KR102532556B1 KR1020197027595A KR20197027595A KR102532556B1 KR 102532556 B1 KR102532556 B1 KR 102532556B1 KR 1020197027595 A KR1020197027595 A KR 1020197027595A KR 20197027595 A KR20197027595 A KR 20197027595A KR 102532556 B1 KR102532556 B1 KR 10253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composition
stabilizer
polyolefin
delete delete
moi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267A (ko
Inventor
클라우스 케크
토마스 슈무츠
김수아
Original Assignee
송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원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1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6Phenols containing halo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4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9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the composition being defined by the absence of a certain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페놀계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 안정화제 중 하나는 페놀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비치환되고, 다른 하나는 이치환(bisubstiuted)된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이산화염소에 대해 매우 저항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품
본 발명은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및 이러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물품, 예컨대 파이프, 포장재 물품, 필름 및 인라이너(in-liner) 등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 및 이로 제조된 물품은 산소와의 반응에 대해 매우 한정된 저항성을 가질 뿐이고, 따라서 그 자체는 반내구성(semi-durable) 및 내구성 적용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 물품 자체는 단지 수 주 또는 수 개월의 적합한 수명(또는 사용 기간)을 가질 뿐이다. 이러한 기간 내에서 일반적으로 기계적, 광학적 및 관능적(organoleptic) 특성은, 물품이 더 이상 그 목적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정도까지 저하된다.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열적 안정화제(항산화제로도 지칭됨)가 첨가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의 경우, 필요한 사용 기간은 수 십년이다.
특히 파이프의 경우, 이산화염소(ClO2)는 진균류,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고 또한 생물막의 형성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이의 높은 효과로 인해 멸균에 사용된다.
그러나, ClO2는 특히 또는 부분적으로는 이의 라디칼 성질로 인해, 염소 자체 또는 다른 소독제보다 폴리올레핀에 존재하는 안정화제에 대해 통상적으로 더 공격적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보여주는 폴리올레핀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 변함없는 목적이다.
따라서, 특히 ClO2에 대해 충분한 안정성을 보여주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에 의해 해결된다. 이에, 폴리올레핀, 및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알킬 치환되지만 다른 오르토 위치에서는 비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1 안정화제; 및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2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제공된다.
놀랍게도, 이러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이산화염소에 대해 훨씬 더 높은 저항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은 ClO2에 대해 폴리올레핀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알킬 치환되지만 다른 오르토 위치에서는 비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1 안정화제; 및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2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안정화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알킬 치환되지만 다른 오르토 위치에서는 비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1 안정화제; 및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2 안정화제를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ClO2에 대해 폴리올레핀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폴리올레핀"은 특히, US 2015/0090671 A1, US 2014/0296398 A1, WO 2006/119935 A1 및/또는 US 2005/0148700 A1에 정의된 바와 같은 모든 성분을 의미하며 및/또는 이를 포함한다.
개별 안정화제, 및 이들 안정화제에 대한 구성성분은 보다 상세히 고찰될 것이며, 여기서, 임의의 특색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제1 안정화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안정화제는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알킬 치환되지만 다른 오르토 위치에서는 비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 즉, 하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구조를 포함하며: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1
상기 구조에서, R1은 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이고, R2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임의의 유기 모이어티이되, 단, 모든 R2 내지 R4가 수소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페놀 모이어티는 하이드록실에 대해 p-위치에서 치환되며, 즉, R3은 수소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2 및 R4는 수소이며, 따라서, R2 내지 R4 중에서 R3만 치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제는 2개의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이들 모이어티는 R3에서 C1-가교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당연하게도 이들은 그렇지 않다면 마찬가지로 치환될 수 있음). 이러한 모티브(motive)는 - 당연하게도 - 1개 초과의 안정화제에 존재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제는 한 쌍 이상의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이들은 C1-가교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제는 하기 분자를 포함한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2
.
이때, n, m, k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k=1 및 m=2이며, 따라서, 제1 안정화제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3
.
제2 안정화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안정화제는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 즉, 하기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4
.
이때, 상기 R1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t-부틸이고, R2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임의의 유기 모이어티이되, 단, 모든 R2 내지 R4가 수소인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R1 및 R5 중 하나는 t-부틸이고,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둘 모두가 t-부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페놀 모이어티는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p-위치에서 치환되며, 즉, R3은 수소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2 및 R4는 수소이며, 따라서, R2 내지 R4 중에서 R3만 치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R3 = -COOR6이며, 이때, R6은 10 내지 2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이거나, R6은 알킬 치환된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 치환된 페닐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2,4-디-tert-부틸-페닐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안정화제는 2개의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이들 모이어티는 R3에서 탄소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이들은 당연하게도 그렇지 않다면 마찬가지로 치환될 수 있음). 이러한 모티브는 - 당연하게도 - 1개 초과의 안정화제에 존재할 수 있으며,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제는 한 쌍 이상의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이들은 C1-가교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안정화제는 하나 이상의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5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6
.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1개 초과의 제2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이는, 본 발명 내에서 많은 적용에 대해 큰 안정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안정화제는, 3개의 페놀 모이어티가 R3에서 C1-가교를 통해 중심 고리에 연결된 제1 구조, 및 R3이 -COOR6이고 이때 R6이 10 내지 2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이거나 또는 R6이 알킬 치환된 페닐기,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 치환된 페닐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2,4-디-tert-부틸-페닐기인 제2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안정화제는 하기 구조 둘 모두를 포함한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7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산 스캐빈저를 추가로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산 스캐빈저와 함께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안정화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산 스캐빈저"는 특히, 폴리올레핀 합성의 중합 촉매로부터 기원할 수 있은 산성을 중화시키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및/또는 이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상기 촉매는 주로 지글러/나타 촉매일 것이다. 폴리올레핀 합성에 사용되는 모든 촉매가 산 스캐빈저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산 스캐빈저는 금속 옥사이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금속 유기 염 및/또는 금속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하이드로탈사이트, 하이드로칼루마이트(hydrocalumite), 금속 지방산, 아연 옥사이드 및 칼슘 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용어 "본질적으로 ~로 구성되는"은 특히, (wt/wt에서) ≥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 98%, 가장 바람직하게는 ≥ 99%를 의미하며 및/또는 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금속 옥사이드는 마그네슘 옥사이드 및/또는 알루미늄 옥사이드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금속 하이드록사이드는 칼슘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산 스캐빈저는 마그네슘 하이드록시카르보네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시카르보네이트 및 칼슘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로 본질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산 스캐빈저는 층상 이중 수산화물(layered double hydroxide)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은 양으로 하전된 층들, 및 층간 영역에 위치한 전하 균형화 음이온(charge balancing anion)을 갖는 층상(layered) 물질로서 정의된다. 더 많은 계통(family)의 물질이 음으로 하전된 층들 및 층간 공간에 양이온을 갖기 때문에(예를 들어 카올리나이트, Al2Si2O5(OH)4) 이는 고체 상태 화학에서는 흔치 않다.
통상적으로,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은 하기 식에 따른 화합물이며:
[MII 1-x MIII 1-x (OH)2]x+ (An-)x/n · yH2O
상기 식에서,
MII는 2가 금속 이온, 바람직하게는 Mg2+, Ca2+, Mn2+, Fe2+, Zn2+, Cu2+, Ni2+ 및 Co2+이며;
MIII은 3가 금속 이온, 바람직하게는 Al3+, Cr3+, Fe3+, Ga<3+ > 및 Mn3+이며;
An-는 음이온, 바람직하게는 Cl-, CO32-, NO3-, Br-, SO42- 및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유기 카르복실레이트, 유기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Cl-, CO32-, NO3-, Br-, SO42-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여기서, n은 음전하의 수이며, 예를 들어 Cl-의 경우 n은 1이고, CO32-의 경우 n은 2이고, 통상적으로 n은 1 내지 2의 범위 내에 있으며;
y는 결정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데 필요한 물 분자의 수이고, 통상적으로 y는 0.25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고;
x는 통상적으로 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38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33의 범위 내에 있으며;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은 특히 F. Cavani, F. Trifiro, A. Vaccari, Catal. Today 1991, 11, 173)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An-가 알킬 설포네이트인 경우, 알킬기는 통상적으로 C1 내지 C20 알킬기이다.
An-가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인 경우, 알킬 아릴기는 C6 내지 C20 알킬 아릴기이다.
An-가 유기 카르복실레이트인 경우, 카르복실레이트기(들)에 부착된 유기 기는 통상적으로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5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헤테로원자는 N, O, P 및 S로부터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유기 카르복실레이트는 1 내지 2개의 카르복실레이트기, 바람직하게는 1개의 카르복실레이트기를 포함한다.
용어 "카르복실레이트기(들)에 부착된 유기 기"는, 카르복실레이트기가 유기 기의 일부가 아님을 나타낸다. 따라서, 카르복실레이트기에 존재하는 산소 및 탄소 원자는 유기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의 경우, 유기 기는 메틸이다.
An-가 유기 포스페이트인 경우, 포스페이트기(들)에 부착된 유기 기(들)는 독립적으로 통상적으로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및 5개 이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원자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헤테로원자는 N, O, P 및 S로부터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유기 포스페이트는 1개의 포스페이트기 및 1개의 유기 기를 포함한다.
용어 "포스페이트기(들)에 부착된 유기 기(들)"는, 포스페이트기가 유기 기(들)의 일부가 아님을 나타낸다. 따라서, 포스페이트기에 존재하는 산소 및 인 원자는 유기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메틸 포스페이트의 경우, 유기 기는 메틸이다.
바람직하게는,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은 하기 식에 따른 화합물이며:
[MII 1-x MIII 1-x (OH)2]x+ (An-)x/n · yH2O
MII는 Mg2+, Ca2+ 또는 Zn2+로부터 선택되며;
MIII은 Al3+이며;
An-는 Cl-, CO32- 및 NO3-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이며;
y는 0.25 내지 4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고,
x는 0.10 내지 0.38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33의 범위 내에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층상 이중 수산화물(LDH)은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
Mg4.5Al2(OH)13(CO3)3.5·H2O (CAS-no. 11097-59-9)
또는
하이드로탈사이트
Mg6Al2(OH)16(CO3)·4H2O
로부터 선택된다.
하이드로탈사이트, 하이드로칼루마이트(hydrocalumite), 금속 지방산, 아연 옥사이드 및 칼슘 카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조성물은 아민계(aminic)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항산화제는 방향족 코어에 결합된 아민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이다.
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퀴놀린, 나프틸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민계 항산화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항산화제는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메틸에틸), N'-페닐-1,4-벤졸디아민, N,N'-디페닐-1,4-페닐렌디아민, 스티렌화된(styrenated) 디페닐아민, 4,4, 비스(α,α-도메틸벤질) 디페닐아민, 중합된 1,2-디하이드로-2,2,4-트리메틸퀴놀린, 6-에톡시-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 N-페닐나프탈렌-1-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안정화제 조성물은 하기 구조에 따른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8
상기 구조에서, R8, R9; R10,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하이드로카르빌 라디칼이며, 이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안정화제 조성물은 비타민 E를 포함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생성물 및/또는 본 발명의 용도를 이용하는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생성물은
- 파이프
- 강성(rigid) 포장재
- 가요성(flexible) 포장재
- 보호용 라이너(liner), 시일(seal) 및 개스킷(gasket)
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성물을 포함한다.
기재된 구현예에서 상기 언급된 구성성분, 뿐만 아니라 청구된 구성성분 및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구성성분은 이들의 크기, 형상, 물질 선택 및 기술적 개념에 관하여 임의의 특수한 예외를 받지 않으며, 따라서 관련 분야에 공지된 선택 기준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상세한 설명, 특징 및 이점은 종속청구항(subclaim)에 개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도면의 하기 설명 - 예시적인 방식으로 존재함 -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구현예는 본 발명의 전체 범위를 필수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으나,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해석하기 위해 청구항 및 본원에서 참조된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하기 상세한 설명 둘 모두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일 뿐이고,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의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실험 데이터의 설명:
폴리올레핀:
앞으로 기재되는 실험적 시험을 상업적인 HDPE 등급 폴리올레핀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는 용융 유동 지수 MFI2.16/190가 4.0 [g/10 min]이고, 밀도가 0.953 [g/cm3]으로 제조된 지글러/나타 촉매화된 폴리에틸렌이다.
시료 제조:
HDPE의 화합은 질소 하에 190℃ 내지 215℃의 온도 프로파일과 함께 Toshiba TEM 37BS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1.6 mm 두께의 플라크의 사출 성형을 220℃ 내지 245℃의 온도 프로파일에서 Dongshin D-150 사출기(injector)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후에, 시료를 수동으로 절단하여, 저수(water storage) 장치에 적합화시켰다.
저수 시험:
시료를, 70℃에서 3 ppm 이산화염소를 함유한 물에 노출시켰다. 이산화염소 수준을 하기와 같이 발생시켰다: 3.75 g의 8% 상업적인 이산화염소 용액을 1000 ml 비커에 첨가하였다. 996.25 g의 증류수를 상기 비커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저장 시험에 사용되는 수조에 부었다. 상기 절차를 반복하고, 그 후에 저수 장치를 닫았다. 이산화염소 수준을 1주일에 2회 측정하고, 필요한 경우 보정하였다(correct).
기준:
OIT(산소 유도 시간; Oxygen Induction Time)을 200℃의 온도 및 50 ml/min의 산소 유동에서 사용하였다. OIT를 5 내지 8 mg의 펀칭된(punched-out) 시료 상에서 수행하였다. OIT 시험을, (매우)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 물품의 수명을 예측하려는 시도의 시험으로서 사용한다.
제제:
모든 제제는 1200 ppm 칼슘 스테아레이트를 제산제로서, 및 2000 ppm SONGNOX® PQ를 가공 안정화제로서 함유하였다. 실험 1의 경우, 하기 제제를 검사하였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09
실험 1은 하기 결과를 산출한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10
비교예 C.1에서 알 수 있듯이, 열적 안정화제의 첨가의 생략은, 초기 OIT가 이미 매우 낮으며, 이는 플라스틱 물품의 매우 짧은 수명의 지표이므로, (심지어 이산화염소에의 노출 전에) 내구성 있는 적용(예를 들어 파이프)에 적합한 폴리올레핀을 산출하지 않는다.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 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열적 안정화제의 첨가는 소정의 수준의 OIT를 산출하지만; 비교예 C.2에서 달성된 OIT 수준은 여전히 불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비교예 C.3은, 상기 기재된 열적 안정화제의 농도를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OIT가 단지 미미하게 증가될 수 있음을 교시한다. 여전히, 현재 달성된 OIT 수준은 불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I.1은 놀랍게도,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열적 안정화제와,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는 알킬-치환되지만 다른 오르토 위치에서는 비치환된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또 다른 안정화제의 조합이 유의하게 개선된 OIT를 산출함을 교시한다(이는 플라스틱 물품의 내구성 있는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짐).
제2 실험 세트에서, 3 ppm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물에 70℃에서 8개월의 노출 후 하기 3개의 제제를 절대 OIT 값에 대해 평가하였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11
하기 결과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19096359578-pct00012
비교예 C.2에서 알 수 있듯이,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열적 안정화제의 첨가는 0 [min]의 OIT 값을 산출하며, 따라서 8개월 후 열적 안정화제의 완전한 제거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 I.3은 놀랍게도, 실시예 I.1 및 I.2보다 33% 더 낮은 농도에서 사용더라도 단연코 가장 높은 OIT 값을 산출한다.
상기 상세한 구현예에서 요소 및 특색의 특정 조합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원 및 원용에 의해 포함된 특허/출원에서 다른 교시와 더불어 이들 교시의 교환 및 치환 또한, 명확히 고려된다. 당업자가 인지하게 될 바와 같이, 본원에 기재된 것의 변화, 변형 및 다른 실행은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일 뿐이고,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청구항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고, 부정 관사("a" 또는 "an")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소정의 측정이 상호간에 상이한 종속항에서 인용된다는 사실만으로는, 측정된 이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항 및 이의 등가물에서 정의된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사용된 참조 부호는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19)

  1. 폴리올레핀 조성물로서,
    폴리올레핀, 및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알킬 치환되지만 다른 오르토 위치에서는 비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1 안정화제; 및 페놀 모이어티의 하이드록시기에 대해 두 오르토 위치 모두에서 알킬 치환되는 페놀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제2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정화제가 하기 구조 둘 모두를 포함하는:
    Figure 112022123091510-pct00020

    폴리올레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정화제가 하기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Figure 112022123091510-pct00013

    이때, R1은 알킬이고, R2 내지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임의의 유기 모이어티며, 모든 R2 내지 R4가 수소인 것은 아닌, 폴리올레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정화제에서, R3이 수소가 아니고, R2 및 R4가 수소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정화제가 하기 분자를 포함하고:
    Figure 112022123091510-pct00014

    이때, n, m, k가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하기 구조에 따른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고:
    Figure 112022123091510-pct00019

    상기 구조에서, R8, R9; R10,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하이드로카르빌 라디칼이고, 상기 라디칼은 헤테로원자를 포함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비타민 E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조성물이 산 스캐빈저(acid scavenger)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 스캐빈저가 금속 옥사이드,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금속 유기염 및/또는 금속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 스캐빈저가 마그네슘 하이드록시카르보네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시카르보네이트 및 칼슘 하이드록사이드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올레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성 조성물이 아민계(aminic)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항산화제가 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퀴놀린, 나프틸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
  12. 제1항에 따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생성물로서,
    상기 생성물은
    - 파이프
    - 강성(rigid) 포장재
    - 가요성(flexible) 포장재
    - 보호성 라이너(liner), 시일(seal) 및 개스킷(gasket)
    으로부터 선택되는, 생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97027595A 2017-06-29 2018-06-21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품 KR102532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8663.5A EP3421529A1 (en) 2017-06-29 2017-06-29 Polyolefin articles with improved resistance against chlorine dioxide
EP17178663.5 2017-06-29
PCT/IB2018/054589 WO2019003065A1 (en) 2017-06-29 2018-06-21 POLYOLEFIN ARTICLES HAVING ENHANCED RESISTANCE AGAINST CHLORINE DIOX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267A KR20200014267A (ko) 2020-02-10
KR102532556B1 true KR102532556B1 (ko) 2023-05-15

Family

ID=5933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595A KR102532556B1 (ko) 2017-06-29 2018-06-21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140652A1 (ko)
EP (2) EP3421529A1 (ko)
JP (1) JP7160822B2 (ko)
KR (1) KR102532556B1 (ko)
CN (1) CN110770260B (ko)
WO (1) WO20190030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0755A (en) * 1987-08-18 1989-04-11 American Cyanamid Company Radiation sterilizable composi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H06102740B2 (ja) * 1988-07-27 1994-12-14 チッソ株式会社 水系接触用ポリオレフイン成形品
US6228495B1 (en) * 1999-03-25 2001-05-0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Stabilized telecommunication cable insulation composition
GB0004437D0 (en) * 2000-02-25 2000-04-12 Clariant Int Ltd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WO2003064511A2 (en) 2002-01-31 2003-08-07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in permanent contact with chlorinated water
EP1334994A1 (en) * 2002-02-08 2003-08-13 SOLVAY POLYOLEFINS EUROPE - BELGIUM (Société Anonyme) Polyethylene-based composition
DE102005023040A1 (de) 2005-05-13 2006-11-16 Basell Polyolefine Gmbh Polyolefinische Formmasse mit verbesserter Beständigkeit gegen thermo-oxidativen Abbau und ihre Verwendung für das Herstellen von Rohren
US20060264540A1 (en) * 2005-05-19 2006-11-23 Gelbin Michael E Stabilizer blend for improved chlorine resistance
AU2010264811B9 (en) * 2009-06-22 2014-06-05 Borealis Ag Chlorine dioxide resistant polyethylene pipes, their preparation and use
WO2011139635A1 (en) * 2010-04-26 2011-11-10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Chlorine-resistant crosslinkable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CN102229723B (zh) * 2011-07-04 2012-10-24 大连兴辉化工有限公司 聚合物添加剂m4228在制备共聚聚丙烯管材上的应用
EP2551294B1 (en) 2011-07-25 2018-11-07 Borealis AG Use of a polyolefin composition for pipes and fittings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chlorine dioxide
EP2607417B1 (en) * 2011-12-22 2015-02-11 Borealis AG Polyolefin composition with increased resistance against degradation caused by chlorine dioxide
EP2725057B2 (en) * 2012-10-24 2022-08-24 Borealis AG Use of an acid scaveng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a polyolefin composition against disinfectant containing water
WO2014108382A1 (en) * 2013-01-10 2014-07-17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olyethylene composition
JP6067458B2 (ja) * 2013-03-29 2017-01-25 株式会社Adeka 樹脂添加剤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該樹脂添加剤マスターバッチが配合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TWI685558B (zh) * 2014-05-01 2020-02-21 美商塞特工業公司 用於穩定物質抵抗紫外光與熱降解的穩定劑組合物
US10584823B2 (en) * 2014-06-11 2020-03-10 Fina Technology, Inc. Chlorine-resistant polyethylene compound and articles made therefrom
SG10201600773QA (en) * 2015-03-25 2016-10-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Water borne polyolefin dispersion coatings, and methods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40652A1 (en) 2020-05-07
JP7160822B2 (ja) 2022-10-25
EP3645583B1 (en) 2022-07-06
EP3421529A1 (en) 2019-01-02
KR20200014267A (ko) 2020-02-10
EP3645583A4 (en) 2021-04-28
CN110770260A (zh) 2020-02-07
JP2020525556A (ja) 2020-08-27
CN110770260B (zh) 2022-09-06
EP3645583A1 (en) 2020-05-06
WO2019003065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5069B1 (en) Thermoplastic resins stabilized by blends of sterically hindered phenols,secondary amines, and lactones
CA2777020C (en) Polymers with low gel content and enhanced gas-fading
KR101641451B1 (ko) 살균제 함유 물에 대한 폴리올레핀 조성물의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산 제거제의 용도
CA2350216C (en) Thermoplastic resins stabilized by blends of sterically hindered phenols, secondary amines, and thioethers
RU2408617C2 (ru) Стабилизирующая смесь для повышен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к действию хлора
BRPI0717366A2 (pt) Composição de borracha para vulcanização, produto vulcanizado, e peça de borracha automotiva.
TWI811881B (zh) 三醯胺化合物及包含其之組成物
RU2450033C1 (ru) Металлдеактивирующ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KR102532556B1 (ko) 이산화염소에 대해 개선된 저항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물품
JPH04246445A (ja) 少なくとも500,000g/モルの平均分子量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を基体とする成形用組成物
EP0610155A1 (en) Stabilized polyamide compositions
WO2020003048A1 (en) Polyolefine stabilizers with reduced fragmentation
US20080221242A1 (en) Stabilizer blend for improved chlorine resistance
KR20190123296A (ko) 감소된 단편화를 갖는 폴리올레핀 안정화제
KR20210057009A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ES2443793T3 (es) Sistemas y composiciones para estabilización del color de un polímero
JPH01108233A (ja) 安定化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H06100734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