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822B1 -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822B1
KR102531822B1 KR1020210192922A KR20210192922A KR102531822B1 KR 102531822 B1 KR102531822 B1 KR 102531822B1 KR 1020210192922 A KR1020210192922 A KR 1020210192922A KR 20210192922 A KR20210192922 A KR 20210192922A KR 102531822 B1 KR102531822 B1 KR 10253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arbage bag
lower body
discharge hole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식
Original Assignee
전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식 filed Critical 전대식
Priority to KR102021019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 B26F1/36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 B26F2001/365Punching or perforating pliers hand held pliers with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며, 쓰레기봉투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상면으로 원뿔형 천공핀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천공핀과 연통되도록 상부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배출공과 연통되도록 대응되는 하부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천공핀에 의한 오수 및 공기가 배출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보관시에는 상기 천공핀이 형성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이 상기 하부몸체에 탈, 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discharging waste water and air in garbage bag}
본 발명은 쓰레기봉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켜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재활용 쓰레기를 회수하여 다시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해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 종량제와 함께 등장한 쓰레기 봉투는 쓰레기를 담아 버릴 수 있도록 일반적인 비닐봉지의 형태를 가지며, 단위별로 규격화되어 있고, 개구된 상단 일측에 결박부와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반 적인 쓰레기의 경우에는 쓰레기 봉투에 담아 그대로 버리게 되고, 물기가 많은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물기를 제거한 후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용 봉투에 담아 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용 봉투라 하더라도 음식물 쓰레기의 특성상 70%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봉투에 담긴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침출수가 배출되게 마련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합해져 침출수 발생량이 더욱 증가되어 나중에는 쓰레기 봉투 하단에 전체 무게의 40%가 넘는 침출수가 채워지게 됨으로써 이러한 침출수가 부패하여 악취 및 병충해의 발생이 심하게 되므로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되고, 이러한 상태 그대로 쓰레기 처리장에 매립하게 되면 토양 또는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어 환경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탈수장치나 기타 관련장치를 보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으나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은 물론 근본적인 악취 또는 병충해 발생에 대한 대책이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또한, 일반 쓰레기 봉투에서도 쓰레기를 담는 과정에서 쓰레기와 같이 공기가 유입되어 부피가 커지게 되고, 커진 부피 때문에 사용자가 공기를 빼는 과정에서 악취와 먼지를 견뎌야 하거나, 아니면 공기가 채워진 채 그대로 밀봉하여 더 많은 쓰레기를 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10903호(공개일 2018년 01월 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봉투에 일정 크기의 구멍을 다수개 뚫어서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켜서 침출수를 방지하고 더 많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는, 쓰레기봉투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상면으로 원뿔형 천공핀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천공핀과 연통되도록 상부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배출공과 연통되도록 대응되는 하부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천공핀에 의한 오수 및 공기가 배출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보관시에는 상기 천공핀이 형성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이 상기 하부몸체에 탈, 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천공핀의 상단으로는 원형의 커터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는 자석 및/또는 금속부재가 설치되어 상호 부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고정돌기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돌기턱이 삽입 및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고정홈은, 일부분은 폭이 좁아지는 일정 길이의 호 형태이며, 홈의 깊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돌기턱이 위치되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에 상기 상부몸체의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에서는, 일반 쓰레기봉투 또는 음식물쓰레기 봉투의 하부에 간단히 구멍을 뚫을 수 있는 장치로 하여, 간편하게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과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쓰레기 봉투가 꽉차서 음식물쓰레기 봉투 집하장으로 이동시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는 보조덮개를 사용하여 별도의 봉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부패와 오염을 방지하고 배출에 대한 불편과 번거로움을 없애고 환경오염 방지 및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에 동참을 유도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공기가 빠진 쓰레기봉투에는 더 많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몸체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서의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는, 원판 형태로 실질적으로 쓰레기봉투(도 6에 도시)에 구멍을 뚫는 상부몸체(100)와, 상부몸체(100)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하부몸체(200) 및 하부몸체(200)로부터 이어지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는 것이다.
먼저, 상부몸체(10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이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하여 금형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00)의 상면으로 원뿔 형태의 천공핀(110)이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천공핀(110)은 원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상기 천공핀(110)의 상단은 뽀족하고 하부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원뿔 형태이고, 상단은 개구되어 있으며 내부는 중공의 형태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천공핀(110)의 상단으로는 개구부 주변으로 원형의 커터날(112)이 형성되어 쓰레기봉투를 쉽게 뚫을 수 있다.
그리고 중공의 천공핀(110)과 연통되도록 상부몸체(100)에는 대응되는 상부배출공(1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몸체(100)의 상면으로는 천공핀(110)과 같이 후크 형태의 고정돌기턱(13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면으로는 다수개의 자석(140) 또는 금속부재(220)가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하부몸체(200)와 면접촉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부몸체(200)는 상부몸체(10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동일한 원판 면적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하부몸체(200)에는 다시 도 3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배출공(120)과 연통되도록 하부배출공(210)이 관통 형성된다.
하부배출공(210)은 상부배출공(120)과 대응되어 하부몸체(200)에 4개 형성되되, 타원 형상으로 상광하협 형태를 가지게 되어 공기나 오수의 배출이 속도를 내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하부배출공(210)은 보관 시 상부몸체(100)의 천공핀(110)이 위치되는 공간일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200)의 상면으로는 다수개의 금속부재(220)가 설치되어 상부몸체(100)의 자석(14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에, 상부몸체(100)에 금속부재(220)이 설치되면, 하부몸체(200)에는 자석(14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관시 하부몸체(200)의 하부배출공(210)에 천공핀(110)이 위치되도록 상부몸체(100)의 상면이 하부몸체(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상부몸체(100)의 고정돌기턱(130)에 대응되도록 하부몸체(200)에는 고정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30)은, 일부분은 폭이 좁아지는 일정 길이의 호 형태이며, 도 5에서와 같이 홈의 깊이 방향으로 고정돌기턱(130)이 위치되도록 단턱(232)이 형성되어 진다.
즉, 고정돌기턱(130)이 고정홈(230)에 수직하게 삽입된 후, 일 방향으로 상부몸체(100)를 회전시키면, 고정돌기턱(130)이 폭이 좁은 고정홈(230)측으로 이동하면서 단턱(232)에 턱부분이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몸체(200)의 중앙 하면으로는 일정 길이의 손잡이부(300)가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일반적인 성인의 주먹 쥔 폭 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는,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하부몸체(200)의 금속부재(220)에 상부몸체(100)의 하면에 설치된 자석(140)이 부착되어, 하부몸체(200)에 상부몸체(100)가 적층되고 하부몸체(200)는 손잡이부(300)와 같이 상부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과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손잡이부(300)를 파지하고 일예로 쓰레기봉투에 쓰레기를 채워 넣는 과정에서 공기가 채워져서 더 이상의 쓰레기를 채우지 못하여 되면, 상방으로 돌출된 천공핀(110)으로 쓰레기봉투에 구멍을 뚫어서 공기를 빼내게 된다.
천공핀(110)의 커터날(112)에 의하여 구멍이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공기는 일직선으로 연통 형성되는 천공핀(110)과 상부배출공(120) 및 하부배출공(210)을 차례로 통과하여 빠르게 배출되어 진다.
따라서 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부피가 줄어든 쓰레기봉투에 추가로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봉투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천공핀(110)의 미 사용시에는 하부몸체(200)로부터 상부몸체(100)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부몸체(100)를 뒤집어서 천공핀(110)이 하부배출공(21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고정돌기턱(130)도 하부몸체(200)의 고정홈(230)에 위치되고, 상기 상태에서 상부몸체(1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기턱(130)이 폭이 좁은 고정홈(230)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돌기턱(130)이 단턱(232)에 위치되어 장차되어 진다.
그리고 천공핀(110)은 타원의 하부배출공(210) 내에서 같이 회전 이동하여 진다.
따라서 고정돌기턱(130)이 돌출되지 않고, 하부배출공(210)에 수납되어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며, 다른 일예로는 상부몸체(100)의 평편한 일면이 노출되어 쓰레기봉투를 손을 대지 않고 압축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쓰레기봉투에 일정 크기의 구멍을 다수개 뚫어서 오수 및 공기를 빼내어서 침출수를 방지하고 더 많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부몸체 110 : 천공핀
112 : 커터날 120 : 상부배출공
130 : 고정돌기턱 140 : 자석
200 : 하부몸체 210 : 하부배출공
220 : 금속부재 230 : 고정홈
232 : 단턱 300 : 손잡이부

Claims (5)

  1. 쓰레기봉투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상면으로 원뿔형 천공핀이 다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천공핀과 연통되도록 상부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원판 형상의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배출공과 연통되도록 대응되는 하부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천공핀에 의한 오수 및 공기가 배출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에 연결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보관시에는 상기 천공핀이 형성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이 상기 하부몸체에 탈, 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핀의 상단으로는 원형의 커터날이 형성되는,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하면과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는 자석 및/또는 금속부재가 설치되어 상호 부착 설치되는,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에는 고정돌기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돌기턱이 삽입 및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상기 고정홈은,
    일부분은 폭이 좁아지는 일정 길이의 호 형태이며, 홈의 깊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돌기턱이 위치되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에 상기 상부몸체의 장착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KR1020210192922A 2021-12-30 2021-12-30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KR10253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922A KR102531822B1 (ko) 2021-12-30 2021-12-30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922A KR102531822B1 (ko) 2021-12-30 2021-12-30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822B1 true KR102531822B1 (ko) 2023-05-12

Family

ID=8638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922A KR102531822B1 (ko) 2021-12-30 2021-12-30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8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00Y2 (ja) * 1991-03-04 1995-07-26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マ−キング貼付時における空気溜り部の空気抜き工具
KR200266455Y1 (ko) * 2001-11-27 2002-02-28 이민희 지압구
KR20180010903A (ko) 2016-07-23 2018-01-31 장요한 공기가 빠지는 쓰레기봉투
CN108839108A (zh) * 2018-07-12 2018-11-20 陈凡强 冲子工具
WO2021123646A1 (fr) * 2019-12-19 2021-06-24 Lesaffre Et Compagnie Dispositif déverseu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00Y2 (ja) * 1991-03-04 1995-07-26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マ−キング貼付時における空気溜り部の空気抜き工具
KR200266455Y1 (ko) * 2001-11-27 2002-02-28 이민희 지압구
KR20180010903A (ko) 2016-07-23 2018-01-31 장요한 공기가 빠지는 쓰레기봉투
CN108839108A (zh) * 2018-07-12 2018-11-20 陈凡强 冲子工具
WO2021123646A1 (fr) * 2019-12-19 2021-06-24 Lesaffre Et Compagnie Dispositif déverse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0334A (en) Beaker transport tray
EP3310677B1 (en) Container
KR101445128B1 (ko) 비닐봉투 파괴수단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US5349995A (en) Used oil collecting device
FR2825982B3 (fr) Sac pour dechets a usage unique
KR102531822B1 (ko)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ES2799728T3 (es) Un aparato para tratar cápsulas y/o cartuchos usados, por ejemplo, de café o alguna otra infusión, para separación del material orgánico del resto del paquete
KR0185748B1 (ko) 고정 기능을 갖춘 하수구 세척제 투여기를 사용한 하수구 세척 방법 및 그를 위한 투여기
KR20180095390A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US9457508B2 (en) Thermoforming trim removal systems and methods
US6629870B2 (en) Bubble blower
KR20210098662A (ko) 투과지 개봉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습기제거제
KR20220152370A (ko) 이쑤시개용 쓰레기통
KR200481671Y1 (ko) 개량형 쓰레기 봉투
GB2528879A (en) Refuse device
KR0129524Y1 (ko) 물티슈 수납용기
JP4034455B2 (ja) ガス抜き治具付きスプレー缶
US2597295A (en) Milk can holder
KR950007601Y1 (ko)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JP3209052U (ja) 仕切り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仕切り板付き回収容器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39386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0904851B1 (ko) 쓰레기통
JP2017089317A (ja) 排水部の汚れ除去装置
JPH0672902U (ja) 収容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