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390A - 음식물 쓰레기 봉투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390A
KR20180095390A KR1020170021835A KR20170021835A KR20180095390A KR 20180095390 A KR20180095390 A KR 20180095390A KR 1020170021835 A KR1020170021835 A KR 1020170021835A KR 20170021835 A KR20170021835 A KR 20170021835A KR 20180095390 A KR20180095390 A KR 2018009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food waste
food
inl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찬
임지호
Original Assignee
이승찬
임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찬, 임지호 filed Critical 이승찬
Priority to KR102017002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5390A/ko
Publication of KR2018009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65F1/002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with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에 입구부가 형성된 봉투; 상기 봉투 상부에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의 개방되는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끈부; 및 상기 봉투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수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봉투 {Food waste bag}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보관 및 배출할 때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봉투의 입구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악취 등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 배출수단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 부피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이다.
경제 발전에 따라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식생활에서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된다.
즉, 요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물론, 음식물이 무한 제공되는 음식점이 성행하면서 발생되는 무수한 잔반, 수분 등이 섞여 있는 음식물 쓰레기 등 처리해야 할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배출 및 수거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종래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직접 배출하거나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는 방식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묶어서 배출하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 제거를 위해서는 평상시에도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상단을 묶어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추가하는 것이 어렵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거나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처리하기 어려우며, 물기로 인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 및 무게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45419호의 "수분 제거용 파스너 부착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자립 봉투"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제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자립 봉투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단 개구부에는 파스너를 부착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은 자체 중력에 의해 저면의 구멍으로 배출되고 악취 제거를 위해 파스너를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악취가 외부로 쉽게 퍼지지 않도록 하며 수분의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점은 있으나, 실제 음식물 쓰레기의 외부 배출시에도 상기 구멍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파스너를 열고 닫는 것이 어려워 음식물 쓰레기 추가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45419호 (2004년03월0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보관 및 배출할 때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봉투의 입구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악취 등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 배출수단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 부피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에 입구부가 형성된 봉투; 상기 봉투 상부에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의 개방되는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끈부; 및 상기 봉투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수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구부는 상기 봉투의 상단부가 둘레를 따라 소정폭으로 접히도록 구성되어 내측에 조절끈부가 적어도 일부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끈부는 상기 입구부 내측에 구비되는 조절끈과, 상기 조절끈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서 입구부의 개방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 배출수단은, 상기 봉투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 위치에 결합되고 유출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보관시 음식물 쓰레기 추가 및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 제거가 용이하고, 음식물 쓰레기 배출 과정이 청결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1)는 상단에 입구부(12)가 형성된 봉투(10)와 상기 봉투(10) 상부에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조절끈부(20) 및 상기 봉투(10)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수분 배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봉투(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g)가 담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입구부(12)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g)가 투입된다.
일예로, 상기 봉투(10)는 공지의 합성수지 비닐 소재로 이뤄진다.
상기 입구부(12)는 상기 봉투(10)의 상단부가 둘레를 따라 소정폭으로 접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봉투(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혀진 부분은 접착 또는 봉재 등에 의해 봉투(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12)는 상기 접혀진 부분의 내측으로 상기 조절끈부(20)가 적어도 일부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절끈부(20)는 상기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구부(12)는 상기 조절끈부(20)의 조절에 의해 개방되는 크기가 커질 수도 있고(도 1 참조), 개방되는 크기가 작아질 수도 있다(도 2 참조).
상기 조절끈부(20)는 상기 입구부(12) 내측에 구비되는 조절끈(22)과, 상기 조절끈(22)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서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24)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스토퍼(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버튼식 길이조절수단(예, 배럴형 코드록(Barrel-type Cord Lock))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튼식 길이조절수단은 버튼을 누르는 경우 버튼식 길이조절수단 내부를 관통하는 끈에 버튼식 길이조절수단이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어 버튼식 길이조절수단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누르고 있는 버튼을 놓는 경우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이 상승하면서 상기 끈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끈에 버튼식 길이조절수단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식 길이조절수단을 이용한 스토퍼(24)는 상기 버튼이 스프링의 힘에 의해 상승하면, 상기 버튼이 상승하면서 조절끈(22)의 일측을 가압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24)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4)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조절끈(22)에 스토퍼(24)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조절끈(22) 상에서 스토퍼(24)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 스토퍼(24)를 위치시킨 후 눌렀던 버튼을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버튼이 상승하면서 다시 조절끈(22)을 가압하게 되고 스토퍼(24)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24)의 위치 이동은 입구부(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조절끈(22)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형태로 조절되도록 하며, 이러한 조절끈(22)의 길이 조절로 인하여 상기 입구부(12)의 크기가 커지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스토퍼(24)의 일측 위치에 있는 입구부(12)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24)의 타측 위치에 있는 조절끈(22)의 일측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4)의 버튼을 누르면서 스토퍼(24)를 입구부(12) 측으로 밀어주면, 상기 스토퍼(24)에 의해 입구부(12)가 접히면서 봉투(10) 상단에 구비되는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입구부(12)의 크기를 늘리기 위해서는 상기 스토퍼(24)의 일측 위치에 있는 조절끈(22)의 타측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4)의 버튼을 누르면서 스토퍼(24)를 입구부(12) 반대측으로 밀어주면, 스토퍼(24) 위치까지 입구부(12)가 펴질 수 있게 되므로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가 늘어날 수 있다.
만일, 입구부(12)의 크기를 늘리려 할 때 봉투(10)에 음식물 쓰레기(g)가 적절히 담겨져 있는 경우, 조절끈(22)의 일측을 잡지 않더라도 스토퍼(24)의 버튼을 누르면서 들어올리면 음식물 쓰레기(g) 무게로 인해 조절끈(22)의 일측을 잡아주는 효과가 발생되므로 스토퍼(24)의 위치를 입구부(12) 반대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g)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손을 대지 않고도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청결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1)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부연하면, 음식물 쓰레기(g)를 넣기 위해 입구부(12)의 크기를 크게 하고, 음식물 쓰레기(g)를 넣은 후 입구부(12)의 크기를 작게 하는 과정이 상기 조절끈부(20)에 의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g)의 투입 및 보관을 위한 과정이 종래기술의 파스너나 음식물 쓰레기 봉투(1)의 상단을 묶는 방법에 비해 매우 쉽게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절끈(22)의 길이 조절을 통해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가 매우 작게 형성되는 경우,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분 배출수단(30)은 음식물 쓰레기(g) 투입시 함께 투입되는 물기와 음식물 쓰레기(g)에서 발생되는 진액을 포함한 수분(w)을 봉투(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수분 배출수단(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공(36)이 형성된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 일측에 결합되는 마개부(3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32)는 상기 봉투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유출공(36)은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어서 봉투(10) 내부에서 봉투(10) 외부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4)는 상기 유출공(36)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마개부(34)는 상기 본체부(32)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마개부(34)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가 상기 유출공(36)에 끼워져 유출공(36)을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개부(34)는 음식물 쓰레기(g)를 투입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유출공(36)과 결합하여 상기 유출공(36)을 폐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g)에 포함된 수분(w)이 배출구에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g)가 적절히 채워져 수거를 위해 외부로 배출할 때 또는 음식물 쓰레기(g)에 지나치게 많은 수분(w)이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마개부(34)를 유출공(36)에서 결합 해제하여 상기 유출공(36)을 개방함으로써 수분(w)이 배출구에서 흘러나와 유출공(3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상기 유출공(36) 및 마개부(34)에 형성된 돌기는 음식물 쓰레기(g)가 수분(w)과 함께 방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봉투(1)는 음식물 쓰레기(g)의 수분(w)을 배출하고, 입구부(12)의 개방되는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g)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g)의 양과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끈부(20) 및 수분 배출수단(30)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음식물 쓰레기 봉투(1)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봉투(1) 자체를 배출하는 경우가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g)만을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배출하는 경우에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 음식물 쓰레기 봉투
10: 봉투 12: 입구부
20: 조절끈부 22: 조절끈
24: 스토퍼 30: 수분 배출수단
32: 본체부 34: 마개부
36: 유출공

Claims (3)

  1.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단에 입구부가 형성된 봉투;
    상기 봉투 상부에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입구부의 개방되는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끈부; 및
    상기 봉투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수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봉투의 상단부가 둘레를 따라 소정폭으로 접히도록 구성되어 내측에 조절끈부가 적어도 일부 수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절끈부는 상기 입구부 내측에 구비되는 조절끈과, 상기 조절끈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면서 입구부의 개방되는 크기가 변경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수단은,
    상기 봉투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 위치에 결합되고 유출공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출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1020170021835A 2017-02-17 2017-02-17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20180095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35A KR20180095390A (ko) 2017-02-17 2017-02-17 음식물 쓰레기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835A KR20180095390A (ko) 2017-02-17 2017-02-17 음식물 쓰레기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390A true KR20180095390A (ko) 2018-08-27

Family

ID=6345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835A KR20180095390A (ko) 2017-02-17 2017-02-17 음식물 쓰레기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5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829A (ko) * 2019-02-15 2020-08-2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봉투
US11629006B1 (en) * 2021-08-10 2023-04-18 Kian Johnson Leaves and yard debris collection and disposal b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419Y1 (ko) 2003-12-30 2004-03-27 임경보 수분 제거용 파스너 부착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자립 봉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419Y1 (ko) 2003-12-30 2004-03-27 임경보 수분 제거용 파스너 부착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자립 봉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829A (ko) * 2019-02-15 2020-08-2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음식물 쓰레기 봉투
US11629006B1 (en) * 2021-08-10 2023-04-18 Kian Johnson Leaves and yard debris collection and disposal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390A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US5957319A (en) Garbage container cover and liner protector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101810887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CA1228881A (en) Animal feces pick-up device
SE8202124L (sv) Avfallsbehallare
KR101924105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160110015A (ko) 생리대용 휴지통
KR101378534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90028333A (ko) 탈취용 음식물 쓰레기통
KR20210033830A (ko) 애완동물 배변처리용 휴대 가방
KR200362955Y1 (ko) 음식물 쓰레기통
US20070251466A1 (en) Portable pet faeces collection container
KR102201281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101452322B1 (ko) 음식물 처리용 깔때기
KR101566809B1 (ko) 차 우림기
KR20140005340U (ko) 비닐봉지 마개장치
KR20170004352U (ko) 쓰레기봉투를 고정하는 쓰레기통
KR200481671Y1 (ko) 개량형 쓰레기 봉투
KR20130081258A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용기
KR200421417Y1 (ko) 쓰레기봉투 고정구조를 갖는 쓰레기통
KR20160020171A (ko) 음식물 쓰레기 투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531822B1 (ko) 쓰레기봉투 내의 오수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KR20180083532A (ko) 비닐봉투 삽입형 음식물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