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01Y1 -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01Y1
KR950007601Y1 KR2019930008930U KR930008930U KR950007601Y1 KR 950007601 Y1 KR950007601 Y1 KR 950007601Y1 KR 2019930008930 U KR2019930008930 U KR 2019930008930U KR 930008930 U KR930008930 U KR 930008930U KR 950007601 Y1 KR950007601 Y1 KR 950007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member
stacked
suppor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743U (ko
Inventor
심종성
유태순
Original Assignee
심종성
유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성, 유태순 filed Critical 심종성
Priority to KR2019930008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601Y1/ko
Publication of KR940026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7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의 B-B'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의 C-C'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수거장치에서 투입된 컵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지지하는 괘지유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제6a도는 및 제6b도는 제5도에 도시된 괘지유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된 괘지해제수단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괘지해제수단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종이컵이나 인스턴트식품의 용기와 같은 일회용 용기를 수거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식품이나 자동판매기의 이용이 증대됨에 따라 그에 이용된 다음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의 양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일회용 폐용기는 외관부피가 훨씬 크기 때문에, 쓰레기통 등의 공간을 과도하게 많이 점유하여 전체적인 폐기물의 양을 증대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미관과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또, 그렇게 폐기된 일회용 용기중에는 종이컵과 같이 양질의 재활용 자원도 존재하고 있지만, 일단 폐기된 다음에는 선별분류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를 적절히 적층 수거하여 폐기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재활용을 위한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공의 기동형상을 가진 상면에 용기의 투입을 위한 용기 투입구를 갖는 용기 수거 케이스와; 상기 용기 투입구의 내측에 투입방행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용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용기를 다수 적층 지지할 수 있는 용기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투입구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용기 적층수단과; 상기 용기 적층수단에 최종적으로 적층된 용기가 투입구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용기의 소정 부위에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용기의 투입시 상기 용기의 투입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괘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괘지유지수단과;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 지지되며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하부 윤곽면을 갖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괘지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의 하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컵에 남아 있는 잔량을 받아 모을 수 있는 이물질 수거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수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적층된 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괘지유지수단은, 용기 수거 케이스의 투입구측의 하부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핀 안내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수거 케이스의 상면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이와 대응되게 양측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삽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투입구특에 반원추형의 경사진 오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핀이 삽착되어 상기 핀 안내 브라켓의 관통구멍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삽입 살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핀을 설치하여 상기 괘지해제수단의 하부면과 접촉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적층수단은, 상기 이물질 수거 케이스내에 다수의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에 단면이 역T형으로 형성된 용기 지지체가 끼워져 기둥을 따라 수직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용기 지지체는 상부에 컵이 적층될 때마다 적층된 컵들을 상향하며 탄력있게 적층될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의 사시도 및 종단면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용기 수거 케이스(2)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면에 용기를 투입하기 위한 용기 투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내부에 적층되어진 컵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2)의 하부에는 컵에 남아 있는 잔량의 흐름을 받아 모을 수 있는 원통형의 이물질 수거함(3)이 조립되어진다.
제2도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2)의 상부에는 상면의 용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컵등을 수용하여 이탈되지 않게 지지하는 괘지유지수단(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괘지유지수단(4)은 서로 대칭이므로 편의상 괘지유지수단(4)의 좌측 부분만을 도시한 제6a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기 수거 케이스(2)의 상면의 내측면에 핀 안내 브라켓(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핀 안내 브라켓(7)은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중앙에 핀(10)의 출입을 허용하는 관통구멍(7')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수거 케이스(2)의 상면에는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홈(19)과 계합되어지도록 양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홈(8')이 마련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한 모서리의 중앙에 컵의 투입시 컵의 개방된 단부와 어느 정도의 직경 차이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반원추형의 경사진 오목부(8")를 구비하는 지지부재(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8)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핀(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8)의 핀(10)은 외주둘레에 압축스프링(9)을 설치한 상태에서 핀 안내 브라켓(7)의 관통구멍(7')에 삽입되는 삽입설치된다. 또한, 지지부재(8)의 하단에는 이탈방지구(11)가 조립되어 컵이 적층되어질때 컵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적층된 컵이 반경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8)의 상단에는 일단에 윈주상의 돌기부(12')가 형성된 핀(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12')는 후술하는 괘지해제수단(6)의 하부면에 형성된 윤곽면을 갖는 걸림돌기(17)와 접촉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괘지해제수단(6)의 회전시 걸림돌기(17)와 접촉된 핀(12)은 반경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지지부재(8)와 핀 안내 브라켓(7)사이에서 핀 (10)의 둘레에 조립된 압축스프링(9)의 압축으로 반원추형의 오목부(8")반경방향으로 서로 밀려지게 된다.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2)의 내부에는 투입된 컵이 적층될 때 마다 조금씩 하향하여 탄력있게 적층되게 하는 용기 적층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용기 적층수단(5)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거케이스(2)의 용기 투입구의 하부에 다수의 기둥(1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둥(13)에는 역T자 형상으로 된 용기 지지체(14)가 압축스프링(15)에 의해 탄력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컵이 용기 지지체(14)에 적층될 때 마다 컵들이 압축스프링(15)에 의해 상향되게 탄력 있게 적층되며, 적층된 컵은 괘지유지단의 지지부재(8)의 끝단부에 걸려서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2도, 7도, 8도를 참조하면, 용기 수거 케이스(2)의 상부에는 컵이 소정 갯수만큼 적층되었을 때 적층된 컵만을 용기 수거 케이스(2)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괘지유지수단(4)으로 부터 적층된 컵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는 괘지해제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괘지해제수단(6)은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측 원주면에는 하부로 연장하는 "ㄱ 단면형의 플렌지(16)를 구비하고, 중앙의 용기 투입구의 하부 원주면에는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윤곽면을 갖는 3개의 걸림돌기(1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7)는 지지부재(8)이 상부에 걸치된 핀(12)의 돌기부(12')에 삽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를 참조하면, 컵 안내구( )에 컵을 뒤집어서 투입하게 되면, 컵의 개방된 단부가 괘지유지수단(9)의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재(14)를 누르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14)는 스프링(9)에 의해 반원추원형의 경사진 오목부(8")의 중심점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재(8)의 반원추형의 경사진 오목부(8")를 누르면서 삽입되고, 용기 적층수단(5)의 용기 지지체(14)는 하부 스프링(15)이 압축되어 컵의 개방된 단부의 두께만큼 하강하게 된다.
투입된 컵은 용기 지지체(14)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하여 지지부재(18)의 반원추형의 경사진 오목복(8")에 걸려서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한 컵이 안전하게 계속 적층하여 용기 적층수단(5)의 압축스프링(15)이 완전히 압축될 때까지 계속 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에 컵이 완전히 적층되어 적층된 컵을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괘지해제수단(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괘지해제수단(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괘지유지수단(14)의 지지부재(14)의 상단에 조립된 핀(12)과 접촉된 걸림돌기(17)에 의해, 걸림돌기(17)의 윤곽면의 반경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부재(14)를 반원추형의 경사진 오목부(8")의 중심점으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이때 괘지유지수단(6)은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고, 따라서 용기 적층수단(5)의 하부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5)의 복원력으로 요기 지지체(14)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괘지유지수단(4)의 지지부재(8)의 하면과 용기 적층수단의 용기 지지체(14)의 플렌지(14")의 상면이 접하여 적층된 컵만이 외부로 돌출되며, 용기 지지체(14)는 인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적층된 컵만을 빼낸 후 괘지유지수단(6)을 반대방행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본 고안의 용기 수거창지(1)는 원상태로 되어 다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일회용 컵을 용이하게 적층 수거할 수 있으므로, 커피 등의 자동판매기에 부속 설치할 경우 쓰레기의 발생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패스트푸드점과 같이 일회용 용기를 다량 소비하는 매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중공의 기동형상을 가진 상면에 용기의 투입을 위한 용기 투입구를 갖는 용기 수거 케이스와; 상기 용기 투입구의 내측에 투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용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용기를 다수 적층 지지할 수 있는 용기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투입구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적층수단과; 상기 용기 적층수단에 최종적으로 적층된 용기가 투입구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지경으로 상기 용기의 소정 부위에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용기의 투입시 상기 용기의 투입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괘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괘지 유지수단과;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접촉 지지되며 직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하부 윤곽면을 갖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괘지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의 하부에는 내부로 투입된 컵에 남아 있는 잔량을 받아 모을 수 있는 이물질 수거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창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거 케이스의 외주면에는 내부로 적층된 컵에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유지수단은, 용기 수거 케이스의 투입구측의 하부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핀 안내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수거 케이스의 상면에 절개홈을 형서하여 이와 대응되게 양측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지지부재가 삽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투입구측에 반원추형의 경사진 오목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핀이 삽착되어 상기 핀안내 브라켓의 관통구멍에 스프링을 개제하여 삽입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핀을 설치하여 상기 괘지해제수단의 하부면과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창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적층수단은 , 상기 이물질 수거 케이스에 다수의 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기둥에 단면이 역T형으로 형성된 용기 지지체가 끼어져 기둥을 따라 수직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용기 지지체는 상부에 컵이 적층될 때마다 적층된 컵들을 상향하여 탄력있게 적층될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해제수단은 하부 윤곽면을 갖는 걸림돌기가 3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2019930008930U 1993-05-26 1993-05-2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950007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930U KR950007601Y1 (ko) 1993-05-26 1993-05-2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930U KR950007601Y1 (ko) 1993-05-26 1993-05-2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743U KR940026743U (ko) 1994-12-09
KR950007601Y1 true KR950007601Y1 (ko) 1995-09-15

Family

ID=1935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930U KR950007601Y1 (ko) 1993-05-26 1993-05-2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29A (ko) * 2017-09-20 2019-03-28 정구현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KR20190093896A (ko) * 2018-02-02 2019-08-12 김성식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29A (ko) * 2017-09-20 2019-03-28 정구현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KR20190093896A (ko) * 2018-02-02 2019-08-12 김성식 고깔형 종이컵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743U (ko) 199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9012A (en) Combined waste paper and trash basket
KR950007601Y1 (ko)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US5836470A (en) Trash receptacle with expandable rim
KR950007602Y1 (ko)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20160014303A (ko) 압축용 누름판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1848444B1 (ko) 압축 쓰레기통
JP2001046976A (ja) 空缶等の分別回収装置
KR920006248Y1 (ko)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CN112644908A (zh) 一种护理用品废料收集装置
KR940007985Y1 (ko) 종이컵 수거함
KR0131848Y1 (ko) 이쑤시개통
KR200226373Y1 (ko) 다단식 쓰레기통
KR100658372B1 (ko)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KR19980046868U (ko) 족답식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장치
US6004200A (en) Coin bag spout assembly
KR200159739Y1 (ko)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KR102061890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49157Y1 (ko) 종이컵 수거함
KR100331390B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KR20070043906A (ko) 종이컵 재활용 회수기
KR200400795Y1 (ko) 음식 배달용 트레이
KR970001750B1 (ko)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JP3026063B2 (ja) 分別ゴミ容器
JPH07247002A (ja) 使い捨て式容器用ダスト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