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372B1 -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 Google Patents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372B1
KR100658372B1 KR1020040105166A KR20040105166A KR100658372B1 KR 100658372 B1 KR100658372 B1 KR 100658372B1 KR 1020040105166 A KR1020040105166 A KR 1020040105166A KR 20040105166 A KR20040105166 A KR 20040105166A KR 100658372 B1 KR100658372 B1 KR 100658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paper
unit
weigh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527A (ko
Inventor
오인석
Original Assignee
오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석 filed Critical 오인석
Priority to KR102004010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37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1Ventilating means, e.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6Paper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의 종이컵을 일정한 단위수량으로 적층 또는 적재한 후 일정한 양을 수납 가능한 용기에 단위수량씩 적층 또는 적재된 상태로 종이컵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적층된 상태 그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자동으로 단위수량씩 적재 후 용기에 수납되도록 하고, 종이컵 수거시 수거함 몸체나 수거될 종이컵을 수거자가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종이컵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를 개방시켜 내부에 단위수량이 적재된 종이컵을 수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고, 일측에 통공을 형성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통공에 삽입 설치되고, 종이컵을 단위수량으로 적재한 후 용기 내부로 보내어 수납하는 단위적재수단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적재수단은 상하로 관통시켜 종이컵을 투입함과 동시에 적재되고, 하부 외주연 일측을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한 적재관과, 상기 적재관의 하부 돌출부와 힌지 형태로 결합할 수 있게 꺽임부에 힌지 구성하고, 일정수량의 종이컵이 적재 될 때까지 종이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태의 받침대와, 상기 "ㄱ"자 받침대의 하향하는 수직편의 일측에 접착 또는 나사 결합하는 무게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받침대와 무게추를 형성하여 단위수량이 적층되었을 경우에만 하부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적층된 상태 그대로 수거할 수 있음 과 더불어 자동으로 단위수량씩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고, 종이컵 수거시 수거함 몸체나 수거될 종이컵을 수거자가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종이컵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수거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종이컵, 수거함, 수거, 단위적재, 적재, 무게추, 일회용컵

Description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Paper cup removal courag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 예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단위적재 수단의 힌지를 분리 형성한 일 예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0 : 커버
21 : 통공 30 : 단위적재수단
31 : 적재관 31a : 돌출부
32 : 고정구 33 : 받침대
33a : 수직편 33a' : 나사공
34, 35 : 무게추 36 : 스크류
36a : 너트
본 발명은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후의 종이컵을 일정한 단위수량으로 적층 또는 적재한 후 일정한 양을 수납 가능한 용기에 단위수량씩 적층 또는 적재된 상태로 종이컵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산업이 발달하면서 사용의 편리성과 경제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빈도가 높고, 일정한 크기로 규격화시켜 정형화하고, 음료 자동판매기의 보급과 더불어 더욱 많은 수의 일회성 종이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이컵은 일회용으로 사용 후에 그냥 버려지거나, 담배 재떨이 등으로 사용한 후 버려지는 경우가 많았으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최근에는 자원 재활용 내지는 쓰레기를 줄이자는 취지 하에 종이컵을 분리수거를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이컵을 별도로 모아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형성한 종이컵 수거함이 많이 개발 되었는데 그 가운데 1994년 실용신안공보 7985호의 "종이컵 수거함이 제되었다.
이는 수거함 본체의 내부 하단부에 물받이 통을 수납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 본체의 상부 표면에는 종이컵 투입구가 형성되고, 정면에 뚜껑을 개폐시켜 설치하며, 내부 중앙에 종이컵을 수용하는 종이컵 수용 유니트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이컵 수용유니트는 종이컵 수용홈이 결합되도록 지지로드를 중심으로 상,하부재에 각각 방사상으로 뻗은 결합부재가 동축상으로 체결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거함은 종이컵 수용홈의 길이가 짧으면 수용되는 종이컵의 수량이 적고, 종이컵 수용홈이 길면 수용되는 종이컵의 수량이 많아지나 종이컵의 수거를 위해서는 종이컵수용 유니트를 거꾸로 뒤집어야지만 수거가 됨으로 종이컵의 수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근자에는 상기 종이컵을 단위수량만큼씩 분리한 후 수거하게 되는 바 길이가 길게 적재된 종이컵은 일정 길이로 단위수량으로 분리한 후 수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2004년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363302호 "종이컵 수거장치"가 제시되었는데 이는 내부에 종이컵이 안착되는 원통의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하부에 구비되어 저장공간에 적층되는 종이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가 회전하여 튜브의 하부를 개방하도록 하는 조작레버와, 상기 프레 임에 상기 받침대가 고정되어 튜브의 하부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를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수거장치를 거꾸로 하지 않고 간단하게 하부를 조작레버에 의해 개폐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종이컵을 수거토록 하였으나 이 또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고 적재된 컵의 너무 높으면 일일이 단위적재수량으로 분리한 후 수거하여야 하는 등의 종이컵 수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제작 공정이 많고, 부품수가 많아 제작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작한 것으로, 적층된 상태 그대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자동으로 단위수량씩 적재 후 용기에 수납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종이컵 수거시 수거함 몸체나 수거될 종이컵을 수거자가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종이컵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수거함의 구성이 간단하고, 종이컵 투입구를 많이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의 종이컵을 수납할 수 있게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를 개방시켜 내부에 단위수량이 적재된 종이컵을 수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를 덮고, 일측에 통공을 형성한 커버와, 상기 커버의 통공에 삽입 설치되고, 종이컵을 단위수량으로 적재한 후 용기 내부로 보내어 수납하는 단위적재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적재수단은 상하로 관통시켜 종이컵을 투입함과 동시에 적재되고, 하부 외주연 일측을 돌출시켜 돌출부를 형성한 적재관과, 상기 적재관의 하부 돌출부와 힌지 형태로 결합할 수 있게 꺽임부에 힌지 구성하고, 일정수량의 종이컵이 적재 될 때까지 종이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태의 받침대와, 상기 "ㄱ"자 받침대의 하향하는 수직편의 일측에 접착 또는 나사 결합하는 무게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컵(40)을 수납 가능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를 덮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에 설치되는 단위적재수단(30)으로 구성한다.
상기 용기(10)는 통상적인 휴지통형태로 원형 및 사각형 또는 다각형태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 의 방법으로 제조되거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규격화 시켜 규격화된 쓰레기 봉투에 맞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각각의 용기(10)는 10ℓ에서 5ℓ단위로 100ℓ까지 제작함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5ℓ~50ℓ정도로 하며,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비닐 또는 규격봉투(미도시)를 펼쳐놓아 적재된 종이컵이 바로 수납되어 종이컵 수거가 용이하게 한다.
상기 커버(20)는 용기(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등의 금속재로 용기(10)의 상부 테두리보다 크게 형성하고, 일측에 후술하는 단위적재수단(30)을 설치할 수 있게 임의의 위치에 수직하는 통공(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통공(21)은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구애됨이 없이 형성할 수 있으나 통상의 종이컵(40)이 원형을 취하고 있음으로 원형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통공의 지름은 종이컵(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대략 10mm 가량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 적재수단(30)은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상기 커버(20)의 통공(21)에 삽입 설치되고, 종이컵(40)을 단위수량으로 적재한 후 용기(10)의 내부에서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단위적재수단(30)은 종이컵(30)을 투입함과 동시에 적재되고, 상하로 관통하며, 하부외주연 일측을 돌출시켜 돌출부(31a)를 형성한 적재관(31) 과, 상기 적재관(31)의 하부 돌출부(31a)와 힌지 형태로 결합할 수 있게 꺽임부에 힌지 구성하고, 일정수량의 종이컵이 적재 될 때까지 지지하는 "ㄱ"자 형태의 받침대(33)와, 상기 "ㄱ"자 받침대의 하향하는 수직편(33a)의 일측에 접착 또는 나사 결합하는 무게추(34)로 구성한다.
상기 적재관(31)은 통상의 합성수지재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로 된 관으로서 내경이 종이컵(40)의 외경보다 다소 크고, 상하의 길이는 100mm~250mm의 범위로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관(31)의 하부에 형성한 돌출부(31a)는 힌지 결합할 수 있게 횡방향으로 핀공을 형성하고, 상기 핀공에 핀을 삽입하여 받침대(33)의 꺽임부에 형성한 통공과 힌지 결합한다.
상기 받침대(33)는 상부에서 투입한 종이컵을 지지하여야 함으로 하향하는 수직편(33a)에 무게추(34)를 설치하되 상기 적재할 종이컵(40)의 단위수량에 따른 무게보다 다소 무겁게 형성한다.
이는 받침대(33)가 꺽임부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발생되는 토오크는 수직편(33a)에 설치한 무게추(34)의 자중에 따른 토오크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34)는 단위수량에 따른 각각 무게에 따라 다르게 각각 제작하는 것이 좋고, 상기 무게추(34)는 수직편(33a)의 후방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컵(40)의 단위적재 수량은 10개 내지 20개 정도로 적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꼭 한정하지 않고, 5~40개 사이에서 임의의 수량단위로 적재되 게 한다.
상술한 바와는 별도로 무게추(34)를 상,하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예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33)의 수직편(33a)에 무게추(34)를 나사 결합하되, 수직편(33a)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다수개의 나사공(33a')을 형성하여 상기 무게추(34)가 수직편(33a)에서 상, 하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는 무게추(34)를 가변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단위수량의 종이컵(40)에 맞춰 적절한 위치에 고정함으로서 보다 정밀한 수량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성과 또 다른 형태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일 예시 사시도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33)의 수직편(33a)을 스크류(36)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 스크류(36)에 무게추(35)를 삽입한 후 너트(36a)로 고정하여, 상기 무게추(35)를 필요시 가변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35)는 받침대(33)와 수직편(33a)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무게의 균형을 이루어 받침대(33)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편심지게 형성하고, 설치 또한 외측에 편심지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36)에 형성한 너트(36a)와 무게추(34)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서 더욱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하고, 받침대(33)는 늘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의 단위적재 수단의 힌지를 분 리 형성한 일 예시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적재수단(30)은 종이컵(30)이 투입함과 동시에 적재되고, 상하로 관통한 적재관(31)과, 상기 적재관(31)의 하부 외주연에 나사 결합하고 하부에 힌지 구성한 고정구(32)와, 상기 고정구(32)와 힌지 형태로 결합할 수 있게 꺽임부에 힌지 구성하고, 일정수량의 종이컵이 적재 될 때까지 지지하는 "ㄱ"자 형태의 받침대(33)와, 상기 "ㄱ"자 받침대의 하향하는 수직편(33a)의 일측에 접착 또는 나사 결합하는 무게추(34)로 구성하여 종래의 수거함에 설치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는 기존에 설치된 수거함에 설치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자판기의 커피 또는 음료를 마신 종이컵(40)을 비운 후 본 발명의 투입구에 넣으면, 받침대(33)의 상부에 걸쳐지는 형태로 놓여지고, 투입된 종이컵의 무게가 무게추(34)를 들어 올릴 정도의 무게가 되지 않으면 다음종이컵(40)을 받침대(33)의 상부에 거쳐진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33)의 상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적재되는 종이컵(40)의 무게가 무게추(34)를 들어올릴 정도의 무게, 즉 단위적재수량이 되면, 받침대(33)는 하부로 회동하게 되고 무게추(34)가 설치된 수직편(33a)은 수평의 상태가 된다.
이때 단위수량으로 적재된 종이컵(40)이 하부의 용기(10)게 수납되고, 종이컵이 용기(10)에 수납됨과 동시에 받침대(30)는 무게추(34)의 자중에 의해 수평상태의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용기(10)에 단위수량으로 적재된 종이컵들은 내부에 펼쳐놓은 봉투체로 수 거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받침대와 무게추를 형성하여 단위수량이 적층되었을 경우에만 하부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적층된 상태 그대로 수거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자동으로 단위수량씩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이컵 수거시 수거함 몸체나 수거될 종이컵을 수거자가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종이컵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수거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수거함의 구성이 간단하고, 종이컵 투입구를 많이 형성하지 않아 투입구를 통해서 악취가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이면서도, 많은 수의 종이컵을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상부를 개방시켜 내부에 단위수량이 적재된 종이컵(40)을 수납하는 용기(10);
    상기 용기(10)의 상부를 덮고, 일측에 통공(21)을 형성한 커버(20);
    상기 커버(20)의 통공(21)에 삽입 설치되며, 상하로 관통시켜 상기 종이컵(40)을 투입함과 동시에 적재될 수 있게 하부 외주연 일측을 돌출시켜 돌출부(31a)를 형성한 적재관(31);
    상기 돌출부(31a)와 힌지 형태로 결합할 수 있게 꺽임부에 힌지 구성하고, 일정수량의 상기 종이컵(40)이 적재 될 때까지 상기 종이컵(40)의 하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태의 받침대(33);
    상기 받침대(33)의 하향하는 수직편(33a)에 나사 결합하는 무게추(34); 및,
    상기 받침대(33)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무게추(34)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편(33a)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공(3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3)는 수직편(33a)을 스크류(36)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 스크류에 무게추(35)를 삽입한 후 너트(36a)로 고정하여, 상기 무게추(35)를 상, 하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5. 삭제
KR1020040105166A 2004-12-13 2004-12-13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KR100658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66A KR100658372B1 (ko) 2004-12-13 2004-12-13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166A KR100658372B1 (ko) 2004-12-13 2004-12-13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527A KR20060066527A (ko) 2006-06-16
KR100658372B1 true KR100658372B1 (ko) 2006-12-15

Family

ID=3716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166A KR100658372B1 (ko) 2004-12-13 2004-12-13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307A2 (en) * 2007-06-18 2008-12-24 Nuriinternational Co., Ltd. Lid assembly and garbage can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9787A1 (en) * 2015-11-12 2017-05-18 Double Ris Pty Ltd Improved knock box
CN107336925B (zh) * 2017-06-29 2019-07-09 安徽省华腾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纸杯回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307A2 (en) * 2007-06-18 2008-12-24 Nuriinternational Co., Ltd. Lid assembly and garbage can using the same
WO2008156307A3 (en) * 2007-06-18 2009-02-26 Nuriinternat Co Ltd Lid assembly and garbage can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527A (ko) 200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495B1 (en) Storage container with multiple divided compartments
US7204407B2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waste, dirty laundry, and the like
US20020066736A1 (en) Refuse receptacle with integrated replacement liner retaining and dispensing means
US20090236345A1 (en) Trash Receptacle With Dispensable Bags
US5878904A (en) Trash can divider for recyclable materials
JP2009507741A (ja) 廃棄物モジュール
KR100658372B1 (ko) 종이컵 단위수량 적재 수거함
WO2004009474A1 (en) Waste recycling bin
KR20120016391A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이동 퍼즐식 쓰레기통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CN209275377U (zh) 内置垃圾袋的双层垃圾桶
US11731802B2 (en) Plate pocket for pizza box
AU2020299022A1 (en) A device for holding a collection receptacle in a waste container
US9284116B2 (en) Waste receptacle
GB2444024A (en) A refuse bin
KR20040009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83995Y1 (ko) 규격봉투 다량설치 쓰레기통
KR200383990Y1 (ko) 규격봉투 다량설치 쓰레기통
KR200488814Y1 (ko) 종량제 쓰레기 봉투 형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 거치형 쓰레기통
KR200350056Y1 (ko) 공중 쓰레기통
US20060102627A1 (en) Refuse receptacle with hinged support
KR970004709Y1 (ko)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KR101839056B1 (ko) 봉투지지체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통
JPH02117501A (ja) コップ回収容器
KR200323957Y1 (ko) 재활용품 수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