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09Y1 -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09Y1
KR970004709Y1 KR2019940033261U KR19940033261U KR970004709Y1 KR 970004709 Y1 KR970004709 Y1 KR 970004709Y1 KR 2019940033261 U KR2019940033261 U KR 2019940033261U KR 19940033261 U KR19940033261 U KR 19940033261U KR 970004709 Y1 KR970004709 Y1 KR 970004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ain body
zone
ashtray
pap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2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429U (ko
Inventor
김성찬
Original Assignee
김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찬 filed Critical 김성찬
Priority to KR20199400332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09Y1/ko
Publication of KR960022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15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locking, fastening or permanently clos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4Ash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04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 2 도(a) 내지 (c)는 각각 제 1 도에 도시된 쓰레기통의 축소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제 3 도는 서랍형 재떨이 통, 종이컵 수거 통 및 쓰레기 배출구용 미닫이 문이 쓰레기통 본체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축소 정면도
제 4 도(a) 내지 (c)는 각각 종이컵 수거 통의 축소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제 5 도(a)내지 (c)는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의 제2실시예의 축소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쓰레기통 3, 103 : 일반 쓰레기 구역
8, 108 : 재떨이 구역 10, 110 : 쓰레기통 본체
15, 115 : 재떨이 통 20, 120 : 재활용품 구역
25, 125 : 램프 30 : 종이컵 수거 통
36, 136, 156 : 고리 150 : 문
본 고안은 쓰레기통, 특히 가로의 인도변에 설치하여 쓰레기를 유형별로 분리 수거하기 위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 보존 및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쓰레기 분리 수거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인도용 쓰레기통은 쓰레기 분리 수거 기능이 없으며, 또한 부패된 쓰레기가 쉽게 들여다 보이는 등, 외관 및 공중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다.
종래의 인도용 쓰레기통은 또한, 한국인의 표준 신장에 비해 그 높이가 현저히 낮아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 및 쓰레기를 수거하는 사람이 상체를 상당히 구부려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다.
주택가, 특히 아파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은 단순한 형태의 여러개의 통을 나란히 놓은 것으로서, 쓰레기통마다 특정 쓰레기만을 넣게 하여 분리 수거를 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쓰레기통은 커다란 통을 여러개 늘어 놓은 것으로서 차지하는 공간이 클 뿐만 아니라 쓰레기의 수거에도 불편하여 인도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또한,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중에는 그 외부가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에 담긴 쓰레기가 보이게 되어 있는 것이 있어 외관상좋지 않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쓰레기 수거 구역과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 수거 구역이 하나의 쓰레기통에 포함되어 있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 면적이 작아서 인도용으로도 적합한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인의 표준 신장에 맞는 높이를 가짐으로써 인도용으로 적합한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 및 공중 위생상 양호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가 용이한 인도용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은 상부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형인 본체와, 본체의 상단 개구부의 전방측을 폐쇄하는 대략 직육면체형인 재떨이 구역과, 상기 재떨이 구역의 아래에 배치되고 본체 내부의 격벽과 본체의 전방벽 및 양측벽에 의해서 한정되고 전방벽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된 투입구와 배출구를 통해서 외부와 통하는 재활용품 구역과, 본체 내부의 격벽과 본체의 후방벽, 양 측벽 및 바닥벽에 의해서 한정되고 일반 쓰레기를 투입 및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일반 쓰레기 구역과, 사용된 종이컵을 차례로 포개서 수거할 수 있도록 쓰레기통 본체의 일측벽에 마련된 종이컵 수거 구역으로써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은,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저면 및 상면으로 이루어지고 횡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전면은 하부벽과 그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벽으로 되어 하부벽과 상부벽 사이에 계단부를 형성하고 상면은 전방 모서리가 후방 모서리 보다 높은 경사벽으로 되어 있고, 후면에 문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계단부에 마련된 재떨이 구역과; 본체 내부의 격벽, 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의해서 한정되고, 전면의 상부벽 및 하부벽에 각각 마련된 투입구와 배출구를 통해서 외부와 통하는 재활용품 구역과; 본체의 상면, 좌측면, 우측면, 저면 및 본체 내부의 격벽에 의해서 한정되고 본체 전면의 상부벽의 재활용품 투입구 위에 마련된 투입구를 갖고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상기 문을 배출구로 하는 일반 쓰레기 구역과; 사용된 종이컵을 차례로 포개서 수거할 수 있도록 본체의 일 측면에 마련하는 종이컵 수거 구역으로써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술하기로 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도용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1)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쓰레기통(1)의 본체(10)은 대략 5mm 두께의 스테인레스강판 등의 금속판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된 대략 직육면체형으로서, 전방벽(16), 후방벽(17), 측벽(18, 19)와, 바닥벽(13)으로 구성된다. 쓰레기통(1)은 제 2 도 (c)의 좌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 쓰레기 구역(3), 재떨이 구역(8) 및 재활용품 구역(20)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벽(19)에는 종이컵 수거 통(30)이 부착된다. 제 3 도 (c)와 같이, 격벽(21)의 하단부는 램프(ramp, 25)를 형성한다.
재떨이 구역(8)은 본체(1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며, 복수개의 슬릿(11)이 형성된 재떨이 상판(12)와, 그 아래에 측벽(18)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본체(10)에 착탈되는 서랍형 재떨이 통(15)로써 구성된다. 서랍형 재떨이 통(15)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으로서, 일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담배 꽁초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서랍형 재떨이 통(15)에 수거함으로써 화재 발생의 우려가 없어지고, 서랍형으로 되어 있어 담배 꽁초 등의 수거가 매우 간편하다.
재떨이 구역(8) 아래에는 재활용품 구역(20)이 마련된다. 재활용품 구역(20) 상부의 전방벽(16)에는 재활용 쓰레기 투입구(22) 마련되며, 제 2 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를 힌지로 하여 선회될 수 있고 자중에 의해 복귀되는 문(23)이 투입구에 설치된다.
따라서, 재활용 쓰레기 투입시 사용자의 미는 힘에 의해 문(23)이 후방으로 선회되어 열리고 쓰레기 투입 후에는 문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닫히므로 재활용 쓰레기가 쉽게 오염 또는 훼손되지 않는다.
재활용품 구역 하부의 전방벽(16)에는 투입구(22) 보다 큰 면적의 재활용품 쓰레기 배출구(24)가 마련되고, 배출구(24)는 미닫이식 문(26)에 의해 개폐된다.
미닫이식 문(26)의 외면에는 개폐를 쉽게 하지 위해 손잡이가 제공된다. 격벽(21)의 하단부는 본체의 바닥면(13)에 대하여 각도 α로, 양호하게는 30°로 경사져 램프(25)를 형성한다.
재활용품 쓰레기 수거시에는 문(26)이 개방되면 재활용품 구역에 담겨 있던 재활용품이 자중에 의해 램프(25)를 따라서 쏟아져 나오므로 수거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쓰레기통의 내부 공간중 재떨이 구역(8) 및 재활용품 구역(20)을 제외한 공간은 일반 쓰레기 구역(3)으로 사용된다. 일반 쓰레기 구역(3)에는 포대(도시안됨)를 걸어두어 쓰레기가 포대로 투입되도록 하여 쓰레기 수거시에는 포대채로 들어내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해, 일반 쓰레기 구역(3)을 형성하는 격벽(21), 측변(18, 19) 및 후방벽(17)의 내면 상에는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약 15cm정도 이격된 위치에 쓰레기 수거용 포대를 집어 고정하는 집게(5)가 소정 개수 만큼 서로 이격되어 부착된다. 본 실시에에서는 제 2 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1) 및 후방벽(17)에는 각각 2개의 집게가, 대향 측벽(18, 19)에는 각각 1개의 집게가 부착되어 있다.
쓰레기통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고 쓰레기 수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쓰레기 수거용 포대는 통상적으로 그 상부 입구 부분을 쓰레기통 외측으로 접어 걸치는 방식으로 사용하므로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용 포대의 길이가 사용되는 쓰레기통의 높이보다 더 길어야만 한다. 이에 비해 본 고안의 쓰레기통에서는 쓰레기 수거용 포대의 상부 입구 부분이 쓰레기통의 내부에서 집게에 의해 고정되므로 쓰레기 수거용 포대의 상부 입구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보기 좋으며, 쓰레기 수거용 포대의 길이가 사용되는 쓰레기통의 높이보다 더 길어야 할 필요가 없다.
쓰레기통 본체의 측벽(19)의 중간 부분에는, 종이컵을 수거하기 위한 종이컵 수거 통(30)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역삼각형으로 이격 배치된 3개의 고리(36)이 마련된다. [제 2 도 (c)].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컵 수거 통(30)은, 종이컵을 수납하도록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된 약 0.2mm 두께의 2개의 중공원통형 종이컵 수납체(34)와, 상기 중공 원통형 종이컵 수납체(34)들이 꼭 끼워 맞춤되어 직립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종이컵 수납체 받침대(35)로 되어 있다. 받침대(35)의 일측면에는 쓰레기통 본체의 측벽(19)의 3개의 고리(36)과 결합되는 3개의 훅(hook, 38)이 형성된다. 종이컵 수거 통(30)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컵 수납체 받침대(35)의 훅(38)들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고리(36) 각각에 끼워 맞추어지는 방식으로 쓰레기통 본체의 측벽(19)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종래에는 종이컵을 수거하기 위해 별도의 쓰레기통에 버리게 하거나 일정 위치에 사용한 종이컵을 그대로 포개어 쌓아 올린 후 이를 수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에 있어서는 종이컵 수거 부피가 커지게 되거나, 종이컵이 어느 정도 높이 이상 쌓인 때에는 외관상 좋지 않으며 쌓아둔 종이컵이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된 종이컵 수납체(34) 상부에서 투입하기만 하면 그 내부에서 차례로 포개어지므로 많은 양의 종이컵을 수거할 수 있고 종이컵의 수거시 종이컵 수거 통(30)을 본체(1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를 거꾸로 뒤집기만 하면 그 수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쓰레기통 본체(10)은 양호하게는 한 변의 길이가 약 60cm인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약 120cm의 높이를 갖는다. 쓰레기통 본체의 이러한 높이는 한국인 표준 신장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으로서, 종래의 인도용 쓰레기통은 그 높이가 현저히 낮아 경우에 따라서는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 및 수거하는 사람이 상체를 상당히 구부려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쓰레기통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함과 동시에 높이의 증가에 따라 쓰레기 수거 용량이 증가되는 잇점이 있다.
제 5 도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101)이 도시되어 있다.
쓰레기통 본체(110)은 전면(116, 116'), 후면(117), 좌, 우측면(118, 119), 저면(113) 및 상면(160)으로 구성된다. 전면은 상부벽(116)과 하부벽(116')으로 되어 있으며, 제 5 도 (c)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벽(116)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부벽(116')의 하단부와 하부벽(116)의 상단부 사이에는 계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계단부에는 재떨이 구역(108)이 배치된다. 재떨이 구역(108)은 재떨이 상판(112)와 서랍형 재떨이 통(115)로 되어 있다. 재떨이 상판(112)는 그 주변부가 중심을 향해 하향 경사면(113)을 이루고 중앙부에는 격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담배 꽁초 등의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 쓰레기가 하방으로 미끄러져 재떨이 통내로 떨어진다. 서랍형 재떨이 통(115)는 제1실시예에서 처럼 측면(118)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활주식으로 본체에 끼워지거나 이로부터 빠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떨이 구역(108)의 하방 및 후방에는 재활용품 구역(120)이 마련된다. 재활용품 구역(120)은 격벽(121)에 의해 후술하는 일반 쓰레기 구역(103)과 분리된다. 재활용품 구역(120)의 투입구(122) 및 배출구(124)는 상부벽(116') 및 하부벽(116)에 각각 형성된다. 투입구 및 배출구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힌지식 투입구 문(123)과 미닫이식 배출구 문(126)이 마련된다.
본체(110)의 내부 공간 중 재떨이 구역(108)과 재활용품 구역(120)을 제외한 공간은 일반 쓰레기 구역(103)을 형성한다. 제 5 도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면(160)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면을 이룬다. 전면 상부벽(116')상의 재활용품 구역의 투입구 위에 일반 쓰레기 구역의 투입구(104) 및 문(107)이 형성되며, 그 구조는 재활용품 구역의 투입구 및 문 구조와 동일하다.
일반 쓰레기 구역을 형성하는 본체의 후면 (117)에는 일반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 쓰레기용 배출구 문(150)이 마련된다. 상기 문(150)은 하나의 측면 모서리가 쓰레기통 본체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완전개방 위치 및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할 수 있다. 문(150)의 자유 모서리 축에는 문을 완전 폐쇄 위치에서 본체(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단은 문(150)의 외부면상의 노브(knob, 152)와, 상기 노브와 축으로 연결되어 노브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도록 된 문(150) 내부에 형성된 훅(154)를 포함한다. 또한, 문(150)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훅(154)가 걸리도록, 후면(117) 내부의 대응 위치에 고리(156)이 마련된다. 쓰레기 수거자는 외부에서 노브를 잡고 회전시켜 훅(154)를 상기 고리(156)에 결합시키거나 이와 분리시킬 수 있다.
일반 쓰레기 구역(103)에는 종래의 통상적인 통(tub) 형태의 쓰레기통(140)이 상기 문(150)을 통해 수납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쓰레기통(140)에는 통상적인 비닐 등으로 제조된 쓰레기 수거용 포대가 씌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와 달리 일반 쓰레기 구역의 쓰레기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외관 및 공중 위생상 좋으며, 통상적인 쓰레기통(140)을 일반 쓰레기 구역(103)에 상기 문(150)을 통해 수납시켜 쓰레기를 수납함으로써 일반 쓰레기 구역 내부가 오염되지 않고 쓰레기의 수거시 상기 문(150)을 통해 쓰레기통(140)을 끌어내 수거할 수 있으므로 수거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일반 쓰레기용 투입구의 아래에서 격벽(121)의 상부가 상부벽(116')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벽(127)을 형성하여 쓰레기 투입시 쓰레기가 그 위로 미끄러져 쓰레기통(140)으로 떨어진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 종이컵 수거 구역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본 고안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여러가지로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다. 예컨대, 재떨이 통을 서랍식이 아닌 순간 결합식 등 다른 착탈 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으며, 일반 쓰레기 구역과 재활용품 구역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다. 또한, 본체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Claims (14)

  1. 상부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형인 본체(10)과,
    본체(10)의 상단 개구부의 전방축을 폐쇄하는 대략 직육면체형인 재떨이 구역(8)과, 상기 재떨이 구역(8)의 아래에 배치되고 본체(10) 내부의 격벽(21)과 본체(10)의 전방벽(16) 및 양측벽(18, 19)에 의해서 한정되고 전방벽(16)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마련된 투입구(22)와 배출구(24)를 통해서 외부와 통하는 재활용품 구역(20)과, 본체(10) 내부의 격벽(21)과 본체(10)의 후방벽(17), 양 측벽(18, 19) 및 바닥벽(13)에 의해서 한정되고 일반 쓰레기를 투입 및 수거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일반 쓰레기 구역(3)과, 사용된 종이컵을 차례로 포개서 수거할 수 있도록 쓰레기통 본체(10)의 일측벽(19)에 마련된 종이컵 수거구역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 구역(8)은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재떨이 상판(12)와, 쓰레기통 본체의 상기 측벽(19)의 반대측 측벽(18)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탈착 가능한 재떨이 통(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 상판(12)는 그 중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표면(1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4. 제 1항에 있어서, 격벽(21)의 하단부가 상기 배출구(24) 부근에서 전방벽(16)의 바닥 모서리를 향하여 경사져 램프(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쓰레기 구역(3)을 형성하는 겹격(21), 후방벽(17) 및 대향 측벽(18, 19)들의 내면 상부 모서리 부근에 쓰레기 수거용 포대를 파지하기 위한 각각 하나 이상의 집게(5)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종이컵 수거 구역은 본체(10)의 일측벽(19)에 역삼각형으로 배치된 3개의 고리(36)들과, 고리(36)에 삽입되는 3개의 훅(38)이 일측면에 마련된 종이컵 수납체 받침대(35)와, 종이컵 수납체(35)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 원통형 종이컵 수납체(34)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0)의 높이는 1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8. 전면(116, 116'), 후면(117), 좌측면(118), 우측면(119), 저면(113) 및 상면(160)으로 이루어지고 횡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전면은 하부벽(116)과 그 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상부벽(116')으로 되어 하부벽(116)과 상부벽(116')사이에 계단부를 형성하고 상면(160)은 전방 모서리가 후방 모서리 보다 높은 경사벽으로 되어 있고, 후면(117)에 문(150)이 마련된 본체(110)과, 상기 계단부에 마련된 재떨이 구역(108)과, 본체(110) 내부의 격벽(121), 전면(116, 116'), 좌측면(118) 및 우측면(119)에 의해서 한정되고, 전면의 상부벽(116') 및 하부벽(116)에 각각 마련된 투입구(122)와 배출구(124)를 통해서 외부와 통하는 재활용품구역(120)과, 본체(110)의 상면(160), 좌측면(118), 우측면(119), 저면(113) 및 본체(110) 내부의 격벽(121)에 의해서 한정되고 본체 전면의 상부벽(116')의 재활용품 투입구(122) 위에 마련된 투입구(104)를 갖고 본체의 후면(117)에 마련된 상기 문(150)을 배출구로 하는 일반 쓰레기 구역(103)과, 사용된 종이컵을 차례로 포개서 수거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일측면(119)에 마련되는 종이컵 수거 구역으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 구역은 그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표면(113)을 갖고 중앙부가 격자형으로 된 재떨이 상판(112)와, 본체(110)의 일측면(118)에 마련된 개구를 통해 착탈 가능한 서랍형 재떨이통(1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10. 제 8 항에 있어서, 재활용품 구역(120)의 투입구(122)는 일단부가 힌지식으로 되어 있어 자유 단부가 선회될 수 있는 문(123)이 마련되고, 상기 재활용품 구역의 배출구(124)에는 미닫이식 문(126)이 마련되며, 본체(110) 내부의 격벽(121)은 배출구 부근에서 전면 하부벽(116)의 하부 모서리를 향해 경사져 램프(12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11. 제 8 항에 있어서, 격벽(121)의 상부는 재활용품 구역(120)의 투입구(122)와 일반 쓰레기 구역(103)의 투입구(104) 사이에서 전면 상부벽(116')과 결합되고 상부벽(116')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벽(12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12. 제 8 항에 있어서, 일반 쓰레기용 배출구 문(150)은 하나의 측면 모서리가 쓰레기통 본체에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완전 개방 위치 및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가능하고, 문(150)의 자유 모서리 측에는 문을 완전폐쇄 위치에서 본체(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13. 제 8 항에 있어서, 종이컵 수거 구역은 본체(110)의 일측면(119)에 역삼각형으로 배치된 3개의 고리(136)들과, 고리(136)에 삽입되는 3개의 훅(38)이 일측면에 마련된 종이컵 수납체 받침대(35)와, 종이컵 수납체 받침대(35) 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 원통형 종이컵 수납체(34)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14.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본체(110)의 높이는 12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KR2019940033261U 1994-12-08 1994-12-08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KR970004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261U KR970004709Y1 (ko) 1994-12-08 1994-12-08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261U KR970004709Y1 (ko) 1994-12-08 1994-12-08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29U KR960022429U (ko) 1996-07-20
KR970004709Y1 true KR970004709Y1 (ko) 1997-05-19

Family

ID=1940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261U KR970004709Y1 (ko) 1994-12-08 1994-12-08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29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7338A (en) Container for segregating waste materials
US5090785A (en) Multi-compartment container
US5458350A (en) Recycle collector dolly
US5076458A (en) Recyclable trash collection station for household usage
EP0507776B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waste products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CA2394252C (en) A lid for a refuse container
US20090236345A1 (en) Trash Receptacle With Dispensable Bags
US5181619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toring and collecting separated solid waste
US6889604B2 (en) Lid for a refuse container
US6293409B1 (en) Y-shaped garbage and recyclables separating disposal system
GB2252898A (en) A compartmentalised container for recyclable waste
US5213402A (en) Recycling cabinet unit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970004709Y1 (ko) 일체형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KR200405906Y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KR100748615B1 (ko) 쓰레기 운반용 카트
CN210437846U (zh) 多功能组合式垃圾桶
CN211593759U (zh) 一种垃圾分类桶
US20030164316A1 (en) Waste container receptacle
CN214932769U (zh) 易清洗的家用垃圾分类环保垃圾桶
CN103420062A (zh) 一种可分类垃圾收集装置
KR950006524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CN208915956U (zh) 一种宾馆用垃圾桶
WO1999002431A1 (en) Trash container, waste collecting vehicle, and indoor trash bin for collecting waste materials selective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