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50B1 -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50B1
KR970001750B1 KR1019940009889A KR19940009889A KR970001750B1 KR 970001750 B1 KR970001750 B1 KR 970001750B1 KR 1019940009889 A KR1019940009889 A KR 1019940009889A KR 19940009889 A KR19940009889 A KR 19940009889A KR 970001750 B1 KR970001750 B1 KR 97000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using
winding
inle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심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성 filed Critical 심종성
Priority to KR101994000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50B1/ko

Link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제1도는 네개의 투입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일측의 두 투입구를 통과하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4도는 용기적층부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
제5도는 괘지유지부의 분해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괘지유지부의 괘지상태 및 해제상태의 작동설명도.
제7도는 투입관의 종단면도.
제8도는 투입관의 저면도.
제9도는 권취휠의 탄성회동을 위해 나선 스프링을 채용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제10a도 및 제10b도는 투입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종이컵이나 인스턴트식품의 용기와 같은 일회용 용기를 수거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수거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식품이나 자동판매기의 이용이 증대됨에 따라 그에 이용된 다음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의 양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일회용 폐용기는 외관부피가 훨씬 크기 때문에, 쓰레기통등의 공간을 과도하게 많이 점유하여 전체적인 폐기물의 양을 증대시키고 있고, 이에 따라 미관과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또 그렇게 폐기된 일회용 용기중에는 종이컵과 같이 양질의 재활용자원도 존재하고 있지만, 일단 폐기된 다음에는 선별분류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의 적절히 적층수거하여 폐기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재활용을 위한 분류를 용이하게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공의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상기 용기의 투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각 투입구의 내측에 투입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용기를 다수 적층지지할 수 있는 용기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투입구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유지하는 탄성부세수단을 가진 용기적층부와; 상기 용기지지체상에 최종적으로 적층된 용기가 투입구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최대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용기의 소정 부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물리며, 상기 용기의 투입시 상기 용기의 투입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괘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괘지부재를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여기서, 용기투입구를 하우징의 측방에 마련하여 용기를 측방으로 투입할 수도 있지만, 간단한 구성을 위하여는, 하우징을 기립상태로 유지하고, 투입구는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지지체는 용기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형상부를 가지고 용기를 그 용기개구부가 하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용기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면에, 폐기할 용기의 내부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잔존내용물을 투기할 수 있는 추가의 투입구를 마련하여 두고, 하우징내에는 잔량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잔량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잔량 수용부를 마련할 경우, 주위 및 본 장치를 비교적 청결히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용기적층부는 용기지지체의 상하이동을 확실히 보장하기 위하여, 그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가질 수 있다.
가능한한 많은 폐용기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지지체를 탄성부세하는 탄성부세수단은, 하우징내부의 상부영역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휠과, 권취휠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가능하며 타단이 용기지지체를 포함한 상하운동부를 현수유지하는 현수와이어와, 현수와이어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휠을 일방향 탄성회전시키는 권취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때 권취스프링의 작동행정을 줄이기 위하여, 권취휠에 대한 권취스프링의 작용반경은 현수와이어의 권취반경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스프링으로서 인장스프링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인장스프링의 일단을 하우징의 하부측에 고정하고 그 타단을 스프링 와이어에 연결시키며, 권취휠은 하우징의 권취반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스프링 와이어와 권취될 수 있는 추가의 권취부를 갖도록 하면 된다. 혹은, 권취스프링을 내측단이 권취휠의 축심영역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측단이 현수 와이어의 권취반경 보다 작은 작용반경을 갖도록 권취휠에 고정되는 나선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적층수용된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괘지부재는, 용기의 투입시 용기의 투입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여 괘지해제할 수 있도록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괘지부재가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괘지위치를 넘어 상방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수단이 마련되어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하우징의 상면에 투입구를 형성하는 투입관을 설치하고, 투입관의 하우징내측 단부는 멈춤수단으로서 역할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수용된 용기들을 제거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입관은 하우징외측으로서의 이동조작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괘지부재는 상향회동하여 적층수용된 용기들을 투입구로부터 회수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수거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장치(1)는 전체적으로 거의 사각기둥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2)을 가지고, 하우징(2)의 상면에는 네 개의 용기투입용 투입구(61)를 형성하는 투입관(60)이 마련되어 있고, 상면의 중앙에는 폐기할 용기의 잔존 내용물을 투기할 수 있는 잔존물 투입구(10)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측면에는 적층된 용기의 양을 감시할 수 있도록 다수의 투시창(3)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하단에는 장치(1)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4)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2)의 하단부영역에는 잔존물 투입구(10)를 통해 투기된 내용물을 수용하는 서랍형태의 잔존물수용부(6)가 마련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일측의 두 투입구(61)를 통과하는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장치(1)의 하우징(2)내에는 대체적으로, 폐용기 예를들어 종이컵(7)의 적층지지하기 위한 용기적층부(30)와, 적층수용된 종이컵(7)의 외향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괘지부(15)로 이루어져 있다.
용기적충부(30)에 대해서는, 제4도에 확대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므로, 제4도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이컵(7)들을 직접 적층지지하는 용기지지체(42)는, 종이컵(7)의 내부형상에 거의 일치하여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그 하부에는 넓은 플랜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지지체(42)는 연결로드(43)를 통하여 안내체(44)와 일체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대향한 두 투입구(61)에 부속된 각 안내체(44)는, 그들 사이에 설치된 역 U자형상을 한 프레임(32)의 각기둥(33)에 상하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안내체(44)는 자체에 형성된 홈으로 프레임의 수직안내기둥(33)츨 형상맞춤하여 수용하고, 그 수용상태에서 상호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볼트(47)에 의해 마감판(46)이 부착된다. 이에 의해 안내체(44)는 프레임(32)의 수직안내기둥(33)에 강제안내되어 수직슬라이딩하며, 그에 따라 안내체(44)에 이체로 결합된 용기지지체(42)도 안정된 수직이동이 보장된다.
프레임(32)의 상단영역에는, 권취휠(36)이 프레임(32)에 고정된 축핀(34)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권취휠(36)의 자유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36)과 축핀(34)사이에 베어링을 마련할 수도 있다. 권취휠(36)의 외주에는 현수와이어(54)를 권취할 수 있는 권취홈(37)이 형성되어 있다.
현수와이어(54)는, 일단이 안내체(44)를 매달고 있는 형태로 안내체(44)에 고정되고, 권취홈(37)에 수회 권취된 다음, 타단은 권취휠(36)의 일측에 형성된 홈(40)을 통해 인출되어 권취휠(36)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권취휠(36)은 축핀(36)을 따라 연장된 또 하나의 권취부(38)를 가지고 있으며, 이 권취부(38)에는 마찬가지로 권취휠(36)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와이어(56)가 수회 권취되어 있고, 이 스프링와이어(56)는 다시 하향연장되어 인장코일스프링인 권취스프링(52)에 연결되어 있다. 권취스프링(52)은 하우징(2)의 하부측에 가로로 설치된 하부프레임(31)에 고정된 핀(50)에 하단이 걸리고, 상단은 전술한 스프링와이어(56)에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권취스프링(52)의 장력에 의하여 권취휠(36)이 탄성적으로 회동하게 되며, 권취휠(36)의 회동은 현수 와이어(54)를 권취시켜 현수 와이어(54)에 매달린 안내체(44)를 탄성적으로 상향이동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컵(7)이 하나도 투입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2도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지지체(42)가 최상단에까지 상승하여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게 되지만, 컵(7)이 투입되어 적층되면 제2도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지지체(42)는 점차 하강하게 된다. 이때 용기지기체(42)가 점차 하강하면, 현수 와이어(54)는 그만큼 권취휠(36)로부터 풀려 나오게 되고, 그에 따라 권취휠(36)이 회전한 만큼 권취스프링(52)도 인장되게 된다.
여기서, 권취스프링(52)에 연결된 스프링 와이어(56)의 권취반경 즉 소경권취부(38)의 반경이 현수 와이어(54)의 권취반경 즉 권취홈(37)의 권취반경 보다 작기 때문에, 권취스프링(52)의 인장행정은 용기지지체(42)의 하강행정에 비해 그 반경차만큼 비례하여 작아지게 된다. 이에 의해 권취스프링(52)의 영구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양의 컵(7)을 적층수거할 수 있다.
제2도 및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권취스프링(52)으로서 인장코일스프링을 채용하였지만,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선스프링(70)을 권취스프링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나선스프링(70)은 내단부가 축핀(34)에 고정되고 외측단부가 권취휠(36)의 측면에 고정되어, 권취휠(36)를 일방향으로 탄성회전시킨다.
한편, 미설명부호인 48은 안내체(44)에 측방돌출된 인식부로서, 하우징(2)의 투시창(3)을 통해 안내체(44)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적층된 컵(7)의 양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인식부(48)의 선단에는 외부로부터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색상이나 형광물질등을 도포할 수 있다.
제5도는 괘지유지부(15)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괘지유지부(15)는, 용기지지체(42)상에 적층된 컵(7)이 투입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외향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괘지유지뷰(15)는 컵(7)의 개구측 플랜지부에 외측으로부터 걸리는 원호부(28)를 가진 상호 대향한 한쌍의 괘지편(29)과, 이 괘지편(29)을 각각 지지하는 회동부(18)를 가지고 있다. 괘지편(29)과 회동부(18)는 고정볼트(27′)에 의해 상호 일체로 체결되며, 수거되는 용기의 종류에 따라 괘지편(29)의 대향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괘지편(29)위 볼트관통공은 장공(27)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18)는 상방돌출한 두 개의 플랜지(20)를 가지고 각 플랜지(20)는 상호 정렬되게 형성된 관통공(20′)을 갖는다. 이들 플랜지(20)는, 하우징(2)에 고정되는 브래킷(16)의 절곡부(17)와 대면하여 조립되며, 브래킷(16)의 절곡부(17)에도 대응하는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공(17′,20′)을 회동핀(22)이 관통하고, 회동핀(22)에는 회동핀(22)이 관통공(17′,20′)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에 스냅링(23) 등이 결합된다. 이에 의해 회동부(18)는 회동핀(22)에 대해 소정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괘지편(29)도 상하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괘지편(29)은 투입관(60)의 하단에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의 회동은 투입관(60)에 의해 저지된다.
회동부(18)는 하향절곡부를 가지며, 이 하향절곡부에는 스프링지지봉(26)이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봉(26)의 양단에는 길이부(26′)가 마련되어 있어, 하나의 투입구(61)에 대응하는 한쌍의 회동부(18)를 두 개의 인장스프링(24)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향한 두 회동부(18)는 괘지편(29)이 상향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되게 된다.
이러한 괘지유지부(15)의 구성에 의해, 괘지상태를 단면도로서 나타낸 제6a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괘지편(29)을 인장스프링(24)에 의해 상향부세되고 있지만 투입관(60)의 하단에 의해 저지되고 있으므로 상향이동하지 아니하고 투입된 컵(7)을 이탈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컵(7)이 투입될 경우에는, 컵이 개구부측 플랜지가 괘지편(29)의 원호부영역을 가압하게 되므로, 괘지편(29)과 회동부(18)는 인장스프링(24)의 인장력에 반하여 회동하여, 괘지편(29)은 하향변위되게 된다. 동시에 용기지지체(42)도 컵(7)의 투입력에 의해 하향이동한다.
이에 의해 컵(7)은 괘지위치를 넘어 하부로 밀려들어가고, 괘지편(29)은 다시 인장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동되어 괘지위치로 복귀하며, 따라서 투입된 컵(7)은 괘지편(29)에 의해 이탈이 저지되어 유지된다.
제6b도는 적충수용되어 있는 컵(7)을 회수하기 위해 괘지편(29)의 괘지상태를 해제하는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투입관(60)을 종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각각 나타낸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면, 투입관(60)은 하우징(2)의 상면에 접촉하는 플랜지(62)와, 그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각 두 개씩 돌출한 2단의 걸림돌기(66,64)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걸림돌기(66)와 하측 걸림돌기(64)는 투입관(6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간격을 가지고 있고, 하우징(2)의 상면판에는 투입관(60)의 둘레에 걸림돌기(66,64)가 출입할 수 있는 요홈(69이 걸림돌기(66)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투입관(60)의 조립시에는, 투입관(60)의 하단측에 형성된 걸림돌기(64)를 하우징(2)의 상면의 요홈(69)에 맞추어 삽입한 다음, 투입관(60)을 소정각도 돌려서 걸림돌기(66)을 요홈(69)에 맞추어 삽입하고 다시 약간 돌려 놓으면, 걸림돌기(66)와 요홈(69)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투입관(60)은 제6a도와 같은 상태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장착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층수용된 컵(7)들을 회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투입관(60)의 걸림돌기(66)를 요홈(69)에 일치시켜 인출시키면, 괘지편(29)은, 인장스프링(24)의 작용에 의해, 제6b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이동하여 컵(7)의 괘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수용된 컵들은, 권취스프링(52)의 작용에 의해 상승하는 용기지지체(42)를 따라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되므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제10a도 및 제10b도는 투입관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설명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투입관(60)을 외부로 인출하지 아니하고 수용된 용기의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투입관(60)은 괘지편(29)과 접촉하는 하단부측이 파형이 캠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어 투입관(60)이 회전함에 따라 괘지편(29)은 이 파형을 따라 상승하강한다. 괘지편(29)이 투입관(60)의 하단부의 돌출파형부에 위치하는 경우 즉 괘지편(29)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괘지상태를 이루고, 괘지편(29)이 투입관(60)의 하단부의 함몰파형부에 있는 경우 즉 괘지편(29)이 가장 상승한 상태에서는 괘지상태가 해제되어 용기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회용 용기를 폐기하고자 할 때 용기내에 남아 있는 커피나 인스턴트식품 등의 잔량물은 하우징(2)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잔량물 투입구(10)에 부으면 된다. 부어진 잔량물은 안내도관(12)을 따라 하향이동하여 하우징(2)의 최하단부에 마련된 잔량물수용부(6)에 도달하여 저장된다. 잔량물수용부(6)는 서랍형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잔량물이 소정량 차게 되면, 수용부(6)를 인출하여 수용된 잔량물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컵등의 용기에 남아 있는 잔량물을 잔량물투입구(10)에 투기하였다 하더라도, 용기내부에 약간의 잔존물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잔존물은 내부의 용기적층부등 기능부에 흘러들어가 작동을 저해하거나 불결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제2도 및 제4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지지체(42)는 그 플랜지부(41)내에 환상의 그루브(57)를 구비하고, 그루부(57)는 하향연장된 안내도관(58)에 연통하여 있고, 안내도관(58)은 잔량물수용부(6)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래서 용기내의 잔존물은 그루브(57) 및 안내도관(58)을 따라 잔량물수용부(6)에 흘러들어가게 되므로 주위를 오염시키지 아니한다. 여기서, 용기지지체(42)는 상하운동을 하므로 안내도관(58)은 그 상하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요성이 있는 연질튜브로 만들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일회용 용기를 용이하게 적층수거할 수 있으므로, 커피 등의 자동판매기에 부속설치할 경우 쓰레기의 발생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하고 자원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스트푸드점과 같이 일회용 용기를 다량 소비하는 매장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일회용 용기의 수거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기둥형상을 가지고 외면에 상기 용기의 투입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각 투입구의 내측에 투입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용기를 다수 적층지지할 수 있는 용기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상기 투입구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부세 유지하는 탄성부세수단을 가진 용기적층부와, 상기 용기지지에상에 최종적으로 적층된 용기가 투입구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용기의 최대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용기의 소정 부위에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맞물리며, 상기 용기의 투입시 상기 용기의 투입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괘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괘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립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투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체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를 용기개구부가 하향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의 잔존내용물을 투입하기 위한 추가의 투입구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잔량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잔량수용부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적층부는 상기용기지지체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체를 탄성부세하는 상기 탄성부세수단은 상기 하우징내부의 상부영역에 자유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휠과, 상기 권취휠에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가능하며 타단이 상기 용기지지체를 포함한 상하운동부를 현수유지하는 현수와이어와, 상기 현수와이어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기 권취휠을 일방향 탄성회전시키는 권취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휠에 대한 상기 권취스프링의 작용반경은 상기 현수 와이어의 권취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하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프링와이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이고, 상기 권취휠은 상기 항우징의 권취반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와이어가 권취될 수 있는 또 하나의 권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스프링은, 내측단이 상기 권취휠의 축심영역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측단이 상기 현수 와이어의 권취반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상기 권취휠에 고정되는 나선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부재는 상기 용기의 투입시 용기의 투입력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하여 괘지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괘지부재가 상기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괘지위치를 넘어 상방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투입구를 형성하는 투입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관의 하우징내측 단부는 상기 멈춤수단으로서 역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의 이동동작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상기 괘지부재는 상향회동하여 적층수용된 상시 용기들을 상기 투입구로부터 회수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괘지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투입관의 하우징내측 단부는 상하 승강하는 파형의 캠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1019940009889A 1993-05-06 1994-05-0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KR97000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889A KR970001750B1 (ko) 1993-05-06 1994-05-0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7723 1993-05-06
KR930007723 1993-05-06
KR1019940009889A KR970001750B1 (ko) 1993-05-06 1994-05-0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750B1 true KR970001750B1 (ko) 1997-02-15

Family

ID=2662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889A KR970001750B1 (ko) 1993-05-06 1994-05-06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75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05487A1 (en) Wastebasket equipped with roll vinyl pack
US4033478A (en) Cup dispenser
KR101484546B1 (ko)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EP0356051A1 (en) Device for using packs of flexible tubing in packaging
CN108349647B (zh) 废物存储设备
KR970001750B1 (ko) 일회용 용기 수거장치
JPH0654777A (ja) ペーパータオルディスペンサー
JP4952538B2 (ja) 廃棄物収容装置
CN212355184U (zh) 储物机构
US20060169697A1 (en) Liner Dispensing System
KR20120016391A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이동 퍼즐식 쓰레기통
WO1994026631A1 (en) Throwaway container recovery apparatus
CN221478394U (zh) 垃圾桶
EP1602599A2 (en) Container with two-part lid
CN217375807U (zh) 一种自收口垃圾桶
KR200415013Y1 (ko) 컵 인출장치
CN220263933U (zh) 垃圾桶
CN214525992U (zh) 一种连接式垃圾桶
CN216862527U (zh) 一种垃圾桶
KR200238059Y1 (ko) 일회용 컵 회수장치
CN214760250U (zh) 一种大容量落杯机构
KR101928429B1 (ko) 회전 숟가락 꽂이
KR930006254Y1 (ko)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JPS5834103Y2 (ja) 紙コツプ供給装置
KR102002712B1 (ko) 컵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