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12B1 - 컵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컵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12B1
KR102002712B1 KR1020170180968A KR20170180968A KR102002712B1 KR 102002712 B1 KR102002712 B1 KR 102002712B1 KR 1020170180968 A KR1020170180968 A KR 1020170180968A KR 20170180968 A KR20170180968 A KR 20170180968A KR 102002712 B1 KR102002712 B1 KR 10200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uter cylinder
cup
guide membe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9050A (ko
Inventor
손제균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0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컵수거장치가 개시된다. 내측에 컵을 수용하는 속이 빈 외부원통,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음료나 얼음을 음료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컵을 상기 원통의 일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의 일단에서 가이드부재 일단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컵수용부와 외부원통의 일단과 연통되고 음료이동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음료를 보관하는 음료보관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수거장치{Cup Collector}
본 발명은 컵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한 컵과 잔여음료를 분리하여 컵을 수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컵수거장치는 컵내부의 음료를 별도의 음료수거함에 버린 컵을 수거하였다. 음료수거함이 없는 경우에는 음료의 잔여물이 남아 있는 컵은 컵수거통에 컵을 버릴 수 없었으며, 음료가 남아있는 컵을 컵수거통에 투입하는 경우, 음료가 외부로 흘러내려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에 존재하는 컵수거장치는 별도의 음료수거함이 있거나, 음료수거함으로 연통되는 음료를 버리는 음료유입구를 가져야 했다.
또한, 음료를 버릴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음료가 담긴 컵은 쓰레기통 주위에 쌓이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음료가 담긴 컵을 버릴 경우, 음료와 컵을 분리하여 컵을 수거가능한 컵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수거장치를 통하여 버려진 음료를 간편하게 배출 시킬 수 있고, 수거된 컵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컵수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컵을 수용하는 속이 빈 외부원통,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음료나 얼음을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컵을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서 가이드부재 일단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컵수용부와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과 연통되고 상기 음료이동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음료를 보관하는 음료보관통을 포함하는 컵수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음료나 얼음을 이동시키기 위한 음료전달개구를 가지고,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부원통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막대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외부원통의 일단에서 외부원통의 일단과 동심으로 배치되고, 중심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원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은 외주의 일부를 따라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음료보관통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외부원통을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원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원통은 상기 걸림홈과 스냅결합하여 지지대에 고정되기 위한 후크를 외주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음료보관통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토출구로 음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컵을 수용하는 속이 빈 외부원통, 및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음료나 얼음을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컵을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컵수용부와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과 연통되고 상기 음료이동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음료를 보관하는 음료보관통,및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의 내주 일부에서 외부원통 일단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음료수거부를 포함하는 컵수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컵수용부에 포함된 가이드부재를 통하여 컵이 수거되고, 가이드부재의 개구를 통하여 음료보관통으로 음료를 전달하여 음료와 컵을 분리할 수 있어, 음료가 담긴 컵을 버릴 때 한 번에 음료와 컵을 분리하여 컵을 수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음료보관통의 토출구를 통하여 음료보관통에 보관된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버려진 음료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외부원통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외부원통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수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보관통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컵수용부의 결합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컵수거장치(1)는 컵수용부(10), 음료수거부(30) 및 지지대(50)를 포함할 수 있다.
컵수용부(10)는 일단이 음료수거부(30)의 일면과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컵이 투입될 수 있는 컵투입구(15)를 가진다. 또한, 컵수용부(10) 내부에는 가이드부재(13)가 위치할 수 있다. 음료수거부(30)는 컵수용부(10)를 통하여 수거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토출구(33)를 가질 수 있다. 평상시, 음료의 유출을 막기위해 토출구(33)는 마개(34)로 밀폐되어 있다. 지지대(50)는 컵수용부(10)와 결합되어 컵수용부(10)를 지지한다.
지지대(50)는 상업용 광고를 게제하거나, 게시판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컵수용부(10)와 음료수거부(3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본다.
컵수용부(10)는 외부원통(11), 가이드부재(13) 및 음료이동공간(16)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원통(11) 일단은 외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 돌출부(12a, 12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a, 12b)는 후술할 음료보관통(31)의 결합홈(38a, 38b)와 결합되어 외부원통(11)과 음료보관통(31)을 결합시킨다.
가이드부재(13)는 외부원통(11)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3)는 외부원통(11)의 내주면과 이격 배치되어 음료이동공간(16)을 형성한다. 가이드부재(13)와 외부원통(11)의 이격거리(d1, d2)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격거리(d1, d2)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가이드부재(13)로 투입된 컵 내부의 음료나 얼음과 같은 물체들이 어느 방향으로 배출이 되어도 음료이동공간(16)을 통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격거리(d1, d2)는 음료나 얼음 등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의 일단에는 가이드부재(13) 일단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된 거치대(20)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의 외주면에 결합걸쇠(19a, 19b)가 형성될 수 있고, 외부원통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8)에 의해서, 결합걸쇠(19a, 19b)는 슬라이딩하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컵은 가이드부재에 보관되고, 보관된 컵을 수거할 때, 가이드부재(13)는 외부원통의 가이드홈(18)에서 결합걸쇠(19a, 19b)를 분리하여, 외부원통(11)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원통(11)에 보관된 컵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음료수거부(30)는 음료보관통(31), 마개(34)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보관통(31)은 외부원통(11)과 연통되는 개구(32)를 가진다. 음료 및 얼음은 외부원통(11)과 가이드부재(13)가 형성하는 음료이동공간(16)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음료 및 얼음은 개구(32)를 통하여 음료보관통(31) 내부로 전달된다.
음료보관통(31)의 하부 일 지점에 토출구(33)를 형성하고, 토출구(33)를 통하여 외부로 음료가 배출된다. 토출구(33)는 도 2에서는 음료보관통(3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료보관통(31)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음료보관통(31)의 상부에 형성되어, 흡입기구등을 이용하여 음료보관통(31) 내부의 음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음료가 토출구(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때, 토출구(33)는 마개(34)로 밀폐되어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음료보관통(31)은 내부의 저면(37)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저면(37)은 토출구(33)가 형성된 방향의 높이가 낮도록 기울기를 가진다. 이를 통하여, 음료보관통(31)에 수거된 음료와 같은 액체들이 토출구(33)를 통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보관통(31)은 개구(32) 외주에서 결합홈(38a, 38b)을 가지고, 결합홈(38a, 38b)의 위치는 외부원통(11)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부(12a, 12b)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외부원통(11)과 음료보관통(31)의 결합구조는 도 6, 도 7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3은, 외부원통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외부원통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3)는 속이 빈 원통과 외부원통의 결합을 위한 결합걸쇠(19a, 19b) 및 거치대(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의 측면에는 컵에 담겨있는 음료가 음료이동공간(16)로 전달 될 수 있는 음료전달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음료전달개구(17)는 본 도면에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나, 가이드부재(13)는 복수개의 음료전달개구(17)를 가지는 것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원형이나 다양한 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전달개구(17)로 음료가 이동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부재(13)의 내주면은 내주면으로부터 가이드부재(13)의 중심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가이드판(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판은 컵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까지 가이드부재(13)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으로 갈수록 가이드판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부재(13)로 컵을 투입할 때, 음료는 중력에 의해 가이드판을 따라 음료이동공간(16)로 전달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3)의 일단에는 거치대(20)가 형성되고, 거치대(20)의 중앙부는 음료나 얼음의 이동을 위해 뚫려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3)는 복수의 막대(13a, 13b, 13c, 13d), 거치대(20) 및 보강링(21)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막대(13a, 13b, 13c, 13d)는 컵이 가이드부재(13)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배치할 수 있다. 복수의 막대(13a, 13b, 13c, 13d)는 일단에 거치대(20)와 부착되고, 보강링(21)에 의해서 기울어지거나 하는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보강링(21)을 복수개 배치하면, 컵을 거치대(20)로 안내하기 쉬워지나, 음료나 얼음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어, 보강링(21)의 개수를 선택함에 있어 얼음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결합걸쇠(19a, 19b)는 복수의 막대(13a, 13b, 13c, 13d)중에서 일부에 설치되거나, 전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걸쇠(19a, 19b)는 보강링(2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외부원통(11)과 결합할 수 있다면, 어느 위치든 설치가 가능하다.
거치대(20)의 형상, 결합걸쇠(19a, 19b)의 기능과 관련된 설명은 도 3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과의 차이점은 거치대(20)의 형성위치와 형상에 있다. 거치대(20)는 음료보관통(31)에 형성되어 개구(32)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보(23)와 개구(32)의 중심에서 컵투입구(15)를 향하도록 돌출된 원뿔(22)로 구성된다.
보(23)는 원뿔(22)의 무게와 수거된 컵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원뿔(22)의 밑면은 컵(C)의 입구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이드부재(13)에 수거된 컵을 제거하기 위해 외부원통(11)과 가이드부재(13)를 분리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 5의 경우, 컵(C)은 가이드부재(13)에 놓이지 않고, 거치대(20) 위에 적층되므로, 가이드부재(13)를 외부원통(11)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 5에서는 결합걸쇠(19a, 19b, 도 1참조) 및 가이드홈(18)은 생략하였다. 물론, 컵수용부(10)는 내부청소와 기타 다른 이유로 필요한 경우에는 결합걸쇠(19a, 19b) 및 가이드홈(18)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수용부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보관통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외부원통(11)의 일단은 돌출부(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a, 12b)는 외부원통(11) 일단의 외주 일부분에 형성되고,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a, 12b)는 본 도면에서 2개로 도시하였지만, 돌출부(12a, 12b)의 개수는 외부원통(11)이 음료보관통(31)에 결합하여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a, 12b)는 외부원통(11)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선대칭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a, 12b)와 동일평면상의 외부원통(11)의 중심이 돌출부(12a, 12b)의 무게중심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외부원통(11)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음료보관통(31)은 결합홈(38a, 38b)을 가진다. 또한, 결합홈(38a, 38b)의 일부분을 결합덮개(38c, 38d)에 의해서 덮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결합덮개(38c, 38d)는 결합홈(38a, 38b)의 모서리에서 돌출되어 결합홈(38a, 38b)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높이는 돌출부(12a)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외부원통(11)의 돌출부(12a, 12b)는 결합홈(38a, 38b)에 끼워지고, 외부원통을 회전하여 결합덮개(38c, 38d)에 의해서 돌출부(12a, 12b)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하여 외부원통(11)과 음료보관통(31)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와 컵수용부의 결합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50)는 걸림홈(55)을 형성한다.
걸림홈(55)은 외부원통(11)에 형성된 결합장치(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 결합장치와 걸림홈(55)은 스냅결합하여 외부원통(11)과 지지대(50)가 결합되고, 외부원통(11)은 지지대(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걸림홈(55)과 결합장치 외에도, 클램프를 구비하거나,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외부원통의 돌출부(12a, 12b)와 음료보관통(31)의 결합홈(38a, 38b)에 의한 결합력이 충분하다면, 지지대(50)와 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지지대(50)를 생략하고 본 발명은 실시할 수 있다.
반대로, 지지대(50)와 외부원통(11)만 결합하고, 음료보관통(31)의 개구(32)에 대응되도록 외부원통(11)을 위치하여 컵수거장치(1)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컵수거장치(1) 복수의 컵수용부(10a, 10b, 10c)를 포함한다.
복수의 컵수용부(10a, 10b, 10c) 각각은 전술한 컵수용부(10)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컵수용부(10a, 10b, 10c)는 하나의 컵수용부(10)를 가지는 경우보다 컵수용량을 키울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컵수용부(10a, 10b, 10c)의 외부원통(11) 및 가이드부재(13)의 지름을 조절하는 경우 다양한 컵을 컵수용부(10a, 10b, 10c)에 수거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료가 담긴 컵을 뒤집어 컵수용부(10)의 컵투입구(15)에 투입한다. 컵투입구(15)에 컵이 투입되면, 뒤집어진 컵에서 음료가 외부원통(11) 내부에 유입되고, 음료 일부는 가이드부재(13)의 거치대(20)에 형성된 구멍으로 전달되어 음료보관통(31)으로 모인다. 나머지 일부는 가이드부재(13)에 형성된 음료전달개구(17)를 통하여 음료이동공간(16)으로 전달되어 음료보관통(31)으로 모인다.
도 4의 가이드부재(13)가 설치되는 경우, 거치대(20)에 형성된 구멍으로 전달되어 음료보관통(31)으로 전달된 음료외 나머지 일부는 가이드부재(13)를 구성하는 복수의 막대(13a, 13b, 13c, 13d) 사이 공간을 통과하여 음료이동공간(16)으로 전달되어 음료보관통(31)으로 모인다.
컵은 가이드부재(13)를 따라 일단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컵은 거치대(20)에 놓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컵과 음료가 분리되어 컵이 거치대(20)에서 적층되고, 음료와 얼음은 음료보관통(31)에 수거된다.
컵이나 음료가 일정부분 적층되면, 컵을 수거하고, 음료를 배출한다. 도 2 내지 4의 경우, 가이드부재(13)는 컵투입구(15)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걸쇠(19a, 19b)를 가이드홈(18)으로부터 분리시켜 외부원통(11)외부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가이드부재(13)에 적층된 컵을 수거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외부원통(11)을 회전시켜 돌출부(12a, 12b)를 결합덮개(38c, 38d)가 없는 결합홈(38a, 38b)로 노출시켜 음료보관통(31)과 분리시킨다. 이후, 거치대(20)에 적층된 컵은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컵을 수거할 수 있다.
음료보관통(31)에 보관된 음료는 이하와 같이 토출구(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토출구(33)를 밀폐하고 있는 마개(34)를 제거하면, 음료는 압력에 의해 음료보관통(31)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음료보관통(31)의 저면은 기울어져 있다. 음료보관통(3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33)로부터 멀어질수록 저면의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음료보관통(31)내의 음료는 모두 토출구(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척을 한 후, 상기 방법의 역순으로 컵수거장치(1)를 조립하면, 다시 컵수거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컵수거장치(1)는 음료이동공간(16)으로 음료를 전달시켜 음료보관통(31)에 보관하고, 거치대(20)로 컵을 전달해 컵을 적층시켜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먹다 남은 음료가 보관된 컵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컵을 수거할 때, 외부원통(11)의 내부에 존재하는 가이드부재(13)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컵을 수거할 때 사용자는 장치 전체를 뒤집거나 하지 않고, 가이드부재(13)만 간편하게 탈착하여 컵을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음료보관통(31)의 저면(37)은 토출구(33)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져 음료의 배출이 용이하고, 음료보관통(31)은 토출구(33)의 개폐를 위한 마개(34)를 구비하고 있어 음료의 배출의 편리를 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컵수거장치
10 : 컵수용부
11 : 외부원통
12a, 12b : 돌출부
13 : 가이드부재
13a, 13b, 13c, 13d : 막대
14 : 연결보
15 : 컵투입구
16 : 음료이동공간
17 : 음료전달개구
18: 가이드홈
19a, 19b : 결합걸쇠
20 : 거치대
21 : 보강링
22: 원뿔
23 : 보
30 : 음료수거부
31 : 음료보관통
32: 개구
33 : 토출구
34 : 마개
37 : 저면
38a, 38b : 결합홈
38c, 38d : 결합덮개
50 : 지지대
55 : 걸림홈
d1, d2 : 이격거리

Claims (8)

  1. 내측에 컵을 수용하는 속이 빈 외부원통,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음료나 얼음을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컵을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에서 가이드부재 일단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컵수용부;및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과 연통되고 상기 음료이동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음료를 보관하는 음료보관통;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거리를 갖고 연장되어 상기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음료나 얼음을 이동시키기 위한 음료전달개구를 가지고,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부원통이며,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은 외주의 일부를 따라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음료보관통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외부원통을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원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원통은 상기 걸림홈과 스냅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기 위한 후크를 외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음료보관통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토출구로 음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기울어진, 컵수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내측에 컵을 수용하는 속이 빈 외부원통, 및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음료나 얼음을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컵을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컵수용부;및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과 연통되고 상기 음료이동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음료를 보관하며, 상기 외부원통과 연통되는 개구를 가지는 음료보관통,및 상기 음료보관통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보 및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상기 컵이 투입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 원뿔로 구성되어져 상기 컵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거리를 갖고 연장되어 상기 음료이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음료이동공간으로 음료나 얼음을 이동시키기 위한 음료전달개구를 가지고, 상기 외부원통의 내주면과 동심으로 배치되는 내부원통이며,
    상기 외부원통의 일단은 외주의 일부를 따라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음료보관통은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외부원통을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원통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원통은 상기 걸림홈과 스냅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기 위한 후크를 외주면에 형성하며,
    상기 음료보관통은,
    외부로 음료를 배출할 수 있는 토출구를 가지고, 상기 토출구로 음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이 기울어진, 컵수거장치.
KR1020170180968A 2017-12-27 2017-12-27 컵수거장치 KR10200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68A KR102002712B1 (ko) 2017-12-27 2017-12-27 컵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68A KR102002712B1 (ko) 2017-12-27 2017-12-27 컵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50A KR20190079050A (ko) 2019-07-05
KR102002712B1 true KR102002712B1 (ko) 2019-07-22

Family

ID=6722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968A KR102002712B1 (ko) 2017-12-27 2017-12-27 컵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81Y1 (ko) 1999-06-12 2002-01-24 조신행 라운드형 컵 디스펜서
KR200363305Y1 (ko) 2004-07-14 2004-10-01 김문식 컵수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254Y1 (ko) * 1991-07-25 1993-09-17 이창우 폐 일회용컵 수거용기
KR20010084066A (ko) * 2000-02-23 2001-09-06 이상택 일회용 종이컵 수거기
KR20130001043A (ko) * 2011-06-24 2013-01-03 송재현 컵 수거 장치
KR20170025749A (ko) * 2015-08-31 2017-03-08 정동근 일회용 종이컵 수거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481Y1 (ko) 1999-06-12 2002-01-24 조신행 라운드형 컵 디스펜서
KR200363305Y1 (ko) 2004-07-14 2004-10-01 김문식 컵수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50A (ko)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5455B2 (en) Mobile no spill coaster
EP1879488B1 (en) Soap dispensing apparatus
US4372526A (en) Ice cube making apparatus and serving system
JP2013530888A (ja) 容器用の蓋体
JP2018033960A (ja) フィルタ容器
CA2213107C (en) Container having an adjustable inner base wall
KR102002712B1 (ko) 컵수거장치
US5938060A (en) Holder for stackable drinking cups
KR101751042B1 (ko) 컵 뚜껑
JP7325428B2 (ja) ポートおよびチューブホルダ組立体取り付け装置のためのシステムならびに使用方法
US11950718B2 (en) Serving pitcher with integrated cup holder
US9568236B1 (en) Apparatus for covering a container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200349157Y1 (ko) 종이컵 수거함
EP4249400A1 (en) Module for storing disposable cups
KR20110003363U (ko) 원뿔형 종이컵 수거용구
RU28018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штабелирования и хранения использованных стаканчиков, а также для сбора трубочек и крышек для стаканчиков и для сбора оставшейся жидкости из стаканчиков
US10486871B2 (en) Hanging container lid assembly
US10822139B2 (en) Fluid management device and fluid collection system
KR101817994B1 (ko) 분할형 일회용컵
KR200374907Y1 (ko) 종이컵 적층 보관대
KR200358833Y1 (ko) 종이컵 수거함
CN211618850U (zh) 一种使用便捷的垃圾桶
WO2015190681A1 (ko) 테이크 아웃용 음료용기
CN211883133U (zh) 一种用于咖啡胶囊的货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