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305B1 -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 Google Patents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305B1
KR102529305B1 KR1020220146177A KR20220146177A KR102529305B1 KR 102529305 B1 KR102529305 B1 KR 102529305B1 KR 1020220146177 A KR1020220146177 A KR 1020220146177A KR 20220146177 A KR20220146177 A KR 20220146177A KR 102529305 B1 KR102529305 B1 KR 10252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specially equipped
equipped vehic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테크
Priority to KR1020220146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장차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특장차를 이용한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특장차의 옆쪽을 통행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견고한 설치구조를 통해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하중에 의한 발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특장차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자 지지발판에 있어서, 일측에 마련된 접합부가 특장차의 자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서 결합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Worker support scaffold of specially equipped vehicle}
본 발명은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장차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특장차를 이용한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특장차의 옆쪽을 통행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견고한 설치구조를 통해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면서, 하중에 의한 발판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特裝車)는 특수한 장비를 갖추어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차체에 자체적으로 특수설비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특장차는 다양하게 소방차, 구급차, 견인차, 크레인, 제설차, 믹서트럭, 각종 중량물을 운반하는 트럭, 사다리차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특장차에는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특장차의 사이드에 설치되는 발판은 작업자가 특장차의 장비를 제어하거나 보수, 정비, 청소, 작업 등의 다양한 이유로 사용되게 되는데, 상황에 따라 많은 작업자가 올라가거나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다.
종래의 특장차에 설치되는 발판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차체에 경첩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경첩을 통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수평으로 각도를 조절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발판 구조는 하중이 발생하였을 때 하중이 경첩부분에 집중되어 경첩의 변형 및 손상을 유발하게 된다. 경첩 손상이 발생하게 될 경우 발판이 수평상태가 아닌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서 작업자가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첩에 의한 고정은 작업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판이 지속적으로 흔들릴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장기간 사용시 흔들림이 커지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81327호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등록특허 제10-2268896호 (특장차용 발판) 등록실용신안 제20-0494884호 (특장차용 사이드 발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구성하여 하중에 의해 발판이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흔들림이나 소음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뼈대역할을 하는 프레임에 별도의 패널을 결합하는 형태의 구조를 채택하여,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패널이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장기간 사용시 문제되는 패널만 교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특장차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자 지지발판에 있어서, 일측에 마련된 접합부가 특장차의 자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서 결합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패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bolt)로 적용되고, 고정프레임에는 다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하여, 볼트결합을 통해서 지지패널을 고정프레임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과 지지패널은 서로 다른 재질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은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패널부의 끝부분에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제1체결부와 마주보는 제2패널부의 끝부분에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뼈대역할을 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상부에 결합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패널로 구성되어, 종래의 경첩방식으로 설치되는 발판에 비해 훨씬 견고한 결합구조와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발판에서 발생하였던 흔들림, 소음,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시 문제되는 패널만 교체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발판의 각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발판의 고정프레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패널과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특장차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자 지지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장차의 어느 한쪽에 설치될 수 있고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높이는 차량의 바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발판의 구성은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마련된 접합부(110)가 특장차의 자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300)을 통해서 결합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패널(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자 지지발판은 고정프레임(100)과 고정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지지패널(200)로 구성된다. 이는 종래의 경첩방식으로 설치되는 발판에 비해 훨씬 견고한 결합구조와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지지발판의 뼈대 역할의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형태의 개별프레임(120)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접합부(110)가 마련되어 차체와 용접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지지패널(200)은 실질적으로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고정프레임(100)과 다르게 판상으로 이루어져 막혀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패널(200)은 차체에 고정되지 않고 별도의 결합수단(300)을 통해서 고정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300)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볼트(bolt)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300)이 볼트로 적용됨에 따라, 고정프레임(100)에는 다수의 볼트구멍(130)을 형성하여 볼트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볼트구멍(13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결합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지지패널(200)은 역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견고한 강성을 갖도록 하면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SPHC와 같은 강철재질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지패널(200)은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고 단단하며,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으로 적용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널(2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40)가 형성되도록 하여, 작업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지패널(200)은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널부(210)의 끝부분에는 제1체결부(211)가 형성되고, 제1체결부(211)와 마주보는 제2패널부(220)의 끝부분에는 제2체결부(221)가 형성되어, 제1체결부(211)와 제2체결부(221)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가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패널부(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앞뒤로 분할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절반씩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제1패널부(210)는 차체로부터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제2패널부(220)는 차체로부터 먼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지지패널(200)을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로 구성하여 연결할 경우, 지지패널(200)을 한 번에 넓은 면적으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조립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지지패널(200)의 일부분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되는 제1패널부(210) 또는 제2패널부(220)를 선택적으로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의 결합은 간편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패널부(210)의 제1체결부(211) 형상은 "
Figure 112022117508077-pat00001
" 형태로 형성되고, 제2패널부(220)의 제2체결부(221) 형상은 "
Figure 112022117508077-pat00002
" 형태로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2체결부(221)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체결홈(221a)이 형성되고, 체결홈(221a)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21b)는 체결홈(221a)의 개방된 부분을 일부 막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지지부(221b)의 방향은 제1체결부(211) 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211)는 지지부(221b)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수평끼움부(211a)와, 상기 수평끼움부(211a)의 안쪽에는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홈(221a)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한 수직끼움부(21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끼움부(211a)는 지지부(221b)의 두께에 맞게 형성되어야 하고, 수직끼움부(211b)의 하단부는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의 결합과정을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패널부(220)를 수평상태로 두고 제1패널부(210)를 대각방향에서 제1체결부(211)를 제2체결부(221)에 끼우게 된다. 이때 제1체결부(211)는 제2체결부(221)에 완전히 결합되지 못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끼움부(211b)가 체결홈(221a)의 안쪽 윗부분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패널부(210)를 수평상태로 내리게 되면 수평끼움부(211a)가 지지부(221b)의 안쪽에 밀착지지되고, 수직끼움부(211b)는 체결홈(221a) 내측에서 수직상태가 된다. 걸쳐진 수직끼움부(211b)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체결홈(221a)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인하여 위로 들어올리는 힘은 수평지지부(221b)가 지지되고, 양옆으로 당기는 힘은 수직끼움부(211b)가 지지되기 때문에,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를 서로 결합한 다음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300)을 이용하여 고정프레임(1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볼트 형태의 결합수단(300)은 도면과 같이 암나사가 형성된 별도의 탭시트(400)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좋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의 하부에 탭시트(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탭시트수용부(230)를 형성하고 탭시트수용부(230)의 아래쪽으로 볼트형태의 결합수단(300)이 나사체결된다. 이러한 탭시트(400)를 이용한 결합을 통해 제1패널부(210) 또는 제2패널부(220)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패널부(220)의 제2체결부(221) 반대편에는 수직으로 마감절곡부(222)를 형성하여 고정프레임(100)의 바깥쪽 테두리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패널부(220)에는 미끄럼방지 돌기(240)보다 수직으로 더 돌출된 지지돌기(250)를 더 형성할 경우, 배관과 같이 굴러 떨어질 수 있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고정프레임 110 : 접합부
120 : 개별프레임 130 : 볼트구멍
200 : 지지패널 210 : 제1패널부
211 : 제1체결부 211a : 수평끼움부
211b : 수직끼움부 220 : 제2패널부
221 : 제2체결부 221a : 체결홈
221b : 지지부 222 : 마감절곡부
230 : 탭시트수용부 240 : 미끄럼방지 돌기
250 : 지지돌기 300 : 결합수단
400 : 탭시트

Claims (5)

  1. 특장차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작업자 지지발판에 있어서,
    일측에 마련된 접합부(110)가 특장차의 자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부에 별도의 결합수단(300)을 통해서 결합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패널(20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패널(200)은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패널부(210)의 끝부분에는 제1체결부(211)가 형성되고, 제1체결부(211)와 마주보는 제2패널부(220)의 끝부분에는 제2체결부(221)가 형성되어, 제1체결부(211)와 제2체결부(221)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가 연결되되,
    상기 제2체결부(221)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체결홈(221a)이 형성되고, 체결홈(221a)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b)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11)는 지지부(221b)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된 수평끼움부(211a)와, 상기 수평끼움부(211a)의 안쪽에는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체결홈(221a)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한 수직끼움부(211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300)은 볼트(bolt)로 적용되고, 고정프레임(100)에는 다수의 볼트구멍(130)을 형성하여, 볼트결합을 통해서 지지패널(200)을 고정프레임(100)에 결합하되,
    암나사가 형성된 탭시트(400)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부(210)와 제2패널부(220)의 하부에 탭시트(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탭시트수용부(230)를 형성하고 탭시트수용부(230)의 아래쪽으로 결합수단(300)이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지지패널(200)은 서로 다른 재질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2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 돌기(2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5. 삭제
KR1020220146177A 2022-11-04 2022-11-04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KR10252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177A KR102529305B1 (ko) 2022-11-04 2022-11-04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177A KR102529305B1 (ko) 2022-11-04 2022-11-04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305B1 true KR102529305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177A KR102529305B1 (ko) 2022-11-04 2022-11-04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3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775A (ja) * 1996-03-29 1997-10-14 Toyoda Gosei Co Ltd マッドガード一体型のサイドステップ及びバンパー
KR20110033424A (ko) * 2009-09-25 2011-03-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계단용 바닥구조체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3-08-02 박환성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KR20180020185A (ko) * 2018-02-07 2018-02-27 조송남 자동차용 사이드스텝
KR102268896B1 (ko) 2021-03-15 2021-06-24 (주)탑플렉스 특장차용 발판
KR200494884Y1 (ko) 2020-07-01 2022-01-13 이상우 특장차용 사이드 발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775A (ja) * 1996-03-29 1997-10-14 Toyoda Gosei Co Ltd マッドガード一体型のサイドステップ及びバンパー
KR20110033424A (ko) * 2009-09-25 2011-03-3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계단용 바닥구조체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3-08-02 박환성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KR20180020185A (ko) * 2018-02-07 2018-02-27 조송남 자동차용 사이드스텝
KR200494884Y1 (ko) 2020-07-01 2022-01-13 이상우 특장차용 사이드 발판
KR102268896B1 (ko) 2021-03-15 2021-06-24 (주)탑플렉스 특장차용 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867A (en) Connection devices
US20200149301A1 (en) Architectual climbing system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US6666298B2 (en) Hanging scaffold support
KR102529305B1 (ko)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JP2007117246A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CN209907972U (zh) 一种预制混凝土外墙挂板纵横转换用的转换架
JP5649854B2 (ja) 建築作業用安全ネットの吊具および安全構造
CN208363575U (zh) 升降脚手架用附墙支座
US20230365361A1 (en) Dock leveler with deck hinge
EP0628468B1 (de) Sitzbefestigung
KR100476659B1 (ko) 안전작업대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1871834B1 (ko) 건설용 조립식 발판
CN111847277A (zh) 一种大型钢筋笼吊安一体化装置及方法
KR102087418B1 (ko) 침목 교환장치
KR101112172B1 (ko)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 구축장치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CN213234909U (zh) 一种房车专用挂梯
KR100680277B1 (ko)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CN219118810U (zh) 一种装配式施工平台
CN211615543U (zh) 一种钢筋堆场
KR102674749B1 (ko) 슬라브 판넬 거치 슬라이더
JPH0748781Y2 (ja) 小便器取付構造
KR100608308B1 (ko) 플랫폼 핸드레일의 자동화 장치
CN218712875U (zh) 一种爬架用防扭转附墙吊挂装置
CN210638910U (zh) 罐车取样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