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327B1 -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 Google Patents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327B1
KR101281327B1 KR1020120075339A KR20120075339A KR101281327B1 KR 101281327 B1 KR101281327 B1 KR 101281327B1 KR 1020120075339 A KR1020120075339 A KR 1020120075339A KR 20120075339 A KR20120075339 A KR 20120075339A KR 101281327 B1 KR101281327 B1 KR 10128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caffolding
scaffold member
scaffol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환성
Original Assignee
박환성
홍용
유한회사 태영이엔지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환성, 홍용, 유한회사 태영이엔지,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박환성
Priority to KR102012007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된 제 1수평유지바와 다른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와 접하는 제 2수평유지바로 구성되는 수평유지바를 통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기 발판부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발판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지면으로 낙하하여 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A SCAFFOLD FOR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MOTOR VEHICLES SCAFFOLD}
본 발명은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된 제 1수평유지바와 다른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와 접하는 제 2수평유지바로 구성되는 수평유지바를 통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기 발판부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발판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지면으로 낙하하여 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의 발판은 원활한 이동과 협소한 공간내에서의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 접철가능토록 제작되고 있다.
작업자는 상기 발판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발판으로 올라가 다양한 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과정 중에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인 상기 발판이 상기 발판의 하부방향으로 치우칠 경우 상기 발판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상기 발판에서 지면으로 낙하하여 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된 제 1수평유지바와 다른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와 접하는 제 2수평유지바로 구성되는 수평유지바를 통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기 발판부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발판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지면으로 낙하하여 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판부의 측면 상측에 형성되는 제 1브라켓과, 상기 제 1브라켓이 형성된 상기 발판부의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발판부의 측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브라켓과 축결합되는 제 2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제 1브라켓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는 제 1수평유지바와, 상기 제 1브라켓이 형성된 상기 발판부의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발판부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와 접하는 제 2수평유지바;로 구성되는 수평유지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수평유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부는 중간발판부재와,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발판부재와,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발판부재로 구성되는 발판부재와;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전측 방향에 위치하는 중간보조발판부재와, 상기 일측발판부재의 전측방향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일측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보조발판부재와, 상기 타측발판부재의 전측방향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타측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타측보조발판부재로 구성되는 보조발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브라켓은 각각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전측면 상측,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일측면 상측 및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타측면 상측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일측면 상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타측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브라켓은 각각 상기 일측발판부재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상측과 상기 타측발판부재의 일측면 상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후측면 상측,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상측,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의 일측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수평유지바는 각각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전측면 하측,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일측면 하측 및 상기 중간발판부재의 타측면 하측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일측면 하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타측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수평유지바는 각각 상기 일측발판부재의 타측면 하측과 상기 타측발판부재의 일측면 하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의 후측면 하측,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의 타측면 하측,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의 일측면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발판용 수평유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용 수평유지장치의 발판부의 일측 상부와 상기 발판부의 타측 상부 및 상기 발판부의 후측 상부에 각각 도어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발판부(5)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일측도어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도어프레임과; 상기 발판부의 후측 상부 중간에 구비되는 제 1후측도어프레임과,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후측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 2후측도어프레임와,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의 후측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 3후측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후측도어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도어프레임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을 각각 상기 발판부 일측 상부와 상기 발판부의 타측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일측도어프레임을 상기 발판부의 일측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재와;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을 상기 발판부의 타측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타측고정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고정부재는 상기 일측도어프레임의 전측 하부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일측가이드관과; 상기 일측가이드관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상하이동축과; 상기 일측상하이동축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일측상하이동축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일측가이드관의 일측가이드슬릿내에서 상하이동하는 일측손잡이와; 상기 일측상하이동축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의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일측손잡이의 하측이 수용되는 일측수용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고정부재는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의 전측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전측 하부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타측가이드관과; 상기 타측가이드관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상하이동축과; 상기 타측상하이동축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타측상하이동축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타측가이드관의 타측가이드슬릿내에서 상하이동하는 타측손잡이와; 상기 타측상하이동축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의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타측손잡이의 하측이 수용되는 타측수용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일측도어프레임의 전측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의 전측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측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측도어프레임은 상기 일측도어프레임의 전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1전측도어프레임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의 전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2전측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본 발명은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된 제 1수평유지바와 다른 발판부의 측면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와 접하는 제 2수평유지바로 구성되는 수평유지바를 통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기 발판부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발판부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지면으로 낙하하여 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발판용 수평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특장차용 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도어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어프레임의 일측도어프레임, 타측도어프레임 및 후측도어프레임이 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발판부가 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0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0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전측도어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일측도어프레임과 타측도어프레임 사이에서 전측도어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발판용 수평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인 발판용 수평유지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브라켓(10)과 수평유지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브라켓(10)은 관상의 제 1브라켓(110)과 관상의 제 2브라켓(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브라켓(10)은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는 사각형 형태의 발판부(5)의 측면 상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브라켓(20)은 상기 제 1브라켓(10)이 형성된 상기 발판부(5)의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발판부(5)의 측면 상측에 상기 제 1브라켓(10)과 대칭된 상태로 일체형성되어 상기 제 1브라켓(10)과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유지바(20)는 제 1수평유지바(210)와 제 2수평유지바(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상기 제 1브라켓(1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5)의 측면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상기 제 1브라켓(110)이 형성된 상기 발판부(5)의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발판부(5)의 측면 하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와 접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부(5)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발판부재(510)와 보조발판부재(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판부재(510)는 중간발판부재(511), 일측발판부재(512) 및 타측발판부재(5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발판부재(511)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방향과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방향에 각각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와 타측발판부재(51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발판부재(520)는 중간보조발판부재(521), 일측보조발판부재(522) 및 타측보조발판부재(5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는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는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전측방향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는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전측방향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제 1브라켓(110)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면 상측에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에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브라켓(110)은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브라켓(110)은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면 상측에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브라켓(110)은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브라켓(110)은 도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면 상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브라켓(120)은 가령 2개씩 한조를 이룰 수 있다.
한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2브라켓(120) 사이에 상기 제 1브라켓(110)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2브라켓(120)은 상기 제 1브라켓(110)과 축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2브라켓(120)은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발판부재(512)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 발판부재(512)의 타측면 상측에 상기 일측 발판부재(512)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 발판부재(512)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2브라켓(120)은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 발판부재(513)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타측 발판부재(513)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 발판부재(513)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2브라켓(120)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면 상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에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2브라켓(120)은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타측면 상측에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조를 이루는 2개의 상기 제 2브라켓(120)은 도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일측면 상측에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면 하측에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에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면 하측에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면 하측에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면 하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면 하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전측에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타측면 하측에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일측면 하측에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면 하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에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타측면 하측에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전측에서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일측면 하측에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전측에서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발판부재(510)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가 각각 작업자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질 시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와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가 서로 접하기 때문에 수평상태로 각각 펼쳐진 상기 발판부재(510)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가 상기 발판부재(510)의 하부방향 및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하부방향으로 치우칠 우려 없이 보다 용이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특장차용 발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특장차용 발판은 상기 발판용 수평유지장치(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발판용 수평유지장치(1)의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와 보조발판부재(520)의 상부면에 올라선 작업자가 상기 발판부재(510)의 하부방향 및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하부방향으로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인 특장차용 발판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5)의 일측 상부와 상기 발판부(5)의 타측 상부 및 상기 발판부(5)의 후측 상부에 각각 도어프레임(7)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도어프레임(7)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어프레임(7)의 일측도어프레임(710), 타측도어프레임(720) 및 후측도어프레임(730)이 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7)은 일측도어프레임(710), 타측도어프레임(720) 및 후측도어프레임(7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은 상기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의 일측발판부재(512)의 일측 상부면 및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일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은 상기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의 타측발판부재(513)의 타측 상부면 및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타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도어프레임(730)은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 및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은 상기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의 중간발판부재(511)의 후측면 상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의 타측이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의 후면 일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의 전면 일측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타측면 후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은 상기 발판부(5)의 일측발판부재(512)의 후측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의 일측이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의 후면 타측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의 전면 타측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일측면 후측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은 상기 발판부(5)의 타측발판부재(513)의 후측 상부면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의 일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의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다.
이상태에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은 상기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고,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은 상기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발판부(5)가 접혀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좌우길이는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좌우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좌우길이는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좌우길이는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발판부재(510)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 모두가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먼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에 상기 일측발판부재(512)가 수직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작업자에 의해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일측은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에 상기 타측발판부재(513)가 수직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작업자에 의해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타측은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에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가 수직상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작업자에 의해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전측은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타측을 기준으로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일측은 상기 일측발판부재(512)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고,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타측은 상기 타측발판부재(513)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접혀질 수 있다.
도 16은 도 10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0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을 각각 상기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일측상부 및 상기 발판부재(510)의 타측 상부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타측상부에 각각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일측고정부재(810)와 타측고정부재(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재(810)는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을 상기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의 일측 상부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일측상부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부재(820)는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을 상기 발판부(5)의 발판부재(510)의 타측 상부와 상기 보조발판부재(520)의 타측상부에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재(810)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가이드관(811), 일측상하이동축(812), 일측손잡이(813) 및 일측수용관(8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은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 하부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의 전측면에는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슬릿(8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2)은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의 내부에 작업자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손잡이(813)는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2)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2)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손잡이(813)는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의 일측가이드슬릿(811a)내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용관(814)은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3)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5)의 보조발판부재(520)의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일측면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용관(814)의 내부에는 상기 일측손잡이(813)의 하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부재(820)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가이드관(821), 타측상하이동축(822), 타측손잡이(823) 및 타측수용관(8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은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 하부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 하부 타측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의 전측면에는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슬릿(8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은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의 내부에 작업자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손잡이(823)는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손잡이(823)는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의 타측가이드슬릿(821a)내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용관(824)은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5)의 보조발판부재(520)의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타측면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용관(824)의 내부에는 상기 타측손잡이(823)의 하측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8은 전측도어프레임(7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일측도어프레임(710)과 타측도어프레임(720) 사이에서 전측도어프레임(74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7)은 전측도어프레임(7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도어프레임(740)은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 사이에 작업자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도어프레임(740)은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과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의 일측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의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타측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일측은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타측면 전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수직관(711)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의 일측면에는 상기 일측수직관(711)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측축부재(743)가 상기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축부재(743)는 일측수직봉(743a)과 일측수직축(74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봉(743a)은 상기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의 일측면에 상기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축(743b)은 상기 일측수직봉(743a)의 하측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일측수직관(711)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일측면 전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수직관(721)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타측면에는 상기 타측수직관(721)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축부재(744)가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축부재(744)는 타측수직봉(744a)과 타측수직축(74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봉(744a)은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타측면에 상기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축(744b)은 상기 타측수직봉(744a)의 하측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타측수직관(721)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발판부(5)의 측면 하측에 형성된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와 다른 발판부(5)의 측면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와 접하는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로 구성되는 상기 수평유지바(220)를 통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기 발판부(5)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발판부(5)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넘어지거나 지면으로 낙하하여 큰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10; 브라켓, 20; 수평유지바.

Claims (9)

  1. 발판부(5)의 측면 상측에 형성되는 제 1브라켓(110)과, 상기 제 1브라켓(110)이 형성된 상기 발판부(5)의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발판부(5)의 측면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브라켓(110)과 축결합되는 제 2브라켓(120)으로 구성되는 브라켓(10)과;
    상기 제 1브라켓(1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5)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는 제 1수평유지바(210)와, 상기 제 1브라켓(110)이 형성된 상기 발판부(5)의 측면과 마주보는 다른 발판부(5)의 측면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와 접하는 제 2수평유지바(220);로 구성되는 수평유지바(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5)는 중간발판부재(511)와,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발판부재(512)와,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발판부재(513)로 구성되는 발판부재(510)와;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 방향에 위치하는 중간보조발판부재(521)와,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전측방향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보조발판부재(522)와,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전측방향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방향 사이에 위치하는 타측보조발판부재(523)로 구성되는 보조발판부재(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라켓(110)은 각각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면 상측,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면 상측 및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면 상측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면 상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브라켓(120)은 각각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상측과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일측면 상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면 상측,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상측,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일측면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수평유지바(210)는 각각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전측면 하측,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일측면 하측 및 상기 중간발판부재(511)의 타측면 하측과,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일측면 하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타측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수평유지바(220)는 각각 상기 일측발판부재(512)의 타측면 하측과 상기 타측발판부재(513)의 일측면 하측 및 상기 중간보조발판부재(521)의 후측면 하측, 상기 일측보조발판부재(522)의 타측면 하측, 상기 타측보조발판부재(523)의 일측면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발판용 수평유지장치(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용 수평유지장치(1)의 발판부(5)의 일측 상부와 상기 발판부(5)의 타측 상부 및 상기 발판부(5)의 후측 상부에 각각 도어프레임(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7)은 상기 발판부(5)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일측도어프레임(710)과;
    상기 발판부(5)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는 타측도어프레임(720)과;
    상기 발판부(5)의 후측 상부 중간에 구비되는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과,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의 일측에 타측이 축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5)의 후측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제 2후측도어프레임(732)와, 상기 제 1후측도어프레임(731)의 타측에 일측이 축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후측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발판부(5)의 후측 상부 타측에 구비되는 제 3후측도어프레임(733)으로 구성되는 후측도어프레임(7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을 각각 상기 발판부(5)의 일측 상부와 상기 발판부(5)의 타측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80)는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을 상기 발판부(5)의 일측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재(810)와;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을 상기 발판부(5)의 타측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타측고정부재(820);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고정부재(810)는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 하부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슬릿(811a)이 형성되는 일측가이드관(811)과;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일측상하이동축(812)과;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2)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2)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일측가이드관(811)의 일측가이드슬릿(811a)내에서 상하이동하는 일측손잡이(813)와;
    상기 일측상하이동축(81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5)의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일측손잡이(813)의 하측이 수용되는 일측수용관(814);으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고정부재(820)는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전측 하부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전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슬릿(821a)이 형성되는 타측가이드관(821)과;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타측상하이동축(822)과;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의 전측 상부에서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고, 상기 타측가이드관(821)의 타측가이드슬릿(821a)내에서 상하이동하는 타측손잡이(823)와;
    상기 타측상하이동축(82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판부(5)의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타측손잡이(823)의 하측이 수용되는 타측수용관(8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7)은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측도어프레임(7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측도어프레임(740)은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일측도어프레임(7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1전측도어프레임(741)과;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타측도어프레임(72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제 2전측도어프레임(7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발판.
KR1020120075339A 2012-07-11 2012-07-11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KR10128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339A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2-07-11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339A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2-07-11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327B1 true KR101281327B1 (ko) 2013-08-02

Family

ID=4921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339A KR101281327B1 (ko) 2012-07-11 2012-07-11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3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044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KR20160024045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의 프레임구조와 힌지장치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탑승함 구조
KR102089649B1 (ko) * 2019-10-24 2020-03-16 유봉상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KR102529305B1 (ko) 2022-11-04 2023-06-01 주식회사 진테크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83A (ja) * 1995-07-27 1997-02-10 Showa Aircraft Ind Co Ltd 高所作業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83A (ja) * 1995-07-27 1997-02-10 Showa Aircraft Ind Co Ltd 高所作業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044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KR20160024045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의 프레임구조와 힌지장치
KR101635522B1 (ko) 2014-08-22 2016-07-05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의 프레임구조와 힌지장치
KR101635518B1 (ko) * 2014-08-22 2016-07-05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탑승함 구조
KR102089649B1 (ko) * 2019-10-24 2020-03-16 유봉상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KR102529305B1 (ko) 2022-11-04 2023-06-01 주식회사 진테크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327B1 (ko) 발판용 수평유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특장차용 발판
SE527825C2 (sv) Anordning vid ett sidoskydd för fordon, samt ett fordon försett med ett sådant sidoskydd
ES2308698T3 (es) Escalera con plataforma y tubos de barandilla plegables, especialmente para escaleras extensibles.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KR20170002456U (ko) 우마형 사다리
KR20170035530A (ko) 접이식 발판사다리
ES2553106T3 (es) Torre de andamio abatible
JP2017071980A (ja) 踏桟カバー
CN210044412U (zh) 一种可折叠收缩的助行器
KR20110006044U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대
CN107097833B (zh) 折叠式婴儿车
CN214611397U (zh) 一种高空作业车和可延伸作业高空作业栏
JP2017031659A (ja) 脚立式作業台
EP3309349B1 (en) Movable ladder
JP2022103248A (ja) 作業台
ES2622120T3 (es) Asiento para vehículo
CN211188124U (zh) 一种老年人防摔倒步行车
KR101887541B1 (ko) 크레인용 사다리 구조체
KR20130060494A (ko) 수직사다리용 안전후프
CN111236601A (zh) 一种脚手架
CN104771019A (zh) 儿童娱乐床及其底部中央控制装置
CN111456529A (zh) 一种便携式电力施工用防护栏
CN220262667U (zh) 折叠扶梯和工程车辆
CN104859549A (zh) 踏步机构和用于汽车检修的活动式踏步装置
CN213449410U (zh) 一种防倾覆的移动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