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418B1 - 침목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침목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418B1
KR102087418B1 KR1020180035675A KR20180035675A KR102087418B1 KR 102087418 B1 KR102087418 B1 KR 102087418B1 KR 1020180035675 A KR1020180035675 A KR 1020180035675A KR 20180035675 A KR20180035675 A KR 20180035675A KR 102087418 B1 KR102087418 B1 KR 102087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er
rail
lever
load
load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247A (ko
Inventor
나지운
조기완
이광용
박주창
오치원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8003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4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0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 E01B29/09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 E01B29/10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newing sleepers under, or from under, installed rails for inserting or removing sl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의 레일은 지지하는 침목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인양, 레일의 형성방향으로의 이동 및 궤간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침목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침목 교환장치{Exchange Decice For Sleeper}
본 발명은 침목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의 레일은 지지하는 침목을 인양,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침목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을 도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상과 레일 사이에 침목을 설치하고, 침목 상면에 마련된 체결장치를 통해 레일을 침목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침목은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 배치되기 때문에 중량물인 레일의 하중을 넓게 분산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한편, 침목은 침목을 이루는 재료에 따라 목침목, RC침목, 철침목, PC(Prestressed Concrete)침목 등으로 나뉘는데, 자갈도상의 일반선에는 부식이 없고 내구연한이 약 50년에 이르며, 궤도 틀림 진행이 적은 PC침목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C침목의 내구연한은 50년에 이르지만, 사용 중 외력에 의해 침목의 일부가 파손되면 철도차량 주행 시 소움이 발생되거나, 레일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여 철도차량이 전복될 위험이 있으므로 해당 침목을 교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PC침목 내부에는 강선이 삽설되어 개당 중량이 약 240 kg에 육박함에 따라 침목 교체작업에는 상당한 노동력이 요구되어왔으며 침목 교체작업 중 작업자가 실수를 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한국등록실용 제20-0483472호가 개시된 바 있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침목을 단순히 인양하는 기능에만 한정되어있어 인양한 침목을 궤간 외측으로 이동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3472호("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목 교체작업에 있어 침목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인양, 레일의 형성방향으로의 이동 및 궤간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침목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중을 적절히 분산하여 더욱 안전하게 침목을 교체할 수 있는 침목 교환장치를 제공하며, 각부 구성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하여 이동과 보관이 용이한 침목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는 철도의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을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써, 한 쌍의 상기 레일 상에 거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한쌍의 상기 레일 좌우방향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 외측주행부와, 상기 몸체부 및 외측주행부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부 및 상기 좌우이동부 상에 설치되며, 침목을 걸어 인양하는 지렛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침목 교환장치는 상기 외측주행부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주행부에 부가되는 하중을 상기 몸체부로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주행부측 단부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하중분산봉과, 상기 외측주행부의 일단과 상기 제1 하중분산봉과, 상기 몸체부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하중분산봉이 형성된 타단에 형성되는 제2 하중분산봉과, 상기 외측주행부 일단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3 하중분산봉이 더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내지 제3하중분산봉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중분산봉은 제2 내지 제3하중분산봉 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에 거치되며, 상면에 제1 이송레일이 형성된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주행부는 상기 몸체부 상면에 제2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제1 이송레일 또는 제2 이송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좌우이동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렛대부는 상기 좌우이동부 상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는 지렛대 축과, 길게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지렛대 축 상단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침목의 체결구가 걸려지는 후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침목 교환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를 상기 레일에 고정시키는 부상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상방지부는 상기 레일의 궤간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클램프 구조의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 양단에 상기 홀딩부재 양단 사이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측주행부와 지렛대부와 하중분산부와 부상방지부는 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보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분해된 외측주행부와, 지렛대부와, 하중분산부와, 부상방지부를 보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침목 교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좌우이동부 및 외측주행부의 구성을 통해 침목을 궤간 외측으로 손쉽게 이동 및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중분산부의 구성을 통해 외측주행부에 부가되는 하중을 몸체부로 적절히 분산하므로 침목 교체작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상방지부의 구성을 통해 몸체부를 레일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침목 교체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각부구성이 서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형성되어 손상 발생 시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몸체부 일측에 형성된 보관공간에 분해된 각부 구성을 보관할 수 있어 휴대성을 증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가 레일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의 바디부와, 외측주행부와 하중분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의 좌우이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의 좌우이동부와 지렛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의 부상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의 부상방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의 각부 구성이 바디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레일의 형성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이 이루는 궤간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지면에 대해 연작한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30)은 레일(20)의 설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설치되어, 그 상면에 설치된 레일(20)의 하중을 분산하고, 레일(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침목(30) 중 일부가 손상될 시 해당 침목(30)을 안전하고 손쉽게 교체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10)는 크게 몸체부(100), 외측주행부(200), 좌우이동부(300), 지렛대부(400), 하중분산부(500) 및 부상방지부(60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침목(30)을 레일(20)을 따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며, 각부 구성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는 상기 한 쌍의 레일(20) 상에 거치되도록 배치되는 몸체 플레이트(110)와, 상기 몸체 플레이트(110)가 레일(20)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몸체 플레이트(110) 하면의 각 레일(20)과 접하는 지점에 설치되는 레일바퀴(170)로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레일바퀴(170)는 레일(20)로부터 몸체부(1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이 상기 레일(20) 상면 형상에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이륜항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 플레이트(110)는 레일(20) 상에 거치될 시 상기 몸체 플레이트(110) 상면에는 궤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 이송레일(111)과,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보관공간(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이송레일(111)은 좌우이동부(300)가 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공간이며, 보관공간(1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10)의 각부구성이 몸체부(100)로부터 분해되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다.
도 2에서는 공간효율을 위해 제1 이송레일(111)의 측면이 보관공간(112)을 형성하는 벽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보관공간(112)을 이루고 있는 보관공간(112) 하면이 상기 제1 이송레일(111)에 결합될 좌우이동부(300)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이송레일(11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관공간(112)의 하면은 상기 제1 이송레일(111)의 대향면 벽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 될 뿐 상기 제1 이송레일(111)과는 이어지지 않도록 'ㄴ'자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 플레이트(110)는 각부 구성이 결합되기 위한 돌기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몸체 플레이트(110)의 상면 일측에는 하중분산봉 결합돌기(130)가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몸체 플레이트(110)가 레일(20)상에 거치되었을 시를 기준으로 몸체 플레이트(110) 일측면에는 외측주행부 결합돌기(150)가 궤간 외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 플레이트(110)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의 레일(20) 상측에 위치되는 부위에는 전방측면 또는 후방측면으로부터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참고로, 도 2에는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를 몸체 플레이트(110) 타측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외측주행부(200)는 침목 교체작업 시 교체가 필요한 침목을 궤간 외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인 좌우이동부(3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주행부(20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기둥 형상으로, 일단은 중실 기둥 형상또는 중공형상 등 어떤 형태로든 무관하나, 타단부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주행부 결합돌기(150)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측주행부(200)는 상단에 상기 제1 이송레일(111)과 마찬가지로, 후술할 좌우이동부(3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제2 이송레일(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이송레일(210)은 외측주행부 상에 별도의 제2 이송레일(210)이 더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주행부(200) 자체가 제2 이송레일(210)인 것으로 형성 될 수 있다.
하중분산부(500)는 궤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외측주행부(200)에 하중이 집중 될 시 몸체부(100)가 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안전문제 발생을 예방하고자, 외측주행부(200)의 하중을 몸체부(100)측으로 적절히 분산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하중분산부(500)는 제1내지 3 하중분산봉(510, 530, 550)과, 와이어(570)를 포함하는데, 제1 하중분산봉(510)은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된 기둥형상이며 그 하단부가 중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하중분산봉 결합돌기(130)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하중분산봉(510) 상단에는 중앙에 홈이 파여진 휠(511)이 설치되어 후술할 와이어(570)가 안착된다.
제2 하중분산봉(530)은 상기 몸체부(100)의 타단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와이어(570)의 구속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제3 하중분산봉(550)은 외측주행부(200)의 일단에 상기 제2 하중분산봉과 동일한 형태로 기립되어 형성되며, 제2 하중분산봉(530)과 제3 하중분산봉(550)은 제1 하중분산봉(510)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와이어(570)는 일단이 상기 제3 하중분산봉(550) 상단의 홀을 통하여 제3 하중분산봉(550)에 구속되고, 중앙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중분산봉(510) 상단의 휠(511)에 안착되며, 타단은 제2 하중분산봉(530) 상단의 홀을 통해 구속된다.
즉, 하중분산부(500)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는 마치 사장교와 유사한 형태를 취하여 외측주행부(200)에 하중이 집중될 시 상기 제3 하중분산봉(550)과 와이어(570)를 통해 제1 하중분산봉(510) 및 제2 하중분산봉(530)으로 분산시켜 하중 쏠림현상을 해소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2 하중분산봉(530)과 제3 하중분산봉(550)이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이유는 제2 하중분산봉(530)과 제3 하중분산봉(550)의 상단에 구속된 와이어(570)가 후술할 좌우이동부(300)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이동부(300)는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210)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지렛대부(400)를 통해 인양된 침목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좌우이동몸체(310)와 좌우이동롤러(33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이동몸체(310)는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2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떤 형태이든 무방하다.
좌우이동롤러(330)는 좌우이동부가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210) 상면을 좀 더 원활하게 슬라이딩 하도록 한다.
좌우이동롤러(330)는 좌우이동몸체(310)와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210)이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210) 상면 따라 구름으로써, 좌우이동몸체(310)와 제1 이송레일(111) 또는 제2 이송레일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한편, 지렛대부(400)는 좌우이동몸체(310) 상단에 설치되어, 침목(30)을 인양하는 역할을 한다.
지렛대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 축(410)과, 지렛대(430)와, 후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렛대 축(410)은 봉형태로 좌우이동몸체(310) 상단에 기립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상단은 중공형태로 형성된다.
덧붙여, 지렛대 축(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개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이동몸체(310) 상단에 중실봉의 형태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 지렛대축과, 하부 지렛대축 상단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지렛대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렛대(430)의 형상은 길게 형성된 봉 형태이되, 중앙부에는 지렛대(430)가 지렛대 축(410)과 결합 되도록 하는 결합부재(431)가 힌지결합 된 형태이다.
상기 결합부재(431)의 형태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결합부재(431)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봉 형태이며, 상단이 상기 지렛대(430)의 중앙부와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는 베어링(432)이 설치된 형태이다. 이때, 상기 베어링(432)의 외경은 상기 지렛대 축(410) 상단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지렛대 축(410) 상단에 끼움 결합된다.
즉, 지렛대부(400)는 상기 결합부재(431)를 통하여 지렛대 축(410)의 상단을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후크(450)는 지렛대(430)는 일단에 마련되는데, 상기 후크(450)에는 인양고리(451)가 연결된다.
인양고리(451)는 길게 형성된 것으로 상단은 상기 후크(450)에 걸려질 수 있도록 환형의 고리가 형성되고, 하단은 침목(30)의 체결구를 걸 수 있도록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인양고리(451)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되어 인양하고자하는 침목(30)의 위치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상방지부(6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몸체부(100)를 레일(20)에 고정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발명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10)가 레일(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부상방지부(600)는 홀딩플레이트(610)와, 홀딩날개(630)와, 홀딩롤러(650) 및 조임부재(670)로 구성된다.
홀딩플레이트(610)는 상기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며, 홀딩플레이트(610) 및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결홀(61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611)에 핀을 끼움으로써 부상방지부(600)가 몸체부(100)에 고정된다.
홀딩플레이트(610) 양단 각각에는 홀딩날개(630)가 힌지결합 되어 홀딩플레이트(610)가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에 결합될 시, 홀딩플레이트(610) 일단에 결합된 홀딩날개(630)는 레일(20)의 궤간 측 측면에, 홀딩플레이트(610) 타단에 결합된 홀딩날개(630)는 레일(20)의 궤간 외측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각 홀딩날개(630)의 단부는 레일(20)의 하부의 오목하게 형성된 부위에 위치할 정도로 길게 형성되고, 각각의 홀딩날개(630) 단부에는 홀딩롤러(650)가 레일(20) 하단부의 오목하게 형성된 하면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홀딩날개(630)에는 홀딩플레이트(610)가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에 안착될 시 상기 한 쌍의 홀딩날개(63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조임부재 결합홀(631)이 형성된다.
조임부재(670)는 나사(671)와 볼트(673)로 실시될 수 있는데, 상기 각 홀딩날개(630)에 형성된 조임부재 결합홀(631)에 나사(671)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나사(671)의 단부를 상기 볼트(673)로 조여짐으로써 상기 한 쌍의 홀딩날개(630) 사이 거리가 좁혀져 몸체부(100)가 레일(20)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 이다.
여기서 상기 조임부재(670)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가 레일(20)에 완전히 구속될 수도 있고, 몸체부(100)가 레일(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도 레일(20)에 이탈하지는 못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목 교환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보관공간(112) 내에 각부 구성들이 수용된 형태로 마련되며, 침목 교체작업이 필요할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10)는 레일바퀴(170)가 레일(20) 상면에 안착되도록 몸체 플레이트를 한 쌍의 레일(20) 상에 거치된다.
다음, 보관공간(1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부상방지부(600)는 부상방지부 결합돌기(190)에 핀을 통해 결합되며, 조임부재(670)를 통해 몸체부(100)가 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된다.
마찬가지로, 보관공간(1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외측주행부(200) 또한 외측 주행부 결합돌기(150)에 끼움 결합되고, 제1 하중분산봉(510)은 하중분산봉 결합돌기(130) 상단에 끼움 결합된다.
이어, 와이어(570) 일단이 제3 하중분산봉(550) 상단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제1 하중분산봉(510) 상단에 마련된 휠(511)에 안착되며, 타단이 제2 하중분산봉(530) 상단에 고정되면 침목(30) 교체를 위한 침목 교환장치(10)의 준비가 완료된다.
다음, 교체할 대상 침목(30)의 양단부에 마련된 체결구에 외측주행부(200) 상에 마련된 좌우이동부(300)와 몸체부(100) 상에 마련된 외측주행부(200) 각각의 인양고리(451)가 걸리고, 상기 교체 대상 침목(30)이 지렛대부(400)에 의해 인양된 상태에서 한 쌍의 좌우이동부(300)가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 상기 교체 대상 침목(30)은 궤간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다. 이후 새로운 침목(30)을 교체 대상 침목(30)이 있던 자리에 상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침목 교환장치
20: 레일
30: 침목
100: 몸체부
110: 몸체 플레이트
111: 제1 이송레일
112: 보관공간
130: 하중분산봉 결합돌기
150: 외측 주행부 결합돌기
170: 레일바퀴
190: 부상방지부 결합돌기
200: 외측주행부
210: 제2 이송레일
300: 좌우이동부
310: 좌우이동몸체
330: 좌우이동롤러
400: 지렛대부
410: 지렛대 축
430: 지렛대
431: 결합부재
432: 베어링
450: 후크
451: 인양고리
500: 하중분산부
510: 제1 하중분산봉
511: 휠
530: 제2 하중분산봉
550: 제3 하중분산봉
570: 와이어
600: 부상방지부
610: 홀딩플레이트
611: 연결홀
630: 홀딩날개
631: 조임부재 결합홀
650: 홀딩롤러
670: 조임부재
671: 나사
673: 볼트

Claims (11)

  1. 삭제
  2. 철도의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을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써,
    한 쌍의 상기 레일 상에 거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한쌍의 상기 레일 좌우방향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 외측주행부;
    상기 몸체부 및 외측주행부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부;
    상기 좌우이동부 상에 설치되며, 침목을 걸어 인양하는 지렛대부; 및
    상기 외측주행부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측주행부에 부가되는 하중을 상기 몸체부로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주행부측 단부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하중분산봉과, 상기 외측주행부의 일단과 상기 제1 하중분산봉과, 상기 몸체부 타단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하중분산봉이 형성된 타단에 형성되는 제2 하중분산봉과, 상기 외측주행부 일단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3 하중분산봉이 더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내지 제3하중분산봉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중분산봉은 제2 내지 제3하중분산봉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한 쌍의 레일 상에 거치되며, 상면에 제1 이송레일이 형성된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주행부는,
    상기 몸체부 상면에 제2 이송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제1 이송레일 또는 제2 이송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좌우이동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7. 철도의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을 교체하기 위한 것으로써,
    한 쌍의 상기 레일 상에 거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 한쌍의 상기 레일 좌우방향 외측으로 길게 형성된 외측주행부; 및
    상기 몸체부 및 외측주행부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이동부;
    상기 좌우이동부 상에 설치되며, 침목을 걸어 인양하는 지렛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렛대부는,
    상기 좌우이동부 상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되는 지렛대 축과, 길게 형성되며, 중앙부가 상기 지렛대 축 상단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렛대와, 상기 지렛대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침목의 체결구가 걸려지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 교환장치는,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를 상기 레일에 고정시키는 부상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부는,
    상기 레일의 궤간 내측면과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클램프 구조의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 양단에 상기 홀딩부재 양단 사이거리를 조절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주행부와 지렛대부와 하중분산부와 부상방지부는 서로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보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분해된 외측주행부와, 지렛대부와, 하중분산부와, 부상방지부를 보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교환장치.
KR1020180035675A 2018-03-28 2018-03-28 침목 교환장치 KR102087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75A KR102087418B1 (ko) 2018-03-28 2018-03-28 침목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675A KR102087418B1 (ko) 2018-03-28 2018-03-28 침목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47A KR20190113247A (ko) 2019-10-08
KR102087418B1 true KR102087418B1 (ko) 2020-03-10

Family

ID=68208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675A KR102087418B1 (ko) 2018-03-28 2018-03-28 침목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2174A (zh) * 2021-01-22 2021-07-23 北京国兴力德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更换铁路线路枕木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5510U (ko) * 1974-10-23 1976-04-28
KR200483472Y1 (ko) 2015-12-28 2017-05-18 주식회사 비티에스엘이디 콘크리트 도상용 침목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247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509B2 (en) Transport cart with tilting load carrier
CN102367651A (zh) U型混凝土梁架桥机
US7624843B2 (en) Multiple task working platform
KR102087418B1 (ko) 침목 교환장치
JP6391145B2 (ja) 可倒式柵
US9834181B2 (en) Snow and ice remover for vehicle roofs
KR102111100B1 (ko) 서포트 승강형 거푸집 운반 장치를 이용한 거푸집 운반 방법
EP0001341B1 (en) Improvements in girder roller fittings
US7004076B2 (en) Material handling system enclosed track arrangement
CN210195811U (zh) 一种井下单体液压支柱搬运装置
US4105219A (en) Positive locking device for boat trailer bolster bracket
JP6931441B2 (ja) トレーラーハウス
JP7407650B2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US6848880B2 (en) Cargo rack
US1773030A (en) Tubular steel tower
CN215709149U (zh) 一种简便的用于钢筋短程运输装置
US200501179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uss rollout
US4406098A (en) Drilling ramp
KR102250236B1 (ko) 조립형 플레이트 이송카트
CN209972487U (zh) 一种地铁隧道区间电缆敷设运输装置
KR102529305B1 (ko) 특장차의 작업자 지지발판
JPH0439868Y2 (ko)
US687860A (en) Log-carrier.
CN215284563U (zh) 一种桥梁运输承放装置
CN217674811U (zh) 接触网横卧板搬运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