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50B1 -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8350B1 KR102528350B1 KR1020220139598A KR20220139598A KR102528350B1 KR 102528350 B1 KR102528350 B1 KR 102528350B1 KR 1020220139598 A KR1020220139598 A KR 1020220139598A KR 20220139598 A KR20220139598 A KR 20220139598A KR 102528350 B1 KR102528350 B1 KR 102528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nch
- die
- mold
- base
- seat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to notch margins of wor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2007/2607—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for mounting die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금형의 다이 위치조절부 및 상부 금형의 펀치 위치조절부가 구비되는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금형의 다이 위치조절부 및 상부 금형의 펀치 위치조절부가 구비되는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복수개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복수개의 세퍼레이터를 적층하여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 중에서 한쪽 와인딩롤에 롤형태로 와인딩되어 있는 리일 극판(연속으로 이어진 극판으로서, 이하에서는 편의상 리일 극판을 극판이라 칭함)을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극판은 얇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포일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한쪽 단부에 활물질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고 노출된 무지부와 활물질코팅부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한쪽의 언와인딩롤에 와인딩되어 있는 극판을 다른 쪽 와인딩롤에 롤형태로 와인딩하면서 노칭 가공을 통하여 전극탭을 형성하는 등의 작업을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극판에서 활물질이 양면에 코팅된 활물질 코팅부와 한쪽 단부(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활물질의 코팅이 되지 않고 노출된 무지부가 형성된 극판을 이송라인에서 이송시키면서 상기 전극탭을 형성하는 공정(노칭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전극탭이 형성된 극판을 와인딩하여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키는 방식이나 극판을 일정한 면적으로 절단하여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서 적층하는 방식으로 이차전지를 제조한다. 이차전지의 제조를 위해서 극판에 노칭 금형을 이용하여 극판의 무지부에 전극탭을 형성하는 상기 노칭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극판을 노칭하는 공정 중에 펀치가 너무 단단하게 노칭 금형에 고정되어 있어서 노칭 작업 중에 펀치가 적절한 유격이 있게 움직이지 못하게 되면서 펀치의 마모가 그만큼 더 빨리 일어나게 되고, 펀치의 마모 등이 더 빨리 일어나는 만큼 펀치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교적 고속으로 극판이 지나가면서 노칭 금형의 펀치도 고속으로 승강하여 극판에 탭을 형성하는데, 극판 노칭 작업중에 큰 힘으로 극판이 펀치와 주변물(예를 들어, 펀치가 장착된 상형 아래의 하형의 펀치홀 등)에 끼이는 경우가 발생하여 극판의 불량이 생기는 여지가 있다.
한편, 극판에는 알루미늄판에 활물질을 도포한 것과 동판에 활물질을 도포한 것이 있고, 극판 중에서 어떤 극판은 활물질이 규정 두께보다 더 얇은 두께나 더 두꺼운 두께로 도포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처럼 알루미늄판 극판과 동판 극판에 따라서 극판의 특성이 달라지게 되므로, 극판의 균일한 노칭을 위하여 노칭 금형에서 극판을 노칭하는 펀치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극판을 노칭 금형 쪽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극판의 이송 속도가 원활한 노칭 작업이 이루어질 정도의 느린 속도가 유지되면 극판의 무지부가 제대로 노칭될 수는 있으나, 극판의 속도가 규정 속도보다 빨라지면 극판의 무지부가 제대로 노칭되지 못하고 극판이 말려들어갈 여지도 있어서, 극판의 원활한 노칭 작업을 위하여 역시 펀치의 클리어런스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극판의 특성이 변하더라도 빠르게 대응하여 펀치의 클리어런스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펀치다이와 하부 펀치 다이의 클리어런스 조정을 통하여 상하부 펀치 다이의 수명향상 및 노칭금형장치를 통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부베이스의 다이와 상부베이스의 펀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노칭금형을 포함하는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치는, 전면다이부재와 후면다이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부베이스와, 성형되는 필름이 안착되도록 전면다이부재와 후면다이부재 사이에서 하부베이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필름접촉판과,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전면다이부재 일측에서 전면펀치다이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후면다이부재 일측에서 후면펀치다이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다이조절핀과, 전면펀치다이가 위치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면다이부재와, 전면펀치가 접촉됨으로 필름의 전면측을 성형하도록 전면다이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가 위치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후면다이부재와, 후면펀치가 접촉됨으로 필름의 후면측을 성형하도록 후면다이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후면펀치다이와, 하부베이스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의 POST삽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베이스의 압축시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적합한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POST와, 전면펀치부재와 후면펀치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성형되는 필름을 하부필름접촉판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전면펀치부재와 후면펀치부재 사이에서 상부베이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부필름접촉판과, 전면펀치와 후면펀치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전면펀치부재 일측에서 전면펀치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후면펀치부재 일측에서 후면펀치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펀치조절핀과, 전면펀치가 위치되도록 상부베이스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면펀치부재와, 전면펀치다이에 접촉됨으로 필름의 전면측을 성형하도록 전면펀치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전면펀치와, 후면펀치가 위치되도록 상부베이스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후면펀치부재와, 후면펀치다이에 접촉됨으로 필름의 후면측을 성형하도록 후면펀치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후면펀치와, 위치결정용POST에 삽입되어 압축시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적합한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상부베이스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POST삽입부재와, 하부베이스 상에서 상부베이스를 이탈시키기 위해 상부베이스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형장치는, 금형안착틀에 안착되는 노칭금형이 금형고정부재 내부로 저속의 속도로 하강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은,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금형고정부재와, 고정마그네틱을 지지하도록 금형고정부재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부재밀착패널과, 작업재에 자성을 이용하여 금형고정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부재밀착부재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마그네틱과, 고정마그네틱의 자성을 작동시키기 위해 부재밀착부재 일측으로 고정마그네틱과 연결 형성되며, 작동스틱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작동홈과, 레일부재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금형고정부재 내부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이 연결되고, 타측은 압착부재에 연결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부재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가 안착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금형안착틀과, 하강제어스프링이 내장되며, 압착부재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금형고정부재 일측방향에서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링홈과, 금형의 안착시 무게를 지지하며, 압착부재가 저속을 하강되도록 링홈 내부로 형성되는 하강제어스프링과, 금형의 안착시 레일부재에 연결되어 하강제어스프링을 압착시키도록 링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압착부재와, 압착부재의 승하강시 링홈 상에서 흔들림으로 압착부재에 의해 링홈 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압착부재 둘레로 형성되는 완충링과, 레일부재와 압착부재 간의 연결과 레일부재와, 연결부재와 실린더부재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연결대와, 상승실린더가 내장되며, 상승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금형고정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축유동홈과, 실린더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축유동홈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상승실린더와, 일측이 연결대와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펀치 다이와 하부 펀치 다이의 클리어런스 조정을 통하여 상하부 펀치 다이의 수명향상 및 노칭금형장치를 통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도 1b은 본 발명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노칭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는 도 1a에 대한 하부베이스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1a에 대한 상부베이스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도 6은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완충고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가이드승하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집진세척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a, 도 2b는 도 1a에 대한 하부베이스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는 도 1a에 대한 상부베이스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도 6은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완충고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가이드승하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노칭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집진세척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도 1b은 본 발명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100)에 대한 노칭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a, 도 2b는 도 1a에 대한 하부베이스(110)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4a, 도 4b, 도 4c는 도 1a에 대한 상부베이스(120)측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대한 제품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100)는 하부베이스(110)의 다이와 상부베이스(120)의 펀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노칭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칭금형은 하부베이스(110), 하부필름접촉판(111), 다이조절핀(112), 전면다이부재(113), 전면펀치다이(114), 후면다이부재(115), 후면펀치다이(116), 위치결정용POST(117), 상부베이스(120), 상부필름접촉판(121), 펀치조절핀(122), 전면펀치부재(123), 전면펀치(124), 후면펀치부재(125), 후면펀치(126), POST삽입부재(127)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베이스(110)는 전면다이부재(113)와 후면다이부재(115)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필름접촉판(111)은 성형되는 필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필름접촉판(111)은 전면다이부재(113)와 후면다이부재(115) 사이에서 하부베이스(1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이조절핀(112)은 전면펀치다이(114)와 후면펀치다이(11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다이조절핀(112)은 전면다이부재(113) 일측에서 전면펀치다이(114)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후면다이부재(115) 일측에서 후면펀치다이(116)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다이부재(113)는 전면펀치다이(114)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다이부재(113)는 하부베이스(1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펀치다이(114)는 전면펀치(124)가 접촉됨으로 필름의 전면측을 성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펀치다이(114)는 전면다이부재(113)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다이부재(115)는 후면펀치다이(116)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다이부재(115)는 하부베이스(11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펀치다이(116)는 후면펀치(126)가 접촉됨으로 필름의 후면측을 성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펀치다이(116)는 후면다이부재(115)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용POST(117)는 하부베이스(110)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120)의 POST삽입부재(12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베이스(120)의 압축시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적합한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결정용POST(117)는 하부베이스(110)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베이스(120)는 전면펀치부재(123)와 후면펀치부재(125)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필름접촉판(121)은 성형되는 필름을 하부필름접촉판(111)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필름접촉판(121)은 전면펀치부재(123)와 후면펀치부재(125) 사이에서 상부베이스(120)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조절핀(122)은 전면펀치(124)와 후면펀치(126)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펀치조절핀(122)은 전면펀치부재(123) 일측에서 전면펀치(124)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후면펀치부재(125) 일측에서 후면펀치(126)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펀치부재(123)는 전면펀치(124)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펀치부재(123)는 상부베이스(12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펀치(124)는 전면펀치다이(114)에 접촉됨으로 필름의 전면측을 성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펀치(124)는 전면펀치부재(123)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펀치부재(125)는 후면펀치(126)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펀치부재(125)는 상부베이스(120)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펀치(126)는 후면펀치다이(116)에 접촉됨으로 필름의 후면측을 성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펀치(126)는 후면펀치부재(125)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OST삽입부재(127)는 위치결정용POST(117)에 삽입되어 압축시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적합한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POST삽입부재(127)는 상부베이스(120)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손잡이는 하부베이스(110) 상에서 상부베이스(120)를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손잡이는 상부베이스(12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노칭금형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완충고정수단(2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고정수단(200)은 노칭금형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완충고정수단(200)은 노칭금형의 작업대 안착시 노칭금형의 무게에 의해 작업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고정수단(200)은 거치플레이트(210), 플레이트고정날개(211), 날개고정홈(212), 패널유동홈(213), 스프링안착홈(214), 완충스프링(215), 이탈방지단(216), 베이스안착패널(217), 밀착패드(218), 거리센서(219), 감지부재(220), 밀착실린더(221), 밀착부재(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플레이트(210)는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플레이트(210)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고정날개(211)는 거치플레이트(210)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고정날개(211)는 작업대에 밀착되도록 거치플레이트(2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고정홈(212)은 플레이트고정날개(211)를 작업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개고정홈(212)은 플레이트고정날개(2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유동홈(213)은 베이스안착패널(217)이 거치플레이트(2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유동홈(213)은 거치플레이트(2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안착홈(214)은 완충스프링(215)의 일부가 거치플레이트(210)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안착홈(214)은 거치플레이트(21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215)은 노칭금형의 안착시 금형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215)은 일측이 스프링안착홈(214)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탈방지단(216)에 삽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216)은 완충스프링(215)의 일측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216)은 베이스안착패널(217)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안착패널(217)은노칭금형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안착패널(217)은 패널유동홈(213) 내부로 완충스프링(215)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218)는 베이스안착패널(217)에 안착되는 노칭금형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안착시 베이스안착패널(217)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218)는 베이스안착패널(217)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센서(219)는 감지부재(220)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센서(219)는 베이스안착패널(217) 하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재(220)는 거리센서(219)가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재(220)는 패널유동홈(213)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221)는 베이스안착패널(217)에 안착되는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110)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221)는 거치플레이트(2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222)는 거치플레이트(210)를 관통하여 하부베이스(110)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222)는 밀착실린더(221)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노칭금형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가이드승하강수단(3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300)은 노칭금형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300)은 금형안착틀(317)에 안착되는 노칭금형이 금형고정부재(310) 내부로 저속의 속도로 하강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300)은 금형고정부재(310), 부재밀착패널(311), 고정마그네틱(312), 마그네틱작동홈(313), 금형안착홈(314), 가이드레일(315), 레일부재(316), 금형안착틀(317), 링홈(318), 하강제어스프링(319), 압착부재(320), 완충링(321), 연결대(322), 축유동홈(323), 상승실린더(324), 실린더부재(3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형고정부재(310)는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고정부재(310)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밀착패널(311)은 고정마그네틱(31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밀착패널(311)은 금형고정부재(3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마그네틱(312)은 작업재에 자성을 이용하여 금형고정부재(3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마그네틱(312)은 부재밀착부재(222)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작동홈(313)은 고정마그네틱(312)의 자성을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작동홈(313)은 부재밀착부재(222) 일측으로 고정마그네틱(312)과 연결 형성되며, 작동스틱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15)은 레일부재(316)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15)은 금형고정부재(310) 내부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316)는 가이드레일(315)을 따라 승하강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317)이 연결되고, 타측은 압착부재(320)에 연결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317)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부재(325)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안착틀(317)은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안착틀(317)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재(316)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홈(318)은 하강제어스프링(319)이 내장되며, 압착부재(320)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링홈(318)은 금형고정부재(310) 일측방향에서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강제어스프링(319)은 금형의 안착시 무게를 지지하며, 압착부재(320)가 저속을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제어스프링(319)은 링홈(318)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부재(320)는 금형의 안착시 레일부재(316)에 연결되어 하강제어스프링(319)을 압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부재(320)는 링홈(318)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링(321)은 압착부재(320)의 승하강시 링홈(318) 상에서 흔들림으로 압착부재(320)에 의해 링홈(318) 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링(321)은 압착부재(320)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322)는 레일부재(316)와 압착부재(320) 간의 연결과, 레일부재(316)와 실린더부재(325)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유동홈(323)은 상승실린더(324)가 내장되며, 상승실린더(324)의 실린더 축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유동홈(323)은 금형고정부재(3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실린더(324)는 실린더부재(325)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실린더(324)는 축유동홈(323)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부재(325)는 일측이 연결대(322)와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노칭금형장치(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집진세척수단(4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세척수단(400)은 노칭금형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집진세척수단(400)은 하부베이스(110)에 안착되는 하부필름접촉판(111)과 전면다이부재(113)와 후면다이부재(115)와 전면펀치다이(114)와 후면펀치다이(116)의 먼지를 세척해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세척수단(400)은 세척플레이트(410), 고정가이드(411), 플레이트고정홈(412), 베이스안착홈(413), 기어지지대(414), 롤구동모터(415), 모터기어(416), 하부변환기어(417), 상부변환기어(418), 수평벨트(419), 수직벨트(420), 기어이송벨트(421), 세척브러쉬(422), 브러쉬기어(423), 노즐지지대(424), 분사노즐(425), 집진기(426), 흡입구(427), 흡입펌프(4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플레이트(410)는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1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플레이트(410)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411)는 세척플레이트(410)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가이드(411)는 작업대에 밀착되도록 세척플레이트(4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고정홈(412)은 고정가이드(411)를 세척플레이트(410)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고정홈(412)은 고정가이드(4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안착홈(413)은 하부베이스(1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안착홈(413)은 세척플레이트(4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지지대(414)는 하부변환기어(417)와 상부변환기어(418)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지지대(414)는 세척플레이트(4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구동모터(415)는 모터기어(416)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구동모터(415)는 세척플레이트(4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기어(416)는 롤구동모터(415)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하부변환기어(417)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기어(416)는 롤구동모터(4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변환기어(417)는 모터기어(416)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상부변환기어(4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변환기어(417)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어지지대(414)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변환기어(418)는 하부변환기어(417)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타측의 기어지지대(414)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변환기어(4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변환기어(418)는 일측의 기어지지대(414)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벨트(419)는 모터기어(416)와 하부변환기어(417)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벨트(420)는 하부변환기어(417)와 상부변환기어(418)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이송벨트(421)는 일측의 기어지지대(414)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변환기어(418)와 타측의 기어지지대(414)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변환기어(418)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브러쉬(422)는 하부베이스(110)에 안착되는 하부필름접촉판(111)과 전면다이부재(113)와 후면다이부재(115)와 전면펀치다이(114)와 후면펀치다이(116)의 먼지를 세척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브러쉬(422)는 브러쉬기어(42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기어(423)는 세척브러쉬(422)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기어(423)는 기어이송벨트(421)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지지대(424)는 분사노즐(425)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지지대(424)는 세척플레이트(4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425)은 하부베이스(110)에 안착되는 하부필름접촉판(111)과 전면다이부재(113)와 후면다이부재(115)와 전면펀치다이(114)와 후면펀치다이(116)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425)은 노즐지지대(424)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기(426)는 흡입구(427)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기(426)는 작업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427)는 세척브러쉬(422) 상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427)는 흡입펌프(428)와 연결되는 흡입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펌프(428)는 집진기(426) 측으로 흡입구(427)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펌프(428)는 집진기(426) 상부로 형성되어 흡입관을 이용하여 흡입구(427)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노칭금형장치
110 : 하부베이스 111 : 하부필름접촉판
112 : 다이조절핀 113 : 전면다이부재
114 : 전면펀치다이 115 : 후면다이부재
116 : 후면펀치다이 117 : 위치결정용POST
120 : 상부베이스 121 : 상부필름접촉판
122 : 펀치조절핀 123 : 전면펀치부재
124 : 전면펀치 125 : 후면펀치부재
126 : 후면펀치 127 : POST삽입부재
200 : 완충고정수단 210 : 거치플레이트
211 : 플레이트고정날개 212 : 날개고정홈
213 : 패널유동홈 214 : 스프링안착홈
215 : 완충스프링 216 : 이탈방지단
217 : 베이스안착패널 218 : 밀착패드
219 : 거리센서 220 : 감지부재
221 : 밀착실린더 222 : 밀착부재
300 : 가이드승하강수단 310 : 금형고정부재
311 : 부재밀착패널 312 : 고정마그네틱
313 : 마그네틱작동홈 314 : 금형안착홈
315 : 가이드레일 316 : 레일부재
317 : 금형안착틀 318 : 링홈
319 : 하강제어스프링 320 : 압착부재
321 : 완충링 322 : 연결대
323 : 축유동홈 324 : 상승실린더
325 : 실린더부재
400 : 집진세척수단 410 : 세척플레이트
411 : 고정가이드 412 : 플레이트고정홈
413 : 베이스안착홈 414 : 기어지지대
415 : 롤구동모터 416 : 모터기어
417 : 하부변환기어 418 : 상부변환기어
419 : 수평벨트 420 : 수직벨트
421 : 기어이송벨트 422 : 세척브러쉬
423 : 브러쉬기어 424 : 노즐지지대
425 : 분사노즐 426 : 집진기
427 : 흡입구 428 : 흡입펌프
110 : 하부베이스 111 : 하부필름접촉판
112 : 다이조절핀 113 : 전면다이부재
114 : 전면펀치다이 115 : 후면다이부재
116 : 후면펀치다이 117 : 위치결정용POST
120 : 상부베이스 121 : 상부필름접촉판
122 : 펀치조절핀 123 : 전면펀치부재
124 : 전면펀치 125 : 후면펀치부재
126 : 후면펀치 127 : POST삽입부재
200 : 완충고정수단 210 : 거치플레이트
211 : 플레이트고정날개 212 : 날개고정홈
213 : 패널유동홈 214 : 스프링안착홈
215 : 완충스프링 216 : 이탈방지단
217 : 베이스안착패널 218 : 밀착패드
219 : 거리센서 220 : 감지부재
221 : 밀착실린더 222 : 밀착부재
300 : 가이드승하강수단 310 : 금형고정부재
311 : 부재밀착패널 312 : 고정마그네틱
313 : 마그네틱작동홈 314 : 금형안착홈
315 : 가이드레일 316 : 레일부재
317 : 금형안착틀 318 : 링홈
319 : 하강제어스프링 320 : 압착부재
321 : 완충링 322 : 연결대
323 : 축유동홈 324 : 상승실린더
325 : 실린더부재
400 : 집진세척수단 410 : 세척플레이트
411 : 고정가이드 412 : 플레이트고정홈
413 : 베이스안착홈 414 : 기어지지대
415 : 롤구동모터 416 : 모터기어
417 : 하부변환기어 418 : 상부변환기어
419 : 수평벨트 420 : 수직벨트
421 : 기어이송벨트 422 : 세척브러쉬
423 : 브러쉬기어 424 : 노즐지지대
425 : 분사노즐 426 : 집진기
427 : 흡입구 428 : 흡입펌프
Claims (2)
- 하부베이스의 다이와 상부베이스의 펀치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노칭금형을 포함하는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장치는,
전면다이부재와 후면다이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부베이스와,
성형되는 필름이 안착되도록 전면다이부재와 후면다이부재 사이에서 하부베이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하부필름접촉판과,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전면다이부재 일측에서 전면펀치다이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후면다이부재 일측에서 후면펀치다이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다이조절핀과,
전면펀치다이가 위치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면다이부재와,
전면펀치가 접촉됨으로 필름의 전면측을 성형하도록 전면다이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가 위치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후면다이부재와,
후면펀치가 접촉됨으로 필름의 후면측을 성형하도록 후면다이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후면펀치다이와,
하부베이스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의 POST삽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베이스의 압축시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적합한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위치결정용POST와,
전면펀치부재와 후면펀치부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성형되는 필름을 하부필름접촉판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전면펀치부재와 후면펀치부재 사이에서 상부베이스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부필름접촉판과,
전면펀치와 후면펀치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전면펀치부재 일측에서 전면펀치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후면펀치부재 일측에서 후면펀치와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펀치조절핀과,
전면펀치가 위치되도록 상부베이스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전면펀치부재와,
전면펀치다이에 접촉됨으로 필름의 전면측을 성형하도록 전면펀치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전면펀치와,
후면펀치가 위치되도록 상부베이스 상면 타측으로 형성되는 후면펀치부재와,
후면펀치다이에 접촉됨으로 필름의 후면측을 성형하도록 후면펀치부재 중앙으로 형성되는 후면펀치와,
위치결정용POST에 삽입되어 압축시 전면펀치다이와 후면펀치다이의 적합한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상부베이스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POST삽입부재와,
하부베이스 상에서 상부베이스를 이탈시키기 위해 상부베이스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형장치는,
금형안착틀에 안착되는 노칭금형이 금형고정부재 내부로 저속의 속도로 하강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은,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금형고정부재와,
고정마그네틱을 지지하도록 금형고정부재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부재밀착패널과,
작업재에 자성을 이용하여 금형고정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부재밀착부재 하면에 형성되는 고정마그네틱과,
고정마그네틱의 자성을 작동시키기 위해 부재밀착부재 일측으로 고정마그네틱과 연결 형성되며, 작동스틱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작동홈과,
레일부재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금형고정부재 내부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이 연결되고, 타측은 압착부재에 연결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부재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재와,
노칭금형의 하부베이스가 안착되도록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금형안착틀과,
하강제어스프링이 내장되며, 압착부재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금형고정부재 일측방향에서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링홈과,
금형의 안착시 무게를 지지하며, 압착부재가 저속을 하강되도록 링홈 내부로 형성되는 하강제어스프링과,
금형의 안착시 레일부재에 연결되어 하강제어스프링을 압착시키도록 링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압착부재와,
압착부재의 승하강시 링홈 상에서 흔들림으로 압착부재에 의해 링홈 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압착부재 둘레로 형성되는 완충링과,
레일부재와 압착부재 간의 연결과 레일부재와, 연결부재와 실린더부재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연결대와,
상승실린더가 내장되며, 상승실린더의 실린더 축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금형고정부재 타측으로 형성되는 축유동홈과,
실린더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축유동홈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상승실린더와,
일측이 연결대와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598A KR102528350B1 (ko) | 2022-10-26 | 2022-10-26 |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9598A KR102528350B1 (ko) | 2022-10-26 | 2022-10-26 |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350B1 true KR102528350B1 (ko) | 2023-05-02 |
Family
ID=8638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9598A KR102528350B1 (ko) | 2022-10-26 | 2022-10-26 |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35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541B1 (ko) | 2018-06-26 | 2020-07-24 | (주)광신하이테크 | 대용량 배터리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및 포밍 방법 |
KR102189942B1 (ko) | 2020-08-11 | 2020-12-11 |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 개선된 펀치 취부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노칭금형 |
KR20210048354A (ko) * | 2019-10-23 | 2021-05-03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이차전지 극판 노칭 금형 및 노칭 금형 제조방법 |
-
2022
- 2022-10-26 KR KR1020220139598A patent/KR1025283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541B1 (ko) | 2018-06-26 | 2020-07-24 | (주)광신하이테크 | 대용량 배터리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및 포밍 방법 |
KR20210048354A (ko) * | 2019-10-23 | 2021-05-03 | 주식회사 엠플러스 | 이차전지 극판 노칭 금형 및 노칭 금형 제조방법 |
KR102189942B1 (ko) | 2020-08-11 | 2020-12-11 |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 개선된 펀치 취부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노칭금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1899B2 (en) | Method for laminating substrate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CN210709796U (zh) | 一种纸张上料机构 | |
CN110137575B (zh) | 一种包胶装置 | |
CN113526855B (zh) | 一种磁悬浮玻璃切割工艺 | |
EP019315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hering a tape or sheet to a semiconductor wafer | |
KR102461755B1 (ko) | 포밍금형장치 | |
KR102528350B1 (ko) |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 |
KR102461725B1 (ko) | 노칭금형장치 | |
CN110844640B (zh) | 堆叠错分上料装置 | |
CN211077780U (zh) | 薄膜产品自动拾取装置及其检测生产线 | |
JP2001114434A (ja) | 積重薄板の分離装置および方法 | |
CN114346474B (zh) | 一种全自动激光晶圆切割装置及切割方法 | |
CN218136136U (zh) | 一种模具零部件的装配平台 | |
CN213752664U (zh) | 一种用于丝网印刷的硅片分选机上料装置 | |
KR102507910B1 (ko) | 가압식 금형장치 | |
JP2008060319A (ja) | 半導体ウエハ載置用テーブル | |
CN111682718B (zh) | 一种自动叠压机 | |
CN220920911U (zh) | 一种舟皿装纸装置 | |
CN220844533U (zh) | 一种用于光伏焊带收卷的自动码料结构 | |
CN211366209U (zh) | 叠片机双轴机械手装置 | |
CN218950420U (zh) | 一种家具板裁切上料装置 | |
CN220827052U (zh) | 一种吸胶片组件 | |
CN209784729U (zh) | 一种全自动曝光机 | |
CN219326555U (zh) | 一种设置有限位结构的防倾斜升降机 | |
CN218769428U (zh) | 芯片摆盘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