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755B1 - 포밍금형장치 - Google Patents

포밍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755B1
KR102461755B1 KR1020220018194A KR20220018194A KR102461755B1 KR 102461755 B1 KR102461755 B1 KR 102461755B1 KR 1020220018194 A KR1020220018194 A KR 1020220018194A KR 20220018194 A KR20220018194 A KR 20220018194A KR 102461755 B1 KR102461755 B1 KR 10246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forming mold
seat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홍
Original Assignee
조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홍 filed Critical 조진홍
Priority to KR102022001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6Platens or press rams
    • B30B15/061Cushi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 B30B15/24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plurality of actuating members to maintain parallel movement of the platen or press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30B15/281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overload limi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필름이 찢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포밍금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밍금형장치{forming mold device}
본 발명은 포밍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필름이 찢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포밍금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가능하고 대용량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제품은 물론,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은 대형 제폼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은, 먼저 양극 및 음극의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시켜 단위 셀들을 제조한 다음, 단위 셀들을 서로 적층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한다. 다음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금속캔이나 파우치 형태의 케이스에 수용하여 케이스 내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에 내장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된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파우치는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 필름을 포밍장치를 통해 포밍하여 전극조립체가 내부에 수용되는 파우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는 파우치 필름이 배치되는 상면에 격벽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포밍홈이 각각 형성되는 다이와, 상기 다이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파우치 필름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포밍홈에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파우치 필름에 한 쌍의 수용부를 포밍하는 한 쌍의 펀치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사용할 때는, 다이와 펀치를 프레스 장치에서 설치해야 하는데 다이와 펀치를 프레스 장치에 설치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이와 펀치의 수명이 다되어 교체할 경우에도 교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를 통해 파우치 필름을 포밍하면, 포밍홈의 하부 둘레의 모서리부분이 완전히 연신되지 않아, 포밍홈의 하부 둘레의 모서리부분이 우글쭈글하게 우는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8994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37541호
본 발명은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함으로 파우치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며, 공기를 주입하여 성형틀에서 원활하게 탈거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우치 필름이 찢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포밍금형을 포함하는 포밍금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밍금형은, 하부성형패널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의 정밀가이드삽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베이스의 압축시 정밀가이드작용을 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정밀가이드와, 하부베이스 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가 성형압착시 하부성형패널과 스트리퍼플레이트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정밀가이드삽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위치결정바와, 스트리퍼플레이트이 접촉되며, 성형을 위한 필름이 안착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으로 형성되는 하부성형패널과, 스트리퍼플레이트에 결합 형성된 상부성형펀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성형패널 중앙으로 형성되는 펀치삽입홈과, 성형 완료시 하부성형패널 상에서 성형된 필름이 쉽게 떨어지도록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부베이스 중앙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공기주입홈과, 스트리퍼플레이트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정밀가이드에 결합되어 하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의 결합시 정밀가이드작용을 하도록 상부베이스 일측면에 정밀가이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정밀가이드삽입부재와, 위치결정바에 결합되어 하부성형패널과 스트리퍼플레이트을 정렬하도록 상부베이스 일측면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결정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정밀가이드삽입부재와, 상부성형펀치가 내장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스트리퍼플레이트과, 펀치삽입홈에 삽입되어 필름을 성형하도록 스트리퍼플레이트에 결합 형성되는 상부성형펀치와, 성형 완료시 스트리퍼플레이트 상에서 성형된 필름이 쉽게 떨어지도록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 중앙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공기주입홈과, 하부베이스에 안착 결합되는 상부베이스를 작업자가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상부베이스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밍금형장치는, 포밍금형의 작업대 안착시 포밍금형의 무게에 의해 작업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고정수단은,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와, 거치플레이트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대에 밀착되도록 거치플레이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플레이트고정날개와, 플레이트고정날개를 작업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플레이트고정날개 상에 형성되는 날개고정홈과, 베이스안착패널이 거치플레이트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거치플레이트 내부로 형성되는 패널유동홈과, 완충스프링의 일부가 거치플레이트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거치플레이트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안착홈과, 포밍금형의 안착시 금형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스프링안착홈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탈방지단에 삽입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완충스프링의 일측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베이스안착패널 하부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포밍금형이 안착되도록 패널유동홈 내부로 완충스프링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베이스안착패널과, 베이스안착패널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안착시 베이스안착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베이스안착패널 상면에 형성되는 밀착패드와, 감지부재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안착패널 하면으로 형성되는 거리센서와, 거리센서가 거리를 감지하도록 패널유동홈 바닥면에 형성되는 감지부재와, 베이스안착패널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거치플레이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밀착실린더와, 거치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부베이스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밀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성형함으로 파우치의 찢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펀치 부분에 AIR를 추가함으로써 파우치의 성형시 보다 나은 성형을 제공하며, 파우치의 원활한 현상을 유발하여 공정의 흐름에 개선을 줄수 있도록 하며, 제품의 품질 향상에 극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2a, 도 12b, 도 12c, 도 12d, 도 12e는 본 발명 포밍금형장치에 대한 포밍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대한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대한 하부베이스측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대한 상부베이스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포밍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완충고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8은 포밍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가이드승하강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0은 포밍금형장치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집진세척수단에 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 포밍금형장치(500)에 대한 포밍금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대한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에 대한 하부베이스(510)측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대한 상부베이스(516)측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밍금형장치(500)는 파우치 필름이 찢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포밍금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밍금형은 하부베이스(510), 정밀가이드(511), 위치결정바(512), 하부성형패널(513), 펀치삽입홈(514), 하부공기주입홈(515), 상부베이스(516),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7),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8), 스트리퍼플레이트(519), 상부성형펀치(520), 공기주입홈(521), 베이스손잡이(5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베이스(510)는 하부성형패널(513)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밀가이드(511)는 하부베이스(510)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516)의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7)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베이스(516)의 압축시 정밀가이드작용을 하도록 하부베이스(510)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바(512)는 하부베이스(510) 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516)가 성형압착시 하부성형패널(513)과 스트리퍼플레이트(519)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위치결정바(512)는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8)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베이스(510)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성형패널(513)은 스트리퍼플레이트(519)이 접촉되며, 성형을 위한 필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성형패널(513)은 하부베이스(510) 상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삽입홈(514)은 스트리퍼플레이트(519)에 결합 형성된 상부성형펀치(5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펀치삽입홈(514)은 하부성형패널(513) 중앙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공기주입홈(515)은 성형 완료시 하부성형패널(513) 상에서 성형된 필름이 쉽게 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공기주입홈(515)은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부베이스(510) 중앙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베이스(516)는 스트리퍼플레이트(519)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7)는 정밀가이드(511)에 결합되어 하부베이스(510)와 상부베이스(516)의 결합시 정밀가이드작용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7)는 상부베이스(516) 일측면에 정밀가이드(51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8)는 위치결정바(512)에 결합되어 하부성형패널(513)과 스트리퍼플레이트(519)을 정렬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밀가이드삽입부재(518)는 상부베이스(516) 일측면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결정바(5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519)은 상부성형펀치(520)가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519)은 상부베이스(516)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성형펀치(520)는 펀치삽입홈(514)에 삽입되어 필름을 성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성형펀치(520)는 스트리퍼플레이트(519)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주입홈(521)은 성형 완료시 스트리퍼플레이트(519) 상에서 성형된 필름이 쉽게 떨어지도록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주입홈(521)은 상부베이스(516) 중앙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손잡이(522)는 하부베이스(510)에 안착 결합되는 상부베이스(516)를 작업자가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손잡이(522)는 상부베이스(516)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포밍금형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완충고정수단(6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완충고정수단(600)은 포밍금형장치(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완충고정수단(600)은 포밍금형의 작업대 안착시 포밍금형의 무게에 의해 작업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고정수단(600)은 거치플레이트(610), 플레이트고정날개(611), 날개고정홈(612), 패널유동홈(613), 스프링안착홈(614), 완충스프링(615), 이탈방지단(616), 베이스안착패널(617), 밀착패드(618), 거리센서(619), 감지부재(620), 밀착실린더(621), 밀착부재(6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플레이트(610)는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5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플레이트(610)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고정날개(611)는 거치플레이트(610)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고정날개(611)는 작업대에 밀착되도록 거치플레이트(6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개고정홈(612)은 플레이트고정날개(611)를 작업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날개고정홈(612)은 플레이트고정날개(6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널유동홈(613)은 베이스안착패널(617)이 거치플레이트(610)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널유동홈(613)은 거치플레이트(6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안착홈(614)은 완충스프링(615)의 일부가 거치플레이트(610)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안착홈(614)은 거치플레이트(610)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615)은 포밍금형의 안착시 금형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615)은 일측이 스프링안착홈(614)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탈방지단(616)에 삽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616)은 완충스프링(615)의 일측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616)은 베이스안착패널(617)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안착패널(617)은포밍금형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안착패널(617)은 패널유동홈(613) 내부로 완충스프링(615)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패드(618)는 베이스안착패널(617)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안착시 베이스안착패널(617)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패드(618)는 베이스안착패널(617)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센서(619)는 감지부재(620)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센서(619)는 베이스안착패널(617) 하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재(620)는 거리센서(619)가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재(620)는 패널유동홈(613)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실린더(621)는 베이스안착패널(617)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510)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실린더(621)는 거치플레이트(6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622)는 거치플레이트(610)를 관통하여 하부베이스(510)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재(622)는 밀착실린더(621)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포밍금형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가이드승하강수단(7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19는 도 1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700)은 포밍금형장치(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700)은 금형안착틀(717)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이 금형고정부재(710) 내부로 저속의 속도로 하강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승하강수단(700)은 금형고정부재(710), 부재밀착패널(711), 고정마그네틱(712), 마그네틱작동홈(713), 금형안착홈(714), 가이드레일(715), 레일부재(716), 금형안착틀(717), 링홈(718), 하강제어스프링(719), 압착부재(720), 완충링(721), 연결대(722), 축유동홈(723), 상승실린더(724), 실린더부재(7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형고정부재(710)는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5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고정부재(710)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재밀착패널(711)은 고정마그네틱(712)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부재밀착패널(711)은 금형고정부재(7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마그네틱(712)은 작업재에 자성을 이용하여 금형고정부재(7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마그네틱(712)은 부재밀착부재(622)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작동홈(713)은 고정마그네틱(712)의 자성을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작동홈(713)은 부재밀착부재(622) 일측으로 고정마그네틱(712)과 연결 형성되며, 작동스틱에 의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715)은 레일부재(716)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715)은 금형고정부재(710) 내부 양측면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부재(716)는 가이드레일(715)을 따라 승하강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717)이 연결되고, 타측은 압착부재(720)에 연결되며, 일측이 금형안착틀(717)에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부재(725)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안착틀(717)은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5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안착틀(717)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레일부재(716)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홈(718)은 하강제어스프링(719)이 내장되며, 압착부재(720)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링홈(718)은 금형고정부재(710) 일측방향에서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강제어스프링(719)은 금형의 안착시 무게를 지지하며, 압착부재(720)가 저속을 하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제어스프링(719)은 링홈(718)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부재(720)는 금형의 안착시 레일부재(716)에 연결되어 하강제어스프링(719)을 압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압착부재(720)는 링홈(718)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링(721)은 압착부재(720)의 승하강시 링홈(718) 상에서 흔들림으로 압착부재(720)에 의해 링홈(718) 내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링(721)은 압착부재(720)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722)는 레일부재(716)와 압착부재(720) 간의 연결과, 레일부재(716)와 실린더부재(725)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유동홈(723)은 상승실린더(724)가 내장되며, 상승실린더(724)의 실린더 축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유동홈(723)은 금형고정부재(7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승실린더(724)는 실린더부재(725)를 승하강 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실린더(724)는 축유동홈(723) 내부로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부재(725)는 일측이 연결대(722)와 연결되고, 타측이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0은 포밍금형장치(5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집진세척수단(8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20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세척수단(800)은 포밍금형장치(5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집진세척수단(800)은 하부베이스(510)에 안착되는 하부성형패널(513)과 펀치삽입홈(514)의 먼지를 세척해주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세척수단(800)은 세척플레이트(810), 고정가이드(811), 플레이트고정홈(812), 베이스안착홈(813), 기어지지대(814), 롤구동모터(815), 모터기어(816), 하부변환기어(817), 상부변환기어(818), 수평벨트(819), 수직벨트(820), 기어이송벨트(821), 세척브러쉬(822), 브러쉬기어(823), 노즐지지대(824), 분사노즐(825), 집진기(826), 흡입구(827), 흡입펌프(8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플레이트(810)는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510)를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플레이트(810)는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가이드(811)는 세척플레이트(810)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가이드(811)는 작업대에 밀착되도록 세척플레이트(8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고정홈(812)은 고정가이드(811)를 세척플레이트(810)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고정홈(812)은 고정가이드(811)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안착홈(813)은 하부베이스(510)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안착홈(813)은 세척플레이트(8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지지대(814)는 하부변환기어(817)와 상부변환기어(818)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지지대(814)는 세척플레이트(810)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구동모터(815)는 모터기어(816)를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롤구동모터(815)는 세척플레이트(8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기어(816)는 롤구동모터(815)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하부변환기어(817)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기어(816)는 롤구동모터(8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변환기어(817)는 모터기어(816)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상부변환기어(8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변환기어(817)는 일측으로 형성되는 기어지지대(814)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변환기어(818)는 하부변환기어(817)로부터 제공받은 회전동력을 타측의 기어지지대(814)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변환기어(818)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변환기어(818)는 일측의 기어지지대(814)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벨트(819)는 모터기어(816)와 하부변환기어(817)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벨트(820)는 하부변환기어(817)와 상부변환기어(818)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이송벨트(821)는 일측의 기어지지대(814)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변환기어(818)와 타측의 기어지지대(814) 상부로 형성되는 상부변환기어(818)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브러쉬(822)는 하부베이스(510)에 안착되는 하부성형패널(513)과 펀치삽입홈(514)의 먼지를 세척해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브러쉬(822)는 브러쉬기어(82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기어(823)는 세척브러쉬(822)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브러쉬기어(823)는 기어이송벨트(821)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지지대(824)는 분사노즐(825)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지지대(824)는 세척플레이트(810)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825)은 하부베이스(510)에 안착되는 하부성형패널(513)과 펀치삽입홈(514)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825)은 노즐지지대(824)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기(826)는 흡입구(827)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기(826)는 작업대 상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구(827)는 세척브러쉬(822) 상의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827)는 흡입펌프(828)와 연결되는 흡입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펌프(828)는 집진기(826) 측으로 흡입구(827)를 통해 먼지를 흡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펌프(828)는 집진기(826) 상부로 형성되어 흡입관을 이용하여 흡입구(827)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0 : 포밍금형장치
510 : 하부베이스 511 : 정밀가이드
512 : 위치결정바 513 : 하부성형패널
514 : 펀치삽입홈 515 : 하부공기주입홈
516 : 상부베이스 517 : 정밀가이드삽입부재
518 : 정밀가이드삽입부재 519 : 스트리퍼플레이트
520 : 상부성형펀치 521 : 공기주입홈
522 : 베이스손잡이
600 : 완충고정수단 610 : 거치플레이트
611 : 플레이트고정날개 612 : 날개고정홈
613 : 패널유동홈 614 : 스프링안착홈
615 : 완충스프링 616 : 이탈방지단
617 : 베이스안착패널 618 : 밀착패드
619 : 거리센서 620 : 감지부재
621 : 밀착실린더 622 : 밀착부재
700 : 가이드승하강수단 710 : 금형고정부재
711 : 부재밀착패널 712 : 고정마그네틱
713 : 마그네틱작동홈 714 : 금형안착홈
715 : 가이드레일 716 : 레일부재
717 : 금형안착틀 718 : 링홈
719 : 하강제어스프링 720 : 압착부재
721 : 완충링 722 : 연결대
723 : 축유동홈 724 : 상승실린더
725 : 실린더부재
800 : 집진세척수단 810 : 세척플레이트
811 : 고정가이드 812 : 플레이트고정홈
813 : 베이스안착홈 814 : 기어지지대
815 : 롤구동모터 816 : 모터기어
817 : 하부변환기어 818 : 상부변환기어
819 : 수평벨트 820 : 수직벨트
821 : 기어이송벨트 822 : 세척브러쉬
823 : 브러쉬기어 824 : 노즐지지대
825 : 분사노즐 826 : 집진기
827 : 흡입구 828 : 흡입펌프

Claims (3)

  1. 파우치 필름이 찢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필름을 성형하는 포밍금형을 포함하는 포밍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금형은,
    하부성형패널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의 정밀가이드삽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부베이스의 압축시 정밀가이드작용을 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정밀가이드와,
    하부베이스 측으로 결합되는 상부베이스가 성형압착시 하부성형패널과 스트리퍼플레이트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정밀가이드삽입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베이스 상면 일측과 타측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위치결정바와,
    스트리퍼플레이트이 접촉되며, 성형을 위한 필름이 안착되도록 하부베이스 상면으로 형성되는 하부성형패널과,
    스트리퍼플레이트에 결합 형성된 상부성형펀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성형패널 중앙으로 형성되는 펀치삽입홈과,
    성형 완료시 하부성형패널 상에서 성형된 필름이 쉽게 떨어지도록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부베이스 중앙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공기주입홈과,
    스트리퍼플레이트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베이스와,
    정밀가이드에 결합되어 하부베이스와 상부베이스의 결합시 정밀가이드작용을 하도록 상부베이스 일측면에 정밀가이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정밀가이드삽입부재와,
    위치결정바에 결합되어 하부성형패널과 스트리퍼플레이트을 정렬하도록 상부베이스 일측면 일측과 타측으로 위치결정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정밀가이드삽입부재와,
    상부성형펀치가 내장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스트리퍼플레이트과,
    펀치삽입홈에 삽입되어 필름을 성형하도록 스트리퍼플레이트에 결합 형성되는 상부성형펀치와,
    성형 완료시 스트리퍼플레이트 상에서 성형된 필름이 쉽게 떨어지도록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부베이스 중앙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공기주입홈과,
    하부베이스에 안착 결합되는 상부베이스를 작업자가 쉽게 이탈시키기 위해 상부베이스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베이스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금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금형장치는,
    포밍금형의 작업대 안착시 포밍금형의 무게에 의해 작업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고정수단은,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작업대에 안착 형성되는 거치플레이트와,
    거치플레이트를 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대에 밀착되도록 거치플레이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플레이트고정날개와,
    플레이트고정날개를 작업대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해 플레이트고정날개 상에 형성되는 날개고정홈과,
    베이스안착패널이 거치플레이트 내부에서 유동되도록 거치플레이트 내부로 형성되는 패널유동홈과,
    완충스프링의 일부가 거치플레이트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거치플레이트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는 스프링안착홈과,
    포밍금형의 안착시 금형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스프링안착홈에 삽입되고, 타측이 이탈방지단에 삽입형성되는 완충스프링과,
    완충스프링의 일측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베이스안착패널 하부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단과,
    포밍금형이 안착되도록 패널유동홈 내부로 완충스프링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베이스안착패널과,
    베이스안착패널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안착시 베이스안착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베이스안착패널 상면에 형성되는 밀착패드와,
    감지부재와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베이스안착패널 하면으로 형성되는 거리센서와,
    거리센서가 거리를 감지하도록 패널유동홈 바닥면에 형성되는 감지부재와,
    베이스안착패널에 안착되는 포밍금형의 하부베이스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거치플레이트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밀착실린더와,
    거치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하부베이스 양측에 각각 밀착되도록 밀착실린더의 실린더 축에 연결 형성되는 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금형장치.
KR1020220018194A 2022-02-11 2022-02-11 포밍금형장치 KR10246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94A KR102461755B1 (ko) 2022-02-11 2022-02-11 포밍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194A KR102461755B1 (ko) 2022-02-11 2022-02-11 포밍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755B1 true KR102461755B1 (ko) 2022-10-31

Family

ID=8380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194A KR102461755B1 (ko) 2022-02-11 2022-02-11 포밍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910B1 (ko) * 2022-10-26 2023-03-07 조진홍 가압식 금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41B1 (ko) 2018-06-26 2020-07-24 (주)광신하이테크 대용량 배터리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및 포밍 방법
KR102189942B1 (ko) 2020-08-11 2020-12-11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개선된 펀치 취부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노칭금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41B1 (ko) 2018-06-26 2020-07-24 (주)광신하이테크 대용량 배터리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및 포밍 방법
KR102189942B1 (ko) 2020-08-11 2020-12-11 주식회사 유진테크놀로지 개선된 펀치 취부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노칭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910B1 (ko) * 2022-10-26 2023-03-07 조진홍 가압식 금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755B1 (ko) 포밍금형장치
CN106041166A (zh) 一种钢管打孔机
US11559871B2 (en) Device for integrally processing housing of 3C product
KR101307875B1 (ko)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탬핑 장치
KR102507910B1 (ko) 가압식 금형장치
CN206069019U (zh) 自动收料设备及其自动收料机构
CN217322351U (zh) 一种pack自动线机
KR102461725B1 (ko) 노칭금형장치
CN212372904U (zh) 一种带有切割装置的瓦楞纸覆膜机
CN212021767U (zh) 一种小型复压机
CN210793779U (zh) 一种办公家具板材的包装台
CN209829930U (zh) 一种钢结构用折弯装置
CN220349034U (zh) 一种具有冲孔功能的pvc片材吸塑机
KR102528350B1 (ko) 위치조절부를 갖는 금형장치
CN219924256U (zh) 一种弹壳下料机
CN210336615U (zh) 一种橡胶制品边料处理装置
CN213618304U (zh) 吸塑机用移动式成型机构
CN213293687U (zh) 一种化工生产用的电气自动化传送装置
CN210390205U (zh) 一种纺织棉花压紧装置
CN220095723U (zh) 一种输液袋生产修边装置
CN218919255U (zh) 残液收集部件及抽气成型装置
CN220241664U (zh) 一种电路板钻孔收料装置
CN218398296U (zh) 一种气袋切割组合装置
CN212392310U (zh) 一种铝塑膜加工装置
CN220865773U (zh) 自助贴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