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353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353B1
KR102527353B1 KR1020217003890A KR20217003890A KR102527353B1 KR 102527353 B1 KR102527353 B1 KR 102527353B1 KR 1020217003890 A KR1020217003890 A KR 1020217003890A KR 20217003890 A KR20217003890 A KR 20217003890A KR 102527353 B1 KR102527353 B1 KR 10252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able terminal
server
flo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701A (ko
Inventor
준 이노우에
교헤이 하마다
히로야스 다바타
히로유키 무라카미
아키히로 나카야
아키라 후미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53Call registering systems 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using portabl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어 장치(17), 발신 장치(2), 및 서버(4)를 구비한다. 발신 장치(2)는 애플리케이션 A를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킨다.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제어 장치(17)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송신된다. 서버(4)는 출발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17)는 서버(4)로부터의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서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로부터 이용자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송신된다. 휴대 단말로부터의 정보는, 승강장에 마련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서 제어 장치에 수신된다.
일본 특허 제632112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휴대 단말이 제어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를 관리하기 위한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부정한 이용을 방어하도록, 액세스 포인트의 시큐리티 정보를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현장마다 관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관리가 용이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제어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제어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휴대 단말로부터 서버로 송신된다.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출발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는 서버로부터의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응답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제어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제어 장치와 출발층과 휴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휴대 단말로부터 서버로 송신된다. 서버에,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기억된다.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하고,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는 서버로부터의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을 응답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그룹 관리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그룹 관리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휴대 단말로부터 서버로 송신된다.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출발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는 서버로부터의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칸을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그룹 관리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그룹 관리 장치와 출발층과 휴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휴대 단말로부터 서버로 송신된다. 서버에, 그룹 관리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기억된다. 서버는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1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하고,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 그룹 관리 장치는 서버로부터의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칸을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면,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휴대 단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서버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서버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휴대 단말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서버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휴대 단말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서버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그룹 관리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대표 호기로서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2는 서버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서버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1), 발신 장치(2), 휴대 단말(3), 및 서버(4)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5)를 통해서 서버(4)에 접속된다. 네트워크(5)는 예를 들면 IP 네트워크이다. IP 네트워크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5)는 클로즈드 네트워크여도 되고, 오픈 네트워크여도 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서버(4)에 접속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일례이다. 서버(4)에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접속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1) 및 균형추(12)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1)은 승강로(13)를 상하로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11) 및 균형추(12)는 메인 로프(14)에 의해서 승강로(13)에 매달린다. 메인 로프(14)는 권상기(15)의 구동 쉬브(16)에 감겨 걸려져 있다. 권상기(15)는 제어 장치(17)에 의해서 제어된다. 즉, 제어 장치(17)는 엘리베이터 칸(11)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1)은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11)이 정지하는 엘리베이터의 각 승강장(20)에, 승강장 도어가 마련된다. 제어 장치(17)는 엘리베이터 칸(11)을 어느 승강장(20)에 정지시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개폐시킨다. 승강장(20)에 승강장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승강장 도어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가 대향하는 위치에서 개폐되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개폐된다. 즉, 제어 장치(17)는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제어 장치(17)에 보수 장치(18)가 접속된다. 보수 장치(18)에 통신 장치(19)가 접속된다. 서버(4)는 통신 장치(19) 및 보수 장치(18)를 통해서 제어 장치(17)에 접속된다.
발신 장치(2)는 예를 들면 비컨으로서, 특정 주파수대의 무선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신 장치(2)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정지하는 승강장(20)에 마련된다. 발신 장치(2)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정지하는 모든 승강장(20)에 마련되어도 된다. 발신 장치(2)는 엘리베이터 칸(11)이 정지하는 일부의 승강장(20)에 마련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는 건물의 로비층의 승강장(20)에만 마련되어도 된다.
휴대 단말(3)은 이용자가 소유하는 단말이다. 휴대 단말(3)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다. 본 시스템에서는, 이용자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할 수 있다. 휴대 단말(3)을 이용한 호출 등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3)에, 호출 등록용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관리를 행하는 보수 회사의 홈페이지에 휴대 단말(3)로부터 액세스함으로써, 휴대 단말(3)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A」로 표기한다.
도 2는 휴대 단말(3)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3)은 예를 들면 표시기(31) 및 입력부(32)를 구비한다. 도 3은 서버(4)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4)는 예를 들면 기억부(41), 통신부(42) 및 특정부(43)를 구비한다.
이하에, 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휴대 단말(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승강장(20)에서는, 발신 장치(2)가 예를 들면 일정 주기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킨다. 휴대 단말(3)은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을 소지하는 이용자가 승강장(20)에 가까워지면,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가 휴대 단말(3)에 의해서 수신된다(S101의 Yes).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102).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는, 휴대 단말(3)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 A를 자동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에는, 예를 들면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S1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1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도 5는 서버(4)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201). S1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2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기억부(41)에,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변환 테이블이 미리 기억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202). 표 1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정보 건물 번호 제2 정보 호기 번호 제3 정보 설치층 비고


1001


B0001
2001
E01
01 1층

ABC 빌딩
05 5층
2002 E02 01 1층
2003 E03 01 1층
1002 B0002 2001 E01 01 1층 XY 빌딩
1003 B0003 2001 E01 02 2층 Z 빌딩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1)가 ABC 빌딩에 구비된 1호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이며, 발신 장치(2)가 엘리베이터 칸(11)이 정지하는 1층의 승강장(20)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에는, 제1 정보 「1001」, 제2 정보 「2001」, 및 제3 정보 「01」이 포함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제1 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정보를,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로 변환한다. 상기 예이면, 특정부(43)는 제1 정보 「1001」을 건물 번호 「B0001」로 변환한다. 건물 번호 「B0001」은, ABC 빌딩에 할당된 번호이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제1 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제2 정보를,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호기 번호로 변환한다. 상기 예이면, 특정부(43)는, 제2 정보 「2001」을 호기 번호 「E01」로 변환한다. 호기 번호 「E01」은, 1호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할당된 번호이다.
건물 번호 「B0001」과 호기 번호 「E01」의 조합에 의해, 이용자가 탑승하려고 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ABC 빌딩에 구비된 1호기, 즉 엘리베이터 장치(1)로 특정할 수 있다.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에 포함되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는, 엘리베이터 장치(1), 및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건물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1대밖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발신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제2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특정부(43)는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특정할 수 있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제1 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제3 정보를,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출발층으로 변환한다. 상기 예이면, 특정부(43)는, 제3 정보 「01」을 출발층 「1층」으로 변환한다. 특정부(43)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의 설치층을 이용자의 출발층으로서 특정한다.
S2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S203).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B0001」 및 호기 번호 「E01」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1)가 특정된다. 통신부(42)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
도 6은 제어 장치(17)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제어 장치(17)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1). S203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19) 및 보수 장치(18)를 통해서 제어 장치(17)가 수신하면, S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제어 장치(17)는 S3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S302). 제2 신호에는,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는 제2 신호에 포함되는 출발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제어 장치(17)는, S302에서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S303).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7)는 출발층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키고, 도어를 개방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이용자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할 수 있다. 이용자가 휴대 단말(3)을 소지하여 승강장(20)에 접근하면, 자동적으로 호출이 등록된다. 이용자는 호출을 등록하기 위해 휴대 단말(3)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송신된다. 휴대 단말(3)로부터의 제1 신호를 서버(4)가 수신하면, 서버(4)로부터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가 송신된다. 이 때문에, 본 시스템은 휴대 단말(3)이 제어 장치(17)와 통신하기 위한 전용의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시스템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4)는 엘리베이터 장치(1)를 관리하는 보수 회사에 구비된다. 엘리베이터 장치(1)를 관리하기 위해, 서버(4)와 제어 장치(17)의 사이에는 보수용의 통신로가 확립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수 장치(18)는 정기적으로 제어 장치(17)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한다. 보수 장치(18)는, 진단 운전에 있어서,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취득한다. 보수 장치(18)는 진단 운전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통신 장치(19)를 통해서 서버(4)로 송신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장치(2)는 제어 장치(17)와 통신하지 않아도 된다. 발신 장치(2)는 엘리베이터 장치(1)에 구비된 기기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발신 장치(2)는 예를 들면 내부에 전지를 구비해도 된다.
이하에, 본 시스템이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을 조합해서 채용해도 된다. 이하에 나타내는 기능은, 다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변환 테이블은 휴대 단말(3)에 기억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의 기능도 휴대 단말(3)에 구비된다. 도 7은 휴대 단말(3)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401에서 S4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101에서 S1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402).
S4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와 미리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이 특정된다(S403). S403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이 특정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404).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S403에서 특정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도 8은 서버(4)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동작은, 휴대 단말(3)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지는 때에 실시된다.
S501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1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501). S404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서버(4)가 수신하면, S5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5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신호를 송신한다(S502).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제1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서버(4)는, S50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17)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다른 예로서, 휴대 단말(3)에,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표시시켜도 된다. 도 9는 휴대 단말(3)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601에서 S603에 나타내는 처리는, S101에서 S1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6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602). S6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6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도 10은 서버(4)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동작은, 휴대 단말(3)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지는 때에 실시된다.
S701에서 S7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1에서 S2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701). S6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서버(4)가 수신하면, S701에서 Yes로 판정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702).
S7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제1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단말(3)로 제3 신호를 송신한다(S703). 제3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가 설치된 건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건물은, 건물 번호 「B0001」로부터 특정된다.
S704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S7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S704).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17)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휴대 단말(3)에서는, S603에서 서버(4)로 제1 신호를 송신하면, 서버(4)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604). S703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3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S604에서 Yes로 판정된다. 휴대 단말(3)에서는, 수신한 제3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건물에 관한 정보가 표시기(31)에 표시된다(S605). S605에서 표시기(31)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점검 예정일
· 건물내의 점포 정보
· 쓰레기 수거일
표시기(31)에 표시되는 정보는,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휴대 단말(3)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801에서 S803에 나타내는 처리는, 기본적으로, S101에서 S1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8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802).
S8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8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신호에 제4 정보가 더 포함된다. 제4 정보는 휴대 단말(3)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4 정보는 예를 들면 단말 ID이다.
도 12는 서버(4)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901에서 S9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1에서 S2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901). S8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9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예를 들면, 기억부(41)에 제1 변환 테이블이 미리 기억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902).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억부(41)에,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2 변환 테이블이 미리 기억된다. 표 2는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정보 건물 번호 제2 정보 호기 번호 제4 정보 행선지층 비고




1001




B0001


2001


E01
30001 5층



ABC 빌딩
30002 3층
30003 9층


2002


E02
30001 4층
30002 3층
30003 9층


1002


B0002


2001


E01
30001 3층

XY 빌딩
30080 8층
30101 15층


1003


B0003


2001


E01
30003 7층

Z 빌딩
30101 3층
30155 7층
예를 들면, 단말 ID 「30001」이 할당된 휴대 단말(3)이, 제1 정보 「1001」, 제2 정보 「2001」, 및 제3 정보 「01」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발신 장치(2)로부터 수신한 예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3)은, S803에 있어서, 제1 정보 「1001」, 제2 정보 「2001」, 제3 정보 「01」, 및 제4 정보 「30001」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서버(4)로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번호 「B0001」과 호기 번호 「E01」의 조합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1)가 특정된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억부(41)에는, 엘리베이터 장치(1), 즉 제어 장치(17)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특정부(43)는, S901에서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한다(S903). 구체적으로,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제4 정보를,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행선지층으로 변환한다. 상기 예이면, 특정부(43)는 제4 정보 「30001」을 행선지층 「5층」으로 변환한다.
또한, 제2 변환 테이블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건물에 1대밖에 엘리베이터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그 건물에 대해서 설정되어도 된다.
S904에 나타내는 처리는, 기본적으로, S2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S9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S904).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1). S904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19) 및 보수 장치(18)를 통해서 제어 장치(17)가 수신하면, S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제어 장치(17)는 S3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S302).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신호에,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는 제2 신호에 포함되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한다.
제어 장치(17)는, S302에서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S303).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7)는, 출발층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키고, 도어를 개방시킨다. 제어 장치(17)는, 출발층에서 도어를 닫으면, 엘리베이터 칸(11)을 행선지층으로 이동시킨다. 제어 장치(17)는 행선지층에서 엘리베이터 칸(11)을 정지시키고, 도어를 개방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이용자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휴대 단말(3)이 제어 장치(17)와 통신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는 필요없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시스템이 채용 가능한 다른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시스템은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기능을 조합해서 채용해도 된다. 이하에 나타내는 기능은, 후술하는 실시 형태 4에 나타내는 예에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변환 테이블은 휴대 단말(3)에 기억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의 일부 기능은 휴대 단말(3)에 구비된다. 휴대 단말(3)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4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402).
S4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와 미리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이 특정된다(S403).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이 특정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404).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S403에서 특정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1 신호에는 제4 정보가 더 포함된다.
도 13은 서버(4)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1001에 나타내는 처리는, S901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01). S404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1001에서 Yes로 판정된다.
S10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9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특정부(43)는, S1001에서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한다(S1002). S1003에 나타내는 처리는, S904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S10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에 제2 신호를 송신한다(S1003).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제1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와 특정부(43)가 특정한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1). S1003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19) 및 보수 장치(18)를 통해서 제어 장치(17)가 수신하면, S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제어 장치(17)는 S3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한다(S302). 제어 장치(17)는, S302에서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승강장 행선지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S303).
다른 예로서, 제1 변환 테이블과 제2 변환 테이블 양방이 휴대 단말(3)에 기억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의 기능은 휴대 단말(3)에 구비된다.
도 14는 휴대 단말(3)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1101에서 S11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801에서 S8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1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1102).
S1103에서 S1104에 나타내는 처리는, 기본적으로, S902에서 S9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S11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와 미리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이 특정된다(S1103). 또한, S11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와 미리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이 특정된다(S1104).
S1105에 나타내는 처리는, S8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S1105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S1103 및 S1104에서 특정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서버(4)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501). S1105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서버(4)가 수신하면, S5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서버(4)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S502).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제1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301). 제어 장치(17)는 S3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한다(S302). 제어 장치(17)는, S302에서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승강장 행선지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S303).
다른 예로서, 행선지층의 설정이 휴대 단말(3)로부터 행해져도 된다. 도 15는 휴대 단말(3)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1201에서 S12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801에서 S8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8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802).
휴대 단말(3)에서는, S1201에서의 무선 신호의 수신이 해당 발신 장치(2)로부터의 첫 수신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1203).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A가 휴대 단말(3)에 인스톨되고 나서 휴대 단말(3)이 발신 장치(2)로부터 처음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S1203에서 Yes로 판정된다. 한편, 휴대 단말(3)이 이전에 발신 장치(2)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적이 있으면, S1203에서 No로 판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술한 어느 예와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1206).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 및 제4 정보가 포함된다.
S1203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3)의 표시기(31)에, 이용자가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1204). 휴대 단말(3)에서는, 표시기(31)에 설정 화면이 표시되면, 행선지층이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205). 이용자는, 입력부(32)를 조작함으로써, 표시기(31)에 표시된 설정 화면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장치(1)에 대한 행선지층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설정 화면에서 행선지층을 입력한 후에 설정 화면에 표시된 설정 버튼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S1205에서 Yes로 판정된다.
S1205에서 Yes로 판정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1206).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1 신호에, 제4 정보 및 제5 정보가 더 포함된다. 제5 정보는 설정 화면으로부터 입력된 행선지층의 정보이다.
도 16은 서버(4)의 다른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1301에서 S1302에 나타내는 처리는, S901에서 S90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01). S1206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1301에서 Yes로 판정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1302).
서버(4)에서는, 통신부(42)가 제1 신호를 수신하면, 그 제1 신호에 제5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303). 제1 신호에 제5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예를 들면, S903에서 S904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특정부(43)는, S1301에서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한다(S1305). 또한, 통신부(42)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S1306).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제1 신호에 제5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제2 변환 테이블에 신규로 등록된다(S1304). 예를 들면, 제1 정보 「1001」, 제2 정보 「2001」, 제3 정보 「01」, 제4 정보 「30001」, 및 제5 정보 「5층」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서버(4)가 수신한 경우를 생각한다. 서버(4)가 해당 제1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제어 장치(17)에 대한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의 정보는, 제2 변환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서버(4)가 해당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신호에 포함되는 제5 정보 「5층」이, 제어 장치(17)에 대한 제4 정보 「30001」의 행선지층으로서, 제2 변환 테이블에 신규로 등록된다. 이것에 의해, 표시기(31)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이용자가 입력한 행선지층의 정보가 서버(4)의 기억부(41)에 기억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고 있을 때에 입력부(32)로부터 특정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상기 설정 화면이 표시기(31)에 표시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제2 변환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행선지층의 정보를 휴대 단말(3)로부터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다른 설정을 해당 설정 화면으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 승강장 인디케이터의 비표시 설정
· 도어 닫힘 속도 제어 및 도어 개방 시간 제어의 설정
· 행선지층으로의 직행 운전의 설정
또한, 도어 닫힘 속도 제어는 도어를 닫는 때의 도어 속도를 통상의 속도보다도 느리게 하기 위한 제어이다. 도어 개방 시간 제어는 도어를 개방해 두는 시간을 통상의 시간보다 길게 하기 위한 제어이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 관리가 행해지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예를 들면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 그룹 관리 장치(6), 보수 장치(7), 통신 장치(8), 발신 장치(2), 휴대 단말(3), 및 서버(4)를 구비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 즉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1)을 한 그룹으로서 관리한다. 도 17은 그룹 관리 장치(6)가 4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를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룹 관리 장치(6)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17)에 접속된다. 또한, 그룹 관리 장치(6)에 보수 장치(7)가 접속된다. 보수 장치(7)에 통신 장치(8)가 접속된다. 서버(4)는 통신 장치(8) 및 보수 장치(7)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에 접속된다.
발신 장치(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20)에 마련된다. 그룹 관리 장치(6)가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칸(11)의 각각은, 승강장(20)에 정지한다. 발신 장치(2)는 애플리케이션 A를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킨다.
휴대 단말(3)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어느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102).
S1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1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도 18은 서버(4)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1401에서 S1403에 나타내는 처리는, S201에서 S203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401). S1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1401에서 Yes로 판정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1402). 표 3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정보 건물 번호 제2 정보 호기 번호 그룹 번호 제3 정보 설치층 비고


1001


B0001
2001 E01
G01
01 1층

ABC 빌딩
05 5층
2002 E02 01 1층
2003 E03 G02 01 1층
2004 E04 01 1층
1002 B0002 2001 E01 G01 01 1층 XY 빌딩
2002 E02 01 1층
1003 B0003 2001 E01 02 2층 Z 빌딩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에, 제1 정보 「1001」, 제2 정보 「2001」, 및 제3 정보 「01」이 포함되는 예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에 의해, S1402에 있어서 건물 번호 「B0001」, 호기 번호 「E01」, 및 출발층 「1층」이 특정된다.
건물 번호 「B0001」과 호기 번호 「E01」의 조합에 의해, 이용자가 탑승하려고 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ABC 빌딩에 구비된 1호기, 즉 엘리베이터 장치(1)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엘리베이터 장치(1)는 그룹 번호 「G01」이 할당된 그룹 관리 장치(6)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S14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S1403).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B0001」 및 호기 번호 「E01」로부터 그룹 관리 장치(6)가 특정된다. 통신부(42)는 S1403에 있어서 그룹 관리 장치(6)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
도 19는 그룹 관리 장치(6)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501). S1403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8) 및 보수 장치(7)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가 수신하면, S15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S1502). 제2 신호에는,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6)는 제2 신호에 포함되는 출발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2에서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즉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관리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1) 중에서 결정한다(S1503). 그룹 관리 장치(6)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7)에 응답 지시를 행한다(S1504). 이 응답 지시에는,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6)로부터의 응답 지시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승강장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이용자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휴대 단말(3)이 그룹 관리 장치(6)와 통신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는 필요없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보수 장치(18)는 정기적으로 그룹 관리 장치(6)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한다. 보수 장치(18)는, 진단 운전에 있어서,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장치마다 취득한다. 보수 장치(18)는 진단 운전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통신 장치(8)를 통해서 서버(4)로 송신한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장치(2)는, 그룹 관리 장치(6)와 통신하지 않아도 된다. 발신 장치(2)는 제어 장치(17)와 통신하지 않아도 된다. 발신 장치(2)는 엘리베이터 장치(1)에 구비된 기기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발신 장치(2)는 예를 들면 내부에 전지를 구비해도 된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예를 들면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 그룹 관리 장치(6), 발신 장치(2), 휴대 단말(3), 및 서버(4)를 구비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에 보수 장치(18) 및 통신 장치(19)가 구비된다. 도 20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1)과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1)의 일부 요소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그룹 관리 장치(6)는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 즉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1)을 한 그룹으로서 관리한다. 도 20은 그룹 관리 장치(6)가 4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를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룹 관리 장치(6)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17)에 접속된다. 각 엘리베이터 장치(1)에서는, 제어 장치(17)에 보수 장치(18)가 접속된다. 보수 장치(18)에 통신 장치(19)가 접속된다. 도 20은 그룹 관리 장치(6)가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장치(1)의 하나가 대표 호기로 설정되고, 서버(4)가 그 대표 호기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에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 있어서는, 대표 호기를 다른 호기와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대표 호기의 요소를 나타내는 부호 뒤에 A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서버(4)는 통신 장치(19A), 보수 장치(18A), 및 제어 장치(17A)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에 접속된다.
휴대 단말(3)에서는, 실시 형태 1에서 개시한 어느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102).
S1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1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서버(4)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401). S1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1401에서 Yes로 판정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1402). 표 4는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정보 건물 번호 제2 정보 호기 번호 대표 호기 제3 정보 설치층 비고


1001


B0001
2001 E01
E01
01 1층

ABC 빌딩
05 5층
2002 E02 01 1층
2003 E03 E03 01 1층
2004 E04 01 1층
1002 B0002 2001 E01 E01 01 1층 XY 빌딩
2002 E02 01 1층
1003 B0003 2001 E01 02 2층 Z 빌딩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키는 무선 신호에, 제1 정보 「1001」, 제2 정보 「2001」, 및 제3 정보 「01」이 포함되는 예를 생각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에 의해, S1402에 있어서 건물 번호 「B0001」, 호기 번호 「E01」, 및 출발층 「1층」이 특정된다.
건물 번호 「B0001」과 호기 번호 「E01」의 조합에 의해, 이용자가 탑승하려고 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ABC 빌딩에 구비된 1호기, 즉 엘리베이터 장치(1)로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엘리베이터 장치(1)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6)에는, 대표 호기 「E01」을 통해서 신호를 송신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S14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S1403).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B0001」 및 호기 번호 「E01」로부터 그룹 관리 장치(6)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대표 호기가 특정된다. 통신부(42)는, S1403에 있어서, 특정된 대표 호기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
도 21은 대표 호기로서 설정된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제어 장치(17)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예를 들면, 도 21은 제어 장치(17A)의 동작예를 나타낸다. 제어 장치(17A)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601). 예를 들면, S1403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는, 통신 장치(19A)에 의해서 수신된다. 통신 장치(19A)는 서버(4)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를 보수 장치(18A)로 송신한다. 보수 장치(18A)는 통신 장치(19A)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를 제어 장치(17A)로 송신한다. S1403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19A) 및 보수 장치(18A)를 통해서 제어 장치(17A)가 수신하면, S16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제어 장치(17A)는 서버(4)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를 그룹 관리 장치(6)로 송신한다(S1602).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서버(4)로부터의 제2 신호를 제어 장치(17A)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501). S1602에서 제어 장치(17A)가 전송한 제2 신호를 그룹 관리 장치(6)가 수신하면, S15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S1502). 제2 신호에는,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6)는 제2 신호에 포함되는 출발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2에서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즉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관리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1) 중에서 결정한다(S1503). 그룹 관리 장치(6)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7)에 응답 지시를 행한다(S1504). 이 응답 지시에는, 출발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6)로부터의 응답 지시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승강장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어 장치(17A)가 그룹 관리 장치(6)의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도 21에 나타내는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A)는, 그룹 관리 기능으로서, 도 19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또한,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1)마다 진단 운전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보수 장치(18)는 정기적으로 제어 장치(17)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한다. 보수 장치(18)는 진단 운전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통신 장치(19)를 통해서 서버(4)로 송신한다. 일례로서, 보수 장치(18A)는 정기적으로 제어 장치(17A)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한다. 보수 장치(18A)는 진단 운전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통신 장치(19A)를 통해서 서버(4)로 송신한다. 또한, 다른 보수 장치(18)가 서버(4)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통신 장치(19)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해도 되고, 대표 호기의 통신 장치(19A)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해도 된다.
실시 형태 4.
실시 형태 3에서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호출을 등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휴대 단말(3)에서는, 실시 형태 2에서 개시한 어느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8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802).
S8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8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1 신호에는, 제4 정보가 더 포함된다.
도 22는 서버(4)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S1701에서 S1704에 나타내는 처리는, S901에서 S904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701). S8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1701에서 Yes로 판정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1702).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건물 번호 및 호기 번호로부터, 대응하는 그룹 관리 장치를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억부(41)에 제2 변환 테이블이 미리 기억된다. 표 5는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정보 건물 번호 제2 정보 호기 번호 그룹 번호 제4 정보 설치층 비고



1001



B0001
2001 E01
G01
30001 5층


ABC 빌딩
30002 3층
2002 E02
2003 E03
G02
30001 4층
30002 3층
2004 E04

1002

B0002
2001 E01
G01
30001 3층
XY 빌딩
30080 8층
2002 E02

1003

B0003

2001

E01

30002 9층
Z 빌딩
30101 3층
기억부(41)에는, 그룹 관리 장치(6)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특정부(43)는, S1701에서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한다(S1703). 또한, 제2 변환 테이블에는, 복수의 그룹 관리 장치의 각각에 대해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미리 설정된다. 건물에 그룹 관리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실시 형태 2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에 대해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설정된다.
S17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엘리베이터 장치(1)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6)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S1704).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501). S1704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8) 및 보수 장치(7)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가 수신하면, S15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S1502). 제2 신호에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6)는 제2 신호에 포함되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2에서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관리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1) 중에서 결정한다(S1503). 그룹 관리 장치(6)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7)에 응답 지시를 행한다(S1504). 이 응답 지시에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6)로부터의 응답 지시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승강장 행선지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이면, 이용자는 휴대 단말(3)을 이용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휴대 단말(3)이 그룹 관리 장치(6)와 통신하기 위한 전용의 액세스 포인트는 필요없다. 이 때문에, 시스템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변환 테이블이 휴대 단말(3)에 기억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의 일부 기능은 휴대 단말(3)에 구비된다. 제1 변환 테이블과 제2 변환 테이블 양방이 휴대 단말(3)에 기억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특정부(43)의 기능은 휴대 단말(3)에 구비된다. 또한, 행선지층의 설정이 휴대 단말(3)로부터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3)에서는, 실시 형태 2에서 개시한 어느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3)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휴대 단말(3)에서는,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801). 발신 장치(2)가 발생시킨 무선 신호를 휴대 단말(3)이 수신하면, 휴대 단말(3)에서는, 애플리케이션 A가 자동적으로 기동된다(S802).
S802에서 애플리케이션 A가 기동되면, 휴대 단말(3)로부터 서버(4)로 제1 신호가 자동적으로 송신된다(S803). 이 제1 신호에는, 예를 들면, 발신 장치(2)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제3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1 신호에는, 제4 정보가 더 포함된다.
서버(4)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서버(4)에서는, 휴대 단말(3)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701). S803에서 휴대 단말(3)이 송신한 제1 신호를 통신부(42)가 수신하면, S1701에서 Yes로 판정된다. 특정부(43)는,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1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건물 번호, 호기 번호, 및 출발층을 특정한다(S1702).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건물 번호 및 호기 번호로부터, 대응하는 그룹 관리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대표 호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기억부(41)에 제2 변환 테이블이 미리 기억된다. 표 6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제1 정보 건물 번호 제2 정보 호기 번호 대표 호기 제4 정보 설치층 비고



1001



B0001
2001 E01
E01
30001 5층


ABC 빌딩
30002 3층
2002 E02
2003 E03
E03
30001 4층
30002 3층
2004 E04

1002

B0002
2001 E01
E01
30001 3층
XY 빌딩
30080 8층
2002 E02

1003

B0003

2001

E01

30002 9층
Z 빌딩
30101 3층
기억부(41)에는, 대표 호기, 즉 그룹 관리 장치(6)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특정부(43)는, S1701에서 통신부(42)가 수신한 제1 신호와 기억부(41)에 기억된 제2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단말(3)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한다(S1703).
S1701에서 수신한 제1 신호로부터 특정부(43)가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을 특정하면, 통신부(42)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S1704). 이 제2 신호에는, 예를 들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호기 번호,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부(43)가 특정한 건물 번호 및 호기 번호로부터 그룹 관리 장치(6)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대표 호기가 특정된다. 통신부(42)는, S1704에 있어서, 특정된 대표 호기를 통해서 그룹 관리 장치(6)로 제2 신호를 송신한다.
대표 호기의 제어 장치(17)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A)에서는, 서버(4)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601). S1704에서 서버(4)가 송신한 제2 신호를 통신 장치(19A) 및 보수 장치(18A)를 통해서 제어 장치(17A)가 수신하면, S1601에서 Yes로 판정된다. 제어 장치(17A)는 서버(4)로부터 수신한 제2 신호를 그룹 관리 장치(6)로 송신한다(S1602).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이 행해진다. 그룹 관리 장치(6)에서는, 서버(4)로부터의 제2 신호를 예를 들면 제어 장치(17A)로부터 수신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S1501). S1602에서 제어 장치(17A)가 전송한 제2 신호를 그룹 관리 장치(6)가 수신하면, S1501에서 Yes로 판정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1에서 수신한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한다(S1502). 제2 신호에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그룹 관리 장치(6)는 제2 신호에 포함되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S1502에서 호출을 등록하면,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관리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11) 중에서 결정한다(S1503). 그룹 관리 장치(6)는,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결정하면, 그 할당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7)에 응답 지시를 행한다(S1504). 이 응답 지시에는,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 장치(17)에서는, 그룹 관리 장치(6)로부터의 응답 지시에 기초하여 승강장 행선지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승강장 행선지 호출에 엘리베이터 칸(11)을 응답시킨다.
도 23은 서버(4)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버(4)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51)와 메모리(52)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50)를 구비한다. 서버(4)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51)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5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혹은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52)로서,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혹은 DVD를 채용해도 된다. 채용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에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및 EEPROM 등이 포함된다.
도 24는 서버(4)의 하드웨어 자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서버(4)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51), 메모리(52), 및 전용 하드웨어(53)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50)를 구비한다. 도 24는 서버(4)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53)에 의해서 실현하는 예를 나타낸다. 서버(4)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53)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전용 하드웨어(53)로서,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3)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는, 도 2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휴대 단말(3)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3)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3)이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휴대 단말(3)이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7)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는, 도 2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제어 장치(17)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7)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7)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제어 장치(17)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그룹 관리 장치(6)의 하드웨어 자원의 예는, 도 2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룹 관리 장치(6)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그룹 관리 장치(6)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기능을 실현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로, 그룹 관리 장치(6)가 가지는 기능의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그룹 관리 장치(6)가 가지는 기능의 전부를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 : 엘리베이터 장치 2 : 발신 장치
3 : 휴대 단말 4 : 서버
5 : 네트워크 6 : 그룹 관리 장치
7 : 보수 장치 8 : 통신 장치
11 : 엘리베이터 칸 12 : 균형추
13 : 승강로 14 : 메인 로프
15 : 권상기 16 : 구동 쉬브
17 : 제어 장치 18 : 보수 장치
19 : 통신 장치 20 : 승강장
31 : 표시기 32 : 입력부
41 : 기억부 42 : 통신부
43 : 특정부 50 : 처리 회로
51 : 프로세서 52 : 메모리
53 : 전용 하드웨어

Claims (15)

  1.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처음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상기 표시기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기에 표시된 설정 화면으로부터 입력된 행선지층의 정보가 상기 서버에 기억되고, 상기 제어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상기 제어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자동적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출발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에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신호에,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칸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처음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상기 표시기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기에 표시된 설정 화면으로부터 입력된 행선지층의 정보가 상기 서버에 기억되고, 상기 제어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상기 제어 장치와 출발층과 상기 휴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자동적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하고,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출발층과 행선지층을 특정하고,
    상기 제2 신호에, 해당 특정된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보내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진단 운전으로 취득하는 보수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수 장치를 통해서 상기 제어 장치로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상기 그룹 관리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처음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상기 표시기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기에 표시된 설정 화면으로부터 입력된 행선지층의 정보가 상기 서버에 기억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상기 그룹 관리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자동적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출발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에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신호에,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호출을 등록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을 한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그룹 관리 장치와,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하는 승강장에 마련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신 장치와,
    상기 그룹 관리 장치에 접속된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처음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 화면이 상기 표시기에 표시되고, 상기 표시기에 표시된 설정 화면으로부터 입력된 행선지층의 정보가 상기 서버에 기억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와 출발층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송신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인스톨되고 나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발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를 수신한 적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면, 상기 그룹 관리 장치와 출발층과 상기 휴대 단말을 특정하기 위한 제1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자동적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버에, 상기 그룹 관리 장치에 대해서 설정된 이용자마다의 행선지층의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행선지층을 특정하고,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그룹 관리 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에 기초하여 호출을 등록하고, 그 등록한 호출에 응답시키는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이용자의 출발층과 행선지층을 특정하고,
    상기 제2 신호에, 해당 특정된 출발층 및 행선지층의 정보가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보내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진단 운전으로 취득하는 보수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수 장치를 통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로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중의 1대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에 진단 운전을 행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버로 보내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진단 운전으로 취득하는 보수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보수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서 상기 그룹 관리 장치로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장치는 상기 그룹 관리 장치와 통신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삭제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장치가 설치된 빌딩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3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로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217003890A 2018-09-26 2018-09-26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27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35681 WO2020065762A1 (ja) 2018-09-26 2018-09-26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701A KR20210028701A (ko) 2021-03-12
KR102527353B1 true KR102527353B1 (ko) 2023-04-28

Family

ID=6823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890A KR102527353B1 (ko) 2018-09-26 2018-09-26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90118B1 (ko)
KR (1) KR102527353B1 (ko)
CN (1) CN112638804B (ko)
WO (1) WO2020065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809B1 (ko) * 2020-09-16 2023-07-06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연락 시스템
JP7420696B2 (ja) 2020-11-11 2024-01-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
CN116615384A (zh) 2020-12-25 2023-08-1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电梯系统、程序以及便携式终端
KR102286000B1 (ko) * 2021-01-19 2021-08-04 최은수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로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23105762A1 (ja) * 2021-12-10 2023-06-15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14715741A (zh) * 2022-03-09 2022-07-0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呼梯系统与呼梯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3975A (ja) * 2015-07-02 2017-01-19 清水建設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52581A (ja) * 2015-09-07 2017-03-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17128417A (ja) * 2016-01-20 2017-07-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4625A (ja) 1982-09-07 1984-03-13 Tokyo Tatsuno Co Ltd パイププル−バ−
JP2003212446A (ja) * 2002-01-23 2003-07-3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5231781A (ja) * 2004-02-18 2005-09-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FI115521B (fi) * 2004-06-28 2005-05-31 Kone Corp Hissijärjestely
JP2006232412A (ja) * 2005-02-22 2006-09-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20160009852A (ko) * 2014-07-17 2016-01-27 송석우 엘리베이터 호출시스템
CN107709205B (zh) * 2015-10-29 2019-08-2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呼梯登记系统
KR20180093031A (ko) * 2016-02-25 2018-08-2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엘리베이터 원격 감시 서버, 피난 지원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를 활용한 피난 지원 방법
JP6315150B2 (ja) * 2016-02-29 2018-04-2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70139272A (ko) * 2016-06-09 2017-12-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개인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행선층 예약장치의 재할당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321124B1 (ja) * 2016-12-06 2018-05-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0088026B (zh) * 2016-12-26 2020-08-1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系统
CN207536946U (zh) * 2017-11-17 2018-06-26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电梯控制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3975A (ja) * 2015-07-02 2017-01-19 清水建設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52581A (ja) * 2015-09-07 2017-03-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17128417A (ja) * 2016-01-20 2017-07-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システム、並びに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65762A1 (ja) 2021-01-07
KR20210028701A (ko) 2021-03-12
JP6590118B1 (ja) 2019-10-16
CN112638804B (zh) 2023-04-28
CN112638804A (zh) 2021-04-09
WO2020065762A1 (ja)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735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101378982B (zh) 用于在建筑物的通信系统中产生服务的方法和系统
CN110116945B (zh) 电梯系统
EP3184476B1 (en) User-customized elevator floor selection
JP632112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9469502B2 (en) Destination call-giving device for giving destination calls in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U200124821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US20180118509A1 (en) Elevator activity level management of mobile device access
JP5585728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20160122157A1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ispatching
KR102522955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휴대 단말
CN106256744A (zh) 电梯乘坐用户管理方法及系统
US10227209B2 (en) Orchestration of an occupant evacuation operation using destination entry fixtures
CN113767058A (zh) 电梯的自动呼梯登记系统
KR20150073440A (ko) 휴대폰의 nfc를 이용한 승강기 호출 등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90796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휴대 단말
CN110182660A (zh) 电梯系统
KR102107318B1 (ko) 엘리베이터용 호출 입력 장치
JP2017036122A (ja) エレベータ用呼び登録装置
JP7156473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KR20150029823A (ko) 택시 콜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택시 콜 예약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2312105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運転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16820B1 (ko) 비디오폰의 방문객 확인신호와 행선층 예약제어기의 연동을 통한 건물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