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986B1 -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986B1
KR102525986B1 KR1020207025326A KR20207025326A KR102525986B1 KR 102525986 B1 KR102525986 B1 KR 102525986B1 KR 1020207025326 A KR1020207025326 A KR 1020207025326A KR 20207025326 A KR20207025326 A KR 20207025326A KR 102525986 B1 KR102525986 B1 KR 102525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ouch panel
input
instru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493A (ko
Inventor
노리아키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200116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8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pressure sensors, e.g. generating a signal proportional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를,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유저로부터 지시의 입력을 수취하는 기기가 보급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기기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에 따른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취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44455호 공보
유저는, 터치 패널에 대해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터치 패널에 있어서 지시의 입력을 받지 않는 영역(이하 「뉴트럴 영역」이라고 칭함)에 손가락을 위치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가, 뉴트럴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면, 터치 패널에 대해 잘못된 지시가 입력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터치 패널에의 터치 위치에 관계없이, 터치 패널에 대한 잘못된 지시의 입력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제공을, 해결 과제의 하나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를,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는,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장치(10)의 기능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유저의 엄지(F)가 제1 역치 미만의 압력으로 조작 영역 R에 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엄지(F)가 기울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변형예 A1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엄지(F)에 의한 터치 인이 발생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조작 영역 R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조작 영역 R의 설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조작 영역 R의 설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조작 영역 R의 설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터치 위치의 궤적과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의 변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터치 위치 P6 내지 P8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와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가 설정된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입력 유무 판정부(146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화면 좌표계와 조작 좌표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의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기준 상황에 있어서의 엄지(F)와 터치 패널(11)의 접촉 영역 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우측 지시 상황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 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상측 지시 상황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 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판정용 테이블 J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동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7은 변형예 B2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좌우 판정 영역 Rc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판정용 테이블 J1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A: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외관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또는 휴대용 게임 장치 등의 가반형 정보 처리 장치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터치 패널(11)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11)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지시의 입력을 수취하는 입력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일체화된 장치이다. 터치 패널(11)은, 다양한 화상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11)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접촉하는 물체와 터치 패널(11)에 의해 특정되는 정전 용량을 사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11)은,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에 관한 터치 위치 정보를 출력한다. 터치 위치 정보는, 적어도,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는, 터치 패널(11)에 설정된 원점 O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에 의해 규정된다. X축 및 Y축은, 터치 패널(11)에 평행인 선이다. X축은, 터치 패널(11)의 좌우 방향에 상당하고, Y축은, 터치 패널(11)의 상하 방향에 상당한다. 바꾸어 말하면, X축은 터치 패널(11)의 횡방향에 상당하고, Y축은 터치 패널(11)의 종방향에 상당한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게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터치 패널(11)에 게임의 화상을 표시한다.
도 1에서는, 터치 패널(11)은, 게임의 화상으로서,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V를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가상 공간 V 내에는 캐릭터 C가 배치된다. 도 1은 캐릭터 C의 얼굴 B가 정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게임의 화상은, 도 1에 나타낸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터치 패널(11)에는, 조작 영역 R이 설정된다. 조작 영역 R은, 조작을 받는 영역의 일례이다. 조작 영역 R은, 버추얼 패드라고도 칭해진다.
조작 영역 R은, 게임에 관한 지시의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양태로 마련된 영역의 일례이다.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양태로 마련된 영역」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가상적인 상, 하, 좌, 우의 방향 키여도 되고,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가상적인 십자 키여도 된다.
「상, 하, 좌, 우의 방향 키」는, 상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상측 키와, 하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하측 키와, 좌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좌측 키와, 우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우측 키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 상측 키와 하측 키와 좌측 키와 우측 키는, 서로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조작 영역 R은, 게임에 관한 지시의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되지 않는 양태로 마련된 가상적인 영역이어도 된다.
조작 영역 R은, 얼굴 B의 방향에 관한 지시(이하 「얼굴 방향 지시」라고 칭함)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얼굴 방향 지시는, 게임에 관한 지시의 일례이다.
얼굴 방향 지시의 일례로서는, 얼굴 B의 방향으로서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상향 지시를 들 수 있다. 얼굴 방향 지시의 다른 예로서는, 얼굴 B의 방향으로서 하측 방향을 나타내는 하향 지시와, 얼굴 B의 방향으로서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우향 지시와, 얼굴 B의 방향으로서 좌측 방향을 나타내는 좌향 지시 각각을 들 수 있다.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은, 게임에 관한 방향의 일례이다. 얼굴 방향 지시가 터치 패널(11)에 입력되면, 정보 처리 장치(10)는, 얼굴 B의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한다.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은, 예를 들어 유저의 엄지에 의해 행해진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는, 얼굴 방향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한다. 한편,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는, 조작 영역 R에의 터치가 있어도, 얼굴 방향 지시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이하, 얼굴 방향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를 「뉴트럴 상태」라고 칭한다.
여기서, 제1 역치는 양수이다. 제1 역치는, 입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이며, 예를 들어 고정값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값이어도 되고,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되는 값이어도 된다.
「제1 역치를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은, 일례를 들면, 터치 패널(11)에 대해 복수의 터치(이하 「멀티 터치」라고 칭함)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멀티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보다 제1 역치를 높이는 변경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는, 상술한 터치 패널(11) 외에도, 압력 검출 장치(12)와, 진동 장치(13)와, 제어 장치(14)와, 기억 장치(15)를 포함한다.
압력 검출 장치(12)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을 검출한다. 압력 검출 장치(12)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관한 압력 정보를 출력한다. 압력 정보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을 나타낸다.
유저가 엄지로 터치 패널(11)을 누르면, 터치 패널(11)은 전체적으로 조금 만곡된다. 압력 검출 장치(12)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만곡의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을 검출한다. 이 때문에, 압력 검출 장치(12)는, 터치 패널(11)에 대한 압력을 검출한다. 압력 검출 장치(12)는, 압력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진동 장치(13)는, 터치 패널(11)을 진동시킨다. 진동 장치(13)는, 예를 들어 회전에 수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이다. 진동 장치(13)가 진동하면,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 전체가 진동한다.
제어 장치(1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이다. 제어 장치(14)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각 요소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기억 장치(15)는, 프로세서 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non-transitory 기록 매체)의 일례이다. 기억 장치(15)는, 제어 장치(14)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상술한 게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제어 장치(14)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자기 기록 매체 혹은 반도체 기록 매체 등의 공지의 기록 매체, 또는 복수종의 기록 매체의 조합에 의해 기억 장치(15)가 구성된다.
제어 장치(14)는, 기억 장치(1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게임 제어부(141), 설정부(142), 표시 제어부(143),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 압력 정보 취득부(145), 입력 유무 판정부(146), 지시 내용 판정부(147) 및 진동 제어부(148)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 장치(14)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용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게임 제어부(141)는,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 경우, 게임 제어부(141)는, 당해 얼굴 방향 지시에 따라서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 제어부(141)는, 뉴트럴 상태에 있어서는, 얼굴 B의 방향을, 뉴트럴 상태에 미리 대응된 방향(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면의 방향)으로 한다. 게임 제어부(141)는, 게임의 진행의 상황에 따른 화상을 나타내는 게임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설정부(142)는, 터치 패널(11)에 조작 영역 R을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부(142)는, 조작 영역 R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한다.
조작 영역 R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점 Q, 상측 방향 영역 R1,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및 좌측 방향 영역 R4를 갖는다.
기준점 Q는, 조작 영역 R의 위치의 기준이 되는 점이다. 기준점 Q는, 예를 들어 조작 영역 R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설정된다. 기준점 Q는, 조작 영역 R의 무게 중심의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설정되어도 된다.
상측 방향 영역 R1은, 터치 패널(11) 상에 있어서 기준점 Q보다 상측에 설정되고,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좌측 방향 영역 R4는, 각각, 기준점 Q보다 우측, 하측, 좌측에 설정된다.
상측 방향 영역 R1에는, 터치 패널(11) 상의 상측 방향이 대응되고,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좌측 방향 영역 R4에는, 터치 패널(11) 상의 우측 방향, 하측 방향, 좌측 방향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143)는, 게임 제어부(141)가 생성한 게임 화상 정보에 따른 게임의 화상에 조작 영역 R의 화상이 중첩된 화상(이하 「중첩 화상」이라고 칭함)을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킨다.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는, 터치 패널(11)이 출력한 터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압력 정보 취득부(145)는, 압력 검출 장치(12)가 출력한 압력 정보를 취득한다.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 취득부(145)가 취득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압력 정보」는, 특별히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압력 정보 취득부(145)가 취득한 압력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 경우),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터치 위치 정보」는, 특별히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터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와 조작 영역 R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터치 위치」는, 특별히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게임 제어부(141)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와,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게임의 진행을 제어한다.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된 경우,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진동시킨다. 진동 제어부(148)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된 경우에도, 진동 장치(13)를 진동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서, 정보 처리 장치(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동작은, 소정의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개시된다. 이하의 도 4를 사용한 설명에서는, 표시 제어부(143)가 중첩 화상을 터치 패널(11)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터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S100), 압력 정보 취득부(145)가 압력 정보를 취득하면(S102),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또한, S100과 S102의 순번은 반대여도 된다.
S104에서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한편,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경우,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하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터치 패널(11)에의 터치가 있어도,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은, 「터치 패널(11)에의 지시의 입력의 상태는, 뉴트럴 상태라는 취지의 판정」이라고 환언할 수 있다.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S104: "예"),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을 판정한다(S106).
S106에서는, 터치 위치가, 상측 방향 영역 R1,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및 좌측 방향 영역 R4 중 어느 것에 속하는 경우,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위치가 속하는 영역에 대응된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한다.
일례를 들면, 터치 위치가 우측 방향 영역 R2에 속하는 경우,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우측 방향을 판정한다. 또한, 게임 제어부(141)는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게임의 진행에 반영시킨다. 예를 들어, 게임 제어부(141)는, 얼굴 방향 지시가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 얼굴 B의 방향을 우향으로 한다. 또한,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금회의 판정의 결과를 기억 장치(15)에 기억시키고, 또한 전전회의 판정의 결과를 기억 장치(15)로부터 삭제한다.
계속해서, 금회의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이, 전회의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으로부터 변화되어 있는 경우(S108: "예"),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켜,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 전체를 제1 소정 시간(예를 들어, 0.1초) 진동시킨다(S110). 제1 소정 시간은 0.1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유저는, 터치 패널(11)의 진동을 손가락의 감각을 통해 지각함으로써, 얼굴 방향 지시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얼굴 방향 지시의 변화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손가락의 감각으로 지시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물리적인 조작 버튼을 조작하는 감각에 가까운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인 경우(S104: "아니오"),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을 판정하지 않고,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또한, 금회의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이, 전회의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으로부터 변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S108: "아니오"),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또한,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된 경우에,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켜도 된다. 이 경우, 유저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에 대한 변화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S104에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유저의 엄지(F)가 제1 역치 미만의 압력으로 조작 영역 R에 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저의 엄지(F)가 제1 역치 미만의 압력으로 조작 영역 R에 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터치 패널(11)에의 지시의 입력 상태는 뉴트럴 상태라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을 제1 역치 미만으로 하면, 터치 패널(11)로부터 엄지(F)를 떼지 않아도 뉴트럴 상태를 실현 가능해진다. 따라서, 터치 패널(11)에의 터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터치 패널(11)에 잘못된 얼굴 방향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에서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엄지(F)의 터치 위치 P1로서, 터치 패널(11) 중 엄지(F)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 위치 P1은, 당해 접촉 영역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위치 P1은, 당해 접촉 영역 중, 당해 접촉 영역의 무게 중심의 위치와는 다른 임의의 위치여도 된다.
도 6은, 유저가, 도 5에 나타낸 상태보다 터치 패널(11) 상에 있어서 엄지(F)가 우측에 위치하도록, 엄지(F)를 기울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F)를 기울인 상황의 일례로서는, 유저가, 예를 들어 엄지(F)를 터치 패널(11)에 압박하면서 기울이고, 그 후, 엄지(F)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 엄지(F)를 터치 패널(11)에 압박하는 상황이 상정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엄지(F)를 터치 패널(11)에 압박하는 상황에서는, 도 5에 나타낸 상태보다,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이 상정된다.
엄지(F)와 터치 패널(11)의 접촉의 상태가 도 6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이 되면,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하면,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내용을 판정한다. 도 6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터치 위치 P2가 우측 방향 영역 R2에 속하므로,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은 우측 방향이라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유저가, 엄지(F)의 상태를, 도 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시키는 경우, 엄지(F)를 기울이기 위해 엄지(F)로부터 터치 패널(11)에 가해졌던 압력이 감소하는 것이 상정된다. 엄지(F)를 기울이기 위해 엄지(F)로부터 터치 패널(11)에 가해졌던 압력이 감소하여,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이 되면, 다시 뉴트럴 상태가 발생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에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터치 패널(11)을 터치하고 있어도 터치 패널(11)에 가하는 압력을 제1 역치 미만으로 하면, 터치 패널(11)에의 잘못된 지시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터치 패널(11)에 대해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에, 터치 위치를 터치 패널(11) 상의 뉴트럴 영역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터치 위치와 뉴트럴 영역의 차이에 기초하는 오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저는, 예를 들어 엄지(F)를 터치 패널(11)로부터 뗀다고 하는 부하가 걸리는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터치 패널(11)에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뉴트럴 영역 자체가 불필요해지므로, 터치 위치를 뉴트럴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슬라이드시키는 것과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필요해진다. 그리고 엄지(F)를 기울이는 것과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 즉, 슬라이드보다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뉴트럴 상태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변형예 A1]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11) 중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조작 영역 R이 설정되어도 된다.
변형예 A1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즉, 변형예 A1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장치(10)는, 터치 패널(11)과, 압력 검출 장치(12)와, 진동 장치(13)와, 제어 장치(14)와, 기억 장치(15)를 포함한다.
도 7은, 변형예 A1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변형예 A1에 관한 제어 장치(14)는, 기억 장치(1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게임 제어부(141), 설정부(142), 표시 제어부(143),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 압력 정보 취득부(145), 입력 유무 판정부(146), 지시 내용 판정부(147), 진동 제어부(148) 및 검출부(149)로서 기능한다. 변형예 A1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 장치(14)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용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변형예 A1은, 검출부(149)를 포함하는 점과, 설정부(142)의 기능이 변경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하, 변형예 A1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 상위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검출부(149)는,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대한 터치가 없는 제1 상태로부터 터치가 있는 제2 상태로의 변화(이하 「터치 인」이라고 칭함)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터치 위치 정보의 입력이 없는 상황(제1 상태)으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가 제2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으로 전환된 경우에, 검출부(149)는 터치 인을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149)는,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인을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2 역치 미만인 제3 상태로부터 제2 역치 이상인 제4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 검출부(149)는 터치 인을 검출한다. 제2 역치는 제1 역치보다 작은 값이다.
또한, 검출부(149)는,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의 변화(이하 「터치오프」라고 칭함)를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터치 위치 정보가 제2 상태를 나타내는 상황으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의 입력이 없는 상황으로 전환된 경우에, 검출부(149)는 터치오프를 검출한다.
검출부(149)는,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오프를 검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4 상태로부터 제3 상태로의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 검출부(149)는 터치오프를 검출한다.
설정부(142)는 터치 패널(11) 중,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설정한다. 설정부(142)는, 예를 들어 터치 위치에, 조작 영역 R의 특정 부분이 위치하도록 조작 영역 R을 설정한다. 「조작 영역 R의 특정 부분」은, 예를 들어 조작 영역 R의 무게 중심이 존재하는 부분이다. 또한, 「조작 영역 R의 특정 부분」은, 조작 영역 R의 무게 중심이 존재하는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 영역 R의 특정 부분」은, 조작 영역 R의 단부(우단, 좌단, 상단 또는 하단)여도 된다.
또한, 설정부(142)는, 터치 위치로부터 어느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조작 영역 R을 설정해도 되고, 터치 위치가 이동한 경우에, 터치 위치의 이동처에 조작 영역 R을 재설정해도 된다.
「조작 영역 R을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조작 영역 R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조작 영역 R이 설정된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어도 되고, 이미 설정 완료된 조작 영역 R이 이동하도록, 조작 영역 R이 재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출부(149)가 터치 인을 검출한 경우, 설정부(142)는, 터치 패널(11) 중,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검출부(149)가 터치오프를 검출한 경우, 설정부(142)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 R의 설정을 해제하여 터치 패널(11)로부터 조작 영역 R을 삭제해도 되고, 조작 영역 R의 설정을 유지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정부(142)는, 검출부(149)가 터치오프를 검출한 경우,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 R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터치오프에 따라서 터치 패널(11)로부터 조작 영역 R이 삭제된 상황에 있어서, 새롭게, 엄지(F)에 의한 터치 인이 발생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 인이 검출부(149)에 의해 검출되면, 설정부(142)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위치 P3에 조작 영역 R의 기준점 Q가 위치하도록, 터치 패널(11)에 조작 영역 R을 설정한다.
변형예 A1에 의하면, 예를 들어 터치 인된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조작 영역 R이 설정된다. 이 때문에, 유저가 터치 인할 때에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의식하지 않아도, 예를 들어 엄지(F)와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또한, 터치 인할 때마다, 조작 영역 R의 위치가 재설정되기 때문에, 터치오프한 시점에서, 설정 완료된 조작 영역 R은 실질적으로 무효가 된다.
또한, 설정부(142)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상황에서 터치 인이 발생한 경우에, 터치 인된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조작 영역 R을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상황에서 터치 인이 발생한 경우, 설정부(142)는, 터치 인된 터치 위치에 기준점 Q가 위치하도록 조작 영역 R을 설정한다.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상황에서 터치 인이 발생한 경우, 엄지(F)의 볼록한 부분 중 엄지 손톱의 뒷쪽 부분이 터치 패널(11)에 대해 기울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하 「기준 상황」이라고 칭함)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이 상황에서의 터치 위치를 기준으로,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 R의 위치가 설정되면, 예를 들어 터치 위치에 기준점 Q가 위치하도록 조작 영역 R의 위치가 설정되면, 조작 영역 R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엄지와 조작 영역 R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42)는, 터치 인의 유무에 관계없이,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인 경우에, 터치 패널(11) 중,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조작 영역 R을 설정해도 된다.
일례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부(142)는, 뉴트럴 상태에서 터치 위치 P3이 기준점 Q(도 10에 있어서, 도트를 갖는 동그라미로 나타낸 기준점 Q)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에, 기준점 Q를 터치 위치 P3으로 재설정함으로써, 조작 영역 R을 터치 위치 P3에 기초하여 이동시킨다. 도 10에 나타낸 상황은, 예를 들어 뉴트럴 상태에서 터치 패널(11)에의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 터치 위치 P3이 기준점 Q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뉴트럴 상태에서 터치 위치가 기준점 Q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터치 위치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터치 위치의 조작 영역 R에 대한 벗어남에 기초하는 오입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영역 R이 재설정되는 위치는, 기준점 Q가 터치 위치가 되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의 설정부(142)의 동작은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 설정부(142)는, 예를 들어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조작 영역 R을 설정해도 되고, 터치 위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터치 위치의 이동처에 조작 영역 R을 재설정해도 되고, 터치 위치가 이동해도 조작 영역 R을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고, 터치 위치와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기초하여 조작 영역 R을 재설정해도 된다.
[변형예 A2]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에 있어서, 설정부(142)는, 터치 위치 정보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설정부(142)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조작 영역 R을 설정한다.
일례를 들면, 설정부(142)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와 조작 영역 R의 거리를 결정하고, 터치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에서 본 조작 영역 R의 방향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설정부(142)는, 예를 들어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터치 위치에 따른 방향을 갖고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크기에 따른 길이의 벡터이며, 터치 위치를 시작점으로 하는 벡터의 종료점에, 조작 영역 R을 마련해도 된다.
여기서, 터치 위치에 따른 벡터의 방향은, 상측 방향 영역 R1,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및 좌측 방향 영역 R4 중, 터치 위치가 속하는 영역에 대응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 된다. 예를 들어, 터치 위치가 우측 방향 영역 R2에 속하는 경우, 벡터의 방향은 「좌」가 되고, 터치 위치가 좌측 방향 영역 R4에 속하는 경우, 벡터의 방향은 「우」가 되고, 터치 위치가 상측 방향 영역 R1에 속하는 경우, 벡터의 방향은 「하」가 되고, 터치 위치가 하측 방향 영역 R3에 속하는 경우, 벡터의 방향은 「상」이 된다.
또한, 압력의 크기에 따른 벡터의 길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터치의 압력)이 강할수록 벡터의 길이는 길어진다. 일례를 들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경우, 벡터의 길이가 「0」이 되고,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 압력이 클수록 벡터의 길이를 길게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변형예 A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조작 영역 R의 위치 및 터치 위치는 공통이지만,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은, 도 12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11)에의 압력보다 작다.
변형예 A2에서는, 설정부(142)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클수록, 기준 상황에서의 엄지(F)에 대한 엄지(F)의 기울기(회전)는 큰 것으로 간주한다. 이 때문에, 설정부(142)는, 도 11에 나타낸 벡터 V1의 길이를, 도 12에 나타낸 벡터 V2의 길이보다 짧게 한다. 여기서, 벡터 V1은, 우측 방향 영역 R2에 속하는 터치 위치 P4를 시작점으로 하고, 좌측의 방향을 갖는다. 벡터 V2는, 우측 방향 영역 R2에 속하는 터치 위치 P5를 시작점으로 하고, 좌측의 방향을 갖는다.
또한,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이 되는 터치(이하 「약터치」라고 칭함)가 발생한 경우의 변형예 A2에 있어서의 설정부(142)의 동작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형예 A2에 있어서의 설정부(142)는, 약터치가 발생한 경우,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기준점 Q를 설정해도 되고, 터치 위치의 이동에 수반하여, 터치 위치의 이동처에 기준점 Q를 재설정해도 되고, 터치 위치가 이동해도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재설정하지 않아도 되고, 입력 유무 판정부(146)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터치 위치와 압력에 기초하여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재설정해도 된다.
또한, 변형예 A2에 있어서의 설정부(142)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의 판정의 결과와는 관계없이, 터치 위치와 압력에 기초하여 조작 영역 R의 위치를 재설정해도 된다.
변형예 A2에 의하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따라서, 조작 영역 R과 터치 위치의 거리가 조정되므로,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따라서 조작 영역 R과 터치 위치의 거리를 조정하지 않는 구성에 비해, 유저가 인식하는 조작 영역 R의 위치와 실제의 조작 영역 R의 위치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변형예 A3]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2에 있어서, 상측 방향 영역 R1,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및 좌측 방향 영역 R4가 생략되고, 지시 내용 판정부(147)가, 기준점 Q로부터 터치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해도 된다.
변형예 A3에 의하면, 4개 이상의 방향을 입력 가능해지므로, 상측 방향 영역 R1,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및 좌측 방향 영역 R4를 갖는 구성에 비해, 조작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변형예 A4]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3에 있어서, 조작 영역 R이 생략되고, 지시 내용 판정부(147)가, 터치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해도 된다.
「터치 위치의 변화」는, 예를 들어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 내에서의 터치 위치의 변화여도 되고,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포함하지 않는 기간(예를 들어, 당해 판정을 한 시점부터 제2 소정 시간(예를 들어, 0.1초) 내에 개시되는 기간 등) 내에서의 터치 위치의 변화여도 된다. 제2 소정 시간은, 0.1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은, 예를 들어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종기로 하는 기간이어도 되고,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시기로 하는 기간이어도 되고,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보다 전에 개시되고,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보다 후에 종료되는 기간이어도 된다.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예를 들어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 내에서의 터치 위치의 변화의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해도 되고,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 내에서의 터치 위치의 변화의 방향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 내에서의 터치 위치의 변화의 방향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입력 유무 판정부(146)가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 시점은,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이루어진 시점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시점의 터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이 판정된다.
예를 들어, 엄지(F)가 상술한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6에 나타낸 상태로 되도록, 엄지(F)를 기울이는 동작(이하 「기울이기 동작」이라고 칭함)을 상정한다.
도 13은, 기울이기 동작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의 궤적과,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의 변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화살표 E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위치가 터치 위치의 궤적을 나타내고, 화살표 E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위치에서의 화살표 E의 농도가 각 위치에서의 압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터치 위치가, 엄지(F)의 기울기의 증가에 수반하여,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엄지(F)의 기울기의 증가에 수반하여 커지고 있다.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때까지, 터치 위치가 이동해 온 방향(도 13에 있어서의 화살표 E1이 나타내는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한다.
이하,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으로 되기까지 터치 위치가 이동해 온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하는 처리를 「제1 방향 판정 처리」라고 칭한다.
또한,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때 이후의 터치 위치의 이동 방향(도 13에 있어서의 화살표 E2가 나타내는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해도 된다.
이하,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 이후의 터치 위치의 이동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하는 처리를 「제2 방향 판정 처리」라고 칭한다.
제1 방향 판정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이 된 제1 시점에서의 터치 위치 P6을 종료점으로 하고, 제1 시점보다 제1 시간(예를 들어, 50밀리초)만큼 전인 제2 시점에서의 터치 위치 P7을 시작점으로 하는 제1 벡터의 방향을,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한다. 제1 시간은, 50밀리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1 방향 판정 처리에서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제1 시점에 있어서,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의 판정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 판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 현시점보다 적어도 제1 시간 전으로부터의 터치 위치 정보를, 예를 들어 지시 내용 판정부(147)가 기억 장치(15)에 기억시켜 둘 필요가 있다.
제2 방향 판정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시점에서의 터치 위치 P6을 시작점으로 하고, 제1 시점보다 제2 시간(예를 들어, 50밀리초)만큼 후인 제3 시점에서의 터치 위치 P8을 종료점으로 하는 제2 벡터의 방향을,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한다. 제2 시간은, 50밀리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 시간은, 제1 시간과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2 방향 판정 처리에서는, 제1 방향 판정 처리와 같이 현시점보다 적어도 제1 시간 전으로부터의 터치 위치 정보를 기억 장치(15)에 기억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제2 방향 처리 판정을 행하는 경우, 제3 시점에서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의 판정을 개시하므로, 제1 시점에서 당해 판정을 개시하는 제1 방향 판정 처리에 비해 판정의 지연이 발생한다.
또한,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제1 벡터와 제2 벡터를 합성한 합성 벡터(예를 들어, 터치 위치 P7을 시작점으로 하고 터치 위치 P8을 종료점으로 하는 벡터)의 방향을,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해도 된다.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제1 벡터의 시작점으로서, 제2 시점에서의 터치 위치 P7 대신에 터치 위치 P6보다 시간적으로 전에 발생한 터치 위치 중 터치 위치 P6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 거리(예를 들어, 3㎜)로 되어 있는 터치 위치를 사용해도 된다. 제1 거리는, 3㎜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제2 벡터의 종료점으로서, 제3 시점에서의 터치 위치 P8 대신에, 터치 위치 P6보다 시간적으로 후에 발생한 터치 위치 중 터치 위치 P6으로부터의 거리가 제2 거리(예를 들어, 3㎜)로 되어 있는 터치 위치를 사용해도 된다. 제2 거리는, 3㎜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도 14는, 제1 거리 및 제2 거리의 각각을 3㎜로 한 경우의, 터치 위치 P6 내지 P8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변형예 A4에 의하면,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가 된 시점을 포함하는 기간 내에서의 터치 위치의 변화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조작 영역 R을 의식하지 않고, 얼굴 방향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영역 R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게임의 화상을 시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변형예 A4에서는, 유저는, 복수의 얼굴 방향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하는 경우, 얼굴 방향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할 때마다, 뉴트럴 상태를 발생시키게 된다.
[변형예 A5]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4에 있어서, 설정부(142)는, 터치 패널(11)에, 얼굴 방향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조작 영역 R이 설정되는 영역)과, 캐릭터 C의 공격 또는 방어 동작의 지시(이하 「공수 동작 지시」라고 칭함)를 입력하기 위한 공수 동작 입력 영역을 설정해도 된다.
공수 동작 지시는, 게임에 관한 제1 지시의 일례이다. 공수 동작 지시의 예로서, 캐릭터 C에게 검(도시하지 않음)을 휘두르게 하는 공격 지시, 및 캐릭터 C에게 가드(방어)의 자세를 취하게 하는 가드 지시를 들 수 있다.
공수 동작 입력 영역은, 게임에 관한 제1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역의 일례이다. 얼굴 방향 지시는, 변형예 A5에서는, 게임에 관한 제2 지시의 일례이다.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은, 게임에 관한 제2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영역의 일례이다.
도 15는,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와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가 설정된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는, 조작 영역 R이 설정되어 있다.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는, 공격 버튼 Rb1과 가드 버튼 Rb2가 설정되어 있다. 공격 버튼 Rb1은, 공격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가드 버튼 Rb2는, 가드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을 위해 사용된다.
또한,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 공격 버튼 Rb1과 가드 버튼 Rb2가 설정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탭이, 공격 지시로서 사용되고,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제3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계속되는 터치가, 가드 지시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제3 시간은, 1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장치(12)는,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을 검출한다.
이 때문에,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와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 동시에 탭이 발생한 경우(이하 「멀티탭」이라고 칭함), 압력 검출 장치(12)가 검출한 압력이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와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 중 어느 쪽에서 발생한 것인지는 불분명해진다.
따라서, 멀티탭이 발생한 상황에서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이 된 경우,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오류를 경감하기 위해,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터치가 있는 경우에, 게임이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의 터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양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터치가 있는 경우에, 당해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 입력 유무 판정부(146) 및 지시 내용 판정부(147) 각각이, 판정을 정지하거나, 판정의 결과의 출력을 억제하거나 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는,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터치가 있는 경우에, 당해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동안, 입력 유무 판정부(146) 및 지시 내용 판정부(147)가 판정을 실행해도, 게임 제어부(141)가 그들의 판정의 결과를 파기하여, 게임에, 이들의 판정의 결과를 반영시키지 않아도 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에 기인하는 얼굴 방향 지시의 오판정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터치의 종료에 따라서,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이 재개되거나,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의 판정이 재개되거나, 게임 제어부(141)가 입력 유무 판정부(146) 및 지시 내용 판정부(147)의 각각의 판정의 결과를 파기하는 것을 정지하거나 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얼굴 B 방향의 변경을, 공수 동작과 동시에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공수 동작 지시가 탭과 같은 짧은 시간(예를 들어, 0.1초)에 완료되는 지시인 경우에는, 얼굴 B의 방향을 변경할 수 없는 시간은 짧은 기간이 되므로, 얼굴 B의 방향의 변경을 공수 동작과 동시에 할 수 없다는 문제보다, 얼굴 방향 지시의 오판정을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 쪽이 두드러진다.
또한, 상술한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 공수 동작 입력 영역 Rb에의 터치가 개시되고 나서 특정 시간(예를 들어, 1초)만큼, 입력 유무 판정부(146) 및 지시 내용 판정부(147)의 각각이, 판정을 정지하거나, 판정의 결과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또는 입력 유무 판정부(146) 및 지시 내용 판정부(147)가 판정을 실행해도, 게임 제어부(141)가, 그들의 판정의 결과를 파기하거나 해도 된다.
변형예 A5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 변형예 A1, 변형예 A2, 변형예 A3 및 변형예 A4에 있어서, 입력 유무 판정부(146)로서, 도 16에 나타낸 입력 유무 판정부(146A)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도 16에 있어서, 입력 유무 판정부(146A)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와,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를 포함한다.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는,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는, 제1 판정부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가, 공격 버튼 Rb1 및 가드 버튼 Rb2 중 어느 것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한편,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가, 공격 버튼 Rb1 및 가드 버튼 Rb2 중 어느 것에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터치 위치 정보가,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상황에 있어서, 당해 터치 위치 정보(이하 「제1 터치 위치 정보」라고 칭함)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인 경우,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를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하였을 때에 압력 정보 취득부(145)가 취득한 압력 정보(이하 「제1 압력 정보」라고 칭함)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제2 판정부의 일례이다.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가,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하면,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위치 정보로서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한다.
제1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멀티 터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되지 않도록, 판정의 결과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게임 제어부(141)가 실행하는 게임은, 제1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이 되는 기간, 즉, 멀티 터치가 발생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지시 내용 판정부(147)의 판정의 결과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제1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멀티 터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지시 내용 판정부(147)가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의 판정을 정지해도 되고, 판정을 행하는데 판정의 결과를 출력하지 않아도 되고, 게임 제어부(141)가,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를 파기해도 된다.
한편, 제1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미만인 경우,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또한, 제1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 즉, 멀티 터치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예를 들어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되지 않도록, 판정의 결과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게임 제어부(141)가 실행하는 게임은, 제1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이 되는 기간, 즉, 멀티 터치가 발생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의 판정의 결과의 변화에 따른 진행을 행하지 않는다.
[변형예 A6]
변형예 A5에서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탭에 의한 입력과 같은 짧은 시간에 완료되는 경우를 상정하였다.
그러나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 중 가드 지시의 입력 등은, 유저가 적의 캐릭터의 모습을 보고 있는 동안, 즉, 비교적 긴 시간 계속되는 것이 상정된다.
그래서 변형예 A6에서는, 변형예 A5에 있어서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제4 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계속되는 경우,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제4 시간 계속되었을 때의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기초하여, 제1 역치를 조절한다. 또한, 제4 시간은, 1초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제1 역치가 조절된 후에, 이하의 상황(상황 1)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한다.
상황 1: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터치 위치 정보가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인 상황에 있어서,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조절 후의 제1 역치 이상이 된 경우.
또한,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이하의 두 상황(상황 2 및 상황 3) 중 어느 것이 발생한 경우에,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상황 2: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새로운 터치가 있는 경우.
상황 3: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가 소정의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변형예 A6에 의하면,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제4 시간 이상 계속되어도,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조절 후의 제1 역치를, 조절 전의 제1 역치로 되돌린다.
여기서, 변형예 A6에 있어서,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에 부가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제1 압력 정보와,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 계속 시간이 제4 시간 미만인 경우,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변형예 A5의 동작을 실행한다.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 계속 시간이 제4 시간이 되면,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제4 시간 계속한 시점의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역치를 조절하고,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터치 위치 정보가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인 상황에 있어서, 조절 후의 제1 역치와, 그 후에 취득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대소 관계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조절 후의 제1 역치는, 조절 전의 제1 역치보다 크다.
예를 들어, 조절 후의 제1 역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일 때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크기만큼, 조절 전의 제1 역치보다 크다. 또한, 조절 전의 제1 역치와 조절 후의 제1 역치의 차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일 때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절 전의 제1 역치와 조절 후의 제1 역치의 차는, 제4 시간의 기간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평균값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의 계속 시간이 제4 시간 이상인 상황이며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제1 입력 유무 판정부(146A1)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상황(이하 「제1 상황」이라고 칭함)에서는,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제1 역치의 조절 후에 취득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조절 후의 제1 역치(제1 기준값) 이상일 때,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이하 「제1 판정」이라고 칭함)을 한다. 한편, 제1 역치의 조절 후에 취득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조절 후의 제1 역치 미만일 때,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또한, 제2 입력 유무 판정부(146A2)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 계속 시간이 제4 시간 미만이라도, 제1 판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있어도,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예 A6에 있어서도, 얼굴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지시 내용 판정부(147)는, 터치 위치 정보로서 제1 터치 위치 정보(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적어도 나타내는 터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을 판정한다.
또한, 변형예 A5 및 변형예 A6에서는, 게임 제어부(141)가 진행하는 게임은, 제1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공수 동작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된 기간, 즉, 멀티 터치가 발생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는, 얼굴 방향 지시의 영향, 다시 말하면,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 Ra에 대한 터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게임이 얼굴 방향 지시의 오입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변형예 A7]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6에 있어서,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변화의 속도가 제1 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의 변화의 속도(ΔF/Δt)가, 어떤 값 이상이 되는 상황은, 유저가 무언가의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의하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비해,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의 크기의 개인차에 기인하는 오판정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의 변화의 속도의 상승률이 제2 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해도 된다.
여기서, 「제1 속도 기준값」 및 「제2 속도 기준값」은, 각각, 예를 들어 고정값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값이어도 되고,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변경되는 값이어도 된다.
[변형예 A8]
제1 실시 형태,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3, 및 변형예 A5 내지 변형예 A7에 있어서, 조작 영역 R이 설정되는 경우,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상, 하, 좌, 우를 규정하는 좌표계(이하 「화면 좌표계」라고 칭함)와, 조작 영역 R에 고정된 좌표계(이하 「조작 좌표계」라고 칭함)가 설정되어도 된다.
화면 좌표계는, 도 1에 나타낸 X축 및 Y축으로 표시되는 좌표계이다.
조작 좌표계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영역 R에 있어서의 기준점 Q에 원점을 갖고, 서로 직교하는 Xs축 및 Ys축을 갖는 좌표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등에서는, 조작 영역 R의 상, 하, 좌, 우의 방향이, 화면 좌표계의 상, 하, 좌, 우의 방향과 일치하고 있었지만,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영역 R의 상, 하, 좌, 우의 방향이, 화면 좌표계의 상, 하, 좌, 우의 방향에 대해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Xs축 및 Ys축은, 터치 패널(11)에 평행인 축선이다. Xs축은 조작 영역 R의 좌우 방향에 상당하고, Ys축은 조작 영역 R의 상하 방향에 상당한다. 바꾸어 말하면, Xs축은 조작 영역 R의 횡방향에 상당하고, Ys축은 조작 영역 R의 종방향에 상당한다.
이 경우,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은, 화면 좌표계(XY축)에서 규정되는 방향이 된다. 또한, 조작 영역 R에 있어서의 기준점 Q, 상측 방향 영역 R1, 우측 방향 영역 R2, 하측 방향 영역 R3 및 좌측 방향 영역 R4의 상호의 위치 관계는, 조작 좌표계(XsYs축)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특정된다. 또한, 변형예 A2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에 따른 벡터의 방향은, 조작 좌표계에서 규정되는 방향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화면 좌표계의 X축의 방향이 조작 좌표계의 Xs축의 방향과 일치하고, 또한 화면 좌표계의 Y축의 방향이 조작 좌표계의 Ys축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한편, 화면 좌표계의 각 좌표축(XY축)의 방향이, 조작 좌표계의 각 좌표축(XsYs축)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일례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유저의 기준 상황에 있어서의 엄지(F)의 길이 방향과, 조작 좌표계의 Ys축이 일치하도록, 조작 좌표계가 미리 설정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변형예 A9]
제1 실시 형태,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3, 및 변형예 A5 내지 변형예 A8에 있어서, 진동 제어부(148)는, 터치 위치가 조작 영역 R의 경계를 통과하였을 때, 예를 들어 터치 위치가 조작 영역 R로부터 벗어났을 때, 및 조작 영역 R로부터 벗어나 있던 터치 위치가 조작 영역 R 내로 복귀되었을 때 중, 한쪽 또는 양쪽일 때, 진동 장치(13)를 제1 소정 시간만큼 진동시켜도 된다.
변형예 A9에 의하면, 유저는, 터치 패널(11)의 진동에 의해, 터치 위치가 조작 영역 R의 경계를 통과하였음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변형예 A10]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9에 있어서, 터치 패널(11)이, 터치 패널(11)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형상에 관한 접촉 정보도 출력하고,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터치 패널(11)이 출력한 접촉 정보도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와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입력 유무 판정부(146)는,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이고, 또한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형상이 소정의 특징을 갖는 경우,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여기서, 소정의 특징은, 예를 들어 특정 범위의 종횡비(세로/가로)이다. 변형예 A10에서는, 접촉 영역을 타원에 보다 근사시킨 경우의 당해 타원의 긴 축의 길이를, 접촉 영역의 세로의 길이라고 간주하고, 당해 타원의 짧은 축의 길이를, 접촉 영역의 가로의 길이라고 간주한다.
변형예 A10에 의하면, 터치 패널(11)에의 압력과 접촉 영역의 형상에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때문에,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만 기초하여,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비해,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0)를 잘못하여 바닥에 낙하시켜 버려, 터치 패널(11)에 제1 역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도, 접촉 영역의 형상이 소정의 특징을 갖고 있지 않으면, 얼굴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오판정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특징은, 특정 범위의 종횡비(세로/가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정의 특징은, 특정 범위의 주위 길이, 또는 특정 범위의 면적이어도 된다.
[변형예 A11]
제1 실시 형태 및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10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43)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터치 패널(11)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43)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나타내는 방향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기호(예를 들어, 화살표) 등의 판정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터치 패널(11)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43)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나타내는 방향에 따른 위치의 부분(이하 「소정 부분」이라고 칭함)을 소정의 표시 양태로 해도 된다. 여기서, 소정의 표시 양태란, 예를 들어 소정의 색으로 표시하는 것, 점멸시키거나 하여 휘도를 변화시키는 것, 및 다른 부분보다 휘도를 높이는 것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19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의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서는, 소정 부분의 일례로서, 조작 영역 R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영역이며, 조작 영역 R로부터의 방향이,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나타내는 방향에 따른 방향에 존재하는 영역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서는, 터치 패널(11)의 상측의 에지 부분을 갖는 상측 부분(111a)이 소정의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소정 부분은, 도 19에 나타낸 부분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나타내는 방향의 에지 부분은, 유저의 손가락으로 가리기 어려워지므로, 유저는, 지시 내용 판정부(147)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변형예 A12]
상술한 게임에 관한 지시는, 「지시」의 일례이다. 「지시」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지시」 외에, 「터치 패널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임의의 서비스에 관한 지시」를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게임에 관한 제1 지시」는 「제1 지시」의 일례이고, 「게임에 관한 제2 지시」는 「제2 지시」의 일례이다.
「제1 지시」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지시」 외에, 「터치 패널(11)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임의의 서비스에 관한 지시」를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제2 지시」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지시」 외에, 「터치 패널(11)을 사용하여 제공되는 임의의 서비스에 관한 지시」를 포함하는 개념이어도 된다.
[변형예 A13]
상술한 「지시가 나타내는 게임에 관한 방향」은,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시가 나타내는 게임에 관한 방향」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V에 있어서의 방향이어도 되고, 게임에 관한 화상이 표시되는 화상 상의 방향이어도 된다.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방향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V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물체(게임의 진행에 관한 게임 요소)의 위치 및 자세 중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화의 방향이다. 예를 들어, 「유저가 조작하는 캐릭터의 이동의 방향」을,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방향」의 일례로서, 다시 말하면 「지시가 나타내는 게임에 관한 방향」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여기서,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물체」는, 예를 들어 게임의 캐릭터, 오브젝트, 또는 가상 공간을 촬상하는 가상 카메라이다.
「게임에 관한 화상이 표시되는 화상 상의 방향」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화상에 있어서 표시되는 가상적인 물체(게임의 진행에 관한 게임 요소)의 당해 화상에 있어서의 위치 및 자세 중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화의 방향이어도 되고, 게임에 관한 메뉴 화면에 있어서 표시되는 포인터 등(게임의 진행에 관계되지 않는 게임 요소)의 당해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이어도 된다.
[변형예 A14]
상술한 「게임에 관한 제1 지시」는, 공수 동작 지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지시」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V에 존재하는 가상적인 물체(게임의 진행에 관한 게임 요소)의 동작에 관한 지시여도 되고, 게임에 관한 방향에 대한 지시여도 된다.
「가상적인 물체의 동작」은, 예를 들어 가상적인 물체가 게임의 캐릭터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캐릭터의 공격 동작이어도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캐릭터의 방어 동작이어도 된다.
[변형예 A15]
상술한 「게임에 관한 제2 지시」는, 얼굴 방향 지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지시」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방향에 대한 지시여도 되고, 가상적인 물체의 동작에 관한 지시여도 된다.
[변형예 A16]
상술한 「제1 영역」은, 공수 동작 입력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영역」은, 터치 패널(11)에 설정된 영역으로서, 제1 지시를 받는 영역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제1 지시의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양태로 마련된 영역이어도 되고, 제1 지시의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되지 않는 양태로 마련된 가상적인 영역이어도 된다.
여기서 「터치 패널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양태로 마련된 영역」이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가상적인 키이다.
가상적인 키는, 예를 들어 공격의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키여도 되고, 방어의 동작을 입력하기 위한 키여도 된다.
[변형예 A17]
상술한 「제2 영역」은, 얼굴 방향 지시 입력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영역」은, 터치 패널(11)에 설정된 제1 영역과는 다른 영역으로서, 제2 지시를 받는 영역의 일례이며, 예를 들어 제2 지시의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양태로 마련된 영역이어도 되고, 제2 지시의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시인되지 않는 양태로 마련된 가상적인 영역이어도 된다.
여기서 「터치 패널에 있어서 시인 가능한 양태로 마련된 영역」이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가상적인 상, 하, 좌, 우의 방향 키여도 되고,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가상적인 십자 키여도 된다.
여기서, 「상, 하, 좌, 우의 방향 키」란, 상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상측 키와, 하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하측 키와, 좌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좌측 키와, 우측 방향을 지정하기 위한 우측 키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상측 키와 하측 키와 좌측 키와 우측 키는, 서로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B: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각 예시에 있어서 기능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인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유용하여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11)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영역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대한 지시의 입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즉,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터치 패널(11)과, 압력 검출 장치(12)와, 진동 장치(13)와, 제어 장치(14)와, 기억 장치(15)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1)은, 터치 패널(11) 상의 방향에 관한 지시(이하 「패널 방향 지시」라고 칭함)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터치 패널(11) 상의 방향은,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의 일례이다. 터치 패널(11) 상의 방향은,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X축에 의해 특정되는 「우」 및 「좌」와, 도 1에 나타낸 Y축에 의해 특정되는 「상」 및 「하」이다.
패널 방향 지시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일례이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는, 「지시」의 일례이다.
「지시」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 외에, 「선택지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선택지를 선택하기 위한 지시」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선택지로서 표시된 숫자 또는 기호를 선택하라는 취지의 지시이다.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은, 예를 들어 유저의 엄지에 의해 행해진다. 유저의 엄지는, 물체의 일례이다.
터치 패널(11)은, 터치 패널(11)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영역(이하 「접촉 영역」이라고 칭함)에 관한 접촉 정보도 출력한다. 접촉 정보는, 적어도 접촉 영역의 면적을 나타낸다.
도 20은, 기준 상황(엄지(F)의 볼록한 부분 중, 엄지(F)의 손톱의 뒷쪽 부분이 터치 패널(11)에 대해 기울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의 엄지(F)와 터치 패널(11)의 접촉 영역 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상태보다도 터치 패널(11) 상에 있어서 엄지(F)가 우측에 위치하도록, 엄지(F)를 기울인 상태(이하 「우측 지시 상황」이라고 칭함)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 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엄지(F)의 끝을 터치 패널(11)과 접촉시킨 상태(이하 「상측 지시 상황」이라고 칭함)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 S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엄지(F)의 볼록한 부분 중, 엄지(F)의 제1 관절의 부분이 터치 패널(11)에 접촉하는 상태(이하 「하측 지시 상황」이라고 칭함)에서는, 접촉 영역 S의 면적은,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경우보다 커지고, 접촉 영역 S의 형상도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경우와 다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20에 나타낸 상태보다 터치 패널(11) 상에 있어서 엄지(F)가 좌측에 위치하도록, 엄지(F)를 기울인 상태(이하 「좌측 지시 상황」이라고 칭함)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 S의 면적은, 도 21에 나타낸 경우보다 크고, 하측 지시 상황보다는 작아진다. 또한, 좌측 지시 상황에 있어서의 접촉 영역 S의 형상은,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경우 및 하측 지시 상황과 다르다.
이와 같이, 엄지(F)가 터치 패널(11)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엄지(F)와 터치 패널(11)의 위치 관계가 바뀜으로써, 접촉 영역 S의 면적 및 형상이 변화된다.
그래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접촉 영역 S에 따라서,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기준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고 판정하고, 우측 지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우측 방향을 지시하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하고, 좌측 지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좌측 방향을 지시하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하고, 상측 지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측 방향을 지시하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하고, 하측 지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하측 방향을 지시하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하도록, 접촉 영역 S의 면적에 따라서,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 실시 형태는, 접촉 정보 취득부(1401) 및 판정부(1402)를 포함하는 점과, 설정부(142)와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와, 입력 유무 판정부(146)와 지시 내용 판정부(147)를 포함하지 않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장치(14)는, 기억 장치(1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게임 제어부(141), 표시 제어부(143), 압력 정보 취득부(145), 진동 제어부(148), 접촉 정보 취득부(1401) 및 판정부(1402)로서 기능한다. 제어 장치(14)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용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접촉 정보 취득부(1401)는, 터치 패널(11)이 출력한 접촉 정보를 취득한다.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 취득부(1401)가 취득한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예를 들어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0」보다 큰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접촉 정보」는, 특별히 정함이 없는 경우에는, 「접촉 정보 취득부(1401)가 취득한 접촉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판정부(1402)는, 기억 장치(15)에 기억된 판정용 테이블을 참조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4는, 판정용 테이블 J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판정용 테이블 J에는, 접촉 영역의 면적과, 판정의 결과가, 서로 관련되어 기재되어 있다.
도 24에 있어서, 판정의 결과에 있어서의 「뉴트럴」은,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를 의미한다. G1 내지 G10은, 양수이며, 또한 G1≤G2<G3≤G4<G5≤G6<G7≤G8<G9≤G10의 관계를 충족한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접촉 영역의 면적과 판정의 결과의 관련지음은 일례이며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4에 있어서, 「우」와 「좌」가 바뀌어도 된다.
이하, 면적 G1 이상 면적 G2 이하의 범위를 「제1 소정 범위」라고 칭하고, 면적 G3 이상 면적 G4 이하의 범위를 「제2 소정 범위」라고, 면적 G5 이상 면적 G6 이하의 범위를 「제3 소정 범위」라고, 면적 G7 이상 면적 G8 이하의 범위를 「제4 소정 범위」라고, 면적 G9 이상 면적 G10 이하의 범위를 「제5 소정 범위」라고, 각각 칭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를 조작하고 있는 경우에, 상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1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기준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2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우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3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좌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4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하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5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G1 내지 G10이 설정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제어부(141)는,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를 게임의 진행에 반영시킨다. 예를 들어, 판정부(1402)가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 게임 제어부(141)는, 얼굴 B의 방향을 정면으로 한다. 또한, 판정부(1402)가 「우측 방향을 지시하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 게임 제어부(141)는, 얼굴 B의 방향을 우측 방향으로 한다.
표시 제어부(143)는, 게임 제어부(141)가 생성한 게임 화상 정보에 따른 게임의 화상을,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킨다. 진동 제어부(148)는,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된 경우에, 진동 장치(13)를 진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동작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낸 동작은, 소정의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개시된다. 이하의 도 25를 사용한 동작의 설명에서는, 표시 제어부(143)가, 게임의 화상을 터치 패널(11)에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접촉 정보 취득부(1401)가 접촉 정보를 취득하면(S200), 판정부(1402)는, 판정용 테이블 J를 참조하고,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S202에서는,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이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1 소정 범위, 제3 소정 범위, 제4 소정 범위 및 제5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1 소정 범위, 제3 소정 범위, 제4 소정 범위 및 제5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한다고 하는 것(이하 「제1 판정 조건」이라고 칭함)은, 제1 조건의 일례이다.
한편,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1 소정 범위, 제3 소정 범위, 제4 소정 범위 및 제5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즉, 제1 판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다시 말하면, 제1 판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11)에의 터치가 없을 때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 패널(11)에의 터치가 있어도,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하면(S202: "예"),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내용을 판정한다(S204).
S204에서는, 판정부(1402)는, 제1 소정 범위, 제3 소정 범위, 제4 소정 범위 및 제5 소정 범위 중,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속하는 범위를 특정하고, 판정용 테이블 J에 있어서 당해 범위에 관련된 판정의 결과(상, 하, 좌, 우 중 어느 것)를, 패널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1402)는, 금회의 판정의 결과를 기억 장치(15)에 기억시키고, 또한 전전회의 판정의 결과를 기억 장치(15)로부터 삭제한다.
계속해서,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금회의 판정의 결과가,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전회의 판정의 결과로부터 변화되어 있는 경우(S206: "예"),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켜,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 전체를 제1 소정 시간 진동시킨다(S208).
또한, 판정부(1402)가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하면(S202: "아니오"), S204가 실행되지 않고 S206이 실행된다. 또한,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금회의 판정의 결과가,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전회의 판정의 결과로부터 변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6: "아니오"),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키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접촉 영역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위치에 관계없이, 터치 패널(11)에 대해 잘 못된 패널 방향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정부(1402)는, 제1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유저의 엄지(F)의 크기에 따라서 제1 판정 조건을 설정하면, 패널 방향 지시에 관한 판정의 결과와, 유저의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 감각의, 갭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변형예 B1]
판정부(1402)는, 도 26에 나타낸 처리를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 유무를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입력이 있는 경우에, 지시의 내용을 판정하는 처리를 실행하였지만, 이들 처리를 통합하여 실행해도 된다. 도 26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 도 26에 나타낸 처리에 대해, 도 25에 나타낸 처리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6에 있어서, S302에서는,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황에 있어서,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1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제3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제4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좌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제5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하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제1 소정 범위, 제3 소정 범위, 제4 소정 범위 및 제5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변형예 B1에 의하면, 도 25에 나타낸 S202 및 S204를, S302에서 통합하여 행하므로, 제2 실시 형태에 비해 판정의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변형예 B2]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 지시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접촉 영역의 면적과, 좌측 지시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접촉 영역의 면적의 차가 크지 않은 경우, 패널 방향 지시에 대해 좌측 방향의 판정과 우측 방향의 판정에서 오판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위치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패널 방향 지시에 대해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을 판정해도 된다.
변형예 B2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의 하드웨어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즉, 변형예 B2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터치 패널(11)과, 압력 검출 장치(12)와, 진동 장치(13)와, 제어 장치(14)와, 기억 장치(15)를 포함한다.
도 27은, 변형예 B2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변형예 B2에 관한 제어 장치(14)는, 기억 장치(1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게임 제어부(141), 표시 제어부(143),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 압력 정보 취득부(145), 진동 제어부(148), 접촉 정보 취득부(1401), 판정부(1402) 및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 장치(14)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용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변형예 B2는,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와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2 실시 형태 및 변형예 B1과 다르다.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는, 예를 들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11)에 좌우 판정 영역 Rc를 설정한다. 표시 제어부(143)는,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가 설정한 좌우 판정 영역 Rc를,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킨다. 좌우 판정 영역 Rc는, 우측 판정 영역 Rcr과, 우측 판정 영역 Rcr의 좌측에 설정된 좌측 판정 영역 Rcl을 갖는다.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3 소정 범위와 제4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터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터치 위치가, 우측 판정 영역 Rcr과 좌측 판정 영역 Rcl 중 어느 것에 속하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위치가 우측 판정 영역 Rcr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는 우측 방향을 나타낸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한편, 터치 위치가 좌측 판정 영역 Rcl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는 좌측 방향을 나타낸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또한,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좌우 판정 영역 Rc의 위치를, 재설정하지 않고 고정해도 되고, 터치 위치에 따라서 재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는, 터치 패널(11) 중, 판정부(1402)가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하였을 때의 터치 위치에 기초하는 위치에, 좌우 판정 영역 Rc를 설정해도 된다.
일례를 들면,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는, 터치 패널(11) 중, 판정부(1402)가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하였을 때의 터치 위치에, 좌우 판정 영역 Rc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배치되도록, 좌우 판정 영역 Rc를 설정한다.
변형예 B2에 의하면,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위치를 사용하여, 패널 방향 지시에 대해 좌측 방향인지 우측 방향인지를 판정하므로,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패널 방향 지시에 대해 좌측 방향인지 우측 방향인지를 판정하는 구성에 비해, 판정의 정밀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형예 B2에서는, 좌우의 판정에 터치 위치를 사용하였지만, 상, 하, 좌, 우의 판정에 터치 위치가 사용되어도 된다.
[변형예 B3]
제2 실시 형태, 변형예 B1 및 변형예 B2에 있어서,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가 제3 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접촉 영역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가, 어떤 값 이상이 되는 상황은, 유저가 무언가의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의하면,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의 크기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비해, 터치 패널(11)에 터치하는 손가락의 크기의 개인차, 및 터치 패널(11)에의 터치 시에 터치 패널(11)을 누르는 힘의 강도의 개인차 중 한쪽 또는 양쪽에 기인하는 오판정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 상승률이 제4 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해도 된다.
여기서, 「제3 속도 기준값」 및 「제4 속도 기준값」은 각각, 예를 들어 고정값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값이어도 된다.
[변형예 B4]
제2 실시 형태, 변형예 B1 및 변형예 B2에 있어서, 접촉 정보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아닌, 적어도 접촉 영역의 형상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판정용 테이블 J 대신에,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판정용 테이블 J1이 사용된다. 판정용 테이블 J1에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세로/가로)와, 판정의 결과가, 서로 관련되어 기재되어 있다. 접촉 영역의 종횡비(이하, 단순히 「종횡비」라고 칭함)는, 접촉 영역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지표값의 일례이다.
변형예 B4에서는, 변형예 A10과 마찬가지로, 접촉 영역을 타원에 보다 근사시킨 경우의 당해 타원의 긴 축의 길이를, 접촉 영역의 세로의 길이라고 간주하고, 당해 타원의 짧은 축의 길이를, 접촉 영역의 가로의 길이라고 간주한다.
도 29에 있어서, H1 내지 H10은, 양수이며, 또한 H1≤H2<H3≤H4<H5≤H6<H7≤H8<H9≤H10의 관계를 충족한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접촉 영역의 종횡비와 판정의 결과의 관련지음은 일례이며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9에 있어서, 「우」와 「좌」가 바뀌어도 된다.
이하, 종횡비 H1 이상 종횡비 H2 이하의 범위를 「제6 소정 범위」라고 칭하고, 종횡비 H3 이상 종횡비 H4 이하의 범위를 「제7 소정 범위」라고, 종횡비 H5 이상 종횡비 H6 이하의 범위를 「제8 소정 범위」라고, 종횡비 H7 이상 종횡비 H8 이하의 범위를 「제9 소정 범위」라고, 종횡비 H9 이상 종횡비 H10 이하의 범위를 「제10 소정 범위」라고, 각각 칭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변형예 B4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를 조작하고 있는 경우에, 기준 상황에서의 종횡비가 제6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상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7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하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8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좌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9 소정 범위에 포함되고, 우측 지시 상황에서의 접촉 면적이 제10 소정 범위에 포함되도록, H1 내지 H10이 설정된다.
변형예 B4에서는, 도 25에 나타낸 동작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즉, 접촉 정보 취득부(1401)가 접촉 정보를 취득하면(S200), 판정부(1402)는, 판정용 테이블 J1을 참조하고,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02).
S202에서는,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낼 때,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를 산출하고, 당해 종횡비가, 제7 소정 범위, 제8 소정 범위, 제9 소정 범위 및 제10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하는 경우,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7 소정 범위, 제8 소정 범위, 제9 소정 범위 및 제10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 속한다는 것(이하 「제2 판정 조건」이라고 칭함)은, 제2 조건의 일례이다.
한편,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7 소정 범위, 제8 소정 범위, 제9 소정 범위 및 제10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즉, 제2 판정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를 판정한다.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를 판정하면(S202: "예"),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내용을 판정한다(S204).
S204에서는, 판정부(1402)는, 제7 소정 범위, 제8 소정 범위, 제9 소정 범위 및 제10 소정 범위 중,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속하는 범위를 특정하고, 판정용 테이블 J1에 있어서 당해 범위에 관련된 판정의 결과(상, 하, 좌, 우 중 어느 것)를, 패널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으로서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1402)는, 금회의 판정의 결과를 기억 장치(15)에 기억시키고, 또한 전전회의 판정의 결과를 기억 장치(15)로부터 삭제한다.
계속해서,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금회의 판정의 결과가,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전회의 판정의 결과로부터 변화되어 있는 경우(S206: "예"), 진동 제어부(148)는, 진동 장치(13)를 동작시켜, 터치 패널(11)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10) 전체를 제1 소정 시간 진동시킨다(S208).
변형예 B4에 의하면, 판정부(1402)는, 제2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유저의 엄지(F)의 형상에 따라서 제2 판정 조건을 설정하면, 패널 방향 지시에 관한 판정의 결과와, 유저의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 감각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B4에 있어서는,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황에 있어서, 도 26에 나타낸 동작 중 S302가, 이하와 같이 행해져도 된다.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7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8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하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9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좌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10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7 소정 범위, 제8 소정 범위, 제9 소정 범위 및 제10 소정 범위 중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또한, 변형예 B4에서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 근사시킨 타원이 세로로 긴지 가로로 긴지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세로로 긴지 가로로 긴지의 정보」라고 칭함)가, 도 29에 있어서 또한 표기되어도 된다. 이 경우, 종횡비와 세로로 긴지 가로로 긴지의 정보의 조합에 대해, 판정의 결과가 관련된다.
[변형예 B5]
변형예 B4에 있어서,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변화의 속도가 제5 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변화의 속도가, 어떤 값 이상이 되는 상황은, 유저가 무언가의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의하면,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크기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비해, 터치 패널(11)에의 터치하는 손가락의 크기의 개인차에 기인하는 오판정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의 변화의 속도의 상승률이 제6 속도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해도 된다.
여기서, 「제5 속도 기준값」 및 「제6 속도 기준값」은 각각, 예를 들어 고정값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값이어도 된다.
[변형예 B6]
제2 실시 형태 및 변형예 B1 내지 변형예 B3에 있어서, 접촉 정보가,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을 나타내는 경우, 판정부(1402)는, 판정용 테이블 J와 판정용 테이블 J1을 사용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상황에 있어서, 제1 판정 조건과 제2 판정 조건의 양쪽이 충족되는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터치 패널(11)에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또한, 판정부(1402)는, 패널 방향 지시에 대해 이하와 같이 판정한다.
즉,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1 소정 범위에 속하고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7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5 소정 범위에 속하고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8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하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4 소정 범위에 속하고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9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좌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3 소정 범위에 속하고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10 소정 범위에 속하는 경우, 판정부(1402)는,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변형예 B6에서는,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을 사용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때문에,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어느 한쪽만을 사용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구성에 비해, 당해 판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변형예 B7]
제2 실시 형태 및 변형예 B1 내지 변형예 B3에 있어서,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면적과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판정부(1402)는, 제1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여기서, 제1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것은, 제3 조건의 일례이다.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이 행해지면, 예를 들어 도 25에 나타낸 S204 이후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변형예 B4 및 변형예 B5에 있어서,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형상과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변형예 B4에서는, 판정부(1402)는, 제2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여기서, 제2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것은, 제3 조건의 다른 예이다.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이 행해지면, 예를 들어 도 25에 나타낸 S204 이후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변형예 B6에 있어서, 판정부(1402)는,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면적 및 형상과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변형예 B6에서는, 판정부(1402)는, 제1 판정 조건 및 제2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경우에,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한다. 여기서, 제1 판정 조건 및 제2 판정 조건이 충족되는 상황에 있어서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1 역치 이상인 것은, 제3 조건의 또 다른 예이다. 패널 방향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이 행해지면, 변형예 B6에서는, 판정부(14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방향 지시에 대해 판정한다.
또한, 제3 조건은,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제3 역치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3 역치」는,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이며, 예를 들어 고정값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값이어도 된다.
또한,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2 소정 범위에 속하는 상황에서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에 기초하여, 제1 판정 조건을 수정해도 된다.
터치 패널(11)에 접촉하는 물체가 사람의 손가락인 경우,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2 소정 범위에 속하는 상황에서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작을수록, 당해 손가락은 큰 것으로 추정된다. 판정부(1402)는, 이 추정에 따라서, 판정용 테이블 J에 나타난 면적 G1 내지 G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2 소정 범위에 속하는 상황에서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작을수록, 판정부(1402)는 면적 G1 내지 면적 G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크게 한다.
또한, 판정부(1402)는,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6 소정 범위에 속하는 상황에서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에 기초하여, 제2 판정 조건을 수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촉 영역의 종횡비가 제6 소정 범위에 속하는 상황에서의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작을수록, 판정부(1402)는 종횡비 H1 내지 종횡비 H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크게 한다.
[변형예 B8]
제2 실시 형태 및 변형예 B1 내지 변형예 B7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43)는,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 중 패널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술한 변형예 A11과 마찬가지로 터치 패널(11)에 표시시켜도 된다.
[변형예 B9]
상술한 「물체」는 유저의 엄지(F)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체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과 접촉하고 있을 때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 터치 패널(11)과의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변화되는 물체여도 되고, 터치 패널(11)과 접촉하고 있을 때에 터치 패널(11)에 전달하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터치 패널(11)과의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변화되는 물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물체」는, 상술한 엄지(F)를 포함하는 사람의 손가락이어도 되고, 선단이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펜 형상의 지시봉이어도 된다.
[변형예 B10]
상술한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는, 패널 방향 지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 또는 「터치 패널(11) 상에 마련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이다.
「터치 패널(11)」 또는 「터치 패널(11) 상에 마련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 상에 마련된 좌표계에 있어서 규정되는 벡터가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변형예 B11]
상술한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은, 터치 패널(11) 상의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이 존재하는 평면 상의 방향이어도 되고, 터치 패널(11)에 대해 법선 방향의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터치 패널(11)이 존재하는 평면 상의 방향」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또는 가상적으로 설정된, 상, 하, 좌, 우의 방향 키 또는 십자 키가 나타내는 방향이어도 된다.
[변형예 B12]
상술한 「제1 조건」은 「제1 판정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조건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 S의 면적이, 제1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되고, 「접촉 영역 S의 면적이, 제2 범위에 속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범위」는, 예를 들어 물체와 터치 패널(11) 사이의 압력이 제1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접촉 영역 S가 취할 수 있는 면적의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2 범위」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의 면적 이하의 면적의 범위 중, 제1 범위를 제외한 면적의 범위여도 된다.
여기서, 「제1 범위」 및 「제2 범위」는 각각, 예를 들어 고정된 범위여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범위여도 된다.
[변형예 B13]
상술한 「제2 조건」은 「제2 판정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 S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이, 소정의 특징을 갖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은, 예를 들어 상술한 접촉 영역 S의 종횡비여도 되고, 접촉 영역 S의 방향이어도 되고, 접촉 영역 S의 종횡비와 접촉 영역 S 방향의 양쪽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접촉 영역 S의 방향」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 S를 타원에 보다 근사시킨 경우에, 터치 패널(11)에 고정된 좌표계로부터 본 당해 타원의 긴 축의 방향(예를 들어, 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위 벡터의 각 성분의 값)이어도 되고, 타원의 짧은 축의 방향(예를 들어, 짧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위 벡터의 각 성분의 값)이어도 된다.
접촉 영역 S의 종횡비와 접촉 영역 S의 방향의 양쪽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뉴트럴인지 아닌지의 판정은, 판정용 테이블 J1에 표기된 접촉 영역 S의 종횡비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 하, 좌, 우의 판정은, 접촉 영역 S의 방향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접촉 영역 S를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과 Y축이 이루는 각도는, 우측 지시 상황, 하측 지시 상황, 좌측 지시 상황, 상측 지시 상황의 순으로 커진다. 또한, 우측 지시 상황, 하측 지시 상황 및 좌측 지시 상황에서는, 당해 타원의 긴 축의 방향은, 엄지(F)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지만, 상측 지시 상황에서는, 당해 타원의 긴 축의 방향은, 엄지(F)의 폭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된다.
이 때문에, 접촉 영역 S의 방향에 기초하는 상, 하, 좌, 우의 판정은, 접촉 영역 S를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과 Y축이 이루는 각도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이 「접촉 영역의 종횡비」인 경우, 「제2 조건」이란, 예를 들어 「종횡비가, 제3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되고, 「종횡비가, 제4 범위에 속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3 범위」는, 예를 들어 물체와 터치 패널(11) 사이의 압력이 제2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접촉 영역 S의 종횡비가 취할 수 있는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4 범위」는, 예를 들어 「0」보다 큰 범위 중, 제3 범위를 제외한 범위여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이 「접촉 영역 S의 방향」인 경우,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 S를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 방향이, 제5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되고, 「접촉 영역 S를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 방향이, 제6 범위에 속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5 범위」는, 예를 들어 물체와 터치 패널(11) 사이의 압력이 제3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터치 패널(11)에 고정된 좌표계에 있어서, 접촉 영역을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 방향이 취할 수 있는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6 범위」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고정된 좌표계에 있어서, 제5 범위를 제외한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3 내지 제6 범위는 각각, 예를 들어 고정된 범위여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범위여도 된다.
[C: 다른 변형예]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변형예 A1 내지 변형예 A17 및 변형예 B1 내지 변형예 B13 중 적어도 이하의 어느 변형이 이루어져도 된다.
[변형예 C1]
얼굴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 또는 패널 방향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은, 상, 하, 좌, 우의 네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의 수는, 1 이상이면 되며, 예를 들어 2여도 되고, 8이어도 되고, 기준점을 시작점으로 하고 터치 위치를 종료점으로 하는 벡터의 방향이어도 된다.
[변형예 C2]
터치 패널(11)에 입력되는 지시는, 방향에 관한 지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선택에 관한 지시여도 된다. 일례를 들면, 복수의 선택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선택지를 나타내는 지시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조작 영역 R 대신에 선택지의 영역이 설정되고, 선택지의 영역 내에, 제1 선택지와 제2 선택지와 제3 선택지와 제4 선택지가 설정된다.
[변형예 C3]
진동 제어부(148)는, 생략되어도 된다. 터치 패널(11)과 압력 검출 장치(12)와 진동 장치(13)의 일부 또는 전부는, 외부 요소여도 된다. 또한, 게임 제어부(141)와 설정부(142)와 표시 제어부(143)와 검출부(149)와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1403)의 일부 또는 전부는, 외부 요소여도 된다. 또한, 기억 장치(15)가 기억하는 상술한 프로그램은, 도시하지 않은 서버 장치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0)에 배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가, 서버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상술한 프로그램을 정보 처리 장치(10)에 배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10)가, 서버 장치로부터 배신된 상술한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15)에 기억시킨다. 이 경우, 서버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non-transitory 기록 매체)의 일례가 된다.
[D: 다른 양태]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변형예 A1 내지 A17 및 변형예 B1 내지 B1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하의 양태가 포함된다.
[양태 D1]
프로세서를,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에 관한 터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압력에 관한 압력 정보를 취득하는 압력 정보 취득부,
상기 압력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입력 유무 판정부, 및
상기 입력 유무 판정부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인 경우에, 상기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의 내용을 판정하는 지시 내용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양태 D2]
프로세서를,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양태 D3]
프로세서를,
제1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역과, 제2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영역이 설정된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에 관한 터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압력에 관한 압력 정보를 취득하는 압력 정보 취득부,
상기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 및
상기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터치 위치 정보가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압력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압력 정보와, 당해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제1 판정부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양태 D4]
프로세서를,
제1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영역과, 제2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제2 영역이 설정된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터치 위치에 관한 터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압력에 관한 압력 정보를 취득하는 압력 정보 취득부,
상기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제1 판정부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부정인 경우,
당해 터치 위치 정보를 상기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가 취득하였을 때에 상기 압력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제1 지시 및 상기 제2 지시에 기초하는 처리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제1 판정부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긍정이 되는 기간에 있어서는,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터치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E: 부기]
이상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또한, 각 양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면의 참조 부호를 편의적으로 괄호쓰기로 부기하지만, 본 발명을 도시의 양태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부기 1]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14)를, 터치 패널(11) 중 물체(F)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S)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1401),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1401)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11)에 대해 상기 물체(F)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402)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F)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없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의 터치에 기초하는 오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엄지(F)를 터치 패널(11)로부터 뗀다고 하는 부하가 걸리는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UI(User Interface)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 바꾸어 말하면 UI의 기능을 개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물체」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과 접촉하고 있을 때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서, 터치 패널(11)과의 접촉 영역(S)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변화되는 물체여도 되고, 터치 패널(11)과 접촉하고 있을 때에 터치 패널(11)에 전달하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서, 터치 패널(11)과의 접촉 영역(S)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이 변화되는 물체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물체」는, 사람의 손가락이어도 되고, 선단이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된 펜 형상의 지시봉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 또는 「터치 패널(11) 상에 마련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지시여도 된다.
「터치 패널(11)」 또는 「터치 패널(11) 상에 마련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 또는 「터치 패널(11) 상에 마련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방향을 갖는 벡터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이 존재하는 평면 상의 방향이어도 되고, 터치 패널(11)에 대해 법선 방향의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여기서 「터치 패널(11)이 존재하는 평면 상의 방향」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에 표시된, 또는 가상적으로 설정된, 상, 하, 좌, 우의 방향 키 또는 십자 키가 나타내는 방향이어도 된다.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에 내장되어도 되고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서버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에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어, 서버 장치가 기억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경우, 서버 장치가 갖는 기억 장치가 「기록 매체」의 일례가 된다.
[부기 2]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면적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판정부(1402)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면적에 관한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유저는,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도록 접촉 영역(S)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1 조건」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1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되고, 「접촉 영역의 면적이, 제2 범위에 속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범위」란, 예를 들어 물체와 터치 패널(11) 사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접촉 영역(S)이 취할 수 있는 면적의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2 범위」란,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의 면적 이하의 면적의 범위 중, 제1 범위를 제외한 면적의 범위여도 된다.
여기서, 「제1 범위」 및 「제2 범위」는 각각, 예를 들어 고정된 범위여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범위여도 된다.
[부기 3]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형상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판정부(1402)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형상에 관한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유저는, 제2 조건이 충족되지 않도록 접촉 영역(S)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2 조건」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S)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이, 소정의 특징을 갖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은, 예를 들어 접촉 영역(S)의 종횡비여도 되고, 접촉 영역(S)의 방향이어도 된다.
「접촉 영역(S)의 방향」이란, 예를 들어 접촉 영역(S)을 타원에 보다 근사시킨 경우에, 터치 패널(11)에 고정된 좌표계로부터 본 당해 타원의 긴 축의 방향(예를 들어, 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위 벡터의 각 성분의 값)이어도 되고, 타원의 짧은 축의 방향(예를 들어, 짧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위 벡터의 각 성분의 값)이어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이 「접촉 영역(S)의 종횡비」인 경우, 「제2 조건」이란, 예를 들어 「종횡비가, 제3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되고, 「종횡비가, 제4 범위에 속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3 범위」란, 예를 들어 물체와 터치 패널(11) 사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접촉 영역(S)의 종횡비가 취할 수 있는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4 범위」란, 예를 들어 「0」보다 큰 범위 중, 제3 범위를 제외한 범위여도 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지표값」이 「접촉 영역(S)의 방향」인 경우, 「제2 조건」이란, 예를 들어 「접촉 영역(S)을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 방향이, 제5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되고, 「접촉 영역(S)을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 방향이, 제6 범위에 속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5 범위」란, 예를 들어 물체와 터치 패널(11) 사이의 압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터치 패널(11)에 고정된 좌표계에 있어서, 접촉 영역(S)을 근사시킨 타원의 긴 축 방향이 취할 수 있는 범위여도 된다.
「제6 범위」란, 예를 들어 터치 패널에 고정된 좌표계에 있어서, 제5 범위를 제외한 범위여도 된다.
또한, 제3 내지 제6 범위는 각각, 예를 들어 고정된 범위여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범위여도 된다.
[부기 4]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면적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판정부(1402)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패널(11) 중 물체(F)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S)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가, 어떤 값 이상이 되는 상황은, 유저가 무언가의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이 양태에 의하면, 접촉 영역(S)의 면적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5]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형상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판정부(1402)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S)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지표값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터치 패널(11) 중 물체(F)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S)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지표값의 변화의 속도가, 어떤 값 이상이 되는 상황은, 유저가 무언가의 지시를 터치 패널(11)에 입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추정된다.
이 때문에, 이 양태에 의하면, 접촉 영역(S)의 형상에 따라서 정해지는 지표값의 변화의 속도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6]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14)를, 상기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관한 압력 정보를 취득하는 압력 정보 취득부(145)로서 또한 기능시키고, 상기 판정부(1402)는, 상기 압력 정보 취득부(145)가 취득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을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우연히, 터치 패널(11)과 유저의 손가락의 접촉 영역(S)의 면적 또는 형상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에 대응해 버리면, 잘못된 지시의 입력이 이루어져 버린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유저에 의한 손가락에 대한 의식이 낮아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이 작다고 추정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접촉 영역의 면적 또는 형상 외에,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과 유저의 손가락의 접촉 영역(S)의 면적 또는 형상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에 대응하고 있어도, 터치 패널(11)에의 압력에 기초하여,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없다고 판정 가능해진다.
[부기 7]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6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1402)는, 상기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에 관한 제3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터치 패널(11)과 유저의 손가락의 접촉 영역(S)의 면적 또는 형상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에 대응하고 있어도, 제3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없다고 판정 가능해진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제3 조건」은, 예를 들어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이 역치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여기서, 「역치」는,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이며, 예를 들어 고정값이어도 되고, 유저에 의해 변경되는 값이어도 된다.
[부기 8]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14)를, 상기 판정부(1402)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된 경우에, 상기 터치 패널(11)을 진동시키는 진동 제어부(148)로서 또한 기능시킨다.
이 양태에 의하면, 유저는, 터치 패널(11)의 진동에 의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에 대한 변화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부기 9]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기록 매체에서는, 부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14)를, 상기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11)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143)로서 또한 기능시킨다.
이 양태에 의하면, 유저는,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 결과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부기 10]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한 정보 처리 장치(10)는, 터치 패널(11) 중 물체(F)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S)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1401)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1401)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11)에 대해 상기 물체(F)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1402)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터치 패널(11)에 대해 물체(F)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없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의 터치에 기초하는 오입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엄지(F)를 터치 패널(11)로부터 뗀다고 하는 부하가 걸리는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터치 패널(11)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를 입력하지 않는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10: 정보 처리 장치
11: 터치 패널
12: 압력 검출 장치
13: 진동 장치
14: 제어 장치
15: 기억 장치
141: 게임 제어부
142: 설정부
143: 표시 제어부
144: 터치 위치 정보 취득부
145: 압력 정보 취득부
146, 146A: 입력 유무 판정부
146A1: 제1 입력 유무 판정부
146A2: 제2 입력 유무 판정부
147: 지시 내용 판정부
148: 진동 제어부
149: 검출부
1401: 접촉 정보 취득부
1402: 판정부
1403: 좌우 판정 영역 설정부

Claims (10)

  1.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형상이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하나의 시점의 형상에 관한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형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지표값의 변화의 속도의 상승률이 속도 기준값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인,
    정보 처리 장치.
  2. 프로세서를,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면적이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하나의 시점의 면적에 관한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면적의 크기의 변화의 속도의 상승률이 속도 기준값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프로세서를,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형상이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하나의 시점의 형상에 관한 제2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2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형상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지표값의 변화의 속도의 상승률이 속도 기준값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인,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삭제
  5. 삭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압력에 관한 압력 정보를 취득하는 압력 정보 취득부
    로서 또한 기능시키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압력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압력 정보가 나타내는 압력에 관한 제3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판정부에 있어서의 판정의 결과가 변화된 경우에, 상기 터치 패널을 진동시키는 진동 제어부
    로서 또한 기능시키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를,
    상기 지시가 나타내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로서 또한 기능시키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터치 패널 중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영역의 면적 및 형상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접촉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접촉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해 상기 물체의 접촉이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방향에 관한 지시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면적이며,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접촉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접촉 영역의 접촉시의 하나의 시점의 면적에 관한 제1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있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1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지시의 입력이 없다는 취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면적의 크기의 변화의 속도의 상승률이 속도 기준값 이상이라고 하는 조건인,
    정보 처리 장치.
KR1020207025326A 2018-03-29 2019-03-05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25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4163A JP7037177B2 (ja) 2018-03-29 2018-03-29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JP-P-2018-064163 2018-03-29
PCT/JP2019/008549 WO2019188031A1 (ja) 2018-03-29 2019-03-05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493A KR20200116493A (ko) 2020-10-12
KR102525986B1 true KR102525986B1 (ko) 2023-04-27

Family

ID=6805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326A KR102525986B1 (ko) 2018-03-29 2019-03-05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07606B2 (ko)
JP (1) JP7037177B2 (ko)
KR (1) KR102525986B1 (ko)
CN (1) CN111788548B (ko)
WO (1) WO2019188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7177B2 (ja) * 2018-03-29 2022-03-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9395373B (zh) * 2018-09-14 2021-12-07 深圳市腾讯信息技术有限公司 对象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7479554B1 (ja) 2023-08-18 2024-05-08 株式会社バンダイ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及び表示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6880A (ja) * 2010-03-10 2011-09-22 Panasonic Corp 座標入力装置および座標入力方法
JP2013003949A (ja) * 2011-06-20 2013-01-0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端末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83096A1 (en) * 2015-09-22 2017-03-23 Immersion Corporation Pressure-based haptic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836B2 (en) * 1998-05-15 2002-06-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bined fingerprint acquisition and control device
CN101730875B (zh) * 2007-07-11 2012-03-21 吴谊镇 通过检测手指的移动进行数据输入的设备及其输入处理
KR101424259B1 (ko) * 2007-08-22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90103853A1 (en) * 2007-10-22 2009-04-23 Tyler Jon Daniel Interactive Surface Optical System
KR100941927B1 (ko) * 2009-08-21 2010-02-18 이성호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US20110248948A1 (en) * 2010-04-08 2011-10-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US9411509B2 (en) 2010-12-29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controller for touch display
EP2677402A4 (en) * 2011-02-16 2017-11-15 NEC Corporatio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720587B2 (en) * 2011-07-11 2017-08-01 Kddi Corporation User interface device enabling input motions by finger touch in different modes,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cognizing input motion
JP5613126B2 (ja) 2011-09-09 2014-10-22 Kddi株式会社 画面内の対象が押圧によって操作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対象操作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69460B2 (en) * 2011-09-12 2015-06-3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Using pressure differences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JP5794877B2 (ja) 2011-09-28 2015-10-1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979916B2 (ja) * 2012-03-07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639111B2 (ja) * 2012-04-27 2014-12-1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7262B2 (ja) 2012-08-03 2014-05-07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操作端末、操作制御方法、操作制御プログラム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40168093A1 (en) * 2012-12-13 2014-06-19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emulating pressure sensitivity on a surface
JP6119291B2 (ja) * 2013-02-14 2017-04-26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153317A1 (en) * 2013-03-18 2014-09-25 Zuse, Inc. Trend analysis using network-connected touch-screen generated signals
US9898642B2 (en) *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9223955B2 (en) * 2014-01-30 2015-12-29 Microsoft Corporation User-authentication gestures
JP5843908B2 (ja) * 2014-03-07 2016-01-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946371B2 (en) * 2014-10-16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ouch orientation to distinguish between users of a touch panel
KR20160067670A (ko) * 2014-12-04 2016-06-1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감지 방법
US9489096B2 (en) * 2014-12-23 2016-11-08 Sony Corporation Touch screen touch force measurement based on finger deformation speed
US9772743B1 (en) 2015-03-30 2017-09-26 Electronic Arts Inc. Implementation of a movable control pad on a touch enabled device
JP6605225B2 (ja) 2015-04-28 2019-11-13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058734B2 (ja) 2015-05-08 2017-01-1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2370169B1 (ko) * 2015-10-13 2022-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194532B2 (ja) 2015-11-13 2017-09-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81401A (ko) 2016-01-04 201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5937773B1 (ja) 2016-03-09 2016-06-22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KR102481632B1 (ko) 2016-04-26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적응적 터치 입력 방법
JPWO2017204301A1 (ja) * 2016-05-27 2018-12-1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7224220A (ja) 2016-06-17 2017-12-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出力制御装置、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84544B2 (ja) 2016-09-07 2020-11-11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557125B1 (ko) 2016-09-23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98122B2 (en) * 2016-09-30 2019-02-05 Biocatch Ltd. System,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force applied to a touch surface
JP7037177B2 (ja) * 2018-03-29 2022-03-1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6880A (ja) * 2010-03-10 2011-09-22 Panasonic Corp 座標入力装置および座標入力方法
JP2013003949A (ja) * 2011-06-20 2013-01-0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情報端末装置、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83096A1 (en) * 2015-09-22 2017-03-23 Immersion Corporation Pressure-based ha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07606B2 (en) 2023-03-21
JP2019175239A (ja) 2019-10-10
CN111788548B (zh) 2024-03-26
CN111788548A (zh) 2020-10-16
WO2019188031A1 (ja) 2019-10-03
JP7037177B2 (ja) 2022-03-16
KR20200116493A (ko) 2020-10-12
US20200384352A1 (en) 202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7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as well as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2525986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6774060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021335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8920234B (zh) 动态显示ui元素的方法和终端
TW201719335A (zh) 視線輸入裝置、視線輸入方法、及程式
JP6447853B1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575671A (zh) 游戏中视角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747974B2 (en) Orientation calculation program and device, and program and device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KR20190087510A (ko) 터치 패널 입력 장치, 터치 제스처 판정 장치, 터치 제스처 판정 방법, 및 터치 제스처 판정 프로그램
KR102444500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60132993A1 (en) Scree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JP5721602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064789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770675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5098015A (zh) 虚拟键盘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682951B2 (ja)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548956B2 (ja) 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88118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947180A (zh) 一种游戏中的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170135377A (ko) 가상현실 정보 처리 장치
CN114968063A (zh) 虚拟键盘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23027205A (ja) 方向指示入力プログラム、方向指示入力装置、および方向指示入力を利用する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