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615B1 -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615B1
KR102525615B1 KR1020230022714A KR20230022714A KR102525615B1 KR 102525615 B1 KR102525615 B1 KR 102525615B1 KR 1020230022714 A KR1020230022714 A KR 1020230022714A KR 20230022714 A KR20230022714 A KR 20230022714A KR 102525615 B1 KR102525615 B1 KR 10252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proofing
bridge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옥
Original Assignee
한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옥 filed Critical 한성옥
Priority to KR1020230022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으로서 종래 아스팔트 방수시트 또는 아스팔트 도료 대신에 신규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방수 포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 방수재나 용제형 도막방수재의 단점인 기포현상이나 부풀음 현상이 없고 상온에서 시공함으로서 가열할 필요가 없으며 공기중에서 빠르게 경화하므로 별도의 환기나 양생이 필요없고,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성의 아스콘 포장층 사이에 뛰어난 접착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전단응력 및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균열진행 및 변형을 억제하며, 외부로부터의 열화인자(수분, 제설제, 바닷물, 산성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성능 및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Waterproofing paint composition and constructing method for waterproofing bridge surfa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면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층으로서 종래 아스팔트 방수시트 또는 아스팔트 도료 대신에 신규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방수 포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고가도로 상판이 오래되면 빗물 침투와 누적된 교통 하중으로 상판의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재료간 결합력이 저하되고 온도변화에 의한 콘크리트의 건조 수축으로 물의 체적변화에 따라 공극 균열이 발생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러한 균열이 확대되어 교면의 콘크리트 강도 저하 및 수명 저하가 초래된다.
또 교량이나 고가도로의 강판이나 콘크리트의 상판 구조물 위에 아스팔트가 도포되는 경우,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그 자체 하중 및 충격에 의해 상판이 휘어지고 진동이 발생되어 아스팔트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아스팔트와 상판이 분리되게 되며, 우수나 결로수 등이 아스팔트의 공극 균열 부위와 노견부위, 중앙분리대및 조인트 부위의 틈새를 통해 상판으로 침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판의 균열을 촉진시키게 되고 그 속의 철근이나 구조물 자체 또는 강판을 부식시켜 구조물의 수명 단축 및 붕괴의 위험을 초래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교면에 적용되는 방수시공은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고자 적용되는 것으로, 아스팔트 포장으로부터 침투되는 물과 염화물에 의한 바닥판 콘크리트의 열화 및 철근의 부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즉, 콘크리트 교면 위에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층과 콘크리트 사이에 응력 및 변형을 흡수할 수 있고, 차량 하중으로 인한 수평, 수직 하중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방수층이 응력 및 변형, 하부층의 수평거동을 흡수하여 균열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면서 균열이 발전해 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층은 방수기능과 더불어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하고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를 동시에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보강 기능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교면에 적용되는 방수시공으로서, 아스팔트 시트식 또는 도막식 방수시공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도막식 방수시공 방법은 액상형의 방수재를 반복하여 도포하는 방법으로, 액상 자체의 퍼짐성으로 인해 교면의 콘크리트 노출바닥판의 평활도가 좋지 않으면 균일한 두께의 도막형성이 어렵고, 바탕의 습기에 의해 부풀림이 쉽게 발생하며, 바탕의 크랙에 대한 대응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한편, 상기 아스팔트 시트식 방수시공 방법은 균일한 방수층 두께를 형성할 수 있고, 균열에 대응이 용이하며 우수한 방수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교면방수에서 중요한 전단성능이나 인장접착력 등의 물성이 현저히 떨어져 시트층과 포장층, 즉 아스콘층과의 접착성능이 현저히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면의 콘크리트 노출바닥판에 요철 또는 공극이 많은 경우, 프라이머의 접착력이 매우 저하되고 시트의 아랫면에 수많은 작은 기포인 핀홀(pinhole)에서부터 큰 기포까지 발생하고, 이것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상기한 문제점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고하중 차량 및 고속주행 차량의 급제동시, 하중이 교면에 부착된 방수층에 전달되어 방수재가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아스콘층과 시트층이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교면 표장층 시공 시 피니셔와 같은 포장 장비에 의해서도 찢겨지거나 떨어져 나갈 우려가 있었다. 결국 이로 인해 교면 포장층으로부터 침투되는 물이나 염화물이 교면의 콘크리트 바닥판으로 침투되어, 콘크리트 교면의 성능이 저하되어 열화되거나, 심한 경우 철근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균열진행 및 변형을 억제하면서, 동시에 내구성을 증진시켜 구조물의 열화 및 철근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규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37443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77431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신규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신규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설폰(PES)/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 30~50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45~75 중량부; 잔탄검 50~80 중량부; 유무기 복합필러 30~85 중량부; 분산제 0.05~10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지방산 오일 100~120 중량부; 흡습제 5~10 중량부; 및 경화조절제 0.5~2 중량부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302005812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은 5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점착보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보강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물성보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성보강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교면 방수 공법은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을 정리하는 단계(S10); 정리된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교면 방수 공법은 상기 S30 단계 이전, 이후, 또는 이전 및 이후 모두에 섬유그리드 보강재를 깔아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 방수재나 용제형 도막방수재의 단점인 기포현상이나 부풀음 현상이 없고 상온에서 시공함으로서 가열할 필요가 없으며 공기중에서 빠르게 경화하므로 별도의 환기나 양생이 필요없고,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성의 아스콘 포장층 사이에 뛰어난 접착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전단응력 및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균열진행 및 변형을 억제하며, 외부로부터의 열화인자(수분, 제설제, 바닷물, 산성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성능 및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공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섬유그리드 보강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공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막방수재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설폰(PES)/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 30~50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45~75 중량부; 잔탄검 50~80 중량부; 유무기 복합필러 30~85 중량부; 분산제 0.05~10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지방산 오일 100~120 중량부; 흡습제 5~10 중량부 및 경화조절제 0.5~2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교량의 방수를 위한 용도로 제조된다. 교량교면의 방수 공정은 교량의 기본적인 기능과 교면 상판의 부식으로 인한 교량의 내구성과 직접 관련되는 중요한 공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량교면의 방수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i) 상판의 반복적인 진동(vibration) 또는 휨(bending)에 의한 균열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피로도(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가져야 한다.
ii) 균열 또는 이탈작용(debonding), 교량 상판의 수축 팽창 작용에 내구력을 가진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져야 한다.
iii) 표면층에 떨어지는 빗물, 자동차 연료 또는 기름에 대한 불투수성을 갖추어야한다.
iv) 제설용 염화물(염화칼슘) 또는 차량통행에서 떨어지는 오일 등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손상에 저항할 수 있어야한다.
v) 교면 방수층은 방수처리 후 아스콘을 타설해야 하므로 180~200℃의 내열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방수 가공재로서 널리 알려진 물질로서, 폴리에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하여 얻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은, 예컨대 폴리테타르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PPG) 및 폴리옥시에틸렌디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평균 분자량은 650~3000인 것, 바람직하게는 650~2000인 것,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200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이 3000보다 크면 인장 접착성이 저하되고, 650보다 작으면 절곡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컨대,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즈,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린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공지의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1염기산의 부가 반응물로부터 유도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산 양말단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로 유도되는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공기 건조성 불포화 수지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설폰(PES)/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Figure 11202302005812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은 5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에테르설폰(PES)/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는 내화학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고 물에 불용성이고, 물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방수에 효과적이다. 상기 PES/PDMAEMA 공중합체는 수 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130,00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PES/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는 PES/PDMAEMA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S10); 및 전기 방사를 이용하여 PES/PDMAEMA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S20)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0 단계에서 PES/PDMAEMA 공중합체는 용매 및 아민의 존재 하에서 폴리에테르설폰(PES)을 브롬화합물과 반응시켜 PES-Br 매크로개시제를 제조한 후, 상기 PES-Br 매크로개시제를 이용하여 촉매 하에서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DMAEMA)를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매크로개시제의 말단에 형성된 브롬기는 촉매로서 구리 리간드를 통해 제거되어 라디칼 사이트를 형성하고, DMAEMA의 탄소는 불안정한 라디칼에 결합하고 인접한 탄소로 전달되어 다른 DMAEMA 단량체의 탄소와 결합하도록 유도되는 라디칼의 연쇄 반응에 의해 폴리에테르설폰(PES)/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공중합체로 합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는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 반응은 실온~60 ℃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중합 반응이 진행가능한 적절한 온도이면 적용될 수 있다.
중합 반응 후에는 생성된 PES/PDMAEMA 공중합체는 물에 불용성이므로, 과량의 메탄올에 여러 번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S20 단계는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PES/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기 방사는 고분자 용액에서 고압을 가해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매우 얇은 섬유를 만들 수 있고 넓은 특정한 표면적을 가진 막을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PES/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는 도막방수재 조성물의 내화학성과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PES/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100 중량부로 했을 때, 30~50 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만일, 상기 PES/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량의 증가에 대한 효과의 향상이 미미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균열 추종성, 내열성, 인장강도, 저온 충격성을 향상시키고, 고온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온도 안정성을 개선하며, 잘 변질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100 중량부로 했을 때, 45~7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7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변형저항성이 저하되어 들뜸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은 바이오폴리머의 일종으로서, 친환경적인 천연 증점제로서 점성을 부여하며, 점성에 온도안정성과 pH 안정성 가짐으로써 조성물의 접착성과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잔탄검은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를 100 중량부로 했을 때, 50~8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될 때 상기의 기능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필러로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클레이, 알루미나,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lN), 탄화규소(SiC),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아연(ZnO) 및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필러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8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균열 충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료용 범용 분산제인 산성기를 포함하는 블록공중합체, 예를 들어 인산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도막방수재 조성물의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고온에서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물질로, 가소성 외에도 내열성·내한성·내연성 등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친환경 가소제인 DOTP(EASTMAN KODAK), DINCH(BASF), NEO-T3(애경유화), GL-100(LG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오일은 수산기(-OH)를 가지고 식물에서 추출된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리시놀레산이 포함된다. 보통 리시레놀산은 성숙한 피마자 속에 존재는 불포화 오메가-9지방산으로서 하이드록시기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개씩 가진 카복실산이다. 이는 휘발성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방산 오일은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1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현장의 온도, 습도에 따라 후 경화의 영향으로 핀홀의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억제할 수 있도록 흡습제를 포함해야 한다. 상기 흡습제는 제올라이트 성분의 다공질 흡습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흡습제 5~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시공후 미경화 부분이 발생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고, 결국에는 누수로 이어지는 하자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경화조절제는 경화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건조수축을 방지하고, 저온에서는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경화조절제로는 예를 들면, 디-t-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스테아릴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경화조절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조절제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경화조절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경화조절제의 함량이 1 중량부 초과로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강도 및 내구성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안료, 점착보강제 및 물성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방수재의 요구 색상에 부합하기 위한 착색제로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카본블랙, 적색 산화철, 녹색 산화철, 흑색 산화철 및 다양한 칼라의 무기 안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첨가량에 대하여 한계를 두고 있지 않지만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크롬, 코발트, 납, 수은 등의 중금속이 포함된 안료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점착보강제는 방수재 조성물의 점·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재료로서 그 종류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송진), 로진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석유수지는 C9계, C5계, C9-C5계 공중합 수지, 수첨수지 등이 있으며 상술한 재료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폴리부텐의 등급으로 어느 한 가지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점착보강제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점착보강제 5~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성보강제로는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흐름방지제로는 폴리에틸렌(PE)왁스, 폴리프로필렌(PP)왁스, 아마이드왁스,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이크로 왁스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물성보강제는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에 대하여 물성보강제 1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필요에 따라 산화 및 노화방지제 0.1~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레탄 방수재나 용제형 도막방수재의 단점인 기포현상이나 부풀음 현상이 없고 상온에서 시공함으로서 가열할 필요가 없으며 공기중에서 빠르게 경화하므로 별도의 환기나 양생이 필요 없고,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강성의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과 연성의 아스콘 포장층 사이에 뛰어난 접착력으로 완벽하게 일체화되고, 전단응력 및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에 의한 균열 추종성이 매우 뛰어나,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를 보강하고, 균열진행 및 변형을 억제하며, 외부로부터의 열화인자(수분, 제설제, 바닷물, 산성비, 화학적 물질 등)가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콘크리트 교면의 강도성능 및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포장 공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면 방수 공법은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을 정리하는 단계(S10);
정리된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면 방수 포장 공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S10 단계는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교면 시공대상의 이물질 제거 및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을 정리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면 시공대상의 평탄화를 진행한 이후, 표면에 존재하는 레이턴스, 먼지, 유제 등의 부착 유해 물질, 이물질, 유분 등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돌출부위는 그라인더를 이용해서 평탄하게 하고 패인 부분이나 약한 부위 들뜬 부위는 제거하고 수지몰탈 처리하여 평탄하게 한다. 특히, 기존 아스콘이 도포되어서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노면 파쇄기 등을 이용하여 기존 아스콘 포장층을 제거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이때, 상기 교면 시공대상은 교면상판의 바탕면으로서 콘크리트 상판, 강상판 모두에 적용 가능한다.
다음으로, S20 단계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프라이머의 도포는 교량 상판의 강도 보강, 수분상승의 방지, 접착력 강화의 목적이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는 에폭시계 또는 우레탄계 용제형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프라이머의 과다도포는 오히려 접착력을 감소시키며, 프라이머 도포 후 장시간의 방치는 오염으로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시공 현장의 환경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S30 단계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방수층은 교량의 기능과 교면 상판의 부식으로 인한 교량의 내구성과 직접 관련된다. 교량 교면의 포장에서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상판의 반복적인 진동(vibration) 또는 휨(bending)에 의한 균열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피로도(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가질 수 있고, 균열 또는 이탈작용(debonding), 교량 상판의 수축 팽창 작용에 내구력을 가진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면층에 떨어지는 빗물, 자동차 연료 또는 기름에 대한 불투수성이 우수해고, 제설용 염화물(염화칼슘) 또는 차량통행에서 떨어지는 오일 등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손상에 저항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로 형성된 방수층은 180~200℃에도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을 가져, 방수처리 후 아스콘을 타설해야 하는 교량 교면 방수 작업에 매우 용이하다.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시공면의 프라이머층과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고 방수 효과를 얻기 위하여 1~3 kg/m2 정도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면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섬유그리드 보강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교면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고, 균열진행 및 변형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의 시공 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섬유그리드 보강재를 깔아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그리드 보강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리섬유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그리드 보강재 설치를 포함하는 교면 방수 공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섬유그리드 보강재 설치 단계는 상기 S30 단계 이전(도 3), 이후(도 4), 또는 이전 및 이후 모두(도 5)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S40 단계는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수층이 경화되면 상기 방수층 상에 아스콘을 포설하고 다짐한 후, 양생시켜 교량 상면에 아스콘층을 형성함으로써, 교량 교면의 포장을 마무리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사용함에 따라, 상판의 반복적인 진동(vibration) 또는 휨(bending)에 의한 균열작용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피로도(stress)에 대한 내구력을 가질 수 있고, 균열 또는 이탈작용(debonding), 교량 상판의 수축 팽창 작용에 내구력을 가진 충분한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아스콘층에 떨어지는 빗물, 자동차 연료 또는 기름에 대한 불투수성이 우수해고, 제설용 염화물(염화칼슘) 또는 차량통행에서 떨어지는 오일 등과의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손상에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로 형성된 방수층은 180~200℃에도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을 가져, 방수처리 후 아스콘을 타설해야 하는 교량 교면 방수 작업에 매우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교반 및 혼합함으로써,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비교용 방수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100 중량부
PES/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화학식 1) 45 중량부 47 중량부 49 중량부 - -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48 중랑부 60 중랑부 70 중랑부 50 중랑부 -
잔탄검 55 중량부 55 중량부 55 중량부 - -
유무기 복합필러(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마이카 및 클레이의 혼합물) 50 중량부 40 중량부 50 중량부 40 중량부 50 중량부
분산제(인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가소제(디옥틸 프탈레이트) 5 중량부 5 중량부 5 중량부 5 중량부 5 중량부
지방산 오일 110 중량부 110 중량부 110 중량부 80 중량부 90 중량부
흡습제 5 중량부 7 중량부 7 중량부 - -
경화조절제(벤조일퍼옥사이드)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안료 -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1 중량부
점착보강제 - 5 중량부 - - -
물성보강제 - - 10 중량부 - -
[시험예]
상기 제조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도막방수재 조성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방수재 조성물에 대하여, 콘크리트 교면용 도막방수재 시험방법(KS F 4932)에 따른 물성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기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작업성 작업에 지장이 없을 것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불휘발성(%) 표시값 ±3% 이내 99.7 99.7 99.7 75.3 82.5
인장
성능
인장강도
(N/mm2)
무처리 1.5 이상 1.80 1.91 1.93 1.53 1.52
알칼리처리 무처리의
80% 이상
1.66 1.77 1.78 1.32 1.30
가열처리 무처리의
80% 이상
1.67 1.78 1.79 1.34 1.32
신장률
(%)
무처리 100 이상 955 958 957 284 280
알칼리처리 무처리의
80% 이상
871 880 875 220 198
가열처리 무처리의
80% 이상
845 877 873 220 195
전단
접착
성능
전단접착강도
(N/mm2)
-20℃ 0.8 이상 1.20 1.21 1.23 1.15 1.14
20℃ 0.15 이상 0.20 0.20 0.21 0.18 0.18
전단접착변형률
(%)
-20℃ 0.5 이상 3.6 3.8 3.9 0.5 0.8
20℃ 1.0 이상 5.7 5.8 5.8 0.8 0.9
인장 접착 강도
(N/mm2)
-20℃ 1.2 이상 1.51 1.7 1.73 0.9 1.0
20℃ 0.6 이상 0.66 0.8 0.88 0.8 1.78
내투수성 투수되지 않을 것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투수되지 않음
염화 이온 침투 저항성(coulombs) 100 이하 9 10 10 105 80
내움푹 패임 구멍이 생기지 않을 것 구멍 없음 구멍 없음 구멍 없음 구멍 없음 구멍 없음
내열치수
안정성
(%)
150℃, 30분 ±2.0 이내 -0.3 -0.4 -0.4 1.8 1.9
내피로성 잔금, 찢김, 파단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내균열성 -20℃ 잔금, 찢김, 파단이 생기지 않을 것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잔금발생 잔금발생
저온 굴곡성 -10℃ 균열이 없을 것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없음 균열발생 균열발생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교면용 도막방수재 시험방법(KS F 4932)에 따른 기준 이상의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용 방수재 조성물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보임으로써 교면 방수 공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의 폴리에테르설폰(PES)/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PDMAEMA) 공중합체 나노섬유 30~50 중량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45~75 중량부;
    잔탄검 50~80 중량부;
    유무기 복합필러 30~85 중량부;
    분산제 0.05~10 중량부;
    가소제 1~10 중량부;
    지방산 오일 100~120 중량부;
    흡습제 5~10 중량부; 및
    경화조절제 0.5~2 중량부를 포함하는,
    도막방수재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3020058127-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m 및 n은 5 내지 10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점착보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보강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 조성물은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 물성보강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성보강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 조성물.
  4. 교면 시공대상의 열화부위 및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소하여,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을 정리하는 단계(S10);
    정리된 교면 콘크리트 바닥판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도막방수재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S30); 및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아스콘을 포설 및 다짐하여 아스콘 포장층을 형성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교면 방수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S30 단계 이전, 이후, 또는 이전 및 이후 모두에 섬유그리드 보강재를 깔아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방수 공법.
KR1020230022714A 2023-02-21 2023-02-21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252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14A KR102525615B1 (ko) 2023-02-21 2023-02-21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714A KR102525615B1 (ko) 2023-02-21 2023-02-21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615B1 true KR102525615B1 (ko) 2023-04-25

Family

ID=8610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714A KR102525615B1 (ko) 2023-02-21 2023-02-21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872B1 (ko) * 2023-10-30 2024-03-05 (주)세원방수 토목구조물용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도막재 조성물 및 이의 조성물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교면방수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443B1 (ko) 2000-05-25 2002-05-22 황석창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377431B1 (ko) 2000-10-23 2003-03-26 주식회사 오에이티건설 구스계 재료 및 유리섬유 매쉬를 이용한 콘크리트교량표면 상부 방수공법
KR100458311B1 (ko) * 2002-01-16 2004-11-26 주식회사 보광 분무형 방수제 조성물
KR100723291B1 (ko) * 2006-01-05 2007-05-30 곽주호 고분자 겔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 및 단열 공법
KR102318294B1 (ko) * 2021-07-15 2021-10-26 이용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443B1 (ko) 2000-05-25 2002-05-22 황석창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377431B1 (ko) 2000-10-23 2003-03-26 주식회사 오에이티건설 구스계 재료 및 유리섬유 매쉬를 이용한 콘크리트교량표면 상부 방수공법
KR100458311B1 (ko) * 2002-01-16 2004-11-26 주식회사 보광 분무형 방수제 조성물
KR100723291B1 (ko) * 2006-01-05 2007-05-30 곽주호 고분자 겔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 및 단열 공법
KR102318294B1 (ko) * 2021-07-15 2021-10-26 이용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872B1 (ko) * 2023-10-30 2024-03-05 (주)세원방수 토목구조물용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도막재 조성물 및 이의 조성물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교면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278B2 (en) One-component type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concrete pieces and tiles and method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concrete pieces and tiles using same
US3432451A (en) Polyolefin-modified polyurethanes and process of making same
KR101975799B1 (ko) 하이브리드타입의 초속경 탄성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레진 및 바잘트 메쉬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여 교면방수층을 형성하고 도로 신축이음 후타재와 측구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2525615B1 (ko)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182791B1 (ko) 도로 포장용 미끄럼 방지층 조성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79572B1 (ko)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6311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방식, 내진 보강용 폴리우레아 보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JP4902255B2 (ja) 防水・止水材用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826094B (zh) 一种有砟轨道混凝土桥面的复合防水层及其施工方法
KR20090073509A (ko)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KR101088355B1 (ko) 토양 경화제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RU2330867C1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бет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крытия
KR101553210B1 (ko) 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부용 조인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이음부 보수공법
KR100957621B1 (ko)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JP5034747B2 (ja) 防水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361170A2 (en) Castor oil based polyurethane for bridge decking and related applications
KR101965224B1 (ko)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공법
JP3553693B2 (ja) 遮水シート工法
KR102289428B1 (ko) 미세먼지흡착, 방수, 제설 및 차열효과를 가지는 다기능 아스팔트 도로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포장공법
JP3673878B2 (ja) 床版防水材料、床版防水舗装構造体及び床版施工方法
KR101317647B1 (ko) 가교형 수분산성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배합물, 이를 이용한 폴리머-시멘트 조성물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를 위한 이들의 용도
CN109914237B (zh) 一种用于铁路有砟轨道混凝土桥面的复合防水层及其施工方法
KR101955156B1 (ko) 도로 포장용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60723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3516751B2 (ja) 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