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8294B1 -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8294B1
KR102318294B1 KR1020210092645A KR20210092645A KR102318294B1 KR 102318294 B1 KR102318294 B1 KR 102318294B1 KR 1020210092645 A KR1020210092645 A KR 1020210092645A KR 20210092645 A KR20210092645 A KR 20210092645A KR 102318294 B1 KR102318294 B1 KR 10231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sphalt
waterproofing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210092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콘크리트의 미세균열 및 모세관 공극 등의 침투성능이 우수한 도포제를 방수공법에 적용함으로써, 추가적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고,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투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교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A Eco-friendly Waterproofing Treatment Composition for Road and Waterproofing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 포장면 등의 교면에 방수포장면을 형성시켜 내구성, 방수성, 염화물 침투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교면은 공용 연수가 증가할수록 빗물이나 제설재의 침투량이 많아지고 교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누적되므로 재료 간 결합력이 저하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균열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확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하고, 우수 등이 아스팔트 공극 균열부분과 중앙분리대 및 조인트 부위의 틈새를 통해 침투 시,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어 구조물의 수명단축 및 붕괴를 초래한다.
따라서 빗물이나 제설재 등이 침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교면에 방수제를 도포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교면에 방수제를 도포함으로써, 포장층으로부터 침투되는 물과 염화물에 의한 바닥판 콘크리트의 열화 및 철근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교면 방수제는 건축 및 기타분야에 적용되는 방수재와 달리 주행차량에 의한 반복하중, 진동, 충격, 전단 등의 역학적 작용과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팽창 등이 복잡하게 작용하는 교면에 사용되므로 교면 방수제층은 손상되기 쉽고, 이로 인해 손상된 교면 방수제층을 보수하거나 보강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 중 차로를 부분 통제함으로써 교통지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교면에 적용되는 방수공법으로는, 침투식 방수공법, 시트식 방수공법 및 도막식 방수공법이 있다. 침투식 방수공법은 적용하기에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인 이유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나 고강도 콘크리트 교면에는 방수제가 충분히 침투되지 않아 방수성능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시트식 방수공법은 저온특성이 떨어져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있는 나라의 경우 콘크리트 교면의 방수성능 향상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합성수지재료를 도포해서 방수도막을 형성시켜 시공하는 도막식방수공법이 선호되고 있다.
도막식 방수공법을 적용한 예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9-37809호에는, 교량 등의 표면에 에폭시 프라이머 층을 도포하고 그 위에 속건성 고분자 수지층과 지건성 고분자 수지층 및 세석골재층을 형성하는 교면 방수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교면 방수공법에 적용된 고분자 수지층은 5초 이내에 경화되는 속건성 이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및 에폭시 프라이머 층이 상호 융합되기도 전에 각 층이 분리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바, 충분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프라이머층 위에 속건성 및 지건성 고분자 수지 층과 세석골재층 등 다양한 처리층을 형성해야하는데, 이와 같이 다중층을 적층하지 않으면 각 층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밀리게 되어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바, 실제로 시공을 할 수 없거나 시공을 하더라도 방수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다중층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2-76214호에서는 교량 등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수지 프라이머층을 도포한 후 그 위에 속건성 고분자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위에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한 폴리우레탄 제조 혼합물을 도포한 후 아스팔트 접착제층과 아스팔트 콘크리트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처리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폴리우레탄 제조 혼합물층에 존재하는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가 주위의 습기와 반응하여 오히려 결합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현장에서 작업시 매우 주의를 요하는 까다로운 작업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세균열 및 모세관 공극 등의 침투성능이 우수하여 내투수 저항성이 탁월하고,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콘크리트 교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방수시트 도포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콘 포장을 하는 아스콘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교면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콘크리트의 미세균열 및 모세관 공극 등의 침투성능이 우수한 도포제를 방수공법에 적용함으로써, 추가적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고,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제 계면의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투수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교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방수시트 도포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콘 포장을 하는 아스콘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교면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방수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교면, 포장면, 건축물의 내/외부 등에 발생한 균열로 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교면방수제 조성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스팔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등의 석유계 아스팔트 또는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은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기 아스팔트 혼합물, 특정적으로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아스팔트 혼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 epure) 아스팔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천연 아스팔트, 예를 들면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중량% 및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천연 아스팔트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는 석유 아스팔트로 원료를 건류 또는 증류한 잔류물을 정제한 통상의 아스팔트로, 특히 침입도가 20 내지 40인 것이 도로에 시공 시 용이성이 있어 더욱 좋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70 내지 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7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아스팔트 포장 후 굳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으며, 8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트리니다드레이크(trinidad lake) 아스팔트 및/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Trinidadepure) 아스팔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혼합물에 20 내지 3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동성, 변형저항, 미끄럼저항 및 마찰저항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가 연질화되고 연화점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방수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스팔트 외 나머지 성분의 함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lene butadien stylene; SBS)은 교면방수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방수성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강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은 신율이 320 내지 1,400%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석유수지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에 고접착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석유수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석유수지, 지방족 석유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용융온도가 100℃ 이상이고 침입도가 3dmm이하, 140℃에서 점도(이하 140℃ 점도)가 50 내지 500cps인 석유수지가 적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용융온도가 110℃ 내지 140℃이고 침입도가 0.5 내지 2dmm, 140℃ 점도가 50 내지 300cps인 석유수지가 좋지만, 더욱 추천하기로는 점도가 100 내지 150cps인 지방족 C-5석유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석유수지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Methyl MethAcrylate)는 우수한 접착력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크랙 및 탈락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10 내지 1,000cps인 저점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 49 내지 70중량%와, 점도가 2,000 내지 20,000cps인 고점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2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혼합물에 SIS(stylene isoprene stylene), SBR(stylene butadiene rubber), SBS(stylene butadiene stylen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변성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단량체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 단량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50Da인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유화제(Anionic emulsifier)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구성성분 및 반응물 등을 용이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음이온 유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음이온 유화제로는 수지산나트륨염, 리그닌술폰산알카리금속염, 나프탈렌 설포닉 산(Naphthalene Sulfonic acid) 유도체,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유도체, 고급지방산알카리금속염, 알킬벤젠슬폰산염, 알파-올레핀슬폰산염, 폴리옥시에칠렌알킬페닐에텔류, 알킬아릴슬폰산나트륨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유화제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파라핀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점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파라핀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파라핀은 유동성을 갖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칼슘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내에 발생하는 공극을 충전하고, 용적을 증대시키며 일정 두께를 형성할 수 있어 증량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탄산칼슘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숯가루는 높은 공극율로 인하여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결합력을 향상시켜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숯가루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볼밀로 분말화한 숯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숯가루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추천하기로는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로 형성된 방수교면의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는 동시에 탄성과 내굴곡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세라믹 입자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양생 중에 표면으로 부상하여 치밀하고 경도가 높은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증기와 기타 기체, 액체의 투과를 방지함은 물론, 내습성, 내구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약품성이 향상된다.
상기 나노세라믹 입자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나노세라믹 입자는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실리카, ZnO, TiO2 및/또는 CaCO3가 포함된다.
이들 세라믹입자는 평균 입경이 나노미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카바이드의 평균 입경은 300 내지 500nm, 상기 알루미나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700 내지 1500nm, 상기 지르코니아-실리카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ZnO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 상기 TiO2의 평균 입경은 100 내지 300nm, 그리고 CaCO3의 평균 입경은 500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실리콘카바이드는 천연광물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공적으로 합성하며, 고온에서의 화학적 안정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고 높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온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저분자형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포제는 연행공기의 발생으로 인한 공기량의 증가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소포제의 사용량은 아스팔트 100중량부 0.5 내지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소포제로는 등유, 미네랄오일, 에탄올합성오일 등과 같은 광유계 소포제, 동식물유, 참기름, 피마자유와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과 같은 유지계 소포제, 스테아린산과 이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등과 간은 지방산계 소포제, 글리세린모노리시놀레이트, 알케닐호박산 유동체, 솔비톨모노라울에이트, 솔비톨트리올레이트, 천연 왁스 등과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계 소포제, 폴리옥시알킬렌류, (폴리)옥시알킬에테르류, 아세틸렌에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인산에스테르류,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류,(폴리)옥시알킬렌아미드 등과 같은 옥시알킬렌계 소포제, 옥틸알콜, 헥사데실알콜, 아세틸렌알콜, 글리콜류 등과 같은 알콜계 소포제, 아크릴레이트폴리아민 등과 같은 아미드계 소포제, 인산트리부틸, 나트륨옥틸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인산에스테르계 소포제,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칼슘올레이트 등과 같은 금속비누계 소포제, 디메틸실리콘유, 실리콘 페이슷, 실리콘 에멀젼, 유기변성 폴리실록산(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폴리오르가노실록산). 플루오로실리콘유 등과 같은 실리콘계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방수제 조성물, 특정적으로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흐름성을 방지하여 조성물의 각 성분이 상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나 또는 산화규소로 가공된 흄드 실리카(일명 :화이트 카본) 또는 흄드 알루미나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균일한 분산성과 내구성 및 내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산화규소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규소의 사용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내구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수화반응성이 과대하여 물성을 저하시키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공극을 치밀하게 하고 누수를 방지하며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트륨벤토나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트륨벤토나이트는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해 원래 부피의 여러 배로 팽창되며 겔과 같은 상태가 되어 조성물의 공극을 치밀하게 메우게 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켜 균열방지에 기여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수분불분리성 및 내수성 및 내충격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에틸렌초산비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 내부로 침투시켜 밀착시킴으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푸탈산 수지 니스(phthalic resin varnish)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이 시공되는 시공면의 공극으로 침투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유지함으로써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들뜸방지와 내구성 및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크사이트 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보크사이트 분말의 평균입도는 1 내지 10㎛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크랙발생 및 박리방지를 위하여 디부틸프탈레이트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침투력, 및 발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장기강도 발현 및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겔라이트 미분말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겔라이트는 황토의 187배 이상의 효과를 가진 광물질로서 상기 효과 이외에 양질의 원적외선 방출 효과도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평균입도는 1 내지 5㎛ 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부틸글리시딜에테르(Butyl glycidyl ether)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점도조절 및 부착성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가 지연되고 표면의 경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건조 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알루민산 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알루민산 칼슘이 교면방수제 조성물에 포함되면 팽창성을 띄게 되어 조성물의 건조수축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다하여 작업성을 저하 시킬 수 있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충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플루오린화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플루오린화나트륨은 1차적으로 충진제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2차적으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에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메타규산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유동성이 낮아지고 불규칙한 기포가 형성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용해를 빠르게 촉진시켜 초기의 반응열을 높게 하여 경화를 빠르게 함으로써 초기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칼륨인산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5중량부를 초과하면 급결성능에 의해 수축되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1중량부 미만이면 가수분해 속도가 저하되어 강도가 저하되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초기강도 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는 구조물 등과 친화력이 좋아 부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특히, 시공하고자 하는 대상면이 콘크리트인 경우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성질을 부여하여, 상기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및/또는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푸르푸릴알코올(furfuryl alcoho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건조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산화마그네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마그네슘(MgO)은 물과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수산화마그네슘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화마그네슘은 부피팽창을 하게 되며, 저온소성된 산화마그네슘은 느린 수화작용의 특성에 의해 경화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기적인 팽창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저온소성 산화마그네슘은 급결 또는 속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빠른 응결로 인한 건조수축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탄산리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튬염인 탄산리튬은 시멘트 내 성분인 알루미늄이 리튬염에서 용출되는 리튬 이온과 반응하여, 알루민산 리튬을 생성함으로써 속경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리튬염에 의한 경화촉진반응은 단순한 시멘트의 경화 현상과는 다른 것으로, 현저한 급결성 효과가 발현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물을 흡수, 팽윤 겔화시켜 어느 정도의 압력을 받아도 물을 방출하지 않는 특성이 있어 수팽윤 특성으로 인하여 수분배출 및 증발로 인한 건조수축, 수축균열을 방지하며, 탄성 및 이를 통한 지반과의 밀착성이 유지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수성을 보강하고, 접착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아라고나이트(aragonite)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아라고나이트는 사방정계의 탄산염 광물로서 잘게 분쇄가 가능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쉬운 장점이 있어, 이를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현하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시멘트와 작용하여 응집성을 높이고 시멘트의 반응속도를 높여 조기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황산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아크릴니트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 내부에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여 조성물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부착강도를 향상시키고, 조성물 내부에 폴리머 필름막으로 인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스티렌-부타디엔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물과 혼합되어 시공되기 전 일정시간 동안 정치될 경우 발생하는 재료분리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아타풀자이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타풀자이트는 마그네슘, 알루미늄의 염기성 함수 규산염 광물로 수성암 중의 휘석, 각섬석에서 변질되어 생성하며 염호 지역에서 몬모릴론석으로부터 생성한다. 또는 몬모릴론 석화 작용을 받은 섬장암에 포켓상 혹은 맥상으로 산출한다.
특히, 상기 아타풀자이트의 화학성분은 주로 SiO2(49.57%), Al2O3(9.44%) 및 MgO(8.81%)로 구성되며, 길이 1.5 내지 2micron, 굵기 3nm인 막대기형의 입자로 양 끝단은 + charge를, 측면은 - charge를 띠고 있으며, 분산되면 입자가 상호결합, 그물구조를 형성하여 점도를 형성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자가 응집을 방지하고, 경화 후, 조성물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점도 및 재료분리 저항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세피올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이 시공되는 시공면의 알카리성을 회복시키고, 표면에 비활성막을 형성시킴으로써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진크설페이트(zinc sulph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이 세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에 의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온에서 공기 중에서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벤조산(benzoic aci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열화방지, 내구성, 경화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방수성, 내열성, 내염성 및 접착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아세틸레이티드라놀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혼합시 급격한 반응을 억제하고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수산화암모늄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신율과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아스팔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신율 및 강도 개선의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초기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앨라이트(Ali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앨라이트는 3CaO·SiO2 등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수화반응을 촉진시켜 용액 중의 수산화칼슘(Ca(OH)2)의 과포화도가 최고에 도달하게 되고, 수화생성물의 석출이 매우 활발해져 초기 강도가 커지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카올리나이트 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올리나이트는 카올린을 주성분으로 함에 따라 흡수성 및 점성이 우수하여 도자기의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카올리나이트는 비교적 미립이고, 경도가 2 내지 2.5이므로 조성물이 교면에 시공될 경우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의 사이로 침투하여 고화됨에 따라 교면의 내력을 더욱 강화시킨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알칼리이온 촉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페닐프로파놀아민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실리콘 슬러지를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실리콘 슬러지는 그 성상이 밝은 회색빛을 띄고 있고, 함수율 62%로 높은 함수율로 배출되며, 밀도가 낮고 가벼우며, 분말도가 7,122㎤/g로 미세한 분말 형태로서, 화학조성은 대부분 SiO2와 CaO로 조성되어 있고 알칼리성분인 K2O와 Na2O가 미량 포함되어 있다.
또한, 폴리실리콘 슬러지 분말을 60℃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얻은 결정상은 CaCO3로 이루어져 있으며, Na2O와 Cl의 화합물인 NaCl이 소량포함되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조성물의 혼합 후에도 다시 엉김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의 로진산 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열화방지, 내열성, 경화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 및 점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methacrylat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강도 및 점성 개선 효과가 미약할 수 있으며, 상기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는 개선되나 마무리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작업성과 품질 안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피접착면과의 계면 접착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올레인산나트륨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N-isopropyl-N'-phenyl-p-phenylene diamin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은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방수시트 도포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콘 포장을 하는 아스콘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분진발생 방지 및/또는 먼지제거를 위하여 특수 차량, 예를 들면 솔차 등을 이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의 에폭시 프라이머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프라이머, 특정적으로 에폭시를 포함하는 에폭시 프라이머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 도포단계의 방수시트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수시트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수지필름과 부직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방수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수지필름은 0.01 내지 0.5mm의 두께를 갖고, 부직포는 0.03 내지 1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추천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침입도 3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g, 신율이 약 1,000%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25g, 점도가 약 130cps인 지방족 C-5석유수지 12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5g, 옥틸트리에톡시실란 3g, 리그닌술폰산알카리금속염 3g, 파라핀 12g, 탄산칼슘 20g, 숯가루 12g,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9g, 평균입경이 400nm인 실리콘카바이드 12g,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6g, 및 미네랄오일 3g을 혼합하여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흄드 실리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이산화규소 3g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나트륨벤토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에틸렌초산비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푸탈산 수지 니스 3g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보크사이트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부틸프탈레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도가 3㎛인 겔라이트 미분말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부틸글리시딜에테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민산 칼슘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오린화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타규산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칼륨인산염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푸르푸릴알코올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산화마그네슘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탄산리튬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라고나이트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황산알루미늄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크릴니트릴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티렌-부타디엔수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타풀자이트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알루미늄실리케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피올라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진크설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벤조산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세틸레이티드라놀란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수산화암모늄 4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앨라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올리나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페닐프로파놀아민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실리콘 슬러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로진산 나트륨 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감마-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에틸-메타크릴레이트 1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올레인산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2에 부가된 부가물을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가로/세로 50cm의 넓이의 콘크리트 표면에 약 0.2mm 두께로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한 뒤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약 1mm 두께로 도포하였다.
그 다음, 약 0.2m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수지필름과 약 0.5mm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방수시트를 적층하였다.
그 다음, 아스콘 포장한 뒤 부착성, 방수성, 유해성 용출, 건조수축률 등을 측정하여 표 1로 나타냈다.
방수성능 (%) 부착성 유해성분용출 건조수축률(u)
실시예 1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2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 98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4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5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6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7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8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9 98 좋음 불검출 172
실시예 10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11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12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13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14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15 98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16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17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18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19 98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0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21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2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23 99 좋음 불검출 173
실시예 24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5 98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26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27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28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29 98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30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31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32 98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33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34 99 좋음 불검출 178
실시예 35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36 99 좋음 불검출 174
실시예 37 99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38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39 98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40 99 좋음 불검출 176
실시예 41 98 좋음 불검출 175
실시예 42 99 좋음 불검출 177
실시예 43 99 좋음 불검출 17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의 방수성, 부착성 및 건조수축률이 좋고, 유해성분이 용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는 침입도 20 내지 4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 내지 80중량% 및 트리니다드레이크 아스팔트 또는 트리니다드에퓨레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천연 아스팔트 20 내지 30중량%를 혼합한 것을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은 신율이 320 내지 1,400%인 것을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유화제는 수지산나트륨염, 리그닌술폰산알카리금속염, 나프탈렌 설포닉 산(Naphthalene Sulfonic acid) 유도체, 클로로벤젠(Chlorobenzene) 유도체, 고급지방산알카리금속염, 알킬벤젠슬폰산염, 알파-올레핀슬폰산염, 폴리옥시에칠렌알킬페닐에텔류, 알킬아릴슬폰산나트륨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5.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가 종료된 후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팔트 100중량부 기준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10 내지 40중량부, 석유수지 1 내지 2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내지 30중량부, 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중량부, 음이온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파라핀 5 내지 20중량부, 탄산칼슘 10 내지 30중량부, 숯가루 5 내지 20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3 내지 15중량부, 나노세라믹 입자 3 내지 20중량부, 산화방지제 3 내지 10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을 도포하는 도포단계;
    상기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방수시트 도포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도포단계가 종료된 후 아스콘 포장을 하는 아스콘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교면 방수공법.
KR1020210092645A 2021-07-15 2021-07-15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31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45A KR102318294B1 (ko) 2021-07-15 2021-07-15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45A KR102318294B1 (ko) 2021-07-15 2021-07-15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294B1 true KR102318294B1 (ko) 2021-10-26

Family

ID=7826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645A KR102318294B1 (ko) 2021-07-15 2021-07-15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2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022B1 (ko) * 2022-06-17 2022-09-26 (주)대한하이텍건설 해조류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25615B1 (ko) * 2023-02-21 2023-04-25 한성옥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CN116064012A (zh) * 2021-11-01 2023-05-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注水开发用深部调驱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49612B1 (ko) * 2023-05-18 2023-06-30 주식회사 진성씨앤에스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574077B1 (ko) * 2023-03-22 2023-09-01 이용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642872B1 (ko) * 2023-10-30 2024-03-05 (주)세원방수 토목구조물용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도막재 조성물 및 이의 조성물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교면방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4286A1 (en) * 1998-02-04 2000-10-18 Sandvik Aktiebolag (publ) Dispersion hardening allo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alloy
US20040024190A1 (en) * 2001-07-25 2004-02-05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Viral polymerase inhibitors
KR101900004B1 (ko) * 2018-05-10 2018-09-18 김상운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54238B1 (ko) * 2018-10-08 2019-03-06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4286A1 (en) * 1998-02-04 2000-10-18 Sandvik Aktiebolag (publ) Dispersion hardening allo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alloy
US20040024190A1 (en) * 2001-07-25 2004-02-05 Boehringer Ingelheim (Canada) Ltd. Viral polymerase inhibitors
KR101900004B1 (ko) * 2018-05-10 2018-09-18 김상운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54238B1 (ko) * 2018-10-08 2019-03-06 주식회사 지케이기술연구소 Sis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4012A (zh) * 2021-11-01 2023-05-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注水开发用深部调驱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064012B (zh) * 2021-11-01 2024-03-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注水开发用深部调驱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47022B1 (ko) * 2022-06-17 2022-09-26 (주)대한하이텍건설 해조류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25615B1 (ko) * 2023-02-21 2023-04-25 한성옥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2574077B1 (ko) * 2023-03-22 2023-09-01 이용화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49612B1 (ko) * 2023-05-18 2023-06-30 주식회사 진성씨앤에스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용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642872B1 (ko) * 2023-10-30 2024-03-05 (주)세원방수 토목구조물용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도막재 조성물 및 이의 조성물을 이용한 토목구조물용 교면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294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76893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10300B1 (ko) 동결융해, 염해저항성 및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킨 초속경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면 보수 및 포장 공법
KR101900004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54235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0908B1 (ko)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교면 포장공법
KR101057132B1 (ko)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54238B1 (ko) Sis를 포함하는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4037B1 (ko) 해조류를 이용한 규산질계 분말형 도포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96256B1 (ko) 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방수 시공방법
KR101635833B1 (ko) 알칼리 활성화 결합재를 함유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재 및 그를 활용한 양생방법
KR102178147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58316B1 (ko) 기능성 결합재를 포함한 균열 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보수공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2054434B1 (ko) 염해방지 및 중성화방지 기능을 갖는 단면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31986B1 (ko) Sis 및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투수성 칼라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76296B1 (ko) 나노경질실리카 및 페닐에텐-에틸 프로펜노에이트계 폴리머 합성라텍스로 개질된 조강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670413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58417B1 (ko) 슬래그볼을 이용한 인보도 및 도로 포장용 속경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몰탈 조성물
KR101964235B1 (ko) 습윤 바탕면용 속경화 바탕안정제와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20130023928A (ko)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반강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그라우트 주입재
KR101999968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현장재생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65411B1 (ko) Sis 및 sbs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