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986B1 - 인상재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인상재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986B1
KR102523986B1 KR1020210020039A KR20210020039A KR102523986B1 KR 102523986 B1 KR102523986 B1 KR 102523986B1 KR 1020210020039 A KR1020210020039 A KR 1020210020039A KR 20210020039 A KR20210020039 A KR 20210020039A KR 102523986 B1 KR102523986 B1 KR 10252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mpression material
cover
partition wal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6772A (ko
Inventor
김도연
손덕원
양영일
양보미
김상협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8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5Devices for the manual mixing of small quantities of materials, e.g. trays for mixing dental porcel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 A61C5/64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for multi-compone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6Capsules for fill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6Syringes or guns for injecting impression material; Mixing impression material for immediat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01F35/52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comprising compartments keep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separated until the mixing is init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19Mixing dentistry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0Mixing of ingredients for bone 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202Mixing compositions or mixers in the medical or veterinary fie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에는 인상재 제조를 위한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재가 각각 수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부의 일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타면에는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는 이웃하는 상기 용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인상재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상재 보관용기{STORAGE CONTAINER OF IMPRESSION MATERIALS FOR DENTAL}
본 발명은 인상재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부의 내부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구획되어,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재를 각각 수용하도록 이루어진 인상재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상재(印像材)는 치형을 뜰 때 일종의 틀로 사용되는 성형용 재료이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는 치아 인상을 얻기 위해 액상의 인상재 베이스(예 : 실리콘 베이스)인 기저재에 촉매제(Catalyst)를 혼합하여 치아 인상을 채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상재를 제조함에 있어, 사용자는 기저재가 보관된 용기의 뚜껑을 개봉한 후 스푼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기저재를 덜어내고, 다음으로 촉매제가 보관된 용기의 뚜껑을 개봉한 후 일정량의 촉매제를 덜어내어 기저재와 촉매제를 혼합하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기저재와 촉매제의 혼합 비율이 요구되는 혼합 비율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인상재의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 인상재의 제조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인상재를 제조하기 위해 기저재 보관용기와 촉매제 보관용기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보관용기 내에서 수용된 기저재 및 촉매제는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물성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저재와 촉매제를 요구되는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고, 산소 접촉으로 인해 물성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인상재 보관용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801985호 (2017.11.2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용기부의 내부에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구획되어,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재를 각각 수용하도록 이루어진 인상재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에는 인상재 제조를 위한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재가 각각 수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부의 일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타면에는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는 이웃하는 상기 용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인상재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 중앙 바닥에는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상기 격벽부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의 내측 바닥에는 상기 이동 방지홈과 연결되며 상기 격벽부의 하면이 삽입되는 단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하부에 상기 이동 방지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 방지홈에 삽입 결합되는 위치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고정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격벽부의 하면은 상기 단턱홈에 삽입되며,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홀과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수용 공간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의 양측은 상기 용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를 파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를 상기 용기부로부터 분리할 시,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상기 격벽부도 상기 용기부로부터 함께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면에는 금속재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와 용기부는 자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본래의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변화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용기부 내에 수용된 인상재의 제조 기한을 파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에서 기저재와 촉매제의 혼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부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상재 보관용기에는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가 구획되어,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재를 각각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저재와 촉매제는 요구되는 비율로 정확하게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상재 보관용기는 인상재 제조 작업 단위별로 각각의 기저재와 촉매재를 보관하기에, 종래의 인상재 보관용기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기저재 및 촉매제가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물성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와 격벽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사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인상재 보관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부의 격벽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격벽부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상재 보관용기(1000)는 용기부(100), 격벽부(200) 및 덮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부(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부(103)가 마련된다.
이러한 수용 공간부(103)에는 인상재를 제조하기 위한 인상재 성형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용 공간부(103)는 격벽부(200)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러한 격벽부(200)는 용기부(100)에 결합되며, 수용 공간부(103)를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로 구획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공간으로 나눠진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에는 예를 들어, 기저재와 촉매제가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에는 반드시 기저재와 촉매제만 수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인상재 제조를 위한 다양한 성형 재료가 수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에 수용된 기저재와 촉매제는 인상재 제조를 위한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제가 보관될 수 있다. 이에, 인상재의 제조시, 기저재와 촉매제의 배합 비율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1000)는 종래의 인상재 보관용기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인상재 보관용기에 담긴 기저재 및 촉매제가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물성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상재 보관용기(1000)는 덮개부(300)의 개방시,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기저재와 촉매제를 모두 사용하도록 이루어지기에, 종래의 인상재 보관용기에서 발생되던 기저재 및 촉매제의 물성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상재 보관용기(1000)에는 정량의 기저재와 촉매제가 함께 구비되기에, 인상재의 제조 과정이 간편하며, 매번 인상재를 제조하더라도 동일한 인상재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용기부(100)에는 한 쌍을 이루는 가이드부(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10)는 격벽부(200)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격벽부(200)의 양단부는 가이드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를 구획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격벽부(200)는 가이드부(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기부(100)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100)의 내측 중앙 바닥에는 이동 방지홈(1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 방지홈(104)에는 격벽부(200)의 하부에 형성된 이동 방지홈(104)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위치 고정부(21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고정부(210)가 이동 방지홈(104)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부(200)를 용기부(10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지만 격벽부(200)가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격벽부(200)의 하부에 구비된 위치 고정부(210)가 용기부(100)에 형성된 이동 방지홈(104)에 삽입된 상태에서 격벽부(200)의 이동 발생이 방지된다. 즉, 일정 이상의 힘이 격벽부(200)에 가해지지 않는 한, 격벽부(200)는 상, 하 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동 방지홈(104)의 단면은 예를 들어, 반원의 원호보다는 조금 더 길이가 긴 형태의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위치 고정부(210)가 이동 방지홈(104)에 삽입된 상태에서 격벽부(200)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위치 고정부(210)는 이동 방지홈(104)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용기부(100)의 내측 하부면에는 단턱홈(1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홈(105)은 이동 방지홈(104)과 연결되며, 격벽부(200)가 용기부(100)에 결합될 시, 격벽부(200)의 하면은 단턱홈(105)에 삽입 고정된다.
이와 같은 위치 고정부(210)의 양측에 배치된 격벽부(200)의 하면은 단턱홈(105)에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격벽부(200)는 용기부(100)에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300)는 격벽부(200)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덮개부(300)는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덮개부(300)의 하면에는 체결부재(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부재(310)는 격벽부(200)에 상부에 형성된 체결홀(201)에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부재(310)는 예를 들어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체결부재(310)는 체결홀(201)에 후크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덮개부(300)가 격벽부(200)에 결합되어, 제1 공간부(101)와 제2 공간부(102)를 밀폐한 상태에서 덮개부(300)의 양측은 용기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덮개부(300)의 길이는 용기부(1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덮개부(300)가 수용 공간부(103)를 밀폐한 상태에서 덮개부(300)는 용기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덮개부(300)를 용기부(100)로부터 분리함에 있어, 사용자는 용기부(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덮개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덮개부(300)를 용기부(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300)를 용기부(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덮개부(300)에 결합된 격벽부(200)는 덮개부(300)와 함께 용기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덮개부(300)를 통해 인상재의 제조 기한을 파악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덮개부(300)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본래의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변화되도록 이루어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덮개부(300)의 색상 변화를 통해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인상재의 제조 기한을 파악할 수도 있다.
또는, 덮개부(300) 상에는 문자 또는 숫자 표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표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표시부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인상재의 제조 기한을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덮개부(300)에는 용기부(10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자석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용기부(100)의 상면에는 자석부재와의 자석 결합을 위한 금속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300)와 용기부(100)는 자석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예를 들어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인상재의 일부를 덜어내어 사용하는 경우, 용기부(100)의 내에 남겨진 인상재를 효과적으로 재보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인상재 보관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별 단위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인상재 보관용기(1000)는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부(100)의 일면에는 연결홈(121)이 형성되고, 용기부(100)의 타면에는 결합돌기(122)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인상재 보관용기(1000)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용기부(100)에 구비된 결합돌기(122)는 이웃하는 용기부(100)에 형성된 연결홈(121)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인상재 보관용기(1000)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돌기(122)와 연결홈(121)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기에, 사용자가 인상재를 제조함에 있어, 연결된 복수개의 인상재 보관용기(1000) 중 어느 하나의 인상재 보관용기(10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상재를 제조함에 있어, 용기부(100) 내부에 있는 기저재와 촉매제를 외부 용기로 덜어서 혼합할 수도 있고, 아예 용기부(100) 내에서 기저재와 촉매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이때, 용기부(100) 내에서 기저재와 촉매제를 혼합하는 경우, 용기부(10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용기부(100)의 누름을 통해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기저재와 촉매제를 간편하게 혼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부
101: 제1 공간부
102: 제2 공간부
103: 수용 공간부
104: 이동 방지홈
105: 단턱홈
110: 가이드부
121: 연결홈
122: 결합돌기
200: 격벽부
201: 체결홀
210: 위치 고정부
300: 덮개부
310: 체결부재
1000: 인상재 보관용기

Claims (9)

  1.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용 공간부를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를 밀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제2 공간부에는 인상재 제조를 위한 미리 정해진 양의 기저재와 촉매재가 각각 수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덮개부의 개방시, 상기 용기부 내에 수용된 기저재와 촉매제를 인상재로 제조하고,
    상기 용기부의 일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타면에는 상기 연결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는 이웃하는 상기 용기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인상재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격벽부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내측 중앙 바닥에는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는 상기 격벽부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의 내측 바닥에는 상기 이동 방지홈과 연결되며 상기 격벽부의 하면이 삽입되는 단턱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하부에 상기 이동 방지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상기 이동 방지홈에 삽입 결합되는 위치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 고정부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격벽부의 하면은 상기 단턱홈에 삽입되며,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홀과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수용 공간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의 양측은 상기 용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를 파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를 상기 용기부로부터 분리할 시, 상기 덮개부에 결합된 상기 격벽부도 상기 용기부로부터 함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면에는 금속재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와 용기부는 자석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본래의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변화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용기부 내에 수용된 인상재의 제조 기한을 파악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에서 기저재와 촉매제의 혼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부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상재 보관용기.
KR1020210020039A 2021-02-15 2021-02-15 인상재 보관용기 KR10252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39A KR102523986B1 (ko) 2021-02-15 2021-02-15 인상재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39A KR102523986B1 (ko) 2021-02-15 2021-02-15 인상재 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72A KR20220116772A (ko) 2022-08-23
KR102523986B1 true KR102523986B1 (ko) 2023-04-21

Family

ID=8309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039A KR102523986B1 (ko) 2021-02-15 2021-02-15 인상재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9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323B2 (ja) * 1993-12-08 2001-11-19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ミシュラン エ コムパニー リム、支持リング及び該要素を含む組立体
US20040058296A1 (en) * 2002-09-24 2004-03-25 Ivoclar Vivadent Ag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components of dental material
US20080272327A1 (en) * 2003-06-24 2008-11-06 Manegro Administracao E Participacoes Ltd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tfe Filament, and a Ptfe Filament, and a Ptfe Filament Obtained By This Process
CN208784974U (zh) * 2018-05-11 2019-04-26 东阳市人民医院 口腔科用器械存放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5489B2 (ja) 2010-09-30 2015-04-22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シリコーン印象材組成物
KR20170000841U (ko) * 2015-08-26 2017-03-08 황진 구분 수용 용기
MX2019006990A (es) * 2016-12-16 2019-08-14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Componente iluminado o luminoso en un envase para proporcionar informacion al usuario.
JP3229323U (ja) * 2020-09-02 2020-12-03 アテナ工業株式会社 食品用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9323B2 (ja) * 1993-12-08 2001-11-19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ミシュラン エ コムパニー リム、支持リング及び該要素を含む組立体
US20040058296A1 (en) * 2002-09-24 2004-03-25 Ivoclar Vivadent Ag Support apparatus for supporting components of dental material
US20080272327A1 (en) * 2003-06-24 2008-11-06 Manegro Administracao E Participacoes Ltd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tfe Filament, and a Ptfe Filament, and a Ptfe Filament Obtained By This Process
CN208784974U (zh) * 2018-05-11 2019-04-26 东阳市人民医院 口腔科用器械存放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29323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72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713B2 (ja) 試薬容器システム
KR102523986B1 (ko) 인상재 보관용기
JP5368934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49212Y1 (ko) 경구용 내용물 용기구조
JP2011157098A (ja) 取出し容器
KR20050074392A (ko) 용기목 구부에 고정부가 고정되는 이종물질 수용용 뚜껑
JP2001213438A (ja) 物品収納ボックス
KR200477427Y1 (ko) 내용물의 인출이 용이한 수납용기
JP4147852B2 (ja) 錠剤容器
KR100284681B1 (ko) 분유 케이스
JP2012115438A (ja) 化粧料容器
JP3222010U (ja) 容器のパッケージ
JP4331497B2 (ja) リフィル皿用保護容器
JP5034589B2 (ja) 捨て紙を収納するガム容器
KR200376306Y1 (ko) 칸 분리형 낚시 보조가방.
KR200414142Y1 (ko) 의료용 폐기물 수납용기
KR200449208Y1 (ko) 사선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용기구조
JP2005145530A (ja) 振出容器
JP4163500B2 (ja) リフィル皿保護容器
JPH07206024A (ja) 整理ボックスにおける蓋止め構造
WO2018174165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JP5595785B2 (ja) 着脱容易な蓋体を備えた容器
JP5071567B2 (ja) 気密性カ−ド状振り出し容器
JP2022106035A (ja) 詰め替え容器
JP2010202234A (ja) 包装用容器の係着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