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733B1 -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733B1
KR102521733B1 KR1020220085474A KR20220085474A KR102521733B1 KR 102521733 B1 KR102521733 B1 KR 102521733B1 KR 1020220085474 A KR1020220085474 A KR 1020220085474A KR 20220085474 A KR20220085474 A KR 20220085474A KR 102521733 B1 KR102521733 B1 KR 10252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vehicle
charg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관
Original Assignee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트래픽 (주) filed Critical 에스트래픽 (주)
Priority to KR102022008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47Transmissio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하이패스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이 개시된다.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테스트에 사용될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단말기로서 사전에 등록한다. 하이패스 과금 동작을 위해 통신 개시신호를 차로상으로 송출하는 도중에 차량 단말기로부터 통신 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전송되면, 응답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통해 등록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등록 단말기로 판별되면 그의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응답신호의 신호강도와 같은 판단인자를 추출하고, 이러한 판단인자를 토대로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한다. 차량 운행을 제한하지 않고도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정상 통신 여부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Method for Testing Communication Quality of Hi-Pass Fee Collecting System with respect to Fee-Paying Terminals in Cars}
본 발명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 내의 과금용 차량 단말기와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 내의 하이패스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통행료를 과금하는 시스템으로서, 고속도로와 같은 유료 도로는 물론이고 최근에는 유료 주차장의 주차 요금의 징수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도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도로상에 갠트리Gantry)를 설치하고 이 갠트리에 안테나를 설치하여 통과하는 차량 내의 하이패스 단말기(이하, '차량 단말기'라 함)와 적외선 통신 또는 RF 통신을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갠트리 부근에는 차량을 검지하는 검지기가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이 검지되면 검지신호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제어기에 전달되고, 제어기는 안테나를 제어하여 검지된 차량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파를 송수신한다.
과금 동작의 진행을 위해서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차량 단말기간의 정상적이고 안정적인 통신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런데, 고장이 발생하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됨에 따른 장비의 노후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동작 정상 수행 여부에 대해 테스트하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테스트 방법은 차로를 폐쇄하여 하이패스 과금 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장비의 점검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이는 점검 수행 중인 차로의 이용을 중단시키므로 차량 운행의 불편함 및 점검 시간의 제약을 초래한다. 특히 하나의 차로만 존재하는 도로이거나 또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여러 차로 중 하나의 차로에만 설치되어 있는 도로의 경우, 일시적인 하이패스 운영 중단은 차량의 운행에 매우 큰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 선행기술 1: 공개특허 10-2019-0129283호, 공개일자: 2019.11.20., 발명의 명칭: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는 방법 - 선행기술 2: 공개특허 10-2021-0039106호, 공개일자: 2021.04.09., 발명의 명칭: 통합아이디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행을 제한하지 않고도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정상 통신 여부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패스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방법은, a) 테스트에 사용될 상기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단말기로서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 b) 하이패스 과금 동작을 위해 전송하는 신호 중 통신 개시신호를 상기 하이패스 차로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차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 내에 탑재된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등록 단말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판단인자를 토대로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해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 e) 단계는 반복 수행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에 의한 복수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판단인자는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강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인자는, 복수의 상기 수신강도의 최대값,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개시시각,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종료시각,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상태 유지시간, 및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시간격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는, 상기 등록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간의 통신 가능 여부 또는 양호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양호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양호도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전체 영역 내의 국소 영역별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해 통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영역인 통신가능영역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등록 단말기가 상기 하이패스 차로에서 주행할 예정속도를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등록 단말기가 상기 하이패스 차로에 진입할 예정시각을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 및 상기 f)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등록 단말기의 검출이 상기 예정시각에 이루어진 경우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정시각에 상기 d) 단계에서의 상기 등록 단말기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f) 단계에서는 통신 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등록 단말기가 탑재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 및 상기 f) 단계는 상기 d)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등록 단말기를 탑재한 상기 차량이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차량번호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차량번호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 상기 차량에 대해 상기 b) 단계 및 상기 c)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식별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f) 단계에서 통신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g) 상기 차로에 상기 차량의 진입이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후, 소정의 시간 경과 시 통신 양부 테스트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차량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 상기 차량에 대해 측정된 주행 속도를 반영하여 산정된 시간, 및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식별정보 입력 시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입력된 상기 차량의 예정속도를 반영하여 산정된 시간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h) 상기 f) 단계 종료 후에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을 수행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등록한 차량 단말기를 차량에 탑재한 상태에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을 통과하는 작업을 통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차로를 폐쇄하지 않은 정상 운영 상태에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차로 운행 제한의 불편함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통신 가능하도록 설계된 전체 영역은 물론이고 그 내부의 국소 영역에 대한 통신 양호도 테스트가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을 상면에서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의 수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 는 일반 차량이 하이패스 차로를 주행할 때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차량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전에 등록한 차량 단말기가 하이패스 차로를 주행할 때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등록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이 수행된 경우,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시간별로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이 수행된 경우,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의 예를 시간별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차로(R)에 설치된 갠트리(10)상에 설치되는 안테나(31)를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31)는 차량(V) 내에 설치된 하이패스 단말기(차량 단말기)에 대해 과금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도로의 갠트리(10) 주변에 설치되어 차로(R)를 주행하는 차량(V)을 검지하는 검지기(21, 22)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기(21, 22)는 제1검지기(21)와 제2검지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검지기(21)와 제2검지기(22)는 차로(R)상의 차량(V) 주행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갠트리(10)를 향해 주행하는 차량(V)은 먼저 제1검지기(21)에 의해 검지된 후 제2검지기(22)에 의해 검지된다.
도 1 에서는 본 발명의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구성 중 도로상에 설치된 구조물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예컨대 제어기, 저장부 등과 같은 각종 부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 하드웨어적 구성은 주지관용의 구성이므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시와 설명이 생략되나,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반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된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것이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이러한 제어기를 포함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도 2 는 도 1 을 상면에서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특히 차량(V)이 주행하는 차로(R)상에서 차량(V) 내의 하이패스 과금용 차량 단말기와 안테나(31)간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영역, 즉 커버리지(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커버리지(C)는 차로(R)상에서 대략 제2검지기(22)의 위치보다 다소 후방에 놓인 위치인 시점(P1)으로부터 안테나(31)의 위치보다 다소 후방에 놓인 위치인 종점(P2)까지의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 커버러지(C) 내에서는 안테나(31)가 송신하는 신호를 차량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차량 단말기가 송신하는 신호를 안테나(31)가 수신할 수 있다. 차량(V)이 커버리지(C) 내에 진입하면 차량 단말기와 안테나(31) 간의 통신에 의해 차량(V)에 대한 과금이 이루어진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의 수행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 의 각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한다.
S10 단계
본 발명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에서는 테스트에 사용될 차량 단말기를 지정하여 사전에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테스트에 사용될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서, 이 식별번호는 후술되는 S4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로 구성되어야 한다. 식별정보는 차량 단말기에 부여된 고유의 일련번호일 수 있고, 차량 단말기의 제조사가 부여한 제조번호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제조번호와 발행번호로 구분된다. 제조번호는 전체 8바이트로 구성되어, 예비코드(2바이트), 인증기관(1바이트), 제조사(1바이트), 모델(1바이트)와 일련번호(3바이트)로 구성된다. 발행번호는 차량 단말기 발행 시에 부여하는 번호로서 16자리의 숫자로만 구성된다. 제조번호는 제조사 및 모델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식별번호로는 제조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식별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식별번호의 차량 단말기를 본 발명의 테스트에 사용될 차량 단말기로서 등록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등록된 차량 단말기를 등록 단말기로 지칭한다.
S20 단계
차량(V)이 차로(R)를 주행하는 도중에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접근하면, 검지기(21, 22)에 의해 차량(V)이 인식되어 검지된다. S20 단계에서 검지되는 차량(V)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용 등록 단말기를 탑재한 테스트용 차량일 수도 있고, 등록되지 않은 차량 단말기를 탑재한 일반 차량일 수 있다.
도 3 의 실시예에서는 S20 단계에 의해 차량(V)이 검지된 후에 S30 단계 이하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S20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S30 단계 이하의 과정이 수행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S30 단계 이하의 과정이 S20 단계 수행을 전제로 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30 내지 S50 단계
먼저, 테스트용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을 통과할 때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4 는 일반 차량이 하이패스 차로를 주행할 때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차량 단말기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에서, RSE 는 노변장치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본 발명의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을 의미하고, OBE 단말기를 의미하는 용어로서 본 발명의 차량 단말기 또는 등록 단말기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먼저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BST 신호를 차량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기는 VST 신호를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BST 신호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차량 단말기에 대해 통신 개시를 요청하는 신호이고, VST 신호는 차량 단말기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대해 통신 개시 요청에 응하는 의사를 표시하는 응답신호이다. 이러한 통신 개시신호와 응답신호의 교환에 의해 통신 개시 과정이 완료되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과금 과정 및 과금 후의 저장·통지 과정을 차량 단말기에 대해 수행한다. 과금 과정과 저장·통지 과정은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 와 같은 일반 차량에 대한 프로세스에서, 통신 개시 과정 수행 전에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진입하는 차량(V)이 일반적인 차량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인지 아니면 S10 단계에서 등록된 등록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인지를 확인하지 못한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4 의 프로세스 중 통신 개시 과정을 통해 등록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안테나(31)를 통해 도로상으로 통신 개시신호(BST)를 지속적으로 송출한다.(S30) 이와 같이 통신 개시신호(BST)를 지속적으로 송출하는 상황에서 차로(R)상에서 차량(V)이 통신 가능 영역으로 진입하게 되면, 통신 개시신호(BST)는 차량(V)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V) 내의 차량 단말기로 송출된다. 차량 단말기(또는 등록 단말기)는 통신 개시신호(BST)를 수신함에 따라 이에 대한 응답신호(VST)를 송출하며, 이에 따라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안테나(31)를 통해 응답신호를 수신한다.(S40) 이 응답신호에는 차량 단말기(또는 등록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는 식별정보가 S10 단계에서 등록된 식별정보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응답신호가 일반적인 차량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것인지 아니면 등록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S50)
진입한 차량이 일반적인 차량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으로 판별되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S20 단계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 새로 진입한 차량에 대해 동일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반 차량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이 차량에 대하여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금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그러나,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도 3 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생략되어 있다.)
진입한 차량이 등록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으로 판별되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통신 양부 테스트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S60 단계
통신 양부 테스트를 위하여, 먼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차량(V)이 아직 통신영역, 즉 도 2 의 커버리지(C) 내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에서 커버리지(C)는 현재 상태에서 실제로 통신이 가능한 영역의 의미가 아니라,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설계 사양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영역을 의미한다. 즉, 커버리지(C)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양호한 통신 상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설계 목표 영역의 개념이다.
S60 단계에서 차량이 커버리지(C)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 단계 내지 S60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도 5 는 이와 같이 반복되는 과정에서의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등록 단말기간에 수수(授受)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와 같이, S30 단계에서의 통신 개시신호의 전송 및 S40 단계에서의 응답신호의 수신이 반복되며, 이러한 과정은 등록 단말기의 탑재 차량(V)이 커버리지(C) 내에 존재하는 동안 계속 반복된다.
S60 단계의 의미와 구체적인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S70 단계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등록 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인자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판단인자는 통신의 양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자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판단인자는 응답신호의 수신강도를 포함한다. 응답신호의 수신강도를 산출하기 위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수신강도를 측정 또는 산출하는 별도의 회로 또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단인자로는 복수의 응답신호 각각의 수신강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S30 및 S40 단계가 반복 수행됨에 따라 하이패스 단말기는 복수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따라서 복수의 응답신호 각각의 수신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판단인자로는 응답신호의 수신 개시시각, 응답신호의 수신 종료시각, 응답신호의 수신 상태 유지시간, 및 응답신호의 수신 시간격 중 하나 이상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응답신호의 수신 개시시각은 도 5 에서 첫 번째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응답신호의 수신 종료시각은 도 5 에서 마지막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응답신호의 수신 상태 유지 시간은 도 5 에서 첫 번째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도 5 에서 마지막 응답신호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경과 시간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응답신호의 수신 시간격은 도 5 에서 모든 응답신호에 대한 각각의 수신 시점들 사이의 시간격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S80 단계
S70 단계에서 추출된 판단인자들을 토대로 하여,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한다.
대표적으로, 판단결과는 등록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시스템간의 통신양호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통신 양호도는, 통신의 가능 또는 불가능 여부만으로 도출할 수도 있고, 양호한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로 도출하거나, 통신이 양호한 정도를 예컨대 몇 단계로 나누어 도출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양호도는 커버리지(C)로 설정된 전체 영역에 대해 도출될 수도 있고, 커버리지(C) 내의 국소 영역별로 도출될 수도 있다.
또한, 판단결과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등록 단말기에 대해 통신 가능한 영역으로 판단된 영역인 통신가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 통신 가능한 영역인 통신가능영역이 목표 설계 영역인 커버리지(C)와 상이하다면, 이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이 목표로 하는 영역 내에서만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통신 양호도는 응답신호의 수신강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응답신호의 수신강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등록 단말기간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통신 불량으로 판단한다. 이때, 수신강도의 기준치를 몇 단계로 설정하여, 예컨대 1단계 이상일 경우 통신 양호로, 2단계 이상일 경우 통신 가능으로, 그리고 2단계 이하일 경우 통신 불량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통신 양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응답신호의 수신강도는 복수 개의 응답신호에 대해 각각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응답신호는 차량(V)이 주행을 계속함에 따라 차로(R)상의 각기 다른 위치에서 등록 단말기가 발송한 신호이다. 따라서, 복수의 응답신호의 수신강도 중 일부가 기준치에 미달할 경우, 해당 응답신호가 발송된 시점의 등록 단말기의 위치에서 통신이 불량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등록 단말기의 위치는 차량(V)의 속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차량(V)의 이동 속도를 알 수 있다면 차량(V)의 속도에 이동 시간을 곱하여 차량(V)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산출된 이동 거리를 특정 기준 시점의 차량(V)의 위치에 더함으로써 차량(V)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V)의 속도는 예컨대 제1검지기(21)와 제2검지기(22) 사이의 거리를 제1검지기(21)가 차량(V)을 검지한 시각과 제2검지기(22)가 차량(V)을 검지한 시각의 차이로 나눔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전술한 S1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를 등록 단말기로 등록할 때, 실제 테스트 시 차량(V)이 차로(R)에서 주행할 예정속도를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에 사용될 차량(V)은 기 입력된 예정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테스트 작업에 투입된 운전자가 차량(V)의 운전 속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또한, 차량(V)의 이동 시간은 예컨대 제1검지기(21)가 차량을 검지한 시각과 수신 강도가 기준치에 미달한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각의 차이로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기준 시점은 예컨대 제1검지기(21)가 차량(V)을 검지한 시각일 수 있고, 이에 따른 특정 기준 시점의 위치는 제1검지기(21)의 위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기준 시점은 에컨대 첫 번째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각일 수 있고, 이에 따른 특정 위치는 차로(R)상의 커버리지(C)의 시점(P1)일 수 있다.
도 6 및 7 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이 수행된 경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시간별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 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예이고, 도 7 은 통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다양한 예를 보여준다.
도 6 에서, 커버리지(C)의 시점(P1)과 종점(P2)에서의 시각을 각각 t1 과 t2 로 표기하였고, 후술되는 바와 같은 테스트 종료 시점의 시각을 te 로 표기하였다. 통신이 정상적으로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수의 응답신호 각각의 수신강도(RSSI)는 커버리지(C) 내의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소정의 기준치 이상을 나타내며, 다만 커버리지(C)의 시점(P1) 직후 또는 종점(P2) 직전에는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값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시간격은 일정한 값을 갖는다.
도 7 에서, 각 응답신호의 수신 시간격이 일정한 값(tn)을 가지나, t3 로 표기된 시구간에서는 시간격이 tn 보다 몇 배 정도 큰 값을 갖는다. 이러한 시구간(t3)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시구간(t3)에서는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이므로, 차량(V)이 일정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할 때 해당 시구간(t3)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통신 불량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시구간(t3)에 대응되는 차량(V)의 위치를 산출하면 해당 시구간(t3)에 대응되는 영역을 산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산출된 영역은 커버리지(C) 내에서의 통신 불량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 에서, t4 로 표기된 구간에서는 응답신호의 신호강도가 표준적인 신호강도에 비해 낮은 값을 갖는다. 이 구간에서 응답신호가 정상 수신되었으므로 통신 불가능은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으나, 통신 양호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테스트 방법 적용 시 커버리지(C) 내에서의 전체 영역은 물론이고 각 국소 영역별로 통신 가능 여부 및 통신의 양호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선택적으로는, S80 단계의 판단결과 도출이 종료되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S10 단계에서 등록된 등록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S60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테스트 과정은 차량(V)이 커버리지(C) 내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에 수행된다. 커버리지(C)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양호한 통신 상태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목표 설계 영역이므로, 차량(V)이 커버리지(C)를 통과하여 벗어난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커버리지(C)의 종점(P2)을 충분한 정도로 벗어난 후에는 테스트를 위한 도 5 의 과정, 즉 통신 개시신호의 발송과 응답신호의 수신을 반복하는 과정을 종료함으로써, 통신 양부의 판단 프로세스를 착수하고 또한 적어도 커버리지(C) 내에서의 응답신호 수집이 충분히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S60 단계는 커버리지(C)의 종점(P2)보다 추가로 주행된 위치에 차량(V)이 도달한 경우 테스트를 위한 작업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종점(P2)을 도과한 위치인지 여부는 차량(V)의 검지 시점 등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을 도 6 및 7 에 도시된 te 시점을 설정함으로써 보장할 수 있다. 즉, 검지기(21, 22)에 의하여 차량(V)의 진입이 검지된 시점 또는 도 5 에서 첫 번째 응답신호의 수신 시점(도 6, 7 의 t1)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경과된 후의 시점(te)에 통신 양부 테스트를 종료하며, 여기에서 소정의 시간은 차량(V)의 주행 속도를 반영하여 차량(V)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커버리지(C)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차량(V)의 주행 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에 의해서 또는 사전 등록된 예정속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즉,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미리 충분한 시간으로 소정의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소정의 시간은 차량(V)에 대해 측정된 주행 속도 또는 등록된 예정속도를 반영하여 산정된 시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등록 단말기가 하이패스 차로(R)에 진입할 예정시각을 S10 단계에서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하는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정시각은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를 진행할 시각을 의미한다. 예컨대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통신 불량 정도가 통신이 전적으로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심각한 경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등록 단말기가 인접하더라도 통신 개시신호 발송에 실패하거나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인 경우, 등록 단말기 탑재 차량(V)이 테스트 작업을 위해 하이패스 차로(R)를 통과하더라도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통과 여부 자체를 인식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통신 불량의 결과를 도출하지도 않게 된다. 그러나 만약 예정시각을 미리 설정하여 둔다면, 이 예정시각에 S50 단계의 등록 단말기 검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통신 불량으로 판별함으로써 이러한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만약 S50 단계의 등록 단말기의 검출이 예정시각에 이루어진다면,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은 테스트를 위한 후속 프로세스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예정시각은 특정 시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범위를 갖는 시각을 의미한다. 점상(點狀)의 시점으로 예정시각이 설정된다면 테스트 차량(V)이 이 시점에 정확하게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을 통과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예정시각이 특정 시점으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점으로부터 전후 30분의 범위의 시구간이 예정시각으로 간주되고, 예정시각이 시간 범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 범위가 예정시각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S10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를 등록 단말기로 등록 시 등록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V)의 차량번호를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하는 방안을 채용할 수 있다. 등록 단말기 탑재 차량(V)의 차량번호를 함께 등록할 경우, 본 발명의 테스트 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V)이 주행하여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접근하면, 별도의 차량번호 감지 장치(영상 촬영 장치 및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의 텍스트 추출 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면에서 도시는 생략되어 있음)를 통해 차량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차량번호의 추출은 검지기(21, 22)에 의해 차량이 검지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차량번호의 추출 작업은 예컨대 도 3 에서 어떤 단계의 전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S20 단계 직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S20 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S40 단계 내지 S80 단계 각각의 전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S70 단계 및 S80 단계는 S50 단계에서 검출된 등록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V)이 S10 단계에서 등록된 차량번호를 갖는 차량(V)으로 확인된 경우 수행된다. 이에 따라, 차량(V)에 탑재된 차량 단말기가 등록 단말기 여부의 확인 및 해당 차량(V)이 테스트용 차량이 맞는지 여부의 확인이 함께 이루어진 경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한편, S10 단계에서 등록된 차량번호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 차량(V)에 대해 S30 단계 및 S40 단계의 수행 결과 S10 단계에서 등록된 식별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테스트용 차량(V)이 통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차량 단말기와의 통신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S80 단계에서 통신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부가적인 조건을 추가로 확인하여 통신 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S10 단계에서 등록한 상기 예정시각도 함께 확인하여, 등록된 예정시각에 등록된 차량번호가 확인되면서도 식별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만 통신불량으로 판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과금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으로서,
    a)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테스트에 사용될 상기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단말기로서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하이패스 과금 동작을 위해 전송하는 신호 중 통신 개시신호를 상기 차로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차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 내에 탑재된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등록 단말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e)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판단인자를 토대로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해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e) 단계는 반복 수행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에 의한 복수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판단인자는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강도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수신강도의 최대값,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개시시각,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종료시각,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상태 유지시간, 및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시간격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5. 삭제
  6.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과금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으로서,
    a)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테스트에 사용될 상기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단말기로서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하이패스 과금 동작을 위해 전송하는 신호 중 통신 개시신호를 상기 차로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차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 내에 탑재된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등록 단말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e)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판단인자를 토대로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해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e) 단계는 반복 수행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에 의한 복수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판단결과는, 상기 등록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간의 통신 가능 여부 또는 양호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양호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양호도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전체 영역 내의 국소 영역별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7.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과금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으로서,
    a)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테스트에 사용될 상기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단말기로서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하이패스 과금 동작을 위해 전송하는 신호 중 통신 개시신호를 상기 차로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차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 내에 탑재된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등록 단말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e)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판단인자를 토대로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해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e) 단계는 반복 수행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에 의한 복수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판단결과는, 상기 등록 단말기와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간의 통신 가능 여부 또는 양호한 통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양호도, 및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해 통신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영역인 통신가능영역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8. 제4항,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등록 단말기가 상기 차로에서 주행할 예정속도를 추가로 입력받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과금되는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과 통신하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으로서,
    a)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테스트에 사용될 상기 차량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단말기로서 사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하이패스 과금 동작을 위해 전송하는 신호 중 통신 개시신호를 상기 차로상으로 송출하는 단계;
    c)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차로를 주행하는 상기 차량 내에 탑재된 상기 차량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 개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응답신호에 포함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a) 단계에서 입력받은 상기 식별정보인 경우, 상기 응답신호를 전송한 상기 차량 단말기가 상기 등록 단말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단계;
    e)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d) 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등록 단말기의 상기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f)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판단인자를 토대로 통신 양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차로에 상기 차량의 진입이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후 또는 상기 c) 단계에서의 상기 응답신호의 수신 후, 소정의 시간 경과 시 통신 양부 테스트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차량이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가능하도록 설정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 상기 차량에 대해 측정된 주행 속도를 반영하여 산정된 시간, 및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식별정보 입력 시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입력된 상기 차량의 예정속도를 반영하여 산정된 시간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18. 제3항, 제5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 상기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이, 상기 f) 단계 종료 후에 상기 a) 단계에서 등록된 상기 등록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해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19. 제3항, 제5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을 수행하는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
  20. 제3항, 제5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85474A 2022-07-12 2022-07-12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KR10252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474A KR102521733B1 (ko) 2022-07-12 2022-07-12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474A KR102521733B1 (ko) 2022-07-12 2022-07-12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733B1 true KR102521733B1 (ko) 2023-04-17

Family

ID=8612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474A KR102521733B1 (ko) 2022-07-12 2022-07-12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7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788A (ko) * 2007-11-29 2009-06-0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노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계측 방법
KR20090090870A (ko) * 2008-02-22 2009-08-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하이패스 단말을 이용한 교통 정보 시스템, 교통 정보 제공방법 및 도로 관리 서버
KR20150079232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장치 및 상기 무선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인증 방법
KR20170016140A (ko) * 2015-08-03 2017-02-13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90129283A (ko) 2018-05-10 2019-11-20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는 방법
KR20210039106A (ko) 2019-10-01 2021-04-09 한국도로공사 통합아이디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788A (ko) * 2007-11-29 2009-06-0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노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계측 방법
KR20090090870A (ko) * 2008-02-22 2009-08-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하이패스 단말을 이용한 교통 정보 시스템, 교통 정보 제공방법 및 도로 관리 서버
KR20150079232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장치 및 상기 무선랜 장치를 이용한 차량 인증 방법
KR20170016140A (ko) * 2015-08-03 2017-02-13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 시스템 기반 노변기지국 통신성능 관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90129283A (ko) 2018-05-10 2019-11-20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를 관리하는 방법
KR20210039106A (ko) 2019-10-01 2021-04-09 한국도로공사 통합아이디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3300B1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JPH1021437A (ja) 有料道路の料金徴収システムおよび有料道路の料金徴収システム用車載機
CZ298191B6 (cs) Vnejsí kontrolní zarízení pro kontrolu provozu mýtního prístroje
JP3134735B2 (ja) 移動体用通信制御方法
US9147292B2 (en) RF-link margin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KR102021254B1 (ko) 통신 제어 장치, 요금 수수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91958B1 (ko) 요금 수수 시스템, 위치 측정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521733B1 (ko) 차량 단말기에 대한 하이패스 과금 시스템의 통신 양부 테스트 방법
JP4152180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3069341B1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KR102021253B1 (ko) 통신 영역 규정 방법, 요금 수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JP3213282B2 (ja) 有料道路の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CN114038076B (zh) 防止etc误读方法、装置、车载obu及可读存储介质
KR20140035666A (ko) 다차로 서비스를 위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015454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102051769B1 (ko) 요금 수수 시스템 및 건전성 판단 방법
CN111341117B (zh) 停车检测的方法及装置、路侧单元、可读存储介质
CN111192373A (zh) 停车费用支付方法、系统及装置
CN112734960A (zh) 一种用于etc系统的路侧单元、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10240981A (ja) 有料道路用料金収受システムの信号送信感度判定方法及びその装置、有料道路用料金収受システムの信号受信感度判定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有料道路用料金収受システムの信号感度判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4051218B2 (ja) 有料道路の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16170461A (ja) 課金処理装置、課金処理システム、課金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51214B2 (ja) 有料道路の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2329222A (ja) 進入車両特定方法及び車線制御装置
JPH11185073A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