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776B1 - 연결 인쇄판 - Google Patents

연결 인쇄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776B1
KR102520776B1 KR1020207019985A KR20207019985A KR102520776B1 KR 102520776 B1 KR102520776 B1 KR 102520776B1 KR 1020207019985 A KR1020207019985 A KR 1020207019985A KR 20207019985 A KR20207019985 A KR 20207019985A KR 102520776 B1 KR102520776 B1 KR 10252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rinting plate
meth
printing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286A (ko
Inventor
마사노리 아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Publication of KR2020013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2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non-metallic other than stone, e.g. printing plates or foil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in an organic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판을 복수 연결한 연결 인쇄판에 관한 것으로,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을 높인 연결 인쇄판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인쇄판을 이들 인쇄판(1)의 뒷면(1a)에 접착한 1장의 편면 점착 시트(2)와, 인접하는 인쇄판(1)의 측면(1b)끼리를 접착한 접착제 경화부(3)에 의해 연결시키고 있고, 그 접착제 경화부(3)가 하기 (A)∼(C)의 물성을 갖도록 한 것으로, (A) 연신율이 260% 이상, (B) 편면 점착 시트(2)와의 180°박리 강도가 4N/10㎜ 이상, (C) 23℃의 N-메틸-2-피롤리돈에 24시간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이 30질량% 이하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연결 인쇄판
본 발명은 인쇄판을 복수 연결한 연결 인쇄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텔레비전에 사용하는 TFT 기판이나 컬러 필터 기판의 표면에 플렉소 인쇄법에 의해, 배향막이나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이 자주 행해지고 있다. 액정 텔레비전은 해마다 대형화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여 플렉소 인쇄법에 사용하는 인쇄판도 대형화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인쇄판의 크기를, 예를 들면, 2500㎜×3000㎜ 정도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크기의 인쇄판은 기존의 설비로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의 설비 자체를 대형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비용이 큰 폭으로 높아진다.
그래서, 기존의 설비로 제조할 수 있는 크기의 인쇄판을 복수 연결함으로써, 인쇄판을 대형화한 연결 인쇄판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연결 인쇄판은 연결하는 인쇄판의 측면끼리를 간극을 두어 맞대고, 그 간극에 접착제를 주입한 후에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쇄판의 형성 재료는 광경화성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연결용 접착제도 상기 인쇄판과 동일한 형성 재료(광경화성 수지)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플렉소 인쇄법에서는 인쇄판을 원주상의 판동의 외주면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판동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인쇄판에 상기 배향막이나 절연막 등의 형성 재료인 잉크를 공급하고, 그 잉크를 유리 기판 등의 인쇄 대상물에 전사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인쇄판은 상기 판동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가요성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인쇄판에서의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도 상기 판동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74310호
그러나, 상기 연결 인쇄판의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 그 연결 인쇄판에서의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이 파단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에 파단이 발생하면 새로운 연결 인쇄판으로 교체된다. 이 때문에, 상기 파단의 발생 빈도가 많으면, 인쇄 작업을 중단하는 빈도도 많아지는 점에서, 작업 효율이 나빠지고, 게다가 연결 인쇄판의 교체 비용도 높아진다.
여기서, 본 발명자가 상기 파단의 원인에 대해 상세히 조사한 결과, 상기 플렉소 인쇄법에 있어서, 상기 잉크에 사용되는 용제(N-메틸-2-피롤리돈)가 연결 인쇄판에서의 연결 부분을 열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 인쇄판은 판동의 외주면을 따라 구부려진 상태에서 인쇄 대상물과 접촉하는 점에서, 그 인쇄 대상물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연결 인쇄판에는 인장 하중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판동의 회전축과 평행이 되는 연결 부분에서는 상기 인장 하중이나 진동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파단이 발생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쇄판을 복수 연결한 연결 인쇄판으로서,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을 높인 연결 인쇄판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연결 인쇄판은 편면이 인쇄면에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인쇄판과, 인접하는 인쇄판의 상기 인쇄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착되어 인접하는 인쇄판을 연결하는 편면 점착 시트와, 인접하는 인쇄판의 대면하는 측면과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끼리를 접착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착제 경화부를 구비하고, 판동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는 연결 인쇄판으로서, 상기 접착제 경화부가 하기 (A)∼(C)의 물성을 갖고 있다는 구성을 취한다.
(A) 연신율이 260% 이상
(B) 편면 점착 시트와의 180°박리 강도가 4N/10㎜ 이상
(C) 23℃의 N-메틸-2-피롤리돈에 24시간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이 30질량% 이하
본 발명자는 연결 인쇄판의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을 높이기 위해, 그 접착제 경화부의 물성에 착안하여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연구 과정에서 상기 접착제 경화부의 경도를 낮추는 것에 착상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은 높아지지만, 경우에 따라, 인접하는 인쇄판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어긋나, 인쇄 대상물의 적정 위치에 잉크를 전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상기 접착제 경화부의 경도 이외의 물성에 대해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접착제 경화부가 상기 (A)∼(C)의 물성을 가지면, 상기 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을 높임과 함께, 인쇄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연결 인쇄판은 인접하는 인쇄판을 접착하는 접착제 경화부가 상기 (A)∼(C)의 물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을 높이고, 적정하게 인쇄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 인쇄판의 교체 빈도가 감소하여, 인쇄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결 인쇄판의 교체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 인쇄판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1(a)는 그 평면도이고, 도1(b)는 도1(a)의 원부(Y)의 연결 부분의 X-X 단면의 확대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연결 인쇄판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원부(Y) 내의 연결 부분의 X-X 단면의 확대도이다. 이 실시형태의 연결 인쇄판은 도 1(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의 가요성을 갖는 인쇄판(1)을 연결시킨 것이다. 이 연결은 이들 인쇄판(1)의 뒷면(인쇄면과 반대측의 면)(1a)에 접착한 1장의 편면 점착 시트(2)와, 이들 인쇄판(1)의 측면(1b)끼리를 접착한 접착제 경화부(3)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접착제 경화부(3)는 상기 편면 점착 시트(2)의 점착면에도 접착되어 있다. 또한, 그 접착제 경화부(3)의 폭(W)은 통상 0.5∼4㎜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또한, 도 1(a)에서, 부호 11은 인쇄판(1)의 인쇄면(표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인쇄용 볼록부이다.
상기 연결 인쇄판의 제조는 먼저, 제조하는 연결 인쇄판의 면적과 대략 동일한 면적의 1장의 상기 편면 점착 시트(2)를 준비한다. 이어서, 그 편면 점착 시트(2)의 점착면에, 연결하는 2장의 인쇄판(1)의 뒷면(1a)를 접착한다. 이 때, 2장의 인쇄판(1)의 측면(1b)끼리를, 간극을 두고 대면시킨 상태로 한다. 그리고, 그 간극에 접착제를 주입한 후, 그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접착제가 접착제 경화부(3)가 되고, 그 접착제 경화부(3)가 상기 편면 점착 시트(2)의 점착면과 접착함과 함께, 상기 2장의 인쇄판(1)의 대면하는 측면(1b)끼리를 접착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편면 점착 시트(2)와 상기 접착제 경화부(3)에 의해 상기 2장의 인쇄판(1)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 인쇄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연결 인쇄판의 접착제 경화부(3)는 하기 (A)∼(C)의 물성을 갖고 있다. 이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 특징에 의해, 상기 접착제 경화부(3)의 내파단성을 높임과 함께, 상기 연결 인쇄판을 사용한 인쇄를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A) 연신율이 260% 이상
(B) 편면 점착 시트(2)와의 180°박리 강도가 4N/10㎜ 이상
(C) 23℃의 N-메틸-2-피롤리돈(이하, 「NMP」라고 함)에 24시간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이 30질량% 이하
즉, 접착제 경화부(3)가 상기 (A)의 물성(연신율이 260% 이상)을 가짐으로써, 그 접착제 경화부(3)의 유연성이 높아져 있어, 플렉소 인쇄법에서 사용할 때의, 상기 연결 인쇄판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연신율은 JIS 7311-1995에 준하여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연신율(%)={(L1-L0)/L0}×100
상기 식에서, L0은 표선 거리이고, L1은 절단시의 표선간 거리이다.
또한, 접착제 경화부(3)가 상기 (B)의 물성(편면 점착 시트(2)와의 180°박리 강도가 4N/10㎜ 이상)을 가짐으로써, 그 접착제 경화부(3)는 편면 점착 시트(2)의 점착면에 강력하게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접착제 경화부(3)가 인접하는 2장의 인쇄판(1)을 접착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이들 인접하는 2장의 인쇄판(1)의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 경화부(3)가 상기 (C)의 물성(23℃의 NMP에 24시간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이 30질량% 이하)을 가짐으로써, 인쇄되는 배향막 등의 형성 재료에 사용되는 용매(NMP)에 대해 팽윤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착제 경화부(3)를 상기 용제에 대해 열화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팽윤율은 하기 식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팽윤율(%)={(W2-W1)/W1}×100
상기 식에서, W1은 침지하기 전의 시험편의 질량이고, W2는 침지시킨 후의 시험편의 질량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쇄판(1)은 플렉소 인쇄법에서 사용되는 것이고, 원주상의 판동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가요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인쇄판(1)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면, 광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편면 점착 시트(2)는 시트상의 기재와, 이 기재의 편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이 상기 점착면이다. 상기 기재는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를 형성 재료로서, 두께가 0.1∼0.5㎜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상기 점착층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를 형성 재료로 하고, 코터 등을 사용하여 상기 기재의 편면에 도포되고, 두께가 5∼50㎛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상기 접착제 경화부(3)는 상기 (A)∼(C)의 물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파단성을 갖는 것에 추가하여, 플렉소 인쇄법에서 사용하는 원주상의 판동의 외주면에 상기 연결 인쇄판을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할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 경화부(3)의 형성 재료(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하기 (a)∼(c)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a) 수첨 폴리부타디엔 구조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b)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c) 광중합 개시제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일방 또는 쌍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a) 수첨 폴리부타디엔 구조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
상기 (a) 수첨 폴리부타디엔 구조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는 공지의 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는 수첨 폴리부타디엔(a1)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와,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모두 갖는 화합물(a3)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수첨 폴리부타디엔(a1)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와, 상기 화합물(a3)의 비율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의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와, 상기 수첨 폴리부타디엔(a1)의 수산기(OH기)의 몰비(NCO기/OH기)가 1.0∼2.0의 범위에서 반응하게 함으로써 폴리머 말단에 NCO기를 갖는 프레폴리머 전구체를 합성한다. 상기 화합물(a3)의 수산기(OH기)와, 상기 프레폴리머 전구체의 폴리머 사슬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의 몰비(NCO기/OH기)가 0.8∼1.0의 범위에서 반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산기(OH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NCO기)가 당량이 되도록 반응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첨 폴리부타디엔(a1)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와 상기 화합물(a3)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의 도입이 충분해지고, 상기 접착제 경화부(3)의 접착성, 강도 등의 물성이 높아지거나, 과잉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잔존에 의한 저장 안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수첨 폴리부타디엔(a1)로는 상기 접착제 경화부(3)의 접착성이 향상되는 관점에서 1,2-폴리부타디엔 구조를 80질량% 이상 갖는 수첨 폴리부타디엔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것이면 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p-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p-수첨화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m-수첨화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및 그 이소시아누레이트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및 그 이소시아누레이트체,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및 그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a)의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의 제조가 용이한 관점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미황변 타입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a3)으로는 활성 수소를 갖는 관능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분자 내에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모노 혹은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첨 폴리부타디엔(a1)과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a2)와 상기 화합물(a3)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상기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a)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5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상기 접착제 경화부(3)의 경도가 높아지는(유연성이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크면 모노머류와의 상용성이 부족해져, 균일한 접착제가 얻어지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접착성, 유연성, 상용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관점에서, 상기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a)의 수평균 분자량은 15,000∼30,000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수평균 분자량이란, GPC법을 사용한 폴리스티렌 환산 평균 분자량이다.
[(b)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
상기 (b)의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 n-옥틸, (메타)아크릴산 n-데실, (메타)아크릴산 n-도데실, (메타)아크릴산 n-트리데실, (메타)아크릴산 n-옥타데실 등의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를 갖는 모노머류,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 디 혹은 트리알킬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모노머류, 시클로헥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 디 혹은 트리알킬시클로헥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세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케닐기를 갖는 모노머류, [(1S,4S)-1,7,7-트리메틸-6-비시클로[2.2.1]헵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모노머류, [(1S,4S)-1,7,7-트리메틸-6-비시클로[2.2.1]헵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시클로알케닐기를 갖는 모노머류, (메타)아크릴산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 (메타)아크릴산(에틸옥시)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 (메타)아크릴산 2-메틸트리시클로[3.3.1.1(3,7)]데칸-2-일, (메타)아크릴산 2-에틸트리시클로[3.3.1.1(3,7)]데칸-2-일 등의 트리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모노머류, (메타)아크릴산 2-(3a,4,5,6,7,7a-헥사히드로-4,7-메타노-1H-인덴-6-일)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2-[(3a,4,5,6,7,7a-헥사히드로-4,7-메타노-1H-인덴-6-일)옥시]에틸에스테르 등의 트리시클로알케닐기를 갖는 모노머류, 알킬기의 탄소수가 2∼4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글리콜의 탄소수가 2∼4, 알킬렌글리콜의 반복 단위가 1∼10개인 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기의 탄소수가 2∼4, 알킬렌글리콜의 탄소수가 2∼4, 알킬렌글리콜의 반복 단위가 1∼10개인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b)의 함유량은 통상, 수첨 폴리부타디엔 구조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a) 질량에 대해 5∼40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0∼30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230질량%이다.
[(c) 광중합 개시제]
상기 (c)의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등의 아세토페논류, 벤조인, α-메틸벤조인, α-페닐벤조인 등의 벤조인류,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벤조일벤조산메틸 등의 벤조페논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폴리닐)-1-프로판온 등의 α아미노케톤류, 크산톤,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류,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등의 안트라퀴논류,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 등의 고분자 광개시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c)의 함유량은 통상, 수첨 폴리부타디엔 구조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a)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b)의 합계 질량(후술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f)를 함유하는 경우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f)도 포함한 합계 질량)에 대해 0.2∼20질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3∼15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이다.
또한, 상기 (a)∼(c)의 성분에 추가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실란커플링제(d), 유연성 부여제(e), 상기 (b) 성분 이외의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f), 각종 첨가제(g)를 들 수 있다.
[(d) 실란커플링제]
상기 실란커플링제(d)로는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n-옥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알킬알콕시실란, 폴리에테르 변성 알콕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a)∼(c)의 각 성분과의 친화성의 관점에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폴리에테르 변성 알콕시실란 등의 비이온성 실란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d)의 비율은 상기 (a)∼(c)의 성분의 합계 질량에 대해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 유연성 부여제]
상기 유연성 부여제(e)로는 예를 들면, 폴리부타디엔, 수첨 폴리부타디엔, 테르펜 수지, 탄화수소 변성 테르펜 수지,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이 테르펜페놀 수지의 수소 첨가물 등의 테르펜페놀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공중합계 석유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계 석유 수지, 퓨어 모노머계 석유 수지,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석유계 수지, 검 로진, 톨 로진, 우드 로진, 불균제화 로진, 중합 로진, 이들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및 펜타에리트리톨에스테르, 이들의 수소 첨가물 등의 로진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알킬페놀계 수지, 자일렌계 수지, 다마르, 코펄, 셸락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a)∼(c)의 각 성분과의 친화성 및 유연성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부타디엔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연성 부여제(e)의 비율은 상기 (a)∼(c)의 성분의 합계 질량에 대해 10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f)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가 1∼7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할로겐화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메타)아크릴레이트, N-치환 또는 N,N'-치환한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미드, N,N'-알킬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트리메틸올프로판알콕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글리세린알콕시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나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f)의 비율은 상기 (a)∼(c)의 성분의 합계 질량에 대해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 첨가제]
상기 첨가제(g)로는 예를 들면, 열중합 금지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가소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g)의 비율은 상기 (a)∼(c)의 성분의 합계 질량에 대해 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제조]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a)∼(c)의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다. 이 때, 필요에 따라 상기 (d)∼(g)의 성분을 혼합한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앞서 서술한 연결 인쇄판의 제조에서, 연결하는 2장의 인쇄판(1)의 측면(1b)끼리의 간극에 주입되고[도 1(a), (b) 참조],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이 조사됨으로써 경화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하는 인쇄판(1)을 2장으로 했지만, 3장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연결하는 방향은 일방향(가로 방향)이 아니고, 그에 직각인 방향(세로 방향)이어도 되고, 이들 2방향(가로 세로 방향)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실시예에 대해 비교예 및 종래예와 함께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인쇄판의 형성 재료]
인쇄판의 형성 재료로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아사히 카세이사 제조, K-11)을 준비하였다.
[편면 점착 시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질량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0.5질량%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하여 점착제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그 점착제 용액을 PET제 시트상 기재(두께 250㎛)의 편면에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한 후,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켜 점착제층(두께 30㎛)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편면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접착제(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상기 (a)∼(c)의 성분]
접착제의 상기 (a)∼(c)의 성분으로서 하기의 것을 준비하였다.
(a) 수첨 폴리부타디엔 구조를 포함하는 불포화 폴리우레탄 프레폴리머(수평균 분자량 15,000)
(b) (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서, 하기의 (b1)∼(b4)를 준비하였다.
(b1) 메타크릴산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
(b2) 아크릴산 2-에틸헥실
(b3) 아크릴산 2-메톡시에틸
(b4) 메타아크릴산 n-도데실
(c) 디에톡시아세토페논(광중합 개시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상기 (a)∼(c)의 성분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하고, 실시예 1∼4 및 비교예 1, 2의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종래예]
종래예의 접착제는 상기 인쇄판의 형성 재료와 동일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하였다.
Figure 112020071646156-pct00001
그리고, 상기 실시예 1∼4, 비교예 1, 2 및 종래예의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상기 접착제 경화부에 상당)에 대해, 하기와 같이 하여, 연신율, 편면 점착 시트와의 180°박리 강도, NMP에 대한 팽윤율, 인장 강도 및 쇼어 A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연신율]
상기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두께 2㎜의 접착제 경화 시트(상기 접착제 경화부에 상당)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그 접착제 경화 시트로부터, 블랭킹에 의해 JIS 덤벨 3호(평행부의 길이 20㎜, 폭 5㎜)의 시험편을 얻었다. 그리고, 그 시험편의 연신율을 연신율 측정기(인장 시험기)(미네베아미츠미사 제조, TGE-5k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편면 점착 시트와의 180°박리 강도]
스테인리스제 기판의 표면에 상기 인쇄판의 형성 재료를 도포하고, 2장의 인쇄판의 측면(두께 2.56㎜)끼리가 간격 10㎜를 두고 대면하게 한 상태를 길이 100㎜에 걸쳐 재현하여 경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간극에 상기 접착제를 주입하고, 그 주입층의 표면에 상기 편면 점착 시트의 점착면을 맞닿게 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제 경화부에 형성하였다. 그리고, 박리 시험기(인장 시험기)(미네베아미츠미사 제조, TGE-5kN)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20㎜/min으로 상기 편면 점착 시트(두께 45㎛)를 180°박리하고, 그 18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측정에서는 상기 접착제 경화부는 스테인리스제 기판의 표면에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고, 상기 편면 점착 시트의 180°박리에서는 상기 접착제 경화부와 편면 점착 시트의 계면에서 박리하였다.
[NMP에 대한 팽윤율]
상기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두께 3㎜의 접착제 경화 시트(상기 접착제 경화부에 상당)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그 접착제 경화 시트로부터, 블랭킹에 의해 장방형(40㎜×20㎜)의 시험편을 얻었다. 그리고, 그 시험편을 23℃의 NMP에 24시간 침지하였다. 팽윤율은 침지 전후의 상기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하고, 상기 식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인장 강도]
상기 인쇄판의 형성 재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20㎜×100㎜×2.56㎜(두께)의 시트재를 2장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시트재의 단변끼리를 간극 2㎜ 두고 대면하게 하고, 그 간극에 상기 접착제를 주입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렇게 하여, 상기 2장의 시트재를 접착제 경화부에 의해 연결시킨 시험편을 얻었다. 그리고, 온도 23℃, 습도 46%의 환경하에서 인장 시험기(미네베아미츠미사 제조, TGE-5kN)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편을 길이 방향으로 인장 속도 10㎜/min으로 인장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쇼어 A 경도]
상기 접착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두께 9㎜의 접착제 경화 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그 접착제 경화 시트의 쇼어 A 경도를, 듀로미터(고분자 계기사 제조, MD-1)를 사용하여, JIS K6253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20071646156-pct00002
[내구 시험]
상기 인쇄판의 형성 재료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인쇄판으로서, 1560㎜×1030㎜×2.56㎜(측면의 두께)의 것을 2장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편면 점착 시트 및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여, 연결 인쇄판을 제조하였다. 이 때, 연결하는 인쇄판의 측면끼리의 간극을 2㎜로 하였다. 그리고, 그 연결 인쇄판을 사용하여 플렉소 인쇄법에 의해 인쇄하는 내구 시험을 행하였다. 이 내구 시험에서는 배향막의 형성 재료(용제: NMP)를 유리 기판에 인쇄하고, 1장의 유리 기판에 대한 인쇄를 1회로 세었다.
그 결과, 실시예 1∼4의 연결 인쇄판을 사용한 내구 시험에서는 2만회 인쇄해도 연결 인쇄판이 파단되지 않고, 적정하게 인쇄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의 연결 인쇄판을 사용한 내구 시험에서는 연결 인쇄판이 파단되지 않고, 2만회 인쇄할 수 있었지만, 1만회를 지났을 때부터 인쇄 위치의 어긋남이 발생하여, 적정하게 인쇄할 수 없었다. 게다가, 내구 시험 후의 연결 인쇄판에서는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이 백탁되어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연결 인쇄판을 사용한 내구 시험에서는 2만회에 이르지 않아, 연결 인쇄판의 연결 부분이 파단되었다. 그리고, 종래예의 연결 인쇄판을 사용한 내구 시험에서는 1만회에 이르지 않아, 연결 인쇄판의 연결 부분이 파단되었다.
이 내구 시험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4의 연결 인쇄판은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이 특정 물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연결 부분의 내파단성을 높이면서, 적정하게 인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그 특정 물성에서 벗어나는 연결 부분을 갖는 비교예 1, 2 및 종래예의 연결 인쇄판은 연결 부분의 내파단성 또는 적정한 인쇄성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나타냈지만, 상기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인 것이 기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인쇄판은 플렉소 인쇄법에서, 인쇄판의 연결 부분(접착제 경화부)의 내파단성을 높이면서, 적정하게 인쇄할 수 있다.
1: 인쇄판
1a: 뒷면
1b: 측면
2: 편면 점착 시트
3: 접착제 경화부

Claims (1)

  1. 편면이 인쇄면에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인쇄판과, 인접하는 인쇄판의 상기 인쇄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착되어 인접하는 인쇄판을 연결하는 편면 점착 시트와, 인접하는 인쇄판의 대면하는 측면과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면끼리를 접착하는, 유연성을 갖는 접착제 경화부를 구비하고, 판동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는 연결 인쇄판으로서, 상기 접착제 경화부가 하기 (A)∼(C)의 물성을 갖고 있는, 연결 인쇄판.
    (A) JIS 7311-1995에 준하여 측정된 연신율이 260% 이상
    (B) 편면 점착 시트와의 180°박리 강도가 4N/10㎜ 이상
    (C) 23℃의 N-메틸-2-피롤리돈에 24시간 침지했을 때의 팽윤율이 30질량% 이하
KR1020207019985A 2018-03-26 2019-03-13 연결 인쇄판 KR102520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8334 2018-03-26
JP2018058334 2018-03-26
PCT/JP2019/010157 WO2019188271A1 (ja) 2018-03-26 2019-03-13 連結印刷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86A KR20200135286A (ko) 2020-12-02
KR102520776B1 true KR102520776B1 (ko) 2023-04-11

Family

ID=6806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985A KR102520776B1 (ko) 2018-03-26 2019-03-13 연결 인쇄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53637B2 (ko)
KR (1) KR102520776B1 (ko)
CN (1) CN111587185B (ko)
TW (1) TWI782193B (ko)
WO (1) WO2019188271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3112A (ja) 2007-09-27 2009-04-23 Komuratekku:Kk 樹脂凸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94767A (ja) 2010-03-23 2011-10-06 Komuratekku:Kk 大形樹脂凸版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大形樹脂凸版
JP2013049765A (ja) 2011-08-30 2013-03-14 Seiko Pmc Corp 接着部材用組成物及び接着部材
JP2014133335A (ja) 2013-01-09 2014-07-24 Sumitomo Rubber Ind Ltd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パネル用基板の製造方法
JP2016210167A (ja) 2015-05-12 2016-12-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17154353A (ja) * 2016-03-01 2017-09-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3908A1 (de) * 1978-01-30 1979-08-02 Continental Gummi Werke Ag Druckwalze, insbesondere fuer den offsetdruck
GB8416571D0 (en) * 1984-06-29 1984-08-01 Asahi Chemical Industry Uk Ltd Flexographic printing
JPS61139491A (ja) * 1984-12-12 1986-06-26 Osaka Seihan Center Kyogyo Kumiai 樹脂刷版の接合方法
JP3798463B2 (ja) * 1996-04-04 2006-07-1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フレキソ版の版つなぎ法
EP1167025B1 (en) * 2000-06-20 2006-11-08 JSR Corporation Polymeric material for laser processing
DE60119685T2 (de) * 2000-07-26 2006-10-19 World Properties, Inc., Lincolnwood Komprimierbare schaumbä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100805047B1 (ko) * 2003-09-08 2008-02-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CN100560381C (zh) * 2005-02-01 2009-11-18 株式会社小村技术 弹性树脂版
ITMI20071350A1 (it) * 2007-07-06 2009-01-07 Trelleborg Engineered Systems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rivestimento (metal back printing blanket) di un cilindro tipografico con foglio plastico non adesivo, e metal back printing blanket cosi' ottenuto
KR100962507B1 (ko) * 2008-08-25 2010-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판과 이를 이용한 배향막 인쇄방법
US8623166B2 (en) * 2008-11-18 2014-01-07 Wacker Chemical Corporation Flexographic application of adhesive dispersions
US8286553B2 (en) * 2010-03-24 2012-10-16 Eastman Kodak Company Wiffle-tree printing plate registration system
EP2752283A4 (en) * 2011-08-30 2015-04-01 Soken Kagaku Kk RESIN MOLD BONDING METHOD AND ROLLER ROLL CONTINUOUS MOLD COMPOSITION USING THE SAME
CN104661821A (zh) * 2012-09-28 2015-05-27 富士胶片株式会社 圆筒状印刷版原版的制造方法、以及圆筒状印刷版及其制版方法
KR101827177B1 (ko) * 2013-06-12 2018-03-22 가부시키가이샤 킨요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WO2016024446A1 (ja) * 2014-08-11 2016-02-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6551737B2 (ja) * 2015-07-08 2019-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6675892B2 (ja) * 2016-03-16 2020-04-08 株式会社コムラテック 印刷版
JP2017185737A (ja) * 2016-04-07 2017-10-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3112A (ja) 2007-09-27 2009-04-23 Komuratekku:Kk 樹脂凸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194767A (ja) 2010-03-23 2011-10-06 Komuratekku:Kk 大形樹脂凸版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大形樹脂凸版
JP2013049765A (ja) 2011-08-30 2013-03-14 Seiko Pmc Corp 接着部材用組成物及び接着部材
JP2014133335A (ja) 2013-01-09 2014-07-24 Sumitomo Rubber Ind Ltd フレキソ印刷版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パネル用基板の製造方法
JP2016210167A (ja) 2015-05-12 2016-12-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17154353A (ja) * 2016-03-01 2017-09-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88271A1 (ja) 2021-02-12
KR20200135286A (ko) 2020-12-02
CN111587185B (zh) 2022-03-11
JP7153637B2 (ja) 2022-10-14
TWI782193B (zh) 2022-11-01
TW201940352A (zh) 2019-10-16
WO2019188271A1 (ja) 2019-10-03
CN111587185A (zh)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7635B (zh) 工件加工用胶粘带
CN107207920B (zh) 半导体加工用粘合片
KR10172794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JP2016192488A (ja) 半導体加工用粘着シート
TW201311859A (zh) 膜狀異向導電性接著劑
KR20130130927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
US20140159256A1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s and semiconductor devices connected by the same
JP2024019685A (ja) 粘着剤層及び粘着フィルム
US8865026B2 (en) Thermosetting adhesive
KR102520776B1 (ko) 연결 인쇄판
JP5724760B2 (ja) 接着部材用組成物及び接着部材
KR20130033027A (ko)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KR10247043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JP5527886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2021193193A (ja) 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H11323261A (ja)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の磁気ヘッドの製造用接着剤組成物
KR102727625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광학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20240076530A1 (en)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30125869A (ko)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20339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보호필름
KR20210078642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부재의 가고정 방법
KR20210019653A (ko)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투명 광학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78641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부재의 가고정 방법
KR20210078640A (ko) 광경화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부재의 가고정 방법
JP2021163836A (ja) 積層硬化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