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177B1 -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 Google Patents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177B1
KR101827177B1 KR1020167000778A KR20167000778A KR101827177B1 KR 101827177 B1 KR101827177 B1 KR 101827177B1 KR 1020167000778 A KR1020167000778 A KR 1020167000778A KR 20167000778 A KR20167000778 A KR 20167000778A KR 101827177 B1 KR101827177 B1 KR 101827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exographic printing
printing
thickne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9524A (ko
Inventor
시게루 나카노
류타 다나카
유 아리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킨요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킨요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킨요샤
Publication of KR20160019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006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made entirely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natural stone or metals, e.g. ceramics, carbide materials, ferroelectr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02Engraving; Heads therefor
    • B41C1/04Engraving; Heads therefor using heads controlled by an electric information signal
    • B41C1/05Heat-generating engraving heads, e.g. laser beam, electron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2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non-metallic other than stone, e.g. printing plates or foil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in an organic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6Curved printing plates, especially cylinders
    • B41N1/22Curved printing plates, especially cylinders made of othe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2210/0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 B41N2210/02Top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2210/0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 B41N2210/04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2210/0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 B41N2210/10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in multi-layer blankets or like coverings characterised by inorganic compounds, e.g. pigments

Abstract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무를 포함하는 조각용 인쇄 층과, 압축 층과, 조각용 인쇄 층 및 압축 층의 사이에 배치된 기포 층과, 보강 층을 포함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FLEXOGRAPHIC PRINTING PLATE MATERIAL}
본 발명은 종이, 천, 합판, 필름제 봉투 등 다양한 피인쇄체에 인쇄하는 것이 가능한 플렉소그래픽 인쇄에 이용되는 판재이다. 본 발명에 관한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인쇄기 상에서 이용되는 것이며, 특히 최표면(最表面)의 인쇄 층을 다이렉트로 레이저 조각하는 방식에 적절한 것이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에는, 고무판이나 수지판 등이 이용되며, 감광성 수지 층 및 베이스 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주류이다. 감광성 수지 층을 이용하는 경우, 사진 현상 방식이나, 어브레이션(abrasion) 마스크 층을 조각한 후에 노광시켜, 용제에 의해 세정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최근, 재료를 레이저로 다이렉트로 조각하는 방식이 발달하고 있다. 레이저 조각은 노광 프로세스가 불필요하며, 물 만의 세정에 의해 완료되기 때문에, 환경 부하가 작은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허문헌 1은, 릴리프 상(像)이 형성되는 광경화성 수지 층을 구비한 플렉소그래픽 인쇄판 또는 플렉소그래픽 인쇄판용 원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는, 플렉소그래픽 인쇄 및 활판 인쇄를 위한 인쇄용 블랭킷 또는 인쇄판의 형태의 다층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 다층 시트는 가황물로 형성되며, 레이저 조각에 의해 제공된 인쇄 층과, 적어도 하나의 압축성 층과, 적어도 하나의 보강 층을 구비한다. 특허문헌 2에서는, 인쇄 층이 압축성 층과 직접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 층의 인쇄압이 가해진 개소의 바로 아래에 해당하는 압축성 층이 부분적으로 깊게 움푹해지는 현상을 일으킨다. 오목부가 복원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인쇄 층에 균등하게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인쇄압이 일정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인쇄기 요인의 진동이나 판재에 대한 그림 배치에 따라서는, 피인쇄체에 잉크가 균일하게 전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편, 특허문헌 3은, 릴리프를 형성하는 가교된 엘라스토머성의 층 A에, 레이저 조사를 흡수하는 물질로서, 적어도 150㎡/g의 비표면적 및 적어도 150㎖/100g의 DBP 수를 갖는 전도성 카본 블랙을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릴리프가 매우 명쾌한(crisp) 단부를 갖고, 또한 용융단의 발생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억제된 플렉소그래픽 인쇄판이 얻어지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3은, 층 A와 지지체(substrate)의 사이에, 탄력이 있는 하부 층을 배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반력이 너무 높아져 피인쇄체에 균일하게 전사할 수 없는, 이른바 바운드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인쇄기 요인의 진동이나 판재에 대한 그림 배치에 따라서는, 피인쇄체에 잉크가 균일하게 전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국제 재공표 특허 제 WO 00/39640 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 2012-524676 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 2006-523552 호 공보
복원성이 뛰어난 것, 및 바운드 현상이 저감되는 것에 의해, 안정되고 균일하게 피인쇄체에 잉크를 전사할 수 있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를 포함하는 조각용 인쇄 층과,
압축 층과,
상기 조각용 인쇄 층 및 상기 압축 층의 사이에 배치된 기포(基布) 층과,
보강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원성이 뛰어나고, 바운드 현상이 저감되어, 안정되고 균일하게 피인쇄체에 잉크를 전사할 수 있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고무를 포함하는 조각용 인쇄 층과, 압축 층과, 조각용 인쇄 층 및 압축 층의 사이에 배치된 기포 층과, 보강 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에 의하면, 조각용 인쇄 층의 인쇄압이 가해진 개소의 하부에 해당하는 기포 층이 압력을 넓은 면에서 받기 때문에, 압축 층이 넓은 부분에서 움푹해지고, 그 오목부가 빨리 복원되기 때문에, 침강이 적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불균일한 인쇄압이 판재에 가해졌을 때에도 압축 층이 판재 중에 구비되는 것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바운드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안정되고 균일하게 피인쇄체에 잉크를 전사할 수 있다. 또한, 기포 층은 보강 층의 역할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판재 전체의 신장 방지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판재의 두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포 층은 판재 전체의 치수 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각 구성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조각용 인쇄 층
조각용 인쇄 층은 고무를 포함하는 것이며, 레이저 조각에 의해 릴리프를 형성 가능한 것이다. 조각용 인쇄 층에는 고무에 부가하여 수지를 함유시킬 수 있지만,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기 위해,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의 바람직한 예로,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고무(EPDM)가 포함된다. EPDM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장수명이며, 또한 내광성 및 내후성에 뛰어난 조각용 인쇄 층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플렉소그래픽 인쇄에 다용되는 수성 잉크에도 대응할 수 있다.
조각용 인쇄 층은 고무 1g에 대하여 40㎡ 이상 1000㎡ 이하의 비표면적을 갖는 무기 다공질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다공질체의 비표면적은 BET법에 의해 측정된다. 고무 1g에 대한 비표면적을 4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레이저 조각 시에 발생하는 용융단을 무기 다공질체가 흡착하기 때문에, 레이저 조각 후의 인쇄 층 표면에 용융단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무 1g에 대한 비표면적을 100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무기 다공질체를 그 이외의 원료에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조각용 인쇄 층의 품질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90㎡ 이상 700㎡ 이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20㎡ 이상 520㎡ 이하이다.
무기 다공질체의 예로는,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는 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레이저 조각 시에 충분한 릴리프 깊이를 확보할 수 있다.
조각용 인쇄 층의 경도는 JIS-A로 40 이상 85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도를 JIS-A로 40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표면 내마모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서, 다색쇄 시의 가늠맞춤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경도를 JIS-A로 8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잉크 전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조각용 인쇄 층의 경도는 JIS K6250에 의한 시험편 준비 및 표준 조건하에서 JIS K6253에 따라서, 타입 A형 듀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2) 기포 층
기포 층은 조각용 인쇄 층의 이면에 배치된다. 기포 층의 예로, 직포, 부직포 등이 포함된다. 신장 방지의 역할을 가지게 하기 위해, 기포 층에는, 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압축 층
압축 층은 다공질인 고무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고무 매트릭스는, 예를 들면 미가황 고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다공질 구조는 연속 기포, 독립 기포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압축 층의 공극률은 10% 이상 7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서, 침강의 발생이 적은, 양호한 기능의 압축 층을 실현할 수 있다.
압축 층의 공극률의 측정은 비중 측정기(예를 들면, 일본의 알파 미라지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전자 비중계 EW-300 SG)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압축 층과 동일 종류의 베이스 고무를 압축 층과 동일한 조건으로 가황하고, 비중을 측정한다(비중 A라 함). 예를 들면, 실시예의 경우, 벤트를 걸면서 압출기를 통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미가황 고무를 145℃, 15분간 가황하고, 비중 A를 측정한다. 동일 종류의 베이스 고무에 압축 층에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공극을 도입한 것을, 비중 A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황하고, 비중을 측정한다(비중 B라 함). 얻어진 비중으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공극률(X)을 산출한다.
공극률 X(%)=(A-B)/A×100(%)
(4) 보강 층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인쇄기 실린더 또는 인쇄기 장착용 슬리브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보강 층은,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가 장착 시 및 탈착 시에 가해지는 장력으로 신장되는 것을 억제하는, 신장 방지 층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보강 층은 신축성을 가지지 않는 것이며, 직포, 필름, 플라스틱 시트, 금속판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4)의 부재에 부가하여 하기 (5) 또는 (6)에 나타내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5) 점착 층
점착 층은, 예를 들면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이면에 배치된다. 점착 층은 인쇄기 실린더 및 인쇄기 장착용 슬리브(예를 들면, 나일론, 금속)에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점착에 의해 고정 가능한 것이다. 점착 층은, 예를 들면 수지,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박리 가능 타입이다. 점착 층의 재질에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실리콘계, 우레탄계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층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양면 테이프나 쿠션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쇄기 실린더 또는 인쇄기 장착용 슬리브에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점착 층 대신에 양면 테이프 또는 쿠션 테이프로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인쇄기에 장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6) 접착 층
상기 (1) 내지 (5)의 각 부재 간의 접합에, 접착 층을 이용할 수 있다. 접착 층은, 예를 들면 고무 매트릭스로 형성할 수 있다. 고무 매트릭스는, 예를 들면 미가황 고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두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두께(이하, 판재 두께라 함)를 1.5㎜ 이상 2.75㎜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경우, 판재 두께에 대한 압축 층 두께 비율을 10% 이하(바람직하게는 1% 이상 10% 이하)로 하고, 또한 판재 두께에 대한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 비율을 22% 이상 6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 두께가 1.5㎜ 이상 2.75㎜ 이하로 얇은 경우에 인쇄 판재의 침강을 작게 하려면, 압축 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축 층을 두껍게 하면,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조각용 인쇄 층에 레이저 조각을 실시할 때에, 소망의 릴리프 깊이를 얻을 수 없으며(소망의 깊이까지 조각할 수 없으며), 인쇄 시에 남은 잉크가 릴리프량(조각한 깊이)보다 높게 퇴적되어, 비화선부의 오염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판재 두께가 1.5㎜ 이상 2.75㎜ 이하인 경우에, 판재 두께에 대한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 비율을 22% 이상 65% 이하로 하면, 판재 두께에 대한 두께 비율이 10% 이하인 압축 층에 의해, 소망의 릴리프 깊이를 확보하면서, 침강이 적은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두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두께는, JIS B 9611에 규정된 두께 측정 시험 방법에 준하는 방법으로 측정된다. 1매의 판재, 1매의 부재 각각에 대해, 6점 측정하고, 6점 중 중앙값을 판재의 두께, 각 부재의 두께로 한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1)는 조각용 인쇄 층(2), 제 1 기포 층(3), 압축 층(4), 접착 층(5), 보강 층(신장 방지 층)(6), 및 점착 층(7)이 이 순번으로 적층되며, 이들이 일체화된 것이다. 또한,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층(4)과 접착 층(5)의 사이에 제 2 기포 층(8)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기포 층(8)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신장 방지 효과 및 치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기포 층은 1층 또는 2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3층 이상의 기포 층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EPDM 100 중량부에, 산화 아연 분말 5 중량부, 유황 분말 1.5 중량부, 가황 촉진제를 1.5 중량부{MBTS(디벤조티아졸릴디술피드(Benzothiazolyl disulfide))를 0.8 중량부, TMTD(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Tetramethylthiuram disulfide))를 0.7 중량부}, 스테아린산을 1중량부, 무기 다공질체(상품명이 EC600JD이며, BET 비표면적이 1270㎡/g인 케첸 블랙(Ketjen Black))를 10 중량부, 및 연화제(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7 중량부를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조각용 인쇄 층을 얻었다. EPDM 1g에 대한 무기 다공질체의 BET 비표면적은 127㎡였다.
EPDM 100 중량부에, 산화 아연 분말 5 중량부, 유황 분말 1.5 중량부, 가황 촉진제를 2.2 중량부{CBS(N-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 2-설펜아미드:N-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1.5 중량부, TMTD 0.7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SRF 카본 블랙 40 중량부, 및 연화제(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 10 중량부를 혼합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일본의 마츠모토 유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 마츠모토 마이크로스피어 F-65를 5 중량부 추가 혼합하고, 그 후 벤트를 걸면서 압출기를 통하여 시트 형상으로 성형했다. 얻어진 시트를 기포 층(두께 0.2㎜의 직포)의 편면에 토핑하고, 온도 145℃로 15분 가황하는 것에 의해 압축 층 가황물을 얻었다.
또한, 보강 층(신장 방지 층)으로서 두께 0.1㎜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했다.
조각용 인쇄 층, 압축 층, 기포 층 및 보강 층을 이하의 방법으로 일체화하여,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얻었다.
미리 가황을 실행한 압축 층과 기포 층의 복합체의 압축 층의 표면에, 접착 층을 코팅하고, 보강 층을 라미네이트하여, 기포 층, 압축 층 및 보강 층의 복합체를 얻었다. 또한,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조각 인쇄 층을 기포 층의 상면측에 토핑하고, 얻어진 일체물을 가황 캔에서 온도 140℃, 6시간 가황했다. 얻어진 가황물을 연마하는 것에 의해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얻었다.
얻어진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조각용 인쇄 층, 기포 층, 압축 층, 접착 층 및 보강 층이 이 순번으로 적층된 것으로, 판재 두께는 2.84㎜였다. 조각용 인쇄 층은 두께가 1.5㎜이며, 경도가 JIS-A로 62였다. 또한, 압축 층의 두께는 0.5㎜이며, 공극률은 35%였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나일론 슬리브에, 0.2㎜ 두께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장착했다. 이어서, CO2 레이저 조각기로 조각 인쇄 층에 조각을 실시했다.
실시예 1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에 의하면, 판재 전체의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나일론 슬리브로의 장착 작업이 용이했다. 또한, 200m/min의 인쇄 속도로 인쇄를 실행한 바, 기포 층이 신장 방지 층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하여, 인쇄 방향으로의 판재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다색쇄 인쇄 시의 가늠맞춤성이 양호했다. 또한, 바운드 현상이 보이지 않고, 순조롭게 인쇄가 가능했다.
(비교예 1)
기포 층을 이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제작했다. 얻어진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조각용 인쇄 층, 압축 층, 접착 층 및 보강 층이 이 순번으로 적층된 것이며, 판재 두께는 2.84㎜였다.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는 1.5㎜이며, 압축 층의 두께는 0.5㎜였다.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나일론 슬리브에, 0.2㎜ 두께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장착했다. 이어서, CO2 레이저 조각기로 조각 인쇄 층에 조각을 실시했다.
비교예 1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장착 시의 삽입의 작업성이 뒤떨어져 있었다. 또한, 200m/min의 인쇄 속도로 인쇄를 실행한 바, 인쇄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크며, 다색쇄 인쇄 시의 가늠맞춤성이 뒤떨어졌다. 또한 판재의 복원성이 나쁘고, 부분적인 긁힘 현상이 발생하여 양호한 인쇄지면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인쇄를 중단했다.
(실시예 2 내지 8)
판재 두께를 1.5㎜, 판재 두께에 대한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 비율(%), 판재 두께에 대한 압축 층의 두께 비율(%)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제작하고, 조각 인쇄 층에 레이저 조각을 실시했다.
(비교예 2)
판재 두께를 1.5㎜, 판재 두께에 대한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 판재 두께에 대한 압축 층의 두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제작하고, 조각 인쇄 층에 레이저 조각을 실시했다.
얻어진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2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에 대하여, 레이저 조각에 의해 규정의 릴리프 깊이(이 경우, 0.31㎜)가 얻어진 것을 "양호", 규정의 릴리프 깊이를 얻을 수 없지만,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사용 가능한 것을 "사용 가능"으로 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2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에 대하여, 200m/min의 인쇄 속도로 인쇄를 실행했다.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2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모두, 조각용 인쇄 층의 표면에 잉크가 균일하게 부착되어, 잉크 뭉침이 없고, 인쇄 후의 침강도 보이지 않았다. 한편, 바운드 현상에 대해서는, 실시예 2 내지 7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며, 실시예 8에서는 발생했지만, 비교예 2보다 작았다.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8보다 큰 바운드 현상을 일으켜, 바운드 직후의 부분에서 그림 긁힘이 일어나, 인쇄 장해가 발생했다.
판재의 두께
(㎜)
조각용 인쇄 층
(%)
압축 층
(%)
실시예 2 1.5 65 10
실시예 3 1.5 65 1
실시예 4 1.5 22 10
실시예 5 1.5 22 1
실시예 6 1.5 20 10
실시예 7 1.5 60 15
실시예 8 1.5 70 5
비교예 2 1.5 70 0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2
바운드 현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릴리프 깊이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사용 가능 양호 양호 양호
잉크 뭉침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침강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표 1 내지 표 2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8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릴리프 깊이 및 잉크 뭉침이 없고, 인쇄 후의 침강이 없으며, 바운드 현상이 일어나지 않거나, 일어나도 비교예 2에 비하여 작다. 한편, 비교예 2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바운드 현상이 크고, 바운드 직후의 부분에서 그림 긁힘이 일어나, 인쇄 장해가 발생했다.
(실시예 9 내지 14)
조각용 인쇄 층의 배합을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제작하고, 조각 인쇄 층에 레이저 조각을 실시했다. 실시예 9 내지 14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를 이용하여 인쇄 속도 200m/min으로 인쇄를 실시한 바, 순조롭게 인쇄를 종료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9 내지 14에 대하여, 조각 인쇄 층의 레이저 조각 시의 조각성을 A 내지 D의 4단계로 평가했다. A는 조각 인쇄 층의 표면에 용융단이 나타나 있지 않은 것, B는 조각 인쇄 층의 표면에 용융단이 나타났지만, 제거가 용이한 것, C는 조각 인쇄 층의 표면에 용융단이 나타나며, 통상의 제거 작업 후도 일부가 잔류하여, 추가 제거 작업이 필요한 것, D는 조각 인쇄 층의 표면 상의 용융단이 많고, 통상의 제거 작업 후에도 대부분이 잔류하고, 또한 제거 작업에 큰 수고와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조각 인쇄 층의 원료의 혼련성을 A 내지 D의 4단계로 평가했다. A는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던 것, B는 혼합물의 분산성이 약간 뒤떨어지지만, 사용상 지장이 없는 정도의 것, C는 혼합물의 분산성이 나쁘고, 무기 다공질체의 일부가 그대로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B보다 더욱 많은 혼련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 D는 혼합물의 분산성이 나쁘며, 무기 다공질체의 대부분이 그대로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의 혼련 수단을 대신하여 특별한 혼련 수단을 이용하고 C보다 더욱 많은 혼련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EPDM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산화 아연 5 5 5 5 5 5 5
가황 1.5 1.5 1.5 1.5 1.5 1.5 1.5
가황 촉진제 1.5 1.5 1.5 1.5 1.5 1.5 1.5
스테아린산 1 1 1 1 1 1 1
무기다공질체 5 8 10 40 55 90 3
연화제 5 5 7 15 20 40 5
119.0 122.0 126.0 164.0 184.0 239.0 117.0
고무 1g에 대한 비표면적(㎡) 63.5 101.6 127 508 698.5 1016 38.1
조각성 B B A A A A D
혼련성 A A A A B D A
표 3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9 내지 12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조각성이 A 내지 B이며, 혼련성이 A, B였다. 한편, 실시예 13, 14의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는 조각성 또는 혼련성이 D였다. 따라서, 조각성 및 혼련성이 양호한 조각 인쇄 층을 얻기 위해서는, 고무 1g에 대하여 40㎡ 이상 1000㎡ 이하의 비표면적을 갖는 무기 다공질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2 : 조각용 인쇄 층
3 : 제 1 기포 층
4 : 압축 층
5 : 접착 층
6 : 보강 층(신장 방지 층)
7 : 점착 층
8 : 제 2 기포 층

Claims (5)

  1. 고무 및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다공질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각용 인쇄 층과,
    압축 층과,
    상기 레이저 조각용 인쇄 층 및 상기 압축 층의 사이에 배치된 기포 층과,
    보강 층과,
    상기 압축 층과 상기 보강 층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 층과 접하는 고무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로서,
    1.5mm 이상 2.75mm 이하의 두께를 갖고, 상기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두께에 대한 상기 압축 층의 두께 비율이 15% 이하이며, 상기 플랙소그래픽 인쇄용 판재의 두께에 대한 상기 레이저 조각용 인쇄 층의 두께 비율이 22% 이상 65% 이하이고,
    상기 고무 1g에 대한 상기 무기 다공질체의 표면적의 합계치가 90㎡ 이상 7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층의 공극률은 10% 이상 70%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각용 인쇄 층의 경도는 JIS-A로 40 이상 85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5. 삭제
KR1020167000778A 2013-06-12 2013-06-12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KR101827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6253 WO2014199469A1 (ja) 2013-06-12 2013-06-12 フレキソ印刷用版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524A KR20160019524A (ko) 2016-02-19
KR101827177B1 true KR101827177B1 (ko) 2018-03-22

Family

ID=5202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778A KR101827177B1 (ko) 2013-06-12 2013-06-12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96389A1 (ko)
EP (1) EP3009270A4 (ko)
JP (1) JP5622948B1 (ko)
KR (1) KR101827177B1 (ko)
CN (1) CN105283318B (ko)
IL (1) IL243077B (ko)
WO (1) WO2014199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5616B2 (en) 2013-06-11 2017-01-31 Ball Corporation Variable printing process using soft secondary plates and specialty inks
PL3028856T3 (pl) 2014-12-04 2019-10-31 Ball Beverage Packaging Europe Ltd Urządzenie drukujące
CA2981189C (en) * 2015-04-14 2019-09-17 Ball Corporation Variable printing process using flexible secondary plates and specialty inks
DE102015213057A1 (de) * 2015-07-13 2017-01-19 Contitech Elastomer-Beschichtungen Gmbh Farbübertragungsmedium
TWI782193B (zh) * 2018-03-26 2022-11-01 日商小村科技股份有限公司 連結印刷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758A (ja) * 2002-11-25 2004-06-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レーザー彫刻印刷原版
JP2009018483A (ja) * 2007-07-11 2009-01-29 Tokyo Ohka Kogyo Co Ltd 樹脂組成物、印刷原版、および印刷原版の製造方法
US20090277561A1 (en) * 2008-05-09 2009-11-12 Tesa 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bonding printing plates and methods of provid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5507A (en) * 1962-03-22 1963-04-16 Lawrence S Kunetka Rubber printing plate with built-in curvature
JPS5652064Y2 (ko) * 1978-04-18 1981-12-04
JPH04176691A (ja) * 1990-11-09 1992-06-24 Kin Yosha Kk 鏡面ブラン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476908B2 (ja) * 1994-05-18 2003-12-10 日本電子精機株式会社 フレキソ印版用基材及びフレキソ印版
AU5818398A (en) * 1998-01-15 1999-08-02 Day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sleeve
CN1221868C (zh) 1998-12-25 2005-10-05 旭化成株式会社 苯胺印刷版和苯胺印刷版用原版
CN1281421C (zh) * 2001-09-27 2006-10-25 株式会社金阳社 印刷用压缩性橡皮布及印刷用压缩性橡皮布的制造方法
AU2003211400A1 (en) * 2003-02-27 2004-09-17 Kinyosha Co., Ltd. Rubber blanket for printing
DE10318039A1 (de) 2003-04-17 2004-11-04 Basf Drucksysteme Gmbh Lasergravierbares Flexodruckelement enthaltend einen Leitfähigkeitsruß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exodruckformen
JP2009034913A (ja) * 2007-08-02 2009-02-19 Nakan Corp フレキソ印刷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薄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DE102009002228B4 (de) * 2009-04-06 2015-01-08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Lackierwerk einer Rollen-Rotations-Offsetdruckmaschine
DE102009003817A1 (de) * 2009-04-23 2010-10-28 Contitech Elastomer-Beschichtungen Gmbh Mehrschichtiges Flächengebilde in Form eines Drucktuches oder einer Druckplatte für den Flexo-und Hochdruck mit einer Lasergravur
JP5492722B2 (ja) * 2010-09-21 2014-05-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ーザー彫刻用樹脂組成物、レーザー彫刻用レリーフ印刷版原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レリーフ印刷版及びその製版方法
DE102011053747A1 (de) * 2011-09-19 2013-03-21 Contitech Elastomer-Beschichtungen Gmbh Druckform zur Verwendung für den Hochdruck, insbesondere den Flexodru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758A (ja) * 2002-11-25 2004-06-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レーザー彫刻印刷原版
JP2009018483A (ja) * 2007-07-11 2009-01-29 Tokyo Ohka Kogyo Co Ltd 樹脂組成物、印刷原版、および印刷原版の製造方法
US20090277561A1 (en) * 2008-05-09 2009-11-12 Tesa 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bonding printing plates and methods of providing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3318B (zh) 2018-01-23
IL243077B (en) 2019-09-26
US20160096389A1 (en) 2016-04-07
EP3009270A1 (en) 2016-04-20
WO2014199469A1 (ja) 2014-12-18
EP3009270A4 (en) 2017-05-10
JP5622948B1 (ja) 2014-11-12
KR20160019524A (ko) 2016-02-19
CN105283318A (zh) 2016-01-27
JPWO2014199469A1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177B1 (ko)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EP1731325B1 (en) Hollow cylindrical printing element
KR101827178B1 (ko) 플렉소그래픽 인쇄용 판재
EP0489586B1 (en) Printing offset blanket and rubber roll
KR20090107936A (ko) 인쇄용 고무블랭킷 및 그 제조방법
JP2006069120A (ja) 電子回路あるいは光学部材の製造方法
JPS6143596A (ja) 印刷用オフセツト・ブランケツト
CN107663285B (zh) 一种柔性版印刷柔性橡胶版及制造方法
JP2005125664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2011173377A (ja) 印刷ブランケット
JP3766532B2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4327971B2 (ja) 硬質部材用印刷ブラン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209928A (ja) 円筒形フレキソ印刷用版材および刷版
JPH07110555B2 (ja) オフセット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表面形状の形成方法
JPH1191260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3429092B2 (ja) オフセット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JPH0550780A (ja) オフセツト印刷用ブランケツ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3001964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2004276331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
JPH0538887A (ja) オフセツト印刷用ブランケツ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5125666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の製造方法及び印刷用ブランケット
JPH05589A (ja) 印刷用ブランケツ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1162967A (ja) 印刷用ブラン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