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600B1 -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 Google Patents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600B1
KR102519600B1 KR1020200097163A KR20200097163A KR102519600B1 KR 102519600 B1 KR102519600 B1 KR 102519600B1 KR 1020200097163 A KR1020200097163 A KR 1020200097163A KR 20200097163 A KR20200097163 A KR 20200097163A KR 102519600 B1 KR102519600 B1 KR 10251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llow
coupling
composite window
chori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088A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to KR1020200097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60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0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strips between two metal section members
    • E06B3/26305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3Covering metal or plastic frames with wooden profil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맞춤을 목조 한식 창호의 수려한 미감을 나타내는 제비초리 맞춤으로 완성한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은, 전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후면에 결합홈이 오목 형성된 표면마감재가 서로 돌기-홈의 끼움 결합하여 완성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맞춤에서, 외부로 노출된 표면마감재끼리 제비초리 맞춤으로 완성됨으로써 외관이 마치 목조의 제비초리 맞춤으로 보여지도록 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제비초리 맞춤을 위해 서로 만나는 두 복합창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제비초리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비초리돌기가 마련되며, 제비초리홈과 제비초리돌기 사이는 브라켓을 매개로 긴결된다.

Description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Joint of Complex Window Frame}
본 발명은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맞춤을 목조 한식 창호의 수려한 미감을 나타내는 제비초리 맞춤으로 완성한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통칭한다. 창호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목재 창호, 금속 창호, 플라스틱 창호, 복합재료 창호(복합 창호)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복합 창호가 주류를 이룬다. 복합 창호는 주로 금속 프로파일에 의한 베이스프레임과 목재나 플라스틱에 의한 표면마감재를 복합화한 것이데, 금속 프로파일로 구조성능과 내구성을 확보하고 표면마감재로 단열성과 미관을 확보하기 때문에 적용성이 우수하다. 결구구조에 특징이 있는 한식 창호에도 단일 소재의 목재보다는 금속 프로파일에 의한 베이스프레임과 목재에 의한 표면마감재로 복합화한 한식 복합 창호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목조의 결구구조에는 제비초리 맞춤이 있다. 제비초리 맞춤은 도 1과 같이 연귀를 양쪽에 두어 '人'자 모양으로 맞추는 맞춤법으로, 대표적으로 한옥에서 머름에서 머름상방과 머름동자의 맞춤에 적용된다. 이러한 제비초리 맞춤은 한식 창호에서 중간 가로대가 양쪽 창호프레임과 만나는 부분에 적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제비초리 맞춤은 목조만의 수려하고 정교한 미감을 주지만 그 작업이 쉽지 않아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실제 한식 복합 창호의 경우에도 맞춤 작업에서 창호프레임 상호 간을 단순히 맞대어 맞추는 정도에 머물 뿐, 제비초리 맞춤까지 실현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KR 10-1754931 B1
본 발명은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맞춤을 제비초리 맞춤으로 구현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돌기-홈의 기계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창호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적극 활용하면서 간단한 부품으로 쉽게 작업할 수 있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후면에 결합홈이 오목 형성된 표면마감재가 서로 돌기-홈의 끼움 결합하여 완성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맞춤에서, 길이방향 중간에서 베이스프레임 전면 위로부터 표면마감재까지 제비초리홈이 따내기되는 제1복합창호프레임; 길이방향 단부가 제1복합창호프레임의 길이방향 중간에 맞닿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단부에서 베이스프레임 전면 위의 표면마감재에 제비초리돌기가 베이스프레임 밖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제1복합창호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끼리 상호 맞춤되면서 표면마감재끼리 제비초리홈에 제비초리돌기가 끼움 맞춤되게 설치되는 제2복합창호프레임; 제1복합창호프레임의 베이스프레임에서 제비초리홈 따내기된 부분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제2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돌기 후면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교차부 맞춤을 제비초리 맞춤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목조 특유의 수려하고 정교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한식 창호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복합창호프레임의 상호 간 제비초리 맞춤을 간단한 부품을 이용하면서 복합창호프레임의 돌기-홈 결합구조에 적합하게 적용하기 때문에 기존 복합창호프레임을 크게 설계 변경하지 않고도 쉽게 적용하면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제비초리 맞춤을 보여준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에서 브라켓의 상세사시도와 복합창호프레임의 상세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으로 완성된 한식 창호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을 위해 사용된 브라켓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후면에 결합홈(22)이 오목 형성된 표면마감재(20A, 20B)가 서로 돌기-홈의 끼움 결합으로 완성되는 복합창호프레임(A, B)의 상호 간 교차부 맞춤에서, 외부로 노출된 표면마감재(20A, 20B)끼리 제비초리 맞춤으로 완성됨으로써 외관이 마치 목조의 제비초리 맞춤으로 보이도록 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창호에서 제비초리 맞춤은 양쪽의 창호프레임과 중간 가로대가 만나는 부분, 위아래의 창호프레임이나 중간 가로프레임과 중간 세로프레임이 만나는 부분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만나는 두 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을 위해 두 창호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제비초리홈(10G, 20G)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비초리돌기(20P)가 마련된다. 아래에서는 제비초리홈(10G, 20G)이 마련된 창호프레임을 제1복합창호프레임(A)이라 하고, 제비초리돌기(20P)가 마련된 창호프레임을 제2복합창호프레임(B)이라 하여 설명한다.
제1복합창호프레임(A)은 베이스프레임(10A) 전면에 표면마감재(20A) 후면이 끼움 결합하여 완성되며, 길이방향 중간에서 베이스프레임(10A) 전면 위로부터 표면마감재(20A)까지 제비초리홈(10G, 20G)이 따내기된다. 제1복합창호프레임(A)에서 베이스프레임(10A)은 전면에 표면마감재(20A) 후면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결합돌기(12) 등이 돌출 형성되는데, 베이스프레임(10A)에서 돌출된 부분이 모두 따내기되어 제비초리홈(10G)으로 형성되고, 동시에 표면마감재(20A)에도 따내기되어 제비초리홈(20G)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비초리홈(10G, 20G)은 제2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돌기(20P)에 대응되게 삼각 모양으로 따내기된다. 제1복합창호프레임(A)에서 베이스프레임(10A) 전면과 표면마감재(20A) 후면은 돌기-홈의 끼움 결합으로 결합되는데, 이는 도 4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제2복합창호프레임(B)은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 마찬가지로 베이스프레임(10B) 전면에 표면마감재(20B) 후면이 끼움 결합하여 완성되나,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는 달리 길이방향 단부에서 베이스프레임(10B) 전면 위의 표면마감재(20B)에 삼각 모양의 제비초리돌기(20P)가 베이스프레임(10B) 밖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비초리돌기(20P)는 그 후면에 표면마감재의 결합홈(22)이 연장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2복합창호프레임(B)은 길이방향 단부가 제1복합창호프레임(A)의 길이방향 중간에 맞닿게 설치될 때, 베이스프레임(10A, 10B)끼리 상호 맞춤되면서 표면마감재(20A, 20B)끼리 제비초리홈(20G)에 제비초리돌기(20P)가 끼움 맞춤되게 설치된다.
제1,2복합창호프레임(A, B)은 제비초리홈(20G)과 제비초리돌기(20P)의 끼움 맞춤에 의해 외관상 제비초리 맞춤으로 완성되나 이때의 제비초리 맞춤은 단순 맞춤에 불과하다. 이러한 단순 제비초리 맞춤을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50)을 매개로 긴결한다. 도 2a 및 도 3에서는 삼각 모양의 베이스플레이트(51) 가운데에 결합돌기(52)가 돌출 형성된 형태의 브라켓(50)을 예시한다. 이러한 브라켓(50)은 베이스플레이트(51)가 제1복합창호프레임의 베이스프레임(10A)에서 제비초리홈(10G) 따내기된 부분에 안착되어 나사, 피스 등으로 고정 설치되고, 결합돌기(52)가 제2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돌기(20P) 후면까지 연장 형성된 결합홈(22)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제2복합창호프레임(B)은 표면마감재(20B)에서 연장 형성된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에도 표면마감재의 결합홈(22)이 연장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이스프레임(10B) 전면의 결합돌기(12)에서 브라켓의 결합돌기(52)가 이어지게 마련되기만 하면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에 브라켓의 결합돌기(52)를 끼움 결합하면서 긴결시킬 수 있다.
한편 브라켓(50)의 긴결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라켓의 결합돌기(52)와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 사이에는 긴결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긴결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탄성클립(40)이 있다. 긴결재로서 탄성클립(40)은 브라켓의 결합돌기(52)와 제비초리돌기 후면의 결합홈(22) 사이에서 탄성에 의해 수축하면서 끼움 설치되는 한편, 끼움 설치된 상태에서 복원하면서 결합돌기(52)를 붙잡고 결합홈(22)에 걸리게 설치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3에서는 클립머리(41) 아래 양쪽으로 탄성다리(42)가 형성된 형태의 탄성클립(40)을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의 탄성클립(40)은 브라켓의 결합돌기(52)와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 사이에서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탄성클립의 탄성다리(42) 사이에 브라켓의 결합돌기(52)를 위치시키고 탄성클립의 클립머리(41)를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비초리돌기(20P)를 밀어 넣기만 하면, 탄성클립의 클립머리(41)에 브라켓의 결합돌기(52)가 끼워지면서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에 끼워지고, 탄성클립의 탄성다리(42)가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에 걸리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탈락이 방지된다. 물론 탄성클립의 클립머리(41)에 브라켓의 결합돌기(52)를 끼운 상태에서, 탄성클립의 클립머리(41)를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에 밀면서 끼움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클립(40)의 이용에서 브라켓의 결합돌기(52)는 그 상부가 돌기머리(52a)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돌기머리(52a)에 탄성클립의 클립머리(41)가 걸리게 하여 운반이나 결합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에서 제1,2복합창호프레임(A, B)의 상세단면도이다.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 제2복합창호프레임(B)은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표면마감재(20A, 20B)의 돌기-홈에 의한 기계적 결합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표면마감재(20A, 20B) 사이의 간극(S)-실링제(30)에 의한 접착성 결합으로도 완성될 수 있다.
기계적 결합을 위해 제1,2복합창호프레임의 베이스프레임(10A, 10B)에는 안착돌기(11), 결합돌기(12), 간극돌기(13)가 형성되고,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0A, 10B)에 대응하여 표면마감재(20A, 20B)에는 단턱(21), 결합홈(2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프레임(10A, 10B)은 전면 양단부에 안착돌기(11), 전면 중앙부에 결합돌기(12), 결합돌기(12)와 안착돌기(11) 사이에 결합돌기(12) 및 안착돌기(11)보다 낮은 높이의 간극돌기(13)가 형성되며, 표면마감재(20A, 20B)는 후면 양단부에 단턱(21), 후면 중앙부에 결합홈(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표면마감재의 단턱(21)에 베이스프레임의 안착돌기(11)가 안착되고 표면마감재의 결합홈(22)에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돌기(12)가 끼움 결합되면서 기계적 결합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기계적 결합에 의해 표면마감재(20A, 20B)의 후면은 베이스프레임의 간극돌기(13)에 맞닿게 설치되면서 베이스프레임(10A, 10B)의 전면과 간극(S)이 형성되게 설치되는데, 베이스프레임의 안착돌기(11)와 간극돌기(13) 사이에 형성된 간극(S)에 실리콘 등의 실링제(30)가 충진됨으로써 접착성 결합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은 기계적 결합과 접착성 결합이 동시에 구현되면 결합력은 안정적으로 확보되면서도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표면마감재(20A, 20B)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표면마감재(20A, 20B)는 열팽창 계수 차이에 따른 서로의 영향이 최소화된다.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표면마감재(20A, 20B) 사이의 간극(S)이나 실링제(30)가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표면마감재(20A, 20B)의 열팽창 계수 차이를 완충하거나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기계적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베이스프레임의 안착돌기(11)는 그 내측면이 톱니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또한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돌기(12)와 표면마감재의 결합홈(22) 사이에는 긴결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톱니형태의 안착돌기(11)는 표면마감재의 단턱(21)에 밀착되게 안착 설치될 때 마찰에 의한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긴결재는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돌기(12)와 표면마감재의 결합홈(22) 사이에 설치되어 결합돌기(12)를 결합홈(22)에 긴결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 되는데, 앞서 살펴본 브라켓의 결합돌기(52)와 제비초리돌기 후면의 결합홈(22)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클립(40)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이 적용되어 완성된 한식 창호를 보여준다. 제1,2복합창호프레임에서 베이스프레임(10A, 10B)을 금속 프로파일 부재로 압출 제작하여 마련하고 표면마감재(20A, 20B)를 목재로 마련하면서 도 2a와 같이 제비초리 맞춤하고, 더불어 제1,2복합창호프레임(A, B) 내부에 목재 살대 또는 목재 판대 등을 설치한다면, 도 5와 같은 한식 창호로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 제1복합창호프레임 B: 제2복합창호프레임
10A, 10B: 베이스프레임
11: 안착돌기 12: 결합돌기
13: 간극돌기
20A, 20B: 표면마감재
21: 단턱 22: 결합홈
10G, 20G: 제비초리홈 20P: 제비초리돌기
30: 실링제
40: 탄성클립
41: 클립머리 42: 탄성다리
50: 브라켓
51: 베이스플레이트 52: 결합돌기
S: 간극

Claims (5)

  1. 전면에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A, 10B)과 후면에 결합홈(22)이 오목 형성된 표면마감재(20A, 20B)가 서로 돌기-홈의 끼움 결합으로 완성되는 복합창호프레임(A, B)의 상호 간 교차부 맞춤에서,
    길이방향 중간에서 베이스프레임(10A) 전면 위로부터 표면마감재(20A)까지 제비초리홈(10G, 20G)이 따내기되는 제1복합창호프레임(A);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제1복합창호프레임(A)의 길이방향 중간에 맞닿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단부에서 베이스프레임(10B) 전면 위의 표면마감재(20B)에 제비초리돌기(20P)가 그 후면에 결합홈(22)이 형성된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0B) 밖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 베이스프레임(10A, 10B)끼리 상호 맞춤되면서 표면마감재(20A, 20B)끼리 제비초리홈(20G)에 제비초리돌기(20P)가 끼움 맞춤되게 설치되는 제2복합창호프레임(B);
    상기 제1복합창호프레임의 베이스프레임(10A)에서 제비초리홈(10G) 따내기된 부분에 안착되어 고정 설치되며, 전면에 결합돌기(5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에 끼움 결합되는 브라켓(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2. 제1항에서,
    상기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 제2복합창호프레임(B) 각각은,
    전면 양단부에 안착돌기(11), 전면 중앙부에 결합돌기(12), 결합돌기(12)와 안착돌기(11) 사이에 결합돌기(12) 및 안착돌기(11)보다 낮은 높이의 간극돌기(13)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프레임(10A, 10B);
    후면 양단부에 단턱(21), 후면 중앙부에 결합홈(22)이 형성되어, 단턱(21)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안착돌기(11)가 안착되고 결합홈(22)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돌기(12)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후면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간극돌기(13)에 맞닿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A, 10B)의 전면과 간극(S)이 형성되게 설치되는 표면마감재(20A, 20B);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3. 제2항에서,
    상기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 제2복합창호프레임(B) 각각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안착돌기(11)와 간극돌기(13)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충진되는 실링제(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복합창호프레임(A)과 제2복합창호프레임(B) 각각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돌기와 상기 표면마감재의 결합홈(22) 사이에 설치되어 결합돌기(12)를 결합홈(22)에 긴결하게 결합시키는 긴결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브라켓의 결합돌기(52)와 상기 제2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돌기(20P) 후면의 결합홈(22) 사이에도 긴결재가 더 설치되어 결합돌기(52)를 결합홈(22)에 긴결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5. 제4항에서,
    상기 제1,2복합창호프레임의 베이스프레임의 결합돌기(12)와 브라켓의 결합돌기(52)는, 각각 돌기머리(12a, 52a)가 형성되게 마련되며,
    상기 긴결재는, 탄성클립(40)으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돌기의 돌기머리(12a, 52a)에 걸리면서 상기 결합홈(22)에 끼워져 걸리게 설치됨으로써 결합돌기(12, 52)를 결합홈(22)에 긴결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KR1020200097163A 2020-08-04 2020-08-04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KR10251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63A KR102519600B1 (ko) 2020-08-04 2020-08-04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63A KR102519600B1 (ko) 2020-08-04 2020-08-04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088A KR20220017088A (ko) 2022-02-11
KR102519600B1 true KR102519600B1 (ko) 2023-04-10

Family

ID=8026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63A KR102519600B1 (ko) 2020-08-04 2020-08-04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6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9695A (ko) * 2009-11-04 2011-05-12 이지엔솔 주식회사 복합 창호
KR20120107604A (ko) * 2011-03-22 2012-10-04 김정철 목재창호틀
KR101754931B1 (ko) 2016-11-22 2017-07-06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088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617Y1 (ko) 복합창 구조
US20060070329A1 (en) Modular wall paneling system, wall panels,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519600B1 (ko)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US6065249A (en) Panel door with large width gasketless frame
US20100186341A1 (en) Coped trim molding blocks
JP6548534B2 (ja) 見切及び当該見切を用いる見切枠及び建具
KR200212924Y1 (ko)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KR200434569Y1 (ko) 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
KR102506888B1 (ko) 복합 창호 프레임의 간극형 결합구조 및 이를 적용한 복합 한식 창호
KR200454937Y1 (ko) 문틀
TWI550177B (zh) 門框結構
JP2500278Y2 (ja) 戸当り装置
EP0287723B1 (en) Picture frame
KR200490980Y1 (ko)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JP2001164839A (ja) 建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JP7154964B2 (ja) 緩衝具
KR200322798Y1 (ko) 가변형 문틀커버
JP4881675B2 (ja) 枠および枠取付構造
JP5308740B2 (ja) 枠材の取付構造
JP4442414B2 (ja) 見切り材及びその階段への取付構造
JPS5818513Y2 (ja) 壁パネル接合部装置
JPH07150857A (ja) 戸当り構造
JPS6320789Y2 (ko)
KR200439806Y1 (ko) 가구용 패널 마감부재 및 그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