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024B1 -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024B1
KR102519024B1 KR1020200156486A KR20200156486A KR102519024B1 KR 102519024 B1 KR102519024 B1 KR 102519024B1 KR 1020200156486 A KR1020200156486 A KR 1020200156486A KR 20200156486 A KR20200156486 A KR 20200156486A KR 102519024 B1 KR102519024 B1 KR 10251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plate
unit
double
sided tap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406A (ko
Inventor
최병일
Original Assignee
(주)네오하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하나텍 filed Critical (주)네오하나텍
Priority to KR102020015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2장의 동판이 적층되어 있는 멀티부착 동판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휨 교정하여 배출할 수 있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A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ATTACHED COPPER PLATES}
본 발명은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2장의 동판이 적층되어 있는 멀티부착 동판을 자동으로 분리하고 휨 교정하여 배출할 수 있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TV, 카메라, VCR 등의 가전용 전자제품 뿐만아니라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등의 정보기기를 포함한 거의 모든 전자 산업 관련 분야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는 얇은 동판이 많이 사용되며 이 동판에 대해서는 절단, 표면 처리 등의 다양한 처리 과정이 실시된다.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의 효율성을 위하여 두개의 동판(11, 13)을 양면 테이프(12)를 사이에 두고 부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이렇게 멀티부착 동판(10)을 가지고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2개의 동판을 양면 테이프(12)를 사이에 두고 부착하여 멀티부착 동판을 우선적으로 제조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멀티부착 동판을 제조하거나 부착된 멀티부착 동판을 분리할 수 있는 자동화 공정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기술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면 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2장의 동판이 적층되어 있는 멀티부착 동판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착 동판 분리장치는, 하측 동판, 양면 테이프, 상측 동판이 순차적으로 합착되어 있는 멀티부착 동판을 공급하는 동판 공급부; 상기 동판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멀티부착 동판을 그 상면에 적재하며, 상기 멀티부착 동판의 하면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동판 적재 테이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네 모서리 중 장변 방향으로 이웃한 두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멀티부착 동판의 양 모서리를 부분 절단하는 모서리 절단부; 상기 모서리 절단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된 상기 멀티부착 동판 중 상측 동판의 모서리를 상기 양면 테이프와 분리하여 들어올리는 모서리 분리부; 상기 모서리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측 동판과 양면 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이웃한 모서리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상측 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유도부; 상기 분리 유도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측 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반대편 가장자리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상측 동판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순차 분리부;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와 하측 동판을 들어올려 하측 동판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내려놓는 동판 반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모서리 절단부는, 상기 멀티부착 동판의 두 모서리 중 상기 모서리 분리부 측 모서리는 상측 동판의 모서리만을 절단하는 상측 모서리 절단부와, 반대측 모서리는 하측 동판의 모서리만을 절단하는 하측 모서리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 유도부는, 상기 상측 동판과 양면 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측 동판과 양면 테이프 사이의 틈을 확장하는 분리 나이프; 상기 분리 나이프의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분리 나이프를 수평 이동시키는 나이프 구동부; 상기 분리 나이프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나이프의 진행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상측 동판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기체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순차 분리부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의 상면 전체를 흡착하고 상기 분리 유도부 설치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상기 상측 동판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순차 구동 흡착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순차 분리부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 유도부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 유도부에 의하여 일측 가장자리가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을 순차적으로 완전 분리하는 분리 칼날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동판 반전출부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적재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와 하측 동판을 흡착하여 들어올리고 상기 하측 동판이 노출되도록 기립시키는 제1 기립부; 상기 제1 기립부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립부에 의하여 하측 동판이 노출되도록 기립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와 하측 동판을 흡착하고 상기 양면 테이프가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내려놓는 제2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에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 또는 하측 동판이 휘어진 경우 상기 상측 동판 또는 하측 동판의 휨 상태를 교정하는 휨 교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휨 교정부는, 상기 상측 동판 또는 하측 동판을 장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동판이 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판의 장변 방향 휨을 교정하는 장변 휨 교정부; 상기 장변 휨 교정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을 단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90°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을 단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동판이 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판의 단변 방향 휨을 교정하는 단변 휨 교정부; 상기 단변 휨 교정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동판을 장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90°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2장의 동판이 부착된 상태에서 공정을 마친 멀티 적층 동판을 각각 개별 동판으로 자동화 공정으로 분리하고 휨 교정하여 신속 정확하게 동판 수납 바스켓에 수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적층 동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의 레이아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서리 절단 및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판 가장자리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나이프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판의 순차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3,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판의 순차 분리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판 반전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100)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판 공급부(110), 동판 적재 테이블(120), 모서리 절단부(130), 모서리 분리부(140), 분리 유도부(150), 순차 분리부(160) 및 동판 반전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동판 공급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동판(11), 양면 테이프(12), 상측 동판(13)이 순차적으로 합착되어 있는 멀티부착 동판(10)을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동판 공급부(110)는 분리 작업이 진행될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을 카세트(112) 내에서 한 장씩 픽업(pick up)한 후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로 이동시켜 내려놓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동판 공급부(110)는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을 흡착하는 흡착부(114), 상기 흡착부(114)를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부(116) 및 상기 승강 구동부(116)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은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공급부(110)에 의하여 공급되는 멀티부착 동판(10)을 그 상면에 적재하며,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의 하면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은 동판의 분리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는 진공 흡착척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모서리 중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가 설치되는 방향의 모서리는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의 동작을 위하여 모따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의 네 모서리 중 장변 방향으로 이웃한 두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의 양 모서리를 절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는 상기 멀티부착 동판(10) 중 동판 분리 작업이 시작될 부분인 모서리 부분을 절단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에 대하여 상측 동판(13)과 하측 동판(11)에 대한 분리 작업이 연속적으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서 이루어지므로,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가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한 쌍의 설치되는 모서리 절단부(130)는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의 두 모서리 중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 측 모서리는 상측 동판(13)의 모서리만을 절단하는 상측 모서리 절단부(132)와, 반대측 모서리는 하측 동판(110)의 모서리만을 절단하는 하측 모서리 절단부(13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측 모서리 절단부(132)는 즉시 동판 분리 작업이 이루어질 상측 동판(13)의 모서리를 절단하고, 상기 하측 모서리 절단부(134)는 상기 동판 반전부(170)에 의하여 상기 멀티부착 동판(10)이 반전된 후에 동판 분리 작업이 이루어질 하측 동판(13)의 모서리를 절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는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에 의하여 절단된 상기 멀티부착 동판 중 상측 동판(13)의 모서리를 들어올리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는 상기 모서리 절단부(130)에 의하여 모서리가 절단되면서 접착력이 약해진 상기 상측 동판(13)의 모서리 부분 하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모서리 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분리 유도부(150)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는 상기 순차 분리부(16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 유도부(150)는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에 의하여 분리된 상측 동판(130)과 양면 테이프(12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상측 동판(13)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양면 테이프(12)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분리 유도부(150)는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에 의하여 시작된 상측 동판(13)의 분리 영역을 가장자리 부분으로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 유도부(150)를 도 3, 6,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나이프(152), 나이프 구동부(154) 및 기체 분사부(156)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분리 나이프(152)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분리부(140)에 의하여 확보된 상기 상측 동판(13)과 양면 테이프(1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측 동판(13)과 양면 테이프(12) 사이의 틈을 확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분리 나이프(152)는 전체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나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 중앙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나이프 구동부(1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나이프(152)의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분리 나이프(152)를 전후진 구동 및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나이프 구동부(154)는 상기 분리 나이프(152)를 상기 상측 동판(13) 방향으로 전진시켜 분리 작업을 시작하고, 상기 분리 나이프(152)를 모서리 분리부(140)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면서 분리 작업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리 나이프(152)를 후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기체 분사부(15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나이프(152)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나이프(152)의 진행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기체 분사부(156)는 상기 분리 나이프(152)의 전단면에 다수개의 분사홀 또는 분사 슬릿으로 형성되며, 상기 동판 분리 작업시에 상기 분리 나이프 진행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분리 나이프(152)가 상기 상측 동판(13)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서도 상기 상측 동판(13)을 상기 양면 테이프(12)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동판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분리작업이 진행되면 분리 과정에서 상기 동판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순차 분리부(160)는 상기 분리 유도부(150)에 의하여 분리된 상측 동판(13)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반대편 가장자리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상측 동판(13)을 상기 양면 테이프(12)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순차 분리부(160)는 상기 분리 유도부(150)에 의하여 분리된 영역을 상기 상측 동판(13)의 전체 영약으로 순차적으로 확대시켜 상기 상측 동판(130)을 완전 분리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차 분리부(160)를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와 구동부(164, 166)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양면 테이프(12)로부터 일측 가장자리가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13)의 상면을 흡착하고 상기 분리 유도부(150) 설치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상기 상측 동판(13)을 상기 양면 테이프(12)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흡착 플레이트들로 구성되며, 각 흡착 플레이트는 독립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진공 흡착척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64, 166)은 상기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를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부(166)와, 각 상하 구동부(166)들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 구동부(166) 및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16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순차 분리부(160)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다수개의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들 전체를 일측 가장자리 부분이 분리된 상태의 상기 상측 동판(13) 상면에 모두 접촉 및 흡착되도록 하강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순차 구동 흡착 플레이트(162)부터 순차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상측 동판(13)이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동판(13) 전체가 분리되면, 상기 수평 이동부(164)가 수평 이동하여 상기 상측 동판(13)을 후술하는 휨 교정부(180)로 배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차 분리부는 도 13,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칼날부(26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3,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220)의 측부에 설치되는 상기 분리 칼날부(260)가 상기 분리 유도부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 유도부에 의하여 일부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13)을 순차적으로 완전 분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동판 반전부(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12)와 하측 동판(11)을 들어올려 하측 동판(11)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 내려놓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동판 반전부(170)는 상기 상측 동판(13)에 대한 분리 작업이 완료되고 상기 상측 동판(13)이 배출된 후 하측 동판(11)에 대한 분리 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기 하측 동판(11)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판 반전부(170)를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립부(172)와 제2 기립부(174)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기립부(17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 적재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12)와 하측 동판(11)을 흡착하여 들어올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동판(11)이 노출되도록 90°회동시켜 상기 양면 테이프(12)와 상기 하측 동판(11)을 기립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기립부(174)는 상기 제1 기립부(172)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립부(172)에 의하여 하측 동판(11)이 노출되도록 기립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12)와 하측 동판(11)을 흡착하여 옮겨 받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면 테이프(12)가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 내려놓는다.
이후에 상기 하측 동판(11)에 대한 분리 작업은 상기 상측 동판(13)에 대한 분리 작업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휨 교정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동판(13)과 하측 동판(11)에 휨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상기 휨 교정부(180)가 교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휨 교정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12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13) 또는 하측 동판(11)이 휘어진 경우 상기 상측 동판(13) 또는 하측 동판(11)의 휨 상태를 교정하는 것이다.
상기 휨 교정부(180)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동판(13) 또는 하측 동판(11)을 수평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81), 장변 휨 교정부(182) 및 단변 휨 교정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장변 휨 교정부(182)는 상기 상측 동판(13) 또는 하측 동판(11)을 장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동판이 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판의 장변 방향 휨을 교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휨 교정부(180)에는 상기 장변 휨 교정부(182)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을 단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90°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변 휨 교정부(184)는 상기 제1 회전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을 단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동판이 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판의 단변 방향 휨을 교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휨 교정부(180)에는 상기 단변 휨 교정부(184)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동판을 장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90°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110 : 동판 공급부 120 : 동판 적재 테이블
130 : 모서리 절단부 140 : 모서리 분리부
150 : 분리 유도부 160 : 순차 분리부
170 : 동판 반전부 180 : 동판 반전부
11 : 하측 동판 12 : 양면 테이프
13 : 상측 동판 10 : 멀티 부착 동판

Claims (8)

  1. 하측 동판, 양면 테이프, 상측 동판이 순차적으로 합착되어 있는 멀티부착 동판을 공급하는 동판 공급부;
    상기 동판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되는 멀티부착 동판을 그 상면에 적재하며, 상기 멀티부착 동판의 하면을 흡착하여 고정하는 동판 적재 테이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네 모서리 중 장변 방향으로 이웃한 두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며, 상기 멀티부착 동판의 양 모서리를 부분 절단하는 모서리 절단부;
    상기 모서리 절단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서리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된 상기 멀티부착 동판 중 상측 동판의 모서리를 상기 양면 테이프와 분리하여 들어올리는 모서리 분리부;
    상기 모서리 분리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측 동판과 양면 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이웃한 모서리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상측 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 유도부;
    상기 분리 유도부에 의하여 분리된 상측 동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반대편 가장자리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상측 동판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순차 분리부;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흡착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와 하측 동판을 들어올려 하측 동판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내려놓는 동판 반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 절단부는,
    상기 멀티부착 동판의 두 모서리 중 상기 모서리 분리부 측 모서리는 상측 동판의 모서리만을 절단하는 상측 모서리 절단부와,
    반대측 모서리는 하측 동판의 모서리만을 절단하는 하측 모서리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도부는,
    상기 상측 동판과 양면 테이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상측 동판과 양면 테이프 사이의 틈을 확장하는 분리 나이프;
    상기 분리 나이프의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분리 나이프를 수평 이동시키는 나이프 구동부;
    상기 분리 나이프에 형성되며, 상기 분리 나이프의 진행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상기 상측 동판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분리하는 기체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분리부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의 상면 전체를 흡착하고 상기 분리 유도부 설치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들어올려 상기 상측 동판을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는 순차 구동 흡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분리부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의 측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 유도부 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분리 유도부에 의하여 일측 가장자리가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을 순차적으로 완전 분리하는 분리 칼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판 반전부는,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적재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와 하측 동판을 흡착하여 들어올리고 상기 하측 동판이 노출되도록 기립시키는 제1 기립부;
    상기 제1 기립부에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기립부에 의하여 하측 동판이 노출되도록 기립되어 있는 상기 양면 테이프와 하측 동판을 흡착하고 상기 양면 테이프가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후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내려놓는 제2 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판 적재 테이블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분리된 상기 상측 동판 또는 하측 동판이 휘어진 경우 상기 상측 동판 또는 하측 동판의 휨 상태를 교정하는 휨 교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휨 교정부는,
    상기 상측 동판 또는 하측 동판을 장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동판이 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판의 장변 방향 휨을 교정하는 장변 휨 교정부;
    상기 장변 휨 교정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을 단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90°회전시키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동판을 단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동판이 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동판의 단변 방향 휨을 교정하는 단변 휨 교정부;
    상기 단변 휨 교정부 후방에 설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의 동판을 장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90°회전시키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KR1020200156486A 2020-11-20 2020-11-20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KR10251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86A KR102519024B1 (ko) 2020-11-20 2020-11-20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486A KR102519024B1 (ko) 2020-11-20 2020-11-20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06A KR20220069406A (ko) 2022-05-27
KR102519024B1 true KR102519024B1 (ko) 2023-04-10

Family

ID=8179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486A KR102519024B1 (ko) 2020-11-20 2020-11-20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5388B (en) 2021-12-28 2024-04-03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30170414A (ko) *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시트 이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454A (ja) 2002-05-15 2003-11-25 Sharp Corp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15083504A (ja)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 テクノワイズ 保護材の剥離方法および剥離装置
KR101669539B1 (ko) * 2016-02-26 2016-10-26 주식회사 코엠에스 블레이드 비접촉식 적층기판 분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280B1 (ko) * 2015-09-04 2017-07-12 배석근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454A (ja) 2002-05-15 2003-11-25 Sharp Corp 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フィルム剥離方法
JP2015083504A (ja)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 テクノワイズ 保護材の剥離方法および剥離装置
KR101669539B1 (ko) * 2016-02-26 2016-10-26 주식회사 코엠에스 블레이드 비접촉식 적층기판 분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406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024B1 (ko)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KR101135903B1 (ko) 박형 다이 분리 및 픽업 장치
CN109867159B (zh) 离型膜剥离方法以及离型膜剥离装置
KR20130002124A (ko) 기판 분리 장치 및 기판 분리 방법
WO2014034363A1 (ja) シート材の分離・供給方法とその装置およびシート材の接着剤塗布方法
TWI522022B (zh) 載體銅箔去除裝置及方法
JP5272048B2 (ja) シート体の搬送装置及び積層電池の製造装置
JP2007099466A (ja) パネル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106316089B (zh) 基板分割装置及基板分割方法
CN104918409B (zh) 外引脚假压合系统
KR100668181B1 (ko) 백라이트유니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1100863B1 (ko) 간지를 자동분리할 수 있는 세라믹 가공장치
KR101268121B1 (ko) 레이업기판 자동 분리 공급장치
KR101538272B1 (ko) 스텝드 배터리와 이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KR101915572B1 (ko) 피시비용 분리코어 박리장치
KR101669539B1 (ko) 블레이드 비접촉식 적층기판 분리 방법 및 장치
KR101757280B1 (ko) 멀티부착동판 분리장치
CN115431552A (zh) Fpc折弯设备
US20220134634A1 (en) Film peeling device and method of peeling film
JP3365336B2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116354124B (zh) 放板机及板件的转运方法
KR102441533B1 (ko) 대상체 라미네이팅 장치
JP3498205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の取扱装置および取扱方法ならびに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5065731B2 (ja) パネル処理装置
JP2001015380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