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341B1 - 회전식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341B1
KR102517341B1 KR1020210112661A KR20210112661A KR102517341B1 KR 102517341 B1 KR102517341 B1 KR 102517341B1 KR 1020210112661 A KR1020210112661 A KR 1020210112661A KR 20210112661 A KR20210112661 A KR 20210112661A KR 102517341 B1 KR102517341 B1 KR 10251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pair
cage
inner sp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717A (ko
Inventor
박성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늘농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늘농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늘농부
Priority to KR102021011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341B1/ko
Priority to PCT/KR2022/005473 priority patent/WO2023027287A1/ko
Publication of KR2023003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717A/ko
Priority to KR1020230041298A priority patent/KR20230049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100), 케이지(200), 한 쌍의 숯통(300), 한 쌍의 열 차단판(500), 한 쌍의 방열판(600) 및 가열수단(700)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한다.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은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열수단(700)은 상기 방열판(600)을 가열한다.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또한, 고기의 풍미가 향상될 수 있고 고기의 중앙부까지 골고루 익으며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기{ROTARY TYPE ROASTER AND ROASTING METHOD}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하는 케이지에 수용된 고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익히고 고기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식 구이기는 고기를 수용하는 케이지와 케이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수단은 예를 들면 숯일 수 있다. 케이지가 회전함으로써 케이지에 수용된 고기가 골고루 익을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다음과 같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89004호는 각종 육류가 수용된 상태로 회전되는 구이망(케이지)을 오각형 구조로 형성하여 육류에 대한 열전달을 높이고 많은 양의 육류를 신속하게 익힐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케이지에 수용된 고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이며 효율적으로 익히면서 동시에 고기의 풍미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실용신안문헌 1) KR 20-04890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하는 케이지에 수용된 고기를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익힐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기의 풍미가 향상되고 고기의 중앙부까지 골고루 익으며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지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빠르고 충분하게 익힐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충분하게 익은 고기를 보온할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 편의성,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기 전체의 풍미가 향상되고 고기 전체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고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고기의 모든 부위가 균일하게 익을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지의 뚜껑과 본체를 결합(체결)시키지 않더라도 케이지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00), 케이지(200), 한 쌍의 숯통(300), 한 쌍의 열 차단판(500), 한 쌍의 방열판(600) 및 가열수단(700)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한다.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은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가열수단(700)은 상기 방열판(600)을 가열한다.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숯통(300a) 및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숯통(3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타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타측면에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숯통(300a)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타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일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일측면에는 일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2숯통(300b)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일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일측면, 상기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타측면 및 상기 제1숯통(300a)과 제2숯통(300b)의 제1방향의 양측면은 막힌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식 구이기는, 상기 숯통(300)의 위에 설치되고 숯통(3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불판(90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판(900)은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판부(910)는 상기 내부공간(S1)에 배치되거나 내부공간(S1)과 상하방향으로 마주한다.
상기 제2판부(920)는 상기 제1판부(910)와 연결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1판부(910)의 하면의 높이가 제2판부(920)의 하면의 높이보다 낮다. 이에 따라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의 하측에는 단턱(ST)이 형성된다.
상기 제2판부(9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위에 안착되고 상기 단턱(ST)은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면에 걸린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구이기(10)는 송풍기(1100) 및 급기관(4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급기관(400)은 중공(H)을 가진다.
상기 급기관(400)은 일단이 상기 송풍기(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기관(400)은 송풍기(11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를 상기 숯통(300)에 공급한다.
상기 급기관(400)은 상기 숯통(300)과 열 차단판(5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관(400)은 숯통(300)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급기관(400)의 상측 면에는 상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상기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숯통(300)의 하측 면에는 하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TH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숯통(300)의 상기 공간(S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급기관(400)과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방향에 대해서, 상기 급기관(400)의 상측 면은 일측부(410) 및 타측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부(410)는 일측에 위치하고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다.
상기 타측부(420)는 타측에 위치하고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다.
상기 일측부(410) 및 타측부(420)에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상기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기관(400)은 상기 숯통(300)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숯통(300)이 급기관(400)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은 제1방열판(600a) 및 제2방열판(6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방열판(600a)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방열판(600b)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방열판(600a)은 제2방향의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제2방열판(600b)은 제2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판(600)은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00), 케이지(200) 및 방열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중에서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 및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을 연결하고 결합시킨다.
상기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는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과 결합된다.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은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을 제1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금속와이어(240)의 제1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1걸림부재(242) 및 제2걸림부재(244)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베이스판(212)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242)의 폭은 상기 제1관통홈(TG1)의 폭보다 크다.
상기 제2베이스판(222)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244)의 폭은 상기 제2관통홈(TG2)의 폭보다 크다.
상기 금속와이어(240)가 상기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되면, 금속와이어(240)는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을 제1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재(242)는 제1관통홈(TG1)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재(244)는 제2관통홈(TG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와이어(240)가 상기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부재(242) 및 제1관통홈(TG1) 사이에는 제1스프링(SP1)이 배치되거나 상기 제2걸림부재(244) 및 제2관통홈(TG2) 사이에는 제2스프링(SP2)이 배치된다.
상기 금속와이어(240)는 상기 제1스프링(SP1) 또는 제2스프링(SP2)을 관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제1커버(2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214)는 상기 제1베이스판(212)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베이스판(212)과 결합된다.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2커버(2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224)는 상기 제2베이스판(22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베이스판(222)과 결합된다.
상기 제1커버(214)는 제1커버판(215) 및 제1차단판(21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판(215)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한다.
상기 제1차단판(216)은 상기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차단판(216)은 상기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는다.
상기 제2커버(224)는 제2커버판(225) 및 제2차단판(226)을 포함한다.
상기 제2커버판(225)는 상기 제2베이스판(22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한다.
상기 제2차단판(226)은 상기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차단판(226)은 상기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커버(214)는 제1지지판(217)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판(217)은 상기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지지판(217)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한다.
상기 제2커버(224)는 제2지지판(227)을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판(227)은 상기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지지판(227)은 상기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100), 케이지(200), 방열수단 및 구동부(1000)를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10)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중에서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000)는 상기 케이지(200)를 회전시킨다.
상기 케이지(20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복수 개의 연결봉(230) 및 회전축(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을 연결하고 결합시킨다.
상기 회전축(250)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및 상기 구동부(1000)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지(2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기 분리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본체(200a) 및 분리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뚜껑(200b)으로 나누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상기 본체(200a)에 포함되는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 및 상기 뚜껑(200b)에 포함되는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본체(200a)에 포함되는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 및 뚜껑(200b)에 포함되는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상기 분리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본체(200a) 및 뚜껑(200b)에 나누어져서 포함된다.
상기 회전축(250)은 상기 본체(200a)에 포함돼서 상기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 및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과 결합된다.
상기 본체(200a) 및 뚜껑(200b)은 분리가능하다.
상기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의 제1방향의 일측면에는 제1돌출부(218)가 구비된다.
상기 제1돌출부(218)는 제1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돌출부(218)는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의 제1방향의 타측면에는 제2돌출부(228)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돌출부(228)는 제1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돌출부(228)는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S1)의 제1방향의 일측 내측면 및 타측 내측면에는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은 상기 회전축(250)을 지지한다.
상기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은 제1뚜껑지지편(114) 및 제2뚜껑지지편(124)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뚜껑지지편(114) 및 제2뚜껑지지편(124)은 상기 뚜껑(200b)이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돌출부(218)의 원호형상의 외주 및 상기 제2돌출부(228)의 원호형상의 외주와 각각 접하여 뚜껑(200b)을 지지한다.
상기 제1뚜껑지지편(114) 및 제2뚜껑지지편(124)은 U자형상이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200b)이 상기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함께 회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에는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돌출부(219)가 구비된다.
상기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에는 상기 제3돌출부(219)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IG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에는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4돌출부(229)가 구비된다.
상기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에는 상기 제4돌출부(229)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IG2)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지(200)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복수 개의 연결봉(230) 중에서 제1연결봉(230a)은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다각형의 형상의 각진 모퉁이 부위와 결합된다.
상기 제1연결봉(230a)은 상기 뚜껑(200b)에 포함된다.
상기 케이지(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연결봉(230a)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경우에, 제1연결봉(230a)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뚜껑(200b)의 양쪽이 대칭을 이룬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기(10)를 이용한 고기구이방법으로서, 제1구이단계 및 제2구이단계를 포함하는 고기구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구이단계에서는 상기 케이지(200)의 내부에 고기를 넣고 익힌다.
상기 제2구이단계에서는 상기 제1구이단계에서 익힌 고기를 상기 케이지(200)에서 빼내서 상기 불판(900)에서 익힌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식 구이기(10)가 하우징(100), 케이지(200), 한 쌍의 숯통(300), 한 쌍의 열 차단판(500), 한 쌍의 방열판(600) 및 가열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지(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는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한 쌍의 숯통(300)은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숯통(300)은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할 수 있다.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방열판(600)은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방열판(600)은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가열수단(700)은 방열판(600)을 가열할 수 있다.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또한, 고기의 풍미가 향상될 수 있고 고기의 중앙부까지 골고루 익으며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숯향이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에 스며들어서 고기의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숯의 원적외선이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에 조사되므로 고기의 중앙부까지 골고루 익으며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숯통(300) 뿐만 아니라 방열판(600)을 이용하여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방열판(600)에서 발생한 열이 열 차단판(500)에 가로막혀서 상방으로 곧바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케이지(2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신속하고 충분하게 익을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판(600)이 숯통(300)의 아래에 배치돼서 방열판(600)과 케이지(20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케이지(200)에 충분한 크기의 열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열차단판(500)은 방열판(600)의 열에 의해서 급기관(4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숯통(3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숯통(300a) 및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숯통(3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타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타측면에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숯통(300a)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타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일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일측면에는 일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숯통(300b)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일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일측면,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타측면 및 제1숯통(300a)과 제2숯통(300b)의 제1방향의 양측면은 막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숯통(300a) 및 제2숯통(300b)에 수용된 숯에서 방출되는 숯향, 원적외선 및 열이 제1숯통(300a) 및 제2숯통(300b) 사이에 배치된 케이지(2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의 풍미가 효과적으로 향상되고 고기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식 구이기는, 숯통(300)의 위에 설치되고 숯통(3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불판(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기를 케이지(200)에서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판(900)에서 익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지(200) 내에서 1차로 익힌 고기를 불판(900) 위에서 2차로 더 익힐 수 있다. 이처럼, 고기를 케이지(200)에서 1차로 익히고 불판(900)에서 2차로 익히면 케이지(200)에서만 익힐 때보다 고기를 신속하고 바삭하게 익힐 수 있으며 마이야르(Mailard)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빠르고 충분하게 익힐 수 있고 고기의 식감 및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숯통(300)에서 발생한 열이 불판(900)을 가열하는 동시에 불판(900)에 가로막혀서 상방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케이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신속하고 충분하게 익을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판(900)은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판부(910)는 상기 내부공간(S1)에 배치되거나 내부공간(S1)과 상하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제2판부(920)는 제1판부(910)와 연결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판(900) 중에서 제1판부(910)에서는 고기를 익힐 수 있고 제2판부(920)에서는 충분하게 익은 고기를 보온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익히고 보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1판부(910)의 하면의 높이가 제2판부(920)의 하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의 하측에는 단턱(ST)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판부(920)는 하우징(100)의 위에 안착되고 단턱(ST)은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판(900)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이에, 숯통(300)을 탈착하기 위해 불판(900)을 탈착해야 하는 본 발명의 회전식 구이기(10)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판부(910)와 숯통(3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숯통(300)의 열이 제1판부(91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구이기(10)는 송풍기(1100) 및 급기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관(400)은 중공(H)을 가질 수 있다. 급기관(400)은 일단이 송풍기(1100)와 연결되고 송풍기(11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를 숯통(300)에 공급할 수 있다. 급기관(400)은 숯통(300)과 열 차단판(5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급기관(400)은 숯통(300)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급기관(400)의 상측 면에는 상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숯통(300)의 하측 면에는 하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TH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숯통(300)의 상기 공간(S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급기관(400)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기관(400)이 숯통(300) 전체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숯통(300)에 수용된 숯 전부가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 전체의 풍미가 향상되고 고기 전체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방향에 대해서, 급기관(400)의 상측 면은 일측부(410) 및 타측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부(410)는 일측에 위치하고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타측부(420)는 타측에 위치하고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일측부(410) 및 타측부(420)에는 각각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기관(400)에서 방출된 산소가 여러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급기관(400)이 숯통(300) 전체에 산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관(400)은 숯통(300)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숯통(300)이 급기관(400)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식 구이기(10)에 숯통(300)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이에, 숯을 넣거나 빼기 위해 숯통(300)을 빈번하게 탈착해야 하는 회전식 구이기(10)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숯통(300)과 급기관(4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므로 산소가 숯통(300)에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방열판(600)은 제1방열판(600a) 및 제2방열판(6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방열판(600a)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방열판(600b)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방열판(600a)은 제2방향의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2방열판(600b)은 제2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600)이 케이지(200)를 향하여 배치되므로 방열판(600)에서 발생한 열이 케이지(200)에 더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판(600)은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600)이 원적외선을 방출하므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구이기(10)가 하우징(100), 케이지(200) 및 방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지(200)는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방열수단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중에서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 및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은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을 연결하고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는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은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은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은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은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을 제1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의 제1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1걸림부재(242) 및 제2걸림부재(244)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베이스판(212)의 둘레방향으로, 제1걸림부재(242)의 폭은 제1관통홈(TG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베이스판(222)의 둘레방향으로, 제2걸림부재(244)의 폭은 제2관통홈(TG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가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되면, 금속와이어(240)는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을 제1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부재(242)는 제1관통홈(TG1)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걸림부재(244)는 제2관통홈(TG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200)가 직경이 작은 금속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금속와이어(240)에 부착되는 부착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가 회전할 때에 고기가 금속와이어(24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적절하게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의 모든 부위가 골고루 익을 수 있고 고기가 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케이지(200)에 금속와이어(24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 중에서 일부의 금속와이어(240)가 손상된 경우에 손상된 일부의 금속와이어(240)만 교체하면 충분하다. 즉, 케이지(200)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이지(200)로부터 금속와이어(240)를 떼어낸 후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금속와이어(240)가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서 제1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제1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와이어(240)가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걸림부재(242) 및 제1관통홈(TG1) 사이에는 제1스프링(SP1)이 배치되거나 제2걸림부재(244) 및 제2관통홈(TG2) 사이에는 제2스프링(SP2)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는 제1스프링(SP1) 또는 제2스프링(SP2)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와이어(240)가 평평하게 펴질 수 있다. 이에, 금속와이어(240) 위에 얹혀진 고기의 모든 부위가 숯통(300) 또는 방열판(600)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의 모든 부위가 균일하게 익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제1커버(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214)는 제1베이스판(212)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베이스판(212)과 결합될 수 있다.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2커버(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224)는 제2베이스판(22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베이스판(222)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214)는 제1커버판(215) 및 제1차단판(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판(215)은 제1베이스판(21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다. 제1차단판(216)은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차단판(216)은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을 수 있다. 제2커버(224)는 제2커버판(225) 및 제2차단판(2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판(225)는 제2베이스판(22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다. 제2차단판(226)은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차단판(226)은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속와이어(240)가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결합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금속와이어(240)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의 결합부위가 보호될 수 있으므로 케이지(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제2차단판(216, 226)이 금속와이어(240)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버(214)는 제1지지판(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판(217)은 상기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지지판(217)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할 수 있다. 제2커버(224)는 제2지지판(2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판(227)은 상기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지지판(227)은 상기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 사이에 제1/제2지지판(217, 227)이 개제되므로,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 사이가 채워지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더라도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이 일정한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후자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므로,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와이어(240)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의 결합부위가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므로, 제1/제2커버판(215, 225)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제2차단판(216, 226)이 변형되거나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1/제2차단판(216, 226)이 복수 개의 제1/제2관통홈(TG1, TG2)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금속와이어(240)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구이기(10)가 하우징(100), 케이지(200), 방열수단 및 구동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지(200)는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200)는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방열수단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중에서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000)는 케이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케이지(20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복수 개의 연결봉(230) 및 회전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을 연결하고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축(250)은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및 구동부(1000)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지(2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분리면을 기준으로 분리면의 일측에 위치하는 본체(200a) 및 분리면의 타측에 위치하는 뚜껑(20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면을 기준으로,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본체(200a)에 포함되는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 및 뚜껑(200b)에 포함되는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면을 기준으로,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본체(200a)에 포함되는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 및 뚜껑(200b)에 포함되는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면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본체(200a) 및 뚜껑(200b)에 나누어져서 포함될 수 있다. 회전축(250)은 본체(200a)에 포함돼서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 및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과 결합될 수 있다. 본체(200a) 및 뚜껑(200b)은 분리가능할 수 있다.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의 제1방향의 일측면에는 제1돌출부(218)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돌출부(218)는 제1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돌출부(218)는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의 제1방향의 타측면에는 제2돌출부(228)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부(228)는 제1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돌출부(228)는 상기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S1)의 제1방향의 일측 내측면 및 타측 내측면에는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은 회전축(25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은 제1뚜껑지지편(114) 및 제2뚜껑지지편(124)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뚜껑지지편(114) 및 제2뚜껑지지편(124)은 뚜껑(200b)이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돌출부(218)의 원호형상의 외주 및 제2돌출부(228)의 원호형상의 외주와 각각 접하여 뚜껑(200b)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뚜껑지지편(114) 및 제2뚜껑지지편(124)은 U자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200b)이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함께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200b)을 본체(200a)에 결합(체결)시키는 별도의 결합(체결)부재가 없어도 뚜껑(200b)이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뚜껑(200b)과 본체(200a)를 결합(체결)시키지 않더라도 케이지(2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뚜껑(200b)과 본체(200a)의 결합(체결)을 별도로 해제하지 않더라도 뚜껑(200b)을 본체(200a)로부터 분리시켜서 본체(200a)에 고기 등을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결합(체결)부재가 없어서 구성이 간단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에는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돌출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에는 제3돌출부(219)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IG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에는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4돌출부(229)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에는 제4돌출부(229)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IG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200a)가 뚜껑(200b)에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뚜껑(200b)이 제3/제4돌출부(219, 229)에 걸려서 본체(200a)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뚜껑(200b)을 본체(200a)에 결합(체결)시키는 별도의 결합(체결)부재가 없어도 뚜껑(200b)이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지(200)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지고, 이에 따라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봉(230) 중에서 제1연결봉(230a)은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다각형의 형상의 각진 모퉁이 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봉(230a)은 뚜껑(200b)에 포함될 수 있다. 케이지(200)의 회전에 따라 제1연결봉(230a)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경우에, 제1연결봉(230a)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뚜껑(200b)의 양쪽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연결봉(230a)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경우에 뚜껑(200b)의 무게중심이 제1연결봉(230a)에 위치하거나 제1연결봉(230a)의 연작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연결봉(230a)을 들어올림으로써 뚜껑(200b)이 본체(200a)로부터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구이기(10)를 이용한 고기구이방법으로서, 고기구이방법은 제1구이단계 및 제2구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이단계에서는 케이지(200)의 내부에 고기를 넣고 익힐 수 있다. 제2구이단계에서는 제1구이단계에서 익힌 고기를 케이지(200)에서 빼내서 불판(900)에서 익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200)만 사용해서 고기를 익힐 때보다 고기를 빨리 익힐 수 있고 바삭하게 익힐 수 있으며 마이야르(Mailard)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빠르고 충분하게 익힐 수 있고 고기의 식감 및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의 사시도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회전식 구이기에서 케이지 및 불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회전식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4의 제1숯통의 사시도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3 및 도 4의 급기관의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 및 도 4의 열차단판의 사시도다.
도 11은 도 3 및 도 4의 제1방열판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이 도 11의 방열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 도 2 및 도 4의 불판의 사시도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 도 2 및 도 4의 케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케이지의 본체 부분 및 뚜껑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 및 도 15의 케이지가 도 1 내지 도 4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의 하우징에 구비된 제1지지편 및 제2지지편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개시되는 회전식 구이기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의 사시도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회전식 구이기에서 케이지 및 불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회전식 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10)는 하우징(100), 케이지(200) 및 방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열수단은 숯통(300) 및 방열판(6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회전식 구이기(10)는 열 차단판(500) 및 가열수단(700, 도 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구이기(10)는 급기관(400), 기름받이(800) 및 불판(90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식 구이기(10)는 구동부(1000), 송풍기(1100), 이송관(1200) 및 제어부(1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하우징]
하우징(100)은 회전식 구이기(1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케이지(200), 숯통(300), 급기관(400), 열 차단판(500), 방열판(600) 및 가열수단(700, 도 12)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1방향(예컨대, 전후방향)의 일측(예컨대, 전측) 내측면 및 타측(예컨대, 후측) 내측면에는 케이지(200)의 회전축(250, 도 14)을 지지하는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의 제1방향의 양단부가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3, 도 18 내지 도 20).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케이지]
케이지(200)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지(200)의 제1방향의 양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구비된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18).
케이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예컨대, 전후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예컨대, 좌우방향)의 일측(예컨대, 좌측) 및 타측(예컨대, 우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케이지(2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지(200)의 중심축(예컨대, 회전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을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할 수 있다.
케이지(20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음식물은 예를 들면 고기일 수 있다.
케이지(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숯통]
한 쌍의 숯통(3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숯통(3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숯통(300a) 및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숯통(3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은 전?D한 바와 같이 케이지(20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한 쌍의 숯통(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타측면(예컨대, 우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고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일측면(예컨대, 좌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1항//이에 따라, 숯향이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에 스며들어서 고기의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숯의 원적외선이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에 조사되므로 고기의 중앙부까지 골고루 익으며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내지 도 4의 제1숯통의 사시도다.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숯통(300a)은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지(200)를 따라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숯통(300a)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타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타측면에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물망에 형성된 개구가 관통공(TH1)일 수 있다. 이에, 제1숯통(300a)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타방(예컨대, 오른쪽)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숯통(300b)은 제1숯통(300a)과 제2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숯통(300b)은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지(200)를 따라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숯통(300b)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숯통(300b)의 제2방향의 일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2숯통(300b)의 제2방향의 일측면에는 일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물망에 형성된 개구가 관통공(TH1)일 수 있다. 이에, 2숯통(300b)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일방(예컨대, 왼쪽)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반면에,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일측면,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타측면 및 제1숯통(300a)과 제2숯통(300b)의 제1방향의 양측면은 막혀 있을 수 있다.
2항//이에 따라, 제1숯통(300a) 및 제2숯통(300b)에 수용된 숯에서 방출되는 숯향, 원적외선 및 열이 제1숯통(300a) 및 제2숯통(300b) 사이에 배치된 케이지(2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의 풍미가 효과적으로 향상되고 고기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숯통(300)의 하측 면에는 하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TH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숯통(300)의 상기 공간(S2)이 숯통(300)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기관(400)과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숯통(300)의 하부에는 고정프레임(31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10)에는 급기관(400)의 상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급기관(400)의 상면이 삽입되는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숯통(300)이 급기관(400)과 접할 수 있고 급기관(400)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한편, 숯을 수용하는 숯통(300) 내부의 공간(S2)은 도면과 같이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급기관]
급기관(400)은 숯통(300)과 열 차단판(5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급기관(4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숯통(300)과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도 4). 여기에서,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은 전?D한 바와 같이 케이지(20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급기관(400)은 숯통(300)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기관(400)은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숯통(300)을 따라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도 3, 도 4).
급기관(400)의 일단은 송풍기(1100, 도 2)와 연결될 수 있다. 급기관(400)의 타단은 막혀 있을 수 있다.
급기관(400)은 송풍기(11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를 숯통(3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3 및 도 4의 급기관의 사시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관(400)은 중공(H)을 가질 수 있다. 급기관(400)의 상측 면에는 상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중공(H)이 급기관(400)의 위쪽과 연통될 수 있다.
이 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고, 숯통(300)의 하측 면에는 하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TH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5, 도 6). 이에, 숯통(300)의 상기 공간(S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숯통(300)의 아래쪽에 설치된 급기관(400)과 연통될 수 있다.
6항//이에 따라, 급기관(400)이 숯통(300) 전체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숯통(300)에 수용된 숯 전부가 효과적으로 연소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 전체의 풍미가 향상되고 고기 전체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다.
급기관(400)의 상측 면은 제2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일측부(410) 및 제2방향의 타측에 위치하고 제2방향의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타측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부(410) 및 타측부(420)에는 각각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7항//이에 따라, 급기관(400)에서 방출된 산소가 여러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급기관(400)이 숯통(300) 전체에 산소를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급기관(400)은 숯통(300)과 접할 수 있다(도 4).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급기관(400)의 상면이 숯통(300)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프레임(310)의 홈(G)에 삽입됨으로써 급기관(400)이 숯통(300)과 접할 수 있다. 이에, 급기관(400)이 숯통(300)을 고정시키거나 지지할 수 있다.
8항//이에 따라, 회전식 구이기(10)에 숯통(300)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이에, 숯을 넣거나 빼기 위해 숯통(300)을 빈번하게 탈착해야 하는 회전식 구이기(10)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숯통(300)과 급기관(4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므로 산소가 숯통(300)에 효율적 및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열 차단판]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도 3, 도 4). 여기에서,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은 전?D한 바와 같이 케이지(20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한 쌍의 급기관(400)이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설치된 경우에는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한 쌍의 급기관(400)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도 3, 도 4). 또한,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한 쌍의 방열판(600) 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도 3 및 도 4의 열차단판의 사시도다.
도 10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차단판(500)은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차단판(500)은 방열판(600)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판(600)이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경우에 열 차단판(500)은 방열판(600)을 따라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도 3, 도 4).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할 수 있다.
1항//이에 따라, 방열판(600)에서 발생한 열이 상방으로 곧바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케이지(20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신속하고 충분하게 익을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판(600)이 숯통(300)의 아래에 배치돼서 방열판(600)과 케이지(20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더라도 케이지(200)에 충분한 크기의 열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열차단판(500)은 방열판(600)의 열에 의해서 급기관(4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열판]
한 쌍의 방열판(6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될 수 있다(도 3, 도 4).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방열판(600)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방열판(600a) 및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방열판(6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은 전?D한 바와 같이 케이지(20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한 쌍의 방열판(600)은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도 3, 도 4).
1항//이처럼, 숯통(300) 뿐만 아니라 방열판(600)을 이용하여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도 11은 도 3 및 도 4의 제1방열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방열판(600a)은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지(200)를 따라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방열판(600a)은 제2방향의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방열판(600b)은 제1방열판(600a)과 제2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방열판(600b)은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지(200)를 따라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방열판(600b)은 제2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9항//이와 같이, 제1방열판(600a)은 제2방향의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제2방열판(600b)은 제2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600)이 케이지(200)를 향하여 배치되므로 방열판(600)에서 발생한 열이 케이지(200)에 더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방열판(600)은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10항//이에 따라, 방열판(600)이 원적외선을 방출하므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의 중앙부까지 빠르고 효과적으로 익을 수 있다.
[가열수단]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이 도 11의 방열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700)은 가스공급관(710), 노즐프레임(720) 및 점화장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600)에는 방열판(600)을 전후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구멍(61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공급관(710)은 일단이 가스배관 또는 가스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노즐프레임(720)과 연결될 수 있다. 가스공급관(710)은 노즐프레임(720)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노즐프레임(720)은 방열판(600)의 이면(후면)과 결합될 수 있다. 노즐프레임(720)의 내부에는 가스를 토출하는 복수 개의 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각 노즐은 방열판(600)의 각 구멍(610)과 연결될 수 있다.
점화장치(730)는 방열판(600)의 전면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점화장치(730)는 불꽃을 발생시켜서 방열판(600)의 구멍(610)으로 토출되는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다.
다만, 가열수단(700)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가열수단(700)은 방열판(600)을 가열할 수 있다.
[기름받이]
기름받이(80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도 4). 기름받이(800)는 탈착가능할 수 있다.
기름받이(800)는 예를 들면,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에서 빠져나온 기름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름받이(800)는 케이지(200)에서 떨어져서 한 쌍의 방열판(600) 사이를 통과한 기름을 수용할 수 있다.
[불판]
불판(900)은 숯통(300)의 위에 설치될 수 있다(도 1, 도 2, 도 4). 불판(900)은 숯통(3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3항//이에 따라, 고기 등을 케이지(200)에서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판(900)에서 익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지(200) 내에서 1차로 익힌 고기를 불판(900) 위에서 2차로 더 익힐 수 있다. 이처럼, 고기를 케이지(200)에서 1차로 익히고 불판(900)에서 2차로 익히면 케이지(200)에서만 익힐 때보다 고기를 신속하고 바삭하게 익힐 수 있으며 마이야르(Mailard)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빠르고 충분하게 익힐 수 있고 고기의 식감 및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숯통(300)에서 발생한 열이 불판(900)을 가열하는 동시에 불판(900)에 가로막혀서 상방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케이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신속하고 충분하게 익을 수 있고 에너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 도 2 및 도 4의 불판의 사시도다.
도 13을 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900)은,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판부(91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배치되거나 내부공간(S1)과 상하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이에, 제1판부(910)는 고온일 수 있고 제1판부(910) 위에서는 고기가 익을 수 있다.
제2판부(920)는 제1판부(910)와 연결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제2판부(920)는 제1판부(910)보다 저온일 수 있고 제2판부(920) 위에서는 고기가 익지 않되 보온될 수 있다.
4항//이에 따라, 불판(900) 중에서 제1판부(910)에서는 고기를 익힐 수 있고 제2판부(920)에서는 충분하게 익은 고기를 보온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익히고 보온할 수 있다.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1판부(910)의 하면의 높이가 제2판부(920)의 하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의 하측에는 단턱(ST)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판부(920)는 하우징(100)의 위에 안착될 수 있고 단턱(ST)은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다.
5항//이에 따라, 불판(900)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이에, 숯통(300)을 탈착하기 위해 불판(900)을 탈착해야 하는 본 발명의 회전식 구이기(10)에 있어서, 사용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판부(910)와 숯통(30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숯통(300)의 열이 제1판부(910)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부]
구동부(1000)는 모터(1010, 도 2) 및 구동기어(1020, 도 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0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2).
구동기어(1020)는 모터(1010)의 회전축(미도시됨)과 결합될 수 있다. 구동기어(102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1방향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구동기어(1020)는 케이지(200)의 회전축(25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기어(1020)는 케이지(200)의 회전축(250)의 제1방향의 타단부에 구비된 피동기어(260, 도 14 및 도 15)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구동부(1000)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1000)는 케이지(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기]
송풍기(11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2). 송풍기(1100)는 이송관(1200)과 연결될 수 있다(도 2).
송풍기(1100)는 이송관(1200)에 산소(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송관]
이송관(1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도 2). 이송관(1200)은 일단이 송풍기(1100)와 연결되고(도 2) 타단이 급기관(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송관(1200)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도 2). 한 쌍의 이송관(1200)은 한 쌍의 급기관(40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송관(1200)은 송풍기(1100)에서 공급된 산소(공기)를 급기관(400)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13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0)는 구동부(1000)의 모터(1010) 및 송풍기(1100)가 설치된 하우징(100)의 제1방향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회전제어부(1310), 팬제어부(1320), 제1가열량제어부(1330) 및 제2가열량제어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제어부(1310)는 케이지(2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회전제어부(1310)는 구동부(1000)의 모터(1010)와 연결될 수 있고 모터(10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회전제어부(1310)는 케이지(2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팬제어부(1320)는 숯통(300)에 공급되는 산소(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팬제어부(1320)는 송풍기(1100)와 연결될 수 있고 송풍기(1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팬제어부(1320)는 송풍기(1100)와 연결된 급기관(400)이 숯통(300)에 공급하는 산소(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1가열량제어부(1330)는 제1방열판(600a)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가열량제어부(1330)는 제1방열판(600a)과 연결된 가열수단(700)의 가스공급관(710)에 구비된 가스밸브(미도시됨)와 연결될 수 있고 가스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가열량제어부(1330)는 제1방열판(600a)의 구멍(610)으로 토출돼서 연소되는 가스의 양 즉 제1방열판(600a)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가열량제어부(1340)는 제2방열판(600b)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가열량제어부(1340)는 제2방열판(600b)과 연결된 가열수단(700)의 가스공급관(710)에 구비된 가스밸브(미도시됨)와 연결될 수 있고 가스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2가열량제어부(1340)는 제2방열판(600b)의 구멍(610)으로 토출돼서 연소되는 가스의 양 즉 제2방열판(600b)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1항//이와 같이, 회전식 구이기(10)가 하우징(100), 케이지(200), 숯통(300), 열 차단판(500), 방열판(600) 및 가열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를 익힐 수 있다. 또한, 고기의 풍미가 향상될 수 있고 고기의 중앙부까지 골고루 익으며 고기의 육질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상기의 효과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케이지(2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케이지 상세]
도 14 및 도 15는 도 1, 도 2 및 도 4의 케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케이지의 본체 부분 및 뚜껑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4 및 도 15의 케이지가 도 1 내지 도 4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8의 하우징에 구비된 제1지지편 및 제2지지편의 정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20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 제2베이스프레임(220) 및 연결봉(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지(200)는 금속와이어(240), 회전축(250) 및 피동기어(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살펴본 후에 케이지(200)의 본체(200a) 부분 및 뚜껑(200b) 부분을 살펴본다.
[제1베이스프레임, 제2베이스프레임]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더 참조하면,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은 제1/제2베이스판(212, 222) 및 제1/2커버(214, 224)로 분리될 수 있다.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제1베이스판(212) 및 제1커버(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판(212)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커버(214)는 제1베이스판(212)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버(214)는 제1베이스판(212)과 결합될 수 있다.
제1커버(214)는 제1커버판(215), 제1차단판(216) 및 제1지지판(2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판(215)은 제1베이스판(21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다.
제1차단판(216)은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을 수 있다.
제1지지판(217)은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1베이스판(21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할 수 있다.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2베이스판(222) 및 제2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판(222)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커버(224)는 제2베이스판(22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버(224)는 제2베이스판(222)과 결합될 수 있다.
제2커버(224)는 제2커버판(225), 제2차단판(226) 및 제2지지판(2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버판(225)은 제2베이스판(22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다.
제2차단판(226)은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을 수 있다.
제2지지판(227)은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할 수 있다. 전술한 제1지지판(217)은 제2지지판(227)과 제1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베이스프레임(210)이 제1커버판(215) 및 제1차단판(2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커버(214)를 포함하고 제2베이스프레임(220)이 제2커버판(225) 및 제2차단판(2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커버(224)를 포함할 수 있다.
13항//이에 따라, 금속와이어(240)가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결합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금속와이어(240)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의 결합부위가 보호될 수 있으므로 케이지(2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제2차단판(216, 226)이 금속와이어(240)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커버(214)가 제1지지판(217)을 더 포함하고, 제2커버(224)가 제2지지판(2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14항//이에 따라,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 사이에 제1/제2지지판(217, 227)이 개제되므로,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 사이가 채워지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더라도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이 일정한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후자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므로,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와이어(240)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의 결합부위가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제2베이스프레임(210, 2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제2베이스판(212, 222)과 제1/제2커버판(215, 225)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므로, 제1/제2커버판(215, 225)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제2차단판(216, 226)이 변형되거나 이동 또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제1/제2차단판(216, 226)이 복수 개의 제1/제2관통홈(TG1, TG2)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금속와이어(240)가 제1/제2베이스판(212, 222)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봉]
연결봉(230)은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연결봉(230)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봉(230)은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을 연결하고 결합시킬 수 있다.
[금속와이어]
금속와이어(2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는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과 결합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의 제1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1걸림부재(242) 및 제2걸림부재(244)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베이스판(212)의 둘레방향으로, 제1걸림부재(242)의 폭(W2)은 제1관통홈(TG1)의 폭(W1)보다 클 수 있다.
제2베이스판(222)의 둘레방향으로, 제2걸림부재(244)의 폭(W5)은 제2관통홈(TG2)의 폭(W4)보다 클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가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되면, 금속와이어(240)는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고 제1걸림부재(242)는 제1관통홈(TG1)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걸림부재(244)는 제2관통홈(TG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11항//이에 따라, 케이지(200)가 직경이 작은 금속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금속와이어(240)에 부착되는 부착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가 회전할 때에 고기가 금속와이어(24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적절하게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의 모든 부위가 골고루 익을 수 있고 고기가 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케이지(200)에 금속와이어(24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이에,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 중에서 일부의 금속와이어(240)가 손상된 경우에 손상된 일부의 금속와이어(240)만 교체하면 충분하다. 즉, 케이지(200)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또한, 케이지(200)로부터 금속와이어(240)를 떼어낸 후에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금속와이어(240)가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서 제1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제1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케이지(200)에 수용된 고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가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걸림부재(242) 및 제1관통홈(TG1) 사이에는 제1스프링(SP1)이 배치되거나 제2걸림부재(244) 및 제2관통홈(TG2) 사이에는 제2스프링(SP2)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와이어(240)는 제1스프링(SP1) 또는 제2스프링(SP2)을 관통할 수 있다.
12항//이에 따라, 금속와이어(240)가 평평하게 펴질 수 있다. 이에, 금속와이어(240) 위에 얹혀진 고기의 모든 부위가 숯통(300) 또는 방열판(600)으로부터 균일한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기의 모든 부위가 균일하게 익을 수 있다.
제1베이스판(212)의 둘레방향으로, 제1스프링(SP1)의 폭은 제1관통홈(TG1)의 폭(W1)보다 크고 제1걸림부재(242)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베이스판(222)의 둘레방향으로, 제2스프링(SP2)의 폭은 제2관통홈(TG2)의 폭(W4)보다 크고 제2걸림부재(244)의 폭(W5)보다 작을 수 있다.
[회전축, 피동기어]
도 18을 더 참조하면, 회전축(250)은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과 결합될 수 있다(도 14 내지 도 16, 도 18).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회전축(250)은 일측 축부(250a) 및 타측 축부(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 축부(250a)는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결합될 수 있다. 일측 축부(250a)는 제1베이스프레임(210)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타측 축부(250b)는 제2베이스프레임(220)과 결합될 수 있다. 타측 축부(250b)는 제2베이스프레임(220)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피동기어(260)는 타측 축부(250b)에 결합될 수 있다. 피동기어(260)와 타측 축부(250b)의 중심축은 일치할 수 있다.
피동기어(260)는 전술한 구동기어(1020, 도 3)과 맞물릴 수 있다. 이에, 회전축(250)은 구동부(10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체, 뚜껑, 제1/제2지지편]
케이지(200)는 본체(200a) 및 뚜껑(20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도 14 내지 도 17). 구체적으로, 케이지(2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를 지나는 가상의 분리면(예컨대, 케이지를 반분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분리면의 일측(예컨대, 하측)에 위치하는 본체(200a) 및 분리면의 타측(예컨대, 상측)에 위치하는 뚜껑(20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에, 분리면을 기준으로,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본체(200a)에 포함되는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 및 뚜껑(200b)에 포함되는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면을 기준으로,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본체(200a)에 포함되는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 및 뚜껑(200b)에 포함되는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면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연결봉(230)은 본체(200a) 및 뚜껑(200b)에 나누어져서 포함될 수 있다.
회전축(250)은, 본체(200a)에 포함돼서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 및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과 결합될 수 있다(도 16).
본체(200a) 및 뚜껑(200b)은 분리가능할 수 있다.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의 제1방향의 일측면에는 제1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을 포함하는 제1돌출부(218)가 구비될 수 있다(도 14, 도 17).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의 제1방향의 타측면에는 제1방향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을 포함하는 제2돌출부(228)가 구비될 수 있다(도 15).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제1방향의 일측 내측면 및 타측 내측면에는 제1지지편(110) 및 제2지지편(12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도 3, 도 18).
도 19를 더 참조하면, 제1지지편(110)은 제1본체지지편(112) 및 제1뚜껑지지편(114)을 포함할 수 있다(도 18, 도 19).
제1본체지지편(112)은 본체(200a)의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과 결합된 일측 축부(250a)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본체지지편(112)에는 U자형상의 홈(G1)이 형성될 수 있고 U자형상의 홈(G1)에 일측 축부(250a)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본체(200a)가 제1본체지지편(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제1뚜껑지지편(114)은 뚜껑(200b)이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돌출부(218)의 원호형상의 외주와 접하여 뚜껑(200b)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뚜껑지지편(114)은 U자형상일 수 있다.
도 20을 더 참조하면, 제2지지편(120)은 제2본체지지편(122) 및 제2뚜껑지지편(124)을 포함할 수 있다(도 18, 도 20).
제2본체지지편(122)은 본체(200a)의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과 결합된 타측 축부(250b)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본체지지편(122)에는 U자형상의 홈(G2)이 형성될 수 있고 U자형상의 홈(G2)에 타측 축부(250b)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본체(200a)가 제2본체지지편(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제2뚜껑지지편(124)은 뚜껑(200b)이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돌출부(228)의 원호형상의 외주와 접하여 뚜껑(200b)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뚜껑지지편(124)은 U자형상일 수 있다.
이에, 뚜껑(200b)이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함께 회전할 수 있다.
15항//이에 따라, 뚜껑(200b)을 본체(200a)에 결합(체결)시키는 별도의 결합(체결)부재가 없어도 뚜껑(200b)이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뚜껑(200b)과 본체(200a)를 결합(체결)시키지 않더라도 케이지(20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뚜껑(200b)과 본체(200a)의 결합(체결)을 별도로 해제하지 않더라도 뚜껑(200b)을 본체(200a)로부터 분리시켜서 본체(200a)에 고기 등을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결합(체결)부재가 없어서 구성이 간단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에는 제1본체베이스프레임(210a)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돌출부(219)가 구비될 수 있다(도 16).
제1뚜껑베이스프레임(210b)에는 제3돌출부(219)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IG1)이 형성될 수 있다(도 17).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에는 제2본체베이스프레임(220a)으로부터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4돌출부(229)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뚜껑베이스프레임(220b)에는 제4돌출부(229)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IG2)이 형성될 수 있다.
16항//이에 따라, 본체(200a)가 뚜껑(200b)에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뚜껑(200b)이 제3/제4돌출부(219, 229)에 걸려서 본체(200a)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뚜껑(200b)을 본체(200a)에 결합(체결)시키는 별도의 결합(체결)부재가 없어도 뚜껑(200b)이 본체(200a)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케이지(200)는 다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연결봉(230) 중에서 제1연결봉(230a)은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다각형의 형상의 각진 모퉁이 부위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봉(230a)은 뚜껑(200b)에 포함될 수 있다.
케이지(200)의 회전에 따라 제1연결봉(230a)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경우에, 제1연결봉(230a)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뚜껑(200b)의 양쪽이 대칭을 이룰 수 있다(도 14, 도 15, 도 17, 도 18). 여기에서, 제1연결봉(230a)의 중심축은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케이지(200)가 정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케이지(200)가 도면과 같이 전술한 분리면에 의해서 두 개의 5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본체(200a) 및 뚜껑(200b)으로 반분될 수 있다. 5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뚜껑(200b)의 5개의 각진 모퉁이 부위 중에서 분리면과 가장 먼 모퉁이 부위와 결합되는 연결봉(230)이 제1연결봉(230a)일 수 있다. 케이지(200)의 회전에 따라 제1연결봉(230a)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경우에, 제1연결봉(230a)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뚜껑(200b)의 양쪽이 대칭을 이룰 수 있다.
17항//이에 따라, 제1연결봉(230a)이 가장 높이 위치하는 경우에 뚜껑(200b)의 무게중심이 제1연결봉(230a)에 위치하거나 제1연결봉(230a)의 연작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연결봉(230a)을 들어올림으로써 뚜껑(200b)이 본체(200a)로부터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케이지(200)가 정육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케이지(200)가 도면과 달리 분리면에 의해서 두 개의 4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본체(200a) 및 뚜껑(200b)으로 반분되면, 뚜껑(200b)의 4개의 각진 모퉁이 부위와 결합되는 연결봉(23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케이지(200)의 회전에 따라 가장 높이 위치하더라도 연결봉(230)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뚜껑(200b)의 양쪽이 대칭을 이룰 수 없다. 이에 따라, 뚜껑(200b)의 4개의 각진 모퉁이 부위와 결합되는 연결봉(230) 중에서 어느 하나를 들어올리면 뚜껑(200b)이 기울어져서 뚜껑(200b)이 본체(200a)로부터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제1연결봉(230a)에는 뚜껑(200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5돌출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돌출부(232)는 제1연결봉(230a)의 제1방향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5돌출부(232)에는 도면과 같이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과 달리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제5돌출부(232)의 홈에 고리를 관통시키거나 제5돌출부(232)의 고리에 막대를 걸어서 뚜껑(200b)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고기구이방법]
이하, 회전식 구이기(10)를 이용한 고기구이방법을 살펴본다.
고기구이방법은 제1구이단계 및 제2구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이단계에서는, 케이지(200)의 내부에 고기를 넣고 익힐 수 있다.
제2구이단계에서는, 제1구이단계에서 익힌 고기를 케이지(200)에서 빼내서 불판(900)에서 익힐 수 있다.
18항//이에 따라, 케이지(200)만 사용해서 고기를 익힐 때보다 고기를 빨리 익힐 수 있고 바삭하게 익힐 수 있으며 마이야르(Mailard) 반응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고기를 빠르고 충분하게 익힐 수 있고 고기의 식감 및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회전식 구이기
100: 하우징 110: 제1지지편
112: 제1본체지지편 114: 제1뚜껑지지편
120: 제2지지편 122: 제2본체지지편
124: 제2뚜껑지지편
200: 케이지
210: 제1베이스프레임 212: 제1베이스판
214: 제1커버 215: 제1커버판
216: 제1차단판 217: 제1지지판
218: 제1돌출부 219: 제3돌출부
220: 제2베이스프레임 222: 제2베이스판
224: 제2커버 225: 제2커버판
226: 제2차단판 227: 제2지지판
228: 제2돌출부 229: 제4돌출부
230: 연결봉 232: 제5돌출부
240: 금속와이어 242: 제1걸림부재
244: 제2걸림부재 250: 회전축
250a: 일측 축부 250b: 타측 축부
260: 피동기어
200a: 본체 200b: 뚜껑
210a: 제1본체베이스프레임 210b: 제1뚜껑베이스프레임
220a: 제2본체베이스프레임 220b: 제2뚜껑베이스프레임
300: 숯통 310: 고정프레임
400: 급기관 410: 일측부
420: 타측부
500: 열 차단판
600: 방열판 610: 구멍
700: 가열수단 710: 가스공급관
720: 노즐프레임 730: 점화장치
800: 기름받이
900: 불판 910: 제1판부
920: 제2판부
1000: 구동부 1010: 모터
1020: 구동기어
1100: 송풍기 1200: 이송관
1300: 제어부 1310: 회전제어부
1320: 팬제어부 1330: 제1가열량제어부
1340: 제2가열량제어부

Claims (15)

  1.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하는 케이지(2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숯통(3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방열판(600); 및
    상기 방열판(60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70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하며,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는 제1숯통(300a) 및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타측에 설치되는 제2숯통(30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타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타측면에는 타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숯통(300a)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타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일측면은 그물망 형태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일측면에는 일측면을 관통하는 한 개 이상의 관통공(TH1)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2숯통(300b)의 상기 공간(S2)이 제2방향의 일방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숯통(300a)의 제2방향의 일측면, 상기 제2숯통(300b)의 제2방향의 타측면 및 상기 제1숯통(300a)과 제2숯통(300b)의 제1방향의 양측면은 막힌,
    회전식 구이기.
  2.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하는 케이지(2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숯통(3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방열판(600);
    상기 방열판(60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700);
    송풍기(1100); 및
    중공(H)을 가지고 일단이 상기 송풍기(1100)와 연결되며 송풍기(1100)로부터 공급받은 산소를 상기 숯통(300)에 공급하는 급기관(40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하고,
    상기 급기관(400)은 상기 숯통(300)과 열 차단판(500) 사이에 설치되고 숯통(300)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급기관(400)의 상측 면에는 상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상기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는 공간(S2)이 형성되고,
    상기 숯통(300)의 하측 면에는 하측 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공(TH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숯통(300)의 상기 공간(S2)이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급기관(400)과 연통되고,
    제2방향에 대해서, 상기 급기관(400)의 상측 면은 일측에 위치하고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일측부(410) 및 타측에 위치하고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타측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부(410) 및 타측부(420)에는 각각 상기 복수 개의 급기공(TH3)이 상기 숯통(3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회전식 구이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400)은 상기 숯통(300)과 접하고 이에 따라 숯통(300)이 급기관(400)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지지되는, 회전식 구이기.
  4.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하는 케이지(2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케이지(200)와 제2방향으로 각각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숯통(3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숯통(3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의 아래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방열판(600); 및
    상기 방열판(600)을 가열하는 가열수단(70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열 차단판(500)은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의 위쪽을 가려서 방열판(600)의 열이 한 쌍의 열 차단판(500)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케이지(200)로 전달되게 유도하며,
    상기 한 쌍의 방열판(600)은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에 설치되는 제1방열판(600a) 및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타측에 설치되는 제2방열판(60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방열판(600a)은 제2방향의 타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2방열판(600b)은 제2방향의 일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식 구이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구이기는,
    상기 숯통(300)의 위에 설치되고, 숯통(30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서 가열되는 불판(900)을 더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S2)이 형성되는, 회전식 구이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불판(900)은, 상기 내부공간(S1)에 배치되거나 내부공간(S1)과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판부(910) 및 상기 제1판부(910)와 연결되고 제2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판부(920)를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제1판부(910)의 하면의 높이가 제2판부(920)의 하면의 높이보다 낮고 이에 따라 제1판부(910) 및 제2판부(920)가 연결되는 부위의 하측에는 단턱(ST)이 형성되고,
    상기 제2판부(9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위에 안착되고 상기 단턱(ST)은 상기 내부공간(S1)의 내측면에 걸리는, 회전식 구이기.
  9.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300)의 내부에는 숯을 수용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공간(S2)이 형성되는, 회전식 구이기.
  10.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600)은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회전식 구이기.
  11.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S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S1)을 상하방향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하는 케이지(200); 및
    상기 내부공간(S1)의 제2방향의 상기 일측 및 타측 중에서 적어도 한 쪽에 설치되는 방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200)는,
    제1방향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과 제2베이스프레임(220)을 연결하고 결합시키는 한 개 이상의 연결봉(230); 및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의 테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과 결합되는 복수 개의 금속와이어(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 및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제1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이스판(212) 및 제2베이스판(222)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제1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 및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금속와이어(240)의 제1방향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1걸림부재(242) 및 제2걸림부재(244)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212)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1걸림부재(242)의 폭은 상기 제1관통홈(TG1)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베이스판(222)의 둘레방향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244)의 폭은 상기 제2관통홈(TG2)의 폭보다 크고,
    상기 금속와이어(240)가 상기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되면, 금속와이어(240)는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을 제1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걸림부재(242)는 제1관통홈(TG1)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걸림부재(244)는 제2관통홈(TG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회전식 구이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금속와이어(240)가 상기 제1관통홈(TG1) 및 제2관통홈(TG2)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부재(242) 및 제1관통홈(TG1) 사이에는 제1스프링(SP1)이 배치되거나 상기 제2걸림부재(244) 및 제2관통홈(TG2) 사이에는 제2스프링(SP2)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와이어(240)는 상기 제1스프링(SP1) 또는 제2스프링(SP2)을 관통하는, 회전식 구이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프레임(210)은 상기 제1베이스판(212)보다 제1방향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베이스판(212)과 결합되는 제1커버(2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베이스프레임(220)은 상기 제2베이스판(222)보다 제1방향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2베이스판(222)과 결합되는 제2커버(2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214)는, 상기 제1베이스판(21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1커버판(215) 및 상기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관통홈(TG1)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는 제1차단판(216)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224)는 상기 제2베이스판(222)과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제2커버판(225) 및 상기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관통홈(TG2)의 외측 단부를 가로막는 제2차단판(226)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214)는 상기 제1커버판(215)으로부터 제1방향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베이스판(21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하는 제1지지판(217)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224)는 상기 제2커버판(225)으로부터 제1방향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베이스판(222)의 테두리 또는 내측과 접하는 제2지지판(227)을 포함하는, 회전식 구이기.
  15. 청구항 5의 회전식 구이기(10)를 이용한 고기구이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지(200)의 내부에 고기를 넣고 익히는 제1구이단계; 및
    상기 제1구이단계에서 익힌 고기를 상기 케이지(200)에서 빼내서 상기 불판(900)에서 익히는 제2구이단계를 포함하는,
    고기구이방법.
KR1020210112661A 2021-08-25 2021-08-25 회전식 구이기 KR10251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61A KR102517341B1 (ko) 2021-08-25 2021-08-25 회전식 구이기
PCT/KR2022/005473 WO2023027287A1 (ko) 2021-08-25 2022-04-15 회전식 구이기 및 고기구이방법
KR1020230041298A KR20230049073A (ko) 2021-08-25 2023-03-29 회전식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61A KR102517341B1 (ko) 2021-08-25 2021-08-25 회전식 구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298A Division KR20230049073A (ko) 2021-08-25 2023-03-29 회전식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717A KR20230030717A (ko) 2023-03-07
KR102517341B1 true KR102517341B1 (ko) 2023-04-05

Family

ID=85512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661A KR102517341B1 (ko) 2021-08-25 2021-08-25 회전식 구이기
KR1020230041298A KR20230049073A (ko) 2021-08-25 2023-03-29 회전식 구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298A KR20230049073A (ko) 2021-08-25 2023-03-29 회전식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73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04Y1 (ko) * 1999-08-07 2000-02-15 김용호 고기 구이기
KR200330962Y1 (ko) * 2003-07-18 2003-10-22 이익로 꼬치구이 겸용 숯불구이 오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168A (ko) * 2000-07-25 2002-02-01 조한부 식탁용 숯불 바베큐기
KR20150028864A (ko) * 2013-08-08 2015-03-17 김해정 회전구이기
KR200489004Y1 (ko) 2018-07-30 2019-04-16 이세림 회전식 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404Y1 (ko) * 1999-08-07 2000-02-15 김용호 고기 구이기
KR200330962Y1 (ko) * 2003-07-18 2003-10-22 이익로 꼬치구이 겸용 숯불구이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073A (ko) 2023-04-12
KR20230030717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0398B1 (en) Air-based fryer pan
CN104010554B (zh) 食物烧烤装置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1394563B1 (ko) 휴대용 바비큐 구이 장치
KR102517341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150003312U (ko) 휴대용 숯불 및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100881211B1 (ko) 고기 구이기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101387843B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2172587B1 (ko) 원심 탈지구조를 갖는 회전식 구이장치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US8662065B2 (en) Portable composite roaster
KR101507277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160095553A (ko) 휴대용 바베큐 구이기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101430550B1 (ko) 회전식 직화 구이기
KR20230147225A (ko) 회전식 구이기 및 고기구이방법
KR102641948B1 (ko) 회전 꼬치 구이기
JP4176258B2 (ja) 加熱調理器
KR20050118089A (ko) 회전식 숯불구이기
JP2005312672A (ja) 炭火焼コンロ
KR200287824Y1 (ko) 휴대용 숯불 바베큐장치
KR100817842B1 (ko) 회전구이의 구이봉제거장치
KR102107461B1 (ko) 회전식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