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439B1 - 캔 뚜껑 - Google Patents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439B1
KR102516439B1 KR1020207029147A KR20207029147A KR102516439B1 KR 102516439 B1 KR102516439 B1 KR 102516439B1 KR 1020207029147 A KR1020207029147 A KR 1020207029147A KR 20207029147 A KR20207029147 A KR 20207029147A KR 102516439 B1 KR102516439 B1 KR 10251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enter
slope
panel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249A (ko
Inventor
타카히로 오키
아츠시 코미나미
료타로 이소무라
Original Assignee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4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9Local reces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beneath tab hand grip to facilitate initial lif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엠보싱부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탭에 대한 손가락 걸림성을 확보하면서, 일으키는 방향을 가급적 뚜껑 중심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용이 개봉성 캔 뚜껑을 제공한다.
캔 뚜껑 본체에 스코어 파단용 탭이 고정되며,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 손가락 끝이 들어가는 엠보싱부를 구비한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측 사면은 상기 캔 뚜껑 중심을 향하여 적어도 상기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손가락 끝 유도용 유도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볼록부의 높이는 0.5㎜∼1.2㎜의 범위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캔 뚜껑
본 발명은 탭의 개구성 향상을 도모한 용이 개봉성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이 개봉성 캔 뚜껑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캔 뚜껑 본체에 스코어 파단용 탭이 고정되어 있다. 탭은 캔 뚜껑 중심에 마련된 리벳부로써 고정되며, 일단이 개구 예정부에 겹쳐지고, 타단이 캔 뚜껑의 주연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개구 예정부를 개구할 때에는, 탭의 타단에 위치하는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 손가락을 걸고, 리벳부를 지점으로 하여 위쪽으로 일으킴으로써, 탭 선단부에서 캔 뚜껑 본체의 개구 예정부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리벳부와 탭 선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코어의 시단부에 상하 방향의 전단력을 가해서 초기 파단하고, 개구 예정부의 주위를 따라 스코어를 순차 파단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캔 뚜껑 본체에는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 엠보싱부가 마련되고, 엠보싱부의 바닥면과 손가락 걸이부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손가락이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 걸리기 쉽게 하여, 개구 조작성을 높였었다. 특히,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손가락 걸이부에 팁 업부를 마련하여, 더욱 엠보싱부의 바닥면과 손가락 걸이부의 간격을 크게 하였었다.
일본 특허공보 제5741198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캔 뚜껑은, 엠보싱부 및 팁 업부에 의해, 손가락 걸림성이 좋게 되어 있지만,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 걸린 손가락의 탭 단변 방향의 가동역이 크기 때문에, 탭을 일으킬 때에 손가락이 손가락 걸이부 중앙으로부터 빗나가서, 탭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이 뚜껑 중심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가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탭 선단부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져서, 개구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엠보싱부나 팁 업부를 마련하면, 손가락 걸림성이 좋아지지만, 캔 뚜껑의 패널면과의 간극이 커지기 때문에, 캔 뚜껑을 권체(卷締) 고정시킨 캔체를 축적하였을 때에, 상위 캔체가 기울어져서 캔 바닥이 탭의 손가락 걸이부에 걸려서 개구되어버리는 불의(不意)의 개구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엠보싱부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탭에 대한 손가락 걸림성을 확보하면서, 일으키는 방향을 가급적 뚜껑 중심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용이 개봉성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일으키는 방향을 가급적 뚜껑 중심 방향으로 작용시킬 수 있고, 또한, 불의의 개구 발생에 대해서도 방지할 수 있는 용이 개봉성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캔 뚜껑 본체에, 스코어 파단용 탭이 고정되며,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 손가락 끝이 들어가는 엠보싱부를 구비한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측 사면은, 상기 캔 뚜껑 중심을 향하여 적어도 상기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손가락 끝 유도용 유도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 손가락이 걸린 후에, 손가락 끝이 유도 오목부에 의해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일으키는 방향을 캔 뚜껑 중심을 향하여 정확하게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상기 유도 오목부의 폭을, 상기 캔 뚜껑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 좁게 한다.
이렇게 하면, 손가락 끝이 자연스럽게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된다.
2. 상기 유도 오목부의 바닥부는, 상기 엠보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캔 뚜껑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 얕아지는 경사면으로,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캔 뚜껑 중심과 반대 측 사면보다 경사 각도가 작다.
이렇게 하면, 손가락 끝이 점차 올라감에 따라서, 탭이 일으켜진다.
3. 상기 엠보싱부는, 바닥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는 내주 벽을 갖고, 상기 내주 벽은, 캔 뚜껑 중심과 반대 측의 제1 사면과, 캔 뚜껑 중심 측의 제2 사면과, 제2 사면과 제1 사면의 양단을 접속하는 측부 사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측부 사면은 상기 캔 뚜껑 중심 측을 향하여 서로 점차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유도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측부 사면은 유도 오목부의 일부로서 기능하여, 손가락 끝을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하기 쉬워진다.
4. 상기 캔 뚜껑 본체에는,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서 엠보싱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볼록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 대하여, 폭 방향 중앙부 이외로부터의 손가락 걸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가락 또는 치구 등에 의한 비스듬한 개구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캔끼리의 축적 등으로 인한 불의의 개구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5. 특히, 상기 볼록부의 엠보싱부 측 사면을, 엠보싱부의 측부 사면으로 연속되는 경사면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손가락 끝이 캔 뚜껑 중심 방향으로부터 빗나가면, 높이가 있는 볼록부의 사면에 손가락이 닿아서, 더욱 유도 오목부로 유도되기 쉬워진다.
6.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0.5㎜ 이상 1.2㎜ 이하의 범위로 한다.
즉, 볼록부를 0.5㎜ 정도 이상의 높이로 설정하면, 탭의 들뜸이 발생하는 양압 캔에 사용한 경우라도, 불의의 개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7㎜ 이상이다. 한편, 볼록부의 높이는 높을수록, 불의의 개구 억제 효과는 높아지지만, 볼록부의 판 두께의 저하량이 커져, 강도 부족이나 도막 조각 등, 성형성에 문제가 생긴다. 1.2㎜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 들어간다.
7. 상기 볼록부의 정점간 거리는, 13㎜±2㎜의 범위로 한다.
이렇게 하면, 손가락 걸이 단계부터,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유도 오목부로 이끌려서, 손가락 걸이부의 이면 중앙으로 유도된다.
8. 상기 캔 뚜껑 본체는 원형의 센터 패널을 갖고, 해당 센터 패널은 외주연 측의 제1 패널면과, 제1 패널면보다 내측에서, 제1 패널면의 내주연으로부터 단차부를 통해 1단 낮게 되어 있는 제2 패널면을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제1 패널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패널면에 마련하면, 볼록부의 판 두께의 저하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2 패널면보다 성형성 관점에서 유리해진다.
9. 상기 엠보싱부는 제2 패널면의 영역으로서, 상기 제1 패널면과의 단차부에 근접하여 마련되는 구성이며,
또한, 상기 엠보싱부는, 바닥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는 내주 벽을 갖고, 상기 내주 벽은, 캔 뚜껑 중심과 반대 측의 제1 사면과, 캔 뚜껑 중심 측의 제2 사면과, 제2 사면과 제1 사면의 양단을 접속하는 한 쌍의 측부 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사면과 측부 사면은, 상단이 제1 패널면까지 계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제2 사면은, 상단이 제2 패널면으로 계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엠보싱부에 들어간 손가락 끝은, 제2 사면 측보다 높은 제1 사면과 측부 사면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어, 높이가 낮은 제2 사면의 유도 오목부로 유도되기 쉽다.
또한, 다른 발명은,
캔 뚜껑 본체에, 스코어 파단용 탭이 고정되며,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 손가락 끝이 들어가는 엠보싱부를 구비한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 본체에는,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서 상기 엠보싱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볼록부가 마련되며,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0.5㎜∼1.2㎜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볼록부가 0.5㎜ 정도 이상의 높이로 설정되면, 양압 캔과 같이, 내압이 작용하여 캔 뚜껑이 부풀어올라, 탭이 들뜨는 경우라도, 불의의 개구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다. 한편, 볼록부의 높이가 높을수록, 불의의 개구 억제 효과가 높아지지만, 볼록부의 판 두께의 저하량이 커져, 강도 부족이나 도막 조각 등, 성형성에 문제가 생긴다. 1.2㎜ 이하이면,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에 들어간다.
또한, 엠보싱부를 사이에 두는 볼록부에 의해, 손가락의 탭 단변 방향의 가동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이 손가락 걸이부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되어, 탭의 일으키는 방향을 뚜껑 중심 방향으로 향하기 쉬워진다.
또한, 기타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상기 볼록부의 정점간 거리는, 13㎜±2㎜의 범위로 한다.
이렇게 하면, 손가락 끝이 손가락 걸이부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되기 쉬워진다.
2. 상기 캔 뚜껑 본체는 원형의 센터 패널을 갖고, 해당 센터 패널은 외주연 측의 제1 패널면과, 제1 패널면보다 내측에서, 제1 패널면의 내주연으로부터 단차부를 통해 1단 낮게 되어 있는 제2 패널면을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제1 패널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1 패널면에 마련하면, 볼록부의 판 두께의 저하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2 패널면보다 성형성 관점에서 유리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 손가락이 걸린 후에, 손가락 끝이 유도 오목부에 의해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일으키는 방향을 뚜껑체 중심을 향하여 정확하게 일으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캔 뚜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A)의 제2 중심선(N)을 따르는 요부 확대 단면도, (C)는 (B)의 C-C선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의 엠보싱부 근방에 등고선을 붙인 확대 평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 (C)는 (A)의 C-C선 단면도, (D)는 (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탭의 일으키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도 3을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에서 본 일으키는 동작의 설명도, (D)는 측부 사면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5는 평가 시험용 캔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제1종 캔체, 도 (B)는 제2종 캔체를, 각각 2단으로 겹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의 제1 캔체의 적재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의 제2 캔체의 적재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용이 개봉성 캔 뚜껑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용이 개봉성 캔 뚜껑은 마시는 입구가 되는 개구 예정부(8)를 둘러싸는 스코어(6)가 형성된 캔 뚜껑 본체(1)와, 캔 뚜껑 본체(1)에 고정되는 스코어 파단용 탭(10)을 구비하고 있다.
캔 뚜껑 본체(1)는, 원형의 센터 패널(2), 센터 패널(2)의 주연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척 월 래디어스(Chuck wall radius)(3), 척 월 래디어스(3)의 외측 벽으로부터 일어서는 척 월(4) 및 척 월(4)에 연속해서 형성된 시밍(seaming) 패널(5)을 갖고 있다. 센터 패널(2)은, 패널 주연 측의 제1 패널면(21)과, 제1 패널면(21)보다 내측에서, 제1 패널면(21)보다 1단 낮은 리세스부를 구성하는 제2 패널면(22)을 갖고, 제2 패널면(22)은 단차부(22b)에 의해 제1 패널면(21)과 구획되어 있으며, 개구 예정부(8)와 탭(10)은, 제2 패널면(22)에 배치되어 있다.
탭(10)은 스테이온 타입으로서, 원형의 센터 패널(2)의 패널 중심(O)(캔 뚜껑 중심)에 돌출 마련된 리벳부(7)에 고정되어 있다. 개구 예정부(8)는 센터 패널(2)의 패널 중심(O)을 통과하는 제1 중심선(M)에서 반으로 구획된 경우, 한쪽의 반원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코어(6)는, 리벳부(7) 근방에 시단부(6a)가 있고, 개구 예정부(8)의 주연을 둘러싸도록 종단부(6b)까지 연장되어 있다. 탭(10)에 의한 개구는, 시단부(6a)가 초기 파단되어, 종단부(6b)를 향하여 개구된다.
탭(10)은, 대략 트럭 형상으로 성형된 판형 부재로서, 장축 방향의 일단이 원호형의 탭 선단부(11), 타단부가 직선 상의 손가락 걸이부(13)로 되어 있다. 탭(10)은, 패널 중심(O)을 통과해서 제1 중심선(M)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 중심선(N)을 따라 배치되고, 탭 선단부(11)가 패널 중심(O)을 지나고, 또한 스코어(6)의 시단부(6a)를 지나서 개구 예정부(8) 측과 겹쳐 있으며, 탭(10)의 손가락 걸이부(13)가 패널 중심(O)에 대하여 개구 예정부(8)와는 반대 측 센터 패널(2)의 주연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탭(10)의 손가락 걸이부(13)는,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양 단부가 코너부(13c, 13c)를 통해 탭(10)의 측변부(16, 16)에 이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탭(10)에는 손가락 걸이부(13)와 인접해서 타원형 구멍(14)이 개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예에서는, 손가락 걸이부(13)는 후단(13a)과 구멍(14) 사이의 좁은 판형 부분이다.
탭(10)의 외주연에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10)을 구성하는 판재를 하면 측으로 되접어 꺽은 컬부(17)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손가락 걸이부(13)의 후단(13a)의 컬부(17)는, 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의 중앙부가 소정 범위만큼 편평하게 찌부러진 편평부(20)로 되어 있다(도 1의 (C) 참조).
센터 패널(2)의, 손가락 걸이부(13)의 후단(13a) 근방에는, 국부적으로 오목형으로 파이게 한 엠보싱부(9)가 마련되고, 또한, 엠보싱부(9)의 양측 근방에, 볼록부로서의 딤플(30, 30)이,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엠보싱부(9)는 제2 패널면(22)의 영역으로서, 제1 패널면(21)과의 단차부(22b)에 근접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하, 엠보싱부(9)와 딤플(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엠보싱부(9)의 구성)
도 2의 (A)는, 엠보싱부(9)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기복 상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등고선을 붙였다. 등고선은, 예를 들면, 둥근 고리형의 척 월 래디어스(3)의 접지면을 수평면으로 하여, 소정의 높이 간격으로 그리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패널면(21)부터 엠보싱부(9)의 바닥면(91)까지의 거리를 1.1mm±0.4㎜로 하고 있으며, 1.1㎜에서, 등고선 간격수를 17로 하고 있다.
엠보싱부(9)는, 제2 패널면(22)에 소정 깊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평탄한 바닥면(91)과, 바닥면(91)을 둘러싸는 내주 벽(92)을 구비하고 있다. 바닥면(91)의 형상은,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선대칭인 사다리꼴형으로, 패널 중심(O)과 반대 측(패널 주연 측)의 제1 변(91a)과, 패널 중심(O) 측의 제2 변(91b)과, 제1 변(91a)의 양단과 제2 변(91b)의 양단을 접속하는 한 쌍의 측변(91c, 91c)을 갖고, 제1 변(91a)과 측변(91c, 91c)이 원호형으로 부풀어올라, 패널 중심(O) 측의 제2 변(91b)은,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변(91a)과 측변(91c)의 모서리는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다.
엠보싱부(9)의 내주 벽(92)은, 위쪽을 향하여 넓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패널 중심(O)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사면(92a)과, 캔 뚜껑 중심 측의 제2 사면(92b)과, 제1 사면(92a)의 양단과 제2 사면(92b)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측부 사면(92c, 92c)을 갖고 있다.
내주 벽(92)의 외주연의 개략 형상은, 제1 사면(92a)의 외주연을 부채의 호로 하고, 제2 사면(92b)의 선단부를 부채의 중심으로 하는 부채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측부 사면(92c, 92c)은 패널 중심(O) 측을 향하여,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서로 점차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1 사면(92a)과 측부 사면(92c, 92c)은, 상연이 제1 패널면(21)까지 계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제2 사면(92b)은, 상연이 제2 패널면(22)으로 계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측부 사면(92c, 92c)으로부터 제2 사면(92b)으로 이행하는 위치에서, 단차부(22b)가 측부 사면(92c)으로부터 분기하여 딤플(30)을 우회하도록 되어 있다. 이 단차부(22b)의 우회부(22b1)는, 딤플(30)의 탭(10)과 접하는 측의 사면 영역(30b)과 연속해서, 딤플(30)의 사면 일부를 구성한다.
한편, 측부 사면(92c)의 아래 3분의 2정도 부분은, 제2 사면(92b)으로 연속되고 있다.
제2 사면(92b)과 단차부(22b)의 분기 위치는, 바닥면(91)의 직선형 제2 변(91b)을 통과하는 가상 분기선(L) 부근이며, 내주 벽(92) 중, 가상 분기선(L)보다 패널 중심(O) 측의 영역을, 제2 사면(92b)으로 한다. 이 제2 사면(92b)의 등고선은, 제2 패널면(22)에서 보아 바닥면(91)을 향하여 오목형 곡선으로 되어 있으며, 제2 중심선(N)을 따른 부분을 골짜기 바닥으로 하는 골짜기 형상으로 패여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사면(92b)은, 패널 중심(O)을 향하여, 적어도 손가락 걸이부(13)의 이면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사면(92b) 전체가, 본 발명의 손가락 끝 유도용 유도 오목부를 구성하고, 또한, 측부 사면(92c)에 대해서도 유도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제2 사면(92b)의 기복 상태를 등고선에 입각해서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바닥면(91)의 제2 변(91b)의 양단을 통과해서 제2 중심선(N)과 평행인 가상선(K, K)을 긋고, 제2 사면(92b)을 가상선(K, K)으로 끼워지는 영역을 중앙 영역(92b1), 가상선(K, K)에 대하여 중앙 영역(92b1)과 반대 측에 위치하고 측부 사면(92c, 92c)과 접속되는 영역을 이행 영역(92b2, 92b2)으로 한다.
제2 사면(92b)의 외연은, 제2 패널면(22) 측에서 본 두번째 등고선(b1)이고, 두번째 등고선(b1)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첫번째 등고선(b0)은, 제2 패널면(22)의 약간의 경사를 나타내는 것이다.
등고선(b1)을 포함해서 바닥면을 향하여 그려진 등고선을 bn이라 하면, 각 등고선(bn)은, 중앙 영역(92b1)에 있어서,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패널 중심(O)을 향하여 볼록 원호형으로 만곡하는 만곡부(bn1)와, 이행 영역(92b2)에 있어서, 만곡부(bn1)의 양단으로부터 측부 사면(92c, 92c)을 향하여 연장되는 사선부(bn2, bn2)를 갖고 있다. 사선부(bn2, bn2)는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패널 중심(O)을 향하여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있다. 이 사선부(bn2, bn2)는 약간 외측(제2 중심선(N)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으며, 측부 사면(92c, 92c)의 등고선(c2, c2)과 매끄럽게 연속되고 있다. 한편, 사선부(bn2, bn2)와 만곡부(bn1)의 접속부도 매끄럽게 연속되고 있지만, 등고선(b1)에 있어서는, 외측(제2 중심선(N)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목 원호의 접속부(b13)를 통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앙 영역(92b1)에서 각 등고선(bn)의 만곡부(bn1)의 간격은, 바닥면(91)부터 소정 높이까지는 거의 일정하며, 제2 패널면(22)에 가까워짐에 따라 간격이 커지고 있다. 바닥면 측의 만곡부(bn1)간의 간격은, 제1 사면(92a) 측 등고선 간격의 2배 정도로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사면(92b)의 제2 중심선(N)을 따르는 경사 각도는, 바닥면(91)부터 소정 높이까지는 제1 사면(92a)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완만한 일정 각도의 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제2 패널면까지는 경사 각도가 점차 완만해져, 제2 패널면(22)으로 매끄럽게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손가락 걸이부(13)의 후단(13a) 측에 위치하는 제2 사면(92b)의 제2 중심선(N)을 따르는 경사 각도는, 바닥면(91)에 대하여 5°∼22°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 각도는, 도 1의 (B)의 단면도에서 나타나는 제2 사면(92b)의, 바닥면(91)부터 탭(10)에 걸리지 않는 위치까지의 직선 부분의 각도이다.
도 2의 (B) 내지 (D)는, 제2 사면(92b)을, 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의 (D)는, 바닥면(91)의 제2 변(91b)의 위치에서 절단한 절단면으로, 중앙 영역(92b1)이 직선형이고, 이행 영역(92b2, 92b2)이 직선적 경사 변으로 되어 있다. 이 단면에서 제2 사면(92b)의 제2 패널면(22) 상의 개구 폭, 이행 영역(92b2, 92b2)의 경사 변의 상단간 폭(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의 폭)(Wd)이, 제2 사면(92b)의 최대 폭이다.
도 2의 (C)는, 딤플(30)의 정상부(30a)의 위치에서 절단한 절단면으로서, 중앙 영역(92b1)이 아래쪽으로 약간 만곡하는 원호 형상이며, 제2 패널면(22)으로부터의 깊이는 얕아져서, 이행 영역(92b2, 92b2)이 직선적 경사 변으로 되어 있다. 이 단면에서 제2 사면(92b)의 제2 패널면 측의 개구 폭, 이행 영역(92b2, 92b2)의 경사 변의 상단간 폭(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의 폭)(Wc)은 Wd보다 좁게 되어 있다.
도 2의 (B)는 중앙 영역(92b1)의 선단 근처에서 절단한 절단면이다. 이 위치에서는, 이행 영역이 없고, 제2 패널면(22) 상의 개구 폭(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의 폭)(Wb)은 Wc보다 더욱 좁게 되어 있다.
(딤플(30)에 대해서)
딤플(30, 30)은, 제1 패널면(21)에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 패널면(21)에 마련하면, 딤플(30)을 성형할 때의 판 두께의 저하량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제2 패널면(22)에 마련하는 것보다 성형성 관점에서 유리해진다. 또한, 과도한 연신에 의해, 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도막이 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이 딤플(30, 30)은 탭(10)의 코너부(13c, 13c)에 근접해서 배치되며, 기본적으로는, 캔끼리 축적 시의 불의의 개구를 방지하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이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끝의 유도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즉, 딤플(30, 30)의 정상부(30a, 30a) 간의 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의 간격(A)을, 13㎜±2㎜의 범위로 하고 있다. 정상부(30a, 30a)의 간격(A)은, 정상부(30a, 30a)를 최고점간의 거리로 한다(도 2의 (C) 참조). 딤플(30, 30)의 형상은 정상부가 평평한 사다리꼴형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정상면의 주연간의 제2 중심선(N)과 직교 방향의 최소 거리로 한다.
이 딤플(30, 30)의 정상부(30a, 30a) 간의 간격(A)은 AIST(국립 연구개발법인 산업기술 종합연구소) 감수, 「일본인 손의 치수 데이터」 중, 제2 손가락 손톱 중앙 손가락 폭(N12), 남녀 평균(M+F): 13.3㎜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 데이터는, 손톱이 자라는 언저리부터 손가락 선단까지의 중간 위치에서의 손가락 폭이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끝이 중간 위치보다 가는 것을 고려하여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딤플(30, 30)의 등고선에 대해서 상세하게 보면, 밑동부의 평면 형상이, 3변이 외측으로 부풀어오른 모서리가 둥근 삼각 형상으로, 산 중턱이 정점을 향하여 점차 원 형상으로 이행하고, 딤플(30)의 정상부(30a)는, 단차부(22b)의 우회부(22b1) 측으로 편이(偏移)하여, 탭(10)의 코너부(13c)에 근접한 배치로 되어 있다. 이 탭(10)의 코너부(13c)와 접하는 사면 영역(30b)은, 단차부(22b)의 우회부(22b1)에 위치하고, 우회부(22b1)가 딤플(30)의 사면 영역(30b)과 연속해서 딤플(30)의 사면 일부를 구성하며, 제2 패널면(22) 측으로 넓어지는 우회부(22b1)는, 탭(10)의 코너부(13c)의 이면 측에 겹치도록 밀어올리고 있다. 한편, 딤플(30)의 엠보싱부(9)의 측부 사면(92c)과 접하는 사면 영역(30c)은, 엠보싱부(9)의 측부 사면(92c)과 연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캔 뚜껑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구 조작은, 우선, 손가락 끝을 엠보싱부(9)에 넣고, 탭(10)의 손가락 걸이부(13)의 후단(13a)에 손가락 끝을 건다(도 3의 (A), 도 4의 (A) 참조).
여기서, 도 4의 (D)를 참조하여, 손가락 끝이 엠보싱부(9)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사면(92b)으로 유도될 때까지의 측부 사면(92c, 92c)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 중, 측부 사면(92c, 92c) 및 측부 사면(92c, 92c)으로 연속되는 딤플(30, 30)의 사면 영역(30c, 30c)에 대해서는, 사선 격자형으로 해칭을 실시하고, 측부 사면(92c, 92c)으로부터 연속되는 제2 사면(92b)의 이행 영역(92b2, 92b2)에 대해서는, 사선 해칭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종횡의 격자형으로 해칭한 부분은, 도 3의 (A)의 손가락 끝 부분이 바닥면(91)에 당접하고 있는 당접부(S)의 영역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일으키는 초기 단계에서는, 당접부(S)는, 바닥면(91)으로부터 제2 사면(92b)을 향하여 이동하지만, 당접부(S)가, 예를 들면, 도면 중 S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중심선(N)으로부터 한쪽의 측부 사면(92c) 측으로 빗나가 있었다 하더라도, 측부 사면(92c)이 패널 중심을 향하여 제2 중심선(N)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측부 사면(92c)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중심선(N)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어긋남이 교정되면서 제2 사면(92b)을 향하여 이동하고, 제2 중심선(N)을 따른 방향, 즉, 패널 중심(O)을 향하는 방향으로 방향지어지며, 또한, 제2 사면(92b)에 도달한 후에도, 측부 사면(92c)으로 연속되는 제2 사면(92b)의 이행 영역(92b2, 92b2)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도된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는, 측부 사면(92c)과 접하는 딤플(30)의 사면 영역(30c)이, 엠보싱부(9)의 측부 사면(92c)과 연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손가락 끝의 당접부(S) 뿐만 아니라, 손가락 끝의 측면이 딤플(30, 30)의 사면 영역(30c, 30c)에 의해,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손가락 끝의 이동 방향을 제2 중심선(N)을 따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탭(10)을 위쪽으로 일으킨다. 일으키는 초기 단계에서, 도 3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 끝 부분은 엠보싱부(9)의 바닥면(91)으로부터, 골짜기 형상의 제2 사면(92b)의 중앙 영역(92b1)의 경사면을 제2 중심선(N)을 따라 손가락 걸이부(13)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된다(도 4의 (B), (C) 참조). 즉, 제2 사면(92b)은 중앙 영역(92b1)이 좌우의 이행 영역(92b2, 92b2)보다 깊은 위치에 있으며, 탭(10)으로부터의 손가락 끝에 작용하는 일으키는 반력에 의해, 손가락 끝은 자동적으로 중앙 영역(92b1)의 깊은 위치로 유도된다.
또한, 제2 사면(92b)을 제2 중심선(N)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인, 제2 패널면(22)에서 제2 사면(92b)의 개구 폭이, 엠보싱부(9)의 바닥면(91) 측에서 넓고, 패널 중심(O)을 향하여 점차 좁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손가락 걸이부(13)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된다.
또한, 제2 사면(92b)의 골짜기 바닥이 되는 중앙 영역(92b1)은, 제2 중심선(N)을 따라 패널 중심(O)을 향하여 완만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 끝이 점차 올라감에 따라 탭(10)이 일으켜진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딤플(30, 30)의 간격(A)을 13㎜ 정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사면(92b)에 의해 손가락 끝이 유도되는 동안, 좌우의 딤플(30, 30) 사이를 통과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손가락 걸이 단계부터 손가락 끝이 제2 사면(92b)의 중앙 영역(92b1)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 걸이부(13)의 후단에 손가락을 걸고, 탭(10)을 일으키는 초기 단계에서, 제2 사면(92b)에 의해, 제2 중심선(N)을 따라 손가락 끝의 궤도가 손가락 걸이부(13)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되기 때문에, 이후의 일으키는 조작에 있어서, 힘의 방향이 패널 중심(O)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하게 크게 빗나갈 일은 없으며, 일으키는 힘을 탭 선단부(11)를 통해서 리벳부(7) 근방의 스코어 시단부(6a)에 집중해서 작용시킬 수 있으며, 스코어(6)를 파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딤플(30)의 불의의 개구 방지 및 성형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캔 뚜껑은 음압 캔과 양압 캔 양쪽에 사용 가능하며, 양압 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불의의 개구 방지에 대하여, 조건이 엄격한 양압 캔에 대하여, 캔 뚜껑의 딤플(30)의 높이를 바꾸어서, 축적 시의 상위 캔 바닥의 다리부와, 하위 캔 뚜껑의 탭과의 걸림을 검토한 바, 0.5㎜보다 작으면 걸리기 쉽고, 0.5㎜ 이상이 되면 걸림이 발생하기 어려워, 불의의 개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딤플(30)의 높이(h)는, 도 1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패널(21)보다 1단 낮은 제2 패널(22)로부터의 높이이다.
이 딤플(30)의 높이가 높을수록, 상위 캔 바닥의 다리부와 걸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지만, 돌출 높이가 1.2㎜를 초과하면, 딤플(30)의 두께가 얇아져,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 예의 검토한 결과, 불의의 개구 방지 관점 및 성형성 관점에서, 0.5㎜ 이상 1.2㎜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보다 적합하게는 0.5㎜ 이상 1.2㎜ 이하, 또한 0.8㎜ 이상 1.2㎜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딤플의 높이를 검토하기 위해, 불의의 개구 및 성형성에 대한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하에 평가 시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시험은, 상기 실시형태의 캔 뚜껑에 대하여, 딤플(30)의 높이를 바꾼 4 종류의 캔 뚜껑 샘플을 준비하고, 캔 바닥의 다리부 형상이 다른 2종류의 캔 본체에 밀봉 상태로 양압이 되는 내용물을 충전하여, 캔 뚜껑을 권체 고정시키고 양압 캔을 제작해서, 불의의 개구성 및 성형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우선, 평가 시험에 사용한 제1종 캔체(200)와 제2종 캔체(30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제1종 캔체(200), 도 5의 (B)는 제2종 캔체(300)로서, 각각 2단으로 겹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캔 뚜껑에 대해서는 부호 100을 붙였다.
제1종 캔체(200)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피스 캔으로, 캔 뚜껑(100)은, 몸통부(204)의 개구단에 권체 고정되어, 권체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캔 바닥(201)은, 캔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형으로 패인 돔부(202)와, 돔부(202)의 외주연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제1 형상의 다리부(203)를 갖고, 양압 캔을 상하로 축적하였을 때에, 상위 캔의 캔 바닥(201)의 제1 형상의 다리부(203)가, 하위 캔의 캔 뚜껑(100)의 탭(10)의 손가락 걸이부(13)에 근접하는 위치에 재치된다. 제1 형상의 다리부(203)의 내주면(203a)은, 그 지름이 캔의 안쪽을 향하여 소경(小經)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형상의 다리부(203)의 외주면(203b)은, 위쪽을 향하여 점차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2종 캔체(200)도,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피스 캔으로, 캔 뚜껑(100)은 몸통부(304)의 개구단에 권체 고정되어, 권체부(305)가 형성되어 있다. 캔 바닥(301)도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의 안쪽을 향하여 오목형으로 패인 돔부(302)와, 돔부(302)의 외주연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제2 형상의 다리부(303)를 갖고, 캔을 상하로 축적하였을 때에, 상위 캔의 캔 바닥(301)의 제2 형상의 다리부(303)가, 하위 캔의 캔 뚜껑(100)의 탭의 손가락 걸이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재치된다. 이 제2 형상의 다리부(303)는, 보텀 리폼 형상이라 불린다. 이 제2 캔체(300)는, 제2 형상의 다리부(303)의 내주면(303a)이, 지름 방향 쪽을 향하여 대경(大徑)(넓어지는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제1종 캔체(200)보다, 축적하였을 때에, 상위 캔 바닥(301)의 제2 형상의 다리부(303)가, 하부의 캔체의 캔 뚜껑(100)의 탭에 의해 걸리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제1종 캔체(200)의 제1 형상의 다리부(203)와 탭(10)의 걸림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A)의 제1 캔체(200)의 적재 부분의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정상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의 제1 형상의 다리부(203)를 2점쇄선으로, 기울어진 상태의 제1 형상의 다리부(203)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면은 탭(10)의 코너부(13c)의 위치에서 절단한 도면이다.
정상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형상의 다리부(203)의 단면 원호형의 하단부(203c)가 하위 캔의 캔 뚜껑(100)의 제1 패널면과 접촉하고, 또한, 제1 형상의 다리부(203)의 외주면(203b)이 하위 캔의 권체부(205)의 상단과 접촉한 상태로 재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위 캔이 기울어지면,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형상의 다리부(203)의 외주면(203b)과 권체부(205)에 얹히고, 단면 원호형의 하단부(203c)가 딤플(30)에 얹혀서, 손가락 걸이부(13)의 코너부(13c)와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경사지게 되면, 다리부(203)가 탭(10)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걸림이 강하면, 지렛대 작용에 의해 불의의 개구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제2종 캔체(300)의 제2 형상의 다리부(303)와 탭(10)과의 걸림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5의 (B)의 제2 캔체(300)의 적재 부분의 요부 확대도로서, 정상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의 제2 형상의 다리부(303)를 2점쇄선으로, 기운 상태의 제2 형상의 다리부(303)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면은 탭(10)의 코너부(13c)의 위치에서 절단한 도면이다.
정상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형상의 다리부(303)의 단면 원호형의 하단부(303c)가 하위 캔의 캔 뚜껑(100)의 제1 패널면과 접촉하고, 또한, 제2 형상의 다리부(303)의 외주면(303b)이 하위 캔 뚜껑의 권체부(305)의 상단과 접촉한 상태로 재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위 캔이 기울어지면,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형상의 다리부(303)의 외주면(303b)과 권체부(305)에 얹히고, 단면 원호형의 하단부(303c)가 딤플(30)에 얹혀서, 손가락 걸이부(13)의 코너부(13c)와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경사지게 되면, 제2 형상의 다리부(303)가 탭(10)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걸림이 강하면, 지렛대 작용에 의해 불의의 개구가 발생하게 된다. 제2 형상의 다리부(303)의 내주면(303a)이, 캔의 안쪽(위쪽)을 향하여 지름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있는 만큼, 손가락 걸이부(13)의 코너부(13c)에 걸리기 쉽다.
상기한 4종류 캔 뚜껑의 딤플(30)의 높이는 0.7㎜, 0.8㎜, 1.0㎜, 1.2㎜의 4종류로 하였다.
캔 뚜껑(100)의 지름은 57.15㎜, 판 두께는 0.235㎜이며, 내압은 제1 캔체(200), 제2 캔체(300) 모두 상온에서 200kPa로 설정하였다.
캔 뚜껑(100)은 내압에 의해 밖을 향하여 부풀어오르고, 탭(10)이 제2 패널면(22)으로부터 들떠서, 이 들뜬 제2 패널면(22)으로부터의 간극이 2.3㎜정도이다.
<캔 바닥의 다리부와 탭과의 걸림을 확인하는 시험>
시험은, 내용물을 충전한 평가 대상의 캔체(양압)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2단으로 축적하고, 제1 캔체(200), 제2 캔체(300)에 대하여 캔 바닥의 다리부가 탭에 걸리는 방향으로 손으로 넘어뜨렸을 때에, 걸림의 유무를 상대적으로 평가하여, 평가 결과를,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단계는 다음과 같다.
◎: 캔 바닥의 다리부와 탭과의 걸림은 없고, 불의의 개구 발생은 없음
○: 캔 바닥의 다리부와 탭과의 걸림을 아주 약간 느끼지만, 불의의 개구 발생은 없음
△: 캔 바닥의 다리부와 탭과의 걸림을 약간 느끼지만, 불의의 개구 발생은 없음
<딤플(30)의 부분적인 판 두께 저하를 확인하는 방법>
딤플(30)의 단면 형상에 의해, 부분적인 판 두께 저하의 유무를 확인하여, 딤플(30)의 성형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 딤플(30)의 부분적인 판 두께 저하가 아주 약간 있지만, 실용 적성 있음
△: 딤플(30)의 부분적인 판 두께 저하가 약간 있지만, 실용 적성 있음
평가 결과
불의의 개구에 대해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종 캔체의 캔 바닥의 샘플에서는, 모두 "◎"으로, 걸림은 전혀 없고, 불의의 개구의 발생도 없었다.
제2종 캔체의 캔 바닥의 샘플에서는, 0.7㎜에서 "△", 0.8㎜에서 "○", 1.0㎜, 1.2㎜에서는 "◎"으로, 걸림도 불의의 개구도 없었다.
0.7㎜에서 약간에 해당되는 정도이며, 0.5㎜ 정도라면, 불의의 개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성형성에 대해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성에 대해서는, 0.7㎜, 0.8㎜, 1.0㎜에서 모두 "◎"으로, 판 두께 저하는 매우 적어, 실용상 문제는 없고, 실용 적성 있는 평가였다. 또한, 1.2㎜에서는, 판 두께 저하가 약간이어서, 실용 적성 있는 평가였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엠보싱부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측 사면은, 상기 캔 뚜껑 중심을 향하여 적어도 상기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손가락 끝 유도용 유도 오목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유도 오목부가 없이, 딤플만을 마련할 수 있다.
한 쌍의 딤플에 의해, 손가락의 탭 단변 방향의 가동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이 손가락 걸이부의 폭 방향 중앙부로 유도되어, 탭의 일으키는 방향을 뚜껑 중심 방향으로 향하기 쉬워진다.
[표 1]
Figure 112020107164588-pct00001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손가락 걸이부(13)를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손가락 걸이부(13)의 폭 방향 중앙부를 단차 형상 또는 아치 형상의 팁 업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탭(10)에 구멍(14)이 마련되어 있지만, 구멍(14)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2)을 제1 패널면(21)과, 제1 패널면보다 낮은 제2 패널면(22)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제2 패널면(22)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센터 패널의 패널 중심에 리벳부(7)가 마련되어 있지만, 리벳부(7)는 패널 중심 위치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리벳부(7)가 제2 중심 선상에서, 패널 중심으로부터 빗나가 있을 수 있다.
1 캔 뚜껑 본체
2 센터 패널
21 제1 패널면, 22 제2 패널면
22b 단차부, 22b1 우회부
3 척 월 래디어스, 4 척 월, 5 시밍 패널
6 스코어, 6a 스코어 시단부, 6b 스코어 종단부
7 리벳부, 8 개구 예정부
9 엠보싱부
91 바닥면, 91a 제1 변, 91b 제2 변, 91c 측변
92 내주 벽, 92a 제1 사면, 92b 제2 사면,
92b1 중앙 영역, 92b2 이행 영역,
92c 측부 사면
10 탭
11 탭 선단부
13 손가락 걸이부
13a 후단, 13b 이면, 13c 코너부, 14 구멍
16 측변부, 17 컬부
20 편평부(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
30 딤플, 30a 정상부, 30b, 30c 사면 영역
A 딤플의 간격
M 제1 중심선, N 제2 중심선
O 패널 중심(캔 뚜껑 중심)
Wb, Wc, Wd 제2 사면의 폭

Claims (13)

  1. 캔 뚜껑 본체에 스코어 파단용 탭이 고정되며,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 손가락 끝이 들어가는 엠보싱부를 구비한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측 사면은, 상기 캔 뚜껑 중심을 향하여 적어도 상기 손가락 걸이부 이면의 폭 방향 중앙부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손가락 끝 유도용 유도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도 오목부는 상기 캔 뚜껑 중심과 상기 손가락 걸이부의 중앙을 통과하는 중심선(N)을 따른 부분을 골짜기 바닥으로 하는 골짜기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유도 오목부의 바닥부는, 상기 엠보싱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캔 뚜껑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 얕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부는, 바닥면과, 바닥면을 둘러싸는 내주 벽을 갖고, 상기 내주 벽은, 캔 뚜껑 중심과 반대 측의 제1 사면과, 캔 뚜껑 중심 측의 제2 사면과, 제2 사면과 제1 사면의 양단을 접속하는 측부 사면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측부 사면은 상기 캔 뚜껑 중심 측을 향하여 점차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유도 오목부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캔 뚜껑 본체에는, 상기 탭의 손가락 걸이부의 후단 근방에서 엠보싱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의 엠보싱부 측의 사면이 엠보싱부의 측부 사면으로 연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캔 뚜껑 본체는 원형의 센터 패널을 갖고, 해당 센터 패널은 외주연 측의 제1 패널면과, 제1 패널면보다 내측에서, 제1 패널면의 내주연으로부터 단차부를 통해 1단 낮게 되어 있는 제2 패널면을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제1 패널면에 마련되어 있는,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오목부의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 방향의 폭이, 상기 캔 뚜껑 중심 방향을 향하여 점차 좁게 되어 있는, 캔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오목부의 바닥부는, 상기 엠보싱부의 상기 캔 뚜껑 중심과 반대 측의 사면보다 경사 각도가 작게 되어 있는, 캔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0.5㎜ 이상 1.2㎜ 이하의 범위인, 캔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정점간 거리는, 13㎜±2㎜의 범위로 하는 캔 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면과 측부 사면은, 상단이 제1 패널면까지 계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제2 사면은, 상단이 제2 패널면으로 계속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캔 뚜껑.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7029147A 2018-04-03 2019-04-03 캔 뚜껑 KR102516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1631 2018-04-03
JPJP-P-2018-071631 2018-04-03
PCT/JP2019/014849 WO2019194237A1 (ja) 2018-04-03 2019-04-03 缶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49A KR20200127249A (ko) 2020-11-10
KR102516439B1 true KR102516439B1 (ko) 2023-03-30

Family

ID=6810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147A KR102516439B1 (ko) 2018-04-03 2019-04-03 캔 뚜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60255B2 (ko)
JP (1) JP7472785B2 (ko)
KR (1) KR102516439B1 (ko)
CN (1) CN112074463B (ko)
WO (1) WO2019194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1724A1 (en) * 2019-10-04 2021-04-08 Robert E Markus Lid for beverage cans
IT202000026909A1 (it) * 2020-11-11 2022-05-11 Easytech Closures S P A Dispositivo di chiusura amovibile per contenitori metallici
USD988126S1 (en) * 2022-06-14 2023-06-06 Meirong Lv Bottle l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225A (ja) * 2008-09-19 2010-04-02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JP2012236624A (ja) * 2011-05-11 2012-12-06 Toyo Seikan Kaisha Ltd 缶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5392A (en) 1977-02-25 1978-09-13 Sharp Corp Manufacture for thin film light emitting element
US4276993A (en) * 1979-10-10 1981-07-07 The Continental Group, Inc. Easy-opening container with non-detach tab
JPS5812144U (ja) * 1981-07-16 1983-01-26 東洋製罐株式会社 開口容易な缶蓋
KR0168052B1 (ko) * 1990-11-28 1998-12-01 타카사끼 요시로오 따기 쉬운 캔뚜껑 및 그 제조방법
JP2568795B2 (ja) * 1992-11-18 1997-01-08 食品産業エコロジカル・パッキング技術研究組合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H0910874A (ja) * 1995-06-27 1997-01-14 Mitsubishi Materials Corp 簡易開口缶蓋
JP2001018960A (ja) * 1999-07-01 2001-01-23 Hokkai Can Co Ltd ステイオンタブ式缶蓋
DE10261232A1 (de) * 2002-12-20 2004-07-22 Wichelhaus, André Verschluss für einen Behälter
JP4490847B2 (ja) * 2005-02-23 2010-06-3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缶蓋及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JP5588259B2 (ja) 2010-07-29 2014-09-10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缶蓋
US8695245B2 (en) * 2011-11-28 2014-04-15 Christopher P. Schorre Wing shaped beverage can pull tab
EP2607255B1 (en) 2011-12-20 2016-04-20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Panel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panel.
US9650172B2 (en) * 2012-04-25 2017-05-16 Showa Aluminum Can Corporation Can lid and drink can
US9181007B2 (en) * 2013-03-12 2015-11-10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an end with vent port
US9033174B2 (en) * 2013-03-15 2015-05-19 Ball Corporation Easy access opening tab for a container end closure
JP2015071436A (ja) * 2013-10-02 2015-04-16 大和製罐株式会社 缶蓋
JP2015085962A (ja) * 2013-10-31 2015-05-07 大和製罐株式会社 缶蓋
KR20160000801U (ko) * 2014-09-01 2016-03-09 장기원 개량형 캔 뚜껑
JP6953022B2 (ja) * 2016-02-29 2021-10-27 パワーキャン ホールディング, エルエルシーPowercan Holding, Llc 再封式容器蓋および付属品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と使用方法
JP2017214103A (ja) * 2016-05-31 2017-12-07 東洋製罐株式会社 缶蓋のタブ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225A (ja) * 2008-09-19 2010-04-02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JP2012236624A (ja) * 2011-05-11 2012-12-06 Toyo Seikan Kaisha Ltd 缶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74463A (zh) 2020-12-11
CN112074463B (zh) 2022-09-23
WO2019194237A1 (ja) 2019-10-10
JPWO2019194237A1 (ja) 2021-04-08
JP7472785B2 (ja) 2024-04-23
US20210155371A1 (en) 2021-05-27
EP3778414A1 (en) 2021-02-17
KR20200127249A (ko) 2020-11-10
US11560255B2 (en)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439B1 (ko) 캔 뚜껑
JP6703368B2 (ja) パネル、ならびにそのようなパネルが設けられる容器本体および容器
CA1179615A (en) Easy open can end with pull tab having retained tear strip with stress relief means
EP3219636B1 (en) Cover for a container
JP6779043B2 (ja) 開缶用タブ及び缶蓋並びに缶、開缶用タブの製造方法
JP2003054549A (ja) 簡易開口缶蓋
JP4979128B2 (ja) 開口容易缶蓋
JP5741198B2 (ja) 缶蓋
JP2017214103A (ja) 缶蓋のタブ
JP5246858B2 (ja) 開口容易缶蓋
JP2000128168A (ja) フルオープン缶蓋
WO2020183904A1 (ja) 缶蓋開口用のタブ及び缶蓋
JP4588398B2 (ja) 缶蓋
WO2024071063A1 (ja) 缶蓋
JP2008247455A (ja) 缶蓋及び缶蓋の製造方法
JPH0744595Y2 (ja)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2005162267A (ja) 開口容易蓋のタブ
JP6593832B1 (ja) 包装用容器
JP6593831B1 (ja) 包装用容器
JP6598180B1 (ja) 包装用容器
JP6560810B1 (ja) 包装用容器
CN219296118U (zh) 一种杯盖组件及其杯子
JP5864982B2 (ja) 缶蓋
JP2017124857A (ja) 開缶用タブ及び缶蓋並びに缶
JP2022046898A (ja) 包装用容器の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