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165B1 -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165B1
KR102515165B1 KR1020220074073A KR20220074073A KR102515165B1 KR 102515165 B1 KR102515165 B1 KR 102515165B1 KR 1020220074073 A KR1020220074073 A KR 1020220074073A KR 20220074073 A KR20220074073 A KR 20220074073A KR 102515165 B1 KR102515165 B1 KR 10251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air cap
layer
cutting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숙
Original Assignee
류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현숙 filed Critical 류현숙
Priority to KR102022007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이 제1 포장재와 제2 포장재를 일방향으로 공급하고 제2 유닛은 제1 포장재와 제2 포장재를 융착 가압하여 융착선이 형성된 복층 포장재를 형성하며 제3 유닛은 복층 포장재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출고하는 구조로부터,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를 자동적으로 연속 대량 생산하기 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AIR CAP PACKAGING MATERIAL HAVING MULTI LAYER}
본 발명은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를 다양한 폭으로 자동적으로 연속 대량 생산하기 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층 에어캡 원단은 단열 및 충격흡수효과가 뛰어난 특징을 가지모르 다양한 용도에 다양한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086978호의 "다층 에어캡 원단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로, 2겹 이상의 다층에어캡을 자동으로 생산하는 공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에어캡은 하나의 규격으로만 제조되기 때문에 다양한 규격으로 활동되는 다층에어캠을 제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에어캡 제조장치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규격화된 몇 종류의 사이즈로 생산된다. 그러나 생산된 다층 에어캡은 넓은 폭에서 부터 좁은 폭까지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한번 생산된 에어캡을 재단하여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며, 균일하게 제단되기도 어렵다. 에어캡 원단을 균일하게 재단하기 어려운 이유는 공기가 들어있는 부분이 사실상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아무리 날카로운 커팅기로 절단을 하더라도 절단면이 깔끔하고 매끄러울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원인이 현재 생산하고 있는 다층에어캡의 상당수는 고가의 부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데, 부품들의 사이즈가 다양기 때문에 사용되는 다층에어캡도 다양한 사이즈가 필요하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기술과 같이 균일한 폭으로 자동으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조된 에어캡을 필요한 폭으로 다시 재단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객사의 니즈(needs)에 대응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삭제
삭제
등록특허 제10-10869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를 다양한 규격으로 자동적으로 연속 대량 생산하기 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심재와 제1 에어캡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1 포장재가 권취된 제1 공급롤과, 제2 심재와 제2 에어캡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 포장재가 권취된 제2 공급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심재와 상기 제2 심재가 맞닿게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융착시켜 복층 포장재를 생산하는 처리 롤러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복층 포장재의 텐션을 가변 조정 가능한 텐션 조정부와, 상기 텐션 조정부의 가동에 연동하여 상기 복층 포장재를 일시 정지시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층 포장재가 상기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되는 동안 상기 텐션 조정부의 가동 및 상기 복층 포장재의 일방향 공급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처리 롤러를 구성하는 것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이하 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융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융착시키는 n 개의 융착선을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와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에 형성시키는 융착롤 어셈블리와, 상기 처리 롤러를 구성하는 것으로, n 개의 융착선을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으로부터 가압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과, n 개의 융착선을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으로부터 가압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가압롤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과 상기 n 개의 가압 블록에 의하여 n-1 개의 상기 복층 포장재가 생산되고,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과 상기 n 개의 가압 블록은 각각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을 향한 상기 상부 가압 블록의 가압력과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을 향한 상기 하부 가압 블록의 가압력은 각각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융착롤 어셈블리는,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상부 처리 샤프트와, 상기 제1 상부 처리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 각각을 가열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 드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 각각은 상기 제1 상부 처리 샤프트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상부 처리 샤프트와,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하부 처리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 및 상기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 각각은 상기 제2 상부 처리 샤프트 및 상기 제2 하부 처리 샤프트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 어셈블리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n 개의 융착선을 양분하는 n 개의 커터 어셈블리와, n-1 개의 상기 복층 포장재 중 최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융착선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커터 어셈블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융착 자투리를 상기 복층 포장재의 공급 방향 양측을 향하여 배출 처리하는 자투리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 조정부는, 상기 복층 포장재의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제1 배출 롤러와, 상기 제1 배출 롤러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포장재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상기 복층 포장재의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제2 배출 롤러와, 상기 제1 배출 롤러와 상기 제2 배출 롤러의 상하 방향의 접촉력을 조정 가능하게 회전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 몸체와, 상기 제1 배출 롤러와 상기 제2 배출 롤러의 접점과, 상기 제1 배출 롤러 및 상기 제2 배출 롤러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과 직교하는 제2 가상선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동 텐션 롤러와, 상기 복수의 회동 텐션 롤러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포장재를 상기 절단부측을 향하여 지그재그로 이송 안내시키는 복수의 고정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지지 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회동 텐션 롤러 각각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회동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한 상기 복층 포장재의 절단 작업이 실시되는 동안, 상기 절단부측을 향하는 상기 회동 바의 타단부는 하강하여 상기 제1 배출 롤러 및 상기 제2 배출 롤러로부터 상기 절단부측을 향하여 공급되는 상기 복층 포장재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복층 포장재의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는 제1 절단안내 롤러와, 상기 제1 절단안내 롤러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포장재를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상기 복층 포장재의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는 제2 절단안내 롤러와, 상기 제1 절단안내 롤러와 상기 제2 절단안내 롤러의 상하 방향의 접촉력을 조정 가능하게 회전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 몸체와,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와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복층 포장재를 받침 지지하는 절단받침 프레임과, 상기 절단받침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블레이드 레일과, 상기 블레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하며, 상기 절단받침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장자리를 가지고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을 고객사나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과 제3 유닛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절단부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 중 절단부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중 텐션 조정부와 절단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2 유닛(200)과 제3 유닛(30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 중 절단부(32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 중 절단부(320)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의 주요부인 제3 유닛(300)중 텐션 조정부(310)와 절단부(320)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과 도 4 및 도 5에서 도면부호 "⊙"는 본 명세서를 읽는 독자를 향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을, "ⓧ"는 본 명세서를 읽는 독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유닛(100)이 제1 포장재(410)와 제2 포장재(420)를 일방향으로 공급하고 제2 유닛(200)은 제1 포장재(410)와 제2 포장재(420)를 융착 가압하여 융착선(432)이 형성된 복층 포장재(430)를 형성하며 제3 유닛(300)은 복층 포장재(430)의 텐션을 조절하면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출고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제1 심재(415)와 제1 에어캡 레이어(411)를 포함하는 제1 포장재(410)가 권취된 제1 공급롤(110)과, 제2 심재(425)와 제2 에어캡 레이어(421)를 포함하는 제2 포장재(420)가 권취된 제2 공급롤(120)을 포함하며, 제1 심재(415)와 제2 심재(425)가 맞닿게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제2 유닛(200)은 제1 유닛(10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포장재(410)와 제2 포장재(420)를 융착시켜 복층 포장재(430)를 생산하는 처리 롤러(20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2 유닛(20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복층 포장재(430)의 텐션을 가변 조정 가능한 텐션 조정부(310)와, 텐션 조정부(310)의 가동에 연동하여 복층 포장재(430)를 일시 정지시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3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층 포장재(430)가 절단부(320)에 의하여 절단되는 동안 텐션 조정부(310)의 가동 및 복층 포장재(430)의 일방향 공급은 지속되는 것을 도 5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포장재(410)는, 제1 에어캡 레이어(411)를 구성하는 제1 에어캡 필름(412) 및 제1 마감 필름(413)과, 제1 고정 필름(4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캡 필름(412)은 복수의 에어캡들이 형성된 것이며, 제1 마감 필름(413)은 복수의 에어캡들의 에어 충진 상태 유지를 위하여 제1 에어캡 필름(412)을 마감하는 것이다.
제1 고정 필름(414)은 제1 심재(415)와 제1 마감 필름(413) 사이에 형성되어 제1 심재(415)를 제1 에어캡 레이어(411)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제2 포장재(420)는, 제2 에어캡 레이어(421)를 구성하는 제2 에어캡 필름(422) 및 제2 마감 필름(423)과, 제2 고정 필름(4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어캡 필름(422)은 복수의 에어캡들이 형성된 것이며, 제2 마감 필름(423)은 복수의 에어캡들의 에어 충진 상태 유지를 위하여 제2 에어캡 필름(422)을 마감하는 것이다.
제2 고정 필름(424)은 제2 심재(425)와 제2 마감 필름(423) 사이에 형성되어 제2 심재(425)를 제2 에어캡 레이어(421)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한편, 제1 유닛(100)은, 제1 포장재(410)와 제2 포장재(420)가 상하로 적층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게 안내하며 지그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공급 가이드 롤러(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공급 가이드 롤러(130)는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위치 변경할 수 있게 설치됨으로써, 제1, 2 포장재(410, 420)의 텐션을 일정 정도로 유지시키며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 유닛(200)은, 처리 롤러(20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 2 포장재(410, 420)를 상호 융착시키는 융착롤 어셈블리(210)와, 융착선(432)을 가압하는 가압롤 어셈블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이하 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융착 블록(211)을 포함하며, 제1 포장재(410)와 제2 포장재(420)를 융착시키는 n 개의 융착선(432)을 제1 에어캡 레이어(411)와 제2 에어캡 레이어(421)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가압롤 어셈블리(220)는 n 개의 융착선(432)을 제1 에어캡 레이어(411)측으로부터 가압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221a)과, n 개의 융착선(432)을 제2 에어캡 레이어(421)측으로부터 가압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221b)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n 개의 융착 블록(211)과 n 개의 가압 블록에 의하여 n-1 개의 복층 포장재(430)가 생산되고, n 개의 융착 블록(211)과 n 개의 가압 블록은 각각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어캡 레이어(411)측을 향한 상부 가압 블록(221a)의 가압력과 제2 에어캡 레이어(421)측을 향한 하부 가압 블록(221b)의 가압력은 각각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n 개의 융착 블록(211)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와,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에 장착되어 n 개의 융착 블록(211) 각각을 가열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 드럼(2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n 개의 융착 블록(211) 각각은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제1 에어캡 레이어(411)측과 접촉하는 n 개의 융착 블록(211) 각각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 에어캡 레이어(421)측과 접촉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한 쌍의 받침 롤러(2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한 쌍의 받침 롤러(214)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와 평행한 제1 하부 처리 샤프트(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n 개의 융착 블록(211)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어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가 관통되고,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의 외주면에 대한 n 개의 융착 블록(211) 각각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원통 형상의 제1 설치 블록(211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터미널 드럼(213)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 상부 처리 샤프트(212)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터미널 드럼(213)과 일체로 형성된 링 형상의 회전 단자(213t)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융착롤 어셈블리(210)는, 회전 단자(213t) 각각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말단부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회전 단자(213t)측으로 전달하는 고정 단자(213r)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가압롤 어셈블리(220)는, 제1 에어캡 레이어(411)측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221a)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상부 처리 샤프트(222)와, 제2 에어캡 레이어(421)측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221b)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하부 처리 샤프트(2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221a) 및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221b) 각각은 제2 상부 처리 샤프트(222) 및 제2 하부 처리 샤프트(223)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가압롤 어셈블리(220)는,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221a) 및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221b)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어 제2 처리 샤프트가 관통되고, 제2 상부 처리 샤프트(222) 및 제2 하부 처리 샤프트(223)의 외주면에 대한 n 개의 가압 블록 각각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하는 원통 형상의 제2 설치 블록(224)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가압롤 어셈블리(220)의 출구측에는 n 개의 커터 어셈블리(520)가 배치되어 n 개의 융착선(432)을 양분하게 된다.
그리고, 커터 어셈블리(520)는 n-1 개의 복층 포장재(430) 중에서 최외곽에 배치된 복층 포장재(4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융착선(432)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융착 자투리(431)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융착 자투리(431)는 복층 포장재(430)의 공급 방향 양측을 향하여 자투리 수거부(600)에 의하여 배출 처리된다.
이때, 커터 어셈블리(520)는, 제2 상부 처리 샤프트(222) 및 제2 하부 처리 샤프트(223) 각각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커터지지 샤프트(521)와, 커터지지 샤프트(521)에 관통 결합되는 n 개의 커터지지 링(5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 어셈블리(520)는, 커터지지 샤프트(521)에 대하여 커터지지 링(522)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커터지지 링(522)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되어 커터지지 샤프트(521)의 외주면까지 접촉되는 말단부를 가지며, 커터지지 링(522)에 대하여 나사결합되는 위치조절 나사봉(5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 어셈블리(520)는, 위치조절 나사봉(52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파지 가능한 조절 손잡이(5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 어셈블리(520)는, 커터지지 링(5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커터지지 링(522)과 일체로 형성되는 커터지지 바(5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터 어셈블리(520)는, 커터지지 바(525)에 탈착 결합 가능한 커터고정 블록(526)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커터 어셈블리(520)는, 커터고정 블록(526)과 커터지지 바(525)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커터 블레이드(527)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커터지지 링(522)은 커터지지 샤프트(521)에 대하여 커터지지 바(525)를 경사각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투리 수거부(600)는, 융착 자투리(431)를 안내하는 복수의 자투리 안내 스풀(610)과, 복수의 자투리 안내 스풀(610)에 의하여 안내된 융착 자투리(431)를 복층 포장재(430)가 공급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권취시키는 자투리 권취롤(6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텐션 조정부(310)는, 복층 포장재(430)의 제1 에어캡 레이어(411)측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제1 배출 롤러(3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텐션 조정부(310)는, 제1 배출 롤러(31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복층 포장재(430)를 일방향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복층 포장재(430)의 제2 에어캡 레이어(421)측에 접촉하는 외주면을 가지는 제2 배출 롤러(3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텐션 조정부(310)는, 제1 배출 롤러(311)와 제2 배출 롤러(312)의 상하 방향의 접촉력을 조정 가능하게 회전 지지하는 제1 롤러지지 몸체(3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텐션 조정부(310)는, 제1 배출 롤러(311)와 제2 배출 롤러(312)의 접점과, 제1 배출 롤러(311) 및 제2 배출 롤러(312)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가상선(ℓ1)과 직교하는 제2 가상선(ℓ2)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회동 텐션 롤러(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텐션 조정부(310)는, 복수의 회동 텐션 롤러(314)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복층 포장재(430)를 절단부(320)측을 향하여 지그재그로 이송 안내시키는 복수의 고정 롤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텐션 조정부(310)는, 제1 롤러지지 몸체(313)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회동 텐션 롤러(314) 각각의 양단부를 회전 지지하는 회동 바(3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절단부(320)에 의한 복층 포장재(430)의 절단 작업이 실시되는 동안, 절단부(320)측을 향하는 회동 바(316)의 타단부는 도 5와 같이 하강하여 제1 배출 롤러(311) 및 제2 배출 롤러(312)로부터 절단부(320)측을 향하여 공급되는 복층 포장재(430)의 길이를 증대시키게 되며, 더욱 상세한 작동 메카니즘에 관하여는 후술시 더욱 상세히 설명코자 한다.
한편, 절단부(320)는, 도 1과 함께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층 포장재(430)의 제1 에어캡 레이어(411)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는 제1 절단안내 롤러(321)와, 제1 절단안내 롤러(32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복층 포장재(430)를 일방향으로 밀어내며 복층 포장재(430)의 제2 에어캡 레이어(421)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는 제2 절단안내 롤러(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1 절단안내 롤러(321)와 제2 절단안내 롤러(322)의 상하 방향의 접촉력을 조정 가능하게 회전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 몸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2 에어캡 레이어(421)와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며 복층 포장재(430)를 받침 지지하는 절단받침 프레임(3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절단받침 프레임(3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블레이드 레일(3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블레이드 레일(325)을 따라 왕복 가능하며, 절단받침 프레임(32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장자리를 가지고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3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1 절단안내 롤러(321)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1 링 안착홈(321g)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1 절단안내 롤러(321)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제1 절단안내 롤러(321)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1 걸이 샤프트(321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2 절단안내 롤러(322)의 외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링 형상의 제2 링 안착홈(이하 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2 절단안내 롤러(322)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제2 절단안내 롤러(322)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제2 걸이 샤프트(322s)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제1 링 안착홈(321g)에 각각 걸림 안착됨과 동시에 제1 걸이 샤프트(321s)에 걸림 고정되며 제1 절단안내 롤러(321)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제1 절단안내 링(321r)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320)는, 제2 링 안착홈에 각각 걸림 안착됨과 동시에 제2 걸이 샤프트(322s)에 걸림 고정되며 제2 절단안내 롤러(322)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제2 절단안내 링(322r)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층 포장재(430)는 복수의 제1 절단안내 링(321r)과 복수의 제2 절단안내 링(322r)에 접촉되면서 절단 블레이드(326)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절단부(320)는, 다시 도 1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절단 블레이드(326)의 복층 포장재(430)에 대한 절단 작업이 개시되기 직전, 하강하여 절단받침 프레임(324)에 받침 지지된 복층 포장재(430)의 제1 에어캡 레이어(411)를 가압하는 고정 리브편(331)이 형성된 양측 하단부를 가지는 안전 커버체(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안전 커버체(330)를 승강시키는 승강 액추에이터(3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부(320)는, 절단 블레이드(326)의 중심에 결합되는 구동축(341)을 구비하고 절단 블레이드(326)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절단부(320)는, 구동모터(340)와 연결되는 연결체(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절단부(320)는, 연결체(350)를 왕복시키며 블레이드 레일(325)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3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① 제1, 2 절단안내 롤러(321, 322) 사이를 통과하여 제1, 2 절단안내 링(321r, 322r)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배출되는 복층 포장재(430)들은 절단되기 앞서서, ② 회동 바(316)의 타단부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복층 포장재(430)가 절단부(320)측으로 공급되는 길이가 증대되게 된다.
이후, ③ 안전 커버체(330)가 하강을 시작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5(b)와 같이 안전 커버체(330)가 하강하여 절단받침 프레임(324)에 받침 지지된 복층 포장재(430)와 접촉되면, ④ 절단 블레이드(326)가 절단받침 프레임(324)의 블레이드 레일(325)을 따라 이동하면서 복층 포장재(430)의 절단을 시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⑤ 절단 블레이드(326)가 원위치로 복귀한 다음, ⑥ 회동 바(316)의 타단부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 ⑦승강 액추에이터(332)가 안전 커버체(330)를 상승시키면서 도 5(c)와 같이 절단 준비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복층 포장재(430)는 지속적으로 절단부(320)측을 향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를 자동적으로 연속 대량 생산하기 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10...제1 공급롤
120...제2 공급롤
130...제1 공급 가이드 롤러
200...제2 유닛(처리 롤러)
210...융착롤 어셈블리
211...융착 블록
211b...제1 설치 블록
212...제1 상부 처리 샤프트
213...터미널 드럼
213r...고정 단자
213t...회전 단자
214...받침 롤러
215...제1 하부 처리 샤프트
220...가압롤 어셈블리
221a...상부 가압 블록
221b...하부 가압 블록
222...제2 상부 처리 샤프트
223...제2 하부 처리 샤프트
224...제2 설치 블록
300...제3 유닛
310...텐션 조정부
311...제1 배출 롤러
312...제2 배출 롤러
313...제1 롤러지지 몸체
314...회동 텐션 롤러
315...고정 롤러
316...회동 바
320...절단부
321...제1 절단안내 롤러
321g...제1 링 안착홈
321r...제1 절단안내 링
321s...제1 걸이 샤프트
322...제2 절단안내 롤러
322r...제2 절단안내 링
322s...제2 걸이 샤프트
323...제2 롤러지지 몸체
324...절단받침 프레임
325...블레이드 레일
326...절단 블레이드
330...안전 커버체
331...고정 리브편
332..승강 액추에이터
340...구동모터
341...구동축
350...연결체
360...리니어 액추에이터
410...제1 포장재
411...제1 에어캡 레이어
412...제1 에어캡 필름
413...제1 마감 필름
414...제1 고정 필름
415...제1 심재
421...제2 에어캡 레이어
422...제2 에어캡 필름
423...제2 마감 필름
424...제2 고정 필름
425...제2 심재
420...제2 포장재
430...복층 포장재
431...융착 자투리
432...융착선
520...커터 어셈블리
521...커터지지 샤프트
522...커터지지 링
523...위치조절 나사봉
524...조절 손잡이
525...커터지지 바
526...커터고정 블록
527...커터 블레이드
600...자투리 수거부
610...자투리 안내 스풀
620...자투리 권취롤
ℓ1...제1 가상선
ℓ2...제2 가상선

Claims (7)

  1. 제1 심재와 제1 에어캡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1 포장재가 권취된 제1 공급롤과, 제2 심재와 제2 에어캡 레이어를 포함하는 제2 포장재가 권취된 제2 공급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심재와 상기 제2 심재가 맞닿게 일방향으로 공급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융착시켜 복층 포장재를 생산하는 처리 롤러를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복층 포장재의 텐션을 가변 조정 가능한 텐션 조정부와, 상기 텐션 조정부의 가동에 연동하여 상기 복층 포장재를 일시 정지시켜 일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제3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복층 포장재의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는 제1 절단안내 롤러와,
    상기 제1 절단안내 롤러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층 포장재를 일방향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상기 복층 포장재의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보다 마찰저항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외주면을 가지는 제2 절단안내 롤러와,
    상기 제1 절단안내 롤러와 상기 제2 절단안내 롤러의 상하 방향의 접촉력을 조정 가능하게 회전 지지하는 제2 롤러지지 몸체와,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와 마주보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복층 포장재를 받침 지지하는 절단받침 프레임과,
    상기 절단받침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블레이드 레일과,
    상기 블레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가능하며, 상기 절단받침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가장자리를 가지고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절단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층 포장재가 상기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되는 동안 상기 텐션 조정부의 가동 및 상기 복층 포장재의 일방향 공급은 지속되며,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처리 롤러를 구성하는 것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이하 n은 2 이상의 양의 정수) 개의 융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장재와 상기 제2 포장재를 융착시키는 n 개의 융착선을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와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에 형성시키는 융착롤 어셈블리와,
    상기 처리 롤러를 구성하는 것으로, n 개의 융착선을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으로부터 가압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과, n 개의 융착선을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으로부터 가압하며 원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가압롤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과 상기 n 개의 가압 블록에 의하여 n-1 개의 상기 복층 포장재가 생산되고,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과 상기 n 개의 가압 블록은 각각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을 향한 상기 상부 가압 블록의 가압력과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을 향한 상기 하부 가압 블록의 가압력은 각각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롤 어셈블리는,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상부 처리 샤프트와,
    상기 제1 상부 처리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 각각을 가열시키는 전력을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미널 드럼을 더 포함하며,
    상기 n 개의 융착 블록 각각은 상기 제1 상부 처리 샤프트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에어캡 레이어측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상부 처리 샤프트와,
    상기 제2 에어캡 레이어측으로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2 하부 처리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n 개의 상부 가압 블록 및 상기 n 개의 하부 가압 블록 각각은 상기 제2 상부 처리 샤프트 및 상기 제2 하부 처리 샤프트 상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 어셈블리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상기 n 개의 융착선을 양분하는 n 개의 커터 어셈블리와,
    n-1 개의 상기 복층 포장재 중 최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된 융착선 각각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커터 어셈블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융착 자투리를 상기 복층 포장재의 공급 방향 양측을 향하여 배출 처리하는 자투리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20074073A 2022-06-17 2022-06-17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KR102515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73A KR102515165B1 (ko) 2022-06-17 2022-06-17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073A KR102515165B1 (ko) 2022-06-17 2022-06-17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165B1 true KR102515165B1 (ko) 2023-03-27

Family

ID=8579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073A KR102515165B1 (ko) 2022-06-17 2022-06-17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1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591B2 (ja) * 2005-10-07 2011-10-05 三菱重工印刷紙工機械株式会社 ナイフ受けロール及びシート切断装置並びにスリッタスコアラ
KR101086978B1 (ko) 2010-09-17 2011-11-29 박현창 다층 에어캡 제조장치
KR101598859B1 (ko) * 2014-04-25 2016-03-02 박점묵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제조 장치
KR101608001B1 (ko) * 2014-09-05 2016-03-31 (주)다호피앤씨 이중 에어캡 구조의 완충 포장재
KR101752883B1 (ko) * 2015-10-29 2017-07-03 성일화학(주) 컵홀더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591B2 (ja) * 2005-10-07 2011-10-05 三菱重工印刷紙工機械株式会社 ナイフ受けロール及びシート切断装置並びにスリッタスコアラ
KR101086978B1 (ko) 2010-09-17 2011-11-29 박현창 다층 에어캡 제조장치
KR101598859B1 (ko) * 2014-04-25 2016-03-02 박점묵 다층 복합 비닐 포대의 제조 장치
KR101608001B1 (ko) * 2014-09-05 2016-03-31 (주)다호피앤씨 이중 에어캡 구조의 완충 포장재
KR101752883B1 (ko) * 2015-10-29 2017-07-03 성일화학(주) 컵홀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628B2 (en) Apparatus for trimming paper rolls or logs and an operating method for treating the logs
KR102515165B1 (ko)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KR102515166B1 (ko) 에어캡 필름 생산 기능을 구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CN210122405U (zh) 一种薄膜收卷装置
KR100232618B1 (ko) 다수개의 멀티-필라멘트 스트랜드로부터 패키지를 와인딩하는 장치
US4572452A (en) Apparatus for slitting and winding tape
US3430312A (en) Fiber winding machine
CN110395613B (zh) 一种双工位多股丝收卷机
JP5937546B2 (ja) フィラメントワインディング装置
KR100284517B1 (ko) 코어 윈도우 둘레에 감겨진 비정질 스틸 스트립 함유 변압기 코어제조 장치
EP0375911A1 (en) Battery core wrapping method and apparatus
CN212750798U (zh) 一种灯丝加工用绕丝机
CN214241449U (zh) 一种零件包装的放卷装置
CN210260589U (zh) 一种新型光伏组件封装用eva胶膜的裁切装置
EP0665562B1 (en) Coil winding machine
JPH09194142A (ja) 糸状物の溶着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46986A (ko) 포장재용 필름원단 가공장치
US56647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laminated coil
KR102578088B1 (ko) Frp 코어 커팅장치 및 커팅방법
CN214495206U (zh) 一种和纸条卷绕成型机构
CN217534999U (zh) 一种可连续生产的钢丝缠绕机
CN215315361U (zh) 一种剪叉式熔断机构
JPH0445920A (ja) ビードコアの製造方法
CN210619743U (zh) 一种全自动高速分切机
JP2767028B2 (ja) ロープの巻付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