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83B1 - 컵홀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컵홀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83B1
KR101752883B1 KR1020150150857A KR20150150857A KR101752883B1 KR 101752883 B1 KR101752883 B1 KR 101752883B1 KR 1020150150857 A KR1020150150857 A KR 1020150150857A KR 20150150857 A KR20150150857 A KR 20150150857A KR 101752883 B1 KR101752883 B1 KR 10175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up holder
fabr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928A (ko
Inventor
박윤기
Original Assignee
성일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일화학(주) filed Critical 성일화학(주)
Priority to KR102015015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수지(뽁뽁이) 원단을 이용하여 컵홀더를 생산함으로, 보온 및 보냉이 매우 뛰어나고, 사용자에게 그립 감을 제공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으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컵홀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비닐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이동시키는 원단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원단이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열융착 및 절단시켜 컵홀더를 생산하는 원단가공수단과, 상기 원단가공수단으로부터 생산된 컵홀더를 배출시키는 제품 배출부와, 상기 원단가공수단에서 발생하는 폐원단을 회수하는 폐원단회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홀더 제조장치{Cup holder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컵홀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수지(뽁뽁이) 원단을 이용하여 컵홀더를 생산함으로써, 보온 및 보냉이 매우 뛰어나고, 사용자에게 그립 감을 제공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컵홀더의 제조가 이루어짐으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컵홀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주스, 물 등의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종이컵, 유리컵 등의 다양한 컵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컵이 별도의 손잡이가 없는 종이컵 등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뜨거운 커피나 차가운 주스 등을 컵에 수용하여 마실 때에 컵의 내부에 수용된 뜨거운 음료로부터 열이 전달되거나 차가운 음료에게 열을 빼앗기면서 컵의 외주면이 뜨거워지거나 차가워져 사용자가 컵을 잡고 있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손잡이가 없는 종이컵 등을 주로 사용하는 커피전문점 등에서는 음료를 고객에게 제공할 때에 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장착하여 음료와 컵 외부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 컵홀더를 함께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컵홀더를 보인 것으로, 컵홀더(2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판재(21) 사이에 역시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반복하여 굽어진 물결 형상을 갖는 굽힘판재(22)를 구비한 일종의 골판지와 유사한 단열재가 컵(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에 개방구(24)를 가진 형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컵홀더(20)는 그 보관이 편리하도록 작은 부피로 접힐 수 있도록 양측 부분에 접힘부(23)가 구비된다.
이렇게, 접힘부(23)는 컵홀더(2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펼쳐짐으로써, 컵홀더(20)의 개방구(24)가 컵(10)이 삽입될 수 있게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컵홀더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폭으로 이루어진 띠 형태의 원지를 좌우 양측 두 곳을 접은 다음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켜 컵홀더가 완성되는 것으로, 컵홀더 원지를 기계적으로 접기가 쉽지 않아 수작업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컵홀더를 수작업으로 생산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 생산이 어렵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6492호 "컵홀더 접착장치"가 제시되어 컵홀더가 제작되고 있다.
이렇게, 컵홀더 접착장치에 의해 제작된 종래의 컵홀더는 한 쌍의 판재와 굽힘판재 사이에 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과가 발생하는 원리인데, 단열 기능이 높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 단열 효과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매우 뜨거운 음료를 수용한 컵에는 종래의 컵홀더를 장착하더라도 음료가 어느 정도 식기 전까지는 여전히 사용자가 컵을 잡고 있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컵홀더는 전체적으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음료가 넘치거나 컵의 외주면을 따라 흐를 경우 음료에 의해 쉽게 젖어 그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이에 따라 단열 기능도 거의 상실하며 그 외관도 매우 불량 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컵홀더를 발포수지재로 구성된 원단을 열융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경량의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원단의 공급부터 제작과정 모두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컵홀더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컵홀더를 발포수지재의 비닐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컵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넘쳐 컵 외부로 흐르더라도 컵홀더가 약해지지 않고,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컵홀더의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에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로울러를 구비함으로써, 비닐원단이 항상 일정하게 평평한 상태로 공급되어 열융착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비닐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이동시키는 원단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원단이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열융착 및 절단시켜 컵홀더를 생산하는 원단가공수단과, 상기 원단가공수단으로부터 생산된 컵홀더를 배출시키는 제품 배출부와, 상기 원단가공수단에서 발생하는 폐원단을 회수하는 폐원단회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공급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일측 상단에 제1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1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상부원단이 장착되는 제1장착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제2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2설치프레임의 상부에는 하부원단이 장착되는 제2장착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이동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 폭 방향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제1,2공급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공급로울러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단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이동부로 공급되는 원단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장력유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하단부에 설치되는 회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에 일측부가 회동되게 설치되는 설치바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바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장력조절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단가공수단은 원단이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상,하부원단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부와, 상기 열융착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열융착부로부터 열융착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되어 생산된 컵홀더를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융착부는 베이스의 상부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판이 관통되게 양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슬라이드구가 마련된 한 쌍의 슬라이드봉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되는 열융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측부에 래크가 마련되어 제1하판이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판의 양측 상부에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에 양측 끝단부가 결속되는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측부에는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측 끝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봉의 상부에 지지구가 형성되고, 이 지지구와 제1상판의 사이에 위치되게 슬라이드봉에 결속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판의 상부에는 열융착기가 설치된 하단에 위치되게 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베이스 하단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부에 구동스프라켓이 마련된 구동축이 구비되고, 이 구동축에는 제1캠이 구비되며, 제1캠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베어링이 구비되고, 제1베어링에는 제1작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일측부에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피동스프라켓이 마련된 피동축이 구비되고, 이 피동축에는 제2캠이 구비되며, 제2캠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고, 제2베어링에는 제2작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작동레버의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열융착부의 슬라이드구가 결합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에 구비된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 및 피동축에 각각 구비된 제1,2캠은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을 연결시키는 체인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3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3하판 각각의 양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2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스크루축 각각에 제2,3하판과 대응되는 제2,3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3하판에 양측부가 안착 고정되게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3상판에 양측부가 안착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되, 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절단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의 고정판에는 회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는 고정판에 설치홀이 형성되고, 이 설치홀에 설치되어 하부에 고정판을 관통되게 관통축이 형성되고, 이 관통축에 워엄이 설치된 회전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 양측부에 결속구가 대응되게 구비되고, 이 결속구에 양측 끝단부가 결속되되, 일측 끝단부에 래칫스프라켓이 마련되며, 중앙부에는 워엄에 맞물리는 워엄기어가 마련된 회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열융착부의 제1상판 하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어 래칫스프라켓에 연결된 회동체인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의 제3상판 하단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회동체인에 결합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에 양측부가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에 승강판이 결합 고정되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의 양측부에는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봉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가압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의 제3상판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판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로드가 설치판 하부에 위치되어 가압부재가 설치된 제3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품 배출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원단가공수단의 분리부 하단에 위치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원단회수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 폭 방향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제1,2회수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에 제3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3설치프레임에 권취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3설치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어 권취로울러를 회전시키는 제3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컵홀더를 발포수지재로 구성된 원단을 열융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경량의 컵홀더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단의 공급부터 제작과정 모두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양의 컵홀더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홀더를 발포수지재의 비닐원단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컵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넘쳐 컵 외부로 흐르더라도 컵홀더가 약해지지 않고,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컵홀더의 원단을 공급하는 공급부에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로울러를 구비함으로써, 비닐원단이 항상 일정하게 평평한 상태로 공급되어 열융착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컵홀더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공급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열융착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및 7b는 본 발명의 절단부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분리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폐원단회수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원단공급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열융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절단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분리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폐원단회수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100)는 베이스부(110)와, 상기 베이스부(110)에 설치되어 발포수지(뽁뽁이)의 비닐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210)와, 상기 원단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이동시키는 원단이동부(310)와, 상기 원단이동부(310)에 의해 이동되는 원단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장력유지부(410)와, 상기 원단이동부(310)로부터 원단을 공급받아 열융착 및 절단시켜 제품을 생산하는 원단가공수단(500)과,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으로부터 생산된 제품을 배출시키는 제품 배출부(910)와,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에서 발생하는 폐비닐원단을 회수하는 폐원단회수부(9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은 원단이동부로부터 이동되는 상,하원단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부(510)와, 상기 열융착부(51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610)와, 상기 열융착부(510)로부터 열융착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710)와, 상기 절단부(710)에서 절단되어 생산된 제품을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8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0)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로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이 한 쌍의 수평프레임을 서로 연결 지지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단공급부(210)는 베이스(112)의 일측 상단에 상부로 돌출되게 제1설치프레임(212)이 구비되고, 제1설치프레임(212)의 상부에는 상부원단이 장착되는 제1장착로울러(2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2)의 길이 방향 일측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베이스(112)로부터 이격되게 제2설치프레임(220)이 구비되고, 제2설치프레임(220)의 상단부에 하부원단이 권취되는 제2장착로울러(22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112)에 설치되어 제2장착로울러(222)로부터 원단이동부(310)로 투입되는 하부원단을 가이드하는 보조로울러(2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단이동부(310)는 베이스(112)의 상부 폭 방향 양측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312)에 양측 끝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되, 상,하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1,2공급로울러(314)(3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312)에 설치되는 제1,2공급로울러(314)(316)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공급로울러(316)는 제1고정부재(312)에 상, 하부로 슬라이드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기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상기 제1,2공급로울러(314)(316) 중 하부에 구비된 제1공급로울러(314)의 일측 끝단부에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되고, 타측 끝단부에는 스프라켓(320)이 구비되며, 이 스프라켓(320)과 체인(322)으로 연결되어 제1공급로울러(314)를 동작시키는 제1모터(32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2공급로울러(314)(316)가 설치된 후부, 즉 원단이 이동하는 방향의 베이스(11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3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장착로울러(214)(222)에 각각 권취된 상,하부원단은 제1,2공급로울러(314)(316)의 사이로 공급되어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3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열융착부(510)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력유지부(410)는 베이스(112)의 일측부, 즉 제1,2공급로울러(314)(316)가 설치된 하단에 위치되게 베이스(112)에 설치되는 회동축(4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412)의 양측부에 결합 고정되어 회동축(412)과 동일한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한 쌍의 설치바(41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설치바(416) 사이에 위치되게 양측부가 설치바(416)에 결합 고정되되,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장력조절로울러(4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공급로울러(314)(316)의 사이를 통과한 원단은 다수개 중 제일 앞쪽에 위치한 장력조절로울러(420)의 하부를 통하여 다수개 중 제일 앞쪽에 위치한 가이드로울러(330)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330)와 장력조절로울러(420)를 번갈아 가면서 원단이 이동됨과 동시에 열융착부(510)로 공급되는 원단은 이 장력유지부(410)의 하중에 의해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의 열융착부(510)는 베이스(112)의 양측 상단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외측면에 래크(514)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설치부재(5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재(512)의 상부에 안착되되, 양측부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설치부재(512)에 결합되는 제1하판(520)이 구비되고, 제1하판(520)의 상부에는 지지판(5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하판(520)의 상단 양측 끝단부에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구(524)가 형성되고, 이 한 쌍의 고정구(524)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 고정되는 샤프트(530)가 구비되며, 이 샤프트(530)에는 설치부재(512)의 래크(514)에 맞물리는 피니언(532)이 마련되고, 샤프트(530)의 일측 끝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53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샤프트(530)가 회전하면서 래크(514)를 따라 제1하판(520)이 설치부재(5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하판(520)의 양측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되, 하부에 슬라이드구(542)가 마련된 한 쌍의 슬라이드봉(540)이 구비되고, 슬라이드봉(540)의 상부에는 결합 고정되는 제1상판(5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봉(540)에 결속되되, 제1상판(550)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1탄성부재(55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상판(550)의 상부에 설치되되, 나사축(554)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열융착기(5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열융착기(560)는 나사축(554)에 결합 고정되는 몸체(562)가 구비되고, 이 몸체(562)의 하부에는 열을 발산하는 열선(566)이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열선고정구(564)가 마련되되, 이 한 쌍의 열선고정구(564)는 컵홀더 모양으로 일측이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원단이동부(310)에 의해 이동되어 지지판(522)의 상부에 원단이 위치한 상태에서 제1상판(550)이 하강함과 동시에 열융착기(560)가 하강하여 상,하부원단의 상부를 가열하여 서로 열융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610)는 베이스(112) 하단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두 쌍이 서로 이격되게 고정구(612a)(612b)가 구비되고, 이 두 쌍의 고정구(612a)(612b) 중 한 쌍의 고정구(612a)에 양측부가 결합 고정되는 구동축(6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614)은 한 쌍의 고정구(612a) 내측에 위치되게 양측부에 한 쌍의 제1캠(616)이 구비되고, 제1캠(616)의 외측에는 제1베어링(618)이 결합되며, 제1베어링(618)의 상단 외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작동레버(620)가 구비되고, 구동축(614)의 일측부에는 구동스프라켓(6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614)이 결합 고정된 또 다른 한 쌍의 고정구(612b)에 양측부가 결합 고정되는 피동축(6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동축(630)은 구동축(614)에 구비된 제1캠(616)과 대응되게 한 쌍의 제2캠(632)이 구비되고, 제2캠(632)의 외측에는 제2베어링(634)이 결합되며, 제1베어링(634)의 상단 외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작동레버(636)가 구비되고, 피동축(630)의 일측부에는 체인(640)에 의해 구동축(614)의 구동스프라켓(622)과 서로 연결된 피동스프라켓(63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14)의 회전에 의해 체인(640)으로 연결된 피동축(630)이 회전함과 동시에 제1,2캠(616)(632)이 편심회전을 하면서 제1,2작동레버(620)(636)가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2베어링(618)(634)에 수직 방향으로 일측부가 결합 고정된 제1,2작동레버(620)(636)의 상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부에는 열융착부(510)의 슬라이드구(542)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게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6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레일(650)은 양측 끝단부에는 서로를 결속 지지하는 고정축(652)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614) 및 피동축(630)의 회전에 의해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제1,2작동레버(620)(636)에 의해 레일(650)이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 레일(650)의 승, 하강 동작에 의해 열융착부(510)의 제1상판(550)이 승, 하강하면서 열융착기(560)가 하강하여 지지판(522)에 위치한 원단을 열융착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축(614)에 구비된 구동스프라켓(622)과 체인(662)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구동축(614)으로 전달하는 제2모터(66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모터(660)가 작동하게 되면 체인(662)으로 연결된 구동축(614)이 회전함과 동시에 구동축(614)과 체인(640)에 의해 연결된 피동축(630)이 회전을 하여 열융착부(510)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614)의 구동스프라켓(622)과 피동축(630)의 피동스프라켓(638)을 연결시키는 체인(640)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로울러(6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710)는 베이스(112)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게 제2,3하판(712a)(712b)이 구비되되, 제2,3하판(712a)(712b)의 양측 끝단부는 베이스(112)에 구비된 설치부재(512)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2,3하판(712a)(712b) 각각의 양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2스크루축(714a)(714b)이 구비되고, 제1,2스크루축(714a)(714b)의 상단부 소정의 위치에 결속 고정되는 제2,3상판(720a)(720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3하판(712a)(712b)의 사이에 위치되되, 양측부가 제2,3하판(712a)(712b)의 상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재(7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730)의 중앙부에는 설치홀(732)이 형성되고, 이 설치홀(732)의 중앙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공(734)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2,3상판(712a)(712b)의 상단부에 양측 끝단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지지부재(740)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740)의 상부에는 실린더로드가 지지부재(740)를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 고정되는 제1실린더(74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742)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어 제1실린더(742)의 작동에 의해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하면서 컵홀더 모양으로 열융착된 위치를 절단하는 절단기(7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단기(750)의 작동에 의해 열융착된 원단을 절단시 컵홀더 모양으로 전체를 완전히 절단하지 않고, 어느 일측부가 절단된 폐원단과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게 절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742)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절단기(750)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 절단기(750)가 하강하여 열융착된 부위를 컵홀더 모양으로 절단한 후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710)의 고정부재(730)에는 절단기(750)가 하강하여 원단을 절단시 어느 한곳에만 절단기(750)가 접촉되고, 이 절단기(750)가 접촉되는 위치가 집중적으로 홈 등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부(7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760)는 고정부재(730)의 설치홀(432)에 안착되고, 하부에는 고정부재(730)의 관통공(734)에 결속되어 고정부재(730)의 하부로 돌출되게 관통축(762a)이 형성된 회전판(76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730)의 관통공(734)에 결속되어 고정부재(730)의 하부로 돌출된 관통축(762a)에는 워엄(764)이 결합 고정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730)의 양측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한 쌍의 결속구(765)가 구비되고, 이 결속구(765)에 양측부가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회동축(766)이 구비되며, 이 회동축(766)에는 워엄(764)에 맞물리는 워엄기어(766a)가 구비되고, 회동축(766)의 일측 끝단부에는 래칫스프라켓(766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축(766)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래칫스프라켓(766b)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 래칫스프라켓(766b)의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제1상판(550)의 일측 하단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래칫스프라켓(766b)에 연결되는 회동체인(76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상판(550)에 결합 고정된 회동체인(767)의 타측부에는 회동체인(767)의 긴장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2탄성부재(768)의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회동체인(767)에 결합 고정된 제2탄성부재(768)의 타측부는 절단부(710)의 제3상판(720b)에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상판(550)이 하강하게 되면 회동체인(767)은 제2탄성부재(768)에 제3상판(720b)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래칫스프라켓(766b)을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1상판(550)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면 회동체인(767)을 당김과 동시에 래칫스프라켓(766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체인(767)에 의해 래칫스프라켓(766b)이 정역회전을 할 때 회동축(766)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고, 일예로 래칫스프라켓(766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회동축(766)을 회전시키고,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래칫스프라켓(766b)이 공회전하는 방식에 의해 회동축(766)이 일방으로 회전시 워엄(764)과 워엄기어(766a)에 의해 회전판(762)이 제1상판(550)이 승,하강할 때마다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부(810)는 베이스(112)의 폭 방향 양측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판(8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8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112)에 설치되는 플레이트(814)가 구비되고, 이 플레이트(814)에 설치되어 실린더로드에 승강판(816)이 결합 고정되는 제2실린더(818)가 구비되며, 플레이트(814)의 상단 양측부에는 일측부가 승강판(816)에 결합 고정되는 승강축(8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판(816)의 양측부에는 가이드판(812)을 관통하여 하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부에는 가압지지부재(822)가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82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3상판(720b)의 상부에 일측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설치판(8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830)의 상부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가 설치판(830)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게 제3실린더(840)가 구비되고, 이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는 가압부재(84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열융착부(510)에서 열융착되고, 절단부(710)에서 절단된 원단으로부터 생산된 제품을 분리시키되, 가압지지부재(822)의 상부에 원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실린더(818)를 작동시켜 가압지지부재(822)를 상부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3실린더(840)를 작동시켜 가압부재(842)를 하강시켜 절단기(750)에 의해 절단된 제품을 가압하여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 배출부(910)는 베이스(112)의 내측에 일측부가 위치되되, 분리부(810)의 하단에 위치되고, 타측부는 베이스(112)의 외측에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9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810)에 의해 원단으로부터 분리된 컵홀더 제품은 하부로 떨어져 컨베이어벨트(912)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 컨베이어벨트(912)의 상부에 안착된 제품은 컨베이어벨트(912)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로 배출된 제품은 별도의 수납수단에 수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폐원단회수부(920)는 베이스(112)의 상부에 폭 방향 양측부에 한 쌍의 제2고정부재(922)가 구비되고, 한 쌍의 제2고정부재(922) 사이에 위치되게 상, 하부에 서로 대응되는 제1,2회수로울러(924a)(924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922)에 설치되는 제1,2회수로울러(924a)(924b) 중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2회수로울러(924b)는 제2고정부재(922)에 상, 하부로 슬라이드 되어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의 기술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2)에 제3설치프레임(930)이 구비되고, 제3설치프레임(930)에 권취로울러(93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3설치프레임(930)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체인(938)으로 연결되어 권취로울러(932)를 회전시키는 제3모터(93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3모터(934)의 작동에 의해 권취로울러(932)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분리부(810)에서 제품이 분리된 폐원단은 제1,2회수로울러(924a)(924b)의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로울러(932)에 권취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2)에는 각 구간에서 작업 완료 후 원단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11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100)는 먼저, 제1,2장착로울러(214)(222)에 각각 상부원단과 하부원단을 결속시키고, 상,하부원단을 제1,2공급로울러(314)(316)의 사이를 통과되도록 투입시키고, 투입된 원단은 원단이동부(310)를 통하여 열융착부(51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원단이동부(310)를 통하여 열융착부(510)로 공급될 때 원단은 장력유지부(410)를 통과하여 항상 일정하게 원단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2공급로울러(314)(316)를 통하여 투입된 원단은 다수개의 장력조절로울러(420)와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330)를 서로 번갈아가면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장력유지부(410)에 의해 항상 원단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원단이동부(310)로부터 이동된 원단은 열융착부(510)의 지지판(522) 상부에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작동부(610)의 제2모터(660)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축(614)과 피동축(630)이 회전하게 되며, 이 구동축(614)과 피동축(630)의 회전시 제1,2캠(616)(632)이 편심회전하면서 제1,2작동레버(620)(636)가 승, 하강하게 되고, 제1,2작동레버(620)(636)의 승, 하강동작시 레일(650) 또한 승,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650)의 승, 하강동작에 의해 슬라이드봉(540)이 슬라이드 동작을 하면서 이 슬라이드봉(540)에 결합 고정된 제1상판(550)이 승, 하강하게 되고, 제1상판(550)의 하강시 열융착기(560)가 상,하부원단에 접촉되면서 열융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열융착기(560)에 의해 상,하부원단을 컵홀더 모양으로 열융착시킨 상태에서 제1상판(550)이 상부로 상승함과 동시에 열융착기(560)가 상부로 상승하여 원상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열융착기(560)에 의해 열융착된 상태에서 절단부(710)에 설치된 회전판(762)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판(762)의 상부에 열융착된 원단이 위치된 상태에서 제1실린더(742)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절단기(75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기(750)가 하강하여 열융착된 위치를 컵홀더 모양으로 절단시 4면 전체를 절단하되, 4면 중 어느 일면 또는 2면은 절단된 제품과 원단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단하지 않고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절단기(750)가 하강하게 되면 회전판(762)의 상부에 위치한 원단의 열융착된 부위를 절단하게 되고, 원단의 절단 완료 후에는 절단기(750)가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기(750)가 하강하여 원단을 절단작업을 수행할 때 열융착부(510)의 열융착기(560)가 하강하여 원단을 동시에 열융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열융착부(560)와 절단부(710)의 간격을 조절하여 열융착부(510)에서 열융착된 원단의 위치가 절단기(750)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손잡이(534)를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530)가 회전함과 동시에 이 샤프트(530)에 구비된 피니언(532)이 회전하면서 래크(514)를 따라 이동되는 방식으로 열융착부(510)와 절단부(710)의 간격을 조절하여 원단의 절단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기(750)가 하강하여 원단을 절단시 원단의 하부를 지지하는 회전판(762)은 절단기(750)가 하강한 후 상승하는 과정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판(762)의 어느 한 장소에만 절단기(750)의 칼날이 접촉되어 집중적으로 한곳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상판(550)과 열융착기(560)가 하강할 때 제1상판(550)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된 회동체인(767)은 타측부에 구비된 제2탄성부재(768)에 의해 제3상판(712b)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래칫스프라켓(766b)을 공회전시키고, 제1상판(550)과 열융착기(560)가 상부로 상승할 때 회동체인(767)은 제2탄성부재(768)를 인장시키면서 제1상판(55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래칫스프라켓(766b)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래칫스프라켓(766b)이 회전함에 따라 회동축(766)이 회전하면서 워엄기어(766a)에 맞물린 워엄(764)을 회전시켜 회전판(762)이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열융착부(51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판(762)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판(762)의 상부 어느 한곳에 집중적으로 절단기(750)의 칼날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710)에서 절단된 원단은 분리부(810)로 이동되어 제2,3실린더(818)(840)를 작동시켜 원단으로부터 컵홀더 모양으로 형성된 제품을 분리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2,3실린더(818)(84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2,3실린더(818)(840)의 실린더로드가 각각 인출되면서 승강판(816)과 가이드봉(824)에 의해 연결된 가압지지부재(822)가 상부로 상승함과 동시에 가압부재(842)가 하강하여 원단에 잔류하는 제품의 상, 하부를 가압한 후 제3실린더(840)의 실린더로드의 하강으로 인해 원단으로부터 제품이 분리되어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원단으로부터 제품을 분리시킨 후에는 제2,3실린더(818)(840)의 실린더로드가 삽입되면서 가압지지부재(822) 및 가압부재(842)가 원상복귀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절단기(750)에 의해 절단되어 이동되는 제품을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부(810)에서 분리된 컵홀더는 컨베이어벨트(912)의 상부로 떨어져 안착되고, 상부에 안착된 제품은 컨베이어벨트(91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810)에서 제품이 분리되고 남은 폐원단은 제1,2회수로울러(924a)(924b) 사이를 통과하여 권취로울러(932)에 권취되게 된다.
한편, 상기 원단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은 폐원단회수부(920)의 제3모터(934)의 작동에 의해 권취로울러(932)에 원단이 권취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컵홀더를 생산하는 공정을 원단이 통과하면서 컵홀더가 생산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의 열융착부(510)에 구비된 열융착기(560)와 열융착부(510)에서 열융착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710)의 절단기(750) 및 절단부(710)에서 절단된 컵홀더를 원단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810)의 제3실린더(840)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열융착기(560)와 절단기(750) 및 제3실린더(840)는 각각 한 쌍을 구비한 것을 도면에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을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열융착기(560)와 절단기(750) 및 제3실린더(840)를 각각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를 구비함으로써, 단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컵홀더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은 절단부(710)에서 절단되어 생산된 컵홀더를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810)의 구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원단가공수단(500)은 상, 하원단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부(510와, 열융착부(510)를 동작시키는 작동부(610)와, 열융착부(510)로부터 열융착된 원단을 컵홀더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부(7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융착부(510)와, 작동부(610) 및 절단부(710)의 구성은 전자에서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영융착부(510)에서 상,하원단의 열융착이 이루어지고, 절단부(710)의 절단기(750)에 의해 절단되어 생산된 컵홀더는 폐원단과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절단부(710)를 벗어나는 순간 컵홀더는 원단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부에 구비된 컨베이어벨트(912)의 상부에 안착되어 외부로 이동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컵홀더 제조장치 110 : 베이스부
112 : 베이스 114 : 안내로울러
210 : 원단공급부 212, 220, 930 : 제1,2,3설치프레임
214, 222 : 제1,2장착로울러 224 : 보조로울러
310 : 원단이동부 312, 992 : 제1,2고정부재
314, 316 : 제1,2공급로울러 320 : 스프라켓
322, 640, 662, 938 : 체인 324, 660, 934 : 제1,2,3모터
330 : 가이드로울러 410 : 장력조절부
412 : 회동축 416 : 설치바
420 : 장력조절로울러 500 : 원단가공수단
510 : 열융착부 512 설치부재
514 : 래크 520, 712a, 712b : 제1,2,3하판
522 : 지지판 524 : 고정구
530 : 샤프트 532 : 피니언
540 : 슬라이드봉 542 : 슬라이드구
550, 720a, 720b : 제1,2,3상판 552, 768 : 제1,2탄성부재
560 : 열융착기 562 : 몸체
564 : 열선고정구 566 : 열선
610 : 작동부 612a, 612b : 고정구
614 : 구동축 616, 632 : 제1,2캠
618, 634 : 제1,2베어링 620, 636 : 제1,2작동레버
622 : 구동스프라켓 630 : 피동축
638 : 피동스프라켓 652 : 고정축
670 : 가압로울러 710 : 절단부
730 : 고정판 732 : 설치홀
734 : 관통공 740 : 지지부재
742, 818, 840 : 제1,2,3실린더 750 : 절단기
760 : 회동부 762 : 회전판
762a : 관통축 764 : 워엄
765 : 결속구 766 : 회동축
766a : 워엄기어 766b : 래칫스프라켓
810 : 분리부 812 : 가이드판
814 : 플레이트 816 : 승강판
820 : 승강축 822 : 가압지지부재
824 : 가이드봉 830 : 설치판
842 : 가압부재 910 : 제품 배출부
912 : 컨베이어벨트 920 : 폐원단회수부
924a, 924b : 제1,2회수로울러 932 : 권취로울러

Claims (19)

  1.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비닐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와,
    상기 원단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이동시키는 원단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원단이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단을 열융착 및 절단시켜 컵홀더를 생산하는 원단가공수단과,
    상기 원단가공수단으로부터 생산된 컵홀더를 배출시키는 제품 배출부와,
    상기 원단가공수단에서 발생하는 폐원단을 회수하는 폐원단회수부로 구성되되,
    상기 원단가공수단은 원단이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상,하부원단을 열융착시키는 열융착부와,
    상기 열융착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열융착부로부터 열융착된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2,3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3하판 각각의 양측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제1,2스크루축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스크루축 각각에 제2,3하판과 대응되는 제2,3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3하판에 양측부가 안착 고정되게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3상판에 양측부가 안착 고정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되, 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절단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공급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일측 상단에 제1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1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상부원단이 장착되는 제1장착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격되게 제2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2설치프레임의 상부에는 하부원단이 장착되는 제2장착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동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 폭 방향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제1,2공급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2공급로울러 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단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동부로 공급되는 원단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장력유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하단부에 설치되는 회동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에 일측부가 회동되게 설치되는 설치바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바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장력조절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가공수단은 절단부에서 절단되어 생산된 컵홀더를 원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부는 베이스의 상부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판이 관통되게 양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슬라이드구가 마련된 한 쌍의 슬라이드봉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봉의 상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상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1상판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되는 열융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측부에 래크가 마련되어 제1하판이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설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하판의 양측 상부에는 고정구가 형성되고, 이 고정구에 양측 끝단부가 결속되는 샤프트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측부에는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측 끝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봉의 상부에 지지구가 형성되고, 이 지지구와 제1상판의 사이에 위치되게 슬라이드봉에 결속되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판의 상부에는 열융착기가 설치된 하단에 위치되게 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베이스 하단 내측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부에 구동스프라켓이 마련된 구동축이 구비되고, 이 구동축에는 제1캠이 구비되며, 제1캠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1베어링이 구비되고, 제1베어링에는 제1작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일측부에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피동스프라켓이 마련된 피동축이 구비되고, 이 피동축에는 제2캠이 구비되며, 제2캠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베어링이 구비되고, 제2베어링에는 제2작동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작동레버의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열융착부의 슬라이드구가 결합되는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에 구비된 구동스프라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및 피동축에 각각 구비된 제1,2캠은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을 연결시키는 체인을 가압하는 가압로울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고정판에는 회동부가 구비되되, 이 회동부는 고정판에 설치홀이 형성되고, 이 설치홀에 설치되어 하부에 고정판이 관통되게 관통축이 형성되고, 이 관통축에 워엄이 설치된 회전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하단 양측부에 결속구가 대응되게 구비되고, 이 결속구에 양측 끝단부가 결속되되, 일측 끝단부에 래칫스프라켓이 마련되며, 중앙부에는 워엄에 맞물리는 워엄기어가 마련된 회동축이 구비되며,
    상기 열융착부의 제1상판 하부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어 래칫스프라켓에 연결된 회동체인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의 제3상판 하단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회동체인에 결합 고정되는 제2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에 양측부가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실린더로드에 승강판이 결합 고정되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의 양측부에는 가이드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게 가이드봉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봉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가압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부의 제3상판에 일측부가 결합 고정되고, 타측부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판이 구비되며,
    상기 설치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로드가 설치판 하부에 위치되어 가압부재가 설치된 제3실린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배출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내측에 설치되되, 일측부가 원단가공수단의 분리부 하단에 위치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원단회수부는 베이스부의 베이스 상부 폭 방향 양측부에 설치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게 제1,2회수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에 제3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제3설치프레임에 권취로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3설치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어 권취로울러를 회전시키는 제3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가공수단의 열융착부의 열융착기와, 절단부의 절단기 및 분리부의 제3실린더는 각각 2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제조장치.
KR1020150150857A 2015-10-29 2015-10-29 컵홀더 제조장치 KR10175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57A KR101752883B1 (ko) 2015-10-29 2015-10-29 컵홀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0857A KR101752883B1 (ko) 2015-10-29 2015-10-29 컵홀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28A KR20170049928A (ko) 2017-05-11
KR101752883B1 true KR101752883B1 (ko) 2017-07-03

Family

ID=5874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0857A KR101752883B1 (ko) 2015-10-29 2015-10-29 컵홀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66B1 (ko) * 2022-06-17 2023-03-27 류현숙 에어캡 필름 생산 기능을 구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KR102515165B1 (ko) * 2022-06-17 2023-03-27 류현숙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18B1 (ko) * 2008-12-30 2009-08-05 정승헌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1313495B1 (ko) * 2012-05-29 2013-10-01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918B1 (ko) * 2008-12-30 2009-08-05 정승헌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1313495B1 (ko) * 2012-05-29 2013-10-01 이종철 환부 보호용 드레싱재의 성형 및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66B1 (ko) * 2022-06-17 2023-03-27 류현숙 에어캡 필름 생산 기능을 구비한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KR102515165B1 (ko) * 2022-06-17 2023-03-27 류현숙 다층 레이어로 이루어진 에어캡 포장재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928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78493B (zh) 包膜设备及物料入袋与封袋控制方法
CN109178491B (zh) 入袋模块、入袋控制方法及包膜设备
KR101466322B1 (ko)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 제조장치
JP5230659B2 (ja) 充填包装装置
KR101752883B1 (ko) 컵홀더 제조장치
JP2011516304A (ja) 袋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9178492B (zh) 拉膜制袋模块、拉膜制袋方法及包膜设备
CN109178490B (zh) 入袋平台及包膜设备
CN109436477B (zh) 制袋组件及拉膜制袋模块
KR101260012B1 (ko)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KR200395250Y1 (ko) 두부포장장치
KR102417792B1 (ko)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US2720246A (en) Container making machine
KR101977713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350431B1 (ko) 포장기계시스템의 사이드 실링장치
KR100630815B1 (ko) 비닐백 제조장치
WO2016185875A1 (ja) ひねり包装装置
KR20160003975A (ko) 발효식품 자동 포장시스템
KR20170014417A (ko) 스파우트 부착 제대 충전 포장기
TWM513845U (zh) 夾鏈封合壓合機構
CN208344635U (zh) 废膜收集装置及应用该废膜收集装置的拉伸膜包装机
KR102134452B1 (ko) 제대기 및 이를 이용한 포대 제작방법
KR100933410B1 (ko) 광폭 실링형 폴리에틸렌 비닐봉지 제조장치
KR101743873B1 (ko) 사이드실링백 사이드실링장치
KR102645696B1 (ko) 버티컬타입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