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918B1 -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918B1
KR100910918B1 KR1020080137030A KR20080137030A KR100910918B1 KR 100910918 B1 KR100910918 B1 KR 100910918B1 KR 1020080137030 A KR1020080137030 A KR 1020080137030A KR 20080137030 A KR20080137030 A KR 20080137030A KR 100910918 B1 KR100910918 B1 KR 10091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vinyl
glove
fusion
vinyl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헌
Original Assignee
정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헌 filed Critical 정승헌
Priority to KR102008013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2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 B29C65/221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wire, resistive ribbon, band or strip
    • B29C65/224Heated wire resistive ribbon, resistive band or resistive strip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d wire, resistive ribbon, band or strip being a resistive ribbon, a resistive band or a resistive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 B29C65/74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for making welds and cuts of other than simple rectiline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9Removing sc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4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 B29C66/24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non-straight, e.g. forming non-closed cont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4Stretching or tensioning the joint area during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6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omprising a plurality of single pressing elements, e.g. a plurality of sonotrodes, 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ingle counter-pressing elements, e.g. a plurality of anvils, said plurality of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itable for making a singl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3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in different planes; 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mounted in parallel or in series
    • B29C66/8432Machines for making separate joints at the same time mounted in parallel or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4Producing wearing apparel
    • B29D99/0067Gl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는,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비닐원단을 권출시켜 공급하는 공급기; 상기 공급기에서 공급받은 상기 비닐원단을 수평 상태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프레싱하여 장갑 형태로 융착시키는 융착기; 및 상기 융착기에서 융착된 장갑 형태를 상기 비닐원단에서 뜯어 양측으로 분리시키는 분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비닐원단을 다수 열융착하여 제조된 장갑을 진공에 의해 비닐원단에서부터 뜯어냄에 따라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동일한 힘으로 장갑을 뜯어내 불량률이 감소하며, 대량 생산을 위해 대향되는 융착 커터를 한 쌍씩 분할된 금형에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함에 따라 평탄도 유지가 용이할 수 있게 순차 하강하여 장갑을 열융착함에 따라 축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평탄도를 맞추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일회용 비닐장갑, 비닐원단, 열융착, 진공

Description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ONE-TIME VINYL GLOVES MANUFACTURE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공급하고 비닐원단을 열융착시켜 장갑을 성형한 후 진공에 의해 비닐원단에서 장갑을 뜯어낼 수 있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비닐장갑은 위생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을 할 경우 사용자의 손에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하여 반찬 등의 음식을 만들 때 손으로부터 유해 물질 및 이물질이 음식에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비닐장갑의 용도는 김치, 나물, 생선 등 음식물을 위생적으로 조리 및 취급해야 할 경우 및 머리염색, 도배, 페인트칠, 자동차 세차, 화학실험, 화초손질 등 각종 오염물질, 유해물질을 처리하는 경우 각각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런 비닐장갑은 신축성과 내구성을 요하는 고무장갑과는 달리 위생처리 및 편리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재사용되지 않는 이유로, 1회 사용 후 폐기 처분되는 경우가 주를 이룬다.
이로 인해, 비닐장갑은 일반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제 비닐지를 사용하며, 이런 한 쌍의 비닐시트를 접착하여, 다량으로 성형 생산한다.
그리고, 합성수지재 위생용 비닐장갑은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손에 적합하도록 설정 사이즈를 갖으면서 손목부의 입구를 넓게 형성한다.
한편, 종래의 위생용 비닐장갑은 공급되는 상하 또는 튜브 형태의 비닐원단을 일부만 절단되도록 열융착한 후 다수 적층시킨 상태로 배출한 다음 작업자가 다수 적층된 비닐원단과 장갑을 각각 잡고 수작업에 의해 비닐원단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며 이 과정에서 매번 작업자의 파지하는 힘과 뜯는 힘이 달라 장갑을 뜯는 과정에서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장갑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작업할 때 다수개의 장갑을 열융착하기 위해 하나의 금형에 다수개의 융착 커터를 구비하여 다면적 금형에 의한 열융착시 평탄도가 유지되지 않아 일부분이 들뜨며 이에 융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으로 비닐원단을 다수 열융착하여 제조된 장갑을 진공에 의해 비닐원단에서부터 뜯어냄에 따라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동일한 힘으로 장갑을 뜯어내 불량률이 감소할 수 있게 한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 생산을 위해 대향되는 융착 커터를 한 쌍씩 분할된 금형에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함에 따라 평탄도 유지가 용이할 수 있게 순차 하강하여 장갑을 열융착함에 따라 축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평탄도를 맞추기 용이한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비닐원단을 권출시켜 공급하는 공급기; 상기 공급기에서 공급받은 상기 비닐원단을 수평 상태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프레싱하여 장갑 형태로 융착시키는 융착기; 및 상기 융착기에서 융착된 장갑 형태를 상기 비닐원단에서 뜯어 양측으로 분리시키는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테이블은, 상기 융착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잡아당기는 제3 풀러; 상기 융착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재차 잡아당기는 제4 풀러; 상기 제3 플러의 전방 롤러와 상기 제4 플러의 후방 롤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 및 상기 벨트 중 상기 융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장갑 형태의 융착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3, 4 풀러는 한 쌍의 롤러로 상기 비닐원단을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벨트는 상기 제4 풀러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벨트는 테프론(Teflon) 또는 실리콘(Silic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지지 패드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융착기는, 상기 지지 패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열에 의해 장갑 형태로 융착하고 부분 절단할 수 있도록 저면에 융착 칼날이 구비되는 금형; 및 상기 금형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을 융착 위치 및 원위치로 승강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금형은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마다 다수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금형은 대향되는 각각의 융착 칼날마다 다수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금형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마다 개별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금형은 상기 비닐원단의 진입 방향의 선단부터 순차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기의 양측에 장갑을 상기 비닐원단의 이동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각각 배출시키는 컨베이어인 한 쌍의 배출 테이블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분리기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에서 장갑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를 장갑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장갑의 뜯는 위치에 한 쌍이 이웃하게 구비되며 일단에 기어가 각각 설치되어 치합에 의해 대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장갑의 배출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과 각각 벨트 연결되는 종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에 제공하는 제6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흡착부는, 상기 테이블과 상기 배출 테이블로 상호 이동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하측에 구비되어 장갑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에서 승강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장갑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에서 승강시키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복수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끝단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흡착부는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한 쌍의 흡착부 사이에는 상기 비닐원단에서 장갑을 뜯을 때 비닐원단의 중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비닐원단의 중심을 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제1 가압바; 및 상기 제1 가압바의 상단에 로드가 고정되어 상기 제1 가압바를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종동축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 테이블에 뜯은 장갑 의 이동 완료시 상기 장갑을 일시적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배출 테이블로 배출된 장갑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제2 가압바; 및 상기 제2 가압바의 상단에 로드가 고정되어 상기 제2 가압바를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는, 비닐원단을 다수 열융착하여 제조된 장갑을 진공에 의해 비닐원단에서부터 자동으로 뜯어냄에 따라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동일한 힘으로 장갑을 뜯어내 불량률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는, 대량 생산을 위해 대향되는 융착 커터를 한 쌍씩 분할된 금형에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함에 따라 평탄도 유지가 용이할 수 있게 순차 하강하여 장갑을 열융착함에 따라 축에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평탄도를 맞추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00), 테이블(200), 융착기(300), 분리기(400), 배출 테이블(500) 및 컨트롤러(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wind)된 적어도 하나의 비닐원단(M: Material)을 권출(unwind)시켜 겹치도록 테이블(200)로 공급하되, 본 발명에서는 상하 2겹의 비닐지를 사용하여 장갑(G)을 만들도록 예시하며, 비닐지의 장수 증감이 가능하다. 더욱이, 비닐원단(M)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갑(G)을 외피층과 내피층을 구비할 경우 외피층은 비닐지이면서 내피층은 일반 종이류에 비해 다소 질긴 부직포 또는 냅킨지 등으로 접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공급기(100)는 비닐원단 지지부(110) 및 비닐원단 공급부(120)로 세부화하여 구성되며, 상기 비닐원단 지지부(110)는 프레임(112) 및 권취된 형태의 비닐원단(M)의 심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축(114)이 프레임(112)의 일단에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비닐원단 공급부(120)는 비닐원단 지지부(110)의 전방에 위치되며, 프레임(122), 제1 풀러(Puller: 130), 제1 회전부(140), 제2 풀러(Puller: 150), 제2 회전부(160) 및 고정롤러(R)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2)은 제1 풀러(130), 제1 회전부(140), 제2 풀러(150), 제2 회전부(160) 및 고정롤러(R)를 지지한다.
상기 제1 풀러(130)는 권취된 2개의 롤(Roll) 형태인 비닐원단(M) 중 하측의 비닐원단(M)을 제3 풀러(220)를 거쳐 제4 풀러(230)로 이동시키기 위해 최초로 비닐원단(M)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프레임(122)의 일측벽 하부에 설치되며, 제1 인출롤러(132) 및 제1 구동모터(1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인출롤러(132)는 전후 한 쌍이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며, 어느 하나 는 고정식이고 다른 하나는 간격 조절을 위한 이동식으로, 고정식 제1 인출롤러(132)를 구동시켜 비닐원단(M)에 인출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구동모터(134)는 제1 인출롤러(132)의 상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1 인출롤러(132) 중 고정식에 비닐원단(M)이 인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회전부(140)는 제1 풀러(130)의 하측이면서 프레임(122)의 일측벽 하부에 설치되며, 제1 풀러(130)의 제1 구동모터(134) 작동시 자중에 의해 비닐원단(M)을 늘어뜨릴 수 있도록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140)는 일단이 프레임(122)의 일측벽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회전바(142)와 상기 회전바(142)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롤러(144)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풀러(150)는 권취된 2개의 롤 형태인 비닐원단(M) 중 상측의 비닐원단(M)을 제3 풀러(220)를 거쳐 제4 풀러(230)로 이동시키기 위해 재차 비닐원단(M)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프레임(122)의 일측벽 상부에 설치되며, 제2 인출롤러(152) 및 제2 구동모터(15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인출롤러(152) 및 제2 구동모터(154)는 제1 인출롤러(132) 및 제1 구동모터(134)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160)도 제1 회전부(140)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며, 회전바(162)와 상기 회전바(162)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롤러(16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 인출롤러(132, 15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비닐원단(M)을 일률적으로 잡아당길 경우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하는 제1, 2 회전부(140, 160)에 의해 비닐원단(M)을 늘어뜨릴 수 있다. 결국, 제1, 2 구동모터(134, 154)가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면 자중에 의해 비닐원단(M)을 늘어뜨릴 수 있도록 제1, 2 회전부(140, 160)가 하방으로 각각 회동되고, 제1, 2 구동모터(134, 154)가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하지 않으면 상하 비닐원단(M)이 빨려들어가므로 제1, 2 회전부(140, 160)는 상방으로 회동된다.
상기 고정롤러(R)는 제1, 2 인출롤러(132, 152)의 상측 위치인 프레임(122)에 각각 회전하게만 다수 고정 설치되고, 프레임(122)의 일측벽 상,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비닐원단(M)의 이동 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테이블(2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00)에서 공급받은 상하 비닐원단(M)을 융착기(300)에서 장갑 형태로 열융착하여 찍어내기 위해 수평 상태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방식으로, 프레임(210), 제3 풀러(220), 제4 풀러(230), 벨트(240) 및 지지 패드(24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10)은 제3 풀러(220), 제4 풀러(230), 벨트(240) 및 지지 패드(242)를 지지한다.
상기 제3 풀러(220)는 프레임(210)의 상면 후단에 설치되어 상하 비닐원단(M)을 동시에 잡아당기며, 제3 인출롤러(224) 및 제3 구동모터(226)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인출롤러(224)는 상하 한 쌍이 프레임(210)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222)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어느 하나는 고정식이고 다 른 하나는 간격 조절을 위한 이동식으로, 고정식 제3 인출롤러(224)를 구동시켜 비닐원단(M)에 인출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3 구동모터(226)는 제3 인출롤러(224)의 하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제3 인출롤러(224) 중 고정식인 하측에 비닐원단(M)이 인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며,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4 풀러(230)는 프레임(210)의 상면 선단에 설치되어 융착기(300)에서 장갑 형태로 열융착하고 분리기(400)에서 장갑(G)을 각각 뜯어낸 다음 나머지 상하 비닐원단(M) 자투리를 최종적으로 동시에 잡아당기며, 제4 인출롤러(234) 및 제4 구동모터(23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 인출롤러(234) 및 제4 구동모터(236)는 제3 인출롤러(224) 및 제3 구동모터(226)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벨트(240)는 제3 풀러(220)의 전방에 위치된 제3 롤러(228)와 제4 풀러(230)의 후방에 위치된 제4 롤러(238)를 상호 연결하여 상하 비닐원단(M)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통해 중심 위치에서 융착기(300)에 의해 비닐원단(M)을 장갑(G) 형태로 융착하고 후방 위치에서 분리기(400)에 의해 장갑(G)을 뜯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벨트(240)는 제4 풀러(230)의 제4 구동모터(236)의 구동력을 벨트 연결하여 연동되므로 제4 인출롤러(234)의 회전속도와 동일하며, 제4 인출롤러(234)에 동일 속도로 비닐원단(M)을 공급한다.
더욱이, 상기 벨트(240)는 내열성이 우수한 테프론(Teflon) 또는 실리 콘(Silicon) 등으로 형성되어 비닐원단(M)을 열에 의해 장갑 형태로 융착할 경우 융착 위치가 바뀌도록 회동하므로 열이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아 변형 또는 손상되지 않고 별도의 냉각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다.
상기 지지 패드(242)는 벨트(240) 사이 중 융착기(3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장갑 형태의 융착 부위를 지지는 실리콘 판재 등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지지 패드(242)는 다른 위치에서 열융착이 수행되는 벨트(240)와 다르게 동일 위치에서 열융착이 실시되므로 열이 열융착 부위에 집중되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등을 접목시킨다.
이때, 상기 벨트(240) 및 지지 패드(242)는 테프론 또는 실리콘 등에 한정하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이면 어떠한 것으로도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융착기(300)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200) 즉, 지지 패드(242)의 상측에 설치되어 비닐원단(M)을 프레싱하면서 장갑 형태로 열융착시키며, 프레임(310), 제1 구동부(312), 연결부재(316), 상, 하판(318a, 318b) 및 금형(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10)은 제1 구동부(312), 연결부재(316), 상, 하판(318a, 318b) 및 금형(320)을 지지한다.
상기 제1 구동부(312)는 금형(320)을 지지 패드(242)와 수직선상 위치인 벨트(240) 상인 열융착 위치 및 원위치로 승강시키며, 제5 구동모터(314a) 및 축(314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5 구동모터(314a)는 프레임(310)의 상면 일단에 구비되어 축(314b)에 체인 구동으로 동력을 제공하며,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축(314b)은 제5 구동모터(314a)의 구동축과 평행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지지부재(314c)에 의해 지지되며 제5 구동모터(314a)의 구동력으로 종동되어 금형(320)을 비닐원단(M)의 열융착 위치로 하강시키거나 이격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해 회전한다.
상기 연결부재(316)는 하단이 분할된 금형(320)마다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단이 축(314b)에 편심 위치를 각각 달리하면서 고정되어 회전시 각각의 연결부재(316)마다 분할된 금형(320)을 순차 승강시키게 한다.
상기 상판(318a)은 각각의 상면에 연결부재(316)가 각각 연결되고 그 하측에 하판(318b)이 대응되게 각각 고정되는 판상이다.
상기 금형(320)은 하판(318b)의 하측에 가장자리마다 설치된 핀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하며 비닐원단(M)을 열에 의해 장갑 형태로 융착하고 부분 절단할 수 있도록 저면에 융착 칼날(32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융착 칼날(322)은 융착할 장갑 형태로 형성되며 양 끝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저항역할을 하므로 자체가 비닐원단(M)을 장갑(G) 형태의 가장자리를 융착시킬 수 있는 정도까지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융착 칼날(322)은 형상에 따라 그 안쪽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바깥쪽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비닐원단(M)에 프레싱 성형된 장갑(G)이 비닐원 단(M)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분리기(400)에서 쉽게 분리가능하다.
한편, 상기 융착 칼날(322)이 비닐원단(M)을 가압하면서 장갑(G) 형태로 성형시킴과 동시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비닐원단(M)의 용융온도까지 가열되어 있는 융착 칼날(322)이 가압하여 성형시키는 상하 2겹의 비닐원단(M) 가장자리를 순간적으로 용융시켰다가 상승함으로써 용융된 부분이 서로 융착되어 하나의 장갑(G) 형태를 이루게 한다.
그리고 상기 융착 칼날(322)이 비닐원단(M)에 장갑(G)을 성형시키면서 가열할 때 장갑(G) 쪽을 향하는 융착 칼날(322)의 내측면은 수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깨끗하게 융착 및 절단되지만, 융착 칼날(322)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경사폭만큼 비닐원단(M) 쪽에서 융착된 부분이 응고되면서 성형된 장갑(G)과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금형(320)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3개로 분할된 상태로 예시하며 분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금형(320)은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322)마다 다수 분할 형성되고 각각이 편심 위치가 다르게 축(314b)에 연결된 연결부재(316)에 의해 개별 승강된다.
즉, 상기 금형(320)이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322)마다 다수 분할되고 비닐원단(M)의 진입 방향의 선단부터 순차 하강하여 비닐원단(M)을 장갑(G) 형태로 순차 융착한다. 이 이유는 분할된 금형(320)을 하나로 형성하거나 분할된 상태에서 각각을 일률적으로 하강시킬 경우 각각의 평탄도를 맞추기 난해하여 부분적으로 들뜨게 되며 이는 장갑(G) 융착시 불량률을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금 형(320)의 평탄도를 맞추지 않으면 금형(320)을 축(314b)에 연결하는 연결부재(316)에서 축(314b)과의 연결부위에 부하가 집중되어 파손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금형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향되는 각각의 융착 칼날마다 다수 분할 형성되고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마다 개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기(4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기(300)에서 융착된 장갑(G)을 비닐원단(M)에서 뜯어 양측으로 분리시키며, 프레임(410), 제2 구동부(412), 흡착부(422), 제1 가압부(440) 및 제2 가압부(4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흡착부(422) 및 제2 가압부(450)는 비닐원단(M)의 진입 방향과 직교 방향인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410)은 제2 구동부(412), 흡착부(422), 제1 가압부(440) 및 제2 가압부(450)가 지지된다.
상기 제2 구동부(412)는 흡착부(422)를 비닐원단(M)에서 장갑(G)을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며, 제6 구동모터(414), 구동축(416), 종동축(418) 및 벨트(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6 구동모터(414)는 프레임(410)의 상단에 설치되어 벨트 연결된 구동축(416)에 동력을 제공하며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구동축(416)은 제6 구동모터(414)의 구동축과 평행하도록 프레임(410)의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되 비닐원단(M)에서 장갑(G)을 뜯는 위치에 한 쌍 이 이웃하게 구비되며 일단에 기어(416a)가 각각 설치되어 기어(416a)의 치합(齒合)에 의해 대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종동축(418)은 구동축(416)과 각각 평행하면서 장갑(G)의 배출 위치인 배출 테이블(500)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며 구동축(416)과 각각 벨트 연결되어 종동된다.
상기 벨트(420)는 이웃한 한 쌍의 구동축(416)과 이격된 한 쌍의 종동축(418) 양단을 연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한다.
상기 흡착부(422)는 테이블(200)의 후단 상측에 구비되어 비닐원단(M)에서 장갑(G)을 진공 흡착하여 뜯어내며, 연결판(424), 고정판(426), 제1 실린더(428), 승강판(430), 흡착부재(432) 진공펌프(도면에 미도시) 및 압축기(도면에 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424)은 테이블(200)의 양단과 배출 테이블(500)로 상호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벨트(430) 하단에 대향되도록 고정되고 상면 중심에 제1 실린더(428)의 몸체가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426)은 연결판(424)의 하측에 각각 고정되며 제1 실린더(428)의 로드 끝단이 고정되어 제1 실린더(428)의 작동시 승강한다.
상기 제1 실린더(428)는 압축기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로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승강판(430)은 고정판(426)의 하측에 각각 고정되어 장갑(G)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에서 각각 승강하며 그 저면에 비닐원단(M)에 융착된 장갑(G)을 진 공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부재(432)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흡착부재(432)는 승강판(430)의 저면에 복수 구비되어 장갑(G)의 입구부 끝단 두 지점을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연질재로 형성되며, 진공펌프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가압부(440)는 한 쌍의 흡착부(422) 사이에 구비되어 흡착부재(432)에 의해 비닐원단(M)에서 장갑(G)을 뜯을 때 비닐원단(M)의 중심 부위를 가압하여 비닐원단(M)의 일측 쏠림을 방지하며, 제1 가압바(442) 및 제2 실린더(44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압바(442)는 비닐원단(M)의 중심을 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수평 방향의 바(Bar)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가압바(442)의 길이는 본 발명에서 대칭되는 3 쌍의 장갑(G)을 융착하고 뜯어내므로 3 쌍의 장갑(G) 위치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린더(446)는 프레임(410)의 저면 중심에 복수 몸체가 고정되고 제1 가압바(442)의 상단에 로드가 복수 고정되어 장갑(G)을 뜯어낼 때 제1 가압바(442)를 하강시키고 장갑(G)을 뜯어내면 제1 가압바(442)를 상승시키는 압축기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로,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2 가압부(450)는 종동축(418)의 하측인 프레임(4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배출 테이블(500)에 뜯은 장갑(G)의 이동 완료시 장갑(G)을 일시적으로 가압하여 장갑(G)을 항시 일정한 위치에 순차 적층시키며, 제2 가압바(452) 및 제3 실린더(456)로 구성된다.
상기 제2 가압바(452)는 배출 테이블(500)로 배출된 장갑(G)을 순차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수평 방향의 바(Bar) 형태로 구비되며, 내측벽에 뜯어낸 장갑(G)의 개수만큼 돌출되는 연장부재(452a)가 한 쌍씩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가압바(452)의 길이는 본 발명에서 대칭되는 3 쌍의 장갑(G)을 융착하고 뜯어내므로 3 쌍의 장갑(G) 위치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장부재(452a)는 다수 열의 장갑(G) 뭉치를 가압할 수 있는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실린더(456)는 프레임(410)의 저면 양단에 몸체가 고정되고 제2 가압바(452)의 상단에 로드가 고정되어 뜯어낸 장갑(G)을 배출 테이블(500)로 이송시키면 제2 가압바(452)를 하강시키고 배출 테이블(500)로 이송이 완료되면 제2 가압바(452)를 상승시키는 압축기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로,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배출 테이블(5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기(400)의 양측 하부에 비닐원단(M)에서 뜯은 장갑(G)을 비닐원단(M)의 이동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각각 배출시키는 컨베이어로 이에 한 쌍이 구비되며, 프레임(510), 제3 구동부(520) 및 벨트(53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510)은 제3 구동부(520) 및 벨트(530)를 지지한다.
상기 제3 구동부(520)는 분리기(400)를 통해 비닐원단(M)에서 뜯은 장갑(G)이 벨트(530) 상에 놓여져 설정 높이만큼 적층되면 점차 벨트(530)를 이웃한 빈 위 치로 후진시키며, 제7 구동모터(522) 및 롤러(524)로 구성된다.
상기 제7 구동모터(522)는 한 쌍이 이격된 롤러(524) 중 구동되는 롤러(524)와 체인 연결되어 이 롤러(524)에 회전력을 제공하며,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롤러(524)는 프레임(510)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며, 내측단에는 제7 구동모터(522)와 연결되어 구동되고 외측단에는 내측단의 롤러(524)와 연동되는 종동 롤러이다.
상기 벨트(530)는 한 쌍의 롤러(524)를 서로 연결하여 회동되며 다수 융착 커터(332)에 의해 융착된 2열 다수 장갑(G)을 각 열마다 동일 위치에 적층시킨 후 설정 적층량을 만족하면 외측 방향으로 구동되며 일반적인 고무 벨트 등이 적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10)의 장갑 제조 과정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비닐원단 공급부(120)의 지지축(114) 상에 권취된 롤 형태인 비닐원단(M)을 각각 삽입시켜 준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원단 공급부(120)에서 상, 하측 비닐원단(M)의 끝단은 고정롤러(R)를 거쳐 제1, 2 인출롤러(132, 152), 제1, 2 회전부(140, 160)의 롤러(144, 164)와 그 상, 하측에 고정된 고정롤러(R)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의 궤적을 각각 갖도록 인출하면서 상, 하 비닐원단(M)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3, 4 인출롤 러(224, 234)의 사이에 지지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 2 풀러(130, 150)의 제1, 2 구동모터(134, 154)가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제1, 2 회전부(140, 160)의 롤러(144, 164) 자중으로 회전바(142, 162)가 회동되면 제1, 2 인출롤러(132, 152)가 상하 비닐원단(M)을 잡아당기면서 상기 테이블(200)의 벨트(240)가 제3, 4 플러(220, 230)의 제3, 4 구동모터(226, 236) 구동에 의해 전진되어 이에 접한 상하 비닐원단(M)이 공급되면 지지 패드(242) 상측에 위치된 융착기(300)에서 비닐원단(M)을 장갑(G) 형태로 2열 다수개씩 융착시킨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5 구동모터(312a)가 구동되면 체인 연결되는 축(314b)이 회전되고 이 축(314b)에 편심 위치를 달리하여 연결된 연결부재(316)에 의해 금형(320)을 가압하며, 가압시 평탄도 유지를 위해 분할 형성된 금형(320)이 비닐원단(M)의 진입 방향과 가까운 선단부터 순차 하강하고 융착 칼날(322)에 전원이 인가되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닐원단(M)에 접촉하는 융착 칼날(322)에 의해 비닐원단(M)에서 장갑(G) 형태를 따라 열융착한다. 더욱이, 상기 융착 칼날(322)의 내측면은 수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깨끗하게 융착 및 절단되지만, 융착 칼날(322)의 외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경사폭만큼 비닐원단(M) 쪽에서 융착된 부분이 응고되면서 성형된 장갑(G)과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기(400)에서 비닐원단(M)에서 열융착된 장갑(G)을 자동으로 뜯어 배출 테이블(500)의 벨트(630) 상에 배출시킨다. 이는 뜯어낼 장갑(G)이 위치된 비닐원단(M)의 중심부위를 제1 가압부(442)가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하면서 2열 다수개로 융착된 장갑(G) 상측에 흡착부(422)의 흡착부재(432)를 위치시킨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2 실린더(446)를 구동시켜 제1 가압바(442)가 뜯어낼 장갑(G)이 위치된 비닐원단(M)의 중심부위로 하강하여 지지하면서 제2 구동부(412)의 구동으로 흡착부재(432)가 장갑(G)마다 입구부 양단을 각각 흡착하기 위해 하강한다.
이때, 상기 흡착부재(432)의 작동은 제6 구동모터(414)가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구동을 시작하여 어느 한 구동축(416)을 구동시키면 이와 기어(416a)로 치합된 다른 구동축(416)이 연동되며 구동축(416)과 이웃한 종동축(418)을 연결하는 벨트(420) 상에 고정된 연결판(424)이 내측으로 이동한 후 제1 실린더(428)가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하강하고 승강판(430)의 저면에 다수 구비된 흡착부재(432)가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장갑(G)의 입구 양단을 진공 흡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장갑(G)의 입구 양단을 흡착부재(432)가 진공 흡착하면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6 구동모터(414)가 반대 방향으로 구동을 시작하며 구동축(416)과 종동축(418)을 연결하는 벨트(420)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판(424)이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흡착부재(432)에 흡착된 다수 장갑(G)을 배출 테이블(500) 상에 각각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장갑(G)이 배출 테이블(500) 상에 위치되면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3 실린더(454)가 각각 하강하여 제2 가압바(452) 및 연장부재(452a) 가 흡착부재(432)에 흡착된 장갑(G)을 가압하여 위치 고정시키고 흡착부재(432)에 흡착력을 일시 정지시키며 제2 가압바(452) 및 연장부재(452a)에 의해 잡고 있는 장갑(G)에서 흡착부재(432)가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착부재(432)는 제1 실린더(428)의 구동에 의해 설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제2 구동부(412)의 벨트(420)를 구동시켜 비닐원단(M)에서 뜯어낼 장갑(G) 위치인 내측으로 각각 이동하고 재차 제1 실린더(428)의 구동에 의해 흡착 위치로 각각 하강하고 이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 테이블(500) 상에 1열 다수개씩 배출되면서 설정 높이만큼 적층되면 제7 구동모터(522)가 컨트롤러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롤러(524)를 회동시키고 이를 연결한 벨트(530)가 외측 방향으로 점차 구동되면서 적층할 빈자리를 제공하며, 작업자는 비닐원단(M)에서 뜯어낸 장갑(G) 뭉치를 수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 의한 비닐원단에서 장갑이 융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서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서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서 융착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서 분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에서 배출 테이블을 도시한 부분 사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급기 110: 비닐원단 지지부
120: 비닐원단 공급부 200: 테이블
220: 제3 풀러 224: 제3 인출롤러
230: 제4 풀러 234: 제4 인출롤러
240: 벨트 242: 지지 패드
300: 융착기 312: 제1 구동부
314b: 축 314c: 연결부재
320: 금형 322: 융착 칼날
400: 분리기 412: 제2 구동부
416; 구동축 418: 종동축
432: 흡착부재 440: 제1 가압부
450: 제2 가압부 500: 배출 테이블

Claims (20)

  1.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비닐원단을 권출시켜 공급하는 공급기;
    상기 공급기에서 공급받은 상기 비닐원단을 수평 상태로 이송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프레싱하여 장갑 형태로 융착시키는 융착기;
    상기 융착기에서 융착된 장갑 형태를 상기 비닐원단에서 뜯어 양측으로 분리시키는 분리기; 및
    상기 분리기의 양측에 장갑을 상기 비닐원단의 이동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각각 배출시키는 컨베이어인 한 쌍의 배출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융착기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잡아당기는 제3 풀러;
    상기 융착기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재차 잡아당기는 제4 풀러;
    상기 제3 플러의 전방 롤러와 상기 제4 플러의 후방 롤러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 및
    상기 벨트 중 상기 융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장갑 형태의 융착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 풀러는 한 쌍의 롤러로 상기 비닐원단을 잡아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제4 풀러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테프론(Teflon) 또는 실리콘(Silico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드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기는,
    상기 지지 패드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을 열에 의해 장갑 형태로 융착하고 부분 절단할 수 있도록 저면에 융착 칼날이 구비되는 금형; 및
    상기 금형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금형을 융착 위치 및 원위치로 승강시키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마다 다수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대향되는 각각의 융착 칼날마다 다수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융착 칼날마다 개별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비닐원단의 진입 방향의 선단부터 순차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비닐원단에서 장갑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를 장갑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장갑의 뜯는 위치에 한 쌍이 이웃하게 구비되며 일단에 기어가 각각 설치되어 치합에 의해 대칭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장갑의 배출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축과 각각 벨트 연결되는 종동축; 및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에 제공하는 제6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테이블과 상기 배출 테이블로 상호 이동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의 하측에 구비되어 장갑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에서 승강하는 승강판;
    상기 승강판을 장갑의 뜯는 위치와 배출 위치에서 승강시키는 제1 실린더; 및
    상기 승강판의 저면에 복수 구비되어 상기 장갑의 끝단을 진공 흡착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테이블의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흡착부 사이에는 상기 비닐원단에서 장갑을 뜯을 때 비닐원단의 중심 부위를 지지하는 제1 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는,
    상기 비닐원단의 중심을 접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제1 가압바; 및
    상기 제1 가압바의 상단에 로드가 고정되어 상기 제1 가압바를 승강시키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의 하측에는 상기 배출 테이블에 뜯은 장갑의 이동 완료시 상기 장갑을 일시적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배출 테이블로 배출된 장갑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강하는 제2 가압바; 및
    상기 제2 가압바의 상단에 로드가 고정되어 상기 제2 가압바를 승강시키는 제3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0080137030A 2008-12-30 2008-12-30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0910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30A KR100910918B1 (ko) 2008-12-30 2008-12-30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30A KR100910918B1 (ko) 2008-12-30 2008-12-30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918B1 true KR100910918B1 (ko) 2009-08-05

Family

ID=4120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030A KR100910918B1 (ko) 2008-12-30 2008-12-30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91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20B1 (ko) 2009-12-23 2010-12-15 황윤선 부직포 장갑을 가진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1161335B1 (ko) * 2010-05-13 2012-07-11 주식회사 크린? 하부열판이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KR101161334B1 (ko) * 2010-05-13 2012-07-11 주식회사 크린? 이중융착날이 구비된 비닐장갑제조장치
KR101418569B1 (ko) * 2013-02-04 2014-07-11 이권남 비닐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66322B1 (ko) * 2012-07-03 2014-11-27 이권식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 제조장치
CN105172006A (zh) * 2015-10-10 2015-12-23 淄博诚迅自动化设备有限公司 手套摘取叠放机
KR101717414B1 (ko) * 2016-05-04 2017-03-23 주식회사 삼일기계 프리프레그 기반의 섬유강화 복합재료 시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 제품
KR20170033639A (ko) * 2015-09-17 2017-03-27 이진재 일회용 위생장갑 제조 장치
KR101752883B1 (ko) * 2015-10-29 2017-07-03 성일화학(주) 컵홀더 제조장치
KR20180040920A (ko) * 2016-10-13 2018-04-23 우상근 비닐장갑 자동 취출장치
CN109600985A (zh) * 2017-07-31 2019-04-09 有限会社凯雅达 手套制造穿戴装置、手套制造穿戴方法及手套
KR20210006074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명성 비닐장갑 및 그 원단 제조장치
KR102365478B1 (ko) * 2021-12-08 2022-02-18 고동찬 비닐원단의 융착 및 커팅장치
KR102490660B1 (ko) 2022-06-03 2023-01-26 안혜주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495583B1 (ko) * 2022-07-12 2023-02-07 에코케미칼(주) 비닐원단의 인쇄와 융착 및 커팅하는 제조장치
CN117047955A (zh) * 2023-08-17 2023-11-14 南通林赛尔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新型的顶部竖直拔手套机械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869A (ko) * 1994-02-02 1995-09-15 문동욱 1회용 비닐장갑 성형장치
KR950031468A (ko) * 1994-05-23 1995-12-18 김병수 1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의 단위별 포장이 용이하게 한 카운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4869A (ko) * 1994-02-02 1995-09-15 문동욱 1회용 비닐장갑 성형장치
KR950031468A (ko) * 1994-05-23 1995-12-18 김병수 1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의 단위별 포장이 용이하게 한 카운트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20B1 (ko) 2009-12-23 2010-12-15 황윤선 부직포 장갑을 가진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1161335B1 (ko) * 2010-05-13 2012-07-11 주식회사 크린? 하부열판이 구비된 비닐제품제조장치
KR101161334B1 (ko) * 2010-05-13 2012-07-11 주식회사 크린? 이중융착날이 구비된 비닐장갑제조장치
KR101466322B1 (ko) * 2012-07-03 2014-11-27 이권식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 제조장치
KR101418569B1 (ko) * 2013-02-04 2014-07-11 이권남 비닐장갑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70033639A (ko) * 2015-09-17 2017-03-27 이진재 일회용 위생장갑 제조 장치
KR101721123B1 (ko) * 2015-09-17 2017-03-29 이진재 일회용 위생장갑 제조 장치
CN105172006B (zh) * 2015-10-10 2018-03-16 淄博诚迅自动化设备有限公司 手套摘取叠放机
CN105172006A (zh) * 2015-10-10 2015-12-23 淄博诚迅自动化设备有限公司 手套摘取叠放机
KR101752883B1 (ko) * 2015-10-29 2017-07-03 성일화학(주) 컵홀더 제조장치
KR101717414B1 (ko) * 2016-05-04 2017-03-23 주식회사 삼일기계 프리프레그 기반의 섬유강화 복합재료 시트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 제품
KR20180040920A (ko) * 2016-10-13 2018-04-23 우상근 비닐장갑 자동 취출장치
KR101864310B1 (ko) 2016-10-13 2018-06-05 우상근 비닐장갑 자동 취출장치
CN109600985B (zh) * 2017-07-31 2021-01-12 有限会社凯雅达 手套制造穿戴装置、手套制造穿戴方法及手套
CN109600985A (zh) * 2017-07-31 2019-04-09 有限会社凯雅达 手套制造穿戴装置、手套制造穿戴方法及手套
KR20210006074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명성 비닐장갑 및 그 원단 제조장치
KR102320923B1 (ko) 2019-07-08 2021-11-03 주식회사 명성 비닐장갑 및 그 원단 제조장치
KR102365478B1 (ko) * 2021-12-08 2022-02-18 고동찬 비닐원단의 융착 및 커팅장치
KR102490660B1 (ko) 2022-06-03 2023-01-26 안혜주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495583B1 (ko) * 2022-07-12 2023-02-07 에코케미칼(주) 비닐원단의 인쇄와 융착 및 커팅하는 제조장치
CN117047955A (zh) * 2023-08-17 2023-11-14 南通林赛尔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新型的顶部竖直拔手套机械手
CN117047955B (zh) * 2023-08-17 2024-02-09 南通林赛尔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顶部竖直拔手套机械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918B1 (ko)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ITBO20110731A1 (it) Macchina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in involucri a rete
KR100605477B1 (ko) 연속 형성된 비닐백의 절첩 적층방법 및 장치
JP4201793B2 (ja) カッター装置
KR101874349B1 (ko) 섬유원단 후가공 재단 기능을 가진 가공장치
CN103066335A (zh) 蓄电池极板包片机
KR20080042541A (ko) 비닐장갑 성형장치의 파지 자동 분리구조
KR101977713B1 (ko) 비닐장갑 제조장치
KR102112335B1 (ko) 공간 확보형 식품 포장기
CN116945551A (zh) 一种全自动吸塑成型生产线及其吸塑工艺
CN204174463U (zh) 丝带裁切机
KR100696215B1 (ko) 컵 자동 실링포장기
CN210841364U (zh) 法饼机
CN211615944U (zh) 一种柳编工艺品制作用剖片机
CN210235521U (zh) 全自动泡沫块包布插布一体机
KR200325587Y1 (ko) 2단식 위생용 비닐장갑의 성형장치
KR960016034B1 (ko) 1회용 비닐장갑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200313463Y1 (ko) 종이컵 포장장치
KR100308866B1 (ko) 꽂포장비닐의 제조장치
KR100751586B1 (ko) 일회용 비닐장화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
CN206050291U (zh) 一种自动上下料单饼冷却设备
CN214629516U (zh) 一种油条下条机及其面料自动拉伸机构
CN114027337B (zh) 卡通包贴馍机
KR100910920B1 (ko) 컨베이어형 작업 테이블
CN220484626U (zh) 一种摆盘下料机夹爪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