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358B1 -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58B1
KR102514358B1 KR1020207000037A KR20207000037A KR102514358B1 KR 102514358 B1 KR102514358 B1 KR 102514358B1 KR 1020207000037 A KR1020207000037 A KR 1020207000037A KR 20207000037 A KR20207000037 A KR 20207000037A KR 102514358 B1 KR102514358 B1 KR 102514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glass
glass melting
melting vessel
me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925A (ko
Inventor
션 토마스 앤더슨
앙젤리스 길버트 드
메간 오로라 데라미엘레어
미키 유진 쿠니다케
더윈 리 램버슨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 C03B5/262Drains, i.e. means to dump glass melt or remove unwant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02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 C03B5/027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in electric furnaces, e.g. by dielectric heating by passing an electric current between electrodes immersed in the glass bath, i.e. by direct resistance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67Means for preventing damage to equipment, e.g. by molten glass, hot gases, bat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18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 C03B5/183Stirring devices; Homogenisation using thermal means, e.g. for creating convection currents
    • C03B5/185Electr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42Details of construction of furnace walls, e.g. to prevent corrosion; 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 C03B5/43Use of materials for furnace walls, e.g. fire-br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25Ref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은, 유리 용융 용기 내에 환원 분위기를 확립하는 단계 및 환원 분위기가 용기 내에 있는 동안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환원 분위기의 압력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고, 환원 분위기는 연료-풍부 조건에서 용융 용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를 작동시킴으로써 확립된다.

Description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
본 출원은 2017년 6월 6일자로 출원되었으며, 그 내용이 본원의 근거가 되며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통합되는, 미국 가출원 제62/515,796호의 35 U.S.C. § 119 하의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개시내용은 대체로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recondition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감소된 휴지기간 및 비용으로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및 휴대용 디바이스, 예컨대 전화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유리 시트와 같은 유리 물품의 제조 시에, 원재료는 전형적으로 용융 유리로 용융되고, 그 다음 의도된 유리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성형 및 냉각된다. 때때로, 예를 들어, 하나의 제품에 대한 판매는 감소하지만 또 다른 제품에 대한 판매가 증가하는 경우, 유리 용융 시스템을 통해 처리되는 용융 유리의 조성물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리 용융 시스템을 통해 처리되는 용융 유리의 조성물을 변경하는 한 가지 방법은 시스템을 배출(drain)하지 않고 상이한 배치(batch) 조성물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전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간 용융 유리 조성물의 처리로부터 초래되는 안정성 고려사항으로 인해, 이러한 변환은 상당한 양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간 조성물과 특정 처리 구성요소 사이의 양립 불가능성으로 인해 일부 상황에서는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중간 조성물은 또한 일반적으로 판매 가능하지 않다.
유리 용융 시스템을 통해 처리되는 용융 유리의 조성물을 변경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새로운 조성물을 도입하기 전에, 시스템으로부터 오래된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황에 따라, 이러한 변환은 상술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이한 배치 조성물 사이에서 점진적으로 전이하는 것보다 더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환은 배출된 시스템과 양립 불가능한 처리 장비의 희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양립 불가능성 때문에, 교체 처리 장비는 새로운 조성물로 재충전될 때까지 시스템 내로 도입되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전형적으로 시간, 비용 및 복잡성을 요구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유리 용융 용기 내에 환원 분위기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환원 분위기가 유리 용융 용기 내에 있는 동안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은 유리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다. 또한, 유리 용융 용기 내에 환원 분위기를 확립하는 단계는 연료-풍부 조건에서 유리 용융 용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또한 유리 용융 용기가 청징 용기를 포함하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와 유체 연통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 중에, 청징 용기 내의 분위기의 압력은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유리 용융 용기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고, 청징 용기는 백금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그 설명으로부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하거나, 또는 하기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첨부 도면을 포함하는,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개시된 실시예를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 상세한 설명 모두는 청구된 실시예의 성질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관 또는 체계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실시예를 제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은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분 내로 통합되어 이를 구성한다. 도면은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실시예의 원리 및 작동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용융 하향 인발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작동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2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3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4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5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유리 용융 및 청징 용기가 작동 상태로 복귀되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및 충전 절차 중에, 전극의 상부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전극 직경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이제, 그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본 실시예를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가능하다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기 위해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 제시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범위는 본원에서 "약" 하나의 특정한 값부터 그리고/또는 "약" 또 다른 특정한 값까지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되는 경우, 또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특정한 값부터 그리고/또는 다른 특정한 값까지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값이, 예를 들어, 선행하는 "약"의 사용에 의해 근사치로서 표현되는 경우, 특정한 값이 또 다른 실시예를 형성함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범위의 종점은 다른 종점에 관하여, 그리고 다른 종점에 독립적으로 모두 중요함을 추가로 이해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방향과 관련된 용어 - 예를 들어, 위, 아래, 우측, 좌측, 전방, 후방, 상부, 저부 - 는 단지 도시된 바와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수행되고, 절대 배향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방법은 그 단계가 구체적인 순서로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바로 해석되거나, 또는 임의의 장치에 있어서 구체적인 배향이 요구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결코 아니다. 따라서, 방법 청구항이 실제로 그 단계가 후속되는 것으로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임의의 장치 청구항이 개별 구성요소에 대한 순서나 배향을 실제로 기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단계가 구체적인 순서로 제한된다는 것이 청구항이나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달리 선언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순서나 배향이 기재되지 않는 경우, 어떠한 관점에서도 순서 또는 배향이 추론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결코 아니다. 이는, 하기를 포함하여, 해석에 있어 임의의 가능한 비-명시적 기초(non-express basis)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단계의 배열, 작동의 흐름, 구성요소의 순서, 또는 구성요소의 배향에 관한 로직 문제; 문법적 구성이나 구두법에서 파생된 평범한 의미 및;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수 또는 유형.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에 대한 언급은 2개 이상의 그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양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유리 용융 조성물"이라는 용어는 유리 물품이 제조되는 조성물을 지칭하고,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고체 상태와 실질적으로 액체 상태를 포함하여 그 사이에서 임의의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임의의 상태는 원재료 및 용융 유리를 포함하여 그 사이의 상태이며 그 사이의 임의의 정도의 부분 용융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융 작동"이라는 용어는 유리 용융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고체 상태로부터 실질적으로 액체 상태로 가열되어 원재료를 용융 유리로 변환하는 작동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이라는 용어는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를 지칭하고, 유리 용융 용기는 초기 유리 용융 조성물이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출된 후에,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유리 용융 조성물(들)로 재충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유리 용융 용기는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한 후에, 유리 용융 조성물로 재충전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유리 용융 용기 내의 분위기"라는 용어는 유리 용융 용기 내의 용융 유리 위의 기상 분위기와 같은, 유리 용융 용기 내의 기상 분위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청징 용기 내의 분위기"라는 용어는 청징 용기 내의 용융 유리 위의 기상 분위기와 같은, 청징 용기 내의 기상 분위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환원 분위기"라는 용어는 약 1000 백만분율(ppm) 미만의 산소 농도, 예를 들어, 약 20 ppm 내지 약 200 ppm을 포함하여, 약 10 ppm 내지 약 300 ppm과 같은, 그리고 추가로 실질적으로 산소가 없는 분위기와 같은, 약 300 ppm 미만의 산소 농도를 포함하는, 예컨대 약 0 ppm 내지 약 500 ppm의 산소 농도 및 그 사이의 모든 범위 및 하위 범위를 갖는 유리 용융 용기 내의 분위기와 같은 분위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연료-풍부 조건에서 연소 버너를 작동"이라는 용어는 산소에 대한 연료(예를 들면, 천연 가스, 프로판 등)의 화학량론적 비를 초과하여, 유리 용융 용기 내의 연소 버너와 같은 연소 버너를 작동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도 1에는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예에서, 유리 제조 장치(10)는, 용융 용기(14)를 포함할 수 있는 유리 용융로(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 용기(14)에 추가하여, 유리 용융로(12)는 원재료를 가열하고 원재료를 용융 유리로 변환하는 가열 요소(예를 들면, 연소 버너 또는 전극)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리 용융로(12)는 용융 용기의 부근으로부터 손실되는 열을 감소시키는 열 관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절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다른 예에서, 유리 용융로(12)는 원재료의 유리 용융물로의 용융을 용이하게 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또는 전기 기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추가적으로, 유리 용융로(12)는 지지 구조물(예를 들면, 지지 섀시, 지지 부재 등)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용융 용기(14)는 전형적으로 내화성 세라믹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나 또는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화성 세라믹 재료와 같은 내화성 재료로 구성된다. 일부 예에서, 유리 용융 용기(14)는 내화성 세라믹 벽돌로 구성될 수 있다. 유리 용융 용기(14)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더 상세하게 후술될 것이다.
일부 예에서, 유리 용융로는 유리 기판, 예를 들어 연속 길이의 유리 리본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유리 용융로는 슬롯 인발 장치, 플로트 배스(float bath) 장치, 용융 프로세스와 같은 하향 인발 장치, 상향 인발 장치, 프레스 롤링 장치, 튜브 인발 장치 또는 본원에 개시된 양태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리 제조 장치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장치의 구성요소로서 통합될 수 있다. 예로서, 도 1은 개별 유리 시트로의 후속 처리를 위해 유리 리본을 용융 인발하기 위한 용융 하향 인발 유리 제조 장치(10)의 구성요소인 유리 용융로(12)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유리 제조 장치(10)[예를 들면, 용융 하향 인발 장치(10)]는 유리 용융 용기(14)에 대해 상류에 위치된 상류 유리 제조 장치(1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상류 유리 제조 장치(16)의 일부 또는 전체는 유리 용융로(12)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 유리 제조 장치(16)는 저장 통(18),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 및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에 연결된 모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통(18)은, 화살표(2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 용융로(12)의 용융 용기(14) 내로 공급될 수 있는 소정량의 원재료(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재료(24)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리 형성 금속 산화물 및 하나 이상의 개질제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는 모터(22)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아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가 저장 통(18)으로부터 용융 용기(14)로 미리 결정된 양의 원재료(24)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터(22)는 용융 용기(14)로부터 하류에서 감지되는 용융 유리의 레벨에 기초하여 제어된 속도로 원재료(24)를 도입하도록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용융 용기(14) 내의 원재료(24)는 그 후에 가열되어 용융 유리(28)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유리 제조 장치(10)는 유리 용융로(12)에 대해 하류에 위치된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의 일부는 유리 용융로(12)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후술되는 제1 연결 도관(32), 또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의 다른 부분은 유리 용융로(12)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도관(32)을 포함하여, 하류 유리 제조 장치의 요소는 귀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귀금속은 백금, 이리듐, 로듐, 오스뮴, 루테늄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진 금속 군으로부터 선택된 백금족 금속,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리 제조 장치의 하류 구성요소는 약 70 내지 약 90 무게%의 백금 및 약 10 무게% 내지 약 30 무게%의 로듐을 포함하는 백금-로듐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금속은 몰리브덴, 팔라듐, 레늄, 탄탈럼, 티타늄, 텅스텐 및 그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용융 용기(14)로부터 하류에 위치되고 상술된 제1 연결 도관(32)에 의해 용융 용기(14)에 결합되는 제1 컨디셔닝(즉, 처리) 용기(conditioning vessel), 예컨대 청징 용기(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용융 유리(28)는 제1 연결 도관(32)에 의해 용융 용기(14)로부터 청징 용기(34)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용융 유리(28)가 용융 용기(14)로부터 청징 용기(34)까지 제1 연결 도관(32)의 내부 경로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컨디셔닝 용기가 용융 용기(14)의 하류, 예를 들어 용융 용기(14)와 청징 용기(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디셔닝 용기가 용융 용기와 청징 용기 사이에 채택될 수 있으며, 1차 용융 용기로부터의 용융 유리는 추가로 가열되어 용융 프로세스를 계속하거나, 또는 청징 용기에 진입하기 전에, 용융 용기 내의 용융 유리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기포는 다양한 기술에 의해 청징 용기(34) 내의 용융 유리(28)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재료(24)는, 가열될 때 화학적 환원 반응을 겪고 산소를 방출하는 산화 주석과 같은, 다가 화합물(즉, 청징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청징제는 비제한적으로 비소, 안티모니, 철 및 세륨을 포함한다. 청징 용기(34)는 용융 용기 온도 보다 더 높은 온도까지 가열되고, 그로 인해 용융 유리 및 청징제를 가열한다. 청징제(들)의 온도-유도 화학적 환원에 의해 생성된 산소 기포는 청징 용기 내의 용융 유리를 통해 상승하고, 용융로 내에서 생성된 용융 유리 내의 가스가 청징제에 의해 생성된 산소 기포 내로 확산 또는 응집될 수 있다. 이어서, 확대된 기포는 청징 용기 내의 용융 유리의 자유 표면까지 상승할 수 있고, 그 후에 청징 용기로부터 분출될 수 있다. 산소 기포는 추가로 청징 용기 내의 용융 유리의 기계적 혼합을 유도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용융 유리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용기(36)와 같은 또 다른 컨디셔닝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용기(36)는 청징 용기(34)로부터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혼합 용기(36)는 균질한 유리 용융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그렇지 않으면 청징 용기를 빠져나가는 청징된 용융 유리 내에 존재할 수 있는 화학적 또는 열적 불균질성의 코드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청징 용기(34)는 제2 연결 도관(38)에 의해 혼합 용기(36)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용융 유리(28)는 제2 연결 도관(38)에 의해 청징 용기(34)로부터 혼합 용기(36)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용융 유리(28)가 청징 용기(34)로부터 혼합 용기(36)까지 제2 연결 도관(38)의 내부 경로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혼합 용기(36)가 청징 용기(34)의 하류에 도시되어 있지만, 혼합 용기(36)는 청징 용기(34)로부터 상류에 위치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다수의 혼합 용기, 예를 들어 청징 용기(34)로부터 상류의 혼합 용기, 및 청징 용기(34)로부터 하류의 혼합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혼합 용기는 동일한 설계의 것일 수 있거나, 상이한 설계의 것일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혼합 용기(36)로부터 하류에 위치될 수 있는 전달 용기(40)와 같은 또 다른 컨디셔닝 용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용기(40)는 하류 성형 디바이스 내로 공급될 용융 유리(28)를 컨디셔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용기(40)는, 용융 유리(28)의 일정한 유동을 조정하고 그리고/또는 출구 도관(44)에 의해 일정한 유동을 성형체(42)에 제공하기 위한 축적기 및/또는 유동 제어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용기(36)는 제3 연결 도관(46)에 의해 전달 용기(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용융 유리(28)는 제3 연결 도관(46)에 의해 혼합 용기(36)로부터 전달 용기(40)로 중력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은 혼합 용기(36)로부터 전달 용기(40)로 제3 연결 도관(46)의 내부 경로를 통해 용융 유리(28)를 구동할 수 있다.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는 성형 장치(4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성형 장치는 상술된 성형체(42) 및 유입구 도관(50)을 포함한다. 출구 도관(44)은 전달 용기(40)로부터 성형 장치(48)의 유입구 도관(50)으로 용융 유리(28)를 전달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에서, 예를 들어, 출구 도관(44)은 유입구 도관(50)의 내부 표면 내에 안착되어 그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출구 도관(44)의 외부 표면과 유입구 도관(50)의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된 용융 유리의 자유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용융 하향 인발 유리 제조 장치 내의 성형체(42)는 성형체의 상위 표면 내에 위치된 홈통(52), 및 성형체의 저부 에지(56)를 따라 인발 방향으로 수렴하는 수렴 성형 표면(5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용기(40), 출구 도관(44) 및 유입구 도관(50)을 통해 성형체 홈통에 전달된 용융 유리는 홈통의 측벽을 과류하고 수렴 성형 표면(54)을 따라 용융 유리의 개별 유동으로서 하강한다. 용융 유리의 개별 유동은 저부 에지(56) 아래에서 그리고 그를 따라 합류되어 단일 유리 리본(58)을 생성하고, 단일 유리 리본은 유리가 냉각되고 유리의 점성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 리본의 치수를 제어하기 위해 예컨대 중력, 에지 롤(72) 및 견인 롤(82)에 의해 유리 리본에 인장을 인가함으로써 저부 에지(56)로부터 인발 또는 유동 방향(60)으로 인발된다. 따라서, 유리 리본(58)은 점탄성 전이를 겪고, 유리 리본(58)에 안정적 치수 특성을 부여하는 기계적 성질을 취득한다. 유리 리본(58)은, 일부 실시예에서, 유리 리본의 탄성 영역 내에서 유리 분리 장치(100)에 의해 개별 유리 시트(62)로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로봇(64)이 파지 도구(65)를 이용하여 개별 유리 시트(62)를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고, 여기서 개별 유리 시트가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2는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작동 상태에 있는,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원재료(24)는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예를 들면, 스크류 공급기)를 통해 용융 용기(14)에 연속적으로 도입되고, 용융 용기(14), 제1 연결 도관(32), 청징 용기(34) 및 제2 연결 도관(38)은 용융 용기(14), 제1 연결 도관(32), 청징 용기(34)와 제2 연결 도관(38)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로 작동 레벨까지 충전된다.
작동 상태에서, 용융 용기(14), 청징 용기(34), 및 제1 연결 도관 및 제2 연결 도관(32, 38) 내의 온도는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높다. 예를 들어, 용융 용기(14) 내의 온도는 하나 이상의 연소 버너(도 3 내지 도 7의 116a, 116b, 및 116c로 도시됨)의 작동을 통해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전극(도 4 내지 도 6의 122a, 122b, 및 122c로 도시됨)의 작동을 통해 유지될 수 있고, 청징 용기(34)의 온도는 플랜지(도 3 내지 도 7의 136a, 136b, 및 136c로 도시됨)의 작동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제1 연결 도관 및 제2 연결 도관(32, 38) 내의 온도는, 예를 들어, 또한 플랜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3개의 연소 버너 및 3개의 플랜지를 도시하고, 도 4 내지 도 6은 3개의 전극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개수의 연소 버너, 플랜지 및 전극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용융 용기(14)의 배출구(도 4에서 158로 도시됨)는 플러그(118)로 플러깅된다. 또한, 작동 상태에서, 용융 용기(14)의 전극은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 내에 완전히 침지된다.
더욱이, 작동 상태에서, 청징 용기(34)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는 용융 용기(14)의 온도보다 더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징 용기(34)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는 용융 용기(14)의 온도보다 약 50℃ 내지 약 150℃ 더 높은 경우와 같은, 약 20℃ 내지 약 200℃ 더 높은 경우를 포함하여, 적어도 20℃ 더 높게, 예컨대 적어도 50℃ 더 높게, 그리고 추가로 적어도 100℃ 더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 상태에서의 청징 용기(34)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는 약 1420℃ 내지 약 1670℃의 범위일 수 있고, 유리 용융 조성물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작동 상태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의 분위기(MA)[즉,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 위의 가스 조성물] 및/또는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가 용융 용기(14) 및/또는 청징 용기(34)를 둘러싸는 분위기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작동 상태의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의 분위기(MA) 및/또는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는 공기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산소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 용기(14)는 용융 용기(14) 내의 분위기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구(11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예를 들어, 오염 감소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청징 용기는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와 유체 연통하는 통기구(13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예를 들어, 오염 감소 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도 3은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는 용융 용기(14)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충전 영역(도시되지 않음)은 플러그(120)로 플러깅되어 있다. 또한, 청징 용기(34)의 통기구(134)는 플러그(138)로 부분적으로 플러깅되어 있고 가스 유입구 튜브(140)로 부분적으로 충전되며, 이를 통해 공급 가스(FG)가 청징 용기(34) 내로 공급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가스(FG)는 공기보다 더 낮은 산소 농도를 포함하면서 질소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불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공급 가스(FG)는 약 0.05 부피% 내지 약 0.5 부피%의 산소를 포함하여, 약 0.01 부피% 내지 약 1.0 부피%의 산소와 같은, 약 1.0 부피% 미만의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 1.0 부피% 미만의 산소를 포함하는 공급 가스(FG)는,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약 99.0 부피% 내지 약 99.99 부피%의 질소와 같은, 적어도 약 99 부피%의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가스(FG)가 청징 용기(34) 내로 공급되는 동안, 연료-풍부 조건에서 유리 용융 용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예를 들면, 116a, 116b, 및 116c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킴으로써, 용융 용기(14) 내에 환원 분위기(MA')가 확립된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는 약 20 ppm 내지 약 200 ppm의 산소를 포함하여, 약 10 ppm 내지 약 300 ppm의 산소와 같은, 약 300 ppm 미만의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커야 하고,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약 0.15 내지 약 0.3 인치의 물(inch of water) 더 큰 경우를 포함하고, 예컨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약 0.15 인치의 물 더 크다.
연료-풍부 조건에서 작동되는 용융 용기(1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는, 용융 용기(14) 내의 온도를 유리 용융 조성물의 융점보다 높게 계속 유지하도록 작동되어야 하고, 동시에 용융 용기(14) 내에서 약 1000 ppm 미만의 산소 농도를 갖는 환원 분위기(MA')를 확립하고 유지해야 하며,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다. 적절한 연료-풍부 연료 대 산소 비는 작동 상태에서 사용되는 연료 대 산소 비로부터 외삽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사용되는 연료의 유형 및 유리 용융 용기 기하구조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가스가 연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연료 대 산소 몰 비는 작동 상태에서 약 1:2.3 내지 약 1:2.5의 범위일 수 있고, 출원인은 연료 대 산소 비가 약 1:1.8로 조정될 때, 이러한 연료-풍부 조건이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을 갖는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확립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천연 가스가 연료로서 사용되는 경우, 용융 용기(1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를 작동시켜 작동 상태에 대해 약 30% 내지 약 40%의 연료-풍부 상태와 같은, 적어도 약 30%의 연료-풍부 상태를 작동시키는 것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을 갖는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확립 및 유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공급 가스(FG)가 청징 용기(34) 내로 공급되어,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의 압력이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의 압력은, 유리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보다 적어도 약 0.05 인치의 물, 예컨대 약 0.05 내지 약 0.10 인치의 물 더 클 수 있다. 한편,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는, 예를 들어, 약 0.01 내지 약 1.0 부피%의 산소, 예컨대 약 0.05 부피% 내지 약 0.5 부피%의 산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청징 용기(34)의 온도는 약 1550℃ 이하의 온도와 같이, 작동 상태의 온도 아래로 하강될 수 있고, 제2 연결 도관(38)의 온도, 및/또는 제2 연결 도관(38)에 가장 근접한 청징 용기(34)의 부분의 온도는 약 1000℃ 미만의 온도, 예컨대 약 970℃ 내지 약 1000℃의 온도와 같이, 유리 용융 조성물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로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변경은, 예를 들어, 플랜지(예를 들면, 136a, 136b, 136c)에 공급되는 파워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청징 용기(34), 및/또는 유리 용융 조성물의 연화점 이하에서 청징 용기(34)와 유체 연통하는 제2 연결 도관(38) 내의 이러한 온도를 이와 같이 유지함으로써, 유리 플러그(148)가 확립될 수 있다. 유리 플러그(148)가 확립되면, 유리 플러그(148)의 하류에 있는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은, 예를 들어, 출구 도관(44)과 같은, 청징 용기(34)의 하류에 있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30)의 구성요소를 통해 유리 제조 장치(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2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의 배출구(158)는 플러그(118)의 임시 제거를 통해 언플러깅되고,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은 배출구(158)를 통해 용융 용기(28)로부터 배출된다. 용융 용기(14)와 유체 연통하는 제1 연결 도관(32) 및 청징 용기(34) 내의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이 또한 배출구(158)를 통해 유리 제조 장치(10)로부터 배출된다. 한편, 배출 절차 중에 전극(122a, 122b, 및 122c)은 전원이 꺼지고, 배출 절차의 적어도 일부 동안, 예컨대 유리 용융 조성물이 용융 용기(14)로부터 완전히 배출되었을 때, 용융 용기(14)의 온도는, 예를 들어, 작동 상태에서의 용융 용기(14)의 온도보다 적어도 약 100℃ 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배출 절차 동안,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 및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배출 절차 동안,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고,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의 압력은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보다 더 크다.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출 절차 동안,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는 약 10 ppm 내지 약 300 ppm의 산소를 포함하고,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는 약 0.01 내지 약 1.0 부피%의 산소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138)는 과가압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구(134)로부터 제거되었다.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조성물이 용융 용기(14)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전극(예를 들면, 122a, 122b, 및 122c)은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MA')에 노출된다. 환원 분위기(MA')는, 특히, 전극이 그렇지 않으면 상승된 온도, 예컨대 유리 용융 조성물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신속하게 산화될 때, 산화로부터 전극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전극, 예컨대 본질적으로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전극은 비-환원 분위기에서 약 400℃보다 높은 온도에서 신속하게 산화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이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큰 환원 분위기(MA')를 용융 용기(14) 내에 유지하는 것은 배출 절차 동안 이러한 전극을 실질적인 산화로부터 보호한다.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가 몰리브덴 전극과 같은 전극을 실질적인 산화로부터 보호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분위기는, 백금 또는 그의 합금, 예컨대 백금-로듐 합금과 같은 귀금속을 포함하거나 그로 형성되는 청징 용기(34)와 같은, 유리 제조 장치(10)의 임의의 구성요소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정도 양의 몰리브덴 또는 다른 금속 산화물, 예컨대 SnO2를 함유하는 환원 분위기는 백금에 용이하게 반응하여, 백금 시스템 내에 구멍을 생성할 수 있는 낮은 용융 온도 합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청징 용기(34)가 백금 또는 그의 합금, 예컨대 백금-로듐 합금과 같은 귀금속을 포함하거나 그로 형성되는 경우,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가 실질적으로 청징 용기(34)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 절차 중에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의 압력이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보다 더 크다. 반대로, 배출 절차 동안 용융 용기(14) 내로 유동하는 청징 용기(34) 내의 임의의 분위기(FA')는, 연료-풍부 조건에서 용융 용기(1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예를 들면, 116a, 116b, 116c)의 작동을 통해 환원 분위기로 신속하게 변환되고, 그로 인해 실질적인 산화로부터 용융 용기 전극(예를 들면, 122a, 122b, 및 122c)의 보호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백금을 포함하는 청징 용기(34)를 바람직하지 못한 합금화로부터 보호한다.
도 5는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3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120)는 제거되고, 플러그(118)는 재삽입되며,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가 용융 용기(14)에 재연결된다. 원재료 전달 디바이스(20)는 용융 용기(14) 내로 유리 컬릿(cullet)(124)을 도입하고,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유리 컬릿(128)의 형태로 전극(122a, 122b, 및 122c)을 부분적으로 침지시킨다. 전극(122a, 122b, 및 122c), 예컨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전극이 용융 유리 컬릿(12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되면, 전원이 켜질 수 있다. 한편,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 및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고,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의 압력은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보다 더 크다.
도 6은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4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로 유리 컬릿(124)이 추가로 도입되어, 용융 유리 컬릿(128)의 레벨이 용융 용기(14)에 가장 근접한 제1 연결 도관(32)의 적어도 일부의 전체를 충전하도록 한다. 이 시점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유입구 튜브(140)는 통기구(134)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청징 용기(34) 내의 분위기(FA)는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의 환원 분위기(MA')의 압력은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다.
도 7은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5 재조정 상태에 있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융 용기(14) 내로 유리 컬릿(124)이 추가로 도입되어, 용융 유리 컬릿(128)의 레벨이 전극(122a, 122b, 및 122c), 예컨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전극을 완전히 침지시키도록 한다. 전극(122a, 122b, 122c)의 용융 유리 컬릿(128) 내의 완전한 침지 후에, 제2 유리 용융 조성물에 대응하는 원재료(24')가 용융 용기(14)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제2 유리 용융 조성물은 원래의 유리 용융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전극(122a, 122b, 및 122c)의 완전한 침지 후에, 연소 버너(116a, 116b, 및 116c)는 연료-풍부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복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 용기 내의 분위기(MA)는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것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청징 용기(34)의 온도는 작동 상태로 복귀되어 유리 플러그(148)의 용융을 초래할 수 있다.
도 8은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로 복귀되는, 도 2의 예시적인 유리 제조 장치 및 프로세스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제조 장치(10)가 제2 유리 용융 조성물로 재충전됨에 따라, 용융 유리(28')를 포함하는 제2 유리 용융 조성물이 (원래의 유리 용융 조성물과는 대조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제조 장치(10)가 작동 상태로 복원되도록, 유리 제조 장치(10)로부터 용융 유리 컬릿(128)이 최종적으로 플러싱된다.
상술된 실시예는 용융 용기(14) 및 청징 용기(34)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또한, 예를 들어, 청징 용기(34), 제1 연결 도관(32), 및 제2 연결 도관(38) 중 적어도 하나가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해 유리 제조 장치(10)로부터 제거되는 것과 같이, 유리 제조 장치(10)의 적어도 일부가 서비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유리 플러그(148)와 유사한 유리 플러그는, 유리 용융 조성물로 가득 찬 청징 용기(34) 및 제1 연결 도관(34)이 용융 용기(14)로부터 배출되는 유리 용융 조성물과 함께 유리 제조 장치(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용융 용기(13)와 제1 연결 도관(32)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배출 및 충전 절차 중에, 전극의 상부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전극 직경을 도시하는 차트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대응하는 배출 및 충전 절차에서, 유리 용융 조성물은 몰리브덴 전극 및 지르코니아 저부를 포함하는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배출되었고, 환원 분위기는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약 0.25 인치의 물 더 큰 압력으로 유지된다. 약 10 ppm 내지 약 300 ppm의 산소 농도를 갖는 환원 분위기는 산소 대 천연 가스의 약 1.8 비의 용융 용기 내에서 연소 버너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지되었다.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이 배출되면, 환원 분위기를 함유하는 용융 용기는 약 1500℃의 온도에서 약 84 시간의 기간 동안 유리 용융 조성물이 없이 유지된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몰리브덴 전극의 상부 부근에서 일부 전극의 용해가 관찰될 수 있지만, 전극은 대부분 온전하게 남아 있다. 대조적으로, 공기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산소 농도를 함유하는 분위기와 같은 비-환원 분위기에서는, 이러한 몰리브덴 전극이 약 1500℃의 온도에서 약 84 시간의 기간에 걸쳐 완전히 부식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용융 하향 인발 프로세스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플로트 프로세스, 슬롯 인발 프로세스, 상향 인발 프로세스, 튜브 인발 프로세스, 및 프레스 롤링 프로세스와 같은 다른 유리 성형 프로세스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주 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이며,
    유리 용융 용기 내에 환원 분위기를 확립하는 단계, 및
    환원 분위기가 유리 용융 용기 내에 있는 동안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이 유리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크고;
    유리 용융 용기 내에 환원 분위기를 확립하는 단계는 연료-풍부 조건에서 유리 용융 용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연소 버너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리 용융 용기는 청징 용기를 포함하는 하류 유리 제조 장치와 유체 연통하고,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 중에, 청징 용기 내의 분위기의 압력이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큰,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청징 용기 내의 분위기는 0.1 내지 1.0 부피%의 산소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방법은 1.0 부피% 미만의 산소를 포함하는 가스를 청징 용기 내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청징 용기는 백금 또는 그 합금을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용융 용기는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방법은 환원 분위기가 유리 용융 용기 내에 있는 동안, 그리고 청징 용기 내의 분위기의 압력이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보다 더 큰 동안, 청징 용기로부터 용융 유리를 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청징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유리의 적어도 일부는 유리 용융 용기를 통해 배출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은 유리 용융 용기를 둘러싸는 분위기의 압력보다 적어도 0.25 인치의 물 더 큰,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청징 용기 내의 분위기의 압력은 유리 용융 용기 내의 환원 분위기의 압력보다 적어도 0.05 인치의 물 더 큰,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단계 후에, 제2 유리 용융 조성물이 유리 용융 용기 내로 도입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유리 용융 용기로부터 유리 용융 조성물을 배출하는 동안,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전원이 꺼지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유리 용융 용기 내로 제2 유리 용융 조성물을 도입하기 전에, 유리 컬릿이 유리 용융 용기 내로 도입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방법은 청징 용기의 일부, 또는 청징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도관을 유리 용융 조성물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청징 용기, 또는 청징 용기와 유체 연통하는 도관 내에 유리 플러그를 확립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청징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유리의 적어도 일부는 유리 용융 용기를 통해 배출되는, 유리 제조 시스템 재조정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7000037A 2017-06-06 2018-06-01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 KR102514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5796P 2017-06-06 2017-06-06
US62/515,796 2017-06-06
PCT/US2018/035693 WO2018226535A1 (en) 2017-06-06 2018-06-01 Methods for reconditioning glass manufactur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925A KR20200016925A (ko) 2020-02-17
KR102514358B1 true KR102514358B1 (ko) 2023-03-29

Family

ID=6456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037A KR102514358B1 (ko) 2017-06-06 2018-06-01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0696B2 (ko)
JP (1) JP7084948B2 (ko)
KR (1) KR102514358B1 (ko)
CN (1) CN111032522B (ko)
TW (1) TWI761524B (ko)
WO (1) WO2018226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9263B2 (en) * 2019-10-01 2022-10-04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Selective chemical fining of small bubbles in glass
WO2023096746A1 (en) * 2021-11-23 2023-06-01 Corning Incorporated A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delivery conduit system with a low impedance drain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5933A (ja) 2015-09-28 2017-04-0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溶融ガラスの素地替え方法及び連続ガラス溶融炉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5907A (en) * 1944-04-15 1948-12-07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melting glass
US3238030A (en) * 1961-03-28 1966-03-01 Libbey Owens Ford Glass Co Process for preventing scale in glass furnace
US3871853A (en) * 1971-09-01 1975-03-18 Owens Illinois Inc Method of melting glass in a platinum container in a controlled atmosphere
US5120342A (en) * 1991-03-07 1992-06-09 Glasstech, Inc. High shear mixer and glass melting apparatus
JPH07157316A (ja) * 1993-12-02 1995-06-20 Ishizuka Glass Co Ltd ガラス溶融窯の素地替え促進方法
JPH0859248A (ja) * 1994-08-19 1996-03-05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溶融炉
US5659564A (en) 1995-04-20 1997-08-19 Schull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furnace stack
US6705117B2 (en) 1999-08-16 2004-03-16 The Boc Group, Inc. Method of heating a glass melting furnace using a roof mounted, staged combustion oxygen-fuel burner
US6519973B1 (en) * 2000-03-23 2003-02-18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Glass melting process and furnace therefor with oxy-fuel combustion over melting zone and air-fuel combustion over fining zone
JP5105571B2 (ja) 2003-10-10 2012-12-2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無アルカリガラスの製造方法
JP5263719B2 (ja) 2003-10-10 2013-08-1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無アルカリガラスの製造方法
US20060242996A1 (en) * 2005-04-27 2006-11-02 Gilbert Deangeli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around one or more vessels in a glass manufacturing system
TWI327559B (en) 2005-12-08 2010-07-21 Corning Inc Method of eliminating blisters in a glass making process
DE102007008299B4 (de) * 2006-08-12 2012-06-14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äsern, wobei die chemische Reduktion von Bestandteilen vermieden wird
KR101347775B1 (ko) * 2009-03-03 2014-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판 제조용 플로트 배스 시스템
KR101419140B1 (ko) * 2009-06-12 2014-07-16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칼스, 인코오포레이티드 용융 물질의 산화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노 및 방법
US8117868B2 (en) 2009-07-27 2012-02-21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glass
US8240170B2 (en) * 2010-02-22 2012-08-14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for sealing a joint between vessels for conveying molten glass
JP5849971B2 (ja) 2011-01-06 2016-02-03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溶融装置、ガラス繊維製造装置及びガラス組成変更方法
WO2013094313A1 (ja) * 2011-12-19 2013-06-27 旭硝子株式会社 溶融ガラス製造装置、溶融ガラス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板ガラスの製造方法
WO2014157349A1 (ja) 2013-03-27 2014-10-02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製造装置
JP5976863B2 (ja) * 2014-03-31 2016-08-24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基板の製造装置
KR101809114B1 (ko) 2014-10-31 2017-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리 제조 장치
CN106242246A (zh) 2016-08-23 2016-12-21 太仓市双凤镇薄彩工艺品厂 一种可控气氛琉璃熔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65933A (ja) 2015-09-28 2017-04-0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溶融ガラスの素地替え方法及び連続ガラス溶融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30696B2 (en) 2021-09-28
TW201902838A (zh) 2019-01-16
US20200199003A1 (en) 2020-06-25
CN111032522A (zh) 2020-04-17
CN111032522B (zh) 2022-01-11
JP7084948B2 (ja) 2022-06-15
JP2020522455A (ja) 2020-07-30
KR20200016925A (ko) 2020-02-17
TWI761524B (zh) 2022-04-21
WO2018226535A1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1600B2 (ja) ガラス溶融物の表面上の気泡の寿命を減少させる方法
JP2018516837A (ja) 溶融ガラス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11010624A1 (ja)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KR102514358B1 (ko) 유리 제조 시스템을 재조정하는 방법
CN107879598B (zh) 玻璃基板的制造方法、及玻璃基板制造装置
KR102412297B1 (ko) 고온의 유리 용융 용기
KR20210080595A (ko) 유리 멜트 표면 상의 버블 수명 감소 방법
US202301207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efects in glass melt systems
US20230278906A1 (en) Glass forming body and method of making a glass article using the same
WO20240913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glass article
CN116639863A (zh) 具有改进的热性能的玻璃熔炉和熔釜
KR20210119534A (ko) 내식성이 개선된 도관 가열 장치 및 방법
TW202342382A (zh) 具有改良電阻率的玻璃熔化爐及容器
CN117623587A (zh) 玻璃熔炉电极的推动组件和方法
WO2022225742A1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leak mitigation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