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687B1 -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687B1
KR102513687B1 KR1020207024155A KR20207024155A KR102513687B1 KR 102513687 B1 KR102513687 B1 KR 102513687B1 KR 1020207024155 A KR1020207024155 A KR 1020207024155A KR 20207024155 A KR20207024155 A KR 20207024155A KR 102513687 B1 KR102513687 B1 KR 10251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lazing
pane
spac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976A (ko
Inventor
마르쿠스 네안더르
크리스토퍼 마르얀
한스-베르너 쿠스터
브라이언 그뤼얼
궤나엘 모르방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10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13Electrochromic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6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specially adapted for units comprising more than two panes or for attaching intermediate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22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with adjustable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6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featuring transparency control by applying voltage, e.g. LCD, electrochromic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판유리 요소(1),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4),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으로서, 스페이서(4)와 커넥터(5)는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X)를 따라 연장되고 수용 그루브(7)를 형성하도록 서로 옆에 배열되고, 스페이서(4)와 커넥터(5)는 제1 판유리 요소(1)를 수용 그루브(7)에 수용하여 배치한다. 제1 판유리 요소(1)에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커넥터(5)와 제1 판유리 요소(1) 사이에 전기 커플링(electrical coupling)이 형성되도록 전기 전도성 커플링 요소(6)가 커넥터(5)의 수용 그루브(7)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윈도우 및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 및 그러한 윈도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 및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이 있는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 또는 그러한 윈도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연 글레이징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개의 판유리 요소들과 이 판유리 요소들의 사이에 배치된 원주형(Circumferential) 스페이서 프레임을 포함한다. 판유리 요소들은 씰들(Seals)을 통해 스페이서 프레임과 연결되어 단단히 밀봉된 판유리간 공간(Interpane Space)이 생성된다. 이 판유리간 공간은 아주 빈틈이 없어서 이상적으로 수분이 침투할 수 없고, 기체 충전이 있으면 이상적으로는 기체 충전이 새어나갈 수 없다.
소위 활성 글레이징들(Active Glazings)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들은 조명 글레이징들(Illuminated Glazings), 전기적 선스크린들 또는 블라인드들(blinds)이 있는 글레이징, 또는 서로 다르거나 개별적으로 전환 가능한 글레이징들 등을 포함하는 전환가능한 글레이징들(Switchable Glazings)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절연 글레이징 형태의 활성 글레이징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의 경우 판유리간 공간 내부의 밀봉 덕분에 습기 및 부식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기능성 코팅들 또는 유닛들을 판유리간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은 전류-운반 도체들은 그러한 글레이징들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류 도체들은 절연 글레이징들 또는 윈도우들의 밀봉을 통해 라우팅된다.
전류 도체들의 준비와 배치는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연 글레이징들 또는 윈도우들을 생산하는데 시간이 많이 들고 비용이 많이 든다. 수많은 전류 도체들은 씰들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하므로 액체 및 기체 누출에 대한 수많은 가능한 결점 또한 생긴다.
활성 글레이징은 기능성 요소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두개의 표면 전극들 사이에 활성층(Active Layer)을 포함한다. 활성층의 광학적 특성들은 표면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 20120026573 A1과 WO 2012007334 A1에서 공지된 전자채색 요소들(Electrochromic Elements)이 이것의 하나의 예이다. 예를 들어, EP 0876608 B1과 WO 2011033313 A1에 공지된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요소들은 또 다른 예이다. 전자채색 또는 SPD 요소들을 통한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압은 일반적으로 표면 전극에 인가되는 소위 버스바(Busbars)를 통해 인가되며 적합한 연결 케이블을 통해 전압원에 연결된다.
활성 글레이징을 갖는 절연 글레이징에서, 절연 글레이징의 충분한 품질과 사용 수명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압의 공급은 기밀(gas-tight) 및 수밀(water-tight)로 설계되어야 한다. WO 2017/106458 A1에서, 전기 공급선 그 자체는 관련된 요소들의 열 팽창이 다를 경우 상대적인 움직임들에 대해 더 높은 허용오차를 갖도록 형태와 크기가 설계된다. 그러나, 공급선 그 자체는 접착 및 밀봉에 사용되는 1차 실런트(Primary Sealant)를 통해 스페이서와 인접 판유리 사이에 만들어진다. 이러한, 절연 글레이징의 에지 씰(Edge Seal)을 통과하는 케이블 라우팅도 항상 잠재적인 결점(defect point)을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레이징의 단순하고 경제적인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개선된 기밀성을 제공하는 절연 글레이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합한 윈도우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 제1항 및 제11항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과 윈도우에 의한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그러한 절연 글레이징 또는 그러한 윈도우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청구항 제12항에서 명시된다. 유리한 실시예들 및 추가 실시예들이 종속항들 및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제공되고,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커넥터는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수용 그루브(receiving groove)를 형성하도록 서로 옆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판유리 요소는 상기 수용 그루브에 수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 판유리 요소에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판유리 요소 사이에 전기 커플링(electrical coupling)이 형성될 수 되도록 전기 전도성 커플링 요소가 상기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기능성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에 전기 에너지를 구체적으로 공급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절연 글레이징의 특정 지점에서 기능성 판유리까지 전기 에너지의 도입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에 의해 기능성 판유리 요소의 전체 표면을 따라 균일한 전원 공급이 달성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절연 글레이징 또는 절연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을 갖는 윈도우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노력을 감소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절연 글레이징의 기밀성을 최적화하는 것 또한 제공된다.
"결합된(Coupled)"는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특히, 갈바닉으로, 정전 용량성으로, 또는 유도성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판유리 요소,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제공되고, 스페이서와 커넥터는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수용 그루브를 형성하도록 서로 옆에 배치된다. 제1판유리 요소는 수용 그루브에 수용되어 위치된다.
제1 판유리 요소는, 특히, 전기적으로 활성 또는 활성가능한 절연 글레이징 또는 윈도우의 판유리 요소로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제1 판유리 요소는 전기적으로 활성 또는 활성가능한 판유리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채색의 판유리 요소, 액정 판유리 요소, TFT 또는 LCD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 난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갖는 판유리 요소 등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특히 글레이징 또는 윈도우 프레임을 위해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페이서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는 스페이서 상에 또는 스페이서 내에 배열된다.
또한, 스페이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플라스틱, 또는 유사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유사한 조합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페이서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은 적합한 윈도우 프레임과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정면으로 또는 적합한 정면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프레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판유리 요소를 갖는 절연 글레이징을 둘러싸도록 제공된다.
특히, 절연 글레이징 또는 윈도우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과 함께 윈도우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제1판유리 요소의 에지 영역(edge region) 또는 측면 에지(side edge)를 따라 제공된다. 절연 글레이징의 한 측면 에지를 따라 복수의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스페이서가 절연 글레이징의 모든 측면 에지를 따라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스페이서와 커넥터는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며, 즉, 길이 방향의 축 방향으로 차례로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페이서와 커넥터의 단면은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가 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2 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대안으로, 커넥터는 본 발명의 맥락에서 소위 코너 요소(corner element) 또는 코너 커넥터(corner connector)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코너 커넥터들은 스페이서의 실시예로도 간주된다.
특히, 다수의 커넥터와 이에 대응되는 다수의 스페이서들이 교대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제1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스페이서와 커넥터는 제1 판유리 요소가 수용되고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추가 판유리 요소(특히, 제2 및 제3판유리 요소)가 제공되면, 절연 글레이징 또는 윈도우의 개별 판유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적절히 배치된다.
절연 글레이징 또는 삼중/다중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을 갖는 윈도우에 있어서, 스페이서가 판유리 요소의 모든 측면 에지를 따라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판유리 요소의 하부 측면 에지 및/또는 상부 측면 에지에서 두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놓인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가 의도된 바와 같이 사용 시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는 스페이서와 비슷한 길이를 갖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더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개별 커넥터의 치수는 특정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커넥터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도 제1 판유리 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되는 제2판유리 요소의 간격을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제2판유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대향하는 측에 배열된다.
대안으로, 삼중 글레이징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판유리 요소가 스페이서 및 커넥터를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는 각각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측에 배열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장치는 상응하는 수의 판유리 요소를 갖는 다중 글레이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특히,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류 도체에 연결하거나 또는 외부 전원의 케이블 연결이 형성될 수도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 전원"은 특히 전류원, 전압원, 배터리, 태양 전지, 펠티에 요소(Peltier elemen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은 기능성 글레이징 또는 활성 글레이징에 필요로 되는 충분한 전압을 공급하기에 충분한 모든 유형의 전류 소스(source)를 의미한다.
따라서, 외부 전기 연결의 유리한 감소가 달성될 수 있는 한편 임의의 원하는 전위 또는 상이한 전위의 분포가 절연된 글레이징 내에서 가능하다.
제1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의해, 활성 글레이징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에 제공할 수 있도록 전기 에너지의 선택적이고 균일한 전송이 유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절연 글레이징의 씰은 시스템의 기밀성이 보정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영역에서만 독점적으로 스며든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따라 전용 전류 커플링을 사용함으로써 활성 글레이징 또는 기능성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노력이 감소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은 윈도우 프레임에 연결되며, 윈도우 프레임은 절연 글레이징과 직접 접촉하거나 이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되어 에어 갭(air gap)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제1판유리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전기적 커플링이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 커플링 요소가 수용 그루브에 적어도 부분으로 제공된다.
대안으로, 외부 전원을 제1판유리 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에 전기적 커플링이 형성되도록 전기 전도성 커플링 요소가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 및 스페이서의 적어도 부분으로 제공된다.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전기적 커플링이 수용 그루브 내에서 가능하도록 커플링 요소가 수용 그루브에 배열된다. 커플링 요소를 사용하여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최적의 전기 전송(electrical transmission) 또는 전송 저항(transmission resistance)이 특히 최소의 전기 저항으로 제공된다.
특히, 커플링 요소에 의해,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표면 접촉(surface contact)이 가능하여 최소의 전기 전송 저항이 달성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실리콘,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유사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제1판유리 요소에 경제적으로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전기 전도성 실리콘,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유사한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진다.
대안으로, 커플링 요소는 전기 전도성 은 페이스트(silver paste)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제1판유리 요소에 대한 유리한 전기 커플링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커플링 요소를 통해 제1판유리 요소와 커넥터 사이에 표면 접촉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료(flexible material)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전위가 커플링 요소를 통해 커넥터로부터 판유리 요소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판유리 요소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연장된다.
특히, 전위의 점별 도입(point-wise introduction)과 비교하여, 제1판유리 요소의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전위의 적절한 분포가 커플링 요소에 의해 가능하다.
표면 접촉은 커플링 요소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직접적인 면적별 접촉으로, 최소 3 mm² 면역, 바람직하게는 최소 10 mm²면역에 걸쳐 확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부는 커넥터 내에서 길이 방향의 축(X)을 따라 적어도 5mm의 거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m의 거리에 걸쳐 연장된다.
특히, 삼중 글레이징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의 경우,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제1, 제2 및 제3판유리 요소가 서로에 대해 수용되고 배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각각의 경우에, 연결 상태에서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서로 정렬되는 수용 그루브를 갖는다. 따라서, 제1판유리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다중 글레이징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에는 대응하는 복수의 수용 그루브가 제공된다.
더욱이, 진동 등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제1판유리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감쇠 재료로서 수용 그루브 내의 커플링 요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감쇠 효과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쇠 효과는 커플링 요소의 전기 전도성 재료에 의해 제공되어야 한다.
삼중 글레이징의 경우, 제3판유리 요소뿐만 아니라 제2판유리 요소도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대향하는 외측면을 따라 제공된다.
사용하고자 하는 조립 상태에서, 제2판유리 요소는 절연 글레이징의 내부 판유리로 간주될 수 있는 반면, 제3판유리 요소는 외부 판유리일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열된 하나 또는 다수의 커넥터들뿐만 아니라 하나 또는 다수의 스페이서들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이 있는 윈도우, 특히 삼중 글레이징된 윈도우를 위한 판유리 요소가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가 전기 전도성 커넥터가 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커넥터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적어도 부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는 커넥터를 통해 제1판유리 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
대안으로, 커넥터는 외부로부터의 전기 에너지가 결합될 수 있고 커넥터를 통해 제1판유리 요소까지 편리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코팅으로 설계될 수 있다.
레이저 패터닝 공정, 접착 공정, 스퍼터링 공정, 3D 프린팅, 공압출(coextrusion) 공정, 조합된 금속/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중에 또는 그와 유사한 공정 중에 그러한 전기 전도성 코팅을 커넥터 위에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제조 공정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대해 생각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커넥터에 의해, 전위가 커넥터를 통해 수용 그루브로 끝까지 전달될 수 있고 커플링 요소에 의해 제1판유리 요소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전기 전도성 커넥터가 아니라 전기 절연성 커넥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비전도성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이 경우 외부 전류 도체를 연결할 수 있는 리세스(recess)가 커넥터에 제공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커플링 요소는 외부 전원을 제1판유리 요소에 전기적 연결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해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는 커플링 요소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수용 그루부 영역에 배열된다. 리세스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둥근, 모난, 기다란 리세스 또는 커넥터의 벽의 개구부(opening)로 구현될 수 있다. 리세스는 적절한 방식으로 커넥터의 벽으로 도입되고, 예를 들어 커넥터의 벽에 드릴링되거나, 밀링되거나 또는 절단될 수 있고 또는 커넥터의 제조 시에 이미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는 기다란 형상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커넥터에 절개부로 구현된다. 이로써 전류 도체들을 측면에서 리세스로 밀어 넣음으로써 그것들을 특히 간단하게 생산하고 특히 쉽게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커넥터의 제조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전류 도체는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통해 이미 라우팅된다. 이는 특히 압출 공정(extrusion process)또는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의 기밀성은 특히 높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요소는 스페이서 및/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에 수용되는 제1판유리 요소의 부분을 따라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는 커플링 요소가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부에 은폐되도록 기능성 제1판유리 요소를 따라 연장된다. 특히, 커플링 요소는 제1판유리 요소의 측면 에지를 따라 즉시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커넥터에 대한 제1판유리 요소의 커플링 요소 또는 전기 커플링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에 의해 전체적인 미적 인상을, 특히 창 내에서,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커플링 요소는 전체 길이 방향의 연장선(longitudinal extension)에 걸쳐 전기 전도성 커플링 요소일 수 있다. 대안으로, 커플링 요소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따라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일체로 제공된다. 대안으로, 커플링 요소는 다중체(multiple pieces)로 설계될 수도 있다.
특히, 커플링 요소가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이도록 설계된 경우, 커플링 요소는 추가 도체를 가질 수 있다. 추가 도체는 전위가 커플링 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전송(transmitted)되거나 전달(forwarded)될 수 있도록 커플링 요소 내에서 전기 전도성 와이어로서 배열될 수 있다. 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금속 와이어, 특히 바람직하게는 구리 또는 텅스텐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제조된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하나의 도체로부터 전위가 일체형 또는 다중체형 커플링 요소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고 제1판유리 요소 상에 편리하게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커플링 요소의 저항이 추가 도체의 저항보다 높을 때 유용하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스페이서의 단면 구조를 갖는다.
커넥터와 스페이서는 커넥터가 추가적으로 외부 전원과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전기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기능이 다르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다. 특히, 커넥터 및 스페이서의 단면의 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와 커넥터 사이의 적절한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일치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가 커넥터에 대한 스페이서를 커넥터에 논-포지티브(non-positive)하게 및/또는 포지티브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 및 커넥터는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논-포지티브하게 및/또는 포지티브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절연 글레이징의 판유리 요소의 안전한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기본 구조는 각각의 경우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갖는다.
특히, 스페이서와 커넥터는 각각의 경우 중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는 스페이서 및 커넥터의 중공 공간에 삽입되어 논-포지티브하고 및/또는 포지티브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페이서 연결에 적합한 종래의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는 스페이서와 함께 고정된 유닛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와 함께 고정 유닛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또는 상응하는 그 정면(faηade)을 제조하기 위해 조립하는 노력이 덜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기본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고 커넥터는 스페이서의 중공 공간으로 도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레그(insertion leg)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의 적어도 하나의 중공 공간으로 도입될 수 있는 삽입 레그는 커넥터의 양측에 배열되며, 특히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한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조립 노력과 재료비가 줄어들게 된다.
그 사이에 위치된 커넥터들을 갖는 다중 스페이서(multiple spacer)는 유리하게 연결되어 윈도우 프레임 또는 윈도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로부터 외부 전원으로의 외부 전기선이 제2밀봉 요소를 통해서만 연장되도록 커넥터를 따라 제1밀봉 요소 및 제2 밀봉 요소가 제공된다. 제1밀봉 요소 및 제2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일체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 전도성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해, 최단 직접 경로 상의 제2밀봉 요소만이 관통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부 전기선을 커넥터에 연결하여 커넥터에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대안으로, 커넥터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구역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구역은 수신 그루브 내의 상이한 전위를 제1판유리 요소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이한 외부 전류 도체에 연결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위해 복수의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전압 또는 전위에 영향을 받는다.
전위의 커플링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에 제2밀봉 요소만이 관통되어야 하므로, 절연 글레이징의 최적화된 기밀성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와 커넥터의 외측면들에서 판유리 요소를 접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1밀봉 요소는 각각의 경우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2개의 외측면들에 배열된다.
제1 밀봉 요소는 부틸 밀봉 요소 등일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요소는 제1판유리 요소의 전기 커플링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연속된 씰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프레임에 대해 절연 글레이징을 밀봉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윈도우 프레임은 예를 들어 에어 갭을 형성하기 위해 제2 밀봉 요소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밀봉 요소는 판유리 요소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스페이서 또는 커넥터의 일 측면을 따라 제공된다.
제2 밀봉 요소는 폴리우레탄,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밀봉 요소 및 제2 밀봉 요소는 하나의 판유리 요소의 일 측면 에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밀봉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판유리 요소들의 각각의 측면 에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로 연결된 스페이서 및 커넥터를 걸쳐 연장된다.
삼중 글레이징의 경우, 2개의 제1 밀봉 요소들이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들의 측면 에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영역에서, 제2 밀봉 요소는 커넥터에 의해 외부 전원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번 관통되거나 통과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류 도체 또는 전류 케이블에 의해서만 커넥터의 영역에서 제2밀봉 요소만이 침투되도록 제공된다. 제2밀봉 요소만이 전류 도체에 의해 커넥터의 영역에서 통과되기 때문에, 커넥터는 제1씰의 관통이 필요없이 제1 판유리 요소의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이것은 전기적 연결이 제1 및 제2씰의 관통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의 글레이징에 비해 절연 글레이징의 기밀성을 실질적으로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류 도체 또는 전류 케이블이 제2 밀봉 요소에 주조되거나 제2 밀봉 요소와 함께 성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글레이징, 특히 판유리 요소 사이의 판유리간 공간의 기밀성이 보장된다. 또한, 절연 글레이징을 생산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필요한 노력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윈도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삼중 또는 다중 글레이징 윈도우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윈도우를 정면 또는 정면 요소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 또는 정면 요소, 특히 절연 글레이징 정면 요소, 삼중 또는 다중 글레이징 정면 요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사용하여 기능적인 제1판유리 요소에 대한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를 제조하기 위한 노동력 및 비용 지출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윈도우의 최적화된 기밀성 및 수밀성이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커플링 요소는 판유리 요소가 수용 그루브에 삽입되기 전에 커넥터 및/또는 스페이서의 수용 그루브내로 도입된다.
특히, 커플링 요소는 커넥터 및/또는 스페이서의 수용 그루브의 일부 길이를 따라 도입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가 유연한 재료, 예를 들어, 은 페이스트 또는 유연한 전기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2판유리 요소가 삽입될 때 커플링 요소의 탄성 및/또는 소성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에 기초하여, 커플링 요소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 및 제1판유리 요소와 표면 접촉하게 된다.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전기 커플링은 커플링 요소의 이러한 표면 접촉을 통해 수용 그루브를 따라 발생한다.
제조 공정 중 커플링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의 수용 그루브에 단순히 도입되는 경우, 수용 그루브를 따라 커플링 요소 변형으로 인해 제1 판유리 요소의 삽입 과정에서 커넥터 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브와의 표면 접촉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판유리 요소의 삽입 직전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와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의 결합 직후에, 또는 스페이서의 압출 동안에, 커플링 요소가 스페이서 및/또는 커넥터의 수용 그루부 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를 얻기 위한 적절한 제조 공정을 위해 다양한 옵션이 이용가능하다.
연속적으로 압출된 스페이서 프로파일(spacer profile)에 커플링 요소를 연속적으로 도입하는 것과 스페이서와 커넥터의 조립된 수용 그루브에 수동으로 도입하는 것 모두를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스페이서들 및 커넥터들을 서로 조합하는 경우, 공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의 커플링 요소가 수용 그루브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위가 판유리 요소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거나 상이한 전위가 제1판유리 요소의 상이한 구역에 인가될 수 있다.
더욱이, 커플링 요소는 더 오랜 시간동안 수용 그루브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제1판유리 요소의 즉각적인 삽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다. 대신, 전기 전도성 유연한 폴리머 형태의 커플링 요소는 탄성/소성 변형 및 전기 전도성에 대한 성능을 잃지 않고 제1판유리 요소가 삽입되기 이전에 오랫동안 수용 그루브에 남아있을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유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커넥터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에 충분한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수용 그루브에 삽입되는 커플링 요소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삼중 글레이징을 갖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요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등각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삼중 글레이징을 갖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개요를 도시한다.
도 1은 절연 글레이징, 특히 삼중 글레이징의 제1예시적인 실시예의 개요를 도시한다. 특히 절연 글레이징은 단면도로 표시된다.
절연 글레이징은 제1, 제2 및 제3판유리 요소(1, 2, 3)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절연 글레이징은 커넥터(5)를 갖는다. 커넥터(5)에 연결된 스페이서(4)는 도 1에서 보이지 않거나 제2판유리 요소(2)에 의해 가려져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 1의 절연 글레이징은 삼중 글레이징으로 설계된다.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는 3개의 판유리 요소(1, 2, 3)를 수용하도록 편리하게 설계된다.
제1판유리 요소(1)는 제1판유리 측면(1.1) 상에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거나 활성화된 코팅을 갖는 도 1에 따라 설계된다. 따라서 제1 판유리 요소는 기능성 또는 활성화 가능한 판유리 요소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판유리 요소(2)는 내부 판유리이고, 반면에 제3판유리 요소(3)는 외부 판유리이다. 중앙에 배열된 제1 판유리 요소(1)는 활성 또는 기능성 판유리 요소로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의 절연 글레이징은 전기채색 글레이징 또는 액정 글레이징일 수 있고, 여기서 특히 제1판유리 요소(1)는 기능성 판유리 요소이다.
제2, 제3판유리 요소(2, 3)는 스페이서(4) 또는 커넥터(5)의 외측면에 배열된다. 제1 판유리 요소(1)는 스페이서(4) 또는 커넥터(5)의 수용 그루브(7)에 수용되고 위치된다.
커넥터(5)의 폭을 따라 연장하는 제2밀봉 요소(9.2)가 커넥터(5)와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2, 3) 사이에 도시된다. 특히, 제2 밀봉 요소(9.2)는 제1 판유리 요소(1)로부터 멀어지는 측면에서 커넥터(5)의 폭을 따라 연장된다.
제2 밀봉 요소(9.2)는 특히 절연 글레이징의 기계적 안정성 및 절연 글레이징의 밀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밀봉 요소(9.2)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구현된다.
도 1에 도시된 절연 글레이징의 사용에 있어서, 절연 글레이징이 윈도우 프레임에 의해 편리하게 둘러싸이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윈도우 프레임은 제2 밀봉 요소(9.2)에 연결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제2밀봉 요소(9.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커넥터(5)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외부 전류 도체 또는 외부 케이블(13.1, 13.2)을 도시한다. 특히, 외부 전류 도체(13.1, 13.2)는 절연 글레이징을 전기 에너지 전송을 위한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는 도 1의 절연 글레이징의 제1예시적인 실시예의 확대된 등각 정면도이다.
커넥터(5)는 스페이서(4)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4)와 커넥터(5)의 중공 공간(12)에 삽입되는 플러그인 커넥터(도 2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도 2에 있어서, 절연 글레이징은 각각의 경우 스페이서(4) 사이에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제1 판유리 요소(1)의 측면 에지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커넥터(5)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제3 판유리 요소(3) 또는 제2 판유리 요소(2)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의 측면 표면에 제공된다.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2, 3)는 각각 커넥터(5) 및 스페이서(4)의 측면 표면을 따라 제1 밀봉 요소(9.1)와 결합된다.
제1 밀봉 요소(9.1)는 부틸 본드(butyl bond) 또는 부틸 씰(seal)일 수 있다.
제2 밀봉 요소(9.2)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의 폭을 가로질러 제2 및 제3 판유리 요소(2, 3) 사이에 제공된다. 제2 밀봉 요소(9.2)는 특히 절연 글레이징의 기계적 안정성 및 절연 글레이징의 밀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판유리 요소(1)는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X)을 따라 스페이서(4) 및 커넥터(5)에 의해 형성된 수용 그루브(7)에 배열된다. 수용 그루브(7)는 실질적으로 U자형이거나 이와 유사한 형상이다.
커플링 요소(6)는 커넥터(5)가 제1판유리 요소(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 그루브(7) 내에 제공되고, 커플링 요소(6)는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 요소(1)의 움직임의 감쇠에 기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바람직하게는 제1 판유리 요소(1) 및 커플링 요소(6)가 의도된 사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용 그루브(7)를 채우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낮은 전기 저항으로 개선된 전기적 커플링이 가능하다.
커플링 요소(6)는 수용 그루브(7)에서 전체 길이를 따라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대안으로, 커플링 요소(6)는 수용 그루브(7)에서, 특히 커넥터(5)의 영역에서 그 길이를 따라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커플링 요소(6)는 커넥터(5)와 스페이서(4) 사이의 수용 그루브(7)를 따라 전위를 전달하기 위해 추가 도체(6a)를 갖는다. 따라서, 전위의 균일한 분포 또는 균일한 전달이, 바람직하게는 제1판유리 요소(1)의 전체 연장부에 걸쳐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커플링 요소의 저항이 추가 도체의 저항보다 높을 때에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6)는 추가 와이어 또는 추가 도체(6a) 없이 제공된다.
특히, 커플링 요소(6)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의 수용 그루브(7)에 위치된 제1판유리 요소(1)의 부분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미적인 외부의 전체적인 인상이 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및/또는 제3판유리 요소(2, 3)를 따라 또는 제1판유리 측면(1.1)에 대향하는 제1판유리 요소(1)의 판유리 측면을 따라 스크린으로서 흑색 인쇄 코팅을 생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6)는 제1판유리 요소의 양측면 상의 수용 그루브(7) 내에서 연장된다.
커플링 요소(6)는 제1판유리 요소(1)와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커플링이 있도록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와 제1 판유리 요소(1) 사이의 적절한 전기 커플링을 제공하기 위해 제1 판유리 요소(1)를 따라 더 이상의 접촉 요소가 필요하지 않다.
더욱이, 커플링 요소(6)에 의해, 제1판유리 요소의 양측면에서 동시 접촉이 가능하다.
더욱이, 복수의 커플링 요소(6)는 수용 그루브(7)를 따라 공간적으로 따라서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5)를 사용하여 제1 판유리 요소(1)를 함께 또는 별개로 제어될 수 있는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커플링 요소(6)가 서로 다른 커넥터(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 판유리 요소(1)는 필요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서로 다른 전위 또는 동일한 전위에 놓일 수 있다. 활성화 가능한 판유리 또는 기능성 제1 판유리 요소(1)의 상이한 기능은 다중 커플링 요소(6)를 따라 인가되는 전압의 함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를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외부 전류 도체 또는 전류 케이블(13.1, 13.2)이 제2밀봉 요소(9.2)를 독점적으로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류 케이블(13.1, 13.2)은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최단 경로에 의해 제2밀봉 요소(9.2)를 관통한다.
제1밀봉 요소(9.1)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류 도선(13.1, 13.2) 또는 외부 전원에 대한 커넥터(5)의 다른 전기 커플링에 의해 관통되지 않는다.
커넥터(5)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류 도선(13.1, 13.2)을 위한 보어(bore) 또는 그루브 형태의 리세스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비전도성 커넥터와 관련하여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류 도체(13.1, 13.2)은 장치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2밀봉 요소(9.2)에 주조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5)를 통해 제1판유리 요소(1)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특히, 커넥터(5)와 제1판유리 요소(1) 사이에 적절한 전기 커플링을 제공하기 위하여 커플링 요소(6)가 제1판유리 표면을 양측에서 둘러싸는 것이 분명하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6)이 제공되어 커넥터(5)와 제1 판유리 표면(1)사이에 표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수용 그루브(7)는 커넥터(5) 또는 스페이서(4)에 대해 실질적으로 중앙 또는 대칭으로 배열된다.
대안으로, 수용 그루브(7)는 일 측으로 이동되거나 비대칭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커넥터(5)는 비대칭적으로 배열된 수용 그루브(7)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및 제3판유리 요소(1, 3) 사이보다 제1 및 제2판유리 요소(1, 2) 사이에 더 적은 거리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방음 또는 소리 감쇠 값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다.
커플링 요소(6)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고 변형 가능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서 커플링 요소(6)가 제1판유리 요소(1)와 커넥터(5) 사이의 수용 그루브(7)를 편리하게 실질적으로 채울 수 있다.
더욱이, 도 1 및 2와 비교하여, 도 3의 커플링 요소(6)는 추가 도체(6a) 없이 표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넥터(5) 및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커플링 요소(6)를 통해 제1판유리 요소(1)에 대한 전기 에너지 또는 전위의 충분한 커플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다중 커넥터(5)의 경우, 특히 복수의 커플링 요소(6) 또는 복수의 부품들로 편리하게 설계된 하나의 커플링 요소(6)와 관련하여, 제1판유리 요소(1)에 대한 상이한 전위의 커플링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와 제1판유리 요소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제공된다.
외부 전원 또는 외부 전류 케이블(13.1, 13.2)과 제1판유리 요소(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커넥터(5)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연 글레이징 또는 그 윈도우의 단순화된 제조가 보장된다.
더욱이, 외부 전류 도체 또는 전류 케이블(13.1, 13.2)은 제2밀봉 요소(9.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로 짧은 거리만 라우팅되면 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전류 도체(13.1, 13.2)는 제2밀봉 요소(9.2)에서 주조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절연 글레이징의 완전한 기밀성이 제1 및 제2밀봉 요소(9.1, 9.2)로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 또는 적어도 하나의 특수한 커넥터(5, 5')의 사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에 의해 외부 전원과 제1판유리 요소(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게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와 커플링 요소(6)를 사용하여 전위가 제1판유리 요소(1)에 균일하게 도입될 수 있다.
동시에, 더 적은 제조 노력과 감소된 제조 비용과 함께 개선된 밀봉이 보장된다.
1 제1판유리 요소
1.1 제1 판유리 요소의 제1판유리 측면
2 제2 판유리 요소
3 제3 판유리 요소
4 스페이서
5 커넥터
6 커플링 요소(coupling element)
6a 추가 도체 (additional conductor)
7 수용 그루브(receiving groove)
9.1 제1밀봉 요소(first sealing component)
9.2 제2밀봉 요소(second sealing component)
12 중공 공간(hollow space)
13.1 외부 전류 도선(external current conductor)
13.2 외부 전류 도선
X 길이 방향의 축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제1판유리 요소(1),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4), 및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5)를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삼중 글레이징 또는 다중 글레이징으로서,
    상기 스페이서(4)와 상기 커넥터(5)는 공통의 길이 방향의 축(X)를 따라 연장되고 수용 그루브(7)를 형성하도록 서로 옆에 배열되고, 상기 제1판유리 요소(1)는 상기 수용 그루브(7)에 수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판유리 요소(1)에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5)와 상기 제1판유리 요소(1) 사이에 전기적 커플링(electrical coupling)이 형성되도록 전기 전도성 커플링 요소(6)가 상기 커넥터(5)의 수용 그루브(7)에 제공되며, 상기 커플링 요소(6)는 전기 전도성 실리콘 또는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지며, 상기 커플링 요소(6)는 상기 커플링 요소(6) 내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 형태로 추가 도체(6a)를 갖는, 절연 글레이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는 전기 전도성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는 전기 절연성 커넥터이고, 상기 커넥터(5)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류 도체(13.1, 13.2)가 라우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 접촉이 상기 커넥터(5)와 상기 제1판유리 요소(1)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링 요소(6)는 유연한 재료(flexible material)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전기 전도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6)는 상기 수용 그루브(7)에 수용된 상기 제1판유리 요소(1)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절연 글레이징을 갖는 윈도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24155A 2018-01-22 2019-01-08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KR102513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20102P 2018-01-22 2018-01-22
US62/620,102 2018-01-22
EP18158003 2018-02-22
EP18158003.6 2018-02-22
PCT/EP2019/050274 WO2019141533A1 (de) 2018-01-22 2019-01-08 Isolierverglasung, fens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976A KR20200106976A (ko) 2020-09-15
KR102513687B1 true KR102513687B1 (ko) 2023-03-24

Family

ID=6501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155A KR102513687B1 (ko) 2018-01-22 2019-01-08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346149B2 (ko)
EP (1) EP3743582A1 (ko)
JP (1) JP7085005B2 (ko)
KR (1) KR102513687B1 (ko)
CN (1) CN111601945B (ko)
AU (1) AU2019209099B2 (ko)
CA (1) CA3087435C (ko)
NZ (1) NZ766220A (ko)
RU (1) RU2751326C1 (ko)
WO (1) WO20191415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7035B1 (en) * 2017-10-30 2020-07-22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Spacer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JP7087117B2 (ja) 2018-07-04 2022-06-2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バスバーのためのカバー要素
US11697963B2 (en) * 2019-05-01 2023-07-11 Oldcastle BuildingEnvelope Inc. Insulating panel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5664A (ja) * 2015-12-08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層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486A (en) * 1982-04-29 1987-09-08 Frank Niekrasz Glass assembly for refrigerator door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625594Y2 (ja) * 1988-02-10 1994-07-0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導電膜付きの複層ガラス
US5531047A (en) * 1993-08-05 1996-07-02 Ppg Industries, Inc. Glazing unit having three or more glass sheets and having a low thermal edg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53440A (en) * 1994-10-20 1996-09-10 Ppg Industries, Inc. Multi-sheet glazing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GB9508192D0 (en) * 1995-04-21 1995-06-07 Ennis Paul S Triple glazing
DE19544127C1 (de) 1995-11-27 1997-03-20 Gimsa Jan D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Resonanzerscheinungen in Partikelsuspensionen und ihre Verwendung
CA2209982A1 (en) * 1996-07-16 1998-01-16 Lawrence Donald Carbary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ple-pane window units containing intermediate plastic films
US6001487A (en) * 1996-10-17 1999-12-14 Saint-Gobain Vitrage Glazing assembly having a thermally, electrically and/or electrochemically active system
WO1999039072A1 (en) * 1998-01-30 1999-08-05 Ppg Industries Ohio, Inc. Multi-sheet glazing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15989A (en) * 1998-01-30 2000-09-12 Ppg Industries Ohio, Inc. Multi-sheet glazing uni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266940B1 (en) * 1998-07-31 2001-07-31 Edgetech I.G., Inc. Insert for glazing unit
US6148563A (en) * 1999-03-25 2000-11-21 Hussmann Corporation Reach-in door for refrigerated merchandiser
US6407847B1 (en) * 2000-07-25 2002-06-18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medium having a color stability
CN101738812B (zh) * 2003-05-06 2013-10-23 金泰克斯公司 车辆后视镜元件及安装有这些元件的组合件
JP5546621B2 (ja) * 2009-04-07 2014-07-09 プロヴェアプ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複層ガラス構造体において複数のガラスの間隔を保つためのスペーサ、複層ガラス構造体、並びにこのような複層ガラス構造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RU2394976C1 (ru) * 2009-04-14 2010-07-20 Герман Анатольевич Смирнов Теплозащитный противовзломный стеклопакет
US8289610B2 (en) * 2009-08-27 2012-10-16 Guardian Industries Corp. Electrochromic devices,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ochromic device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GB0916379D0 (en) 2009-09-18 2009-10-28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KR101052948B1 (ko) * 2010-01-05 2011-07-29 이재형 납땜이 가능하고 탄력성을 갖는 전기전도성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PL2526247T3 (pl) * 2010-01-20 2017-01-31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Klamra zespolenia brzegowego jednostki szyby zespolonej, zespolenie brzegowe jednostki szyby zespolonej, jednostka szyby zespolonej z klamrą zespolenia brzegowego
FR2962818B1 (fr) 2010-07-13 2013-03-08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imique a proprietes de transmission optique et/ou energetique electrocommandables.
US8164818B2 (en) 2010-11-08 2012-04-24 Soladigm, Inc. Electrochromic window fabrication methods
EP3444664A1 (en) * 2010-12-08 2019-02-20 View, Inc. Improved spacers for insulated glass units
US10175549B2 (en) 2011-03-16 2019-01-08 View, Inc. Connectors for smart windows
KR20130003223A (ko) * 2011-06-30 2013-01-09 남선산업 (주) 3중 복층유리 창호
BE1020124A3 (fr) * 2011-07-20 2013-05-07 Agc Glass Europe Panneau de vitrage isolant comprenant au moins un espace interne comprenant un lame d'un gaz isolant.
KR101261789B1 (ko) * 2011-08-16 2013-05-07 (주)하이퍼윈도우 고단열 창호용 복층유리 스페이서 구조체
FR2981929A1 (fr) * 2011-11-02 2013-05-03 Saint Gobain Vitrage avec antenne incorporee
JP2013186396A (ja) * 2012-03-09 2013-09-19 Murakami Corp 電子デバイス
US9260907B2 (en) * 2012-10-22 2016-02-16 Guardian Ig, Llc Triple pane window spacer having a sunken intermediate pane
DE202012011040U1 (de) * 2012-11-19 2012-12-12 Isophon Glas Gmbh Verglasungseinheit
JP6234560B2 (ja) * 2013-06-14 2017-11-22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3重断熱ガラス用のスペーサ
JP2017101377A (ja) * 2014-03-31 2017-06-0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複層パネル
US10301868B2 (en) * 2014-06-27 2019-05-28 Saint-Gobain Glass France Insulated glazing comprising a spacer, and production method
US20170321472A1 (en) * 2014-12-08 2017-11-09 Saint-Gobain Glass France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DK3230544T3 (da) * 2014-12-08 2019-05-13 Saint Gobain Isoleringsrude
JP2016141573A (ja) * 2015-01-29 2016-08-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層ガラス及び光学デバイス
JP6505254B2 (ja) * 2015-04-22 2019-04-24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三層複層ガラス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10253549B2 (en) 2015-12-15 2019-04-09 Sage Electrochromics, Inc. Insulated glazing units and electrical feed throughs
DK3464774T3 (da) * 2016-05-31 2020-08-10 Saint Gobain Isoleringsrude med forhøjet gennembrudshæmning
KR20190044122A (ko) * 2016-09-14 2019-04-2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절연 글레이징 유닛용 스페이서, 스페이서를 생산하는 방법 및 다중 절연 글레이징 유닛
JP6174220B1 (ja) 2016-10-07 2017-08-02 イシイ株式会社 面状発熱体、面状発熱装置、面状発熱体用電極、及び面状発熱体の製造方法
FR3057900A1 (fr) * 2016-10-26 2018-04-27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comprenant au moins une feuille de verre mince revetue d'un empilement a faible emissivite
PL3574174T3 (pl) * 2017-01-30 2023-06-19 Saint-Gobain Glass France Oszklenie izolacyjne o podwyższonej odporności na rozbicie, z elementem pośredniczącym
JP7032552B6 (ja) * 2018-01-22 2022-03-22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統合されたリボンケーブルを有する、絶縁グレージングのためのスペーサ
EP3743583B1 (de) * 2018-01-22 2022-01-26 Saint-Gobain Glass France Abstandhalter für isolierverglasungen mit in hohlkammer integrierter elektrischer zuleitung
JP7087117B2 (ja) * 2018-07-04 2022-06-20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バスバーのためのカバー要素
WO2020021198A1 (fr) * 2018-07-27 2020-01-30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isolant, sous-ensemble de vitrage isolant et espaceur pour la realisation d'un cadre espaceur de ce sous-ensemble
FR3084391A1 (fr) * 2018-07-27 2020-01-31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isolant, espaceur pour la realisation d'un cadre espaceur de vitrage isolant et procede de remplissage d'un vitrage isolant avec du gaz isolant
EP3702572A1 (de) * 2019-02-27 2020-09-02 Saint-Gobain Glass France Isolierverglasung mit elektrochromem funktionselement und infrarotreflektierender beschicht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5664A (ja) * 2015-12-08 2017-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層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0785A (ja) 2021-04-30
AU2019209099B2 (en) 2021-07-22
WO2019141533A1 (de) 2019-07-25
US20210047879A1 (en) 2021-02-18
NZ766220A (en) 2023-01-27
JP7085005B2 (ja) 2022-06-15
CN111601945A (zh) 2020-08-28
CN111601945B (zh) 2022-04-05
AU2019209099A1 (en) 2020-07-09
KR20200106976A (ko) 2020-09-15
CA3087435C (en) 2023-01-10
US11346149B2 (en) 2022-05-31
EP3743582A1 (de) 2020-12-02
RU2751326C1 (ru) 2021-07-13
CA3087435A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687B1 (ko) 절연 글레이징, 윈도우 및 제조방법
US11713613B2 (en) Corner connecto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with an electrical supply line
US11168514B2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s comprising an integrated ribbon cable
EP2805203B1 (en) Electrical connectivity within architectural glazing frame systems
JP7032551B2 (ja) 中空チャンバーに統合された電気供給ラインを有する、絶縁グレージングのためのスペーサ
KR102515386B1 (ko) 절연 글레이징 및 창
BR9902844A (pt) Conector de cunha para perfuração de isolamento provido com vedação
JPWO2019233761A5 (ko)
US20230198214A1 (en) Electrified strip arrangement
RU2810347C1 (ru) Раздвижное окно с подогревом
ITMN20010049A1 (it) Dispositivo in alluminio ad una o piu' cave per l'inserimento rapido di resistenze flessibili riscaldanti a filo aventi funzioni anticond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