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188B1 -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 Google Patents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188B1
KR102513188B1 KR1020220091533A KR20220091533A KR102513188B1 KR 102513188 B1 KR102513188 B1 KR 102513188B1 KR 1020220091533 A KR1020220091533 A KR 1020220091533A KR 20220091533 A KR20220091533 A KR 20220091533A KR 102513188 B1 KR102513188 B1 KR 10251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ptical fiber
contact
pair
diffuse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덕
Original Assignee
서재덕
주식회사 에스제이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덕, 주식회사 에스제이세진 filed Critical 서재덕
Priority to KR102022009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6Coupling light into the fib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찌로부터 위로 상향 돌출되게 광섬유를 전자찌에 설치하고 설치된 광섬유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난반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찌가 물속에 잠겼을 때에도 광섬유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통해 전자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의 움직임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A floating bobber from which an optical fiber receiving pipe with scattered reflection part arranged on upper side are upwardly protruding}
본 발명은 전자찌로부터 위로 상향 돌출되게 광섬유를 전자찌에 설치하고 설치된 광섬유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난반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찌가 물속에 잠겼을 때에도 광섬유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통해 전자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의 움직임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찌는 물고기가 미끼를 입질할 때 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하여 제때 낚싯대를 낚아채어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어신을 알려주는 주 기능과 함께 채비를 캐스팅할 때 멀리 날아가도록 하는 보조 기능도 동시에 갖는 것이며, 이러한 낚시용 찌는 야간에는 보이지 않아서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내부에 배터리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장치를 설치하여 야간 낚시를 할 경우 멀리서도 찌의 움직임을 빛으로 확인할 수 있어 어신을 감지토록 한 전자찌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오고 있었던 실정이다.
상기 야간에도 낚시가 가능토록 빛을 내는 전자찌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60441호(2002년 1월 10일자 공고) 및 공개실용신안 2012년 제7992호(2012년 11월 26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캡 내부에 2개 내지 3개의 LED소자가 구성된 기판을 설치하여 리튬전지로 LED소자를 발광시켜서 야간에도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어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종래 전자찌의 경우 물고기의 약은 입질에 전자찌가 물속으로 얕게 내입되어 물속이지만 불빛이 그대로 보이므로 입질을 정확하게 감지하기가 어려웠으며, 야간에 파도를 타고 있는 전자찌를 장시간 쳐다보면 집중력이 서서히 떨어져서 전자찌가 입질에 의해서 잠겼는지 파도에 의해서 잠겼는지가 불명확하여 입질이 온 것을 제때 감지하지 못하여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었던 것이다.
이를 보완코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2616호(2002년 10월 25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낚싯줄에 고정된 영구자석의 이동 시 상하 마그네틱 스위치를 단락시켜서 발광다이오드를 각각 점등 및 소등으로 점멸시킬 수 있도록 한 어신감지용 발광 낚시찌가 개발되어 있었으나, 이와 같은 점멸되는 기존의 전자찌는 밤에 낚시를 하기 위해 캐스팅하면서 추에 의해서 잠시 점등되었다가 추와 찌의 부력이 평형을 이루면 소등되며, 이후 물고기의 입질이 있을 시에 다시 점등되는 것으로서, 전자찌가 수면에 떠 있을 시 파도에 의해서 전자찌가 제자리에 있지 않아서 입질이 와서 점등이 되더라도 어느 위치에서 점등되는지를 알 수 없어서 제때 낚시대를 챌 수 없으므로 이 역시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전자찌가 원래 야간에도 찌의 위치를 항시 추적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는데, 항상 점등이 되어 있지 않는 상기의 기존 전자찌는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934565호(2018.12.26.)에서는 "내측에 낚싯줄(10)이 관통되는 관통관(23)이 형성된 케이스(2); 케이스(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를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된 기판(3); 기판(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의 결합에 의해서 발광되게 구성되며, 기판(3)의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51) 및 제2상시발광체(5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5); 관통관(23)의 상부에 관통관(23)의 내경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도록 구성된 유입확장관(6); 유입확장관(6)의 상측에 마주보며 유입확장관(6)의 내외로 관통되게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위칭단자(7); 유입확장관(6)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서 마주보는 한 쌍의 스위칭단자(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발광되게 기판(3)에 설치되며,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51) 및 제2상시발광체(52)의 양 사이의 기판(3) 상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감응발광체(81) 및 제2감응발광체(82)로 이루어진 감응발광체(8);가 포함되며, 제1상시발광체(51) 및 제2상시발광체(52)와 대응되게 기판(3)의 하부로 각각 결합된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51) 및 제2상시발광체(52)가 발광되게 구성된 접촉단자(50); 제1상시발광체(51)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1감응발광체(81)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1연결단자(83); 제2상시발광체(52)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제1연결단자(83)가 연결된 접촉단자(50)와 극성이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2감응발광체(82)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2연결단자(84); 제1감응발광체(81)의 타측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한쪽 스위칭단자(7)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1탄력연결단자(85); 제2감응발광체(82)의 타측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반대편 한쪽 스위칭단자(7)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2탄력연결단자(8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신 감지용 전자찌."를 제안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위 종래 기술(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34565호)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상시발광체 및 배터리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감응발광체 및 스위칭단자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4는 유입확장관으로의 물 유입 여부에 따른 발광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34565호의 어신 감지용 전자찌(1)는 물고기의 입질이 없는 평소에는 상기 도 12의 (가)에서와 같이 수면에 떠있다가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입질에 의해서 낚싯줄(10)로 어신이 전달되어 오면 전자찌(1)가 도 1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속으로 잠기면서 관통관(23)을 통해서 상부의 유입확장관(6)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어서, 상기 도 12의 (나)에서와 같이 유입확장관(6)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확장관(6)의 내측으로 노출된 한 쌍의 스위칭단자(7)에 배터리(4)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상호 흐르면서 유입확장관(6)의 외측으로 노출된 부위로 제1탄력연결단자(85)와 제2탄력연결단자(86)로 연결된 제1강응발광체 및 제2감응발광체(82)로 이루어진 감응발광체(8)에서 상시발광체(5)와 상이한 색상의 불빛이 발광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위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934565호의 어신 감지용 전자찌(1)는 낚싯줄(10)로 어신이 전달되어 오면 전자찌(1)가 도 12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속으로 잠겨버리는데, 낙시꾼이 전자찌(1)를 장시간 쳐다보면 집중력이 서서히 떨어져서 전자찌(1)가 입질에 의해서 잠겼는지 파도에 의해서 잠겼는지가 불명확하여 입질이 온 것을 제때 감지하지 못하여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던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4565호(2018.12.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0810호(2004.12.08.)
본 발명에 의한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찌로부터 위로 상향 돌출되게 광섬유를 전자찌에 설치하고 설치된 광섬유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난반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찌가 물속에 잠겼을 때에도 광섬유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통해 전자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의 움직임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된 두 쌍의 홀더 중 배터리가 결합된 한 쌍의 홀더가 위치하는 기판의 직상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 및 제2상시발광체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를 발광하게 하지만, 두 쌍의 홀더 중 나머지 한 쌍의 홀더에는 배터리를 결합하지 않고 나머지 한 쌍의 홀더가 위치하는 기판의 직상면에는 상시발광체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한 쌍의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하면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 및 제2상시발광체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를 발광하게 하였다가 낙시를 하지 않을 때에는 나머지 한 쌍의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배터리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빛을 좋아하는 추광성 어류가 아닌 빛을 싫어하는 배광성 어류를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주변으로부터 쫓아 내지 않으면서도 낙시꾼은 상기 난반사부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측에 낚싯줄(10)이 관통되는 관통관(23)이 형성된 케이스(2); 케이스(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를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된 기판(3); 기판(3)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의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두 쌍의 홀더(31); 관통관(23)의 상부에 관통관(23)의 내경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도록 구성된 유입확장관(6); 유입확장관(6)의 상측에 마주보며 유입확장관(6)의 내외로 관통되게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위칭단자(7);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제1 중앙관통구(90h)를 형성하고 내부에 광섬유(91)를 수용하여 유입확장관(6)에 삽입, 설치되며 스위칭단자(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수용관(90); 배터리(4)로부터 스위칭단자(7)로 전기가 공급되었을 때 발광되게 기판(3)에 설치되며, 두 쌍의 홀더(31) 중 한 쌍의 홀더(31)가 위치하는 기판(3)의 직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8);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와 접촉되고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되게 구성된 접촉단자(50); 제1상시발광체(81)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1상시발광체(81)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1연결단자(83); 제2상시발광체(82)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제1연결단자(83)가 연결된 접촉단자(50)와 극성이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2상시발광체(82)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2연결단자(84); 제1연결단자(83)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스위칭단자(7)를 통해 광섬유(91)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1탄력연결단자(85); 제2연결단자(84)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반대편 스위칭단자(7)를 통해 광섬유(91)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2탄력연결단자(86); 및 광섬유(91)의 상측 일부를 하측에 수용하고, 제1 중앙관통구(90h)와 연통하는 제2 중앙관통구(100h)를 중앙에 형성하며, 광섬유(91)의 상측 단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101)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102)을 형성하는 난반사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위 구성 외에, 두 쌍의 홀더(31) 중 나머지 한 쌍의 홀더(31)가 위치하는 기판(3)의 직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3상시발광체(51) 및 제4상시발광체(5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50)는, 제3상시발광체(51) 및 제4상시발광체(52)와도 접촉되고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위 구성들 외에, 난반사부(100)의 아래에서 난반사부(100)와 간격을 두고 광섬유(9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난반사부(100)에서 아래로 난반사되는 빛을 차폐하거나 위로 반사시키도록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차폐부(1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전자찌로부터 위로 상향 돌출되게 광섬유를 전자찌에 설치하고 설치된 광섬유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난반사부를 포함함으로써 전자찌가 물속에 잠겼을 때에도 광섬유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통해 전자찌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의 움직임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기판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된 두 쌍의 홀더 중 배터리가 결합된 한 쌍의 홀더가 위치하는 기판의 직상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 및 제2상시발광체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를 발광하게 하지만, 두 쌍의 홀더 중 나머지 한 쌍의 홀더에는 배터리를 결합하지 않고 나머지 한 쌍의 홀더가 위치하는 기판의 직상면에는 상시발광체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한 쌍의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하면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 및 제2상시발광체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를 발광하게 하였다가 낙시를 하지 않을 때에는 나머지 한 쌍의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배터리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빛을 좋아하는 추광성 어류가 아닌 빛을 싫어하는 배광성 어류를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주변으로부터 쫓아 내지 않으면서도 낙시꾼은 상기 난반사부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위 종래 기술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상시발광체 및 배터리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감응발광체 및 스위칭단자의 연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유입확장관으로의 물 유입 여부에 따른 발광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는 90도의 각도를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도 5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전자찌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와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과 난반사부가 수면에 떠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나)는 본 발명의 전자찌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물속으로 잠기었을 때에도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의 대부분과 난반사부가 수면에 떠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 5의 실시예에서 난반사부의 아래에서 난반사부와 간격을 두고 광섬유에 연결되어 있으며, 난반사부에서 아래로 난반사되는 빛을 차폐하거나 위로 반사시키도록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음향방출기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b의 제어부에 대한 음향방출기와 제1, 2 연결단자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에 관하여 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와는 90도의 각도를 이루어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도 5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전자찌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와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과 난반사부가 수면에 떠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나)는 본 발명의 전자찌의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가 물속으로 잠기었을 때에도 광섬유를 수용한 광섬유 수용관의 대부분과 난반사부가 수면에 떠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는 도 5의 실시예에서 난반사부의 아래에서 난반사부와 간격을 두고 광섬유에 연결되어 있으며, 난반사부에서 아래로 난반사되는 빛을 차폐하거나 위로 반사시키도록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8b는 도 5의 실시예에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음향방출기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b의 제어부에 대한 음향방출기와 제1, 2 연결단자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최대의 오메가 3 지방산 함유량을 가지는 생들기름의 제조장치는, 케이스(2), 기판(3), 두 쌍의 홀더(31), 유입확장관(6), 스위칭단자(7), 상시발광체(8), 접촉단자(50), 제1연결단자(83), 제2연결단자(84), 제1탄력연결단자(85), 제2탄력연결단자(86), 및 난반사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케이스(2)는 주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진 상부케이스(21)와 불투명으로 이루어진 하부 케이스(22)가 나사 체결되게 구성되며, 상부케이스(21)는 중앙에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서 내측에 낚싯줄(10)이 관통되는 관통관(23)이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케이스(22)의 내측 하부에는 중량체(24)가 내입 고정되며,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의 나사 체결부와 상부케이스(21)의 관통관(23) 하단과 하부케이스(22)의 결합부에는 각각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2)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패킹(25)이 게재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의 기판(3)은 케이스(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를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두 쌍의 홀더(31)는 기판(3)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의 탈착이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며, 기판(3)의 상부에는 두 쌍의 홀더(31) 중 한 쌍의 홀더(31)(나머지 한 쌍의 홀더(31)는 배터리(4) 보관용임)에 배터리(4)를 결합 시 발광되도록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8)가 마주보게 결합 설치되며, 배터리(4)와 상시발광체(8)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단자(50)가 설치된다. 또, 상시발광체(8)는, 배터리(4)로부터 스위칭단자(7)로 전기가 공급되었을 때 발광되게 기판(3)에 설치되며, 두 쌍의 홀더(31) 중 한 쌍의 홀더(31)가 위치하는 기판(3)의 직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배터리(4)로부터 스위칭단자(7)로 전기가 공급되었을 때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판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된 두 쌍의 홀더 중 배터리가 결합된 한 쌍의 홀더가 위치하는 기판의 직상면에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8)를 발광하게 하지만, 두 쌍의 홀더 중 나머지 한 쌍의 홀더에는 배터리를 결합하지 않고 나머지 한 쌍의 홀더가 위치하는 기판의 직상면에는 상시발광체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한 쌍의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하면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8)를 발광하게 하였다가 낙시를 하지 않을 때에는 나머지 한 쌍의 홀더에 배터리를 결합하여 배터리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유입확장관(6)은 관통관(23)의 상부에 관통관(23)의 내경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스위칭단자(7)는 유입확장관(6)의 상측에 마주보며 유입확장관(6)의 내외로 관통되게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광섬유 수용관(9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제1 중앙관통구(90h)를 형성하고 내부에 광섬유(91)를 수용하여 유입확장관(6)에 삽입, 설치되며 스위칭단자(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광섬유 수용관(90) 내의 광섬유(91)가 스위칭단자(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접촉단자(50)는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와 접촉되고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되게 구성된다.
제1연결단자(83)는 제1상시발광체(81)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1상시발광체(81)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제2연결단자(84)는 제2상시발광체(82)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제1연결단자(83)가 연결된 접촉단자(50)와 극성이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2상시발광체(82)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며, 제1탄력연결단자(85)는 제1연결단자(83)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스위칭단자(7)를 통해 광섬유(91)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제2탄력연결단자(86)는 제2연결단자(84)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반대편 스위칭단자(7)를 통해 광섬유(91)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섬유(91)가 스위칭단자(7), 제1, 2탄력연결단자(85, 86), 양 쪽의 접촉단자(50), 제1, 2연결단자(83, 84)에 차례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배터리(4)와 상시발광체(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단자(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국 빛을 직진 이동시켜 끝 부분에서 발광하는 광섬유(91)는 배터리(4)로부터 공급된 전기로 인해 광섬유(91)의 중앙부나 측면에서는 발광하지 않고 상측 끝 부분, 즉 상측 단부에서 발광하게 된다.
난반사부(100)는 광섬유(91)의 상측 일부를 하측에 수용하고, 제1 중앙관통구(90h)와 연통하는 제2 중앙관통구(100h)를 중앙에 형성하며, 광섬유(91)의 상측 단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101)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102)을 형성한다.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광섬유(91)의 상측 단부에서 발광하는 빛이 본체(101)를 거쳐 본체(101)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엠보싱(102)을 통해 난반사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찌에 대한 낙시꾼의 시인성을 높이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전자찌가 낙시꾼의 시야에서 10m 초과시 낙시꾼의 시인성이 떨어졌었지만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의 경우 30m 까지도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위 구성 외에, 두 쌍의 홀더(31) 중 나머지 한 쌍의 홀더(31)가 위치하는 기판(3)의 직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3상시발광체(51) 및 제4상시발광체(5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50)는, 제3상시발광체(51) 및 제4상시발광체(52)와도 접촉되고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되게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모든 상시발광체, 즉 제1 내지 4상시발광체(81, 82, 51, 52)가 모두 발광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의 케이스(2)에 대한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위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또는 위 도 8a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외에, 난반사부(100)의 아래에서 난반사부(100)와 간격을 두고 광섬유(9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난반사부(100)에서 아래로 난반사되는 빛을 차폐하거나 위로 반사시키도록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차폐부(104)를 더 포함한다. 위 구성에 따르면, 반구형 차폐부(104)가 난반사부(100)에서 아래로 난반사되는 빛을 차폐하거나 위로 반사시킬 수 있음으로써, 빛을 좋아하는 추광성 어류가 아닌 빛을 싫어하는 배광성 어류를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주변으로부터 쫓아 내지 않으면서도 낙시꾼은 상기 난반사부(100)에 대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는, 위 구성들 외에, 기판(3)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음향방출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물고기의 먹이를 닮은 소리를 저장하여 소리 신호로 송신할 수 있는 메모리(112); 및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함과 동시에 낙시꾼의 휴대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수신부를 구비한 제어기(111)를 포함하고, 제어부(110)는 제1연결단자(83)와 제2연결단자(84) 및 메모리(112)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향방출기(120)는 제어기(11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소리 신호에 의거하여 물고기의 먹이를 닮은 소리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낚싯줄(10)을 통해 간접적으로 물속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메모리(112)에 물고기의 먹이를 닮은 소리(예, 지렁이의 울음소리, 각종 물고기의 치어 등의 울음소리)를 저장하여 소리 신호로 송신할 수 있고, 제어기(111)는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함과 동시에 낙시꾼의 휴대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어 낙시꾼에 의해서도 상기 소리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음향방출기(120)는 제어기(11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기 소리 신호에 의거하여 물고기의 먹이를 닮은 소리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낚싯줄(10)을 통해 간접적으로 물속으로 방출할 수 있어 물속의 물고기를 본 발명의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주변 또는 낚싯줄(10) 끝에 달린 미끼 주변으로 유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1은 관통관(23)과 유입확장관(6) 사이에 구비된 상광하협(上廣下狹: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음)의 확장경사부를 가리키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7은 일측 배터리(4)의 마이너스극에 접촉된 접촉단자(50)와 타측 배터리(4)의 플러스극에 접촉된 접촉단자(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연결단자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케이스 3 : 기판
4 : 배터리 5 : 상시발광체
6 : 유입확장관 7 : 스위칭단자
8 : 상시발광체 10 : 낙시줄
23 : 관통관 31 : 홀더
50 : 접촉단자 51 : 제3상시발광체
52 : 제4상시발광체 81 : 제1상시발광체
82 : 제2상시발광체 83 : 제1연결단자
84 : 제2연결단자 85 : 제1탄력연결단자
86 : 제2탄력연결단자 90 : 광섬유 수용관
90h : 제1 중앙관통구 91 : 광섬유
100 : 난반사부 101 : 본체
100h : 제2 중앙관통구 102 : 엠보싱

Claims (3)

  1. 내측에 낚싯줄(10)이 관통되는 관통관(23)이 형성된 케이스(2);
    케이스(2)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를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구성된 기판(3);
    기판(3)의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고정 설치되어 배터리(4)의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두 쌍의 홀더(31);
    관통관(23)의 상부에 관통관(23)의 내경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도록 구성된 유입확장관(6);
    유입확장관(6)의 상측에 마주보며 유입확장관(6)의 내외로 관통되게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스위칭단자(7);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제1 중앙관통구(90h)를 형성하고 내부에 광섬유(91)를 수용하여 유입확장관(6)에 삽입, 설치되며 스위칭단자(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섬유 수용관(90);
    배터리(4)로부터 스위칭단자(7)로 전기가 공급되었을 때 발광되게 기판(3)에 설치되며, 두 쌍의 홀더(31) 중 한 쌍의 홀더(31)가 위치하는 기판(3)의 직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8);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와 접촉되고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되게 구성된 접촉단자(50);
    제1상시발광체(81)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1상시발광체(81)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1연결단자(83);
    제2상시발광체(82)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접촉단자(50) 중 제1연결단자(83)가 연결된 접촉단자(50)와 극성이 상이한 극성을 갖는 한쪽의 접촉단자(50)와 제2상시발광체(82) 일측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2연결단자(84);
    제1연결단자(83)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스위칭단자(7)를 통해 광섬유(91)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1탄력연결단자(85);
    제2연결단자(84)에 접촉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유입확장관(6)의 반대편 스위칭단자(7)를 통해 광섬유(91)의 노출부에 탄력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된 제2탄력연결단자(86); 및
    광섬유(91)의 상측 일부를 하측에 수용하고, 제1 중앙관통구(90h)와 연통하는 제2 중앙관통구(100h)를 중앙에 형성하며, 광섬유(91)의 상측 단부에서 방출되는 빛이 난반사되도록 투명한 구 또는 구슬의 모양으로 이루어진 본체(101)의 외면에 복수의 엠보싱(102)을 형성하는 난반사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2. 제1항에 있어서,
    두 쌍의 홀더(31) 중 나머지 한 쌍의 홀더(31)가 위치하는 기판(3)의 직상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제3상시발광체(51) 및 제4상시발광체(52)로 이루어진 상시발광체(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단자(50)는,
    제3상시발광체(51) 및 제4상시발광체(52)와도 접촉되고 각 배터리(4)의 양극에 각각 접촉되어 제1상시발광체(81) 및 제2상시발광체(82)가 발광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3. 제1항에 있어서,
    난반사부(100)의 아래에서 난반사부(100)와 간격을 두고 광섬유(9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난반사부(100)에서 아래로 난반사되는 빛을 차폐하거나 위로 반사시키도록 반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 차폐부(1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KR1020220091533A 2022-07-25 2022-07-25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KR10251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533A KR102513188B1 (ko) 2022-07-25 2022-07-25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533A KR102513188B1 (ko) 2022-07-25 2022-07-25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188B1 true KR102513188B1 (ko) 2023-03-24

Family

ID=8587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533A KR102513188B1 (ko) 2022-07-25 2022-07-25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18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7874U (ja) * 1983-01-10 1984-07-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浮子
JPS59122073U (ja) * 1983-02-03 1984-08-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電気浮子
JPS59172570U (ja) * 1983-05-07 1984-11-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電気浮子
KR200194967Y1 (ko) * 2000-03-04 2000-09-01 윤윤구 광섬유 낚시찌
JP2001086909A (ja) * 1999-09-21 2001-04-03 Kenichi Tashiro 照明付き浮き
JP2002027881A (ja) * 2000-07-14 2002-01-29 Hiromi Sangyo Kk 釣り用浮き
KR200370810Y1 (ko) 2004-09-24 2004-12-18 이두용 발광기를 가진 낚시찌
JP2005013191A (ja) * 2003-06-23 2005-01-20 Asahi Denshi Kenkyusho:Kk 魚釣り具及び魚釣り用浮き
KR20090001888U (ko) * 2007-08-22 2009-02-26 이정건 낚시찌
KR101934565B1 (ko) 2016-04-05 2019-01-04 신영진 어신 감지용 전자찌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7874U (ja) * 1983-01-10 1984-07-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浮子
JPS59122073U (ja) * 1983-02-03 1984-08-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電気浮子
JPS59172570U (ja) * 1983-05-07 1984-11-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電気浮子
JP2001086909A (ja) * 1999-09-21 2001-04-03 Kenichi Tashiro 照明付き浮き
KR200194967Y1 (ko) * 2000-03-04 2000-09-01 윤윤구 광섬유 낚시찌
JP2002027881A (ja) * 2000-07-14 2002-01-29 Hiromi Sangyo Kk 釣り用浮き
JP2005013191A (ja) * 2003-06-23 2005-01-20 Asahi Denshi Kenkyusho:Kk 魚釣り具及び魚釣り用浮き
KR200370810Y1 (ko) 2004-09-24 2004-12-18 이두용 발광기를 가진 낚시찌
KR20090001888U (ko) * 2007-08-22 2009-02-26 이정건 낚시찌
KR101934565B1 (ko) 2016-04-05 2019-01-04 신영진 어신 감지용 전자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5561B1 (en) Fishing tackle
KR101934565B1 (ko) 어신 감지용 전자찌
KR20070004288A (ko) 낚시용 멀티 전자찌
US5184414A (en) Floating fishing light and transducer
CN103238573B (zh) 全天候多功能智能电子灯式渔漂
KR102513188B1 (ko) 상측에 난반사부가 배치된 광섬유 수용관이 상향 돌출된 전자찌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CN208509907U (zh) 智能开关电子漂钓鱼器
JPH11215942A (ja) 魚の食い込み表示機能付き電気うき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WO2021210803A1 (ko)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207827A (zh) 一种用于浮漂的醒目组件以及具有该醒目组件的钓鱼用具
KR101045755B1 (ko) 반사경을 갖는 발광찌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JPS5814871Y2 (ja) 電気浮子
CN213756331U (zh) 一种改进型发光电子浮漂以及用于该发光电子浮漂的卡塞
CN205623997U (zh) 一种爆炸钩夜用浮漂
CN218869160U (zh) 一种电子发光浮漂配件
CN210017535U (zh) 圆弧形漂尾浮标
CN2390412Y (zh) 电子报警钓具
CN2203525Y (zh) 夜间鱼讯自动示警装置
CN219323096U (zh) 垂钓线组与垂钓竿
CN212325186U (zh) 智能钓鱼装置
CN209546677U (zh) 一种变色浮漂配件
KR20050004306A (ko) 광섬유를 이용한 낚시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