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429B1 -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 Google Patents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429B1
KR102512429B1 KR1020200142937A KR20200142937A KR102512429B1 KR 102512429 B1 KR102512429 B1 KR 102512429B1 KR 1020200142937 A KR1020200142937 A KR 1020200142937A KR 20200142937 A KR20200142937 A KR 20200142937A KR 102512429 B1 KR102512429 B1 KR 10251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temperature
planar heating
electric
electric pla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856A (ko
Inventor
차국진
권정애
손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라
Priority to KR102020014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06M15/27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containing fluor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2For heating of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텍스타일(111), 및 고정체 고분자인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발열소재인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의 코팅액 조성물로 구성되어 텍스타일(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코팅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112)으로 이루어진, 전기 면상발열체(110); 및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1)와, 전기 면상발열체(110) 외측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22)와,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123)과, 전기 면상발열체로 전류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배터리(124)와, 외부 스마트기기(13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125)과, 전자기파 차폐커버(126)로 구성되어, 온도센서(121)에 의해 저온이 감지되면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정상 체온으로 발열시키되, 전기 면상발열체(110)에 방수처리되어 부착 형성되는 온도조절 회로부(120);를 포함하여,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체온 저하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ELECTRICAL SURFACE HEATER TEXTILE STRUCTURE HAVING ELECTROMAGNETIC CIRCUIT WITH BODY TEMPERATURE TRACKING AND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체온 저하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의류로 분류되는 기술로 IT, NT, BT, ET 등 신기술을 결합해 전통적 섬유나 의복의 개념을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미래형 의류가 개발되고 있으며, 기능성 섬유 소재의 의복에 디지털 센서나 GPS 및 초소형 통신기기와 소형 MP3플레이어 등을 내장하는 것이 대표적이며, 섬유나 의복에 내장이 가능한 반도체칩이나 센서 그리고 디지털 기기들의 초소형화 초경량화가 필수적으로 수반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의류 핵심 소재인 텍스트로닉스에 대한 기대가 임계점을 돌파하면서 경쟁적인 연구개발 및 사업화 투자가 이루어졌음 센서 입출력 단말장치 등 소자 부품 시장과 헬스케어 피트니스 의류 등 고부가가치 전문시장으로 분할되었으며, 초연결 및 고령화 사회로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텍스트로닉스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섬유와 IT기술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성이 매우 뛰어난 섬유 소재들이 개발되고, 이러한 섬유로 트랜지스터와 전자회로까지 구성할 수 있는 단계까지 진화하였다.
특히, 스마트 섬유는 편의성, 내구성, 안정성, 내열성 등이 강화되어야 하고, 융합형 의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소재개발 기술도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나노탄소 복합 소재를 이용한 플렉서블 면상 발열 소재의 조성 및 발열체 제조 기술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차량 윈도우, 난방 히터 등에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컨대, 면상 발열체는 에너지 소비 효율이 높고 부피가 크지 않아 다양한 난방 용도로 응용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며, 시공이 간편하고, 원료의 형태에 따라 단열제, 판넬 등과 접합하여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면상 발열체는 스마트 의류 시장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의복의 기능성과 ICT와의 융합을 통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의 스마트 의류 제품군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의류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607819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그래핀 리본 섬유의 방사 방법은 응고 매체를 구비하고, 응고 매체에서 섬유를 형성하고, 응고된 그래핀 리본 섬유들을 스트리핑시켜 과량의 응고 매체를 제거하고, 그래핀 리본을 정제, 건조시켜서, 그래핀 리본의 강도 강화를 위한 기술로서, 그래핀으로 소재가 한정되고, 전도성 잉크로 직물원단에 유연성있게 코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77982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탄소 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는, 기계적물성 및 전자파 차폐효율이 우수한 탄소 나노튜브 섬유를 제조하는데 제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6546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그래핀/PVDF-HFP 복합체를 이용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텍스타일이 적용된 전기발열 장갑은 그래핀을 포함한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우수한 유연성 및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도록 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하는데, 그래핀과 PVDF-HFP의 배합만으로는 보다 양호한 접착성, 내구성 및 코팅성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수동적이고 단순한 온도조절방식이 적용된 기존의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을 개선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착용자의 체온을 추적하여 발열시킬 수 있고, 저체온증을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 제기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77982호 (탄소 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2006.07.0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6546호 (그래핀/PVDF-HFP 복합체를 이용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텍스타일이 적용된 전기발열 장갑, 2020.05.28)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체온 저하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텍스타일, 및 고정체 고분자인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발열소재인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의 코팅액 조성물로 구성되어 상기 텍스타일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코팅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전기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외측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과,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로 전류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배터리와, 외부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전자기파 차폐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저온이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정상 체온으로 발열시키되,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에 방수처리되어 부착 형성되는 온도조절 회로부;를 포함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20℃ 이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 회로부는 심부체온을 감지하는 심부체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부체온에 의해 35℃ 이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조절 회로부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로 또는 60℃로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컨트롤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모듈 또는 상기 컨트롤 스위치를 무선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20℃ 이하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거나, 상기 심부체온이 35℃ 이하의 온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는 비프음의 경고신호를 제공하거나, 인접한 다른 외부 스마트기기 또는 외부 모니터링 서버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는 다이빙슈트 또는 서핑슈트이고,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는 스마트 다이빙시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센서가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의 수중 환경 또는 수면 환경을 감지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타일은 폴리에스터와 폴리우레탄과 나일론 중 어느 두 소재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텍스타일은 폴리우레탄 25%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VDF계 공중합물 용액은, 아세톤 100ml에 1.78g/cm3의 밀도를 가지는 PVDF-HFP 칩 15g을 투입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블렌딩하여 15wt%의 PVDF-HFP 용액을 제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핀은 화학적 박리법에 의해 제조되되, 3 내지 10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소 순도는 99% 이상이고, 두께는 3nm 내지 6n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NT는 직경이 5nm 내지 20nm이고, 길이는 5㎛ 내지 10㎛이고, 탄소 순도를 90%이고, 부피밀도는 0.04g/㎤ 내지 0.08g/㎤일 수 있다.
또한,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를 믹싱하고, 마그네틱 블렌더에 의해 블렌딩하여,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일정 크기의 텍스타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나이프 엣지법에 의해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전도성 잉크로 이용하여 상기 텍스타일 상에 특정 형상의 회로패턴으로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후, 상온에서 24h 내지 48h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후, 고온고압의 열압착 공정을 통해 0.1mm ± 0.02mm의 코팅 두께로 면상발열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을 상기 텍스타일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압착 공정은 140℃ 내지 150℃의 온도와 3.0Mpa 내지 4.0Mpa의 압력조건에서 3분 내지 5분 동안 수행하여 상기 면상발열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1회 내지 4회에 걸쳐 코팅 사이클을 반복하여 상기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체온 저하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체온을 추적하고 발열시켜 해상 스포츠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외부와 무선통신하여 착용자의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발열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시에 외부 조력자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안전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가 적용된 다이빙슈트를 일예로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면상발열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 면상발열체의 코팅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에 적용되는 PVDF-HFP 칩과 CNT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전기 면상발열체의 코팅방법의 나이프 엣지법에 적용되는 판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전기 면상발열체의 코팅방법의 다양한 특성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4의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의 대조군의 그래핀 함유량에 따른 점도와 발림성과 저항과 전기적 특성발현과 상승 온도를 그래프로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4의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의 실험군의 코팅 각도에 따른 저항값과 크랙과 발열 온도를 그래프로 각각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텍스타일(111), 및 고정체 고분자인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발열소재인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의 코팅액 조성물로 구성되어 텍스타일(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코팅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112)으로 이루어진, 전기 면상발열체(110); 및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1)와, 전기 면상발열체(110) 외측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22)와,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123)과, 전기 면상발열체로 전류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배터리(124)와, 외부 스마트기기(13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125)과, 전자기파 차폐커버(126)로 구성되어, 온도센서(121)에 의해 저온이 감지되면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구동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정상 체온으로 발열시키되, 전기 면상발열체(110)에 방수처리되어 부착 형성되는 온도조절 회로부(120);를 포함하여,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체온 저하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면상발열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텍스타일(111), 및 고정체 고분자인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발열소재인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의 코팅액 조성물로 구성되어 텍스타일(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코팅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112)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면상발열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텍스타일(textile)(111)은 일정 크기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단으로서, 폴리에스터(PET)(polyester)와 폴리우레탄(polyuretan)과 나일론(nylon) 중 어느 두 소재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일 수 있다.
한편, 텍스타일(111)은 폴리우레탄 25%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이 양호한 전기적 특성, 산화에 대한 저항성, 열전도성, 압전성, 점도, 접착성, 균일한 발열 내구성 및 코팅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고,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폴리우레탄을 적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112)은 텍스타일(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선택적으로 코팅되는데, 고정체 고분자인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 및 발열소재인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의 코팅액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112)을 구성하는 그래핀/CNT 첨단 복합체로 구성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텍스타일(111)의 코팅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를 믹싱하고, 마그네틱 블렌더에 의해 블렌딩하여,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S110), 일정 크기의 텍스타일(111)을 준비하는 단계(S120), 나이프 엣지법에 의해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전도성 잉크로 이용하여 텍스타일(111) 상에 특정 형상의 회로패턴으로 코팅하는 단계(S130), 코팅 후, 상온에서 24h 내지 48h 동안 건조하는 단계(S140), 및 건조 후, 고온고압의 열압착 공정을 통해 0.1mm ± 0.02mm의 코팅 두께로 전기발열 텍스타일(111)의 면상발열체를 형성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준비 단계(S110)에서는,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를 믹싱하고, 마그네틱 블렌더(magnetic blender)에 의해 블렌딩하여,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준비한다. 여기서, 그래핀과 CNT는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여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소재이다.
한편,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준비 단계(S110)를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PVDF계 공중합물 용액(copolymerized solution)을 준비한다(S111). 예컨대, PVDF계 공중합물 용액은, 용매(solvent)인 아세톤(acetone) 100ml에 1.78g/cm3의 밀도를 가지는 PVDF-HFP(poly 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칩 15g을 투입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블렌딩하여 15wt%의 PVDF-HFP 용액을 제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PVDF-HFP 용액은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의 접착력과 코팅력과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향상시키는 고정체 역할을 하는 고분자이다.
참고로, PVDF-HFP 성분은 비결정 영역의 성질을 보여서,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며,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가 낮으며, 결정화도(degree of crystallinity)도 낮아, PVDF에 비해 성형성이 양호하여서 박막과 필름과 섬유 상으로 제조하여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고, 리튬 배터리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후, 제1발열소재로서, 15wt% 내지 45wt% 그래핀(GNP;graphene)(도 5의 (a) 참조)을 준비한다(S112).
여기서, 그래핀은 화학적 박리법(chemical exfoliation proprietary method)에 의해 제조되되, 3 내지 10 레이어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5㎛ 내지 10㎛의 길이를 가지고, 탄소 순도는 99% 이상이고, 두께는 3nm 내지 6nm일 수 있고, 그래핀 함량이 증가할수록 텍스타일(111) 구조의 체인 사이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균일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제2발열소재로서, 15wt% 내지 45wt% CNT(carbon nanotube)(도 5의 (b) 참조)를 준비한다(S113).
여기서, CNT는 화학적 박리법에 의해 제조된 다중 레이어 월(multi layer wall) 구조로서, 직경이 5nm 내지 20nm이고, 길이는 5㎛ 내지 10㎛이고, 종횡비(aspect Ratio)는 500 이상이고, 탄소 순도를 90%이고, BET에 의한 표면측정 분석값(surface area analysis)은 130㎡/g 내지 160㎡/g이고, 부피밀도(bulk density)는 0.04g/㎤ 내지 0.08g/㎤일 수 있다.
참고고, CNT는 구리에 비해 100배 이상의 열전도성과 낮은 저항성을 갖는 발열소재로서 코팅방식에 의한 면상 발열체 제조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후, 앞서 준비된,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를 전술한 믹싱비율에 의해 믹싱하고(S114),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블렌더(magnetic blender)에 의해 블렌딩하여(S115),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텍스타일(111)에 전도성 잉크로서 딥코팅(dip-coating) 또는 열압착(hot-press)에 의해 코팅하여 면상 발열체를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전도성 잉크로서의 장점으로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정밀한 스마트 섬유 구현이 가능하고, 섬유의 유연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다.
한편, 앞서 믹싱시에, 10wt% GNF(graphite nanofiber)를 추가적으로 믹싱하여 전기적 특성, 산화에 대한 저항성, 열전도성, 압전성, 점도, 접착성 및 코팅성이 향상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하지만, GNF는 표면적이 넓어 전기전도도가 높을 수 있으나 실제 적용시 발열 성능이 다소 저하되는 측면이 있어, 발열 성능 측면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믹싱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여기서, GNF의 구조로는, 화학적 박리법에 의해 제조되되, 50nm 내지 300nm의 직경을 갖고, 10㎛ 내지 30㎛이고, 종횡비는 100이상이고, 탄소 순도는 95wt% 이상이고, BET에 의한 표면측정 분석값은 130㎡/g 내지 160㎡/g이고, 부피밀도는 0.03g/㎤ 내지 0.08g/㎤일 수 있다.
또한, PVDF-HFP 용액과, 그래핀과, CNT를 인싸이투(in situ) 중합법 또는 용액 혼합법 또는 직접 혼합법에 의해 믹싱할 수 있다.
한편,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그래핀으로 믹싱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의 대조군과, 앞서 제시된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그래핀과 CNT의 믹싱비율에 믹싱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의 실험군의 성능을 비교 실험하였다.
이의 비교 실험조건으로서, 마그네틱 블렌더의 블렌딩속도 80rpm, 블렌딩시간 12시간, 건조시간 24시간으로 고정한 후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소재의 함량별 평가를 비교 실시하고, 대조군의 비교 실험 결과는 다음의 [표 1] 및 도 9에 정리하고, 실험군의 비교 실험 결과는 다음의 [표 2] 및 도 10에 정리하였다.
0 도 각도 코팅 점도 (CP) ±1.0 wettability (코팅작업성) 저항
(Ω)
3V, 발열온도±0.5 5회 재테스트전기적성질발현
A : PVDF-HFP(15wt%) + Graphene(15wt%) 985 90% 2.31 25 합 3, 불 2
B : PVDF-HFP(15wt%) + Graphene(30wt%) 2465 60% 3.45 33 합 4, 불 1
C : PVDF-HFP(15wt%) + Graphene(45wt%) 5647 30% 3.64 42 합 4, 불 1
여기서, 점도(viscosity) 측정방법은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5회 측정을 통한 평균값을 결과값으로 정리하였고, 코팅작업성(wettability)은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코팅작업성의 평가 방법은 코팅용액의 케스팅법인 일반 나염법과 나이프엣지코팅법 2가지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가로*세로 10cm*10cm의 유리 코팅 판을 자체제작하여 평편한 판에 가로*세로 20cm*2cm 서스(sus) 코팅보조기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용액을 코팅하고 코팅되는 정도에 따라 각 5회 반복 평가를 통해 0%, 30%, 60%, 90%로 결과값을 나타내었고, 저항(resistance)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로*세로 10cm*10cm 면상발열체를 제작한 후 멀티테스터기를 이용해 5회 반복 측정해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위의 대조군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점도는 그래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향성을 나타내고, 그래핀 함량이 15% 증가할 때마다 점도가 약 32%씩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이 코팅된 발열체의 양산에 초점을 두어야 하므로, 제조의 작업성 및 양산성의 용이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 [표 1]의 5회 재테스트전기적성질발현 항목을 보면 부적합 결과(불)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작업성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코팅 각도별 평가를 통해 양산화 제품의 완성도, 즉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앞서 대조군 실험 결과와 대비하여, 본 실시예의 그래핀/CNT 첨단 복합체를 이용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실험군의 비교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CNT가 15wt% 이상 믹싱되면, 3회 테스트 동안 전기적 성질 발현 유무에서 적합하고, 5㎠ 당 크랙수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CNT가 30wt% 이상 믹싱되면, 내구성에 있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은, 15wt% PVDF-HFP 용액과, 30wt% 그래핀과, 45wt% CNT를 믹싱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분 코팅각도 ( º ) 저항(Resistance)(Ω) 3V, 발열온도±0.5(℃) 3회 테스트 동안 전기적 성질 발현 유무 5㎠ 당 크랙수 내구성
A: PVDF-HFP(15wt%) + Graphene(15wt%) + CNT(15wt%) 15 2.21 28 4
30 2.45 29 2
45 2.52 32 0
F : PVDF-HFP(15wt%) + Graphene(30wt%) + CNT(30wt%) 15 3.15 34 3
30 3.89 35 1
45 4.25 40 0
G : PVDF-HFP(15wt%) + Graphene(45wt%) + CNT(45wt%) 15 3.24 38 1
30 3.98 40 0
45 4.21 42 0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각도가 15°, 30°, 45°로 증가하면, 저항이 증가하고, 크랙수가 감소하고, 발열온도가 증가함을 알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그래핀/CNT 첨단 복합체를 이용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제공할 수 있다.
후속하여, 텍스타일 준비 단계(S120)에서는, 앞선 단계(S110)를 통해 제조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코팅할 일정 크기의 텍스타일(111)을 커팅하여 준비한다(S120).
후속하여, 회로패턴 코팅 단계(S130)에서는, 나이프 엣지법(knife-edge)에 의해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전도성 잉크로 이용하여 텍스타일(111) 상에 특정 형상의 회로패턴으로 코팅한다.
여기서, 나이프 엣지법을 사용하기 위한 판의 각도를 0° 내지 45°로 설정하여 회로패턴을 입자 코팅할 수 있고, [표 2]에 제시된 15°와 30°와 45°의 코팅각도로 코팅할 수 있으나, 코팅방법으로 나이프 엣지법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코팅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엣지법에 적용되는 판은 3㎛ 내지 5㎛ 포어 메쉬(pore mesh) 타입일 수 있다.
한편,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1회 내지 4회, 바람직하게는 3회 이상에 걸쳐 코팅 사이클(coating cycle)을 반복하여 회로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은 도 3의 그래핀/CNT 첨단 복합체로 구성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에 의한 텍스타일(111)의 코팅방법의 다양한 특성을 각각 예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이 코팅된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한 실험조건으로는, 100*100cm2 면적과 0.1mm의 코팅두께를 갖는 텍스타일(111)에 대해서, 크랙(Crack)/1cm2의 기준, 코팅 사이클(Coating cycle)/0.1mm 기준, 건조 시간(Drying time)(hr), Time(min)/70℃ 도달하는 기준, 저항값(Resistance)(Ω), 전류(Current)(A), 전압(Voltage)(V), 및 표면온도(Surface Temp(℃)를 제시하였다.
다음의 [표 3]과 도 7의 (a)에 따르면, 코팅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크랙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크랙 80 60 50 10
코팅 사이클 1 2 3 4
다음의 [표 4]와 도 7의 (b)에 따르면, 건조 시간이 증가할수록 크랙이 현저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건조 시간 10 15 24 48
크랙 80 60 50 10
다음의 [표 5]와 도 7의 (c)에 따르면, 코팅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70℃의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짐을 알 수 있다.
코팅 사이클 1 2 3 4
시간 22 19 14 14
다음의 [표 6]과 도 7의 (d)에 따르면, 크랙이 증가할수록 표면온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표면온도 68 49 35 27 20
크랙 3 10 19 27 40
다음의 [표 7]과 도 8의 (a)에 따르면, 저항값이 3Ω 내지 4Ω이 나오면 최적의 온도로 발열함을 알 수 있다.
표면온도 46 57 69.8 70
저항값 1 2 3 4
다음의 [표 8]과 도 8의 (b)에 따르면, 코팅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70℃의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짐을 알 수 있다.
코팅 사이클 1 2 3 4
시간 18 11 7 7
다음의 [표 9]과 도 8의 (c)에 따르면, 코팅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건조 시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코팅 사이클 1 2 3 4
건조 시간 5 7 10 12
다음의 [표 10]과 도 8의 (d)에 따르면, 크랙이 증가하면 70℃의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시간 2 5 7 9 9
크랙 3 10 19 27 40
정리하자면, 코팅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건조 시간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크랙의 수와 발열온도 도달시간이 감소하여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의 본연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코팅하고자 하는 텍스타일(111)의 신장성 또는 탄성도에 따라, 회로패턴을 스퀘어(square) 또는 라운드(round)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텍스타일(11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회로패턴을 코팅하여 단면 코팅 텍스타일 면상발열체 또는 양면 코팅 텍스타일 면상발열체를 구성할 수 있다.
후속하여, 건조 단계(S140)에서는, 나이프 엣지법에 의한 코팅 후, 상온에서 24h 내지 48h 동안 건조한다.
후속하여, 열압착 단계(S150)에서는, 건조 후, 고온고압의 열압착(hot-press) 공정을 통해 0.1mm ± 0.02mm의 코팅 두께로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열압착 공정은 140℃ 내지 150℃의 온도와 3.0Mpa 내지 4.0Mpa의 압력조건에서 3분 내지 5분 동안 수행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3Ω 내지 4Ω의 저항값을 보이면서 45℃ 내지 60℃ 사이의 발열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텍스타일 코팅방법이 적용된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텍스타일(111)을 구성하는 원단을 선정하기 위한 인장강도 및 마모강도의 물리적 특성 등의 비교분석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여기서, 다음의 [표 11]과 같이, 비교 제품군으로 폴리에스터(PET)와 폴리우레탄(PU)과 나일론(Nylon) 중 어느 두 소재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 3종을 선정하였다.
소재 혼용률(%)
A PET(74.1%) + PU(25.9)
B PU(22.1%) + Nylon(77.9%)
C PET(77.1%) + PU(22.9)
여기서, 소재별 초기 길이는 5cm로 조정하였다.
다음의 [표 12]는 선정된 3종의 소재에 물리적 특성을 제시한다.
소재
A B C
세탁견뢰도(급) 변퇴색 4-5 4-5 4-5
마찰견뢰도(급) 4-5 4-5 4-5
복합(땀+일광)견뢰도(급) 산성 4-5 4-5 3
알칼리성 알칼리성 알칼리성 3
세탁치수변화율(%) 웨일방향(장) -0.5 -1.0 -0.5
코스방향(폭) -0.5 -1.0 -0.5
밀도(코/5.0cm) 웨일 103.4 129.2 122.0
코스 172.4 273.0 244.2
질량(g/m2) 242.9 161.6 159.2
필링(급) 4-5 4-5 4-5
마모강도(회) 20,000 이상
인장강도(N) 웨일방향(장) 336.5 225.0 255.0
코스방향(폭) 265.0 184.2 199.1
인장신도(N) 웨일방향(장) 153.0 141.5 140.7
코스방향(폭) 204.6 214.3 186.4
흡수속도(mm-10분) 웨일방향(장) 41 20 0
코스방향(폭) 45 16 0
여기서, 폴리우레탄 25% 이상을 함유하는 PET(74.1%) + PU(25.9)의 혼용률인 소재 A로 구성된 텍스타일(111)은 인장강도와 마모강도와 흡수속도에서 다른 소재에 비해 비교적 양호한 물리적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어, 양호한 전기적 특성, 산화에 대한 저항성, 열전도성, 압전성, 점도, 접착성, 균일한 발열 내구성 및 코팅성을 확보하면서도 신축성을 확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조절 회로부(120)는,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1)와, 전기 면상발열체(110) 외측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22)와,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123)과, 전기 면상발열체(110)로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플렉서블 배터리(124)와, 외부 스마트기기(130)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블루투스, NFC 또는 WiFi 등의 무선통신모듈(125)과, 전자기파가 착용자의 신체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자기파 차폐커버(126)로 구성되어, 온도센서(121)에 의해 일정 온도 이하의 저온이 감지되면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구동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정상 체온으로 발열시키되, 전기 면상발열체(110)에 단락 등의 전기적 안전성을 위해 방수처리되어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일측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121)에 의해 20℃ 이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키도록 하여, 착용자의 상체 체온(특히, 심부 체온) 또는 하체 체온을 감지하여 저온이면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착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도, 발열시켜서 체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 회로부(120)는 심부체온을 감지하는 별도의 심부체온센서(126)를 더 포함하여서, 심부체온에 의해 35℃ 이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으므로,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켜 저체온증을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온도조절 회로부(120)는,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110)를 구동하여 45℃로 또는 60℃로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컨트롤 스위치(127)를 더 포함하여서, 착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원하는 온도로 발열시키도록 편의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예컨대, 앞서 언급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예로서, 전기 면상발열체(110)는 다이빙슈트(도 2 참조) 또는 서핑슈트에 적용될 수 있고, 외부 스마트기기(130)는 스마트 다이빙시계일 수 있어, 앞서 언급한 외부 스마트기기(130)인 스마트 다이빙시계를 통해 전기 면상발열체(110) 또는 체온을 직접 확인한 후에, 스마트 다이빙시계는 무선통신모듈(125)과 근거리 무선통신하여 온도조절 회로부(120)의 온도조절모듈(123) 또는 컨트롤 스위치(127)를 무선제어하여서, 착용자가 손쉽게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스마트기기(130)를 통해 온도센서(121)에 의해 20℃ 이하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거나, 심부체온이 35℃ 이하의 온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면, 착용자가 예기치 못한 사고 또는 의식을 잃은 상태로 인식하여서, 외부 스마트기기(130)는 비프음의 경고신호를 제공하여 착용자에게 경각심을 주지시키거나, 인접한 다른 착용자의 다른 외부 스마트기기(140) 또는 외부 모니터링 서버(150)로 경고정보를 즉시 전송하도록 하여서, 주변의 다이버 또는 서퍼, 또는 육상에서 이를 인지한 안전요원이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습도센서(122)가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수중 환경 또는 수면 환경을 감지하면, 착용자가 해상 스포츠를 즐기고 있는 상황으로 인식하여서, 착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해상 스포츠에 집중하도록 온도조절모듈(123)을 제어하여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킬 수도 있다.
한편, 습도센서(122)를 통해 전기 면상발열체(110)의 젖음정도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온도조절모듈(123)을 구동하여 발열시켜서, 전기 면상발열체(110), 특히 텍스타일(111)을 건조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외부 스마트기기(130)로 다이빙시계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스마트 수중 보안경 또는 상지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기기일 수도 있고, 온도조절 회로부(120)는 전기 면상발열체(110) 내부에 장착되거나 전기 면상발열체(110) 외부의 허리, 손목, 상지 또는 하지에 컴팩트하게 구성되어 쉽게 탈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에 의해서,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예기치 못한 체온 저하에 따른 저체온증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착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체온을 추적하고 발열시켜 해상 스포츠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고, 외부와 무선통신하여 착용자의 체온을 모니터링하고 발열기능을 제어할 수 있고, 위급 상황시에 외부 조력자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는 안전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전기 면상발열체 111 : 텍스타일
112 :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 120 : 온도조절 회로부
121 : 온도센서 122 : 습도센서
123 : 온도조절모듈 124 : 플렉서블 배터리
125 : 무선통신모듈 126 : 심부체온센서
127 : 컨트롤 스위치 130, 140 : 외부 스마트기기
150 : 외부 모니터링 서버
S110 :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준비 단계
S111 : PVDF계 공중합물 용액 준비 단계
S112 : 그래핀 준비 단계
S113 : CNT 준비 단계
S114 : 믹싱 단계
S115 : 블렌딩 단계
S120 : 텍스타일 준비 단계
S130 : 회로패턴 코팅 단계
S140 : 건조 단계
S150 : 열압착 단계

Claims (16)

  1.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텍스타일, 및 고정체 고분자인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발열소재인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의 코팅액 조성물로 구성되어 상기 텍스타일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코팅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으로 이루어진, 전기 면상발열체; 및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외측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와,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듈과,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로 전류를 인가하는 플렉서블 배터리와, 외부 스마트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과, 전자기파 차폐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저온이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정상 체온으로 발열시키되,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에 방수처리되어 부착 형성되는 온도조절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액 조성물의 믹싱시에, 10wt% GNF를 추가적으로 믹싱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20℃ 이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키고,
    상기 온도조절 회로부는 심부체온을 감지하는 심부체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심부체온에 의해 35℃ 이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키고,
    상기 온도조절 회로부는,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로 또는 60℃로 선택적으로 발열시키는 컨트롤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온도조절모듈 또는 상기 컨트롤 스위치를 무선제어하고,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20℃ 이하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거나, 상기 심부체온이 35℃ 이하의 온도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면,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는 비프음의 경고신호를 제공하거나, 인접한 다른 외부 스마트기기 또는 외부 모니터링 서버로 경고정보를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습도센서가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의 수중 환경 또는 수면 환경을 감지하면, 상기 온도조절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를 구동하여 45℃ 이상으로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는 다이빙슈트 또는 서핑슈트이고,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는 스마트 다이빙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폴리에스터와 폴리우레탄과 나일론 중 어느 두 소재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타일은 폴리우레탄 25% 이상 혼용하여 재직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DF계 공중합물 용액은, 아세톤 100ml에 1.78g/cm3의 밀도를 가지는 PVDF-HFP 칩 15g을 투입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블렌딩하여 15wt%의 PVDF-HFP 용액을 제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화학적 박리법에 의해 제조되되, 3 내지 10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지고, 탄소 순도는 99% 이상이고, 두께는 3nm 내지 6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NT는 직경이 5nm 내지 20nm이고, 길이는 5㎛ 내지 10㎛이고, 탄소 순도를 90%이고, 부피밀도는 0.04g/㎤ 내지 0.08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4. 제1항에 있어서,
    15wt% PVDF계 공중합물 용액과, 15wt% 내지 45wt% 그래핀과, 15wt% 내지 45wt% CNT를 믹싱하고, 마그네틱 블렌더에 의해 블렌딩하여,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준비하는 단계와, 일정 크기의 텍스타일을 준비하는 단계와, 나이프 엣지법에 의해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전도성 잉크로 이용하여 상기 텍스타일 상에 특정 형상의 회로패턴으로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후, 상온에서 24h 내지 48h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 후, 고온고압의 열압착 공정을 통해 0.1mm ± 0.02mm의 코팅 두께로 면상발열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층을 상기 텍스타일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면상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 공정은 140℃ 내지 150℃의 온도와 3.0Mpa 내지 4.0Mpa의 압력조건에서 3분 내지 5분 동안 수행하여 상기 면상발열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을 1회 내지 4회에 걸쳐 코팅 사이클을 반복하여 상기 회로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KR1020200142937A 2020-10-30 2020-10-30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KR10251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37A KR102512429B1 (ko) 2020-10-30 2020-10-30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937A KR102512429B1 (ko) 2020-10-30 2020-10-30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56A KR20220057856A (ko) 2022-05-09
KR102512429B1 true KR102512429B1 (ko) 2023-03-21

Family

ID=8158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937A KR102512429B1 (ko) 2020-10-30 2020-10-30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03812B (zh) * 2023-08-28 2024-05-24 浙江禾欣新材料有限公司 智能可穿戴式有机硅手套用合成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47B1 (ko) * 2016-04-06 2017-06-21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스마트 발열 장갑과 이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JP2017195182A (ja) * 2016-04-15 2017-10-26 三菱製紙株式会社 発熱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KR102086302B1 (ko) * 2019-11-07 2020-03-09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선택적 발열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의류 발열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7982A (ko)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효성 탄소 나노튜브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섬유
KR102116546B1 (ko) * 2018-11-16 2020-05-28 주식회사 오라 그래핀/pvdf-hfp 복합체를 이용한 회로 패턴이 형성된 텍스타일이 적용된 전기발열 장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247B1 (ko) * 2016-04-06 2017-06-21 주식회사 더원소프트 스마트 발열 장갑과 이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JP2017195182A (ja) * 2016-04-15 2017-10-26 三菱製紙株式会社 発熱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KR102086302B1 (ko) * 2019-11-07 2020-03-09 주식회사 비와이엔블랙야크 선택적 발열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의류 발열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56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8017B2 (ja) 積層体
KR1020857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512429B1 (ko)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CN107079594B (zh) 电路基板及其制造方法
JP3204003U (ja) プラスチック糸改良構造
US20080109941A1 (en) Thin film energy fabric integration, control and method of making
KR102086302B1 (ko) 선택적 발열 및 자동 제어가 가능한 의류 발열제어 시스템
US20210307666A1 (en) Conductive paste for forming stretchable conductor, stretchable conductor layer, method for producing stretchable conductor layer, stretchable electrical wiring structure,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US20100051604A1 (en) Safe planar electrical heater
JP2000038464A (ja) 耐熱性積層体用フィルムとこ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用素板および基板の製造方法
JP4545682B2 (ja) 弗素樹脂積層基板
KR20230063030A (ko) Cnt/gnf로 이루어진 복합체를 이용하여 체온추적 및 발열기능을 구현하는 전자기판 회로를 구비한 전기 면상발열체 텍스타일 구조체
KR101925288B1 (ko) 직물 고분자 복합소재 기판 및 기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7855A (ko) 그래핀/cnt 블렌딩 배합 기술 적용 첨단 복합체로 구성된 전기 발열체 코팅액 직물 코팅방법
KR20230063029A (ko) Cnt/gnf 블렌딩 배합 기술 적용 첨단 복합체로 구성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텍스타일
JP3218683U (ja) 電子デバイスを統合した多層回路ファブリック材(Fabric having multiple layered circuit thereon integrating with electronic devices)
KR101237410B1 (ko) 에프씨씨엘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에프씨씨엘을 이용한 안테나
KR20220057851A (ko) 그래핀/cnt 블렌딩 배합 기술 적용 첨단 복합체로 구성된 전기 면상발열체 코팅액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텍스타일
KR20230063023A (ko) Cnt/gnf 블렌딩 배합 기술 적용 첨단 복합체로 구성된 전기 발열체 코팅액 직물 코팅방법
JP2014124906A (ja) 金属薄膜層が設けられた多孔膜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8907A (ja) 合成皮革
Natarajan et al. Electrotextiles—Present and Future
Simegnaw et al. Review on the integration of microelectronics for e-textile, Materials 2021, 14, 5113
CN115401976A (zh) 具有连续性微多孔pu树脂膜贴合发热织物、凉感织物三层结构织物及其方法
PL232097B1 (pl) Sposób otrzymywania materiałów tekstylnych elektroprzewodzących, zwłaszcza do zastosowania w wyrobach odzieżowy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