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355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355B1
KR102512355B1 KR1020160030832A KR20160030832A KR102512355B1 KR 102512355 B1 KR102512355 B1 KR 102512355B1 KR 1020160030832 A KR1020160030832 A KR 1020160030832A KR 20160030832 A KR20160030832 A KR 20160030832A KR 102512355 B1 KR102512355 B1 KR 10251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rtition wall
conditioning case
c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860A (ko
Inventor
원승식
김영인
엄부용
정재오
한성석
석 김
김용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25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48484A1/ko
Priority to US15/558,215 priority patent/US20180043750A1/en
Publication of KR2016011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21Fastening lids on air-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78Connectors, water supply, housing, mounting bra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별도로 형성하여 좌,우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사출성형시 금형빼기 방향과 무관하게 구획벽을 제작할 수 있어서 두께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이로인해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공기유동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획벽에 디프로스트 벤트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채널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온풍공급채널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재료비 및 금형 가공비를 절감함은 물론 상기 구획벽의 크기 내에서 온풍공급채널의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 성능 개선이 용이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별도로 형성하여 좌,우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좌,우측케이스의 구획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장치는, 일측에 공기유입구(27)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21), 페이스벤트(22), 플로어벤트(23)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기토출구(28)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7)와 공기토출구(28)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20)와, 상기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공조케이스(20)의 공기유입구(27)측에 설치되는 송풍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25)가 설치되며, 상기 각 벤트(21)(22)(23)에는 다수의 모드도어(24)가 설치되어 해당 벤트(21)(22)(23)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25)는 상기 공조케이스(20)의 내부에 회전축(25a)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가장자리에는 실링을 위해 실링부재(2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내측면에는 구획벽(40)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구획벽(40)의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조립된다.
상기 구획벽(40)은 상기 공조케이스(20)내의 공기통로를 일정형태로 구획하여 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공조장치는, 상기 송풍장치에 의하여 공조케이스(20)의 내부로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가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에어컨 ON시), 히터코어(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된 후에 각 벤트(21)(22)(23)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공급되어서 냉,난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조장치는, 도 2와 같이 상기 구획벽(40)이 상기 좌,우측케이스(20a,20b)의 내측면에서부터 높게 돌출 형성되며, 또한 금형빼기 구배를 위해 상기 구획벽(40)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구획벽(40)의 높은 높이로 인해 구획벽(40)의 하단 두께가 증가하여 중량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구획벽(40)의 두께가 증가하면 공기통로가 감소하여 공기유동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별도로 형성하여 좌,우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사출성형시 금형빼기 방향과 무관하게 구획벽을 제작할 수 있어서 두께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이로인해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공기유동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구획벽에 디프로스트 벤트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채널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온풍공급채널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재료비 및 금형 가공비를 절감함은 물론 상기 구획벽의 크기 내에서 온풍공급채널의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 성능 개선이 용이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를 서로 조립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통로를 일정형태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은, 상기 공조케이스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기통로를 구획하는 구획벽을 공조케이스와 별도로 형성하여 좌,우측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사출성형시 금형빼기 방향과 무관하게 구획벽을 제작할 수 있어서 두께와 중량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로인해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공기유동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에 디프로스트 벤트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온풍공급채널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온풍공급채널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재료비 및 금형 가공비를 절감함은 물론 상기 구획벽의 크기 내에서 온풍공급채널의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 성능 개선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좌,우측케이스의 구획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우측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의 사이에 구획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좌,우측케이스와 구획벽의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우측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의 사이에 구획벽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좌,우측케이스와 세퍼레이터의 사이에 구획벽이 분할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입구측)에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출구측)에는 차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로 이루어진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에 설치되는 송풍장치(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를 서로 조립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145)가 설치되는데, 상기 온도조절도어(145)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후 히터코어(102)를 선택적으로 통과한 공기를 차실내의 특정위치와 연통하는 각 덕트(미도시)로 선택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에는 다수의 모드도어(140,141,142)가 설치되어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모드도어(140,141,142)도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각각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는 차량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페이스 벤트(113)는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플로어 벤트(114)는,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미도시된 송풍장치는 상부측에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내외기전환도어(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으로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온도조절도어(145)와, 모드도어(140,141,142)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 도어들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 상에는, 상기 공기통로를 각각 일정형태로 구획하는 구획벽(135)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통로를 구획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공기통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구획벽(135)에 의해 구획된 통로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에 형성된 구획벽(135)은,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를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구획벽(135)에 의해 구획된 통로를 따라 유동한 후 믹싱영역(MC)에서 냉풍과 혼합되며 이후 개방된 공기토출구로 유동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구획벽(135)의 형태에 따라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다시말해, 종래에는 상기 구획벽(135)이 상기 좌측케이스(110a)의 내측면과 우측케이스(110b)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10)의 중심부 위치까지 길게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구획벽(135)의 측면에 금형빼기 구배(경사면)를 필연적으로 적용해야 하지만,
본발명에서는 상기 구획벽(135)을 공조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별도로 제작한 후, 좌,우측케이스(110a,110b)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한 것이다.
이처럼, 상기 구획벽(135)을 공조케이스(110)와는 별도로 제작하기 때문에 사출성형시 금형빼기 방향과 무관하게 구획벽(135)을 제작할 수 있어서, 다시말해 상기 구획벽(135)에 금형빼기 구배를 적용할 필요가 없어 구획벽(135)의 두께와 중량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구획벽(135)의 두께 감소로 인해 공조케이스내의 공기통로를 확보할 수 있어 공기유동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35)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는 구조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구획벽(135)의 양단부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서로 마주하는 조립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tongue)부(115,1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15,137)가 삽입되는 그루브(groove)(116,136)가 형성된다.
도 5에서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측면에 텅부(115)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135)의 양단부에는 상기 텅부(117)가 삽입되는 그루브(136)를 형성한 구조이고,
도 6에서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측면에 그루브(116)를 형성하고, 상기 구획벽(135)의 양단부에는 상기 그루브(116)에 삽입되는 텅부(137)를 형성한 구조이다. 물론 상기 구획벽(135)의 양단부에 형성된 텅부(137)는 도면과 같이 구획벽(135)과 동일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사이에 상기 구획벽(135)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구획벽(135)의 조립면에 형성된 텅부(115,137) 및 그루브(116,136)가 서로 끼움 결합되어 조립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벽(135)의 양단부에는 복수개의 조립핀(138)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립핀(138)이 끼움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립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벽(135)을 좌,우측케이스(110a,110b)에 조립할 때, 상기 구획벽(135)의 조립핀(138)을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홀에 먼저 끼우게 되면 구획벽(135)을 정위치에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를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135)의 하단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바닥면과 접촉하고 상단부는 냉풍과 온풍이 혼합되는 믹싱영역(MC)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온풍이 상기 구획벽(135)에 가이드되어 믹싱영역(MC)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공조장치(100)의 온도 성능 요구사양에 따라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을 디프로스트 벤트(112)측으로 강제 공급하기 위해 온풍공급채널(130)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구획벽(135)에 온풍공급채널(130)을 일체로 형성하였다.
즉, 상기 구획벽(135)을 공조케이스(110)와는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을 구획벽(135)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구획벽(135)에 온풍공급채널(130)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어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재료비 및 금형 가공비를 절감함은 물론 상기 구획벽(135)의 크기 내에서 온풍공급채널(130)의 위치 설정이 자유롭고 정확한 위치 설정이 가능하여 성능 개선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과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이 혼합되는 믹싱영역(MC)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은, 상기 믹싱영역(MC)의 공기와 구획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된다.
즉,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하는 온풍 중 일부는 상기 냉풍통로(P1)를 통과하는 냉풍과 믹싱영역(MC)에서 혼합되지만, 온풍 중 일부는 상기 관 형태의 온풍공급채널(130)을 통해 냉풍과 혼합되지 않고 디프로스트 벤트(112) 측으로 곧바로 유동하므로 온풍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 온풍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차실내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온도를 독립제어하기 위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사이에 세퍼레이터(150)를 설치한 구조에서 상기 구획벽(135)을 적용한 것이다.
즉, 상기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의 사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를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150)가 설치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증발기(101)의 하류측 공기통로를 좌,우로 구획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145)는 상기 세퍼레이터(150)의 좌,우측에서 독립제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세퍼레이터(150)의 좌,우측에 분할되어 조립되는 좌측 구획벽(135a)과 우측 구획벽(135b)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2실시예에서는 단일의 구획벽(135)을 설치하였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구획벽(135)을 세퍼레이터(150)의 좌,우측에 분할하여 조립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세퍼레이터(150)를 구비한 좌,우 독립제어 사양에서도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세퍼레이터(150)의 사이에 구획벽(135)을 분할하여 구성함으로써, 구획벽(135)의 두께와 중량 및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의 양단부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 및 세퍼레이터(150)의 조립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tongue)부(1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37)가 삽입되는 그루브(groove)(116,15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좌측 구획벽(135a)의 양단부와 상기 좌측케이스(110a) 및 세퍼레이터(150)의 조립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tongue)부(1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37)가 삽입되는 그루브(groove)(116,151)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 구획벽(135b)의 양단부와 상기 우측케이스(110b) 및 세퍼레이터(150)의 조립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tongue)부(1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37)가 삽입되는 그루브(groove)(116,151)가 형성된다.
도 11에서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세퍼레이터(150)측에 그루브(116,151)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의 양단부에는 상기 그루브(116,151)에 삽입되는 텅부(137)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물론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의 양단부에 형성된 텅부(137)는 도면과 같이 좌,우측 구획벽(135a,135b)과 동일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른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세퍼레이터(150)의 사이에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을 조립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의 텅부(137)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 및 세퍼레이터(150)의 그루브(116,151)에 조립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에는, 제1,2실시예와 같이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을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온풍공급채널(130)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재료비 및 금형 가공비를 절감함은 물론 상기 좌,우측 구획벽(135a,135b)의 크기 내에서 온풍공급채널(130)의 위치 설정이 자유로워 온도 성능 개선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상 제1실시예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좌측케이스(110a)(또는 우측케이스(110b))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획벽(135)을 상기 좌측케이스(110a)에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135)과 상기 좌측케이스(110a)의 조립면에 형성된 텅부(115,137) 및 그루브(116,136)를 이용하여 끼움 결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우측케이스(110b)를 상기 구획벽(135)의 타단부에 조립하게 되는데. 이 역시 텅부(115,137) 및 그루브(116,136)를 이용하여 끼움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구획벽(135)이 조립된 후에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클립(미도시)이나 스크류(미도시) 등으로 체결하여 좌,우측케이스(110a,110b)와 구획벽(135)을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를 조립하기 전에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부에는 다수의 도어와 같은 부품들을 미리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립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공기토출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편의상 믹스모드(도8참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송풍장치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이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게 되면서 차가운 공기로 바뀌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01)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는 온도조절도어(145)에 의해 일부는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여 믹싱영역(MC)을 유동하고, 일부는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면서 온풍으로 바뀐후 온풍통로(P2)를 따라 믹싱영역(MC)으로 유동하여 냉풍과 혼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온풍 중 일부는 상기 온풍공급채널(130)로 유입되어 냉풍과 혼합되지 않고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측으로 곧바로 유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믹싱영역(MC)에서 혼합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를 통해 차실내 유리창쪽으로 토출되고, 일부는 상기 플로어 벤트(114)를 통해 차실내 탑승자 발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믹스모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공기토출모드(벤트 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바이레벨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토출모드는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0a: 좌측케이스 110b: 우측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 플로어 벤트
115,137: 텅부 116,136,151: 그루브
130: 온풍공급채널 135: 구획벽
135a: 좌측 구획벽 135b: 우측 구획벽
140,141,142: 모드도어 145: 온도조절도어
150: 세퍼레이터

Claims (12)

  1.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를 서로 조립하여 구성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를 일정형태로 구획하는 구획벽(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의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구획벽(135)의 양단부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조립면 중 어느 하나에는 텅(tongue)부(115,137)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텅부(115,137)가 삽입되는 그루브(groove)(116,136)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는 차실내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가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와 상기 플로어 벤트(114)를 구획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획벽(135)에는, 상기 온풍통로(P2)를 통과한 온풍을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온풍공급채널(1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135)이 공조케이스(110)에 대해 탈착됨에 따라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이 공조케이스(110)에 대해 탈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과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이 혼합되는 믹싱영역(MC)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은, 상기 믹싱영역(MC)의 공기와 구획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채널(13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의 사이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를 좌,우로 구획하는 세퍼레이터(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35)은, 상기 세퍼레이터(150)의 좌,우측에 분할되어 조립되는 좌측 구획벽(135a)과 우측 구획벽(135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30832A 2015-03-16 2016-03-15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1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2569 WO2016148484A1 (ko) 2015-03-16 2016-03-15 차량용 공조장치
US15/558,215 US20180043750A1 (en) 2015-03-16 2016-03-15 Vehicular air conditio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6014 2015-03-16
KR1020150036014 2015-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60A KR20160111860A (ko) 2016-09-27
KR102512355B1 true KR102512355B1 (ko) 2023-03-23

Family

ID=5710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32A KR102512355B1 (ko) 2015-03-16 2016-03-1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043750A1 (ko)
KR (1) KR102512355B1 (ko)
CN (1) CN1074059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332A (ko) * 2020-06-29 2022-01-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NL2027099B1 (en) * 2020-12-14 2022-07-08 Atlas Technologies Holding Bv Heat exchange system, HVAC-system and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8747A (ja) * 2002-09-05 2004-04-0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22484A (ja) * 2005-07-21 2007-02-01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空調ユニットの温調ユニット部
JP4744061B2 (ja) * 2000-09-21 2011-08-10 インガーソール−ランド クリマズィステーメ ドイチュ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商業用車輛、例えばバス用の加熱及び/又は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5851B1 (en) * 1999-12-21 2002-07-0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zone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HVAC air-handling assembly
US6536474B2 (en) * 2000-03-13 2003-03-25 Calsonic Kansei Corporation Air conditioner unit for vehicle
FR2829064B1 (fr) * 2001-08-30 2005-01-14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generation d'un flux d'air a temperature reglee pour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et appareil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comportant ce dispositif
DE102005030885B4 (de) * 2005-07-01 2015-06-18 Valeo Klimasysteme Gmbh Anlagengehäuse, insbesondere für eine Heiz-, Belüftungs- und/oder Klimaanlage eines Fahrzeugs
KR101484712B1 (ko) * 2008-08-20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5665376B2 (ja) * 2010-06-09 2015-0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703002B2 (ja) * 2010-12-06 2015-04-15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061B2 (ja) * 2000-09-21 2011-08-10 インガーソール−ランド クリマズィステーメ ドイチュ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商業用車輛、例えばバス用の加熱及び/又は空調装置
JP2004098747A (ja) * 2002-09-05 2004-04-0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22484A (ja) * 2005-07-21 2007-02-01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 空調ユニットの温調ユニット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43750A1 (en) 2018-02-15
CN107405980A (zh) 2017-11-28
KR20160111860A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409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6474938B2 (ja) 自動車の加熱、換気及び/又は空調装置、及び対応する追加モジュール、及び組立方法
KR20100022751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5123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0697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20060151162A1 (en) Louvre for an air-conduction housing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KR20120138925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60217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0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40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823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597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0915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00016743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25315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823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공조케이스
JP5878025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スライドドアユニット
US20200079176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79955B1 (ko)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
KR1024229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59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