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589B1 -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589B1
KR102511589B1 KR1020220053457A KR20220053457A KR102511589B1 KR 102511589 B1 KR102511589 B1 KR 102511589B1 KR 1020220053457 A KR1020220053457 A KR 1020220053457A KR 20220053457 A KR20220053457 A KR 20220053457A KR 102511589 B1 KR102511589 B1 KR 102511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ersonal mobility
detector
mobility
confirm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531A (ko
Inventor
최영우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룰로
Priority to KR1020220053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58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지정된 주차구역에 퍼스널 모빌리티를 반납하였는지 확인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PARKING SITE CHECK APPARATUS}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지정된 주차구역에 퍼스널 모빌리티를 반납하였는지 확인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에 관련된다.
최근 1인용 이동수단으로써 전동 휠, 전동 킥보드 및 자전거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 분야에서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공유경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전동 킥보드의 경우 특정 지역에 배치된 모빌리티의 코드(QR 코드)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태깅하여 인식하고, 이동 거리나 시간에 따라 과금을 함으로써 이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동 킥보드나 자전거 등은 소형 모빌리티로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장소를 이동하는데 사용되는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지는 한편, 사용 후 반납 장소에 특별한 제약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동 킥보드나 자전거를 인도나 자전거 도로 등의 한 가운데 주차하는 경우 통행을 방해하고 사고를 유발하며, 길 가장자리에 주차하더라도 나란하게 올바른 자세로 주차하지 않는 한 도로 측으로 돌출되어 여전히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7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241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지정된 주차구역에 퍼스널 모빌리티를 반납하였는지 확인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감지기(10); 및 상기 주차 감지기(10)와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을 기준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주차 확인기(20);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확인하되,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륜측에 설치된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륜측에 설치된 후단 통신부(MT-B2)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각각 상기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단 통신부(MTB2)와 통신하여 주차구역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측과 후륜측의 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능동형 감지기이며,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주차 확인기(20)는 상기 주차 감지기(10)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10)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위치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동형 감지기이고,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주차 확인기(2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10)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위치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32)과 후륜(33)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며, 각각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감지센서에서 감지 가능한 무선 접속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감지기(10); 및 상기 주차 감지기(10)와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을 기준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주차 확인기(20);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확인하되,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측 위치와 후륜측 위치를 각각 판독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자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 또는 후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주차구역 외부로 돌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주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감지기; 및 상기 주차 감지기와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을 기준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주차 확인기;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차 감지기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능동형 감지기이며, 상기 주차구역에 설치되는 감지기 케이스와; 상기 감지기 케이스에 장치되며, 상기 주차구역 내에 주차한 퍼스널 모빌리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주차측 통신모듈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의 통신 결과를 상기 주차 확인기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기; 및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차 감지기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주차 확인기는 상기 주차 감지기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위치를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륜측에 설치된 전단 통신부 및 후륜측에 설치된 후단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감지기는 각각 상기 전단 통신부 및 후단 통신부와 통신하여 주차구역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측과 후륜측의 위치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차 감지기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동형 감지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차 감지기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주차 확인기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위치를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차 감지기는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과 후륜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며, 각각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감지센서에서 감지 가능한 무선접속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방법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된 주차 감지기에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감지단계와; 주차 확인기에서 상기 주차 감지기와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을 기준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위치 판독단계; 및 상기 주차 확인기에서 추출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 정보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서 수신하여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주차상태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술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에 의해 주차 위치가 판독되는 것으로, 탑승부 및 배터리를 구비한 모빌리티 본체와; 상기 모빌리티 본체의 전방부에 구비된 전륜과; 상기 모빌리티 본체의 후방부에 구비된 후륜과; 주행을 조작하도록 조향장치를 구비한 주행 제어기;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차 확인기로부터 전송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빌리티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지정된 주차구역에 퍼스널 모빌리티를 반납하였는지 확인하여 무질서한 주차로 인한 통행 방해를 방지하고 모빌리티의 회수 위치를 지정된 구역으로 특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의 제1 적용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의 제2 적용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의 제3 적용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능동형 주차 감지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통신 수단들을 나열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다지점 위치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PM: Personal Mobility)로서 전동 킥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퍼스널 모빌리티는 공유가 가능한 전동 휠이나 자전거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는 공유 후 사용을 마친 퍼스널 모빌리티 즉, 전동 킥보드(30)를 통행이 방해되지 않는 구역에 지정되어 있는 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전동 킥보드(30)를 주차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지정된 주차구역에 반납하였는지 확인하여 무질서한 주차로 인한 통행 방해를 방지하고 모빌리티의 회수 위치를 지정된 구역으로 한정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이하, '주차확인장치'라 함)는 여러대의 전동 킥보드(30)를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별도의 주차구역(PL1)을 마련하고, 전동 킥보드(30)가 주차구역(PL1) 내에 주차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한 도로 가장자리를 주차구역(PL2)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도블록 등 시설물 중 일부를 대체하여 주차확인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주차구역(PL2)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전동 킥보드(30)를 1대씩 주차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주차확인장치 중 일부는 전주나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에 설치하고 나머지는 지면에 설치하는 등의 혼합 방식으로 주차구역(PL3)을 설정하여 주차를 안내할 수 있다. 물론, 그 외 다양한 방식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는 주차 감지기(10) 및 주차 확인기(20)를 포함하며, 전동 킥보드(30)와의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 확인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동 킥보드(30)가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확인을 통해 주차구역 내에 주차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동 킥보드(30)의 사용종료를 인증하고, 그에 따른 과금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위치 주차를 안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주차 감지기(10)는 사전에 지정된 주차구역(PL1/PL2/PL3…)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차를 위해 근접한 전동 킥보드(30)와 직접 혹은 간접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한다.
주차 감지기(10)의 설치 위치는 감지방식에 따라 주차구역 내, 주차구역 가장자리 및 주차구역 외측 인접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시 추출되는 위치정보는 주차 감지기(10)의 위치를 통한 직접 정보 및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삼각 측량 등을 수행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간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주차 확인기(20)는 주차 감지기(10)와 전동 킥보드(30)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PL1/PL2/PL3…)을 기준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30)의 상대위치를 추출한다.
전동 킥보드(30)의 상대위치에는 주차구역 내 정위치에 주차한 경우는 물론 주차구역 외에 무질서하게 주차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으며, 정위치 주차시만 정상적인 사용종료로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차 확인기(20)는 주차 감지기(10)와 함께 주차구역에 설치되거나 혹은 퍼스널 모빌리티 즉,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동 킥보드(30)의 상단부 중심에 설치된 주행 제어단말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주차 확인기(20)의 설치 위치는 통신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주차 감지기(10)가 신호를 송신(송출)하는 능동형인 경우에는 주차 확인기(20)는 주차 감지기(1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전동 킥보드(30)에서만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동작 전원 공급 등의 문제로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차 확인기(20)에서 판독한 전동 킥보드(30)의 주차 상태 즉, 주차 위치 정보는 전동 킥보드(30)로 전송되고, 전동 킥보드(30)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를 통해 원격의 관리서버(50)로 주차 위치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종료 및 과금절차 등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차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정상위치에 주차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하거나, 정상위치에 주차된 경우에 해당 사용자에게 어드벤티지를 부여하는 등의 방식을 통해서 정상 주차를 유도할 수도 있다.
<주차확인장치 실시예: 능동형>
실시예로 주차확인장치를 구성하는 주차 감지기(10)는 자체 동작 전원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는 능동형 감지기이거나, 전동 킥보드(30)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 접속 혹은 태깅되는 수동형 감기지이거나 혹은 양측에서 모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양방향 감지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방식에 따라 주차 감지기(10)의 주차측 통신모듈(도 5의 '12' 참조)과 전동 킥보드(30)의 모빌리티 통신모듈(도 8의 'MT-T' 참조)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위치 감지를 위한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 중 주차 감지기(10)에서 전동 킥보드(30)로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능동형 주차 감지기(10)는 감지기 케이스(11), 주차측 통신모듈(12), 신호 전송기(13) 및 전원 공급기(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기 케이스(11)에는 주차측 통신모듈(12), 신호 전송기(13) 및 전원 공급기(14) 등이 장치되고, 주차 감지기(10)의 설치 위치나 장소에 따라 시설물, 토지, 도로나 인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브라켓과 같은 부착 장치에 의해 시설물에 설치되거나 앵커와 같은 고정 장치에 의해 도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도블록을 대체하는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경계석 내에 매입 설치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주차측 통신모듈(12)은 감지기 케이스(11)에 장치되는 것으로, 주차구역 이내 혹은 인근에 주차한 전동 킥보드(3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한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주차구역에 근접한 전동 킥보드(30)의 위치를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주차측 통신모듈(12)은 전파(propagation) 효율을 위해 설치 상태에서 안테나 등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도록 하되, 가급적 감지기 케이스(11)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이나 마모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주차측 통신모듈(12)에 의한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함은 물론, 감지센서나 RFID 태그와 같이 센싱이 이루어지는 것도 포함한다. 즉,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다양한 프로토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와 같은 RFID 태그, 도 6의 (b)와 같은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 도 6의 (c)와 같은 감지센서 및 도 6의 (d)와 같은 양방향 통신단말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감지기(10)가 능동형인 경우, 주차측 통신모듈(12)은 전동 킥보드(30)에 장치된 RFID 태그를 읽는 RFID 리더기가 될 수 있으며, 그 외 전동 킥보드(30)에 장치된 각종 수신측에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감지센서 및 통신단말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신호 전송기(13)는 전동 킥보드(30)와의 통신 결과를 주차 확인기(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주차 확인기(20)가 감지기 케이스(11)에 설치된 경우와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된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주차 확인기(20)가 감지기 케이스(11)에 설치되는 경우 주차측 통신모듈(12)과 함께 설치되므로 신호 전송기(13)는 유선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주차 확인기(20)가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한다.
전원 공급기(14)는 주차측 통신모듈(12) 및 신호 전송기(13) 등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정격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회로 및 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는 교체가 가능하여 충전 잔량에 따라 완충된 것으로 갈아끼우거나 태양광과 같은 재생 에너지에 의해 재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가로등이나 전주 혹은 도로의 가로등 점멸기 등 외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다면 전동 킥보드(30)를 무선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충전단자가 주차 감지기(10) 및 전동 킥보드(30) 양측에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도 7과 같이 주차 감지기(10)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설치된 주차 감지기(10)들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동 킥보드(30)와 통신한다.
통신에 의해 주차 감지기(10)와 전동 킥보드(30) 사이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거리는 신호 응답 특성(예: 수신 시간이나 에너지 등)을 통해 판독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주차 감지기(10)에서 통신한 결과는 주차 확인기(20)로 제공된다.
주차 확인기(20)는 전동 킥보드(30)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10)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전동 킥보드(30)의 주차 위치를 판독한다. 즉, 삼각측량 등에 의해 다수의 주차 감지기(10)와 전동 킥보드(30)의 거리를 통해 전동 킥보드(30)의 상대 위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주차구역에 주차되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비콘(beacon)과 같이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은 신호를 통해 반경 수십 미터 범위 안에서 타켓(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하면서도, 5~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밀도가 높으므로 여러개의 주차 감지기(10) 즉, 비콘으로 전동 킥보드(30)의 주차구역 내 주차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주차 감지기(10) 뿐만 아니라 퍼스널 모빌리티인 전동 킥보드(30)에도 다수의 모빌리티 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주차 감지기(10)와 전동 킥보드(30) 사이에 n : n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주차 감지기(10)로 전동 킥보드(30)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고, 전동 킥보드(30)에도 서로 다른 부분에 다수의 모빌리티 통신모듈을 설치하고 추출된 각 부분의 위치를 조합하면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동 킥보드(30)는 전륜측에 설치된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륜측에 설치된 후단 통신부(MT-B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측과 후륜측은 주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휠 커버나 차륜에 연결되는 전동 킥보드(30) 모빌리티 본체의 전단 또는 후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감지기(10)는 각각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단 통신부(MT-B2)와 통신하여, 고정된 주차 감지기(10)를 기준으로 전륜측과 후륜측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전륜측과 후륜측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게 한다.
전동 킥보드(30)의 전륜측과 후륜측의 위치를 판독하면 최종적으로는 전동 킥보드(30)가 주차된 자세를 판독할 수 있으므로, 주차구역 외에 주차된 경우는 물론, 전륜만 주차구역 내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외부로 돌출되거나 혹은 주차구역 내라도 정해진 방향을 바라보도록 주차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도블럭, 가로등, 우편함, 표지판, 건물 등 정상 주차구역 주변에 위치하는 각종 시설물에 설치되는 CCTV나 카메라, 전동 킥보드에 설치되는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정상 주차구역 내에 전동 킥보드가 정상적으로 주차되었는지가 판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주차확인장치 실시예: 수동형>
다른 실시예로 주차확인장치를 구성하는 주차 감지기(10)는 수동형 감지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감지기(10)는 전동 킥보드(30)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입의 감지기로 상술한 RFID 태그를 비롯하여 신호를 수신(즉,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추출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주차 감지기(10)는 하나로 구성(1:1 통신)될 수 있다. 실시예로 주차구역내에 여러대의 전동 킥보드(30)를 동시 주차할 수 있는 경우에는 주차구역을 구획한 각 구역마다 RFID 태그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구역 내로 진입한 후 정해진 구역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전동 킥보드(30)의 모빌리티 본체(도 8의 '31' 참조) 저부 등에 설치된 RFID 리더기가 RFID 태그를 태깅시 주차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된 블루투스 비콘 등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주차 감지기(10)는 각 주차구역마다 다수개(n:1 통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능동형 감지기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주차 감지기(10)는 서로 다른 지점에 설치되어 각각 전동 킥보드(30)의 능동형 모빌리티 통신모듈과 통신한다.
이때, 주차 확인기(20)는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차구역에 설치된 각각의 주차 감지기(10)로부터 전동 킥보드(30)와의 통신 결과를 입력받아 전동 킥보드(30)의 주차 위치를 판독한다.
예컨대,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된 능동형 모빌리티 통신모듈에서 주차구역에 설치된 3개의 수동형 감지기와 통신하여 각각 거리를 산출하고, 삼각측량법 등에 의해 전동 킥보드(30)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다수개의 주차 감지기(10)를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수동형의 주차 감지기(10)는 주차구역 내 지정된 위치에서 전동 킥보드(30)의 전륜(32)과 후륜(33) 간격만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감지기(10)는 실시예로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된 감지센서로 감지가 가능한 무선접속 태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접속 태그가 RFID 태그인 경우 전동 킥보드(30)의 감지센서는 RFID 리더기가 된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전동 킥보드(30)의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단 통신부(MT-B2)가 수동형 주차 감지기(10)에 적용되는 경우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단 통신부(MT-B2)가 RFID 리더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전동 킥보드(30)의 전륜(32)과 후륜(33)에 대응하는 위치의 보도블록을 들어내고 주차 감지기(10)를 포함하는 보도블록으로 대체하여 설치하고, 전동 킥보드(30) 전후방에 설치된 모빌리티 통신모듈(MT-B1, MT-B2)로 통신(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주차 감지기(10)가 정자세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므로 그에 맞게 주차되는 전동 킥보드(30) 역시 정위치에서 정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주차확인방법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주차확인방법은 적용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 중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주차확인장치에 의해 진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방법은 모빌리티 감지단계(S10), 위치 판독단계(S20) 및 주차상태 전송단계(S30)를 포함하며, 주차상태 전송 후 사용에 대한 과금을 진행하는 과금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방법은 공유 후 사용을 마친 퍼스널 모빌리티 즉, 전동 킥보드(30)를 통행이 방해되지 않는 구역에 지정되어 있는 주차구역에 주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전동 킥보드(30)를 주차할 수 있는 구역으로 지정된 주차구역에 반납하였는지 확인하여 무질서한 주차로 인한 통행 방해를 방지하고 모빌리티의 회수 위치를 지정된 구역으로 한정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모빌리티 감지단계(S10)에서는 전동 킥보드(30)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된 주차 감지기(10)에서 상기 전동 킥보드(30)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함은 물론, 감지센서나 RFID 태그와 같인 센싱이 이루어지는 것도 포함한다. 즉, 위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다양한 프로토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차 감지기(10)는 전동 킥보드(30)와의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 확인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전동 킥보드(30)가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주차 감지기(10)는 사전에 지정된 주차구역(PL1/PL2/PL3…)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차를 위해 근접한 전동 킥보드(30)와 직접 혹은 간접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한다.
주차 감지기(10)의 설치 위치는 감지방식에 따라 주차구역 내, 주차구역 가장자리 및 주차구역 외측 인접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시 추출되는 위치정보는 주차 감지기(10)의 위치를 통한 직접 정보 및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삼각 측량 등을 수행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간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위치 판독단계(S20)에서는 주차 확인기(20)에서 주차 감지기(10)와 전동 킥보드(30)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PL1/PL2/PL3…)을 기준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30)의 상대위치를 추출한다.
전동 킥보드(30)의 상대위치에는 주차구역 내 정위치에 주차한 경우는 물론 주차구역 외에 무질서하게 주차된 경우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위치 주차시만 정상적인 사용종료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주차 확인기(20)는 주차 감지기(10)와 함께 주차구역에 설치되거나 혹은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동 킥보드(30)의 상단부 중심에 설치된 주행 제어단말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주차 확인기(20)의 설치 위치는 통신 방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주차 확인기(20)가 신호를 송신(송출)하는 능동형인 경우에는 주차 확인기(2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반대로 전동 킥보드(30)에서만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동작 전원 공급 등의 문제로 전동 킥보드(30)에 설치된다.
다음, 주차상태 전송단계(S30)에서는 주차 확인기(20)에서 추출한 전동 킥보드(30)의 상대위치 정보(즉, 주차위치 정보)를 전동 킥보드(30)에서 수신하여 다시 관리서버(50)로 송신한다.
관리서버(50)는 대표적으로 전동 킥보드(30) 등의 퍼스널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측의 서버가 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50)에서는 주차구역 내 정위치 주차시만 사용 종료를 인증할 수 있다.
예컨대, 주차 확인을 통해 주차구역 내에 주차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동 킥보드(30)의 그 이용을 마치고 사용종료를 인증한다.
한편, 전동 킥보드(30)의 정상 주차에 따라 사용종료가 인증된 경우에는 사용 거리나 시간 등에 따른 과금을 하는 과금단계(S40)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필요시 패널티나 어드벤티지의 부과 등을 통해 더욱더 정상 주차를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술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및 주차확인방법에 의해 주차 위치를 확인받는다.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에는 대표적으로 전동 킥보드(30)가 있으며, 전동 킥보드(30)는 탑승부 및 배터리를 구비한 모빌리티 본체(31), 상기 모빌리티 본체(31)의 전방부에 구비된 전륜(32) 및 후방부에 구비된 후륜(33)을 포함한다.
또한, 하부의 모빌리티 본체(31) 전방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조절 로드(rod)의 상단부에는 주행을 조작하도록 조향장치를 구비한 주행 제어기(34)가 구비된다. 주행 제어기(34)로는 제어단말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사용 시작을 위한 QR 코드 등이 구비된다.
또한, 전동 킥보드(30)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주차확인장치(10, 2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빌리티 통신모듈(MT: MT-T, MT-B1, MT-B2)을 더 포함한다. 모빌리티 통신모듈(MT)은 상기 주차확인장치(10, 20)와의 통신 방식에 따라 능동형 또는 수동형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모빌리티 통신모듈(MT)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방식 등에 따라 상기한 주행 제어기(34)(주행단말) 내부에 일체로 탑재된 모빌리티 통신모듈(MT-T) 및/또는 모빌리티 본체(31)의 저부에 설치된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단 통신부(MT-B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주차 확인기(20)로부터 전송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모빌리티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단말기(40)로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4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서버(5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블루투스 모듈 역시 주행 제어기(34)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로변 등에 다수 설치되는 주차확인장치(10, 20) 대신 스마트폰 등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0)를 원격의 서버와 통신하는 채널로 이용하고, 과금이 진행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응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주차 감지기
11: 감지기 케이스
12: 주차측 통신모듈
13: 신호 전송기
14: 전원 공급기
20: 주차 확인기
30: 전동 킥보드(퍼스널 모빌리티)
31: 모빌리티 본체
32: 전륜
33: 후륜
34: 주행 제어기
40: 이동통신단말기(스마트폰)
50: 관리서버
PL: 주차구역
MT: 모빌리티 통신모듈

Claims (7)

  1.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감지기(10); 및
    상기 주차 감지기(10)와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을 기준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주차 확인기(20);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확인하되,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륜측에 설치된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륜측에 설치된 후단 통신부(MT-B2)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각각 상기 전단 통신부(MT-B1) 및 후단 통신부(MT-B2)와 통신하여 주차구역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측과 후륜측의 위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 검출 신호를 송신하는 능동형 감지기이며,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주차 확인기(20)는 상기 주차 감지기(10)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10)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동형 감지기이고,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다수개가 서로 다른 지점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주차 확인기(20)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되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각각의 주차 감지기(10) 사이의 통신 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위치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감지기(10)는,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32)과 후륜(33) 간격만큼 이격 설치되며, 각각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에 설치된 감지센서에서 감지 가능한 무선 접속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5. 퍼스널 모빌리티를 주차하도록 지정된 주차구역에 설치되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와 위치정보가 포함된 통신을 수행하는 주차 감지기(10); 및
    상기 주차 감지기(10)와 퍼스널 모빌리티의 통신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주차구역을 기준으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대위치를 추출하는 주차 확인기(20);를 포함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주차구역 내에 주차하였는지 확인하되,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측 위치와 후륜측 위치를 각각 판독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차 자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전륜 또는 후륜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주차구역 외부로 돌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주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KR1020220053457A 2020-12-03 2022-04-29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KR10251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457A KR102511589B1 (ko) 2020-12-03 2022-04-29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404A KR102466553B1 (ko) 2020-12-03 2020-12-03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220053457A KR102511589B1 (ko) 2020-12-03 2022-04-29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404A Division KR102466553B1 (ko) 2020-12-03 2020-12-03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531A KR20220078531A (ko) 2022-06-10
KR102511589B1 true KR102511589B1 (ko) 2023-03-21

Family

ID=81983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404A KR102466553B1 (ko) 2020-12-03 2020-12-03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KR1020220053457A KR102511589B1 (ko) 2020-12-03 2022-04-29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404A KR102466553B1 (ko) 2020-12-03 2020-12-03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6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307B1 (ko) * 2022-11-21 2023-12-19 주식회사 휙고 고정밀 위치 측위 기반의 주차 구역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608969B1 (ko) * 2023-07-12 2023-12-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유형 퍼스널 모빌리티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2291A (ja) 2014-06-30 2016-01-21 日本信号株式会社 移動体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9-06 (주)바이콕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0507A (zh) * 2015-11-16 2016-01-27 谢瑞初 无桩位停车管理系统与方法
KR102496801B1 (ko) * 2017-12-19 2023-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공유 자전거 재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6800B1 (ko) * 2017-12-19 2023-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전거 쉐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7983B1 (ko) 2019-03-05 2020-06-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KR102132411B1 (ko) 2020-05-22 2020-07-09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2291A (ja) 2014-06-30 2016-01-21 日本信号株式会社 移動体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9-06 (주)바이콕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764A (ko) 2022-06-13
KR102466553B1 (ko) 2022-11-14
KR20220078531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1589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US11966808B2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CN108898880B (zh) 车辆控制方法及系统
EP3044548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guidance and alignmen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station
CN107209992A (zh) 用于监控交通区的交通监控系统
CN210200007U (zh) 一种停车场寻车导航装置
KR101567894B1 (ko) 횡단보도의 음성 안내 시스템
CN107274518A (zh) 一种智能锁系统及共享单车
US11017189B2 (en) See ID system
KR101547033B1 (ko) 무정차 다차로 스마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U2013200502C1 (en) Method for radio communication between a radio beacon and an onboard unit, and radio beacon and onboard unit therefor
EP2673759B1 (en) Method for making a parking arrangement equipped with an automatic vehicle detection system ready for operation, and parking arrangement for use of the method
CN201275241Y (zh) 一种电子导盲系统及便携式语音导盲装置
JPH07334789A (ja) マイクロチップを内蔵した道路標識、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路車間通信システム
KR102158990B1 (ko)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KR101488571B1 (ko)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KR101081426B1 (ko) 양방향 통신을 사용한 도로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CN102369561B (zh) 监控交通的装置和方法
KR20180061911A (ko) 대중교통 요금납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20220151647A (ko) 교통 관리 장치, 교통 관리 시스템, 교통 정보 시스템, 개장가능한 시작 모듈, 및 교통 관리 방법
CN210691599U (zh) 一种停车检测装置
JP2004286668A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及びライン構造体
US20200122521A1 (en) System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a vehicle, installed near a road infrastructure
CN202677630U (zh) 停车管理系统
CN113639739A (zh) 一种盲道识别导航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