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032B1 -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032B1
KR101896032B1 KR1020180013466A KR20180013466A KR101896032B1 KR 101896032 B1 KR101896032 B1 KR 101896032B1 KR 1020180013466 A KR1020180013466 A KR 1020180013466A KR 20180013466 A KR20180013466 A KR 20180013466A KR 101896032 B1 KR101896032 B1 KR 10189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ntal
electronic fenc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욱진
홍근표
Original Assignee
(주)바이콕
오욱진
홍근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콕, 오욱진, 홍근표 filed Critical (주)바이콕
Priority to KR102018001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32B1/ko
Priority to PCT/KR2019/001081 priority patent/WO20191517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의 전자울타리를 이용하여,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도와주기 위해,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Local public transport rental management system using electronic fence}
본 발명은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의 전자울타리를 이용하여,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도와주기 위해,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이동수단은 주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교통 체증,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나 지역 내 민간단체가 대여ㆍ반납 체계를 갖춰 주민들에게 빌려 주는 이동수단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는 자전거가 있다. 이 외에도 퀵보드 등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 들도 이용할 수 있다.
자전거를 예로 설명하면, 공공자전거 대여 제도를 '자전거 공유 서비스', 또는 '자전거 공유 시스템(bicycle-sharing system)'이라고 한다.
자전거 공유 서비스는 유럽에서 처음 시작되었고,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한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에서 시행되고 있다. 국내의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는 서울시의 서울 자전거 따릉이, 경기도 고양시의 피프틴, 안산시의 페달로(Pedalro), 세종특별자치시의 어울링, 대전광역시의 타슈, 경상남도 창원시 누비자, 전라남도 여수시의 유바이크(U-Bike) 등이 있다. 외국의 공공 자전거 대여 제도는 중국의 오포(Ofo), 모바이크(Mobike), 프랑스 파리의 벨리브(Velib), 캐나다 몬트리올의 빅시(Bixi), 미국 보스턴의 허브웨이(Hubway), 미국 시카고의 디비(Divvy) 등이 있다.
초기의 공공자전거는 전용 주차장에서만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였으나, 이후, 차체에 GPS를 탑재해 전용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어디에서나 빌릴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었고, 차체의 QR코드를 스마트폰 등으로 스캔해 자물쇠를 열고, 이용 후에는 편한 장소에 잠금장치를 잠금상태로 하여 세워두는 기술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공유자전거를 아무 곳이나 세워두게 되면 도시 미관을 해치고 교통체증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공유자전거를 지정된 영역을 벗어난 지역에 세워두면, 이후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23743]에서는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323743](등록일자: 2013년10월24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의 전자울타리를 이용하여,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도와주기 위해,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은, 고유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가능한 식별부(110)가 설치된 대여이동수단(100); 상기 식별부(110)의 고유식별자 정보 및 상기 식별부(110)의 신호를 수집하는 리더부(200); 상기 리더부(200)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부(110)가 설치된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300); 전자울타리영역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정보저장부(400);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저장부(500);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600); 및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로부터 전자울타리영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수행된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확인부(3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수행된 대여이동수단(100)이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울타리관리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별부(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및 LTE(Long Term Evolution), Cellular IoT, LPWA(Low Power Wide Area),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 Internet of Things), 로라(LoRa, Long Range)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위치확인부(300)는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부터 생성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지도상 표시되는 영역을 그리드 형태로 구분하여, 하나의 칸을 최소 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등급 정보에 따른 전자울타리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는 등급 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잠금하는 잠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보관하여 잠금하는 보관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800)는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경보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고장 발생 시 고장신호를 생성하는 고장신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고장신고부(140)로부터 고장신호가 수집되면 상기 고장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의 전자울타리를 이용하여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경보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공공이동수단이 운행 가능한 지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치산출부를 포함하는 식별부를 대여이동수단에 설치함으로써, 대여이동수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산출된 위치 정보를 자체 네비게이션 등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리더부(2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위치확인부에서 대여이동수단의 위치를 산출하여, 대여이동수단에 설치된 전기를 이용하는 기기 및 통신으로 주고받는 데이터를 줄임으로써, 대여이동수단의 전력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여이동수단에 경보부를 설치하여 탑승자에게 경보를 송출함으로써, 탑승자가 더 이상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지도상 표시되는 영역을 그리드 형태로 구분하여, 하나의 칸을 최소 단위로 활용함으로써, 전자울타리영역을 벗어난 상황을 더욱 빠르게 연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등급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회원 또는 출입증에 따라 출입 가능한 전자울타리 영역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도록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출입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대여이동수단에 잠금부를 설치하여 자체적인 잠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용 주차장이 아닌 곳에서도 반납이 가능한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여이동수단을 보관하여 잠금하는 보관부를 구비함으로써, 전용 공간에 대여이동수단을 보관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전자울타리관리부가 경보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함으로써, 생성된 경보신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여이동수단에 고장신고부를 설치함으로써, 대여이동수단의 고장 시 고장신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장신고가 접수된 대여이동수단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잠금함으로써, 고장난 대여이동수단(100)을 이용하려는 다음 이용자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영역정보저장부에 그리드 형태로 구분된 칸을 최소단위로 저장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대여이동수단에 경보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도 1의 대여이동수단에 잠금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5는 도 1에 보관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도 1의 대여이동수단에 고장신고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영역정보저장부에 그리드 형태로 구분된 칸을 최소단위로 저장하는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대여이동수단에 경보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대여이동수단에 잠금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1에 보관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의 대여이동수단에 고장신고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은 대여이동수단(100), 리더부(200), 위치확인부(300), 영역정보저장부(400), 인증정보저장부(500), 인증부(600) 및 전자울타리관리부(700)를 포함한다.
대여이동수단(100)은 고유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가능한 식별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자전거,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등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이 이에 해당된다.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는 최첨단 충전, 동력 기술이 융합된 소형 개인 이동 수단을 말한다. 보다 지능화되고 똑똑해진 교통 서비스를 일컫는다. 전기와 같은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거나 1~2인승 개념의 소형 개인 이동 수단에 집중돼 있기에 '퍼스널 모빌리티'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전동휠 등이 대표 사례다. 이들 스마트 모빌리티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차세대 이동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식별부(110)는 고유식별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통신 시 고유식별자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어떤 대여이동수단(10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할 경우, 고유식별자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어떤 대여이동수단(100)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부(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및 LTE(Long Term Evolution), Cellular IoT, LPWA(Low Power Wide Area),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 Internet of Things), 로라(LoRa, Long Range)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산출부가 GPS를 사용하거나 무선 네트워크의 기지국 위치를 활용하여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방식과 단말기 방식, 그리고 이들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의 채널을 이용한 네트워크 방식은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이나 시간 등을 이용하여 망에서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이나 정확도가 좀 떨어 진다. GPS를 사용하는 단말기 방식은 단말기에 GPS 모듈을 내장하여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방식에 비해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지만 부품 비용이 비싸고, 빌딩 내부 및 지하에서는 GPS 수신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은 각각의 단점을 어느 정도 개선한다. 네트워크 방식으로는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서비스 셀 ID를 통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Cell ID, Cell ID 방식에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 정보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개선한 Enhanced Cell ID, 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한 3개의 기지국에서 신호 수신 각도의 차이를 이용하는 AOA (Angle Of Arrival), 한 개의 기지국과 2개의 주변 기지국들 사이의 신호 도달 시간의 차이를 이용하는 TOA (Time Of Arrival), 기지국 신호를 기준으로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지연을 측정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등이 있다. 단말기 방식으로는 인공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정보를 단말기가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등이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으로는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파를 보내 다시 이 전파가 되돌아오는 시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E-OTD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가 있다.
위치산출부를 식별부에 포함시키면, 대여이동수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산출된 위치 정보를 자체 네비게이션 등에 대여이동수단에 설치된 다른 기기들에서 활용할 수 있다.
리더부(200)는 상기 식별부(110)의 고유식별자 정보 및 상기 식별부(110)의 신호를 수집한다.
상기 리더부(200)는 일종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배치 되도록 다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부(110)가 직접 상기 위치확인부(300)와 통신하게 되면 상기 식별부(110)에서 소모되는 전기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식별부(11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과 근접한 리더부(200)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확인부(300)는 상기 리더부(200)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부(110)가 설치된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위치확인부(30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직접 전달 받을 수도 있으나,
상기 위치확인부(300)는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부(110) 또는 리더부(200)는 비콘(Beac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확인부(300)는 존(Zone)방식, 실시간 위치(Track) 방식 등으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존 방식은 비콘 1대 혹은 여러 대가 신호 범위별로 배치되어 있고, 대상물이 특정 비콘 주변에 놓여 있을 때, 그 비콘 위치 주변에 있다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대부분의 BLE 비콘이 이 방식을 사용)이다.
실시간 위치 방식은 여러 대의 비콘이 지정된 범위 내에 신호 범위별로 배치되어 있고, 대상물이 3대 이상의 비콘으로부터 ID신호와 신호세기를 수신해 그 위치를 측위 알고리즘으로 계산,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정확한 측위 알고리즘을 위한 AOA, ROA, Finger Print, TDOA, TOA 등의 기술이 있으며, GPS도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삼각측량 방식으로 계산한다.
영역정보저장부(400)는 전자울타리영역정보를 저장한다.
전자울타리영역정보는 지도상에 표시된 지역 중 출입 가능한 지역을 울타리 형식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지도상 표시되는 영역을 그리드 형태로 구분하여, 하나의 칸을 최소 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전자울타리영역을 벗어난 상황을 빠르게 연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하나의 칸 전체가 전자울타리의 내부 영역에 해당되는 칸과, 하나의 칸 전체가 전자울타리의 외부 영역에 해당되는 칸 및 하나의 칸에 전자울타리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이 동시 포함된 칸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칸에 전자울타리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이 동시 포함된 칸의 경우, 선형 근사값 형태로 경계선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가 하나의 칸 전체가 전자울타리의 외부 영역에 해당되는 칸에 포함되면 전자울타리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가 하나의 칸에 전자울타리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이 동시 포함된 칸에 포함되면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가 전자울타리 내부 영역인지 외부 영역인지 확인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전자울타리영역을 벗어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가 하나의 칸에 전자울타리의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이 동시 포함된 칸에 해당될 경우에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자울타리영역을 벗어났는지 확인함으로써, 전자울타리영역을 벗어났는지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인증정보저장부(500)는 인증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인증 시 필요한 정보를 의미하며, 인증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는 각각의 회원 또는 출입증 마다 각각의 인증정보를 서로 다르게 저장할 수 있으며,
회원인 경우, 인증코드, 성명, 부서, 직책, 등급, 연락처 등의 정보가 같이 저장될 수 있고,
출입증의 경우, 인증코드, 등급 등의 정보가 같이 저장될 수 있다.
인증부(600)는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대여 인증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대여하려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상기 인증부(600)는 지식기반 인증기술, 소유기반 인증기술 및 생체기반 인증기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지식기반 인증기술은 비밀번호, I-PIN, 패턴 등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어떤 지식(What you know)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로, 유추가 쉽고 보안성이 떨어지지만관리가 편하고 구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소유기반 인증기술은 OTP(One Time Password), 보안카드, 공인인증서, 인증토큰(Token) 등 인증매체를 사용자가 소유(What you have)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로, 사용자가 인증매체를 항상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생체기반 인증 방식은 홍채인식, 지문인식 음성인식 등 사용자만의 고유한 신체적인 특징(What you are)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앞선 방법들과 달리 인증매체를 소유하거나 기억하고 있어야 할 정보가 없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다.
상기 인증부(60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설치되거나, 후술하게 될 보관부(8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와 통신 가능한 서버로 구축되어, 스마트기기 등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인증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로부터 전자울타리영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수행된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확인부(3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수행된 대여이동수단(100)이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전자울타리를 이탈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며, 이때,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생성된 경보신호를 경보를 알려야 하는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통신망은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및 LTE(Long Term Evolution), Cellular IoT, LPWA(Low Power Wide Area),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 Internet of Things), 로라(LoRa, Long Range)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10)와 리더부(200)는 무선통신을 하도록 로라(LoRa, Long Range) 통신망을 구축하고, 리더부(200)와 위치확인부(300)은 유선통신을 하도록 이더넷(Ethernet) 통신망을 구축하는 등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부터 생성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12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탑승한 사람에게 소리, 빛 등으로 경보를 송출하여, 탑승자에게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한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보부(120)는 독립적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경보를 송출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식별부(110)를 통해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부터 경보신호를 전달받아 경보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경보부(120)가 소리, 빛로 경보를 송출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탑승한 사람에게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했음을 알리는 경보를 송출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떤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등급 정보에 따른 전자울타리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는 등급 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다수의 전자울타리 영역이 저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자울타리 영역은 등급 정보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는 각각의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등급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대여 인증으로 대여가 허가된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대여이동수단(100)으로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을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은 회원 또는 출입증 마다 적용 가능한 등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시 각각의 대여이동수단(100) 마다 서로 다른 전자울타리영역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동 근무자가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 B 동 근무자가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 C형 출입증을 발급받은 사람이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 D형 출입증을 발급받은 사람이 이동 가능한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 보안 요원이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 등 다수의 전자울타리 영역이 서로 다르게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잠금하는 잠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장착되어,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하는 자물쇠 등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부(130)는 독립적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직접 잠금 해제 명령을 전달받아 잠금 해제 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식별부(110)를 통해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잠금 해제 명령을 전달받아 잠금 해제 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130)는 대여 인증을 받은 사람이 대여가 끝나는 시점에서 수동으로 잠금 할 수 있으며, 대여 시간이 끝났음을 확인한 전자울타리관리부(700)가 상기 잠금부(130)를 잠금 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잠금부(130)를 잠금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잠금부(130)의 예로 자물쇠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브레이크의 작동 및 복귀를 제어하는 기기 등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 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떤 것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보관하여 잠금하는 보관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800)는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관부(800)는 전용 주차장 등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부(600)와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관부(800)는 전용 주차장 등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보관된 상태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잠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바퀴 등을 자물쇠 등으로 채워 잠금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상기 보관부(800)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보관부(800)의 도어를 닫은 상태로 상기 도어를 잠금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경보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접수된(전송받은) 경보신호가 상기 경보신호가 생성된 지역이 어디인지 관리자가 시각, 청각 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표시 수단으로 알릴 수 있는 종합수신기 등의 기기를 말하고, 상기 경보기는 접수된(전송받은) 경보신호가 상기 경보신호가 생성된 지역이 어디인지 관리자가 시각, 청각 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단순한 표시 수단으로 알릴 수 있는 램프, 경종 등의 기기를 말한다.
이때, 상기 경보신호는 경보신호가 생성된 대여이동수단(100)의 고유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보신호가 생성된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정보(회원 정보, 출입증 정보 등)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정보(회원 정보, 출입증 정보 등)의 경우에는 상기 인증부(600)의 대여 인증에서 획득된 정보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신기는 통합관제실 등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경보기는 지역 출동 경비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관제실은 모든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1 개소로 운영될 수 있고, 지역 출동 경비대는 해당 지역 출동 경비대에 해당되는 정보만 관리하도록 지역별로 운영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의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고장 발생 시 고장신호를 생성하는 고장신고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고장신고부(140)로부터 고장신호가 수집되면 상기 고장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장신고부(140)는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고장 발생 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수리 요청을 하기 위한 것으로, 고장난 대여이동수단(100)을 이용하려는 다음 이용자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장신고부(140)는 독립적인 통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 직접 고장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식별부(110)를 통해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 고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장신고부(140)를 통해 고장신호가 접수된 대여이동수단(100)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가 상기 잠금부(130) 또는 보관부(800)를 잠금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잠금 된 대여이동수단(100)은 추후 관리요원 등이 고장점검 후 잠금 해제 시켜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대여이동수단
110: 식별부 120: 경보부
130: 잠금부 140: 고장신고부
200: 리더부
300: 위치확인부
400: 영역정보저장부
500: 인증정보저장부
600: 인증부
700: 전자울타리관리부
800: 보관부

Claims (10)

  1. 고유식별자 정보를 저장하고, 통신가능한 식별부(110)가 설치된 대여이동수단(100);
    상기 식별부(110)의 고유식별자 정보 및 상기 식별부(110)의 신호를 수집하는 리더부(200);
    상기 리더부(200)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식별부(110)가 설치된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300);
    전자울타리영역정보를 저장하는 영역정보저장부(400);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인증정보저장부(500);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근거로 대여이동수단(100)의 대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600);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로부터 전자울타리영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수행된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확인부(30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수행된 대여이동수단(100)이 전자울타리영역을 이탈하면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울타리관리부(700); 및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에 고장 발생 시 고장신호를 생성하는 고장신고부(140);
    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등급 정보에 따른 전자울타리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는
    등급 정보를 포함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고장신고부(140)로부터 고장신호가 수집되면 상기 고장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리더부(200)는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배치 되도록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울타리영역정보는
    지도상에 표시된 지역 중 출입 가능한 지역을 울타리 형식으로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다수의 전자울타리 영역이 저장되며, 각각의 전자울타리 영역은 등급 정보 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증정보저장부(500)는
    상기 대여 인증으로 대여가 허가된 사용자의 등급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대여이동수단(100)으로 이동 가능한 전자울타리영역을 적용하도록, 각각의 인증정보와 매칭되는 등급 정보가 함께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초광대역(Ultra Wild Band),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및 LTE(Long Term Evolution), Cellular IoT, LPWA(Low Power Wide Area),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 Internet of Things), 로라(LoRa, Long Range)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를 포함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300)는
    상기 리더부(2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로부터 생성된 경보신호를 수신하여 경보를 송출하는 경보부(120);
    를 포함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정보저장부(400)는
    지도상 표시되는 영역을 그리드 형태로 구분하여, 하나의 칸을 최소 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잠금하는 잠금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130)는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여이동수단(100)을 보관하여 잠금하는 보관부(800);
    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부(800)는
    상기 인증부(600)로부터 대여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울타리관리부(700)는
    상기 경보신호를 상황실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경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10. 삭제
KR1020180013466A 2018-02-02 2018-02-02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KR10189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66A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2-02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PCT/KR2019/001081 WO2019151721A1 (ko) 2018-02-02 2019-01-25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466A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2-02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032B1 true KR101896032B1 (ko) 2018-09-06

Family

ID=6359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466A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2-02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6032B1 (ko)
WO (1) WO201915172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7115A (zh) * 2018-11-27 2019-04-16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电子围栏以及电子围栏系统
KR20210095767A (ko) * 2020-01-23 2021-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13296473A (zh) * 2021-04-30 2021-08-24 中铁宝桥(南京)有限公司 基于uwb技术的数控机床工件加工控制方法
KR20220036263A (ko) * 2020-09-15 2022-03-22 서울시설공단 공공자전거 단말기
KR20220036262A (ko) * 2020-09-15 2022-03-22 서울시설공단 공공자전거 대여/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8531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WO2023190429A1 (ja) * 2022-03-30 2023-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608A (ko) * 2002-01-15 2004-01-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00020871A (ko) * 2008-08-13 2010-02-23 오병현 자전거 대여 관리 시스템
KR101178012B1 (ko) * 2011-03-08 2012-08-28 창원시 자전거 대여관리장치 및 모바일 단말 장치
KR101323743B1 (ko) 2011-05-19 2013-10-30 신민석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61B1 (ko) * 2009-02-20 2011-04-08 주식회사 동광금속 무인대여 자전거의 위치 추적 시스템
KR20110041223A (ko) * 2009-10-15 2011-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전거 무인대여시스템에서 도난방지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4608A (ko) * 2002-01-15 2004-01-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00020871A (ko) * 2008-08-13 2010-02-23 오병현 자전거 대여 관리 시스템
KR101178012B1 (ko) * 2011-03-08 2012-08-28 창원시 자전거 대여관리장치 및 모바일 단말 장치
KR101323743B1 (ko) 2011-05-19 2013-10-30 신민석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7115A (zh) * 2018-11-27 2019-04-16 厦门华方软件科技有限公司 电子围栏以及电子围栏系统
KR102346826B1 (ko) * 2020-01-23 2022-01-0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210095767A (ko) * 2020-01-23 2021-08-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퍼스널 모빌리티를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440538B1 (ko) 2020-09-15 2022-09-06 서울시설공단 공공자전거 단말기
KR20220036263A (ko) * 2020-09-15 2022-03-22 서울시설공단 공공자전거 단말기
KR20220036262A (ko) * 2020-09-15 2022-03-22 서울시설공단 공공자전거 대여/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102429527B1 (ko) 2020-09-15 2022-08-05 서울시설공단 공공자전거 대여/반납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8531A (ko) *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KR20220078764A (ko) * 2020-12-03 2022-06-13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KR102466553B1 (ko) * 2020-12-03 2022-11-14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주차확인방법 및 그를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KR102511589B1 (ko) 2020-12-03 2023-03-21 주식회사 올룰로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CN113296473A (zh) * 2021-04-30 2021-08-24 中铁宝桥(南京)有限公司 基于uwb技术的数控机床工件加工控制方法
WO2023190429A1 (ja) * 2022-03-30 2023-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721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032B1 (ko)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US20230060760A1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real-time location
CN106537963B (zh) 基于无线节点的网络进行的定位
Hubaux et al. The security and privacy of smart vehicles
CN102656859B (zh) 用于在第一机动车和至少一个第二机动车之间进行通信的方法
CN106898063A (zh) 一种共享交通工具的锁定方法及装置
CN102223596A (zh) 一种移动定位服务方法
JP2017037369A (ja) 小型飛行システム
EP25220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uthorization
CA2677882A1 (en) A signal-comparison based location-determining method
CN102223706A (zh) 一种移动定位服务系统
US8973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information received at an airport surface wireless node
KR20120041705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공공 자전거 관리 시스템
US11521442B2 (en) System for preventing vehicle key fob relay attacks
CN106875519A (zh) 一种电子锁解锁方法及其装置
CN102223707A (zh) 一种移动定位信标装置
CN107016597A (zh) 一种共享单车的固定停车点管理方法
KR20210086278A (ko) 퍼스널 모빌리티 쉐어링 방법 및 퍼스널 모빌리티 대여시스템
CN108833455A (zh) 基于区域Wi-Fi网络感知的单车共享系统
CN107040289A (zh) 基于近距离通讯的信息传输方法及其装置
CN100450825C (zh) 基于移动网络的车载通信报警定位方法及系统
CN107424279A (zh) 一种智能单车锁
CN107424264A (zh) 公共自行车停车桩、公共自行车租赁控制系统及方法
Ashok et al. A secure freight tracking system in rails using GPS technology
US10186151B2 (en) Method for finding an object coupled to a radio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