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43B1 -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743B1
KR101323743B1 KR1020110047216A KR20110047216A KR101323743B1 KR 101323743 B1 KR101323743 B1 KR 101323743B1 KR 1020110047216 A KR1020110047216 A KR 1020110047216A KR 20110047216 A KR20110047216 A KR 20110047216A KR 101323743 B1 KR101323743 B1 KR 101323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card
public
locking device
automatic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829A (ko
Inventor
이원재
신민석
Original Assignee
신민석
이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석, 이원재 filed Critical 신민석
Priority to KR102011004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centr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2003/005Supports or hold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bike rental

Abstract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자전거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일리지 포인트를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직장단위 혹은 지역단위로 자전거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술적 운영수단으로 IT융합 RFID 전자카드로 이용료 가금과 마일리지 장려금 인센티브 포인트를 가 감산 관리되는 카드시스템입니다.
기존에 국내외 공공자전거 공영자전거의 운영상에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자전거를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해 IT융합 RFIC.Card를 사용할 때 자전거에는 단순한 SELF-Lock Card key 만 부착한 상태에서 장소와 시간에 제한 없이 한 장의 카드로 다수의 공영자전거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때 이용규정에 따라 마일리지 포인트가 가 감산 되어 이용료 혹은 장려금 마일리지 포인트 데이터를 이용자의 RF.Card에 사용할 때마다 재 연산하여 누적 기록하고 기간별로 인센티브 포인트를 정산하는 시스템입니다. 또한, 운영 중인 공영자전거위치를 실시간으로 위치를 추적관리 및 시민에게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공영자전거 위치 현황을 안내하여 최소의 관리요원으로 효율적인 공영자전거를 사후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입니다.
자전거를 거치할 때 잠금과 열림을 위한 셀프 록(도1-21)은 자전거에 고정기구 물로 Self. Lock -Card. Key. Unit을 부착하고 개인용 RFID.Card는 유무인 방식으로 개인신상 정보가 보호되는 상태에서 무인으로 발행되어 24시간 운영되는 시스템입니다.
자전거에 부착된 셀프 록은 무인 발급된 근접식 RFID-Card (도1-7)에 의해 열림과 잠금이 작동되고 또한 사용이 완료하여 거치(주차)시에 주변에 ZIG- B 무선중계기로 주차된 공영자전거의 고유번호가 송수신 되어 주차 거치 된 공영자전거의 위치별 현황을 중앙관리센터에서 모니터링 하게 됩니다.
시민이 소지한 RFid카드에 누적 기록된 마일리지 포인트는 저 탄소배출권을 환산한 금액과 이용 장려금을 별도로 정부 혹은 자치단체에서 지급할 때와 혹은 이용료 부담을 정산할 수 있는 포인트제도 정책 운영 시에 필수적 시스템입니다.
또한, 본 자전거에 부착된 Self-Lock 컨트롤 유닛 내의 주행 센서 충격센서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어 컨트롤러 메모리에 주행한 십여 분간에 주행데이터를 메모리에 별도 기록되고 주행거리에 따른 누적 거리 마일리지 포인트는 자전거이용을 시작할 때와 종료할 때에 한하여 본체(Self-Lock)에 근접시킨 Card에 Read/write 합산 기록됩니다. 또한, 유닛 내의 각종센서에 의해 주행상황에 따른 주행사고에 대한 데이터가 로그인 되어 자전거 블랙박스메모리에 별도로 기록보관됩니다.
Self-Lock 과 일체화된 RFID.Reader 컨트롤 유닛에는 자전거 열쇠용 개인 고유 ID 일련번호로 개인별로 포인트를 관리되고, 재사용을 위한 예약 타이머 기능을 부과하여 5단계로 1.3.6.12시간부터 24시간까지 임의설정 가능하여 회원제 공용자전거에서 제3의 회원이 예약중 사용을 못 하도록 예약기능이 포함된 자전거용 Self.Lock.key 장치입니다.

Description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The Public Society Bike Management System }
통상적인 자전거이용방법은 개인들이 자전거를 구입하여 집에 보관하며 유지관리를 소유자들이 기름치고 조이고 닦으며 분실방지를 위하여 힘들게 관리하였다 . 그러나 본 기술은 기존에 개인용 자전거의 장점과 공공자전거의 장점을 혼합한 공영자전거운영에 전문위탁단체가 일부 업무를 대행하여 여러 편익을 제공하고 이용조건에 따라 자치단체와 사회단체로부터 지원받아 공영자전거 이용자에게 편익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일리지 관리 시스템입니다.
그동안 국내외 일부 자전거관련단체에서 운영하는 공공 공영 자전거에서 여러 문제 중에 도난 분실방지를 위해 잠금과 열림의 기계적 열쇠로 여러 가지를 사용하여 왔으며 그중 공공자전거는 GPS(위치위성수신)모듈과 CDMA(이동통신모듈)을 부착하고 지전거치대가 필히 있는 상태에서 이동통신(월정기본료 가입)을 거쳐 자전거위치를 추적관리하는 운영방식으로 과다한 투자비와 또한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고 이용자의 제한된 사용으로 불편하여 이용률도 저조하였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잠금장치는 루프 식에 기계적 구조의 열쇠가 대다수로 이용하고 지정 거치대에 철 구조물 형식의 투박하고 취급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다양한 열쇠가 사용되었습니다.
공공자전거 분야에는 지정 주차대에 고정으로 부착하는 기계적 기구 물과 전자회로를 부과한 거치대와 거치대간 (Point-Point) 특정장소에 국한하여 이용요금 정산용으로 일부 단순 기능으로 전자 Card 열쇠가 이용 되였습니다.
본 시스템은 공영자전거 운영에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Door -Door 출퇴근 업무와 레이저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영되어 삶에 질이 개선되는 시스템입니다.
RFID.Card-System(알에프아이디 카드시스템)은 주택 사무실 등 출입문과 대중교통카드로의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 )카드의 이용을 2,000년 이후 실용성 있게 저렴한 부품개발과 응용기술개발로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에 따른 제어 컨트롤러가 필수적으로 소요되고 또한 Card 내의 데이터 사용영역에 따라 Read Only (읽기전용)혹은 Write/Reader(읽고/쓰기)로 구분되며 RFID카드 Mifare(ISO14443A)와 종류에 따라 사용주파수(128khz.13.56Mhz 914Mhz 등 )와 데이터 포맷에 따라 다양한 사용영역과 User(사용자)사용 메모리영역이 틀리게 이용되어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일반화된 RFID 응용기술이 실용화되어 있습니다.
자전거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편익과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운영제도상에서 가입한 특정회원에 한하여 자전거를 사용하도록 하는 열쇠기능이 부과된 회원증 혹은 면허증 카드를 발급하여 통상적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이때 특정회원에 한하여 자전거에 부착된 잠금 록 장치를 열림과 닫힘을 자유롭게 하며 공용자전거사용에 따른 사용시간에 따른 해당 이용비용과 동시에 장려 인센티브 정산기능을 하는 핵심적인 가 감산기술과 재사용을 위한 예약 타이머기능이 그동안 전 세계적으로 없어 공용자전거사업이 제한적으로 불합리하게 운영되었습니다. 본 기술은 IT융합 전자기술을 접목한 RFID.Card이용 마일리지 포인트가 감산 정산되어 공정한 관리가 되는 기술입니다.
종전의 자전거용 Self.Lock(차체 열쇠)은 통상적으로 자전거 바퀴부분에 기구적인 구조물로 고정부착하여 열쇠 키를 사용하는데 키의 기계적 구조가 간단하여 위변조 및 키 복사가 용이하고 루프, 철 밴드 번호 키 등도 단순한 열쇠 키 방식으로 신뢰성이 없어 자전거의 도난 분실이 빈번하며 자전거에는 한계적 기능으로 제한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본 RFID.Card 기술은 고유 일련번호와 특수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일반적인 출입통제 혹은 출퇴근 등 다양한 전자 카드키의 기능으로 10에 12승 120억 분에 1 고유번호로 마이페어( Mifare ISO14443A) 13.56MHz 주파수 근접 식으로 기존에 대중교통카드와 일반 출입문 도어키 카드 등 다양하게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본 공영자전거 운영관리 기술에는 가입 특정회원들의 RF카드 한 장으로 수백억 개의 공영자전거의 고유ID번호 열쇠기능과 함께 공영자전거운영관리 사업에 필수적인 사후관리와 공정하고 투명한 관리기능이 없어, 합리적인 관리를 못 하고 제한된 공공자전거사업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시간에 제한 없이 주행거리에 따른 마일리지 포인트 가산방식만 제한적으로 일부 사용되었고 민간에 의한 관리는 정량적 측정 없이 직장단위 혹은 소규모단체에 형식적 운영으로 한계가 있었습니다.
자전거의 이용활성화를 위해 자치단체 혹은 직장단위에서 공공자전거를 일부에서 운영하는데 필수적으로 회원제 RFID 카드를 이용하여 한 장의 카드로 여러 공용자전거 열쇠기능으로 이용하기 위한 수단과 또한 주행거리 이용기록사항을 개인카드에 누적기록이 필요하게 됩니다. 본 공영자전거 이용에 따른 개인별 주행거리에 따라 저 탄소 배출권과 이용 장려금 동시에 사용요금을 정산하기 위해 관리상 필요하게 되는데, 정량적인 측정과 확인을 위하여 고유 카드 번호별로 마일리지 포인트 확인이 필요하고 또한 다른 여러 공영자전거를 반복적으로 사용 후에도 재합산 마일리지 포인트가 누적기록을 하여야 합니다. 또한, 공영자전거라 하여도 개인자전거처럼 연속적 재사용을 위해 제3의 공영자전거 회원이 일시적으로 이용이 제한되도록 예약 타이머기능이 필요하고 예약시간 동안은 사용 못 함에 따른 기회비용 혹은 인센티브 마일리지 포인트가 예약 시에는 감산 되어 RFID 카드에 마이너스 포인트를 감산 기록하여 많은 회원이 이용할 기회를 줄 수 있는 포인트에 대한 역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한편, 자동잠금장치(Self.Lock-Card.key)에는 블랙박스기능으로 자전거 주행사고분석과 이용자 기본정보가 기록되어 주행 상황 데이터기록으로 공영자전거의 책임 있는 관리를 유도하게 되며 공용으로 이용에 따른 손상 시에 필요한 조치를 보험회사에서 확인할 수 있는 관리기록장치가 자동잠금장치(Self.Lock-Card.key) 내에 별도의 메모리에 기록됩니다.
상기의 문제와 같이 공영자전거운영에는 공영열쇠로써 개인별 사용기록과 정확한 포인트 관리 또한 공영자전거의 유지관리와 실시간 위치추적관리가 필요합니다.
RFID 카드의 공영자전거 이용 고유 식별ID번호를 2단계 인식방식으로 A1234-123456789 - 14단위 중 앞 코드 5단위의 마스터 공영자전거 식별코드와 뒷번호 9단위로 구분하여 개인 고유번호로 식별 2 단계포맷을 통일화시켜 공영카드를 무인발권기에 자동발행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RFID 카드로 자전거 사용시작과 마감 시에 카드의 개인 고유번호와 주행데이터를 카드와 호환 확인하고 추가하여 합산하여 재기록하게 합니다.
공영자전거사용에서 가장 중요한 자전거를 업무용으로 연속으로 개인자가용 자전거처럼 재사용을 위한 예약 시에 예약타이머를 작동할 때는 마일리지 포인트는 감산처리 되도록 유닛 내의 메인CPU에서 마일리지 포인트를 연산 처리하여 최종 사용종료 시에 개인카드에 재기록하게 됩니다.
공영자전거 사용기록에 따른 마일리지 포인트는 개인이 소지한 RFID.Card 에 누적된 것을 관리 기관에서 설치한 지정 자전거주차장 주변에 관리등록용 키오스크에서 개인이 사용하는 RFID 카드를 확인에 따라 에너지관리공단 환경부 자치단체 등에서 저 탄소배출과 장려금으로 자전거이용 활성화 정책에 따른 추후 포인트 인센티브를 제공받게 됩니다. (예로 사용거리에 따라 월간 100km 이상일 때에 한하여 2만 원 상당에 대중교통카드에 충전을 받거나 학생들은 도서상품권 등으로 인센티브를 월정으로 받을 수 있는 정책 시행 시 )에 혜택을 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자전거주행에 따른 주행과 사고 상황을 감지하기 위하여 자동잠금장치(Self.Lock-Card.key) 내에 각종센서를 내장시켜 RTC(Real Time Clock)와 연계한 데이터를 날자 시간과 함께 메모리에 기록보관하여 자전거보험 사고상황을 조사 분석할 수 있어 저렴한 보험혜택을 제공하게 됩니다. 한편 공영자전거 사업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자전거를 자신의 자전거처럼 책임 있는 관리가 되며, 운영관리상에 광역권으로 분산 운영되는 공영자전거의 실시간 위치추적 확인이 필요하고 이용현황에 따라 재배치를 위한 위치확인용으로 자전거 시작과 종료할 때 Zig-B 무선 모듈에서 지정 주차대 주변 Zig-B 중계기와 RFID-Chip/Tag Reader에서 송수신 정보를 수집하여 통합센터에서 최종이용자별로 운행 기본사항 자료가 중앙관리 서버컴퓨터에 통계 및 기록 관리 운영됩니다.
우리 인류가 100년이상 사용한 대작의 자전거에 자동잠금장치(Self.Lock-Card.key)에 부과된 마일리지 포인트 관리 장치는 전 세계가 녹색환경 지구변화에 필수적으로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한 촉매적 장치입니다. 또한 24시간 반 무인화로 시민에 편익으로 저 탄소 녹색환경 마일리지 인센티브를 공정한 관리로 운영되어 삶에 질이 개선되는 전 세계적으로 요구되는 시스템입니다.
이용장려를 위해 인센티브와 이용료 가금을 병행하며 기존에 불편하게 소지하는 일반 열쇠형 잠금장치를 대체하는 간편하고 신뢰성 있는 자동잠금장치(Self.Lock-Card.key)로 개인용 자전거와 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공공자전거에 필수적 시스템입니다.
직장단위 단체로 구성하여 회원제로 공영으로 운영시 필수적인 재사용 예약타이머 기능이 있어 기존에 개인 자가용 장점으로 장소와 시간에 불편 없이 사용하고 유지관리및 보수는 공영단체에서 사후관리하게 됩니다. 또한, 블랙박스기능이 포함되어 자전거보험에 가입할 때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는 보험회사의 정책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등산.계단에서 골절되고 자전거보험으로 부정청구 사례)
공영자전거 운영에는 개인용 자전거에 자동잠금장치(Self.Lock-Card.key)만 부착하면 공영으로 가입한 회원 시민들 간에 자율적인 관리방법으로 유휴 중인 자원인 자전거의 이용률 공영으로 극대화하며 편도이용과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이용을 개인자전거보다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공영자전거의 수리 및 보관관리 등 운영에 제반 관리를 위탁한 관리단체가 정부지원하에 관리하는 사업은 사회사업 일자리 창출을 기할 수 있습니다.
본 장치를 활용하여 국내에서 기존의 약 1,000만대 자전거 중 약 10% 약 100만대가 공용으로 운영할 때는 교통혼잡 기회비용 23조 원 중 2조 원 절감 자원절약(교통비)3조원절약 환경개선(저 탄소배출) 5,000억 원 유휴자전거 자원이용률 향상 500억 원 (후한 인심) 국민건강증진으로 약 1조 원 등 삶에 질이 개선되고 의료 보험료 분담금 개선 등 사회적 기업 공영자전거 관리단체의 일자리 고용 창출(전국 약 1만 명) 등 약 3,000억 원 고용 창출 등 종합적으로 국가적인 경제파급효과 연간 약 8조 원 이상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총체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공영자전거 이용자에게 발급되는 RFID 카드(7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와, 공영자전거의 바퀴에 장착되는 자동잠금장치(21 ; Self.Lock-Card.Key)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은 RFID 카드(7)가 자동잠금장치(21)에 근접되면, 자동잠금장치(21)가 RFID 카드(7)의 마스터 고유 ID번호를 인증하고, 자동잠금장치(21)가 RFID 카드(7) 내에 충전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확인하게 되고, 자동잠금장치(21)의 공영 자전거(1)의 바퀴에 대한 록킹이 해제되며, 개인 고유번호가 자동잠금장치(21)의 메모리에 기록된 상태에서, 공영 자전거(1)가 주행할 수 있게 되며, 자동잠금장치(21)의 메인 컨트롤 유닛(15)에서 주행거리를 가산 포인트로 환산하고, 이용시간을 감산 포인트로 환산하여, 가산 포인트와 감산 포인트를 연산하며, 자동잠금장치(21)의 메인 컨트롤 유닛(15)에서 연산된 연산 마일리지 포인트가 자동잠금장치(21)의 메모리(17)에 저장되고, 일정시간 후에 재사용하고자 예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 컨트롤 유닛(15)에 포함된 RTC(16 ; Real-Time-Clock)의 예약설정스위치를 이용하여 예약할 수 있고, 제3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예약이 완료되면, 표시등(10)이 간헐적으로 깜박거려 제3자가 예약자전거로 구분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RFID 카드(7)에 기록된 마일리지 포인트가 예약시간에 따른 감산처리가 이루어지며, 공영 자전거(1)의 주행이 완료되어, 상기 RFID 카드(7)가 자동잠금장치(21)에 다시 근접되면, 자동잠금장치(21)의 메모리(17)에 저장된 연산 포인트가 RFID 카드(7)로 제공되어, 연산 포인트가 기존 RFID 카드(7)에 있던 마일리지 포인트와 연산됨으로써, RFID 카드(7)에 연산된 포인트가 기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RFID 카드(7)는 다음과 같이 발행된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반 무인으로 RFID 카드 발행기에서 개인신상정보입력 방법, 운전면허증(또는 주민등록증)을 스캔하여 문자인식하는 방법, 시중은행 은행카드로 M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휴대폰 번호입력에 의한 본인 인증 방법과 같은 4가지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으로 RFID 카드를 무인 발급받게 된다.
공영자전거(1)는 자동잠금장치(21 ; Self.Lock-Card.Key)를 부착하여 운영하게 된다. 자동잠금장치(21)는 메인 컨트롤 유닛(15)을 포함하고, 메인 컨트롤 유닛(15)에 장착된 사용시작 버튼(9)을 누르면, 슬립 모드 상태의 메인 컨트롤 유닛(15)이 작동대기 상태가 되고, 표시등(10)이 점등된다. 그리고, RFID 카드(7)를 메인 컨트롤 유닛(15)의 RFID 안테나(8)에 근접시키면, 메인 컨트롤 유닛(15)이 RFID 카드(7)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자동잠금장치(21)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로 신호를 출력하여 공영자전거의 록킹이 해제된다. 그리고, 공영자전거의 주행 종료 시에는 다시 RFID 카드(7)를 RFID 안테나(8)에 근접시키면, 주행한 시간과 거리에 비례하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재연산하여 초기에 카드에 있던 마일리지와 거리에 비례한 포인트가 누적된 데이터를 재합산하여 마일리지 누적 포인트를 RFID 카드(7)에 재기록하게 된다.
주행 종료 후, 일정시간 후에 재사용하고자 예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 컨트롤 유닛(15)에 포함된 RTC(16 ; Real-Time-Clock)의 예약설정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한번 터치하면 1시간, 2번 터치에 3시간, 3번 터치에 12시간, 4번 터치에 24시간 동안은 제3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예약을 하면, 표시등(10)이 간헐적으로 깜박거려 제3자가 예약자전거로 구분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일반적인 개인자가용 전용자전거처럼 사용을 할 수 있는 대신에 마일리지 포인트는 감산된다. 공영자전거에서는 마일리지 포인트가 예약시간에 따른 포인트가 감산 되어 마일리지 인센티브 장려금 등이 운영규정에 따라 감산 자동처리가 되어 사용 비용을 개인별로 추가부담도 할 수가 있게 된다.
주행거리에 따른 마일리지 포인트는 “예”로 1Km단위에 10포인트로 설정하고 이용 예약시간 1시간 단위에 마이너스 10포인트라고 할 때, 1시간을 초과하면 10포인트가 감산 되어 1시간에 1km 주행시는 0포인트가 되나 통상 자전거 주행속도가 15km/h 로 10km 을 1시간 내에 주행할 경우는 10 x 10=100포인트가 누적기록됩니다. 그러나 공영자전거를 집에 가지고 와 내일 아침에 출근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예약 주차를 12시간 시킬 때는 12 x 10 = 120포인트가 감산이 되어 월말에 포인트에 따라 공영자전거 사용료를 부담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운영규정을 정하는데 따라 최대의 예약시간은 24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예약된 자전거라도 24시간 후는 예약타이머가 공영으로 사용되도록 예약이 풀리게 되어 다른 회원이 임의사용하게 된다. 컨트롤 유닛 장치의 전원장치로 자전거 바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세라믹 압전소자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기전력이 DC-DC 다운 인버터를 거쳐 리튬 배터리(5)에 충전되며, 자전거 바퀴의 회전신호를 검출하여 메인 컨트롤 유닛(15)이 속도와 주행거리를 연산하는 한편, 주행에 따른 가속도센서(32)의 신호와 기울기 센서(33)의 신호, 충격센서(34)의 신호를 메인 컨트롤 유닛(15)이 동시 입력받으며, 메인 컨트롤 유닛(15)의 메모리(17)에 센서의 신호가 기록되어, 자전거 블랙박스 기능을 하게 된다.
메인 컨트롤 유닛(15)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하는 디스플레이 단말기(6)는 자전거 운전대에 탈부착 형으로 장착되어, 주행속도, 주행시간, 평균속도, 최고속도, 등이 표시되고, 주행정보와 주행에 따른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마일리지 포인트 데이터가 표시된다.
추가적 GPS 모듈은 별도의 주행위치 기록을 공영 자전거의 주행기록 사항을 저장하기 위해 옵션으로 추가될 수 있고, 메모리(17)에 기록하여 공영 자전거의 여행 경로를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자동잠금장치(21)는 공영 자전거의 뒷바퀴 지지대 상부에 부착되어, 후미 안전표시등과 같이 레이저 포인트 적색라인표시를 자전거 좌우 양쪽에서 앞뒤로 도로면에 스캐닝 방식으로 조사하여 차량과 보행자한테 레이저 적색 불빛으로 자전거주행에 따른 안전거리를 표시하는 안전표시 야간 안전 표시등으로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예방한다.
자동잠금장치(21)의 RFID 칩은 UHF 대역 914Mhz 주파수를 사용하며, 유비쿼터스 시대에 대비하여 자전거 주요통행로에 설치된 RFID 리더(RFID-Reader)가 최대 20m 내외로 주변을 통행하는 공영자전거의 고유번호를 검출하여, 중앙관리센터의 관리 서버 컴퓨터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공영 자전거의 운영 현황 데이터로 활용된다.
또한, 자동잠금장치(21)에는 무선 지그비 모듈이 구비되고, 공영 자전거의 사용시작과 완료 시점에 자동으로 자전거의 고유번호와 주행 일부 데이터를 지정주차 거치대 주변의 지그비 중계기를 통해 중앙관리센터의 관리 서버 컴퓨터로 송수신하여, 지역별로 공영자전거의 거치 현황을 중앙관리센터의 관리 서버 컴퓨터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사용을 완료하여 거치(주차)시에 많은 회원들이 공영자전거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지정 공영자전거 거치대 주변에 지그비(ZIG- B) 무선중계기로 거치(주차)된 공영자전거의 고유번호 데이터가 송수신 되어 거치(주차)된 공영자전거의 위치별 현황을 중앙관리센터에서 모니터링을 하게 되나 지그비(ZIG-B) 중계기가 설치되지 않은 외진 지역(지정거치지역 외 지역)에 공영자전거를 거치할 때는 공영자전거와 중계기간 통신이 안 될 때에는 이용완료 후, RFID 카드를 근접시킬 때, 상기 RFID 카드의 마일리지 포인트가 감산하도록 하여 공영자전거 이용 회원(이용자) 운영관리 규정을 준수에 따라 마일리지가 가감산되어 관리운영준수를 마일리지 포인트로 유도하여 효율적 관리를 수행하게 됩니다.
또한, 자동잠금장치(21)의 무선 지그비 모듈은 자전거의 사용시작과 완료시점에는 자동으로 자전거 고유번호와 주행 일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자전거의 주차 거치 된 분포를 거치대 지역별로 공영자전거 거치 현황을중앙 집중 관리센터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또한 지그비 모듈과 통신되는 지역일 때는 마일리지 포인트를 가산하고, 통신이 안 되는 지정 주차 거치지역이 아닌 외진 곳 들판 같은 곳에 거치시킬 때는 마일리지가 감산 되는 기능을 부과시킬 수 있어 공영자전거 운영상에 재분산배치 운영에 효율을 올리게 된다.
1 : 공영자전거 6 : 디스플레이 단말기
7 : RFID 카드 21 : 자동잠금장치
30 : 개인용 PC

Claims (5)

  1. 공영자전거 이용자에게 발급되는 RFID 카드(7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ard)와, 공영자전거의 바퀴에 장착되는 자동잠금장치(21 ; Self.Lock-Card.Key)로 구성되고,
    RFID 카드(7)가 자동잠금장치(21)에 근접되면, 자동잠금장치(21)가 RFID 카드(7)의 마스터 고유 ID번호를 인증하고, 자동잠금장치(21)가 RFID 카드(7) 내에 충전된 마일리지 포인트를 확인하게 되고, 공영 자전거(1)의 바퀴에 대한 자동잠금장치(21)의 잠금 록킹이 해제되며, 개인 고유번호가 자동잠금장치(21)의 메모리에 기록된 상태에서, 공영 자전거(1)가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자동잠금장치(21)의 메인 컨트롤 유닛(15)에서 주행거리를 가산 포인트로(일정비율) 환산하고, 이용시간(지연에 따라 일정비율)을 감산 포인트로 연산하여, 연산된 연산 마일리지 포인트가 자동잠금장치(21)의 메모리(17)에 저장되고, 일정시간 후에 재사용하고자 예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 컨트롤 유닛(15)에 포함된 RTC(16 ; Real-Time-Clock)의 예약설정스위치를 이용하여 예약할 수 있고, 공영 자전거(1)의 주행이 완료되어, 상기 RFID 카드(7)가 자동잠금장치(21)에 다시 근접되면, 자동잠금장치(21)의 메모리(17)에 저장된 연산 포인트가 RFID 카드(7)로 제공되어, 연산 포인트가 기존 RFID 카드(7)에 있던 마일리지 포인트와 재연산됨으로써, RFID 카드(7)에 연산된 포인트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영자전거(1)에는 가속도센서(32), 기울기 센서(33) 및 충격센서(34)가 장착되어, 주행에 따른 가속도센서(32)의 신호와 기울기 센서(33)의 신호, 충격센서(34)의 신호를 메인 컨트롤 유닛(15)이 동시 입력받으며, 메인 컨트롤 유닛(15)의 메모리(17)에 센서의 신호가 기록되어, 자전거 블랙박스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장치(21)에는 무선 지그비 통신모듈이 구비되고, 자전거의 사용시작과 완료 시에 카드를 근접시킬 때에 만 자전거의 고유번호 데이터를 지정주차 거치대 주변의 지그비 중계기와 통신하고, 다시 지그비 중계기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관리센터의 관리 서버 컴퓨터로 데이터를 중계하여 공영자전거의 거치 현황을 중앙관리센터의 서버컴퓨터에서 실시간으로 거치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이용자가 지정거치지역이 아닌 지그비 중계기가 설치안되는 외진지역에 거치 시킬때에는 통신 불통에 따른 운영규정에 따라 이용자 RFID 카드에 마일리지가 감산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카드(7)는 RFID 카드 발행기에 개인신상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발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영자전거 관리 시스템.
KR1020110047216A 2011-05-19 2011-05-19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KR101323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16A KR101323743B1 (ko) 2011-05-19 2011-05-19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16A KR101323743B1 (ko) 2011-05-19 2011-05-19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829A KR20110059829A (ko) 2011-06-07
KR101323743B1 true KR101323743B1 (ko) 2013-10-30

Family

ID=4439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216A KR101323743B1 (ko) 2011-05-19 2011-05-19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9-06 (주)바이콕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KR101896055B1 (ko) 2018-02-20 2018-09-06 (주)바이콕 모바일 인증을 이용한 이동수단 대여 및 보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213B1 (ko) * 2012-05-25 2014-04-09 주식회사 만도 전기 자전거 및 그 제어방법
KR102526289B1 (ko) * 2020-12-23 2023-04-2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LoRa 칩을 적용한 자전거 주행거리 측정용 하드웨어 단말기 제작 방법
KR102548263B1 (ko) * 2022-12-27 2023-06-28 라이트브라더스 주식회사 탄소 배출권에 기반한 매출 채권의 수익금 지급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413A (ko) * 2007-06-20 2007-07-3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파식별시스템을 구비한 잠금장치 및 전파식별시스템을구비한 이동수단
KR20090119382A (ko) * 2008-05-16 2009-11-19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공용 자전거 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8148A (ko) * 2008-12-12 2010-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전거 대여 관리를 위해 자전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자전거 대여 정보 관리 방법
KR20110007553A (ko) * 2009-07-16 2011-01-24 (주) 이니투스 자전거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8413A (ko) * 2007-06-20 2007-07-3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파식별시스템을 구비한 잠금장치 및 전파식별시스템을구비한 이동수단
KR20090119382A (ko) * 2008-05-16 2009-11-19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공용 자전거 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68148A (ko) * 2008-12-12 2010-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전거 대여 관리를 위해 자전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자전거 대여 정보 관리 방법
KR20110007553A (ko) * 2009-07-16 2011-01-24 (주) 이니투스 자전거 잠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32B1 (ko) 2018-02-02 2018-09-06 (주)바이콕 전자울타리를 활용한 특정지역 공공이동수단 대여 관리 시스템
KR101896055B1 (ko) 2018-02-20 2018-09-06 (주)바이콕 모바일 인증을 이용한 이동수단 대여 및 보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829A (ko) 201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993B (zh) 用于电动载具共享的装置、方法和物品
CN108140227B (zh) 用于电动载具共享的装置、方法和物品
EP3683781A1 (en) Parking space service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parking space state information
US8589216B2 (en) Intelligent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parking lot
CN103065370B (zh) 一种基于汽车环保电子标签的智能停车收费管理系统
CN108460472B (zh) 一种汽车在互联网中智能应用管理系统
KR101323743B1 (ko) 공영자전거 관리시스템
CN104966414A (zh) 智能停车管理方法与系统
JP5808148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10626195A (zh) 一种智能共享充电桩系统、使用方法及共享商业模式
JP2010119162A (ja) 課金システム
CN101206772A (zh) 不停车刷卡门禁管理系统
CN111047725A (zh) 平台营运车辆的etc通行费发票开具方法和系统
CN110299025A (zh) 基于网络技术和地理信息技术的城市内停车场管理系统
CN101799962A (zh) 一种公共自行车租车与还车控制方法
CN106611368A (zh) Gps车载终端及带有该终端的汽车租赁系统
CN202268005U (zh) 基于移动互联网和电子收费咪表的停车管理系统
JP5202813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CN204856606U (zh) 车辆保险计费管理系统
JP2004199163A (ja) コミュータの共用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20120084192A (ko) 공영 자전거관리시스템
CN106971428A (zh) 智能出行停车限行一卡通方法
CN1851755A (zh) 预付费、找零ic卡读写器、一卡通分系统及其实现方法
CN1838177A (zh) 预付费、找零ic卡读写器、一卡通分系统及其实现方法
KR20120046659A (ko) 자전거용 셀프 록- 카드 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