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990B1 -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990B1
KR102158990B1 KR1020200027205A KR20200027205A KR102158990B1 KR 102158990 B1 KR102158990 B1 KR 102158990B1 KR 1020200027205 A KR1020200027205 A KR 1020200027205A KR 20200027205 A KR20200027205 A KR 20200027205A KR 102158990 B1 KR102158990 B1 KR 102158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user
service providing
are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지원
Original Assignee
허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지원 filed Critical 허지원
Priority to KR1020200027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활성지역을 설정하는 활성지역 설정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진입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지하철 역사 내 개찰구 진입 및 진출 시 개찰구의 리더기에 결제용 내지 출입 승인용 카드를 가까이 위치시키기 위하여 멈출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되므로 개찰구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낮아질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SMART PAYMENT SYSTEM FOR SUBWAY}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 단말기와 서버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빠르고 편리한 이동 수단을 선호한다. 도로의 혼잡도가 낮은 지방에서는 자가용이 빠르고 편리한 이동 수단이 될 수 있다. 반면,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자가용으로 출퇴근할 경우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자가용은 이동을 원하는 이용자가 직접 운전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대중교통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면 자가용 이용의 실익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도시의 많은 사람들은 빠르고 편리하게 출퇴근할 수 있는 이동 수단인 지하철을 선호한다.
지하철은 대도시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이동 수단이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높다.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를 낮출 수 있다면, 지하철 승객들의 편익을 증진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하철 역사의 개찰구를 통과할 때 승객들이 잠시 멈추어야 되기 때문이다. 승객들은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개찰구 진입 및 진출 시 최소 2번을 멈추어야 한다. 환승 제도가 도입된 지하철 구간에서 환승할 경우에는 최소 3번 이상 멈추어야 할 수 있다. 멈춰서 개찰구의 리더기에 결제용 내지 출입 승인용 카드를 가까이 위치시켜야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하철 승객들이 많은 출퇴근 시간에는 개찰구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인원들이 한꺼번에 유입되어 병목현상이 심하게 발생한다.
만약, 승객들이 개찰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멈출 필요가 없다면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출퇴근 시간에는 개찰구 통과 시 멈추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될 필요성이 있다.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될 수 있는 방안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관련하여 거의 대부분의 지하철 승객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점을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되는 방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승객의 위치정보가 특정될 수 있어야 한다.
사람의 위치정보를 특정하는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이다. 그러나 지하철 역사는 실내인 경우가 많아 승객들의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GPS 기술을 활용하기 어렵다. GPS 위성에서 발생된 신호는 20,000 km가 넘는 대기를 통과하면서 매우 약해지기 때문에 건물 내부까지 침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하철 역사 내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하여 승객의 위치정보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2384호 '비콘 커버리지 다중화를 이용한 비콘 기반 신속 결제 시스템'에서는 이용자의 이동 경로에 비콘 커버리지를 단계적으로 다중화 설치하여 이용자가 해당 경로를 지나갈 때에 요금 결제가 체감적으로 신속히 달성되도록 하는 비콘 기반 신속 결제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비콘 기반 신속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비콘 커버리지를 단계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모든 지하철 역사 내 물리적인 비콘을 복수 개씩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9684호 '모바일 하이패스 교통 시스템'에서는 단말 장치, 단말 장치와 무선통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개찰구, 개찰구로부터 사용자 정보, 개찰구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용요금을 산출하는 교통공사 서버, 교통공사 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 개찰구 위치정보 및 이용요금을 수신하는 정산 서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개찰구 입구 및 출구에 배치된 통신부가 수신한 신호의 시간별 세기에 기초하여 승객이 개찰구를 어느 방향으로 통과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모바일 하이패스 교통 시스템' 역시 개찰구에 별도의 신호 수신 모듈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새로운 설비 또는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될 수 있다면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낮아져 승객들의 편익을 증진할 수 있다. 이용 정보의 정확성까지 담보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더욱 좋은 기술이 될 수 있다.
관련하여, 지구 자기장은 지구 어디에나 존재하고 실내에서도 측정될 수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스마트 단말기는 지구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여 승객들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방안의 적용을 고민할 수 있는 것이다. 특정 지하철 역사의 위치에 따른 지구 자기장의 특성 또는 지하철 역사 내의 철골 또는 철재 구조물들로 인한 지구 자기장의 변형을 활용하여 승객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지구 자기장만을 측정하여 지하철 승객들의 위치를 특정할 경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지구 자기장 자체가 때때로 변할 수 있으며,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끼치는 지하철 역사 내의 철골 또는 철재 구조물들이 바뀔 수 있다. 또한 거대한 철재 교통 수단인 지하철이 역사에 진입 또는 진출할 때 지구 자기장이 변형될 수 있다.
지구 자기장만에 의존한 지하철 승객 위치 특정이 부정확할 수 있는 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지하철 역사 내에는 수많은 WI-FI 신호 발생 장치들이 있고, 대부분의 스마트 단말기는 WI-FI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보완적으로 WI-FI 신호를 활용하여 승객들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방안의 부가적인 적용을 고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연구·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2384호 '비콘 커버리지 다중화를 이용한 비콘 기반 신속 결제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9684호 '모바일 하이패스 교통 시스템'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지하철 역사 내에 새로운 설비 또는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되어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를 낮출 수 있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사용자의 지하철 이용 정보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해 지구 어디에나 존재하고 실내에서도 측정될 수 있는 지구 자기장을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특정하되, 지구 자기장과 함께 WI-FI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하에서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활성지역을 설정하는 활성지역 설정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진입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활성지역은, 제1활성지역 및 제2활성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활성지역을 통과한 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2활성지역을 통과할 경우 활성화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며, 사용자가 제2활성지역을 통과한 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1활성지역을 통과할 경우 활성화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서비스 제공 지역은, 제1서비스 제공 지역, 제2서비스 제공 지역,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실시간으로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의 그리드를 나눈 후, 각각의 그리드 기준점에서 자기장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그리드 기준점의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 및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의 3차원 X, Y, Z 좌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K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부는, 사용자의 성명, 나이, 장애인 정보, 국가유공자 정보, 요금 결제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승차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기본 요금, 승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정보 송신부는,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기본 요금에 이용 구간에 따른 추가 요금을 더한 총 이용 요금, 하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의 총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가 제2서비스 제공 지역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통과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통과 결정부는, 사용자가 제2서비스 제공 지역을 통과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제2서비스 제공 지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의 변경을 반영하여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부는, 지하철역으로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데이터 저장부는,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WI-FI 지도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진입 판단부는,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의 진입 여부의 판단이 어려울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WI-FI 신호를 더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은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지하철 역사 내 개찰구 진입 및 진출 시 개찰구의 리더기에 결제용 내지 출입 승인용 카드를 가까이 위치시키기 위하여 멈출 필요가 없다.
2. 출퇴근 시간과 같이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간대에 개찰구 통과 시 멈추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되므로 출퇴근 시간에 흔히 볼 수 있는 개찰구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개찰구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낮아질 수 있다.
4. 지하철 역사 내에 새로운 설비 또는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도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에 내장된 센서를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5. 지하철 역사 내 자기장의 변화를 자기장 지도 데이터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이용 정보의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6. 자기장 지도 데이터에 보완적으로 WI-FI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방안의 부가적인 적용을 통해 사용자 이용 정보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여기에 직접적으로 기재되지 않은 효과라고 하더라도, 발명의 설명에 의해 예상되거나 기대되는 효과는 발명의 효과에 기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 활성지역 설정부, 및 사용자 진입 판단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제1활성지역, 제2활성지역을 포함하는 활성지역과 제1서비스 제공 지역, 개찰구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제1활성지역, 제2활성지역을 포함하는 활성지역과 제1서비스 제공 지역, 개찰구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의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K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 활성지역 설정부, 사용자 진입 판단부, 및 정보 송신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 활성지역 설정부, 사용자 진입 판단부, 정보 송신부, 및 정산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 활성지역 설정부, 사용자 진입 판단부, 정보 송신부, 정산부, 및 사용자 통과 결정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 활성지역 설정부, 사용자 진입 판단부, 정보 송신부, 정산부, 사용자 통과 결정부, 및 업데이트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제1활성지역, 제2활성지역을 포함하는 활성지역과 제1서비스 제공 지역, 개찰구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의 WI-FI 지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에서 '포함하다'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이 조합된 구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이들을 조합한 구성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하철 이용자들은 개찰구를 통과할 때마다 멈춰서 개찰구의 리더기에 결제용 내지 출입 승인용 카드를 가까이 위치시켜야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물리적인 카드 형태가 아닌 스마트 단말기 등에 내장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철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 등에 내장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지하철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은 별도의 물리적인 카드 등을 소지할 필요성이 없어 기존보다 편리하기는 하다. 그러나 여전히 개찰구의 리더기에 물리적인 카드 대신 스마트 단말기 등을 가까이 위치시켜야 개찰구를 통과할 수 있고, 이용 요금에 대한 결제가 승인된다.
고속도로에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들은 하이패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톨게이트에서 차량을 멈추지 않고 고속도로 이용 요금의 결제가 가능하다. 반면, 지하철 이용자들은 멈추지 않고 지하철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시스템에 대한 경험을 하지 못하고 있다. 지하철은 대도시의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동 수단 중 하나지만, 출퇴근 시간에는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높다.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를 낮출 수 있다면, 지하철 승객들의 편익을 증진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하철 역사의 개찰구(422)를 통과할 때 승객들이 잠시 멈추어야 되기 때문이다. 승객들은 이용 요금을 결제하기 위해 개찰구 진입 및 진출 시 최소 2번을 멈추어야 한다. 환승 제도가 도입된 지하철 구간에서 환승할 경우에는 최소 3번 이상 멈추어야 할 수 있다. 지하철 승객들이 많은 출퇴근 시간에는 개찰구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인원들이 한꺼번에 유입되어 병목현상이 심하게 발생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210), 활성지역 설정부(220), 및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0),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활성지역(300)을 설정하는 활성지역 설정부(220), 및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미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개찰구(422)의 리더기에 물리적인 카드나 스마트 단말기를 가까이 위치시키지 않아도 지하철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00)의 단말기 초기 사용 상태부터 내장된 모듈이나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곧바로 개찰구(422)에서의 멈춤 동작 없이 지하철 이용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개통 시 각각의 통신사마다 제공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도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스마트폰에 내장된 칩셋과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도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개찰구(422)에서의 멈춤 동작 없이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개찰구 진입 시 사용자들의 멈춤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목현상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를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에게 개찰구에서의 멈춤 동작 없이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찰구에서의 멈춤 동작 없이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의 구동을 위해서는 개찰구의 리더기가 소재하는 지하철역을 사용자의 위치로 특정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사용자가 어떤 지하철역에서 승차하는지를 특정하는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제1활성지역(310), 제2활성지역(320)을 포함하는 활성지역(300)과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개찰구(422)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제1활성지역(310), 제2활성지역(320)을 포함하는 활성지역(300)과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개찰구(422)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 역사 내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을 특정하고 해당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해당 지역의 자기장을 센싱하여 생성될 수 있다.
활성지역(300)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지역이다. 서비스 제공 지역(400)은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의 지하철 승차 또는 하차를 판단하고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정하는 지역이다. 활성지역(300)은 제1활성지역(310) 및 제2활성지역(320)으로 복수 개 설정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지역(400)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으로 복수 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활성지역(310)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과는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2활성지역(320)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및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과는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과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지하철 역사 내에 위치한 개찰구(422)를 포함하는 지역일 수 있다.
활성지역(300)을 설정하는 이유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지하철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매번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지하철 역사 내 활성지역(300)을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활성지역(300)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활성지역(300)의 자기장을 센싱하고 비활성화되어 있었던 스마트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데이터 저장부(210)로부터 미리 저장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될 경우 스마트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늘어나고 처리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는 기능도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1활성지역(310)을 통과한 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2활성지역(320)을 통과할 경우 활성화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며, 사용자가 제2활성지역(320)을 통과한 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1활성지역(310)을 통과할 경우 활성화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 지하철 역사 내에 진입하여 개찰구(422)를 통과하기까지 5분 이내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미리 정해진 시간은 5분 이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은 개찰구(422)를 포함하는 지역일 수 있으며,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은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의 일측에,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은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활성지역(310)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의 일측에, 제2활성지역(320)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지역 범위를 작게 설정한다면 지하철 역사 내에 진입하여 개찰구(422)를 통과하기까지 1분 이내의 짧은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하철 역사 내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은 1분 이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가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등일 경우에는 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 수 있으므로 미리 정해진 시간은 5분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개찰구(422)의 리더기에 카드나 스마트 단말기 등을 가까이 위치시키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철 역사 내에서 개찰구(422) 안으로 걸어가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찰구(422)의 리더기에 카드나 스마트 단말기 등을 가까이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멈추지 않고도,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을 결제하면서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출퇴근 시간에 흔히 볼 수 있는 개찰구(422)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를 낮출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하철역의 경우, 지하철역 내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과 멀지 않은 위치에서 큰 철골 구조물이라 할 수 있는 지하철이 수시로 진입한다. 이러한 지하철의 진입은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자기장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하철역에서 지하철 진입 주기는 통상 미리 정해져 있다. 지하철역에서 지하철 진입 주기는 하루 내내 일정한 경우도 있으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더 많은 지하철이 운행하여 지하철 진입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 지하철 운행 시간표를 기준으로 지하철이 진입할 때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자기장 데이터를 반영하여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포함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실시간으로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하철역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시간은 통상 미리 정해져 있으나, 사고가 나거나 특정 역에서 특정 지하철의 출발이 늦어져 그 뒤의 지하철들이 연쇄적으로 진입하는 시간이 늦어지는 등 다양한 요인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지하철이 지하철역에 진입하는 경우가 있다. 큰 철골 구조물이라 할 수 있는 지하철 진입 시간이 변경되면 이미 저장된 자기장 지도 데이터의 자기장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의 자기장이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센싱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 특정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지하철이 진입할 때,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실시간으로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반영하는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필요할 수 있다.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실시간으로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반영하는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 특정 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나 미리 정해진 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나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의 변화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여러 가지 형태의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정확하게 저장하고 있거나, 실시간으로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사용자의 위치 특정 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00) 소지 위치, 각각의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 진입한 세부적인 위치, 사용자의 이동 속도 및 이동 소요 시간, 개개의 사용자가 소지한 철골 소재의 물품 등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센싱된 자기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특정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WI-FI 지도 데이터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 여러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를 수집한 빅데이터의 경향성을 분석하여 특정 지하철역 내에서 가능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를 수집한 빅데이터의 경향성 분석을 하지 않더라도, 자기장 지도 데이터와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특정한 후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의 진입 여부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의 그리드를 나눈 후, 각각의 그리드 기준점에서 자기장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그리드 기준점의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 및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의 3차원 X, Y, Z 좌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성인의 평균 신장, 팔을 머리 위로 올렸을 때의 높이 등을 고려할 때 바닥부터 2.5m를 초과하는 지점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그 필요성이 낮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낮은 높이에서 소지하고 있을 수도 있으므로 바닥으로부터의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필요할 수 있다. 특정 지역의 경우 그리드를 타 지역보다 더 작은 크기로 나눌 필요성도 있을 수 있으나, 대체로 동일 크기의 그리드를 나눈 후 각각의 그리드 기준점에서 자기장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그리드 기준점의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로 충분할 수 있다.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와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의 3차원 X, Y, Z 좌표 데이터를 하나의 행 또는 복수의 행으로 구성하여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와 3차원 X, Y, Z 좌표 데이터를 하나의 행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의 데이터 처리가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K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은, K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의 진입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와 3차원 X, Y, Z 좌표 데이터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구성할 경우에 K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210)는 사용자의 성명, 나이, 장애인 정보, 국가유공자 정보, 요금 결제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성년자의 경우 요금 할인 혜택을,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또는 국가유공자 등에게는 요금 면제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지하철 역사에 오기 전이나 지하철 역사에 진입한 이후의 사용자의 추가적인 행위가 필요 없을 것이므로 지하철 이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지하철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하철 공사 등도 무인 승차권 발매기 등의 추가 설비 제공의 필요가 없어지므로 지하철 이용 서비스 원가 절감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또는 국가유공자 등이 이용할 수 있는 지하철 역사 내의 무인 승차권 발급기는 대부분 키오스크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이어서 디지털 소외층이 사용하기는 어려운 기기이다. 점자 표시가 있는 버튼이나 음성 서비스도 없는 경우가 많아 시각장애인은 사용이 불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사용자의 추가적인 행위가 없이 계속적인 지하철 무료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단말기 초기 사용 상태부터 내장된 모듈이나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성도 없다.
관련하여, 지하철 이용 요금 결제와 관련하여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등은 지하철 이용 요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현재 지하철 이용 시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등이 지하철 이용 요금을 면제받으려면 번거로운 절차를 경유하여야 한다. 주민센터 또는 복지센터에 가서 시니어패스나 장애인 교통카드를 신청하여 미리 발급받지 않으면, 지하철 역사 내에서 신분증이나 장애인등록증을 제시하여 1회용 카드를 발급받아야만 지하철 이용 요금을 면제받을 수 있다. 설사 주민센터 또는 복지센터에 가서 시니어패스나 장애인 교통카드를 신청하여 미리 발급받더라도 개찰구(422)를 통과하기 위해서 결국에는 리더기에 카드를 가까이 위치시켜야 한다.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지 않는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등에게는 어렵고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65세 이상 노인이나, 장애인 등이 개찰구(422)의 리더기에 카드나 스마트 단말기 등을 가까이 위치시키기 위해 멈추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민센터 또는 복지센터에 가서 시니어패스나 장애인 교통카드를 신청하여 미리 발급받지 않거나, 지하철 역사 내에서 신분증이나 장애인등록증을 제시하여 1회용 카드를 발급받지 않아도 무료로 지하철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210)는 사용자의 나이, 장애인 정보, 국가유공자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지역(300)에서 활성화될 경우에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에게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지하철 역, 지하철 역사 내 위치정보, 지하철 이용 안내 등을 시청각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지역(300)에서 활성화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활용하여 지하철 역사 내에서 음성 서비스를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장애인인 사용자가 활성지역(300)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이 활성지역(300)에서 활성화되면, 지하철 역사 내에서 근무하는 직원에게 장애인이 지하철 이용 예정이며, 현재 위치가 어디인지, 휠체어 탑승자인지, 도움이 필요한 사용자로 이미 등록된 자인지 등의 정보가 송신되어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이 별도로 호출하지 않아도 도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청각 장애인 사용자에게는 활성지역(300)부터 지하철 탑승 시까지 사용자의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방식의 정보 전달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의 순서로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210), 활성지역 설정부(220),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 및 정보 송신부(24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승차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 요금, 승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내에는 현재 지하철 시스템 상의 개찰구(422) 등의 사용자 출입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은 사용자가 지하철에 승차하기 위해 처음으로 진입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400)이다.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에 진입한 것만으로 지하철에 승차할 예정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실제로 승차할 사용자를 배웅하거나 마중하기 위해 또는 다른 사유로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에 진입한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또한 개찰구(422) 진입 전에 승차 의사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개찰구(422) 등의 사용자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하여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에 인접한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을 통과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지하철 승차 의사를 확실하게 표시하였다고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의 순서로 위치한 것이 확인된 것만으로 사용자가 지하철 승차 의사를 확실하게 표시한 것으로 간주할 경우에는 개찰구(422) 등의 사용자 출입 제어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 중 실제로 승차하기 위해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은 사용자까지 승차하였다고 판단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승차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승차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송신부(24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 요금, 승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기본 요금은 지하철 이용에 필요한 최소 요금을 의미한다. 승차역 정보는 특정 서비스 제공 지역(40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 정보를 가리킨다. 지하철 이용 정보는 기본 요금, 승차역 정보 외 지하철 이용에 필요한 정보 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차역 정보, 도착 시간 내지 소요 시간, 선택할 수 있는 이동 경로, 환승 정보, 환승에 편리한 승하차 위치, 총 이용 요금 정보, 요금 감면 정보, 지연이나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련 뉴스, 광고, 하차할 지하철역에서 사용자의 최종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광고와 관련하여 사용자 생활 정보 중 접근 가능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 광고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으며, 광고를 수신할 경우에는 광고 수신 실적에 따라 지하철 이용 요금의 감면 또는 무료 승차 쿠폰 등의 혜택을 제안할 수 있다. 사용자도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를 이용 조건에 따라 다른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송신할 경우,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지하철 내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만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광고를 수신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현장에서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의 순서로 통과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정보 송신부(240)는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 요금에 이용 구간에 따른 추가 요금을 더한 총 이용 요금, 하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더 송신할 수 있다.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은 사용자가 지하철을 하차한 이후 하차한 지하철역의 역사 밖으로 나가기 위해 처음으로 진입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400)이다.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에 진입한 것만으로 지하철 이용을 종료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개찰구(422) 등의 사용자 출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하여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에 인접한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을 통과한 경우에만 사용자가 지하철을 하차한 이후 하차한 지하철역 역사 밖으로 나가는 지하철 이용 종료 의사를 표시하였다고 인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의 순서로 위치한 것이 확인된 것만으로 사용자가 지하철 이용 종료 의사를 표시하였다고 할 경우에는 개찰구(422) 등의 사용자 출입 제어부 주변에 위치한 사람들 중 실제로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완전히 통과하지 않은 사용자까지 지하철 이용 종료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판단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하차하였으며 지하철 이용 종료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 이용 종료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판단되면 정보 송신부(24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본 요금에 이용 구간에 따른 추가 요금을 더한 총 이용 요금, 하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 요금은 이용 구간에 따라 기본 요금에 부가되는 요금이며, 총 이용 요금은 기본 요금과 추가 요금을 합한 금액이다. 하차역 정보는 특정 서비스 제공 지역(40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 정보를 가리킨다. 지하철 이용 정보는 추가 요금을 더한 총 이용 요금, 하차역 정보 외 지하철 이용에 필요한 정보 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차역 정보, 도착 시간 내지 소요 시간, 선택하였던 이동 경로, 환승 정보, 추가 요금 산정 근거, 요금 감면 정보, 요금 결제 정보, 지연이나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련 뉴스, 광고, 하차할 지하철역에서 사용자의 최종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210), 활성지역(300) 설정부(220),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 정보 송신부(240), 및 정산부(25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의 총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산부(250)는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의 순서로 통과하여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 이용 종료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총 이용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정산부(250)는 계산 결과를 정보 송신부(240)에 송신하고, 정보 송신부(24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송신부(240) 또는 정산부(250)로부터 총 이용 요금 정보를 수신하면 총 이용 요금을 실시간 결제, 선불 결제, 후불 결제, 이용 가능 횟수 차감 방식, 스마트 단말기 통신 요금 포함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금 결제 정보는 데이터 저장부(2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된 정보는 정보 송신부(240)나 정산부(250)에 송신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210), 활성지역(300) 설정부(220),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 정보 송신부(240), 정산부(250), 및 사용자 통과 결정부(26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통과 결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통과 결정부(260)는, 사용자가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은 개찰구(422) 등의 사용자 출입 제어부가 위치한 지역이다. 아무나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할 경우 무임 승차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할 때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100)를 소지하고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사용자가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을 통과하려고 시도할 경우 사용자 출입 제어부가 사용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의 경우 예외적으로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의 순서로 통과하면,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승차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저장부(210), 활성지역(300) 설정부(220),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 정보 송신부(240), 정산부(250), 사용자 통과 결정부(260), 및 업데이트부(27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의 변경을 반영하여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는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의 자기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에서 지구 자기장을 센싱하여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생성되면,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에 의해 각각의 지하철역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마다 다른 형태의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가 증축, 리모델링 공사나 기타 자기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철골 조형물의 도입 등에 의해 변경될 경우에는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생성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업데이트부(270)는, 지하철역으로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실내에서 지구 자기장을 센싱하여 자기장 지도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 실내 철골 구조가 변경되지 않으면 자기장 데이터가 크게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인 실내와 달리 지하철역의 경우, 지하철역 내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과 멀지 않은 위치에서 큰 철골 구조물이라 할 수 있는 지하철이 수시로 진입한다. 이러한 지하철의 진입은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자기장 데이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철역으로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지하철역에서 지하철 진입 주기는 일정한 경우도 있으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더 많은 지하철이 운행하여 지하철 진입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 지하철 운행 시간표를 기준으로 지하철이 진입할 때의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자기장 데이터를 반영하여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퇴근 시간에는 4분마다 지하철이 진입하고 출퇴근 시간 외에는 6분마다 지하철이 진입할 경우, 출퇴근 시간에는 4분마다, 출퇴근 시간 외에는 6분마다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270)에 업데이트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에서 제1활성지역(310), 제2활성지역(320)을 포함하는 활성지역(300)과 제1서비스 제공 지역(410), 개찰구(422)를 포함하는 제2서비스 제공 지역(420),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430)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WI-FI 지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210)는,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WI-FI 지도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진입 여부의 판단이 어려울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WI-FI 신호를 더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진입 여부의 판단이 어려울 수 있다. 태양 등 우주의 활동으로 인해 지구 자기장 자체가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운 특정 서비스 제공 지역(400)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210)에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WI-FI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여, WI-FI 지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완적으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공공시설에서 WI-FI AP 신호가 잡히지 않는 곳이 거의 없다. COEX와 같은 곳에는 대략 한 장소에서 100개 이상의 WI-FI AP의 신호가 보이고, 많은 곳에서는 500개 이상의 WI-FI AP 신호가 잡히곤 한다. 지하철 역사 내에는 수많은 WI-FI AP 신호가 있으며, WI-FI 지도 데이터를 보완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특정할 경우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400)으로의 진입 여부의 판단이 더 정확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데이터 저장부(210)에서 활성지역(300) 및 서비스 제공 지역(400)의 특정 위치에서 보이는 WI-FI AP 신호를 WI-FI 지도 데이터로 저장해 놓고, 사용자가 사용자 주변의 WI-FI AP 신호들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센싱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데이터를 송신하면 사용자 진입 판단부(230)에서 WI-FI 지도 데이터의 WI-FI AP 신호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Tanimoto 함수, cosine 유사도 판별 함수 등 위치 유사도 판단 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WI-FI 지도 데이터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외,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안, 1대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의 거리와 모양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안, 인간이 인지할 수 없는 비가청 대역의 소리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100)가 쌍방향 통신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안, 또는 광원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안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기(100)의 센서를 활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하는 방안이라면 사용자 이용 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보완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은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지하철 역사 내 개찰구(422) 진입 및 진출 시 개찰구(422)의 리더기에 결제용 내지 출입 승인용 카드를 가까이 위치시키기 위하여 멈출 필요가 없다.
2. 출퇴근 시간과 같이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시간대에 개찰구(422) 통과 시 멈추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되므로 출퇴근 시간에 흔히 볼 수 있는 개찰구(422)에서의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개찰구(422)의 병목현상을 방지하여 지하철 역사 내 혼잡도가 낮아질 수 있다.
4. 지하철 역사 내에 새로운 설비 또는 모듈을 추가하지 않고도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스마트 단말기에 내장된 센서를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이용 요금이 결제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5. 지하철 역사 내 자기장의 변화를 자기장 지도 데이터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이용 정보의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6. 자기장 지도 데이터에 의존한 사용자 위치 특정이 부정확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보완적으로 WI-FI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방안의 부가적인 적용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정보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 분야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서비스 제공 서버
210: 데이터 저장부
220: 활성지역 설정부
230: 사용자 진입 판단부
240: 정보 송신부
250: 정산부
260: 사용자 통과 결정부
270: 업데이트부
300: 활성지역
310: 제1활성지역
320: 제2활성지역
400: 서비스 제공 지역
410: 제1서비스 제공 지역
420: 제2서비스 제공 지역
422: 개찰구
430: 제3서비스 제공 지역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스마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에 대한 자기장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활성지역을 설정하는 활성지역 설정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진입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상기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 및
    상기 지하철역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상기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실시간으로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지역은,
    제1서비스 제공 지역, 제2서비스 제공 지역, 및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을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제1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3서비스 제공 지역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승차할 예정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본 요금, 승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송신부는,
    상기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이 위치한 특정 지하철역에서 지하철을 하차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기본 요금에 이용 구간에 따른 추가 요금을 더한 총 이용 요금, 하차역 정보, 및 지하철 이용 정보를 더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지하철역 내 철골 구조의 변경을 반영하여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업데이트부는,
    상기 지하철역으로 지하철이 진입하는 경우의 상기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변화된 자기장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성지역은,
    제1활성지역 및 제2활성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활성지역을 통과한 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2활성지역을 통과할 경우 활성화되었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며, 상기 사용자가 제2활성지역을 통과한 뒤 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제1활성지역을 통과할 경우 활성화되었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지도 데이터는,
    상기 활성지역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지역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에서 동일한 크기의 그리드를 나눈 후, 각각의 그리드 기준점에서 자기장 측정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된 상기 그리드 기준점의 그리드 자기장 데이터; 및
    상기 활성지역 및 상기 서비스 제공 지역의 바닥부터 2.5m 이내의 위치의 3차원 X, Y, Z 좌표 데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K -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의 성명, 나이, 장애인 정보, 국가유공자 정보, 요금 결제 정보, 및 사용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제3서비스 제공 지역 - 제2서비스 제공 지역 - 제1서비스 제공 지역의 순서로 통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총 이용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서비스 제공 지역을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 통과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통과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서비스 제공 지역을 통과할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사용자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제2서비스 제공 지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활성지역 및 서비스 제공 지역의 WI-FI 지도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진입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장으로 상기 서비스 제공 지역의 진입 여부의 판단이 어려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WI-FI 신호를 더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특정 지하철역 내 서비스 제공 지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KR1020200027205A 2020-03-04 2020-03-04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KR102158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05A KR102158990B1 (ko) 2020-03-04 2020-03-04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205A KR102158990B1 (ko) 2020-03-04 2020-03-04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990B1 true KR102158990B1 (ko) 2020-09-23

Family

ID=7270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205A KR102158990B1 (ko) 2020-03-04 2020-03-04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37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하이비 무접촉 방식의 모바일 티켓 서비스 방법
KR102497320B1 (ko) * 2021-09-17 2023-02-07 주식회사 티머니 카드 태그 없이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58A (ko) * 2012-09-11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상태 변화에 기초한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160123264A (ko) * 2016-10-05 2016-10-25 최옥재 자기장을 이용한 비콘 접근방향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결제시스템
KR20170075353A (ko) *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하차 시스템 및 방법
KR101862384B1 (ko) 2017-08-12 2018-05-29 (주)스마비스 비콘 커버리지 다중화를 이용한 비콘 기반 신속 결제 시스템
KR20190099992A (ko) * 2018-02-19 2019-08-28 김경식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KR101999684B1 (ko) 2018-01-11 2019-10-01 이성균 모바일 하이패스 교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58A (ko) * 2012-09-11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상태 변화에 기초한 측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KR20170075353A (ko) * 2015-12-23 2017-07-0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대중교통 승하차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3264A (ko) * 2016-10-05 2016-10-25 최옥재 자기장을 이용한 비콘 접근방향 산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및 결제시스템
KR101862384B1 (ko) 2017-08-12 2018-05-29 (주)스마비스 비콘 커버리지 다중화를 이용한 비콘 기반 신속 결제 시스템
KR101999684B1 (ko) 2018-01-11 2019-10-01 이성균 모바일 하이패스 교통 시스템
KR20190099992A (ko) * 2018-02-19 2019-08-28 김경식 스마트폰 통합측위를 활용한 지하철역 도착알림 및 역사 정보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37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하이비 무접촉 방식의 모바일 티켓 서비스 방법
KR102497320B1 (ko) * 2021-09-17 2023-02-07 주식회사 티머니 카드 태그 없이 교통요금을 징수하는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0846C2 (ru) Система пассажирских перевозок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летов в такой системе
CA2577491C (en) Guidance and security system for complex transport systems
ES220519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registrar tasas de vehiculos.
JP3806757B2 (ja) 切符を登録する方法とシステム
CA2822333C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processing a traffic offense and onboard-unit therefor
CN105745682B (zh) 包括驾驶员识别设备和驾驶员识别信号发送器的机动车
KR102158990B1 (ko) 지하철 스마트 결제 시스템
KR101078776B1 (ko) 지능형 택시 정보 시스템
US20130281124A1 (en) Method for the automated detection of the local position of a person
KR20170115073A (ko) 출입 통제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K288188B6 (sk) Dvojitý mýtny systém
KR102061074B1 (ko) 비콘을 활용한 요금 자동 징수 방법 및 시스템
CN106846880A (zh) 一种用于停车管理的高精度定位与位置匹配方法及系统
CN107274518A (zh) 一种智能锁系统及共享单车
US11978285B2 (en) Techniques for vehicle parking management and invitation-based permitting
JP2006250792A (ja) 経路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20398926A1 (en) Eliminating use of a mobile printing device in issuing a record of transaction activity information
JP7195044B2 (ja) 進入管理システム、及び進入管理方法
Annur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JP2003337966A (ja) 有料道路の通行料金課金処理方法、課金処理システム、有料道路の通行料金課金処理用の車載器及び路側機
US11955005B2 (en) Virtual gate system of connected traffic signals, dynamic message signs and indicator lights for managing traffic
JP2001307287A (ja) 交通量測定システム及び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
KR20150053655A (ko) 지하철 요금 정산을 위한 결제 서버 및 단말기
JP2019139469A (ja) 車載装置
US20210295630A1 (en) Check-in/be-out (cibo) and be-in/be-out (bibo) using mesh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