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906B1 -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906B1
KR102510906B1 KR1020160152390A KR20160152390A KR102510906B1 KR 102510906 B1 KR102510906 B1 KR 102510906B1 KR 1020160152390 A KR1020160152390 A KR 1020160152390A KR 20160152390 A KR20160152390 A KR 20160152390A KR 102510906 B1 KR102510906 B1 KR 10251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transistor
signal
inductor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061A (ko
Inventor
전호연
유화열
이승규
김은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906B1/ko
Priority to US15/651,448 priority patent/US10727733B2/en
Priority to TW106125651A priority patent/TWI737778B/zh
Priority to CN201711133025.9A priority patent/CN108075662B/zh
Publication of KR2018005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09Devices or circuits for detecting current in a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02M1/08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for the simultaneous control of series or parallel 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Logic Circuit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반도체 장치는, 전원 전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인덕터; 상기 전원 전압과 상기 인덕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상기 전류 량에 따른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센싱 회로;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P(Application Processor)에 전원을 제공하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는 그 내부의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초과 전류 보호(over current protection)을 수행한다. AP가 동작하는 중에 초과 전류(over current)가 발생한 경우, PMIC는 AP에 제공하는 전류의 양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런데 이로 인해 AP의 구동 전압에 강하가 발생하여 전압 레벨이 AP가 동작하기 위한 최소 전압보다 낮아지게 되면, AP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PMIC는 배터리 혹은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AP의 요구 조건에 부합하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벅 컨버터(buck converter)를 비롯한 DC-DC 컨버터 또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PMIC는 예컨대 벅 컨버터에 대해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면서도, 벅 컨버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AP의 동작이 중단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벅 컨버터에 대해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면서도 AP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벅 컨버터에 대해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면서도 AP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반도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원 전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인덕터; 전원 전압과 인덕터 사이에 연결되고, 전원 전압을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인덕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접지 전압을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전류 량에 따른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센싱 회로; 및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전원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제1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접지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를 게이팅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는 제3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제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제3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되어 제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 및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고, 제1 출력 신호는 제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은, 전원 전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인덕터; 전원 전압과 인덕터 사이에 연결되고, 전원 전압을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인덕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접지 전압을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전류 량에 따른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센싱 회로;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출력 신호를 AP(Application Processor)에 제공하는 제1 비교기; 및 AP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그 동작 환경이 변화하는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은,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전원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제1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접지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를 게이팅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는 제3 트랜지스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제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제3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되어 제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출력 신호를 AP(Application Processor)에 제공하는 제2 비교기; 및 AP 내부에 배치되고,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그 동작 환경이 변화하는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제1 출력 신호는 제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류 센싱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류 센싱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류 센싱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100), LC 회로(200) 및 AP(Application Processor)(300)를 포함한다.
PMIC(100)는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AP(300)에 구동 전압을 제공한다. 그리고 PMIC(100)는 구동 전압을 제어하여 AP(300)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AP(300)는 모바일 운영 체제 환경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이다. AP(300)는 프로세싱 코어,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현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AP(300)가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동 전압의 크기는 PMIC(100)가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전압의 크기보다 낮다. 따라서 PMIC(100)는 배터리 또는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받는 전원 전압을 AP(300)가 동작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압 컨버터(혹은 전압 레귤레이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컨버터(110)를 구현하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벅 컨버터(buck converter)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압 컨버터(100)는 벅 컨버터를 다양하게 변형한 컨버터 회로 또는 벅 컨버터와 무관한 다른 형태의 컨버터 회로까지도 포함할 수 있다.
벅 컨버터는 DC-DC 컨버터이다. 벅 컨버터는 일반적으로 스위치를 포함하며, 출력 전압을 필터링하기 위한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포함한다. 개념적으로는 PMIC(100) 내에 벅 컨버터가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벅 컨버터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덕터와 캐패시터는 회로 기판에 LC 회로(200)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는 PMIC(100)의 내부(즉, 전압 컨버터(110))와 외부(즉, LC 회로(200))에 걸쳐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LC 회로(200)는 구현 방식에 따라 PMIC(100) 내부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해당 기술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상기 내용은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은 트랜지스터(P1, N1),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게이트 구동 회로(116), 전류 센싱 회로(118) 및 비교기(120)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1)은 인덕터(L) 및 캐패시터(C)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P1)는 전원 전압(VIN)과 인덕터(L) 사이에 연결되고, 전원 전압(VIN)을 인덕터(L)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P1)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N1)는 트랜지스터(P1)와 직렬로 연결되고, 인덕터(L)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접지 전압을 인덕터(L)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N1)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터(L)는 전원 전압(VIN)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한다. 구체적으로, 인덕터(L)는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에 의해 턴 온과 턴 오프를 반복하는 트랜지스터(P1)를 통해 전원 전압(VIN)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덕터(L)는 트랜지스터(P1)가 턴 온되면 전원 전압(VIN)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그 내부에 저장하고, 트랜지스터(P1)가 턴 오프되고 트랜지스터(N1)이 턴 온되면 저장해 두었던 에너지를 디스차지(discharge)한다.
변조기(112)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트랜지스터(P1, N1)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114)에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변조기(112)는 원하는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갖는 변조 신호를 제어 회로(114)에 제공한다.
제어 회로(114)는 변조기(112)로부터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게이트 구동 회로(116)를 제어한다. 한편, 게이트 구동 회로(116)는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 N1)에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는 전원 전압(VIN)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를 인덕터(L)에 저장하기 위해, 듀티 사이클에 따라 트랜지스터(P1)를 선택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한다. 한편,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는 인덕터(L)에 저장된 에너지를 디스차지하기 위해, 듀티 사이클에 따라 트랜지스터(N1)를 선택적으로 턴 온 및 턴 오프한다.
디스차지는 로드(load)를 통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로드는 AP(300)가 될 수 있다. 이 때 출력 전압(VOUT)은 전원 전압(VIN)보다 낮을 수 있다.
비교기(120)는 인덕터(L)의 출력 전압(VOUT)과 기준 전압(VREF2)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변조기(112)에 피드백 제공한다. 즉, 비교기(120)는 출력 전압(VOUT)이 기준 전압(VREF2)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를 검출하고, 인덕터(L)를 흐르는 전류가 초과 전류가 될 수 있다는 정보를 변조기(112)에 전달한다. 변조기(112)는 출력 전압(VOUT)과 기준 전압(VREF1)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1)를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그 전류 량에 따른 출력 신호(CS_OUT)를 생성한다. PMIC(100)는 출력 신호(CS_OUT)를 이용하여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P1)를 통과하는 전류 량이 특정 기준 전류 량을 초과하는 경우, 출력 신호(CS_OUT)는 변조기(112)에 피드백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는 로드(즉,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는 경우, AP(300)의 구동 전압에 강하가 일어날 수 있다. 전압 강하 량이 큰 경우, AP(30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 외에 AP(300)의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초과 전류 보호 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2)은 PMIC(100), LC 회로(200) 및 AP(300)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PMIC(100)에 구비된 전압 컨버터(110)로부터 출력 신호(OCP) 및 출력 신호(OCP_W)가 PMIC(100) 외부로 출력된다는 점이다.
PMIC(100) 외부로 출력된 출력 신호(OCP) 및 출력 신호(OCP_W)는 AP(300)에 제공되어, AP(300)가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자체적으로 스로틀링(throttling)을 하거나,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로틀링은 예를 들어 AP(300)에 구비된 프로세싱 코어를 구동하는 클럭 신호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과 전류가 검출된 경우 AP(300)는 클럭 신호를 분주하거나 클럭 게이팅을 수행하여 동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성능 제어는 예를 들어 AP(300)에 구비된 프로세싱 코어가 처리하는 인스트럭션의 개수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과 전류가 검출된 경우 AP(300)는 로드(load)/스토어(store) 인스트럭션을 일정 개수 이하로만 처리하거나, 그 외 다른 인스트럭션의 처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감소시키면,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2)이 도 2의 반도체 시스템(1)과 다른 점은, 출력 신호(CS_OUT)가 변조기(112)에 피드백 입력되지 않고 비교기(122, 124)에 입력된다는 점이다.
비교기(122)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REF)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를 생성하고, 비교기(124)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OCP_REF, OCP_W_REF)는 구현 목적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전압 레벨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기준 신호(OCP_W_REF)의 전압 레벨은 기준 신호(OCP_REF)의 전압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이 초과 전류의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에 도달한 경우, 반도체 시스템(2)은 출력 신호(OCP)보다 출력 신호(OCP_W)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MIC(100)로부터 출력 신호(OCP_W)를 먼저 수신한 AP(300)는 초과 전류 보호를 위해 자체적으로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가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가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한 경우, AP(300)는 PMIC(100)로부터 출력 신호(OCP)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AP(300)는 프로세싱 코어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과 같은 더 강력한 방식으로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전류 센싱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출력 신호(CS_OUT)를 생성하며,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2, P3) 및 비교기(130)을 포함한다. 도 5에서 노드(A)는 도 4의 노드(A)와 동일하다.
트랜지스터(P2)는 전원 전압(VIN)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P1)와 마찬가지로 제어 회로(114)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트랜지스터(P1) 및 트랜지스터(P2)는 커런트 미러(current mirro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트랜지스터(P1, P2)를 축으로 하는 커런트 미러를 도시하였으나, N 개의 트랜지스터(N은 3 이상의 자연수)를 이용하여 커런트 미러를 구현할 수도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비교기(130)는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 및 트랜지스터(P2)의 드레인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P3)는 트랜지스터(P2)와 직렬 연결되고, 비교기(130)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된다. 비교기(130) 및 트랜지스터(P3)는 일종의 전류-전압 컨버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 신호(CS_OUT)는 트랜지스터(P3)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된다. 비교기(122)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REF)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를 생성하고, 비교기(124)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기준 신호(OCP_W_REF)의 전압 레벨은 기준 신호(OCP_REF)의 전압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이 초과 전류의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에 도달한 경우, 반도체 시스템(2)은 출력 신호(OCP)보다 출력 신호(OCP_W)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3)은 PMIC(100), LC 회로(200) 및 AP(300)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PMIC(100)에 구비된 전압 컨버터(110)로부터 출력 신호(OCP_W)만이 PMIC(100) 외부로 출력된다는 점이다.
PMIC(100) 외부로 출력된 출력 신호(OCP_W)는 AP(300)에 제공되어, AP(300)가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자체적으로 스로틀링을 하거나,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감소시키면,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3)이 도 4의 반도체 시스템(2)과 다른 점은, 출력 신호(CS_OUT)가 변조기(112)에 피드백 입력됨과 동시에 비교기(124)에도 입력된다는 점이다.
비교기(124)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OCP_W_REF)는 구현 목적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전압 레벨 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이 초과 전류의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에 도달한 경우, 반도체 시스템(3)의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가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PMIC(100)는 외부로 출력 신호(OCP_W)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MIC(100)로부터 출력 신호(OCP_W)를 먼저 수신한 AP(300)는 초과 전류 보호를 위해 자체적으로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가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가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한 경우,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는 로드(즉,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하지 않음으로써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전류 센싱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출력 신호(CS_OUT)를 생성하며,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2, P3) 및 비교기(130)을 포함한다.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 신호(CS_OUT)는 트랜지스터(P3)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된다. 비교기(124)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이 초과 전류의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에 도달한 경우, 반도체 시스템(3)의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가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PMIC(100)는 외부로 출력 신호(OCP_W)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4)은 PMIC(100), LC 회로(200) 및 AP(300)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PMIC(100)에 구비된 전압 컨버터(110)로부터 서로 다른 전압 레벨에 의해 출력되는 시점이 다른 복수의 출력 신호(OCP_W1, OCP_W2, OCP_W3)가 PMIC(100) 외부로 출력된다는 점이다.
PMIC(100) 외부로 출력된 출력 신호(OCP_W1, OCP_W2, OCP_W3)는 AP(300)에 서로 다른 시점에 제공되어, AP(300)가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보다 세밀하게 자체적으로 스로틀링을 하거나,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OCP_W1)를 먼저 수신한 AP(300)는 낮은 강도의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할 수 있고, 출력 신호(OCP_W1) 다음으로 출력 신호(OCP_W2)를 수신한 AP(300)는 중간 강도의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출력 신호(OCP_W2) 다음으로 출력 신호(OCP_W3)를 수신한 AP(300)는 높은 강도의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감소시키면,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4)이 도 7의 반도체 시스템(3)과 다른 점은, 출력 신호(CS_OUT)가 변조기(112)에 피드백 입력됨과 동시에 비교기(124, 126, 128)에도 입력된다는 점이다.
비교기(124)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1)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1)를 생성하고, 비교기(126)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2)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2)를 생성하고, 비교기(128)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3)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3)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준 신호(OCP_W_REF1, OCP_W_REF2, OCP_W_REF3)는 구현 목적에 따라 설정 가능한 전압 레벨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기준 신호(OCP_W_REF1)의 전압 레벨은 기준 신호(OCP_REF2)의 전압 레벨보다 낮을 수 있고, 기준 신호(OCP_W_REF2)의 전압 레벨은 기준 신호(OCP_REF3)의 전압 레벨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이 초과 전류의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에 도달한 경우, 반도체 시스템(3)의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가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PMIC(100)는 외부로 출력 신호(OCP_W1, OCP_W2, OCP_W3)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PMIC(100)는 가장 낮은 기준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OCP_W1)를 출력한 후 중간 기준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OCP_W2)를 출력할 수 있고, 그 후 높은 기준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OCP_W3)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신호(OCP_W1)를 먼저 수신한 AP(300)는 낮은 강도의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할 수 있고, 출력 신호(OCP_W1) 다음으로 출력 신호(OCP_W2)를 수신한 AP(300)는 중간 강도의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다. 나아가 출력 신호(OCP_W2) 다음으로 출력 신호(OCP_W3)를 수신한 AP(300)는 높은 강도의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가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충분히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상기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가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충분히 감소시키지 못한 경우,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는 로드(즉,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하지 않음으로써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0의 전류 센싱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출력 신호(CS_OUT)를 생성하며, 전류 센싱 회로(118)는 트랜지스터(P2, P3) 및 비교기(130)을 포함한다.
초과 전류 보호를 수행하기 위한 출력 신호(CS_OUT)는 트랜지스터(P3)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된다. 비교기(124)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1)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1)를 생성하고, 비교기(126)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2)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2)를 생성하고, 비교기(128)는 출력 신호(CS_OUT)와 기준 신호(OCP_W_REF3)를 비교하여 출력 신호(OCP_W3)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을 통과하는 전류 량이 초과 전류의 제1 기준보다 낮은 제2 기준, 제3 기준, 제4 기준에 도달한 경우, 반도체 시스템(3)의 변조기(112), 제어 회로(114) 및 게이트 구동 회로(116)가 AP(300)에 추가적인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기 전에, PMIC(100)는 외부로 출력 신호(OCP_W1, OCP_W2, OCP_W3)를 먼저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에서 AP(300)는 프로세싱 코어(310)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컴포넌트 회로(320)를 포함한다.
클럭 컴포넌트 회로(320)는 PMIC(100)로부터 수신되는 출력 신호(OCP_W)에 따라 클럭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과 전류가 검출된 경우 클럭 컴포넌트 회로(320)는 클럭 신호를 분주하거나 클럭 게이팅을 수행하여 동작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감소시키면,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12에서 클럭 컴포넌트 회로(320)가 PMIC(100)로부터 하나의 출력 신호(OCP_W)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클럭 컴포넌트 회로(320)가 PMIC(100)로부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출력 신호(OCP)를 추가로 수신하거나, 복수의 출력 신호(OCP_W1, OCP_W2, OCP_W3)를 수신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싱 코어(310)는 출력 신호(OCP_W)에 따라 상기 프로세싱 코어(310)의 성능을 제어하는 성능 제어 유닛(330)을 더 포함한다.
성능 제어 유닛(330)은 프로세싱 코어(310)가 처리하는 인스트럭션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과 전류가 검출된 경우 성능 제어 유닛(330)은 로드(load)/스토어(store) 인스트럭션을 일정 개수 이하로만 처리하거나, 그 외 다른 인스트럭션의 처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AP(300)가 소모하는 전류 량을 감소시키면, AP(300)의 정상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초과 전류 상황을 벗어날 수 있다.
도 13에서 성능 제어 유닛(330)이 PMIC(100)로부터 하나의 출력 신호(OCP_W)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성능 제어 유닛(330)이 PMIC(100)로부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출력 신호(OCP)를 추가로 수신하거나, 복수의 출력 신호(OCP_W1, OCP_W2, OCP_W3)를 수신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PMIC 200: LC 회로
300: AP

Claims (20)

  1. 전원 전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인덕터;
    상기 전원 전압과 상기 인덕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상기 전류 량에 따른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센싱 회로;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외부의 AP(Application Processor)로 제공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2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는 상기 변조기에 입력되는 반도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3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4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게이팅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3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되어 제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외부의 AP(Application Processor)로 제공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는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2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는 상기 변조기에 입력되는 반도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3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4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4 비교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9. 전원 전압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인덕터;
    상기 전원 전압과 상기 인덕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인덕터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는 전류 량을 센싱하고, 상기 전류 량에 따른 제1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센싱 회로;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외부의 AP(Application Processor)에 제공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프로세싱 코어 및 상기 프로세싱 코어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컴포넌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럭 컴포넌트 회로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를 제어하는 반도체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코어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싱 코어의 성능을 제어하는 성능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2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스로틀링 또는 상기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는 상기 변조기에 입력되는 반도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3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4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 및 상기 제4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스로틀링 또는 상기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시스템.
  15.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 전압을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1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와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 전압을 상기 제1 노드에 제공하는 제2 트랜지스터;
    상기 전원 전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게이팅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에 의해 게이팅되는 제3 트랜지스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상기 제3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제1 비교기;
    상기 제3 트랜지스터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게이팅되어 제1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제4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2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외부의 AP(Application Processor)에 제공하는 제2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는 상기 제4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의 전압 레벨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스로틀링 또는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프로세싱 코어 및 상기 프로세싱 코어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 컴포넌트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럭 컴포넌트 회로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 신호를 제어하는 반도체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코어는 상기 제2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로세싱 코어의 성능을 제어하는 성능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2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3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3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스로틀링 또는 상기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수행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에 변조 신호를 제공하는 변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 신호는 상기 변조기에 입력되는 반도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신호와, 제1 기준 신호와 전압 레벨이 다른 제3 기준 신호를 비교하여 제4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4 비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AP는 상기 제2 출력 신호 및 상기 제4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초과 전류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스로틀링 또는 상기 성능 제어를 수행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20160152390A 2016-11-16 2016-11-16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KR10251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90A KR102510906B1 (ko) 2016-11-16 2016-11-16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US15/651,448 US10727733B2 (en) 2016-11-16 2017-07-17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
TW106125651A TWI737778B (zh) 2016-11-16 2017-07-31 半導體裝置及過電流保護的設備
CN201711133025.9A CN108075662B (zh) 2016-11-16 2017-11-15 半导体装置以及过电流保护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390A KR102510906B1 (ko) 2016-11-16 2016-11-16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061A KR20180055061A (ko) 2018-05-25
KR102510906B1 true KR102510906B1 (ko) 2023-03-15

Family

ID=6210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390A KR102510906B1 (ko) 2016-11-16 2016-11-16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27733B2 (ko)
KR (1) KR102510906B1 (ko)
CN (1) CN108075662B (ko)
TW (1) TWI7377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12356B (zh) * 2020-12-18 2022-07-08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供电方法、系统、设备以及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7714A1 (en) 2004-05-19 2006-01-12 Lei Hua Dual mode over-current protection for switching mode power converter
JP2012023952A (ja) 2010-07-13 2012-02-02 O2 Micro Inc Dc/dcコンバータを制御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US20140292292A1 (en) 2013-04-01 2014-10-02 Qualcomm Incorporated Voltage regulator over-current protection
JP2016001979A (ja) * 2014-05-20 2016-01-07 株式会社リコー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20160276932A1 (en) 2015-03-20 2016-09-22 Qualcomm Incorporated Charge Shedding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066B1 (en) 2000-05-05 2003-10-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crowbar protection in a shunt regulator
JP3833558B2 (ja) 2002-03-25 2006-10-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790885B (zh) * 2004-08-30 2011-05-04 美国芯源系统股份有限公司 控制dc/dc开关式电压调节器中短路电流的方法和设备
US7689851B2 (en) * 2006-10-27 2010-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miting power state changes to a processor of a computer device
WO2009076545A1 (en) 2007-12-11 2009-06-18 Primarion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 supply
US8654483B2 (en) 2009-11-09 2014-02-18 Cirrus Logic, Inc. Power system having voltage-based monitoring for over current protection
TWM389996U (en) 2010-05-17 2010-10-01 Richpower Microelectronics Switching regulator control circuit
US8456147B2 (en) * 2010-12-03 2013-06-04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User-configurable, efficiency-optimizing, calibrated sensorless power/energy conversio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a serial communications interface
JP2014048972A (ja) * 2012-08-31 2014-03-17 Fujitsu Ltd 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消費電力管理方法
CN103618453A (zh) * 2013-11-27 2014-03-05 苏州贝克微电子有限公司 一种开关稳压电路
KR102194973B1 (ko) * 2014-01-28 202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압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장치
JP6445348B2 (ja) * 2015-02-24 2018-12-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5226943B (zh) * 2015-07-07 2018-07-31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电源变换器及开关电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7714A1 (en) 2004-05-19 2006-01-12 Lei Hua Dual mode over-current protection for switching mode power converter
JP2012023952A (ja) 2010-07-13 2012-02-02 O2 Micro Inc Dc/dcコンバータを制御するための回路および方法
US20140292292A1 (en) 2013-04-01 2014-10-02 Qualcomm Incorporated Voltage regulator over-current protection
JP2016001979A (ja) * 2014-05-20 2016-01-07 株式会社リコー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US20160276932A1 (en) 2015-03-20 2016-09-22 Qualcomm Incorporated Charge Shedd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8806A1 (en) 2018-05-17
US10727733B2 (en) 2020-07-28
TWI737778B (zh) 2021-09-01
CN108075662A (zh) 2018-05-25
KR20180055061A (ko) 2018-05-25
TW201824512A (zh) 2018-07-01
CN108075662B (zh)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596B2 (en) Power supply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a stable converted voltage
JP6785736B2 (ja) 電圧調整器の出力のアンダーシュートを低減する電子回路
KR100706239B1 (ko) 대기모드에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압레귤레이터
JP2009518730A (ja) 低電圧トランジスタを使用する高電圧電力スイッチ
US8975776B2 (en) Fast start-up voltage regulator
EP1026689B1 (en) Voltage down converter with switched hysteresis
KR102321012B1 (ko) 소비전력 저감형 전력변환장치
JP4673350B2 (ja) 直流電源装置
KR102510906B1 (ko) 반도체 장치 및 시스템
KR20190129390A (ko) 전력 컨버터 및 전력 컨버터의 데드-타임 제어 회로
US10523104B2 (en) Power transistor bias circuit
US10811972B2 (en) Buck-boost converter power supply with drive circuit
CN110574273B (zh) 控制电路以及理想二极管电路
US9407087B2 (en) Over 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electronic system for handling hot plug
KR102403285B1 (ko) 역전류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급 전원 안정화 장치
US11888399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JP6530226B2 (ja) 電圧レギュレータ、半導体装置、及び電圧レギュレータの電圧生成方法
KR101414712B1 (ko) Dc-dc 컨버터 시스템
JP2001109528A (ja) 電圧発生回路
JP5482419B2 (ja) レギュレータ用半導体集積回路
US9520787B2 (en) Voltage regulator device having negative current sens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80024A (ko) 전력 회로 및 전력 회로의 동작 방법
JP2023072494A (ja) 駆動回路、電源制御装置、スイッチング電源
JPWO2020095748A1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20130132001A (ko) 소형 휴대기기용 dc-dc 변환기를 위한 전압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