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658B1 -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658B1
KR102510658B1 KR1020210074279A KR20210074279A KR102510658B1 KR 102510658 B1 KR102510658 B1 KR 102510658B1 KR 1020210074279 A KR1020210074279 A KR 1020210074279A KR 20210074279 A KR20210074279 A KR 20210074279A KR 102510658 B1 KR102510658 B1 KR 10251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ides
carriage body
chain rai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530A (ko
Inventor
정용현
문주현
Original Assignee
문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주현 filed Critical 문주현
Priority to KR102021007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6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64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길이의 후렉시블가이드(1)와;,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본체(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는 일정길이의 체인레일(11)과, 상기 체인레일(11)길이선상으로 여러개 설치되면서 그 상,하부로 가이드플레이(13(13')와 마그네틱(15)이 내장된 고정플레이트(14)(14')를 가지는 가이드블록(12)으로 구성하고,
상기 캐리지본체(2)는 하부 중심부에 마련하는 이동통로(2')와, 상기 이동통로(2') 양측 벽체(21)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부로 가이드블록(12)의 양측 가이드플레이트(13)(13')가 경유되게 한 이송블록(22)(22')과, 캐리지본체(2)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체인레일(11)과 치합하는 구동모터(m)를 가지는 구동기어(23)와, 캐리지본체(2) 양측면으로 설치하는 전/후 이동바퀴(24)(2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에 의한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직선과 곡선구간을 자요롭게 주행 및 용접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캐리지본체의 주행을 안내하는 후렉시블가이드의 이용편의를 극대화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multi automatic welding carriage system}
본 발명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직선과 곡선구간을 자요롭게 주행 및 용접도모하는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선박 또는 플렌트 제조를 위한 다양한 규모의 벽체 작업은 통상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위치시킨 두개 이상의 모재를 작업자가 용접결합하여 완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 상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 그리고 시간의 낭비가 심하였고 또 장시간 작업시 용접정확성과 품질 저하는 물론 고소작업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가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위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모재 사이에 위치하는 용접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용접작업하는 다양한 용접장치가 제시되고 있는데,
일예로, 도 1과 같이 구동바퀴에 의해 주행하는 주행대차와;, 상기 주행대차 상부에 구성되되, 용접토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용접토치 위치조절모듈과 상기 용접토치를 회전시키는 회전슬라이드로 구성되는 용접장치와;, 상기 주행대차 양측에 설치되면서 일측단으로 레일롤러를 가지는 전,후슬라이드와;, 용접구간을 따라 일정길이 설치되면서 상기 레일롤러를 결합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자동용접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예시의 자동용접장치는 두개의 모재 사이에 위치한 용접구간을 따라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용접고정한 다음 그 가이드레일에 주행대차의 레일롤러를 장착하여 주행대차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일방향 이동하면서 상부 용접토치로 모재와 모재사이의 용접구간을 자동 용접토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상의 자동용접장치는 주행대차가 용접구간을 따라 정방향 이동 할 수 있도록 모재의 용접구간 근접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작업자가 직접 용접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고, 더하여 작업완료 후 가이드레일의 철거가 난이함은 물론 인접한 용접부위의 훼손을 야기할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설치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관 및 안전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모재 표면에 용접고정하는 방식으로 이용됨에 따라 초기 설치의 어려움 즉, 용접구간을 따라 정위치 정확하게 설치하기가 매우 난이하였음은 물론 잦은 위치불량으로 주행대차의 이동 및 용접불량을 초래하여 왔다.
한편, 상기의 자동용접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 상태에서 직선구간으로의 이동 작업은 가능하나 선박 또는 플렌트의 수직벽체 작업 및 선박 또는 플렌트의 곡선구간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1998-00166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및 수직방향의 직선과 곡선 그리고 원형(360°)구간을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는 용접 캐리지장치를 제시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의 주행을 도모하는 후렉시블가이드의 설치 정확성과 편의를 극대화하면서 그 이용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는 일정길이의 후렉시블가이드(1)와;,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본체(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는;, 일정길이의 체인레일(11)과, 양측 수직판(200) 사이에 상기 체인레일(11)이 수용되는 체인레일설치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200) 상단 양측에는 수평방향의 가이드플레이트(13)(13')를 형성하며, 하단 양측에 마그네틱(15)을 내장한 고정플레이트(14)(14')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가이드블록(12)으로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블록(12) 양측 수직판(200) 중앙에 형성하는 걸림단턱(12")을 체인레일(11)의 상단에 걸어 상기 가이드블록(12)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삭제
상기 캐리지본체(2)는 하부 중심부에 마련하는 이동통로(2')와, 상기 이동통로(2') 양측 벽체(21)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부로 가이드블록(12)의 양측 가이드플레이트(13)(13')가 경유하도록 하는 이송블록(22)(22')과,
캐리지본체(2)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체인레일(11)과 치합되게 하는 구동모터(m)를 가지는 구동기어(23)와,
캐리지본체(2) 양측면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바퀴(24)(2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캐리지본체(2) 내부 전,후에 부착마그네틱(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수평 또는 수직방향의 직선과 곡선 그리고 원형(360°)구간을 자요롭게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대형선박 및 플렌트의 다양한 벽체 작업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캐리지본체를 벽체의 벽면을 따라 운영 가능하여 고소작업(용접)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캐리지본체의 주행을 안내하는 후렉시블가이드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그 설치 및 해체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지장치 예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평면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 정면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후렉시블가이드의 부분 조립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후렉시블가이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후렉시블가이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부분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위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모재의 용접구간을 따라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후렉시블가이드(1)와;,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본체(2)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는 일정길이의 체인레일(11)과, 체인레일(11) 길이선상으로 중심부의 체인레일설치부(12')를 체결하여 연속 설치하는 여러 개의 가이드블록(12)으로 구성되되, 가이드블록(12)은 상부 양측으로 가이드플레이트(13)(13')와 하부 양측으로 마그네틱(15)이 내재된 고정플레이트(14)(1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덧붙여, 상기 가이드블록(12)은 체인레일(11)을 구성하는 링크(11') 하나 하나에 각각 체결/설치되고 또 가이드블록(12)의 체인레일설치부(12')를 상기 체인링크(11)가 안치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서 그 양측 상단에 링크(11')를 고정하는 걸림단턱(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본체(2)는 하부 중심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이동통로(2')와, 상기 이동통로(2') 양측 벽체(21)에 대칭 설치하면서 각각의 중심부로 가이드블록(2)의 양측 가이드플레이트(13)(13')를 경유시키는 이송블록(22)(22')과, 캐리지본체(2) 내부 중심부에 설치하여 상기 체인레일(11)과 기어물림하는 구동모터(m)를 가지는 구동기어(23)와, 캐리지본체(2) 양측면으로 설치하는 전/후 이동바퀴(24)(24')로 구성한다.
덧붙여, 상기 캐리지본체(2)는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다각형의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용접토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용접토치 위치조절모듈과 상기 용접토치를 회전시키는 회전슬라이드 등을 가지는 통상의 자동 용접장치(101)가 구성된다.
또 상기 이동통로(2')는 도 4에서와 같이 캐리지본체(2)의 하부 중심 길이방향을 일정폭 개방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이송블록(22)(22')은 이동통로(2')의 양측 벽체(21) 중심부에 대칭 형성되면서 그 중심부로 가이드블록(12)의 양측 가이드플레이트(13)(13')가 통과되는 경유홈(22")이 포함된다.
또 상기 구동기어(23)는 캐리지본체(2) 내부 중심 폭 방향에 설치된 구동모터(m)와 연결된 구동축(23') 중심선상에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2에서와 같이 대형 선박 또는 플렌트 제조를 위한 바닥 또는 벽체 작업시 그 바닥 또는 벽체를 이루는 모재와 모재 사이의 용접구간을 따라 캐리지본체(2)가 정방향 주행하여 상부 용접장치(101)의 자동용접이 이루어지게 도모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예시의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 먼저, 바닥 또는 벽체를 이루는 모재와 모재 사이의 용접구간을 따라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후렉시블가이드(1)를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 선상 부착고정한다.
이때, 후렉시블가이드(1)는 여러 개의 가이드블록(12)이 모재 표면에 위치되어 그 하부 양측의 고정플레이트(14)(14')가 마그네틱(15)의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설명의 후렉시블가이드(1)는 체인레일(11)과 가이드블록(12)의 구성조건에 의해 다방향 유동(도6의 도면상 상,하방향)이 가능한 것으로, 도 9와 같이 직선은 물론 곡선의 용접구간에도 설치사용할 수 있는 특징으로 가진다.
다시 말해, 대형선박의 곡선형 벽체나 원통형 플렌트의 곡선형 벽체 제작시 그 벽체를 이루는 곡선형태의 모재 표면으로 그 곡선과 동일한 수평 내지 수직의 곡선으로 후렉시블가이드(1)를 설치하여 하기 설명의 캐리지본체(2) 주행 정확성과 안전성을 도모한다.
참고로 상기 대형선박 및 플렌트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 그외 다양한 대상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는 설치와 해체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위치 보정이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대시켜주는 특징이 있다.
또 직선구간은 물론 곡선구간의 설치가 가능하여 다양한 조건의 작업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용접구간으로 후렉시블가이드(1)가 직선 내지는 곡선 형태로 부착고정되면,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이 캐리지본체(2)의 이동통로(2') 내부 길이선상으로 후렉시블가이드(1)를 위치시키면서 이동통로(2') 양측 이송블럭(22)(22') 중심부 즉, 이송블럭(22)(22')의 경유홈(22") 내에 가이드블록(12)의 상부 양측 가이드플레이트(13)(13')를 각각 위치시킨다. 덧붙여 설명하면, 캐리지본체(2)를 후렉시블가이드(1) 일측에서 진입시켜 상기 이동통로(2')에 후렉시블가이드(1)가 위치되게하고 동시에 이송블럭(22)(22') 중심부에 상기 가이드블록(12)의 가이드플레이트(13)(13')가 위치되게 한다.
또한 캐리지본체(2) 설치시, 캐리지본체(2) 내에 위치한 구동기어(23)는 그 하부가 후렉시블가이드(1)의 체인레일(11)과 기어물림된다.
더하여, 상기 캐리지본체(2) 설치와 동시에 캐리지본체(2) 상부의 용접토치조절모듈과 회전슬라이드를 통해 용접토치를 모재와 모재 사이의 용접구간 직상부에 정 위치시켜 용접장치(101)의 작업대기상태를 가지게 한다.
상기 일련의 과정을 통해 후렉시블가이드(1) 및 캐리지본체(2) 그리고 용접장치(101)의 설치와 작업대기 상태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캐리지본체(2)의 구동모터(m)를 운영하여 도 8에서와 같이 구동기어(23)가 후렉시블가이드(1)의 체인레일(11)과 기어물림에 의한 회전구동으로 체인레일(11)을 따라 캐리지본체(2)를 일방향 주행시킨다.
여기서, 체인레일(11)과 기어물림된 구동기어(23)는 캐리지본체(2)의 주행안전성은 물론 주행 정확성을 크게 도모한다.
또 이동공간(2')의 양측 이송블록(22)(22') 중심부로 가이드블록(12)의 상부 가이드플레이트(13)(13')가 경유하면서 캐리지본체(2)의 유동을 방지하고 또 그 주행 정확성과 안전성을 담보한다.(참고로, 가이드플레이트(13)(13')가 경유하는 이송블록(22)(22')의 경유홈(22")은 가이드플레이트(13)(13')의 원활한 경유 이송을 위하여 가이드플레이트의 구성 폭 보다 소폭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캐리지본체(2)의 전,후 이동바퀴(24(24')가 모재표면을 따라 주행 정확성과 안전성을 더욱 담보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기어(23)의 기어물림 구조와 이송블록(22)(22')의 가이드플레이트(13)(13') 경유 구조는 후렉시블가이드(1)로부터 캐리지본체(2)가 탑승된 상태로 주행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수평상태에서의 캐리지본체 주행 및 수직상태에서의 캐리지본체 주행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캐리지본체(2)의 주행시, 그 상부의 용접장치(101)는 모재와 모재 사이의 용접구간을 용접토치로 자동 용접한다.
용접장치(101)의 작업조건은 통상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하고 또 용접 조건에 따라 캐리지본체가 후렉시블가이드를 따라 일정속도로 편도 또는 왕복 주행하면서 용접작업을 도모한다.
이상 설명 한 본 발명은 모재의 형태(직선 또는 곡선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캐리지장치를 안내하는 후렉시블가이드의 이용특징이 있다.
또 바닥으로의 수평 작업 및 벽면으로의 수직/수평작업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캐리지본체(2)의 전,후 이동바퀴(24)(24')로 완충장치(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장치(3)는 캐리지본체(2)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그 양측면에 일정길이의 안내공(31)(31')을 포함하는 설치블록(32)과, 베어링이 내장되어 전,후 이동바퀴의 바퀴축(24")을 수용하면서 상기 설치블록(32) 내에 위치되는 승,하강블록(33)으로 구성하되,
상기 승,하강블록(33)은 양측부로 설치블록(32)의 안내공(31)(31')을 따라 유동하는 안내핀(34)(34')과, 상부로 스프링(35)이 게재되어 설치블록(32) 상부를 관통하는 설치축(36)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캐리지본체(2)의 양측면으로 상,하 방향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통공(24a)을 통해 전,후 이동바퀴(24)(24')의 바퀴축(24")이 관통하여 상술한 완충장치(3)과 연결구성된다.
상기 완충장치(3)는 전,후 이동바퀴(24)(24')가 설치된 승,하강블록(33)이 양측 안내핀(34)(34')과 상부 스프링(35)이 게재된 설치축(36)에 의해 설치블록(32) 상,하부로 탄성에 의한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캐리지본체(2)가 이동할 때, 완충장치(3)에 의한 전,후 바퀴(24)(24')가 캐리지본체(2)의 이동편의를 도모하고 나아가 모재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이나 단턱 그리고 모재의 곡선형 구간을 캐리지본체(2)가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한편, 상기 설명의 완충장치(3)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캐리지본체(2)의 양측 이송블록(22)(22')을 이동통로(2')의 양측 벽체(21) 중심부로 하나 이상 설치하는 상,하이송롤러(4)(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하 한쌍의 이송롤러(4)(4')는 완충장치(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 이송롤러(4)(4')의 완충장치(5)는 도 11과 같이 이동통로(2')의 양측 벽체(21) 일측에 마련하는 설치블록(51)과, 상기 설치블록(51) 내에 위치하면서 양측 안내핀(52)(52')을 설치블럭(51)의 안내공(53)(53')에 끼움하여 승,하강토록 하고 그 중심부로는 베어링을 내장하여 이송롤러(4)(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 이송블록(54)(54')과, 상기 이송블록(54)(54') 상,하부면과 설치블록(51) 상,하부면 사이에 게재하는 스프링(55)으로 구성한다.
참고로, 상기 이동통로(2')의 양측 벽체(21)로 상,하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통공(51')를 형성하여 상,하 이송롤러(4')(4')의 회전축(4a)이 상기 관통공(51')을 통해 일측 완충장치(5)와 연결구성되게 한다.
이상에 의한 상,하 이송롤러(4)(4')의 완충장치(5)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캐리지본체(2)가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주행할 때, 상기 스프링(55)에 의해 상,하 이송롤러(4)(4')가 서로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블록(12)의 가이드플레이트(13)(13')를 견고히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여 캐리지본체(2)의 주행안전을 보다 확고히 도모한다.
상기 설명의 완충장치(5)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캐리지본체(2) 내부 전,후방 바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착마그네틱(25)을 더 포함한다.
상기의 부착마그네틱(25)은 상술한 과정에 의해 캐리지본체(2)가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주행할 때, 금속재질의 모재 표면으로 캐리지본체가(2) 자력에 의해 밀착주행 되도록 한 것으로, 캐리지본체(2)의 유동방지는 물론 정방향 이동을 도모하고 나아가 수직벽면에서의 주행 안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부착마그네틱(25)은 금속재질의 모재 표면으로 캐리지본체(2)의 바닥부가 자력에 의해 밀착(부착)될 수 있는 정도의 자력을 가지게 함이 바람직하고, 동시에 캐리지본체(2)를 주행시키는 구동모터(m)는 상기 부착마그네틱(25)에 의해 모재 표면에 밀착(부착)된 캐리지본체(2)를 주행시킬 수 있는 정도의 동력을 가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부착마그네틱(25)는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 및 자력 조절이 가능한 전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이 발명은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구성의 원리와 그 원리의 이해를 돕고자 이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도면화하고, 그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을 한 것이며, 이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추구하고자 하는 원리를 감안하여 구조, 형태, 모양, 배치, 방향, 수량이 결정되며 이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 및 그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효과와 그 효과로부터 더 나은 효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인지를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하여 이 발명은 완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원가절감, 제조의 편의성, 환경조건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 중 일부를 선택 또는 배제하여 완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일부의 구성을 따로 떼어내어 다른 구성과 병합하여 완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원리, 용도, 기능, 역할, 작용, 효과 등을 감안하여 이 기술분야가 아닌 다른 기술분야에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와 같이 이 발명의 청구항을 가능한 포괄하는 범위로 특정하여 권리범위가 넓은 순서대로 청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이 발명의 설명을 모두 마치며,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상술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이 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도시는 되어 있지만 설명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작용효과는 도면을 통해 충분히 유추 가능할 것이다. 이에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발명에서 언급한 내용을 기반으로 이 기술분야의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발명은 구성이 간결하고, 취급이 쉬어 종래 용접 캐리지장치에 비해 작용 및 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적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상당하다.
101 : 용접장치 1 : 후렉시블가이드
11 : 체인레일 11' : 링크
12 : 가이드블록 12' : 체인레일설치부
12" : 걸림단턱 13,13' : 가이드플레이트
14,14' : 고정플레이트 15 : 마그네틱
2 : 캐리지본체 2' : 이동통로
21 : 벽체 22,22' : 이송블록
22" : 경유홈 23 : 구동기어
23' : 구동축 m : 구동모터
24,24' : 이동바퀴 24" : 바퀴축
24a : 관통공 25 : 부착마그네틱
200 : 수직판 3 : 완충장치
31,31' : 안내공 32 : 설치블록
33 : 승,하강 블록 34,34' : 안내핀
35 : 스프링 36 : 설치축
4,4' : 이송롤러 4a : 회전축
5 : 완충장치 51 : 설치블록
51' : 관통공 52,52' : 안내핀
53,53' : 안내공
54,54' : 이송블록 55 : 스프링

Claims (3)

  1. 일정길이의 후렉시블가이드(1)와;,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본체(2)로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후렉시블가이드(1)는;, 일정길이의 체인레일(11)과, 양측 수직판(200) 사이에 상기 체인레일(11)이 수용되는 체인레일설치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200) 상단 양측에는 수평방향의 가이드플레이트(13)(13')를 형성하며, 하단 양측에 마그네틱(15)을 내장한 고정플레이트(14)(14')를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가이드블록(12)으로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블록(12) 양측 수직판(200) 중앙에 형성하는 걸림단턱(12")을 체인레일(11)의 상단에 걸어 상기 가이드블록(12)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캐리지본체(2)는 ;,하부 중심부에 마련하는 이동통로(2')와, 상기 이동통로(2') 양측 벽체(21)에 설치하면서 그 중심부로 가이드블록(12)의 양측 가이드플레이트(13)(13')를 각각 경유시키는 완충장치(5)를 가지는 상,하 한쌍의 이송롤러(4)(4')과, 캐리지본체(2)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체인레일(11)과 치합하는 구동모터(m)를 가지는 구동기어(23)와, 캐리지본체(2) 양측면으로 설치하는 전/후 이동바퀴(24)(24')로 구성하되, 상기 상,하 이송롤러(4)(4')의 완충장치(5)를 이동통로(2')의 양측 벽체(21) 일측에 마련하는 설치블록(51)과, 상기 설치블록(51) 내에 위치시키면서 양측 안내핀(52)(52')을 설치블럭(51)의 안내공(53)(53')에 끼움하여 승,하강토록 하고 그 중심부로는 베어링을 내장하여 이송롤러(4)(4')의 회전축(4a)이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 이송블록(54)(54')과, 상기 이송블록(54)(54') 상,하부면과 설치블록(51) 상,하부면 사이에 게재하는 스프링(55)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74279A 2021-06-08 2021-06-08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KR10251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79A KR102510658B1 (ko) 2021-06-08 2021-06-08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279A KR102510658B1 (ko) 2021-06-08 2021-06-08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530A KR20220165530A (ko) 2022-12-15
KR102510658B1 true KR102510658B1 (ko) 2023-03-21

Family

ID=8443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279A KR102510658B1 (ko) 2021-06-08 2021-06-08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6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5298A (ja) * 1983-05-20 1984-12-05 Koike Sanso Kogyo Co Ltd 曲線の自動溶断、自動溶接、自動線条加熱を行う走行台車およびレ−ルの構造
JPH0671485A (ja) * 1992-08-31 1994-03-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動溶接装置
JPH106981A (ja) * 1996-06-21 1998-01-13 Nkk Corp 台車装置
KR100206381B1 (ko) 1996-08-29 1999-07-01 이형도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530A (ko)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3292B (zh) 履带式永磁爬行机
KR101011893B1 (ko) 아치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점검차
CN100528713C (zh) 具有交叉分类器的分类输送机
JP2010159161A (ja) 組付コンベア装置
US2193076A (en) Conveyer system
JP6281299B2 (ja) スラットコンベア装置
KR102510658B1 (ko)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KR102335831B1 (ko) 용접캐리지용 후렉시블 가이드레일
CN113789689A (zh) 铁路作业装置循环系统及铁路作业装置循环方法
JP5184871B2 (ja) 物品搬送装置
KR100924721B1 (ko) 자동 용접 캐리지
CN219750846U (zh) 一种移动提升机
CN110745444A (zh) 一种直线分拣机
KR101022436B1 (ko) 갠트리의 구동장치
CN214217224U (zh) 一种用于大型工件存储的穿梭车
JP4122794B2 (ja) 吊り下げ搬送設備
CN203834996U (zh) 一种链轮驱动行走的升降旋移停车设备
CN210557782U (zh) 上料移动装置
CN210551201U (zh) 一种免导轨桁架机器人
CN114291521A (zh) 环形钢卷运输系统
JPH1120923A (ja) 無端駆動体使用の搬送設備
CN110745445A (zh) 一种分拣导轨
CN213292654U (zh) 一种适用于小型修造船厂的移船装置
JP6201393B2 (ja) 走行台車
CN212895936U (zh) 运架一体机用变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