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381B1 - 키보드 - Google Patents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381B1
KR100206381B1 KR1019960036351A KR19960036351A KR100206381B1 KR 100206381 B1 KR100206381 B1 KR 100206381B1 KR 1019960036351 A KR1019960036351 A KR 1019960036351A KR 19960036351 A KR19960036351 A KR 19960036351A KR 100206381 B1 KR100206381 B1 KR 100206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keyboard
key top
ke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675A (ko
Inventor
이케가미 마사흠
박호범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3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381B1/ko
Priority to TW086111148A priority patent/TW347511B/zh
Priority to JP9228317A priority patent/JP2933574B2/ja
Publication of KR1998001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01H13/706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between keys and layered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워드프로세서의 입력장치인 키보드, 특히 노트북 컴퓨터에 유용한 박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백킹보드(201)상에 설치돈 키후레임(210)과 상기 백킹보드(201)사이에는 작동러버(240)의 누름작동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부(260)가 내설되고, 상기 키후레임(210)과 키탑(250)사이에는 상기 키탑의 상하작동을 원활토록 안내 지지하는 탄성적인 얇은 연결판(230)으로 제1링크부(221)와 제2링크부(222)가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 링크플레이트(220)가 연결됨을 그 요지로 한다.
이에따라서, 키보드의 키탑과 키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 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키탑의 상하작동시, 사용자가 키탑의 일부분만을 눌러도 링크플레이트가 평행한 상태로 원활하게 상하 작동토록 되어 키탑의 상하 작동 성능이 가일층 향상됨과 아울러,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한 키탑의 상하 작동 스트로크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다수의 작동레버가 시이트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키보드의 박형화가 가능토록 됨은 물론,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키보드 차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키보드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조립 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키 보드(Key Board)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워드프로세서의 입력장치인 키보드의 키 스위치(Key Switcy), 특히 노트북 컴퓨터드에 사용되는 박형 키보드에 유용하게 대응할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키후레임과 상기 백킹 보드사이에 작동러버의 누름작동시 접속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키후레임과 키탑사이에 상기 키탑의 상하작동을 원활하게 안내 지지하는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가 일체로 결합된 링크 플레이트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키보드의 키탑과 키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 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키탑의 상하작동시, 사용자가 키탑의 일부분만을 눌러도 링크 플레이트가 평행한 상태로 원활하게 상하 작동토록 되어 키탑의 상하 작동 성능이 가일층 향상됨고 아울러,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한 키탑의 상하 작동 스트로크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다수의 작동러버가 시이트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키보드의 박형화가 가능토록 됨은 물론,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키보드 차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키보드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조립 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워드 프로세서의 입력장치인 키보드는, 키탑의 하측으로 별도의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여, 키탑의 반복적인 상하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에는 하우징 또는 홀더에는 키탑의 누름작동시 스위치와 전기적인 작동이 이루어 지도록 스위칭 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키탑의 상하작동이 가능토록 탄성재인 작동러버(Rubber)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는 키보드는, 키탑의 상하 작동 스트로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한 전체 키보드 높이의 한계(최소한 높이 8mm 이상, 스트로크 3mm이상)로 인하여, 현재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등과 같은 박형 키보드에는 대응이 불가능하게 되는 실정인 것이다.
이에 따라, 키보드의 박형화가 용이하도록 키탑의 상하작동을 링크부재 또는 힌지부재로서 수행토록 하는 키보드가 알려져있다.
즉, 미국 특허공보 제5,488,210호 및 동 특허공보 제5,512,719호에 의하면, 각각 링크부재 및 힌지부재를 이용한 박형 키보드가 각각 제안되고 있다.
전자인 미국 특허공보 제5,488,210호에 의한 키보드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보드(1)의 하우징(10) 및 키탑(50)사이에 키탑(50)의 상하작동을 원활토록 하는 링크부재(20)가 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20)와 하우징(10)사이에는 가동접점(41)과 고정접점(42)이 상호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스위치부(40)와, 그 상측으로 내측에 돌기부(61)가 형성된 탄성재인 접점레버(60)가 순차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일측으로 작용편(24)이 결합된 제1지지부(22)로서 각 지지부재(23)가 연결되는 제1링크부(21)와, 이와 서로 평행하게 제2지지부(26)로서 각 지지부(27)가 연결되는 제2링크부(25)가 상호 교차되어 상하 작동토록 연결된다.
상기 제1링크부(21)의 각 지지부재(23) 선단 외측 및 내측 중앙에는 제1지지편(28) 및 힌지편(30)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부(25)의 각 지지부재(27)선단 내측 및 중앙에는 제2지지편(29) 및 휘어진 슬롯(31)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키탑(50)의 저부 및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부(21)의 제1지지부(22) 및 제2링크부(25)의 제2지지편(29)이 회전 및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가이드편(51)(11)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키탑(50)의 저부 및 하우징(10)의 타측에는, 상기 제2링크부(25)의 제2지지부(26) 및 제1링크부(21)의 제1지지편(28)이 회전 및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제2가이드편(52)(1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부(21)의 힌지편(30)은, 상기 제2링크부(25)의 휘어진 슬롯(31)에 슬라이딩 작동가능토록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키보드(1)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키탑(50)을 누르면, 이와 연결된 링크부재(20)에 의해 상기 키탑(50)이 평행하게 하강하면서 제1링크부(21)의 제1지지부(22)에 설치된 작용편(24)이 접점레버(60)를 누르고, 상기 접점레버(60) 하단의 돌기부(61)가 스위치부(40)의 가동접점(41)을 압지하여 고정접점(42)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키보드(1)는 전기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때 키탑(50)에서 손을 떼게되면 상기 키탑(50)은 링크부재(20)에 의해 원활하게 안내되면서 상승되어 상기 키탑(50)의 상하 작동이 수행된다.
이때, 키탑(50)의 제1, 2가이드편(51)(52)에 끼워진 제1링크부(21)의 제1지지부(22)와 제2링크부(25)의 제2지지부(26)는, 상기 키탑(50)의 상하 작동시 회전작동토록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후레임(10)의 제1, 2가이드편(11)(12)에 끼워진 제2링크부(25)의 제1, 2지지편(28)(29)은 상기 키탑(50)의 상하작동시 슬라이딩작동토록 되는 한편, 상기 제2링크부(25)의 휘어진 슬롯(31)에 삽입된 제1링크부(21)의 힌지편(30)은 상기 키탑의 상하작동시 슬라이딩 작동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키보드(1)의 링크부재(20)가 각각 제1 및 제2링크부(21)(25)로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교차되어 연설되며, 상기 키탑(50)의 상하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탄성부재인 접점 레버(60)를 키보드(1)에 별도로 설치하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 2링크부(21)(25)를 별도로 조립해야 함으로 인한 키보드(1)의 전체 조립공수가 증가됨은 물론, 상기 키보드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특히 키보드의 전체 높이가 기대이상으로 높아 지게 되어 키보드 자체의 텃치감(키탑을 누르는 느낌)이 불량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더하여, 후자인 미국 특허 제5,512,719호에 의한 키보드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보드(100)의 키탑(120)과 홀더(110) 사이에 키탑(120)의 상하작동을 원활토록 안내하는 힌지부재(130)가 연결되고, 상기 홀더(110)의 하측에는 가동접점(141)과 고정접점(142)으로 된 스위치부재(140)가 설치되어 그 상측에서 상기 스위치부재(140)를 작동토록 하는 탄성부재인 안내지지부(150)가 홀더(110)상에 착설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130)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지지부(131)로서 각 지지부(132)가 일체로 연결되는 제1힌지부(133)와, 제2지지부(134)로서 각 지지부(135)가 연결되는 제2힌지부(136)가 상호 교차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1힌지부(133)의 각 지지부재(132)의 선단 외측 및 내측 중앙에는 제1지지편(137) 및 가이드홈(138)이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부(136) 각 지지부(135)의 양측 단부 및 중앙에는 제2지지편(139)(143) 및 돌기부(14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탑(120)의 저부 및 홀더(1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힌지부(133)의 제1지지부(131)와 제2힌지부(136)의 제2지지편(139)(143)이 회전작동토록 끼워지는 제1가이드편(121)(111)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키탑(50)의 저부 및 홀더(110)의 타측에는 상기 제2힌지부(136)의 제1지지편(139)과 제1힌지부(133)의 제1지지편(137)이 슬라이딩 작동토록 끼워지는 제2가이드편(122)(112)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힌지부(136)의 돌기부(144)는, 제1힌지부(131)의 가이드홈(138)내에 회전작동토록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키보드(100)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키탑(120)을 누르면, 이와 연결된 힌지부재(130)로서 평행하게 하강하면서 안내지지부(150)를 누르고, 동시에 상기 안내지지부(150) 저부의 돌기부(151)가 스위칭부재(140)의 가동접점(141)이 하강하여 고정접점(142)에 접촉토록 됨으로써, 상기 키보드(100)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키탑(120)의 상하작동시, 키탑(120)의 저부에 양측으로 설치된 제1, 2가이드편(121)(122)에 끼워진 제1힌지부(133)의 제1지지부(131)와, 제2힌지부(136)의 제2지지편(139)은 회전 및 슬라이딩 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홀더(110)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제1, 2가이드편(111)(112)에 끼워진 제2힌지부(136)의 제2지지편(143)과, 제1힌지부(133)의 제1지지편(137)은 각각 회전 및 슬라이딩 작동토록 되는 한편, 상기 제1힌지부(131)의 가이드홈(138)내에 삽입된 제2힌지부(136)의 돌기부(144)는 회전작동 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키보드(100)에 있어서도 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힌지부(130)가 제1 및 제2힌지부(133)(136)로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되고, 상기 키탑(120)의 상하작동을 가능토록 하는 안내지지부(150)를 상기 키보드(100)에 별도로 설치함으로 인하여, 상기 각각의 힌지부(133)(136)를 별도로 조립함에 따른 키보드(100)의 조립공수가 증가되며, 키보드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특히 상기 키보드의 높이가 기대이상으로 높아지게되어 키보드 자체의 텃치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키보드의 키탑과 키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 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키탑의 상하작동시, 사용자가 키탑의 일부분만을 눌러도 링크플레이트가 평행한 상태로 원활하게 상하 작동토록 되어 키탑의 상하 작동 성능이 가일층 향상됨과 아울러,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한 키탑의 상하 작동 스트로크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다수의 작동러버가 시이트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키보드의 박형화가 가능토록 됨은 물론,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키보드 차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키보드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조립 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가이드편과, 제2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키탑과.
상기 키탑과 대향 설치되고, 가이드편이 설치되는 키후레임과, 상기 키탑의 상하 작동을 가능토록 하며, 스위치부를 작동토록 작동러버시트를 통해 일체로 배열되는 작동러버와, 상기 작동러버의 작동으로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이 접촉되는 스위치부와, 상기 키탑과 키후레임 사이에 위치되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 및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을 갖는 링크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키보드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의 a도는 종래의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b도는 a도의 'A-A'선 단면도.
제2도의 a도는 종래의 키보드에 있어서 키탑의 상하작동을 안내토록 하는 링크부재를 도시한 결합상태도.
b도는 종래의 키보드 링크부재를 도시한 a도의 분리 사시도.
제3도의 a도는 종래의 다른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b도는 a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의 a도는 종래의 다른 키보드에 있어서 키탑의 상하작동을 안내토록 하는 힌지부재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
b도는 종래 다른 키보드의 힌지부재를 도시한 a도의 분리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6도의 a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b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를 도시한 a도의 'C-C'선 단면도.
제7도의 a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에 있어서 키탑의 상하작동을 안내 지지하는 일체형 링크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
b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의 링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
c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 링크플레이트의 연결판을 도시한 요부구조도.
제8도의 a도 및 b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의 키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 구조도.
제9도의 a도 및 b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의 키탑을 도시한 평면 및 정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키보드(Key Board) 201 : 백킹보드(Backing Board)
202, 212 : 관통홈 203 : 고정볼트
210 : 후레임(Frame) 211 : 체결홈
213, 214 : 제1, 2가이드편 220 : 링크 플레이트
221, 222 : 제1,2링크부 223, 224 : 제1,2지지부
225, 226 : 제1,2지지편 230 : 연결판
231, 232 : 돌출부 240 : 작동러버(Rubber)
241 : 작동러버 돌기부 242 : 작동러버 시이트(Sheet)
250 : 키탑(Key Top) 251, 252 : 제1, 2가이드편
260 : 스위치부 261, 264 : 가동 및 고정접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제6도의 a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및 b도는 본 발명의 키보드를 도시한 제6도 a도의 'C-C'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키보드는, 백킹보드(201)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키후레임(210)과, 가이드편이 설치된 키탑(250)과, 상기 키후레임(210)과 키탑(250)사이에 키탑(250)의 상하작동을 원활토록 안내 지지하는 링크 플레이트(220) 및 그 하측으로 설치되는 작동러버(240)와, 상기 작동러버(240)의 돌기부(241)에 의한 가동접점(261)과 고정접점(264)의 접촉으로 키보드(200)를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스위치부(260)로서 구성된다.
상기 키후레임(210)은, 백킹보드(201)상에 이를 체결하여 고정토록 하는 관통홈(2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202)을 통과한 고정볼트(203)가 키후레임(210)의 저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홈(211)에 체결되어 키후레임(210)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260)는, 상측으로 가동접점(261)이 인쇄된 상부판(262)과 그 하측으로 가이드판(263)을 개재하여 고정접점(264)이 인쇄된 하부판(265)이 순차로 적층되어 상기 작동러버(240)의 내측 돌기부(241)가 상기 가동접점(261)을 압지하면 가이드판(263)의 구멍을 관통하여 하부판(265)의 고정접점(264)과 상호 접촉토록 백킹보드(201)와 키후레임(210)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키후레임(210)과 백킹보드(201)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스위치부(260)의 상측에는, 상기 작동러버(240)가 키보드의 회로패턴에 따라 시이트 처리된 작동러버 시이트(242)가 일체로 삽입되고, 상기 키후레임(210)과 백킹보드(201)사이에 체결시에는 상기 고정볼트(203)가 작동러버 시이트(242)의 양측으로 형성된 관통홈(243)을 관통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제8도 a도 및 b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의 키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 구조도로서, 상기 키후레임(210)의 저부 중앙에는 작동러버 (240)가 돌출되는 관통홈(212)이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에는 고정볼트(203)가 체결되는 체결홈(21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키후레임(210)의 상부 일측에는 링크 플레이트(220)의 제2링크부(222)에 형성되는 제1지지편(225)이 슬라이딩 작동토록 끼워지는 제1가이드편(213)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링크 플레이트(220) 제1링크부(221)의 제2지지부(224)가 회전 작동토록 삽입되는 제2가이드편(214)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제7a도는 본 발명인 키보드에 있어서 키탑의 상하작동을 안내 지지하는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제7b도는 정면도 및 c도는 링크 플레이트의 연결판을 도시한 요부구조도로서, 상기 키탑(250)의 상하작동을 안내 지지토록 일체로 사출성형된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220)는, 일단에 상기 키탑(250)의 제1가이드편(251)에 슬라이딩 작동토록 끼워지는 제1지지부(223)가 형성되고, 이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는 제2지지부(224)가 형성되며 몸체 후방으로 외측에는 연결판(230)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돌출부(231)가 형성되는 제1링크부(221)와, 상기 제1링크부(221)의 양측으로 후단에 상기 키후레임(210)의 제1가이드편(213)이 슬라이딩 작동토록 끼워지는 제1지지편(225)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키탑(250)의 저부 타측에 설치된 제2가이드편(252)에 회전작동토록 끼워지는 제2지지편(22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전방 내측에는 연결판(230)의 타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부(232)가 형성된 제2링크부(222)가 상기 연결판(230)으로서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230)과 제1,2링크부(221)(222)사이에는 링크 플레이트(220)의 탄성 작동을 용이토록 하는 갭(233)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9도에서와 같이, 상기 키탑(250)의 저부 일측에는 제1링크부(221)의 제1지지부(223)가 슬라이딩 작동토록 끼워지는 제1가이드편(25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 제2링크부(222)의 제2지지편(226)이 회전작동토록 끼워지는 제2가이드편(252)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 내지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200)의 키후레임(210) 저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홈(211)과 일치되어 다수의 관통홈(202)이 순차로 배열 형성된 백킹보드(201)의 상측에는 각각의 키보드(200) 위치에 따라 구성된 스위치부(260)가 놓이게 되고, 그 상측으로 상기 키후레임(210)의 중앙 관통홈(243)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작동러버(240)가 배열 형성된 작동러버 시이트(242)가 위치된다.
또한, 상기 작동러버 시이트(242)의 상측으로 백킹보드(201)의 후면에서 관통되는 고정볼트(203)는, 상기 키후레임(210)의 체결홈(211)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백킹보드(201)와 키후레임(210)사이에는 스위치부(260)와 작동러버(240)가 삽입고정된다.
이때, 상기 작동러버시트(242)를 사용함으로써, 백킹보드(201)상에 다수의 스위치가 설치되는 키보드의 조립작업시 그 조립공수가 현저하게 감소토록 되는 동시에, 키보드의 외형에 따른 키보드(200)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도 그 대응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백킹보드(201)에 스위칭부(260) 및 작동러버(240)를 개재하여 결합 고정된 키후레임(210)과 키탑(250)사이에는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220)가 연결되어 상기 키탑(250)의 상하작동이 평행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록 한다.
상기 키후레임(210)의 상부 양측에는, 제1 및 제2가이드편(213)(214)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의 제2링크부(222) 일단에 형성된 제2지지편(225)은, 상기 제1가이드편(213)에 끼워지어 키탑(250)의 상하작동시 슬라이딩 작동되며, 상기 링크플레이트(220)의 제1링크부(221) 제1지지부(224)는 상기 제2가이드편(214)에 끼워지어 키탑(250)의 상하작동시 회전작동된다.
계속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 제1링크부(221)와 제2링크부(222)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230)은, 그 두께가 0.1-0.3mm, 바람직 하게는 0.2mm정도의 얇은 판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판(230)의 두께가 0.3mm보다 클경우에는 사용자의 키탑(250) 텃치감(키탑을 누르는 느낌)이 저하되고, 그 두께가 0.mm보다 적을 경우에는 그 제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는 연결판(230)을 개재하여 연결된 제1 및 제2링크부(221)(2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판(230)의 탄성력에 의해 교차되어 상하작동이 가능토록 됨으로써, 상기 키보드(200)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220)의 제1링크부(221)와 제2링크부(222)의 일단에는 제1지지부(223) 및 제2지지편(226)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223)는 키탑(250)의 저부 일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편(251)에 삽입되어 키탑(250)의 상하작동시 슬라이딩 작동되며, 상기 제2지지편(226)은 키탑(250)의 제2가이드편(252)에 삽입되어 상기 키탑(250)의 상하 작동시 회전 작동토록 된다.
한편,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의 제1링크부(221)와 제2링크부(222)의 타단에는, 제2지지부(224) 및 제1지지편(225)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지지편(225)은 키후레임(210)의 저부 일측에 형성된 제1가이드편(213)에 끼위지어 키탑(250)의 상하작동시 슬라이딩 작동되며, 상기 제2지지부(224)는 키후레임(210)의 제2가이드편(252)에 삽입되어 상기 키탑(250)의 상하 작동시 회전 작동토록 된다.
따라서, 링크 플레이트(220)의 각 지지부(223)(224) 및 지지편(225)(226)은 키후레임(210)과 키탑(250)의 각 가이드편(213)(214)(251)(252)에 삽입되어 일측은 슬라이딩 작동되고 타측은 회전 작동토록 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탑(250)의 어느 한 부분만을 누르게 되어도 그 압지력이 링크 플레이트(220)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키탑(250)은 상하 작동이 항상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일체형인 작동러버 시이트(242)와 링크 플레이트(220)의 사용으로 키보드(200)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의 짧은 작동 스트로크로 인하여 키보드(200)의 높이가 최대한 감소되어 키보드(200)의 박형화가 가능하면서도, 사용자의 키탑(250)의 누름작동시, 그 터치감(누름느낌)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에 의하면, 키보드의 키탑과 키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 플레이트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키탑의 상하작동시, 사용자가 키탑의 일부분만을 눌러도 링크플레이트가 평행한 상태로 원활하게 상하 작동토록되어 키탑의 상하 작동 성능이 가일층 향상됨과 아울러,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한 키탑의 상하 작동 스트로크가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다수의 작동러버가 시이트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키보드의 박형화가 가능토록 됨은 물론, 일체형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키보드 차체의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키보드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조립 공수를 감소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가일층 향상시킬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제1가이드편(251) 및 제2가이드편(252)이 설치되는 키탑(250)과, 상기 키탑(250)과 대향 설치되고, 제1 및 제2가이드편(213)(214)이 설치되는 키후레임(210)과, 상기 키탑(250)의 상하 작동을 가능토록 하며, 스위치부(260)를 작동토록 작동러버 시이트(242)를 통해 일체로 설치되는 작동러버(240)와, 상기 작동러버(240)의 상하 작동으로 가동접점(261) 및 고정접점(264)이 접촉되는 스위치부(260)와, 상기 키탑(250)과 키후레임(210) 사이에 위치되며, 제1링크부(221)와 제2링크부(222) 및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230)을 갖는 링크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의 제1링크부(221)는, 양단에 돌출형성되는 제1, 2지지부(223)(224)와, 양측으로 연결판(230)의 일단과 연결토록 돌출부(231)가 형성되며, 제2링크부(222)는, 양단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2지지편(225)(226)과, 내측으로 상기 연결판(230)의 타단과 연결토록 돌출부(23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탑(250)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 2가이드편(251)(252)과, 키후레임(210)의 상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제1, 2가이드편(213)(214)은, 그 내측으로 제1링크부(221)의 제1, 2지지부(223)(224)와, 제2링크부(222)의 제1,2지지편(225)(226)이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토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의 제1, 2링크부(221)(222) 사이에 일체로 연설되는 연결판(230)은, 그 두께가 상기 제1, 2링크부(221)(222)보다 얇게 형성되어 제1, 2링크부(221)(222)가 탄성적인 상하작동이 가능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220)의 연결판(230)은, 그 두께가 0.1mm-0.3mm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부(221)(222) 및 이와 일체로 연설된 연결판(230) 사이에는, 일전한 간격의 갭(233)이 설치되어 링크 플레이트(220)의 탄성작동을 용이하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후레임(210)과 백킹보드(201)사이의 스위치부(260)는, 상측으로 다수의 작동러버(240)가 일체로 배열되는 작동러버 시이트(242)가 일체로 삽압되어 고정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KR1019960036351A 1996-08-29 1996-08-29 키보드 KR100206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51A KR100206381B1 (ko) 1996-08-29 1996-08-29 키보드
TW086111148A TW347511B (en) 1996-08-29 1997-08-04 Key board
JP9228317A JP2933574B2 (ja) 1996-08-29 1997-08-25 キーボー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51A KR100206381B1 (ko) 1996-08-29 1996-08-29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75A KR19980016675A (ko) 1998-06-05
KR100206381B1 true KR100206381B1 (ko) 1999-07-01

Family

ID=1947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351A KR100206381B1 (ko) 1996-08-29 1996-08-29 키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33574B2 (ko)
KR (1) KR100206381B1 (ko)
TW (1) TW347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4843B2 (ja) * 1998-11-26 2006-07-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ボード装置
JP4581244B2 (ja) 2000-01-14 2010-11-1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335831B1 (ko) 2021-06-08 2021-12-03 정용현 용접캐리지용 후렉시블 가이드레일
KR102510658B1 (ko) 2021-06-08 2023-03-21 문주현 멀티자동용접 캐리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33574B2 (ja) 1999-08-16
JPH10106383A (ja) 1998-04-24
TW347511B (en) 1998-12-11
KR19980016675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030A (en) Key board
US5828015A (en) Low profile keyboard keyswitch using a double scissor movement
US5329079A (en) Computer keyboard with improved cantilever switch design
US5466901A (en) Keyswitch assembly having mechanism for controlling touch of keys
US5481074A (en) Computer keyboard with cantilever switch and actuator design
JPH10188720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2002008481A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US20040074753A1 (en) Keyswitch structure for computer keyboard
KR100206381B1 (ko) 키보드
US20030209417A1 (en) Key switch stabilizer mechanism
KR200419265Y1 (ko) 자석을 이용한 키 스위치
EP1343182B1 (en) Key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board
CN218647808U (zh) 一种键盘开关
CN211182046U (zh) 一种具有弹性片的一体式键盘开关
JP3063410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593720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2607630Y2 (ja) キースイッチ
JP3299535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H11111101A (ja) キートップのガイド機構
JP3992405B2 (ja) キースイッチ及びそれを使用するキーボード
JP335267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318288B2 (ja)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3352678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316205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TW202029249A (zh) 薄型機械鍵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