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047B1 -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047B1
KR102508047B1 KR1020187009993A KR20187009993A KR102508047B1 KR 102508047 B1 KR102508047 B1 KR 102508047B1 KR 1020187009993 A KR1020187009993 A KR 1020187009993A KR 20187009993 A KR20187009993 A KR 20187009993A KR 102508047 B1 KR102508047 B1 KR 102508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fer
thermal transfer
transfer sheet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503A (ko
Inventor
미츠히로 오오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B41M5/363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using materials comprising a polymeric matrix containing a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compound such as a fatty acid, e.g. for reversible reco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4Direct thermal recording [DT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8Intermediate layers; Layers between substrate and imag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한다.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전사층(10)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100)로서, 전사층(10)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의 산가가 40 mgKOH/g 이상이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기 위한 열전사 시트에 대해서는 각종의 형태가 알려져 있고, 예컨대, 특허문헌 1~3에 제안이 되어 있는 바와 같은 (ⅰ)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전사층으로서의 열용융 잉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 (ⅱ)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전사층으로서의 수용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중간 전사 매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ⅲ)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전사층으로서의 보호층(박리층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보호층 전사 시트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ⅳ) 이들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한 열전사 시트, 예컨대,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상기 기재측으로부터, 박리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나, 기재의 동일면 상에 열용융 잉크층과 보호층이 면순차로 형성된 열전사 시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를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나, 가열 롤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기재의 다른쪽 면을 가열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다.
최근, 고속 인화 적성이 우수한 프린터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높고, 프린터의 내부에 있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열 에너지나, 인가 에너지 등으로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는 증가의 일로를 걷고 있다. 한편,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의 전사에 이용되는 프린터로서는, 열전사 시트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전사층을 용융 혹은 연화시키고, 이 전사층이 고화되기 전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가 완료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열시(熱時) 박리 방식의 프린터와, 전사층이 고화된 후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가 완료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하는 냉시(冷時) 박리 방식의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피전사체 상에의 전사층의 전사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열전사 시트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하고, 피전사체 상에 전사가 완료된 전사층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런데,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을 일으킨 경우에는, 구체적으로는, 열전사 시트로부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박리할 수 없게 될 정도까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달라붙은 경우, 예컨대, 기재 상에 직접적으로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전사층과 기재의 의도하지 않은 열융착이 발생한 경우에는, 프린터의 내부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가 파단되어 버리거나, 혹은 프린터 내부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의 반송 이상(JAM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되는 에너지가 높아짐에 따라,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이나, 열융착에 기인하는 반송 이상의 발생 빈도는 높아져 가는 경향에 있다. 또한,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 쪽이, 냉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보다, 이들 문제가 보다 발생하기 쉬운 경향에 있다.
또한,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는 전사층에는, 양호한 내구성을 갖고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나, 높은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피전사체와 전사층의 열융착을 억제하면서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충분히 만족시키기까지에는 이르고 있지 않아, 이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9-29057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6307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6845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의 산가가 40 mgKOH/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에 의하면,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양태에 비해, 각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도면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열전사 시트>>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이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기재(1)와, 상기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위치하는 전사층(10)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
기재(1)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며, 상기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위치하는 전사층(10)을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기재(1)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가해지는 열에 견디고, 취급상 지장이 없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1)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나일론,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등의 각종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기재(1)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2.5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기재(1)로서 표면 처리가 실시된 것을 이용해도 좋다.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프라이머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전사층)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 상에는,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전사층(10)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중첩시키고, 서멀 헤드나, 가열 롤 등의 가열 수단(이하, 가열 수단이라고 한다)에 의해 기재(1)의 다른쪽 면을 가열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는 층이며, 2개 이상의 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도 1, 도 2 참조), 혹은,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도 3 참조)을 나타내고 있다.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하나로서,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을 들 수 있다.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이란,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를 중첩시키고, 열전사 시트측으로부터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에 의해 에너지를 인가하여,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며,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때에, 본래라면, 열전사 시트측에 잔존해야 할 열전사 시트의 구성 부재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과 일체화되어 버려,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없는 현상을 의미한다. 예컨대, 기재 상에 직접적으로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를 이용했을 때에,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수 없을 정도까지 기재와 전사층이 일체화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혹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만을 열전사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상기 전사층의 박리 시에 있어서 이음 등이 발생할 정도까지 열전사 시트의 구성 부재가,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과 일체화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된 경우에는, 프린터 내에서의 반송 이상이나, 전사 불량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열융착의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전사층의 전사 계면(박리 계면이라고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이 거칠어져 버려, 광택도의 저하 등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고속 인화 적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나, 열시 박리 방식의 프린터를 이용한 경우 등에,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가 열융착되기 쉬운 경향에 있다. 이하, 열전사 시트를 구성하는 구성 부재 중 전사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 부재가 기재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기재와 전사층이 직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재와 전사층 사이에 임의의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층이 전사층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 부재가 된다.
또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화물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층, 요컨대,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의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이며, 상기 층의 내구성의 향상을 주안으로 하는 대책을 행한 경우에는, 전사층의 박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다.
그래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공중합체의 산가가 40 mgKOH/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을 「기저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층(10)이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사층(10)이, 그대로 「기저층」이 된다. 또한, 산가가 40 mgKOH/g 이상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특정한 공중합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산가란, 폴리머(고형분) 1 g 중의 카르복실기와 몰당량이 되는 수산화칼륨의 밀리그램수의 이론값을 의미한다.
기저층이, 상기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환언하면, 인화 전력을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층(10)의 박리성이 불충분한 것에 기인하는 여러 가지 문제, 구체적으로는, 프린터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이나,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광택도의 저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하면, 상기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에 의해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상세한 메커니즘은 현재 반드시 명백하게는 되어 있지 않으나, 「특정한 공중합체」를 이루는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기저층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찰되며, 기저층에, 중합 성분으로서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의 박리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그 산가가, 기저층의 내구성과 밀접적인 관련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되며,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로서, 그 산가가 40 mgKOH/g 이상인 공중합체를 기저층에 함유시킴으로써, 기저층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추찰된다. 요컨대,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 메커니즘에 의하지 않는다고 해도,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 비교예의 결과로부터도 명백해지고 있다.
한편, 기저층에, 산가가 40 mgKOH/g 이상인 공중합체를 함유시킨 경우라도, 상기 공중합체가,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중합 성분, 예컨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의 박리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기저층에,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시킨 경우라도, 이 공중합체의 산가가 40 mgKOH/g 미만인 경우에는, 기저층에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없고, 상기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이 전사된 인화물에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없다.
이상의 점에서, 「특정한 공중합체」를 이루는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박리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는 중합 성분이며,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와 공중합시켜도, 박리성을 유지할 수 있는 중합 성분이라고 추찰된다.
「특정한 공중합체」를 이루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불포화 트리카르복실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에서 유래하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컨대,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프탈산모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다이머, β-(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하이드로젠숙시네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특정한 공중합체」를 이루는,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산가가 40 mgKOH/g 이상이 되도록,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을 결정하면 된다. 한편,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공중합체의 산가는 높아져 가는 경향에 있다.
보다 바람직한 형태의 기저층은, 산가가 50 mgKOH/g 이상, 나아가서는, 산가가 60 mgKOH/g 이상, 특히, 산가가 70 mgKOH/g 이상인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예컨대, 전사층(10)이 적층 구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있어서, 기저층에, 산가가 50 mgKOH/g 이상, 나아가서는, 산가가 60 mgKOH/g 이상, 특히, 산가가 70 mgKOH/g 이상인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전사층(1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로서,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층 상에 형성되는 층의 면질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피전사체 상에, 상기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이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외관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기저층 상에, 수계의 수용층 등의 수계의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저층의 젖음성이 낮은 경우에는, 기저층 상에 형성되는 상기 수계의 수용층의 면질은 나빠지고, 이들 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외관은 나쁜 것이 되지만, 기저층에, 산가가 50 mgKOH/g 이상, 나아가서는, 산가가 60 mgKOH/g 이상, 특히, 산가가 70 mgKOH/g 이상인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기저층 상에 형성되는 층이, 용제계의 층인 경우뿐만이 아니라, 수계의 층인 경우에 있어서도, 기저층 상에 형성되는 층의 면질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수계의 층이란, 수용성 수지, 수분산성 수지 등의, 수계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 가능한 수계 수지를, 수계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한 도공액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층을 의미한다.
산가가 50 mgKOH/g 이상인 「특정한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 비율을 높게 해 감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람직한 형태의 기저층은, 전사층(10)이 적층 구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상정한 형태이며, 전사층(10)이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특정한 공중합체」는,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와 함께, 다른 중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다른 중합 성분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나,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중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등의 중합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공중합체의 공중합 비율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몰비로 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특정한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n)은, 6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5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Mw)의 바람직한 상한값의 일례로서는, 30000 정도이다. 또한, 「특정한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7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리 전이 온도(Tg)의 바람직한 상한값의 일례로서는, 190℃ 정도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란, 폴리스티렌을 표준 물질로 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JIS-K-7252-1(200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유리 전이 온도(Tg)란, JIS-K-7121(2012)에 준거하여, DSC(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한 열량 변화의 측정(DSC법)에 기초하여 구해지는 온도를 의미한다.
기저층이 함유하고 있는, 「특정한 공중합체」의 함유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기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는 분만큼,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기저층의 총 질량에 대해,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다. 상한값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100 질량%이다.
기저층의 형성 방법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및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임의의 첨가재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기저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기저층용 도공액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저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저층의 두께를 이 범위로 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10)을 전사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전사층(10), 및 기저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제1 형태의 전사층)
제1 형태의 전사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10A), 보호층(3)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제1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는, 피전사체 상에,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의해 덮여지는 피전사체의 화상 등에, 내구성이나, 내후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용되며, 소위 보호층 전사 시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있어서의 기저층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저층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층)
보호층(3)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부티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층(3)으로 할 수도 있다.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보호층(3)에 의하면, 제1 형태의 전사층(10)을 전사함으로써,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의해 덮여지는 피전사체의 화상의 내광성, 내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살리실레이트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치환 아크릴로니트릴계, 니켈킬레이트계, 힌더드 아민계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들 자외선 흡수제에, 예컨대, 비닐기나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등의 부가 중합성 이중 결합, 혹은 알코올성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도입한 고분자 재료가 자외선 흡수성 수지이다.
보호층(3)은, 예컨대, 상기에서 예시한 성분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보호층용 도공액을, 기저층(10A)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3)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통상, 0.5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이다.
(접착층)
또한, 보호층(3) 상에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보호층(3) 상에 또한 접착층이 위치하는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 의하면, 전사층(10)과 피전사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고무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종래 공지된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0.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형태의 전사층)
제2 형태의 전사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10A), 수용층(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는,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수용층(2)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수용층(2)을 포함하는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인화물을 얻기 위해서 이용되며, 소위 중간 전사 매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 형태의 전사층(10)에 있어서의 기저층은, 상기에서 설명한 기저층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용층)
수용층(2)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혹은 폴리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혹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혹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 혹은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 폴리머의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혹은 셀룰로오스디아스타아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2)은, 상기에서 예시한 성분 등을 적당한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시킨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수용층용 도공액을, 기저층(10A) 상에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2)의 두께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통상,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기저층(10A)과 수용층(2) 사이에, 임의의 층, 예컨대, 중간층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용층(2) 상에 접착층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과, 제2 형태의 전사층(10)을 조합한 전사층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3), 수용층(2)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는 열전사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제3 형태의 전사층)
제3 형태의 전사층(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10)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의 전사층(10)이 위치하고 있다.
제3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는, 기저층(10A)에, 「특정한 공중합체」와 함께, 기능성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열전사 시트(100)에 각종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기저층(10A)에, 「특정한 공중합체」와 함께, 종래 공지된 착색재, 필요에 따라, 왁스 성분, 광물유, 식물유, 스테아르산 등의 고급 지방산, 가소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재 등의 여러 가지 첨가재를 함유시킴으로써, 열용융 잉크층으로서의 제3 형태의 전사층(10)을 갖는 열전사 시트(100)로 할 수 있다.
왁스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이 있다. 또한, 피셔 트롭쉬 왁스,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랍, 경랍, 백랍, 양모랍, 셸락 왁스, 칸데릴라 왁스, 페트로락탐, 폴리에스테르 왁스,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재로서는, 공지된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 혹은 염료 중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갖고, 광, 열 등에 의해 변색, 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해 발색하는 물질이나, 피전사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과 접촉함으로써 발색하는 것과 같은 물질이어도 좋다. 예컨대, 블랙의 착색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기저층(10A)에, 「특정한 공중합체」와 함께, 상기 제1 형태의 전사층(10)에서 설명한 보호층(3)의 성분을 함유시킴으로써,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기저층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에 대해 각종의 형태를 들어 설명을 행하였으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10)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저층에,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환언하면,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기저층의 내구성(기저층을 포함하는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인화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조건 1: 기재의 한쪽 면에, 단층, 혹은 적층 구성의 전사층이 형성되고, 조건 2: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특정한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면, 이 이외의 조건에 대해 어떠한 한정도 되는 일은 없고, 상기에서 예시한 형태 이외여도 좋다.
(임의의 층)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전사층을 구성하지 않는 임의의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임의의 층으로서는, 기재(1)와 전사층(10) 사이에 형성되고, 전사층(10)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형층(도시하지 않음)이나, 기재(1)의 다른쪽 면 상에 형성되고, 내열성이나,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의 주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배면층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형태의 전사층(10)을 구비하는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기재(1)와, 열용융 잉크층으로서의 기저층(10A) 사이에 이형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1)의 한쪽 면의 동일면 상에, 상기 각종 형태의 전사층과 함께, 색재층(도시하지 않음)을 면순차로 형성할 수도 있다.
(피전사체)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이 전사되는 피전사체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보통지, 상질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는 플라스틱 카드, 열전사 수상 시트, 임의의 대상물 상에 중간 전사 매체의 전사층이 전사되어 이루어지는 인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의 전사층(10)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이용되는 프린터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서멀 헤드 등의 가열 부재를 구비하는 종래 공지된 모든 프린터를 사용 가능하다. 한편,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0)는, 피전사체 상에 전사층을 전사할 때에 열전사 시트에 인가하는 에너지를 높게 해 간 경우라도, 피전사체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의 전사층의 박리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는, 높은 에너지를 인가 가능한 프린터나, 열시 박리 타입의 프린터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또는 %는 질량 기준이며, 고형분으로 환산한 값이다. 또한, Mw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Tg는, 유리 전이 온도를 의미한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4.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이(주))을 이용하여, 상기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기저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저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1을, 건조 후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한편, 상기한 기저층용 도공액 1, 보호층용 도공액 1, 배면층용 도공액은, 그라비아 코팅으로 도포하였다.
<기저층용 도공액 1>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72 mgKOH/g, Mw: 11600, Tg: 77℃)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보호층용 도공액 1>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20부
(솔바인(등록 상표) CNL 닛신 가가쿠 고교(주))
·톨루엔 40부
·메틸에틸케톤 40부
<배면층용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0부
(에스렉(등록 상표) BX-1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2부
(타케네이트(등록 상표) D218 미쓰이 가가쿠(주))
·인산에스테르 2부
(플라이서프(등록 상표) A208S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주))
·메틸에틸케톤 43부
·톨루엔 43부
(실시예 2)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2>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93 mgKOH/g, Mw: 12500, Tg: 81℃)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3)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3>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49 mgKOH/g, Mw: 11400, Tg: 74℃)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4)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4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4>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122 mgKOH/g, Mw: 13700, Tg: 8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5)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5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5>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151 mgKOH/g, Mw: 14400, Tg: 89℃)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6)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6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6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6>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168 mgKOH/g, Mw: 14900, Tg: 92℃)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7)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7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7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7>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192 mgKOH/g, Mw: 18100, Tg: 96℃)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8)
기저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8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9)
기저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9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0)
기저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0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11)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2>
·수분산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80부
(MD-1480 도요보(주))
·이소프로필알코올 20부
(실시예 12)
보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 3으로 변경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3>
·수분산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MD-2000 도요보(주))
·물 10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부
(실시예 13)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8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3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8>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2.5부
(산가: 72 mgKOH/g, Mw: 11600, Tg: 77℃)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2.5부
(산가: 0 mgKOH/g, Mw: 14000, Tg: 10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4)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9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4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9>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17.5부
(산가: 72 mgKOH/g, Mw: 11600, Tg: 77℃)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7.5부
(산가: 0 mgKOH/g, Mw: 13800, Tg: 65℃)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실시예 15)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10으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실시예 15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10>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0부
(산가: 72 mgKOH/g, Mw: 11600, Tg: 77℃)
·에틸아크릴레이트 수지 5부
(산가: 0 mgKOH/g, Mw: 21600, Tg: -22℃)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1)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A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비교예 1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A>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25부
(산가: 23 mgKOH/g, Mw: 10600, Tg: 70℃)
·메틸에틸케톤 67부
·아세트산노르말프로필 8부
(비교예 2)
기저층용 도공액 1을, 하기 조성의 기저층용 도공액 B로 변경하여, 기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모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기재의 한쪽 면 상에, 기저층, 보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전사층이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된 비교예 2의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기저층용 도공액 B>
·아크릴 수지(BR87 미쓰비시 레이온(주)) 20부
(산가: 10.5 mgKOH/g, Mw: 25000, Tg: 105℃)
·메틸에틸케톤 40부
·톨루엔 40부
(열전사 화상의 형성)
하기의 방법으로 작성한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상에, 이하의 열전사 화상 형성 조건에 의해,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염료로 이루어지는 흑색 솔리드 화상(black solid image)을 인화하여, 열전사 화상을 얻었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염료로서는, 하기의 방법으로 작성한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였다.
(열전사 수상 시트의 작성)
다공질 폴리에틸렌 필름(토요펄(등록 상표) SS P4255 도요보(주) 두께 35 ㎛)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층 상에, 하기 조성의 중간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코트 방식으로, 건조 후의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중간층 상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코트 방식으로, 건조 후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그 중간층, 수용층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의 다공질 폴리에틸렌 필름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리버스 롤 코트 방식으로, 건조 후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RC 원지(155 g/㎡, 두께 151 ㎛)(미쓰비시 세이시(주))와 접합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를 제작하였다.
<중간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50부
(폴리에스터(등록 상표) WR-905 닛폰 고세이 가가쿠 고교(주))
·산화티탄 20부
(TCA888 (주)토켐 프로덕츠)
·형광 증백제 1.2부
(유비텍스(등록 상표) BAC BASF 재팬사)
·물 14.4부
·이소프로필알코올 14.4부
<수용층용 도공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60부
(솔바인(등록 상표) C 닛신 가가쿠 고교(주))
·에폭시 변성 실리콘 1.2부
(X-22-3000T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스틸 변성 실리콘 0.6부
(X-24-510 신에츠 가가쿠 고교(주))
·메틸에틸케톤 2.5부
·톨루엔 2.5부
<접착층용 도공액>
·우레탄 수지 30부
(타케락(등록 상표) A-969 V 미쓰이 가가쿠(주))
·이소시아네이트 10부
(타케네이트(등록 상표) D218A-5 미쓰이 가가쿠(주))
·아세트산에틸 100부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4.5 ㎛의 접착 용이 처리가 완료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위에, 하기 조성의 내열 활성층(耐熱滑性層)용 도공액을, 건조 후의 두께가 0.8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내열 활성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의 다른쪽 면에,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을 각각, 건조 후의 두께가 0.6 ㎛가 되도록, 면순차로 도포·건조하여, 각 색의 염료층을 형성하여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내열 활성층용 도공액)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60.8부
(에스렉(등록 상표) KS-1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4.2부
(바녹(등록 상표) D750 DIC(주))
·필러(스테아릴인산아연) 10부
(LBT1830 정제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
·필러(스테아르산아연) 10부
(SZ-PF 사카이 가가쿠 고교(주))
·필러(폴리에틸렌 왁스) 3부
(폴리왁스 3000 도요 아도레(주))
·필러(에톡시화 알코올 변성 왁스) 7부
(유니톡스 750 도요 아도레(주))
·톨루엔 200부
·메틸에틸케톤 100부
(옐로우 염료층용 도공액)
·Disperse Yellow 201 4.0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5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에틸렌 왁스 0.1부
·메틸에틸케톤 45.0부
·톨루엔 45.0부
(마젠타 염료층용 도공액)
·Disperse Red 60 1.5부
·Disperse Violet 26 2.0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5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에틸렌 왁스 0.1부
·메틸에틸케톤 45.0부
·톨루엔 45.0부
(시안 염료층용 도공액)
·Solvent Blue 63 2.0부
·Disperse Blue 354 2.0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5부
(에스렉(등록 상표) KS-5 세키스이 가가쿠 고교(주))
·폴리에틸렌 왁스 0.1부
·메틸에틸케톤 45.0부
·톨루엔 45.0부
(열전사 화상 형성 조건)
·서멀 헤드: F3598(도시바 호쿠토 덴시(주))
·발열체 평균 저항값: 5176(Ω)
·주(主)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副)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력: 0.12(W/dot)
·1라인 주기: 2(msec.)
·펄스 점유율: 85(%)
·인화 개시 온도: 35.5(℃)
(박리력 평가)
하기 열시 박리 타입의 테스트 프린터 1을 이용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화상 형성물 상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얻었다.
(테스트 프린터 1(열시 박리 타입))
·발열체 평균 저항값: 5241(Ω)
·주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28(V)
·인화 전력: 0.15(W/dot)
·1라인 주기: 1(msec.)
·펄스 점유율: 85(%)
·인화 개시 온도: 29.0~36.0(℃)
·발열 포인트로부터 박리판까지의 거리: 4.5(㎜)
·반송 속도: 84.6(㎜/sec.)
·인압(印壓): 3.5~4.0(kgf)
·평가 화상: 255 계조 베타 화상
이 인화물을 얻을 때에, 인화 종료 후, 화상 형성물로부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를 박리할 때의 열전사 시트의 인장 강도를, 프린터 내에 있어서, 열전사 시트의 권취 롤과, 박리판 사이에 설치된 텐션 미터(ASK-1000 오오쿠라 인더스트리(주))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1에 인장 강도(박리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한편, 이 방법에서는, 권취 롤에 의한 권취 속도가 일정(반송 속도: 84.6 ㎜/sec.)하게 되도록 제어한 상태에서, 인장 강도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박리 시에 열전사 시트에 기인하는 박리력의 측정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박리력이, 0.1 N/㎝ 미만인 경우에는, 화상 형성물로부터의 열전사 시트의 박리성(이형성)이 양호하고, 피전사체와 열전사 시트의 열융착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기재로부터 박리할 때에 텐션 미터에 의해 측정되는 인장 강도는, 장력과 동일한 의미이고, 인장 강도의 값은,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층을 전사한 후에, 기재로부터 상기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전사된 전사층을 박리할 때의 박리력의 실질적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내구성 평가)
하기 열시 박리 타입의 테스트 프린터 1의 인화 전압을 28 V로부터 23 V(인화 전력: 0.10(W/dot))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모두 상기 박리력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에서 얻어진 화상 형성물 상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전사 시트의 전사층을 전사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JIS-L-0849(2013)에 준거한 시험을 행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내구성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인화물에 상처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B: 인화물에 약간의 상처가 보이지만,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C: 인화물에 약간의 상처가 보이며, 눈에 띈다.
NG: 인화물에 다수의 상처가 보인다.
Figure 112018035065811-pct00001
1: 기재 2: 수용층
3: 보호층 10A: 기저층
10: 전사층 100: 열전사 시트

Claims (3)

  1. 기재의 한쪽 면 상에 전사층이 형성된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전사층은 1 또는 2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사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의 산가가 40 mgKOH/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다른쪽 면 상에 배면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KR1020187009993A 2015-12-25 2016-12-22 열전사 시트 KR102508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4937 2015-12-25
JP2015254937 2015-12-25
PCT/JP2016/088422 WO2017111049A1 (ja) 2015-12-25 2016-12-22 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503A KR20180097503A (ko) 2018-08-31
KR102508047B1 true KR102508047B1 (ko) 2023-03-08

Family

ID=5909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993A KR102508047B1 (ko) 2015-12-25 2016-12-22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4702B2 (ko)
EP (1) EP3378667B1 (ko)
JP (1) JP6160799B1 (ko)
KR (1) KR102508047B1 (ko)
CN (1) CN108136806B (ko)
WO (1) WO2017111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3669B2 (ja) * 2016-12-06 2020-08-19 凸版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068608B2 (ja) * 2018-03-30 2022-05-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6915755B2 (ja) * 2019-03-29 2021-08-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0912A (en) * 1975-12-26 1977-07-07 Okuno Chem Ind Co Transfer sheet
JPH01216887A (ja) * 1988-02-26 1989-08-30 Ricoh Co Ltd 感熱転写記録媒体
EP0542208A1 (en) 1991-11-15 1993-05-19 Fujicopian Co., Ltd. Heat-melt transfer recording medium
JPH05185754A (ja) * 1991-11-15 1993-07-27 Fujicopian Co Ltd 熱溶融性転写記録媒体
JPH09290576A (ja) 1996-04-26 1997-11-11 Toray Ind Inc 溶融型感熱転写材
US5674805A (en) * 1996-11-27 1997-10-07 Eastman Kodak Company Binder for thermal transfer pigment donor element
JP3903130B2 (ja) * 1997-03-11 2007-04-11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ドットスペーサ形成用感熱転写材料
JPH1165098A (ja) * 1997-08-19 1999-03-05 Mitsubishi Chem Corp 感光性平版印刷版の製版方法
JPH11263079A (ja) 1998-03-17 1999-09-28 Dainippon Printing Co Ltd 中間転写記録媒体
US6308630B1 (en) 1998-03-06 2001-10-30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method of forming print, and print
JP2001246845A (ja) 2000-03-03 2001-09-11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01260542A (ja) * 2000-03-16 2001-09-25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記録媒体
JP2003165278A (ja) * 2001-11-30 2003-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フィルム及び熱転写記録媒体
JP4319964B2 (ja) * 2004-10-25 2009-08-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US7361437B2 (en) * 2006-09-01 2008-04-2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al transfer donor element with a carboxylated binder and a hydroxylated organic compound
JP5297741B2 (ja) * 2008-09-26 2013-09-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保護層転写シート
JP5493473B2 (ja) * 2009-05-29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およびインクリボン
JP5935271B2 (ja) * 2010-09-22 2016-06-15 Dic株式会社 熱転写用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06439A (ja) 2011-03-30 2012-10-25 Dic Corp 熱転写用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WO2013133375A1 (ja) * 2012-03-08 2013-09-12 株式会社 きもと 熱転写用シートおよび印画物の製造方法
EP2896506B1 (en) * 2012-09-11 2018-07-25 Toppa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8667B1 (en) 2020-06-10
US10864702B2 (en) 2020-12-15
JPWO2017111049A1 (ja) 2017-12-21
JP6160799B1 (ja) 2017-07-12
CN108136806B (zh) 2020-01-07
CN108136806A (zh) 2018-06-08
KR20180097503A (ko) 2018-08-31
WO2017111049A1 (ja) 2017-06-29
US20190001621A1 (en) 2019-01-03
EP3378667A1 (en) 2018-09-26
EP3378667A4 (en)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29590A1 (ja) 中間転写媒体
US10131170B2 (en) Protective layer transfer sheet
JP5699384B1 (ja) 保護層転写シート、及び中間転写媒体
JP5573274B2 (ja) 熱転写シート
KR102508047B1 (ko) 열전사 시트
KR102509768B1 (ko) 열전사 시트
US10500883B2 (en) Combination of intermediate transfer sheet and thermal transfer medium, and print forming method
JP5874188B2 (ja) 画像形成方法
JP2017109323A (ja) 熱転写シート
JP3668315B2 (ja) 熱転写シート
JP5907672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15066781A (ja) 熱転写シートと熱転写受像シートとの組合せ、及び画像形成方法
JP2018171840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シート、受容層用塗工液、熱転写受像シートの形成方法、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JP5880511B2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7255727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2016020048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と熱転写シートとの組み合わせ及び画像形成方法
WO2019187869A1 (ja) 保護層転写シート
JP2019177666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JP2022047377A (ja) 熱転写シート
JP2019177665A (ja) 熱転写受像シート、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に用いる熱転写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