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797B1 - 운반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운반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797B1
KR102505797B1 KR1020170087593A KR20170087593A KR102505797B1 KR 102505797 B1 KR102505797 B1 KR 102505797B1 KR 1020170087593 A KR1020170087593 A KR 1020170087593A KR 20170087593 A KR20170087593 A KR 20170087593A KR 102505797 B1 KR102505797 B1 KR 102505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port
stud bolts
coupled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652A (ko
Inventor
진용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7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운반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운반 보조 장치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 1 프레임과,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장축간의 각도가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에 연결된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스터드 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반 보조 장치{Transport assi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운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를 운반하는 LNG 선박은 LNG 탱크를 적재하는 방식에 따라 모스형(Moss type) 선박과 멤브레인형(Membrane type) 선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모스형 선박은 선체와는 독립된 별도의 LNG 탱크를 구비한 선박이고, 멤브레인형 선박은 선체의 내벽에 결합된 LNG 탱크를 구비한 선박이다.
멤브레인형 선박의 LNG 탱크는 멤브레인에 의하여 형성된다. 선체의 내벽에 멤브레인이 부착되어 LNG 탱크를 형성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038호 (2011.01.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반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반 보조 장치의 일 면(aspect)은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 1 프레임과,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장축간의 각도가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에 연결된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말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스터드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장축간의 각도는 직각을 포함한다.
상기 운반 보조 장치는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몸체간을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스터드 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에 고정된 너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의 나사산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나사부 및 상기 제 2 나사부는 길이가 상이한 운반 보조 장치.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스터드 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운반 대상물에 근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의 스터드 볼트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이용되어 운반 대상물이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볼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터드 볼트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운반 대상물에 근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볼트가 프레임 및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운반 보조 장치(10)는 프레임(100), 보강부(200) 및 스터드 볼트(301, 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운반 장치와 운반 대상물간을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은 운반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고, 운반 장치는 프레임(100)을 통하여 운반 대상물을 리프팅할 수 있다. 이에, 프레임(100)은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은 각각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110)의 장축 말단 및 제 2 프레임(120)의 장축 말단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장축간의 각도가 평행하지 않도록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장축간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운반 대상물은 화물창의 내벽에 구비되는 코너 패널일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각 말단이 코너 패널의 서로 다른 내측면에 고정되는데, 이에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장축간의 각도는 코너 패널의 내측면간 각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구비된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이 용접 등에 의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프레임(100)을 구성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프레임(100)이 휘어져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보강부(200)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몸체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110)의 몸체 중심과 제 2 프레임(120)의 몸체 중심이 보강부(20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200)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강부(200)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몸체간을 연결함에 따라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 상호간에 대한 자세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스터드 볼트(301, 302)는 프레임(100)과 운반 대상물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터드 볼트(301, 302)는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일측 나사산은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 나사산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301, 302)는 제 1 스터드 볼트(301) 및 제 2 스터드 볼트(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터드 볼트(301)는 제 1 프레임(110)의 말단에 결합되고, 제 2 스터드 볼트(302)는 제 2 프레임(12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301, 302)의 결합 방향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장축에 평행할 수 있고, 스터드 볼트(301, 302)와의 결합을 위하여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는 결합홀(H1, H2)이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에는 걸림 고리(400)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고리(400)를 통하여 운반 장치는 운반 보조 장치(10)와 이에 고정된 운반 대상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터드 볼트(301, 302)는 제 1 나사부(310), 제 2 나사부(320) 및 너트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나사부(310)는 프레임(100)의 결합홀(H1, H2)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 2 나사부(320)는 운반 대상물의 결합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의 나사산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나사부(310)의 나사산이 연장되어 제 2 나사부(320)의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스터드 볼트(301, 302)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나사부(310)는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제 2 나사부(320)는 운반 대상물에서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스터드 볼트(301, 302)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나사부(310)는 프레임(100)에서 결합 해제되고, 제 2 나사부(320)는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는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제 1 나사부(310)의 길이가 제 2 나사부(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과 운반 대상물을 연결함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301, 302)는 우선적으로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이어서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100)에 결합된 스터드 볼트(301, 302)가 일정 거리만큼 결합 해제되면서 운반 대상물에 결합될 수 있다.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거리만큼 스터드 볼트(301, 302)는 프레임(100)에서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에, 제 1 나사부(310)가 제 2 나사부(320)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나사부(320)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된 경우 제 1 나사부(310)의 일부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너트부(330)는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너트부(330)는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트부(330)는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의 사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결국, 제 1 나사부(310), 제 2 나사부(320) 및 너트부(33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너트부(3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 1 나사부(310) 및 제 2 나사부(3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운반 보조 장치(10)가 운반 대상물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에 스터드 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운반 대상물에 근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의 스터드 볼트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터드 볼트(301, 302)는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 각각에 스터드 볼트(301, 302)의 제 1 나사부(310)가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터드 볼트(301, 302)의 너트부(33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터드 볼트(301, 302)를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는 제 1 나사부(3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H1, H2)이 구비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301, 302)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장축에 평행하게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홀(H1, H2)은 스터드 볼트(301, 302)의 결합 방향에 대응되어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100)과 운반 대상물(MS)과의 결합을 위하여 스터드 볼트(301, 302)를 구비하고 있는 운반 보조 장치(10)가 운반 대상물(MS)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운반 보조 장치(10)의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는 스터드 볼트(301, 30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각 스터드 볼트(301, 302)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결합홀(H1, H2)에 완전히 삽입되어 너트부(330)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표면에 접할 수 있다.
운반 보조 장치(10)가 운반 대상물(MS)에 근접함에 따라 스터드 볼트(301, 302)의 제 2 나사부(320)가 운반 대상물(MS)의 결합홀(H3, H4)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터드 볼트(301, 302)는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301, 302)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해제되면서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터드 볼트(301, 302)의 너트부(33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터드 볼트(301, 302)를 운반 대상물(MS)에 결합시킬 수 있다. 스터드 볼트(301, 302)와 운반 대상물(MS)간의 결합 과정은 너트부(330)가 운반 대상물(MS)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301, 302)와 운반 대상물(MS)의 결합이 완료되면, 스터드 볼트(301, 302)의 제 1 나사부(310) 중 일부는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제 2 나사부(320)는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스터드 볼트(301, 302)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하나의 운반 보조 장치(10)를 운반 대상물(MS)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운반 대상물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이용되어 운반 대상물이 운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운반 보조 장치(10)가 운반 대상물(MS)의 서로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운반 대상물(MS)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되는 운반 보조 장치(10)의 개수 및 결합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운반 보조 장치(10)가 이용되어 운반 대상물(MS)이 운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R)의 양측 말단이 운반 보조 장치(10)의 걸림 고리(400)에 연결되고, 크레인의 후크(HK)가 와이어(WR)를 들어올림으로써 운반 대상물(MS)이 운반될 수 있다.
제 1 나사부(310)의 일부만이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지만, 제 1 나사부(310)와 프레임(100)이 나사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 보조 장치(10)를 끌어 올리는 경우 운반 대상물(MS)이 함께 끌어 올려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볼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터드 볼트(501, 502)는 제 1 나사부(510), 제 2 나사부(520), 고정 너트부(530) 및 이동 너트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나사부(510) 및 제 2 나사부(520)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나사부(510)는 프레임(100)의 결합홀(H1, H2)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제 2 나사부(520)는 운반 대상물(MS)의 결합홀(H3, H4)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너트부(530)는 제 1 나사부(510) 및 제 2 나사부(5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너트부(530)는 제 1 나사부(510) 및 제 2 나사부(520)의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나사부(510), 제 2 나사부(520) 및 고정 너트부(53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제 1 나사부(310), 제 2 나사부(320) 및 너트부(33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너트부(540)는 제 1 나사부(5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이동 너트부(540)는 회전에 의하여 제 1 나사부(510)의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통하여 도 9에 도시된 스터드 볼트(501, 502)를 구비하고 있는 운반 보조 장치(10)가 운반 대상물(MS)에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스터드 볼트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반 보조 장치가 운반 대상물에 근접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 볼트가 프레임 및 운반 대상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터드 볼트(501, 502)는 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 각각에 스터드 볼트(501, 502)의 제 1 나사부(510)가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터드 볼트(501, 502)의 고정 너트부(53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터드 볼트(501, 502)를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는 제 1 나사부(5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홀(H1, H2)이 구비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501, 502)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장축에 평행하게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홀(H1, H2)은 스터드 볼트(501, 502)의 결합 방향에 대응되어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100)과 운반 대상물(MS)과의 결합을 위하여 스터드 볼트(501, 502)를 구비하고 있는 운반 보조 장치(20)가 운반 대상물(MS)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운반 보조 장치(20)의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는 스터드 볼트(501, 502)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각 스터드 볼트(501, 502)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결합홀(H1, H2)에 완전히 삽입되어 이동 너트부(540)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의 표면에 접할 수 있다.
운반 보조 장치(20)가 운반 대상물(MS)에 근접함에 따라 스터드 볼트(501, 502)의 제 2 나사부(520)가 운반 대상물(MS)의 결합홀(H3, H4)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터드 볼트(501, 502)는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501, 502)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해제되면서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터드 볼트(501, 502)의 고정 너트부(530)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터드 볼트(501, 502)를 운반 대상물(MS)에 결합시킬 수 있다. 스터드 볼트(501, 502)와 운반 대상물(MS)간의 결합 과정은 고정 너트부(530)가 운반 대상물(MS)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501, 502)와 운반 대상물(MS)의 결합이 완료되면, 스터드 볼트(501, 502)의 제 1 나사부(510) 중 일부는 프레임(100)에 결합되고, 제 2 나사부(520)는 운반 대상물(MS)에 결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너트부(540)가 제 1 나사부(510)를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100)의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동 너트부(540)가 프레임(100)의 표면에 밀착됨에 따라 제 1 나사부(510)와 프레임(100)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운반 보조 장치
100: 프레임
110: 제 1 프레임
120: 제 2 프레임
200: 보강부
301, 302, 501, 502: 스터드 볼트
310, 510: 제 1 나사부
320, 520: 제 2 나사부
330: 너트부
400: 걸림 고리
530: 고정 너트부
540: 이동 너트부

Claims (6)

  1.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 1 프레임;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장축간의 각도가 평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프레임에 연결된 제 2 프레임; 및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말단에서 상기 장축에 평행하게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스터드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각 말단이, 2개의 면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형성된 코너 패널의 서로 다른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스터드 볼트는,
    나사산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나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에 고정된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부의 나사산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나사부 및 상기 제 2 나사부는 길이가 상이한 운반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장축간의 각도는 직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몸체간을 연결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운반 보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7593A 2017-07-11 2017-07-11 운반 보조 장치 KR102505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93A KR102505797B1 (ko) 2017-07-11 2017-07-11 운반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593A KR102505797B1 (ko) 2017-07-11 2017-07-11 운반 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52A KR20190006652A (ko) 2019-01-21
KR102505797B1 true KR102505797B1 (ko) 2023-03-06

Family

ID=6527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593A KR102505797B1 (ko) 2017-07-11 2017-07-11 운반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6435A1 (en) * 2020-08-24 2022-03-03 Chulmin Park Filte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5022A (en) 1923-11-23 1925-04-21 Cloyed M Jenkins Motor-hoisting hitch
JP2006096476A (ja) * 2004-09-28 2006-04-13 Bbm:Kk 吊り具
CN201125915Y (zh) * 2007-09-06 2008-10-01 新乡市永昌标准件制造有限公司 调节螺栓
CN203402807U (zh) 2013-08-21 2014-01-22 国家电网公司 一种铁塔整体吊装角钢卡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038A (ko) 2009-07-03 2011-01-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의 시공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200466981Y1 (ko) * 2010-08-19 2013-05-2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원통형 중량물 운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5022A (en) 1923-11-23 1925-04-21 Cloyed M Jenkins Motor-hoisting hitch
JP2006096476A (ja) * 2004-09-28 2006-04-13 Bbm:Kk 吊り具
CN201125915Y (zh) * 2007-09-06 2008-10-01 新乡市永昌标准件制造有限公司 调节螺栓
CN203402807U (zh) 2013-08-21 2014-01-22 国家电网公司 一种铁塔整体吊装角钢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652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3033B1 (en) Shackle
KR100539315B1 (ko) 단위 부하 취급 장치
US3138398A (en) Devices for handling cargo containers and pallets
KR102505797B1 (ko) 운반 보조 장치
KR20130033003A (ko) 펌프 타워
KR1015993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WO2015174021A1 (ja) 液化ガスタンクの船体支持構造及び液化ガス運搬船
CN205059933U (zh) 一种楔形木紧固装置
KR101807768B1 (ko) 슬링 어셈블리
KR20100133708A (ko) 러더 혼 블록 이동용 러그
KR102206868B1 (ko) 화물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래트 랙 컨테이너
KR20180000860U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펌프 타워의 지지구조
KR200465807Y1 (ko) 컨테이너 선박의 셀가이드 설치용 지그
WO2021031058A1 (en) Gripper for handling twistlock
JP2012076087A (ja) 溶接作業用治具、溶接方法及びそれらを利用する支持スカート製造方法
KR102584153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보강장치
KR20160062490A (ko) 각도 조절형 패드아이의 설치구조, 그 각도 조절형 패드아이의 설치구조를 구비하는 해양구조물의 보강부재, 및 그 각도 조절형 패드아이의 각도조절방법
KR101623100B1 (ko) 로딩암이 구비된 lng 운반선
KR20120005077A (ko) 백킹재를 이용한 lng 탱크 제작 방법
KR200470184Y1 (ko) 듀얼 플랜지 클램프
KR20200031428A (ko) 선박 계류 장치
KR20130138535A (ko) 선박의 체인 록커 및 그 시팅 플레이트 형성 방법
CN107651102A (zh) 一种船舶舷侧吊耳
KR20180043965A (ko) 선박 블록용 스티프너 및 선박 블록용 스티프너의 결합방법
KR20140084826A (ko) 탑사이드 모듈 탑재용 패드아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