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768B1 - 슬링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슬링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768B1
KR101807768B1 KR1020150184990A KR20150184990A KR101807768B1 KR 101807768 B1 KR101807768 B1 KR 101807768B1 KR 1020150184990 A KR1020150184990 A KR 1020150184990A KR 20150184990 A KR20150184990 A KR 20150184990A KR 101807768 B1 KR101807768 B1 KR 101807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load
connector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387A (ko
Inventor
손창환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7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22Sling or load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의 형태 및 무게중심의 따라 슬링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는 슬링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제 1커넥터 및 상기 제 1커넥터에 마주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제 2커넥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커넥터에 각각 연결되어, 하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적재물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이에, 단일의 슬링 어셈블리로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안전하게 취급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링 어셈블리{SLING ASSEMBLY}
본 발명은 실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제작 및 유지보수 공정에 사용되는 슬링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링은 고중량의 적재물을 크레인 장치를 사용해서 취급 운반할 때 이용되는 인용용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슬링은 고중량의 적재물을 크레인 장치에 안전하게 지지시킬 수 있어 산업분야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링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0073431호(화물운반적하용 슬링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링, 2003.09.19.)"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발명은 와이어를 가공하여 슬링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항공기 제작 및 유지보수 공정에서는 동체, 패널 및 기타 전자 기계장치 등을 운반하여야 한다. 그러나 와이어 형태의 슬링으로는 적재물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특히 적재물의 형태에 따라 적재물 연결부 및 무게중심이 상이하기 때문에 적재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슬링을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3-0073431호(화물운반적하용 슬링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링, 2003.09.19.)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물의 형태 및 무게중심의 따라 슬링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는 슬링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는 다수의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제 1커넥터 및 상기 제 1커넥터에 마주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제 2커넥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커넥터에 각각 연결되어, 하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적재물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각각에는 상기 지지유닛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공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을 1점 지지할 수 있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지지공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을 2점 지지할 수 있는 제 2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지부는 상기 적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제 1연결공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공을 체결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커넥터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교차하도록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제 1연결공이 형성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제 2연결공이 형성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롤러와, 상기 본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체결홀을 체결하는 체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는 적재물 형태 및 무게중심의 따라 슬링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어 단일의 슬링 어셈블리로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을 안전하게 취급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2점 지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3점 지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4점 지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100)는 크레인 장치 등과 같은 인양장치(10, 도 4참조)에 적재물(30도 4참조)이 안전하게 지지되어 취급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링 어셈블리(100)는 프레임(110), 커넥터(130) 및 지지유닛(150)을 포함한다.
먼저, 프레임(110)은 적재물(30)이 인양장치(10)에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강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인양장치(1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레일(113) 및 다수의 체결공(115)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13)은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송 가능한 커넥터(130)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13)은 프레임(110)의 양측벽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가이드레일(113)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수의 체결공(115)은 가이드레일(113)의 상측에 배열된다. 여기서, 체결공(115)은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송되는 커넥터(1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130)는 다수의 체결공(115) 중 선택된 하나의 체결공(115)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30)는 프레임(110)과 지지유닛(150)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커넥터(130)는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로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제 1커넥터(131)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 2커넥터(133)는 제 1커넥터(131)에 마주하도록 프레임(110)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는 각각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송되며, 상호 간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는 체결공(115)에 체결되어 각각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커넥터(1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는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는 바, 커넥터(13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100)의 커넥터(130)는 본체(130a), 이송부(130c), 및 체결핀(130e)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30a)는 커넥터(130)의 외형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체(130a)에는 가이드레일(113)에 결합될 수 있는 장착부(130aa)가 형성되고, 장착부(130aa)의 상측에는 체결공(115)과 중첩될 수 있는 중첩공(130ac)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30a)의 하부영역에는 지지유닛(150)이 체결될 수 있는 지지공(130ae)이 형성될 있으며, 여기서, 지지공(130ae)은 프레임(1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130c)는 본체(130a)에 장착되어, 본체(130a)가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원활히 이송 가능하도록 한다. 이송부(130c)는 복수 개의 롤러(130ca)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장착부(130a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롤러(130ca)는 커넥터(130)가 프레임(110)에 장착될 경우 본체(130a)를 가이드레일(113)에 구름 지지하여, 커넥터(130)가 가이드레일(113) 상에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체결핀(130e)은 본체(130a)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체결핀(130e)은 중첩공(130ac)이 체결공(115)과 중첩될 경우, 중첩공(130ac)과 체결공(115)을 체결시킨다. 이에, 본체(130a)는 체결핀(130e)에 의해 프레임(110)의 지지되어, 커넥터(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지지공(130ae)에는 적재물(30)을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에 연결하는 지지유닛(15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유닛(150)은 적재물(30)을 1점 지지하는 제 1지지부(151) 및 적재물(30)을 2점 지지하는 제 2지지부(153)로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제 1지지부(151)는 지지플레이트(151a) 및 지지핀(151c)을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51a)에는 복수의 연결공(H)이 형성된다. 예컨대, 연결공(H)은 지지플레이트(151a)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151a)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상부 연결공(H1)은 커넥터(130)에 형성된 지지공(130ae)에 중첩 가능하게 마련되고, 지지핀(151c)은 지지공(130ae)과 상부 연결공(H)을 체결시켜 커넥터(130)에 지지플레이트(151a)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51a)의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하부 연결공(H2)은 적재물(30)과의 연결을 위하여 형성되며, 예컨대, 적재물(30)이 직접 연결되거나, 적재물(30)에 연결된 와이어와 같은 연결기구(5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지지부(153)는 지지프레임(153a), 및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53a)은 커넥터(130)에 형성된 지지공(130ae)에 삽입되어, 프레임(110)에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53a)의 길이방향으로는 이송슬릿(153aa) 및 다수의 고정공(153ac)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슬릿(153aa)은 지지프레임(153a)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2지지부재(153c, 153e)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는 바(Bar) 형태로 마련되며, 상단이 지지프레임(153a) 외측으로부터 이송슬릿(153aa)을 통해 지지프레임(153a) 내측으로부터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53a) 내측에 배치된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상단은 지지프레임(153a) 측벽에 형성된 고정공(153ac)을 통해 지지프레임(153a)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및 제 2이송부재(153ca, 153ea)와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각각의 하부에는 연결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연결공(H)은 각각 적재물(30)과의 1점 연결을 위하여 형성되는 바, 제 2지지부(153)는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연결공에 의해 적재물(30)이 2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공(H)은 적재물(30) 또는 연결기구(5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에는 제 1 및 제 2지지부(153)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적재물(30)이 2점, 3점, 및 4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100)는 적재물(30)의 형태 및 무게 중심에 상관없이 제 1 및 제 2지지부(151, 153)를 조합하여 적재물(30)의 취급 운반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적재물(30)의 2점, 3점, 및 4점 지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2점 지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100)는 적재물(30)을 2점 지지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110)은 인양장치(10)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슬링 어셈블리(100)의 하측에는 적재물(30)이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적재물(30)의 형태 및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 각각을 이송시키고,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 각각에 제 1지지부(151)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한 쌍의 제 1지지부(151)에 적재물(30)을 직접 연결하거나 적재물(30)에 연결된 연결기구(50)를 연결시켜 적재물(30)이 2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인양장치(10)를 작동시켜 적재물(30)을 부양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켜 적재물(3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며 적재물(30)이 2점 지지된 상태로 취급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3점 지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100)는 적재물(30)을 3점 지지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110)은 인양장치(10)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슬링 어셈블리(100)의 하측에는 적재물(30)이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적재물(30)의 형태 및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 각각을 이송시키고,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 1커넥터(131)에 제 1지지부(151)를 체결시키고, 제 2커넥터(133)에 제 2지지부(153)를 체결시킨다. 여기서, 작업자는 적재물(30)의 형태 및 무게 중심에 따라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 1지지부(151)를 이용하여 적재물(30)의 일측이 1점 지지되도록 하고, 제 2지지부(153)를 이용하여 적재물(30)의 타측이 2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인양장치(10)를 작동시켜 적재물(30)을 부양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위치와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켜 적재물(3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며 적재물(30)이 3점 지지된 상태로 취급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어셈블리의 4점 지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링 어셈블리(100)는 적재물(30)을 3점 지지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110)은 인양장치(10)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으며, 슬링 어셈블리(100)의 하측에는 적재물(30)이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적재물(30)의 형태 및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 각각을 이송시키고,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 각각에 제 2지지부(153)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적재물(30)의 형태 및 무게 중심에 따라 제 2지지부(153)들의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한 쌍의 제 2지지부(153)를 이용하여 적재물(30)의 양측이 각각 2점 지지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인양장치(10)를 작동시켜 적재물(30)을 부양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커넥터(131, 133)의 위치와 제 1 및 제 2지지부재(153c, 153e)들의 위치를 변경 및 고정시켜 적재물(3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며 적재물(30)이 4점 지지된 상태로 취급 운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링 어셈블리(100)는 적재물(30) 형태 및 무게중심의 따라 슬링의 형태를 가변할 수 있어 단일의 슬링 어셈블리(100)로 다양한 형태의 적재물(30)을 안전하게 취급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인양장치 30 : 적재물
50 : 연결기구 100 : 슬링 어셈블리
110 : 프레임 111 : 연결부
113 : 가이드레일 115 : 체결공
130 : 커넥터 131 : 제 1커넥터
133 : 제 2커넥터 150 : 지지유닛
151 : 제 1지지부 153 : 제 2지지부

Claims (5)

  1. 다수의 체결공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제 1커넥터;
    상기 제 1커넥터에 마주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제 2커넥터; 및
    상기 제 1 및 제 2커넥터에 각각 연결되어, 하부에 연결될 수 있는 적재물이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각각에는 상기 지지유닛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공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을 1점 지지할 수 있는 제 1지지부와, 상기 지지공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을 2점 지지할 수 있는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커넥터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부는
    상기 적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제 1연결공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공을 체결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커넥터에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에 교차하도록 상기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제 1연결공이 형성되는 제 1지지부재와,
    상기 제 1지지부재에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며 상기 적재물이 연결될 수 있는 제 2연결공이 형성되는 제 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송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롤러와,
    상기 본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체결공을 체결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링 어셈블리.

KR1020150184990A 2015-12-23 2015-12-23 슬링 어셈블리 KR101807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90A KR101807768B1 (ko) 2015-12-23 2015-12-23 슬링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90A KR101807768B1 (ko) 2015-12-23 2015-12-23 슬링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87A KR20170075387A (ko) 2017-07-03
KR101807768B1 true KR101807768B1 (ko) 2017-12-13

Family

ID=5935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990A KR101807768B1 (ko) 2015-12-23 2015-12-23 슬링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5552A (zh) * 2019-01-29 2019-05-21 杨胜 一种钢结构桥梁安装用简易吊装装置
CN113998587B (zh) * 2021-08-26 2022-12-13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用于新建焦炉保护板安装的支撑悬挂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05Y1 (ko) * 2004-09-02 2004-1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05Y1 (ko) * 2004-09-02 2004-12-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프로펠러 샤프트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387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687B (zh) 堆叠线系统以及用于堆叠从冲剪机或冲压机输出的坯件的方法
KR102632570B1 (ko) 물품 반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
KR102450289B1 (ko)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반송 설비
WO2006032182A1 (fr) Conteneur de palettes
US10643877B2 (en) Retrieving device and storing device
KR101807768B1 (ko) 슬링 어셈블리
KR102172472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 장치
US9227824B2 (en) Adjustable forklift load backrest
US9664335B2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two types of articles on support device
JP5421172B2 (ja) 溶接ライン
JP2021127222A (ja) 荷役用天秤および荷役方法
JP2016098069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装置
KR101924905B1 (ko) 호이스트 레일 바
JP2017185596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JP2017024813A (ja) アタッチメントの連結装置
WO2023281695A1 (ja) 運搬装置
KR20170092325A (ko) 파이프 리프팅장치
KR102207870B1 (ko) 그립부 지지유닛 및 이를 갖는 캐리어 이송 장치
KR20190006652A (ko) 운반 보조 장치
KR101702421B1 (ko) 체인형 이송 장비
CN104044995A (zh) 板材吊具
KR101599015B1 (ko) 자켓 운반용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켓 운반용 시스템
JP2018141324A (ja) 運搬治具および該運搬治具を用いた吊り荷の運搬方法
KR101549224B1 (ko) 아지무스 쓰러스터 블록용 캐리어
WO2018110102A1 (ja) 搬送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