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696B1 -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696B1
KR102505696B1 KR1020207024786A KR20207024786A KR102505696B1 KR 102505696 B1 KR102505696 B1 KR 102505696B1 KR 1020207024786 A KR1020207024786 A KR 1020207024786A KR 20207024786 A KR20207024786 A KR 20207024786A KR 102505696 B1 KR102505696 B1 KR 102505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hotographing
granular material
conveyance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786A (ko
Inventor
노부유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0011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5Coating of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16Programming systems for automatic control of sequence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11Application to online plant, process monitoring
    • G01N2021/8416Application to online plant, process monitoring and process controll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인쇄 장치 (1) 는, 반송 기구 (10), 촬영 기구 (20), 및 헤드 (30) 를 갖는다. 반송 기구 (10) 는,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에서, 입상물인 정제 (9) 를 왕복 반송한다. 촬영 기구 (20) 는,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의 촬영 위치 (Pa) 에 있어서, 정제 (9) 를 촬영한다. 헤드 (30) 는, 촬영 위치 (Pa) 와 제 2 위치 (P2) 사이의 인쇄 위치 (Pb) 에 있어서, 정제 (9) 의 표면에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정제 (9) 를 왕복 반송함으로써, 인쇄 전의 정제 (9) 의 촬영과, 인쇄 후의 정제 (9) 의 촬영을, 1 개의 촬영 기구 (20) 로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 장치 (1) 의 소형화가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본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인 정제의 표면에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코드가 인쇄된다. 또, 라무네 등의 정과에도, 마크나 일러스트가 인쇄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정제·정과 등의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랜덤하게 공급되는 정제에 대해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정제 인쇄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의 장치는, 인쇄 전의 정제를 촬영하는 검출용 라인 센서 카메라 (검출용 촬상 수단) 와, 인쇄 후의 정제를 촬영하는 검사용 라인 센서 카메라 (검사용 촬상 수단) 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장치는, 검출용 라인 센서 카메라에 의해 검출되는 정제의 위치, 자세, 표리 등에 기초하여, 각 정제에 인쇄를 실시한다. 또, 검사용 라인 센서 카메라는, 각 정제에 대한 인쇄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143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검출용 라인 센서 카메라 및 검사용 라인 센서 카메라의, 적어도 2 개의 촬상 수단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인쇄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복수의 촬상 수단에 의해, 인쇄 장치의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촬영 기구의 수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제 1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입상물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반송하는 왕로 (往路) 반송과, 상기 입상물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반송하는 복로 (復路) 반송을 실시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촬영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을 촬영하는 촬영 기구와, 상기 촬영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반송 기구, 상기 촬영 기구, 및 상기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a) 상기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상기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에, 상기 왕로 반송 중 또는 상기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상기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후에, 상기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상기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을 실행한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정 b) 에 있어서, 상기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상기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입상물을 흡착하는 흡착공 (吸着孔) 을 갖는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유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이동 기구를 갖는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제 1 발명에서 제 3 발명까지 중 어느 1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정 a) 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입상물의 인쇄 전 검사를 실시하고, 상기 공정 c) 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입상물의 인쇄 후 검사를 실시한다.
본원의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서 제 4 발명까지 중 어느 1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촬영 기구와, 상기 헤드를 덮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입상물의 반입 및 반출을 실시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본원의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에서 제 5 발명까지 중 어느 1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정 a) ∼ c) 를 실행한 후, 상기 반전 기구에 의해 상기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켜, 상기 공정 a) ∼ c) 를 추가로 실행한다.
본원의 제 7 발명은, 제 1 발명에서 제 6 발명까지 중 어느 1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다.
본원의 제 8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방법으로서, a)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는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에, 상기 왕로 반송 중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는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후에, 상기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상기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원의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의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b) 에 있어서, 상기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상기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본원의 제 10 발명은, 제 8 발명 또는 제 9 발명의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다.
본원의 제 1 발명 ∼ 제 10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을 왕복 반송함으로써, 인쇄 전의 입상물의 촬영과, 인쇄 후의 입상물의 촬영을, 1 개의 촬영 기구로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해진다.
특히, 본원의 제 2 발명 및 제 9 발명에 의하면, 공정 a) 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촬영으로부터, 공정 b) 에 있어서의 잉크 방울의 토출까지의 사이에, 입상물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공정 a) 에 있어서의 입상물의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입상물의 표면에 양호한 정밀도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도 1 은, 인쇄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 는, 인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제어부와 인쇄 장치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도 5 는, 변형예에 관련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입상물이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 또한 수평인 방향을 「폭 방향」,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칭한다.
<1. 인쇄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쇄 장치 (1) 의 상면도이다. 도 2 는, 인쇄 장치 (1) 의 측면도이다. 이 인쇄 장치 (1) 는, 입상물인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하면서, 각 정제 (9) 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정제 (9) 는, 소정 (素錠) (나정 (裸錠)) 이어도 되고, 당의정, 필름 코팅정 (FC 정) 등의 코팅정이어도 된다. 또, 정제 (9) 는, 경캡슐제 및 연캡슐제를 포함하는 캡슐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입상물」은, 의약품으로서의 정제에 한정되지 않고, 건강 식품으로서의 정제나, 라무네 등의 정과여도 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 (1) 는, 반송 기구 (10), 촬영 기구 (20), 헤드 (30), 커버 (40), 및 제어부 (50) 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기구 (10) 는, 복수의 정제 (9) 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의 반송 기구 (10) 는, 유지 플레이트 (11), 흡인 기구 (12), 및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를 갖는다. 유지 플레이트 (11) 는, 복수의 정제 (9) 가 유지되는 평판상의 유지부이다. 유지 플레이트 (11) 는, 그 상면이 수평 자세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지 플레이트 (11) 의 상면에는, 복수의 흡착공 (110) 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공 (110) 은, 예를 들어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정제 (9) 는, 이들 흡착공 (110) 에 1 개씩 배치된다.
흡인 기구 (12) 는, 복수의 흡착공 (110) 에 부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인 기구 (12) 는, 흡기 배관 (121) 과 기류 발생 장치 (122) 를 갖는다. 흡기 배관 (121) 의 일단은, 복수의 흡착공 (110) 에 접속되어 있다. 흡기 배관 (121) 의 타단은, 기류 발생 장치 (122) 에 접속되어 있다. 기류 발생 장치 (122) 에는, 예를 들어 팬이 사용된다. 기류 발생 장치 (122) 를 구동시키면, 흡기 배관 (121) 내에, 복수의 흡착공 (110) 으로부터 기류 발생 장치 (122) 를 향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로써, 복수의 흡착공 (110) 에,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발생한다. 정제 (9) 는, 이 부압에 의해, 흡착공 (110) 에 흡착 유지된다.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는, 유지 플레이트 (11) 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에는,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가 사용된다. 단, 리니어 모터 대신에, 모터의 회전 운동을 볼 나사를 통하여 직진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가 사용되어도 된다.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를 동작시키면, 유지 플레이트 (11) 는, 도 1 ∼ 도 2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위치 (P1) 와, 도 1 ∼ 도 2 중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위치 (P2) 사이에서, 수평으로 왕복 이동한다. 제 1 위치 (P1) 는, 유지 플레이트 (11) 에 대한 정제 (9) 의 반입 및 반출을 실시하는 위치이다. 제 2 위치 (P2) 는, 왕복 이동의 반환 위치이다. 이 유지 플레이트 (11) 의 이동에 의해, 제 1 위치 (P1) 로부터 제 2 위치 (P2) 로 복수의 정제 (9) 의 반송 (왕로 반송) 과, 제 2 위치 (P2) 로부터 제 1 위치 (P1) 로의 복수의 정제 (9) 의 반송 (복로 반송) 이 실현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지 플레이트 (11) 는, 단순히 정제 (9) 를 재치 (載置) 하는 것이 아니라, 부압에 의해 정제 (9) 를 흡착 유지한다. 이로써, 정제 (9) 의 반송시에, 정제 (9) 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하거나, 정제 (9) 가 탈락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왕로 반송으로부터 복로 반송으로 전환될 때에는, 정제 (9) 에 반송 방향의 큰 관성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9) 가 흡착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제 (9) 의 위치 및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촬영 기구 (20) 는,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의 촬영 위치 (Pa) 에 있어서, 정제 (9) 의 상면을 촬영하는 기구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촬영 기구 (20) 는, 미러 (21) 및 카메라 (22) 를 갖는다. 미러 (21) 는, 촬영 위치 (Pa) 의 상방에,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자세로 배치된다. 카메라 (22) 에는, 예를 들어 CCD 나 CMOS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디지털 카메라가 사용된다. 카메라 (22) 는, 미러 (21) 에 의해 반사된 정제 (9) 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로써, 정제 (9) 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계조의 디지털 데이터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미러 (21) 를 사용하면, 카메라 (22) 를, 촬영 위치 (Pa) 의 상방이 아니고, 미러 (21) 의 측방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 장치 (1) 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헤드 (30) 는, 촬영 위치 (Pa) 와 제 2 위치 (P2) 사이의 인쇄 위치 (Pb) 에 있어서, 정제 (9) 의 상면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기구이다. 헤드 (30) 의 하면에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30) 는, 제어부 (50) 로부터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한다. 이로써, 정제 (9) 의 상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 (1) 는, 1 개의 헤드 (30) 에 의해, 정제 (9) 의 상면에 단색의 화상을 인쇄한다. 그러나, 인쇄 장치 (1) 는, 복수의 헤드 (30) 를 구비하고, 각 헤드 (30) 로부터 상이한 색의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정제 (9) 의 상면에 다색 화상을 기록해도 된다. 또한, 헤드 (30) 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는, 일본 약국방, 식품 위생법 등에서 인가된 원료에 의해 제조된 가식성 잉크가 사용된다.
또한, 인쇄 장치 (1) 는, 인쇄 휴지시에 헤드 (30) 의 하면을 덮는 캡이나, 헤드 (30) 의 하면을 세정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커버 (40) 는, 인쇄 장치 (1) 의 케이싱의 일부를 구성한다. 촬영 기구 (20), 헤드 (30), 및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의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40) 에 덮인다. 또, 커버 (40) 는, 제 1 위치 (P1) 의 근방에 개구 (41) 를 갖는다. 정제 (9) 의 반입시에는, 유지 플레이트 (11) 가 제 1 위치 (P1) 에 배치되고, 개구 (41) 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유지 플레이트 (11) 의 상면에, 정제 (9) 가 세트된다. 또, 정제 (9) 의 반출시에는, 유지 플레이트 (11) 가 제 1 위치 (P1) 에 배치되고, 개구 (41) 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된 유지 플레이트 (11) 의 상면으로부터, 정제 (9) 가 취출된다.
제어부 (50) 는, 인쇄 장치 (1) 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3 은, 제어부 (50) 와,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중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 (50) 는, CPU 등의 프로세서 (51), RAM 등의 메모리 (5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 (53) 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 (53) 내에는, 후술하는 인쇄 처리 및 검사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P) 및 데이터 (D) 가 기억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50) 는, 상기 서술한 흡인 기구 (12),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카메라 (22), 및 헤드 (30) 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50) 는, 기억부 (53)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CP) 및 데이터 (D) 를 메모리 (52) 에 일시적으로 판독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CP) 에 기초하여, 프로세서 (51) 가 연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로써, 복수의 정제 (9) 에 대한 인쇄 처리 및 검사 처리가 진행된다.
또, 이 인쇄 장치 (1) 는, 상기의 구성에 더하여, 표시부 (60) 를 갖는다. 표시부 (60) 는, 제어부 (50) 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표시부 (60) 에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표시부 (60) 는, 제어부 (50) 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인쇄 처리 및 검사 처리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화면 상에 표시한다.
<2. 인쇄 처리 및 검사 처리에 대해>
이 인쇄 장치 (1) 는, 복수의 정제 (9) 를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에서 왕복 반송하면서, 정제 (9) 에 대해, 인쇄 전 검사, 인쇄, 및 인쇄 후 검사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이들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 4 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유지 플레이트 (11) 는, 제 1 위치 (P1) 에 배치되어 있다. 인쇄 장치 (1) 의 사용자는, 먼저, 유지 플레이트 (11) 의 복수의 흡착공 (110) 에, 정제 (9) 를 재치한다. 정제 (9) 는, 흡인 기구 (12) 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각 흡착공 (110) 에 흡착 유지된다 (스텝 S1).
복수의 정제 (9) 가 유지 플레이트 (11) 에 유지되면, 제어부 (50) 는,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이로써, 유지 플레이트 (11) 및 유지 플레이트 (11)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의, 제 1 위치 (P1) 로부터 제 2 위치 (P2) 를 향하는 왕로 반송이 개시된다 (스텝 S2).
복수의 정제 (9) 가 촬영 위치 (Pa) 에 도달하면, 제어부 (50) 는, 촬영 기구 (20) 의 카메라 (22) 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왕로 반송 중의 복수의 정제 (9) 의 상면이, 카메라 (22) 에 의해 촬영된다 (스텝 S3).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22) 로부터 제어부 (50) 에 송신된다. 또, 제어부 (50) 는, 카메라 (22)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전의 각 정제 (9) 의 상태를 검사 (인쇄 전 검사) 한다 (스텝 S4). 구체적으로는, 각 흡착공 (110)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유무, 각 정제 (9) 의 표리 자세, 각 정제 (9) 의 연직축 둘레의 회전 자세, 각 정제 (9) 의 흡착공 (110) 에 대한 위치 어긋남, 각 정제 (9) 의 형상 결함의 유무 등이 판정된다. 스텝 S4 의 검사 결과는, 표시부 (60) 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복수의 정제 (9) 가 인쇄 위치 (Pb) 에 도달하면, 제어부 (50) 는, 헤드 (30) 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헤드 (30) 의 복수의 노즐로부터 정제 (9) 를 향하여, 잉크 방울이 토출된다. 그 결과, 왕로 반송 중의 각 정제 (9) 의 상면에 화상이 인쇄된다 (스텝 S5). 이 때, 제어부 (50) 는, 상기 서술한 스텝 S4 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에 인쇄해야 할 화상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50) 는, 표면용의 화상과 이면용의 화상 중, 각 정제 (9) 의 표리 자세에 따라 적절한 화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화상을, 각 정제 (9) 의 회전 자세에 따라 회전시킨다. 그리고, 제어부 (50) 는, 조정 후의 화상에 기초하여, 헤드 (30) 에 인쇄 신호를 입력한다. 그 결과, 각 정제 (9) 의 상면에, 적절한 화상이 적절한 자세로 인쇄된다.
머지 않아, 정제 (9) 가 제 2 위치 (P2) 에 도달하면, 제어부 (50) 는,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유지 플레이트 (11) 및 유지 플레이트 (11)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의, 왕로 반송이 종료한다 (스텝 S6). 그 후, 제어부 (50) 는,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를, 스텝 S2 ∼ S6 과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이로써, 유지 플레이트 (11) 및 유지 플레이트 (11)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의, 제 2 위치 (P2) 로부터 제 1 위치 (P1) 를 향하는 복로 반송이 개시된다 (스텝 S7).
복로 반송에 있어서는, 헤드 (30) 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토출이 실시되지 않고, 복수의 정제 (9) 는, 인쇄 위치 (Pb) 를 통과한다. 그리고, 복수의 정제 (9) 가 촬영 위치 (Pa) 에 도달하면, 제어부 (50) 는, 촬영 기구 (20) 의 카메라 (22) 를 동작시킨다. 이로써, 복로 반송 중의 복수의 정제 (9) 의 상면이, 카메라 (22) 에 의해 촬영된다 (스텝 S8). 취득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22) 로부터 제어부 (50) 에 송신된다.
또, 제어부 (50) 는, 카메라 (22)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의 인쇄 상태를 검사 (인쇄 후 검사) 한다 (스텝 S9). 구체적으로는, 제어부 (50) 는, 예를 들어 카메라 (22) 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와, 미리 준비된 정상 화상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각 정제 (9) 의 상면에 인쇄된 화상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9 의 검사 결과는, 표시부 (60) 에 표시된다.
머지 않아, 정제 (9) 가 제 1 위치 (P1) 에 도달하면, 제어부 (50) 는, 플레이트 이동 기구 (13) 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유지 플레이트 (11) 및 유지 플레이트 (11)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의, 복로 반송이 종료한다 (스텝 S10). 그 후, 제어부 (50) 는, 흡인 기구 (12) 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각 흡착공 (110)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인쇄 장치 (1) 의 사용자는, 유지 플레이트 (11) 로부터, 인쇄가 끝난 복수의 정제 (9) 를 취출한다 (스텝 S11).
이상과 같이, 이 인쇄 장치 (1) 에서는, 정제 (9) 를 왕복 반송하면서, 인쇄 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과, 인쇄 (스텝 S5) 와, 인쇄 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8) 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인쇄 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과, 인쇄 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8) 은, 동일한 촬영 위치 (Pa) 에 있어서, 동일한 촬영 기구 (20) 에 의해 실행된다. 이 때문에, 인쇄 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과, 인쇄 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8) 을, 각각의 촬영 기구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영 기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채용하면, 인쇄 장치 (1) 의 소형화가 용이해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9) 에 대한 인쇄는, 왕로 반송 중에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인쇄 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및 인쇄 전 검사 (스텝 S4) 를 실시한 후, 바로 인쇄 (스텝 S5) 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인쇄 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인쇄 전 검사 (스텝 S4), 및 인쇄 (스텝 S5) 를, 정제 (9) 의 반송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 전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및 인쇄 전 검사 (스텝 S4) 를 실시한 후, 인쇄까지의 사이에, 정제 (9) 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텝 S4 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각 정제 (9) 의 상면에, 양호한 정밀도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9) 에 대한 인쇄는, 왕로 반송 중에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정제 (9) 에 대한 인쇄는, 복로 반송 중에 실시해도 된다. 도 5 는, 복로 반송 중에 인쇄를 실시하는 경우의 플로 차트이다. 도 5 의 예에서는, 왕로 반송 중에, 정제 (9) 의 촬영 (스텝 S3) 및 인쇄 전 검사 (스텝 S4) 만이 실행된다. 그리고, 제 2 위치 (P2) 에 있어서 반송 방향을 전환한 (스텝 S6 ∼ S7) 후, 복로 반송 중의 정제 (9) 의 상면에, 헤드 (30) 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인쇄를 실시한다 (스텝 S5). 그 후, 복로 반송 중의 정제 (9) 의 촬영 (스텝 S8) 과 인쇄 후 검사 (스텝 S9) 가 실행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플레이트 (11) 의 상면에, 복수의 정제 (9) 를 직접 재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지 플레이트 (11) 의 상면에, 별체의 트레이를 통하여, 복수의 정제 (9) 를 재치해도 된다. 트레이는, 예를 들어 유지 플레이트 (11) 에 대해 착탈 가능한 형상을 갖고, 각 흡착공 (11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갖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 유지 플레이트 (11) 의 상면 또는 트레이의 상면의, 흡착공 (110) 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당해 오목부 내에 정제 (9) 가 끼이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에 수반되는 정제 (9) 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에서, 정제 (9) 를 수평으로 반송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반송 방향은, 경사 방향이어도 되고, 혹은 연직 방향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에서, 정제 (9) 를 직선상으로 반송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 1 위치 (P1) 와 제 2 위치 (P2) 사이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반송 경로는, 곡선상 또는 꺾은선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기구 (10) 는, 유지 플레이트 (11) 에 의해 정제 (9) 를 반송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반송 기구는, 다른 방법으로 정제 (9) 를 반송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의 표면에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면서, 벨트를 회동 (回動) 시킴으로써, 정제 (9) 를 반송해도 된다. 또, 원통상의 드럼의 표면에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면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정제 (9) 를 반송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 (1) 의 구성에 더하여, 유지 플레이트 (11) 상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를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반전 기구는, 예를 들어 1 개의 유지 플레이트 또는 트레이로부터, 다른 유지 플레이트 또는 트레이에, 정제 (9) 를 반전시키면서 바꾸어 얹는 기구로 하면 된다. 정제 (9) 에 대한 인쇄를 실시할 때에는, 예를 들어 도 4 의 스텝 S1 ∼ S10 을 실행한 후, 정제 (9) 의 표리를 반전시켜, 도 4 의 스텝 S2 ∼ S11 을 추가로 실행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반전 기구를 추가하면, 정제 (9) 의 표리 양면에, 자동적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정제 (9) 의 일방의 면에 대한 인쇄 전 검사, 인쇄, 및 인쇄 후 검사와, 정제 (9) 의 타방의 면에 대한 인쇄 전 검사, 인쇄, 및 인쇄 후 검사를, 동일한 기구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 장치 (1) 를 대폭으로 소형화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 (1) 의 구성에 더하여, 정제 (9) 의 표면에 부착한 잉크를 건조시키는 건조 기구를 추가로 형성해도 된다. 건조 기구는, 예를 들어 정제 (9) 의 상면에 열풍을 내뿜어, 정제 (9) 의 상면에 부착한 잉크 중의 용매를 기화시키는 것으로 하면 된다. 건조 기구는, 예를 들어 제 2 위치 (P2) 에 배치하면 된다.
또, 인쇄 장치의 세부의 구성은,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1 : 인쇄 장치
9 : 정제
10 : 반송 기구
11 : 유지 플레이트
12 : 흡인 기구
13 : 플레이트 이동 기구
20 : 촬영 기구
21 : 미러
22 : 카메라
30 : 헤드
40 : 커버
41 : 개구
50 : 제어부
60 : 표시부
110 : 흡착공
121 : 흡기 배관
122 : 기류 발생 장치
P1 : 제 1 위치
P2 : 제 2 위치
Pa : 촬영 위치
Pb : 인쇄 위치

Claims (10)

  1.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입상물을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반송하는 왕로 반송과, 상기 입상물을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반송하는 복로 반송을 실시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촬영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을 촬영하는 촬영 기구와,
    상기 촬영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인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헤드와,
    상기 반송 기구, 상기 촬영 기구, 및 상기 헤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a) 상기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상기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에, 상기 왕로 반송 중 또는 상기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상기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후에, 상기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상기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입상물을 흡착하는 흡착공을 갖는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유지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플레이트 이동 기구를 갖는, 인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정 b) 에 있어서, 상기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상기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인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정 a) 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입상물의 인쇄 전 검사를 실시하고,
    상기 공정 c) 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입상물의 인쇄 후 검사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촬영 기구와, 상기 헤드를 덮는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입상물의 반입 및 반출을 실시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인쇄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정 a) ∼ c) 를 실행한 후, 상기 반전 기구에 의해 상기 입상물의 표리를 반전시켜, 상기 공정 a) ∼ c) 를 추가로 실행하는, 인쇄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인, 인쇄 장치.
  7. 입상물의 표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방법으로서,
    a)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는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과,
    b) 상기 공정 a) 후에, 상기 왕로 반송 중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는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공정과,
    c) 상기 공정 b) 후에, 상기 복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을, 상기 촬영 기구에 의해 촬영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왕로 반송에서는, 상기 입상물을 흡착공에 흡착시키면서 이동시키고,
    상기 복로 반송에서는, 상기 입상물을 상기 흡착공에 흡착시키면서 이동시키는, 인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b) 에 있어서, 상기 왕로 반송 중의 상기 입상물의 표면에, 상기 헤드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인쇄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인, 인쇄 방법.

  10. 삭제
KR1020207024786A 2018-03-05 2019-01-21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102505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38553A JP6921769B2 (ja) 2018-03-05 2018-03-05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JP-P-2018-038553 2018-03-05
PCT/JP2019/001702 WO2019171791A1 (ja) 2018-03-05 2019-01-21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786A KR20200111786A (ko) 2020-09-29
KR102505696B1 true KR102505696B1 (ko) 2023-03-02

Family

ID=6784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786A KR102505696B1 (ko) 2018-03-05 2019-01-21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21769B2 (ko)
KR (1) KR102505696B1 (ko)
CN (1) CN111801084B (ko)
WO (1) WO2019171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04710A (ja) * 2022-01-18 2023-07-2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0437A (ja) * 2014-06-27 2016-01-2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436A (ja) * 1997-12-16 1999-06-29 Tosho:Kk 調剤支援システム
IT1302821B1 (it) * 1998-12-21 2000-09-29 Ct Automation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misura della lucetra elementi a posizione variabile
JP4343391B2 (ja) * 2000-04-07 2009-10-14 株式会社モトロニクス ワークの加工装置
JP2002019084A (ja) * 2000-07-12 2002-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クリームはんだの印刷状態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4172753B2 (ja) * 2002-04-03 2008-10-29 東芝医用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X線画像撮影装置
US8102520B2 (en) * 2004-06-14 2012-01-24 Ackley Machin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spection and/or identification of pellet-shaped articles
JP4539685B2 (ja) * 2007-06-22 2010-09-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部品搬送装置及びicハンドラ
JP5575689B2 (ja) * 2011-04-01 2014-08-20 株式会社 ハリーズ 薄板状物加工装置及び薄板状部材の製造方法
JP5688770B2 (ja) * 2011-12-09 2015-03-25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
KR20150034727A (ko) * 2012-07-19 2015-04-03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베 기카이 고교 인쇄기 및 정제
JP2014223946A (ja) * 2013-04-25 2014-12-04 シミックCmo株式会社 Ptpシート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JP2015204943A (ja) * 2014-04-18 2015-11-19 フロイント産業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
JP6357351B2 (ja) * 2014-05-28 2018-07-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WO2016098692A1 (ja) * 2014-12-17 2016-06-23 株式会社アイエムイー 錠剤印刷装置
KR101669596B1 (ko) *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CN206057203U (zh) * 2016-09-18 2017-03-29 东莞智源彩印有限公司 一种印刷产品抽检机
CN206997127U (zh) * 2017-04-25 2018-02-13 富达电子(吴江)有限公司 一种smt印刷机的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0437A (ja) * 2014-06-27 2016-01-2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50359A (ja) 2019-09-12
WO2019171791A1 (ja) 2019-09-12
JP6921769B2 (ja) 2021-08-18
KR20200111786A (ko) 2020-09-29
CN111801084A (zh) 2020-10-20
CN111801084B (zh)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770B2 (ja) 錠剤印刷装置
KR102478914B1 (ko) 입상물 처리 장치 및 입상물 처리 방법
TW201607772A (zh) 錠劑印刷裝置及錠劑印刷方法
JP2015204943A (ja) 錠剤印刷装置
KR102505698B1 (ko) 입상물 반송 장치 및 입상물 처리 장치
KR102505696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2024045130A (ja) 搬送処理装置
JP7166990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2024026493A (ja)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KR102442438B1 (ko) 반송 처리 장치
TWI684531B (zh) 錠劑印刷裝置及錠劑印刷方法
JP7336000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6804571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6753978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7076523B2 (ja) 粒状物処理装置および粒状物処理方法
JP7376370B2 (ja) 印刷装置
JP2019167171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CN112497929B (zh) 印刷方法和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