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64B1 - 요철 보정 화장료 - Google Patents

요철 보정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64B1
KR102504564B1 KR1020197025566A KR20197025566A KR102504564B1 KR 102504564 B1 KR102504564 B1 KR 102504564B1 KR 1020197025566 A KR1020197025566 A KR 1020197025566A KR 20197025566 A KR20197025566 A KR 20197025566A KR 102504564 B1 KR102504564 B1 KR 10250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note
silicone
shin
manufac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130A (ko
Inventor
마사유키 코니시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발림(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a)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흡유성 실리콘 복합 구상 분체, (c)25℃에서 점도가 1~100mm2/s인 유제:8~85질량%를 함유하고, 성분(a)과 성분(b)의 합계량이 10~35질량%, (a)/(b)으로 표시되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질량비가 0.02~0.55인 요철 보정 화장료.

Description

요철 보정 화장료
본 발명은 요철 보정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용의 조성물을 화장료라고 기재한다.
종래, 피부를 아름답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된 피부 상의 크고 작은 요철 등을 평활하게 하여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화장료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저굴절률의 분체와 고점도의 실리콘유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 상의 오목부를 메우고, 볼록부를 평활하게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일본 특허 제3652843호 공보). 그러나 고점도 실리콘유로는 분체로의 흡유성은 현저하게 내려가, 가루가 남아버려 지속성, 투명성이 우수하지 않다.
또 피막제를 배합함으로써, 요철 보정 효과나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일본 특개 2000-16919호 공보, 3:일본 특허 제5893896호 공보). 그러나 피막제 특유의 사용감이 느껴지고 피부에 발리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들 요철 보정 화장료에 있어서 실리콘 가교물과 구상 분체의 비율 조정에 의한 사용감이나 부착성, 가루가 남는 느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일본 특허 제3652843호 공보 일본 특개 2000-16919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93896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발림(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a)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흡유성 실리콘 복합 구상 분체, (c)25℃에서 점도가 1~100mm2/s인 유제:8~85질량%를 함유하고, 성분(a)과 성분(b)의 합계 함유량이 10~35질량%, (a)/(b)으로 표시되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질량비가 0.02~0.55인 요철 보정 화장료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요철 보정 화장료를 제공한다.
[1]. (a)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흡유성 실리콘 복합 구상 분체, (c)25℃에서 점도가 1~100mm2/s인 유제:8~85질량%를 함유하고, 성분(a)과 성분(b)의 합계량이 10~35질량%, (a)/(b)으로 표시되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질량비가 0.02~0.55인 요철 보정 화장료.
[2]. 또한 (d)비가교형 실리콘 활성제를 함유하는 [1]에 기재된 요철 보정 화장료.
[3]. 또한 (e)굴절률이 1.8 이상인 안료(단, 상기 (b)성분을 제외한다)를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요철 보정 화장료.
[4]. 또한 (f)상기 (b) 및 (e)성분 이외의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철 보정 화장료.
[5]. 성분(c)이 실리콘 오일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철 보정 화장료.
[6]. 성분(b)이 화장품 표시 명칭으로 정의되는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티콘/비닐디페닐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22, 폴리실리콘-1크로스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요철 보정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발림(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성분]
본 발명의 (a)성분은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성분은 실리콘쇄를 실리콘으로 가교한 엘라스토머이며, 유제에 팽윤함으로써 구조 점성을 가진다. 구체예로서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등의 화장품 표시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실리콘 오일이나 그 밖의 오일을 포함하는 팽윤물로서 시판되며, 예를 들면 KSG-15, 1510, 16, 15AP, 19 등(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주쇄에 알킬 분기를 가지는 가교물(알킬 변성·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실리콘·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이나, 가교 부분에 페닐기를 가지는 가교물(페닐 변성·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비스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등(화장품 표시 명칭)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실온에서 액상인 오일을 포함하는 팽윤물로서 시판되며, 예를 들면 KSG-18A, 41A, 42A, 43, 44, 042Z, 045Z, 048Z, 18A 등(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을 들 수 있다.
(a)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0.2~12.4질량%가 바람직하고, 0.35~10.3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58~9.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0.2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부착성이나 리치감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12.4질량% 초과에서는 적당한 두께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b)성분]
본 발명의 (b)성분은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흡유성 실리콘 복합 구상 분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유성 분체는 JIS K5101의 시험 방법의 아마인유를 25℃에서 점도가 1~20mm2/s인 실리콘 오일(구체적으로는 KF-96A-6cs나 KF-56A(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로 대체한 측정법에 있어서, 흡유량이 70mL/100g 이상인 분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mL/100g 이상이다. 흡유량이 70mL/100g 미만인 분체를 고배합하면 하얗게 남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구상 분체는 형상이 구체이며, 구에 근사한 직경인 분체를 말하고, 표면에 요철이 있는 구상 분체여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구상 분체의 단경/장경의 비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b)성분은 이들 구상 분체에 이 구상 분체와 상이한 구상 분체를 피복한 복합 구상 분체이다.
이들 흡유성 실리콘 복합 분체 중에서도 끈적임의 방지 등의 감촉의 향상 효과나, 주름·모공 등의 형태 보정 효과의 점에서,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가 바람직하다. 실리콘 수지 피복 실리콘 고무 분체(하이브리드 실리콘 분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의 구체예로서는 화장품 표시 명칭으로 정의되는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티콘/비닐디페닐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22, 폴리실리콘-1크로스폴리머 등의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KSP-100, 101, 102, 105, 300, 411, 441 등(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b)성분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6.5~34.3질량%가 바람직하고, 8~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4~28.8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6.5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요철 보정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34.3질량% 초과에서는 가루가 남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a)과 성분(b)의 합계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10~35질량%이며, 12~31질량%가 바람직하고, 15~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10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요철 보정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35질량%를 넘으면 막감이 강하고, 가루처럼 되어버린다. 또 (a)/(b)으로 표시되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배합 질량비는 0.02~0.55이며, 0.03~0.50이 바람직하고, 0.04~0.45가 더욱 바람직하다. 질량비가 0.02 미만이면 가루 느낌이 강하고, 발림이 나쁘며, 가루가 남거나 손가락으로 덜어냄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고, 0.55를 넘으면 겔감이나 오일감이 강하고 화장막의 두께가 강하여 부자연스러운 마무리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c)성분]
본 발명의 (c)성분은 25℃에서 점도가 1~100mm2/s인 유제이며,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오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자외선 흡수제 및 불소계 유제를 사용할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
실리콘 오일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시클로펜타실록산(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시클로헥사실록산, 디실록산, 트리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카프릴릴메티콘, 디페닐디메티콘(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화장품 표시 명칭) 등의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헥실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뜻한 사용감이 얻어지는 휘발성 실리콘〔시판품으로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TMF-1.5, KF-995, KF-96A-1cs, KF-96A-1.5cs, KF-96A-2cs 등〕이나, 저점도의 실리콘〔시판품으로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KF-96A-6cs 등〕이나, 다른 유제와의 상용성 향상이나 윤기 내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페닐실리콘〔시판품으로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KF-56A〕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실리콘 오일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의 유제로서는 에틸헥산산세틸, 트리에틸헥사노인, 트리(카프릴산/카프린산)글리세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프로필, 디카프릴릴에테르,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팔미틴산에틸헥실, 탄산디에틸헥실, 탄산디카프릴릴, 벤조산알킬(C12-15), 디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이소도데칸, 운데칸, 파라메톡시신남산2-에틸헥실, 살리실산옥틸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의 점도는 25℃에서 1~100mm2/s(cSt;cs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이며, 바람직하게는 1~50mm2/s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mm2/s이다. 점도가 1mm2/s보다 낮은 유제를 고배합하면 자극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고, 100mm2/s보다 높은 유제를 고배합하면 흡유성 분체로의 흡유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점도는 오스트발트 점도계에 의한 25℃의 측정값이다.
(c)성분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8~85질량%이며, 12~73질량%가 바람직하고, 15~6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8질량% 미만이면 전연성이 바람직하지 않고, 85질량%를 넘으면 유성감이 강하게 느껴진다.
(b)/(c)으로 표시되는 성분(c)에 대한 성분(b)의 배합 질량비는 0.1~0.6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0.6이 보다 바람직하고, 0.2~0.6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를 0.1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요철 보정 효과가 얻어지고, 0.6 이하로 함으로써 가루 느낌이 억제된다.
[(d)성분]
본 발명의 요철 보정 화장료에는 (b)성분의 젖음성을 조정하고, 사용감이나 도포성, 손가락으로 덜어냄 등의 조정, 제제 보존 안정성의 점에서, (d)비가교형 실리콘 활성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비가교형 실리콘 활성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의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옥시에틸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옥시에틸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 또는 분기상 폴리글리세린·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등의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예로서는 KF-6011, 6013, 6043, 6017, 6028, 6038, 6048, 6100, 6104, 6105, 6106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실리콘 분기형인 KF-6028, 6038, 6100, 6104, 6105, 6106 등이 사용감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비가교형 실리콘 활성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d)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d)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0.1~5질량%가 바람직하고, 0.2~4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1질량% 이상에서 화장료의 도포성, 손가락으로 덜어냄에 있어서 보다 향상되고, 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도포시의 사용감이 얻어진다.
[(e)성분]
본 발명의 요철 보정 화장료에는 특히 은폐력 조정의 점에서 (e)성분의 굴절률이 1.8 이상인 안료(단, 상기 (b)성분을 제외한다)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안료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굴절률이 1.8 이상인 안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굴절률이 1.8 이상인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연화, 이산화티탄, 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옥시염화비스무트 등의 무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실리콘 등으로 소수화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소수화 처리된 무기 분체의 구체예로서는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또는 소수화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분산체로서 시판되며, SPD-T5, T6, T5L, Z5, Z6, Z5L 등(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어 있다.
(e)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e)성분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0.1~60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성의 점에서 1~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0.1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은폐 효과나 착색 효과를 얻을 수 없고, 60질량%를 넘게 배합하면 사용시의 펴바르기가 나빠지거나, 화장막에 가루 느낌이 발현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f)성분]
본 발명의 요철 보정 화장료에는 특히 사용감 조정이나 요철 보정 효과의 조제로서 상기 (b) 및 (e)성분 이외의 구상 분체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구상 분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리콘 구상 분체, 폴리아미드 분체, 폴리우레탄 분체,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구상 분체
가교형 실리콘 분말(즉, 디오르가노실록산 단위의 반복 연쇄가 가교한 구조를 가지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실리콘 고무 파우더), 실리콘 수지 입자, 예를 들면 구상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삼차원 망상 구조의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수지 입자)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등의 표시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분체로서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포함하는 팽윤물로서 시판되며, 예를 들면 KMP-598, 590, 591, KSG-016F 등(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어 있다.
[그 밖의 임의 성분]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1)(c)성분 이외의 유제, (2)수성 성분, (3)피막제, (4)(d)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5)(c)성분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 (6)왁스, (7)(b), (e), (f)성분 이외의 분체, (8)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c)성분 이외의 유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c)성분 이외의 유제는 감촉 조정이나 에몰리언트 효과로서 사용되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점도의 직쇄 또는 분기상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고중합도의 검상 디메틸폴리실록산, 검상 아미노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실리콘검 등의 환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용액, 스테아록시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장쇄 알킬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불소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레진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윤기 내기나 사용감 조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왁스〔시판품으로서는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KP-561P, 562P, KF-7020S 등〕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실리콘 이외에서는 바셀린이나 수첨 폴리이소부텐 등 고점도의 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c)성분 이외의 유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0.1~20질량%가 바람직하다.
(2)수성 성분
수성 성분으로서는 보습 효과나 청량 효과로서 사용되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 소르비톨, 말토오스, 크실리톨 등의 당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데칸디올, 옥탄디올, 헥산디올, 에리트리톨,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글루코오스, 글리세릴글루코시드, 베타인,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염, 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0.1~30질량%가 바람직하다.
(3)피막제
피막제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산알킬 등의 라텍스류, 덱스트린, 알킬셀룰로오스나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풀루란 등의 실리콘화 다당 화합물, (아크릴산알킬/디메티콘)코폴리머 등의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트리메틸실록시규산 등의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 불소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실리콘계 수지, 불소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폴리머 에멀전 수지, 테르펜계 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알키드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변성 폴리머, 로진 변성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된다. 피막제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전체의 0.1~20질량%가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실리콘계의 피막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트리(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카르바미드산풀루란〔시판품으로서는 용제에 용해한 것으로서,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TSPL-30-D5, ID〕이나, (아크릴산알킬/디메티콘)코폴리머〔시판품으로서는 용제에 용해한 것으로서,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KP-543, 545, 549, 550, 545L 등〕이나, 트리메틸실록시규산〔시판품으로서는 용제에 용해한 것으로서,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KF-7312J, X-21-5250 등〕이나 실리콘 변성 폴리노르보르넨〔시판품으로서는 용제에 용해한 것으로서,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NBN-30-ID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막제로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4)(d)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
(d)성분 이외의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아니온성, 카티온성 및 양성의 활성제가 있는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상기 (a)성분과는 상이하며, 실리콘쇄를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글리세린으로 가교한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며, 구체예로서는 (디메티콘/(PEG-10/15))크로스폴리머, (PEG-15/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PEG-15/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라우릴디메티콘/폴리글리세린-3)크로스폴리머, (폴리글리세릴-3/라우릴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등의 표시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실리콘 오일이나 그 밖의 오일을 포함하는 팽윤물로서 시판되며, 예를 들면 KSG-210, 240, 310, 340, 320Z, KSG-710, 810, 820Z 등(모두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의 상품명으로 시판되어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과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의 조합에 있어서,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상대적인 배합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화장료의 발림이 좋아지는 경향이 있고,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의 상대적인 배합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화장료가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이 되는 경향이 있다. 사용감의 제어에 있어서 적절히 그 배합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5)(c)성분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
(c)성분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살리실산호모멘틸, 옥토크릴렌,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4-(2-β-글루코피라노실록시)프로폭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에틸아미노)-2-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에스테르,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디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온, 디메톡시벤질리덴디옥소이미다졸리딘프로피온산2-에틸헥실,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테레프탈릴리덴디캄퍼술폰산,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아닐리노]-1,3,5-트리아진, 트리메톡시신남산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파라메톡시신남산이소프로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삼수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을 들 수 있다. 또 UVA 흡수제(예를 들면, 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등)와, UVB 흡수제(예를 들면, 옥토크릴렌 등)나 (c)성분의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을 임의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6)왁스
왁스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며, 유제를 고화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세레신, 오조케라이트, 파라핀, 합성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탄화수소 왁스, 카나우바납, 라이스 왁스, 쌀겨납, 호호바 왁스(극도로 수첨한 호호바유를 포함한다), 칸데릴라납 등의 식물 유래의 왁스, 경랍, 밀랍, 백랍 등의 동물 유래의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왁스는 그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왁스를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요철 보정 화장료 조성물 중 0.1~10질량%가 바람직하다.
(7)(b), (e), (f)성분 이외의 분체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그 밖의 분체로서는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 황산바륨, 탄산칼슘, 카올린 등을 들 수 있고, 통상 화장료에 배합할 수 있는 원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8)그 밖의 첨가제
그 밖의 첨가제로서는 물, 유용성 겔화제, 제한제, 보습제, 항균제·방부제, 향료, 염류,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거친 피부 개선제, 혈행 촉진제, 피부 수렴제, 항지루제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식물 엑기스 등을 들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팔미틴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린산에스테르, 덱스트린2-에틸헥산산팔미틴산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팔미틴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린산에스테르 등의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스테아린산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2-에틸헥산산에스테르 등의 프락토올리고당지방산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스테아랄코늄헥토라이트, 헥토라이트의 유기 변성 점토 광물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살균제
방부제·살균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벤조산, 살리실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석탄산, 파라옥시벤조산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르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르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부틸카르바민산요오드화프로피닐, 폴리리신, 감광소, 은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화장료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a)성분, (b)성분의 배합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c)성분, (d)성분 등의 유제와 미리 혼합해도 되고, 물에 미리 유화한 에멀전으로 사용하거나, 친수화 처리를 하여 수계에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는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요철 보정 화장료]
요철 보정은 모공이나 주름, 피구를 가리거나 평활하게 함으로써, 피부의 요철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다. 제형으로서는 유화 조성물, 비수계 조성물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신선한 사용감을 부여하고자 할 때는 유화 조성물을 선택한다. 유화 형태로서는 O/W형 에멀전, W/O형 에멀전, W/O/W형 에멀전의 어느 형태여도 되고, 유성감이나 내수성, 가루 느낌을 얻고자 할 때는 비수계 조성물이나 분체 제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어느 경우에도 양호한 화장료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비수계 조성물」은 물을 실질적으로 배합하지 않는 유성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요철 보정 화장료로서는 필수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예를 들면 미용액, 유액, 크림, 헤어케어, 파운데이션, 화장 베이스, BB 크림, 컨실러, 선스크린, 루스 파우더, 치크 컬러, 립스틱, 아이섀도우, 아이라이너, 바디 메이크업, 데오도란트제 등 각종 제품에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점에서는 파운데이션, 화장 베이스, BB 크림, 컨실러, 치크 컬러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성상으로서는 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무스상, 수플레상, 점토상, 파우더상 등의 각종 성상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 있어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는 실온 공정에서 행하고, 조성의 「%」는 질량%, 비율은 질량비를 나타낸다.
[실시예, 비교예]
하기 표에 나타내는 처방의 화장료를 하기 방법으로 조제하고, 하기 특성 평가를 행했다.
<화장료의 조제:실시예 1~10, 비교예 1~9>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수계 컨실러를 얻었다.
<화장료의 조제:실시예 11~13, 비교예 10~12>
A:성분(2)을 3본롤로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1)의 혼합물에 A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C:B에 성분(3)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유중수형 컨실러를 얻었다.
(1)특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에 대해서, 화장료의 요철 보정 효과(모공이나 주름이 눈에 띄지 않음), 사용감(유성감이 없음), 발림(전연성의 양호함), 가루 남음(하얗게 들뜨거나 가루 느낌이 없음) 및 부착성(손가락으로 덜어냄이나 피부로의 부착의 양호함)의 항목을 10명의 패널로 평가했다. 표 1에 표시되는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결과를 10명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하기 판단 기준에 따라 판정했다. 결과를 표 2~4 중에 병기한다.
Figure 112019089514281-pct00001
(2)판정 기준
◎:평균점이 4.5점 이상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평균점이 1.5점 미만
Figure 112019089514281-pct00002
(주1)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KSP-10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PEG-10디메티콘:KF-6017(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KMP-59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AEROSIL200(닛폰아에로질사제)
배합량은 기재된 배합 제품의 배합량이며, (a)+(b), (a)/(b), (b)/(c)는 순분량이다(이하, 동일).
Figure 112019089514281-pct00003
(주1)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KSP-10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PEG-10디메티콘:KF-6017(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KMP-59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AEROSIL200(닛폰아에로질사제)
Figure 112019089514281-pct00004
(주1)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KSG-18A <가교물:1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KSP-1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디페닐디메티콘/비닐디페닐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KSP-3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KF-9021 <고형분:5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5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6) 트리메틸실록시규산:KF-56A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7) 라우릴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콘:KF-603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8) PEG-9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티코:KF-602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9) KF-990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를 사용하여 소수화 표면 처리한 분체
상기 표 2~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13의 요철 보정 화장료는 요철 보정 효과(모공이나 주름이 눈에 띄지 않음), 사용감(유성감이 없음), 발림(전연성의 양호함), 가루 남음(하얗게 들뜨거나 가루 느낌이 없음) 및 부착성(손가락으로 덜어냄이나 피부로의 부착의 양호함)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분(a)을 병용하지 않는 비교예 1, 2나,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질량비가 0.02 이하인 비교예 11은 발림, 가루 남음, 부착성의 어느 하나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성분(b)을 병용하지 않는 비교예 3, 4나, 성분(b)을 각각 다른 구상 분체, 안료로 치환한 비교예 7~9에서는 유성감이 강하게 느껴지고, 발림이 나쁘며, 충분한 요철 보정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질량비가 0.55 이상인 비교예 5, 10, 12나 성분(a)과 성분(b)의 합계 함유량이 10% 이하인 비교예 6은 유성감이 강하게 느껴지고, 충분한 요철 보정 효과가 불충분했다.
[실시예 14]
컨실러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6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 7~9를 3본롤로 균일하게 혼합했다.
C:A와 B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컨실러를 얻었다.
조성 %
1.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1) 6
2.디페닐실록시페닐디메티콘(주2) 7
3.디메틸폴리실록산(6cs) 잔량
4.실리콘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3) 0.5
5.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4) 23.5
6.페닐 변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5) 4.6
7.트리에틸헥사노인 0.2
8.실리콘 처리 산화티탄(주6) 0.2
9.실리콘 처리 산화철(주6) 0.1
----------------------------------------------------------------------
합계 100.0
(주1) (변성)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9 <가교물:15%, 디메틸폴리실록산(6cs):8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디페닐실록시페닐디메티콘;KF-56A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실리콘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KF-602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페닐 변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3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6) 실리콘 처리 분체;KF-9909(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를 사용하여 분체를 소수화 표면 처리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29.9
(a)/(b):0.03
얻어진 컨실러는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아, 마무리가 자연스러운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9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 10~14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C:B를 A에 첨가하고 유화하여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을 얻었다.
조성 %
1.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조성물(주1) 2
2.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2) 10
3.알킬 분기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주3) 2
4.시클로펜타실록산 7
5.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7
6.디에틸아미노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헥실 3
7.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0.6
8.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4) 3
9.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5) 7
10.부틸렌글리콜 6
11.구연산나트륨 0.2
12.염화나트륨 1
13.페녹시에탄올 0.3
14.정제수 잔량
----------------------------------------------------------------------
합계 100.0
(주1) 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조성물;KSG-330 <가교물:20%, 트리에틸헥사노인:8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43 <가교물:30%, 트리에틸헥사노인:7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알킬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KF-604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F-9014 <고형분:15%, 시클로펜타실록산:8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0
(a)/(b):0.43
얻어진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은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6]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8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 9~13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C:B를 A에 첨가하고 유화하여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을 얻었다.
조성 %
1.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조성물(주1) 3.5
2.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2) 10
3.실리콘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3) 2
4.메틸트리메티콘(주4) 2
5.디메틸폴리실록산(6cs) 7
6.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주5) 3
7.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5
8.알킬 변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6) 10
9.에탄올 6
10.구연산나트륨 0.2
11.염화나트륨 1
12.메틸파라벤 0.15
13.정제수 잔량
-----------------------------------------------------------------------
합계 100.0
(주1)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조성물;KSG-210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실리콘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KF-602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메틸트리메티콘;TMF-1.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KP-549 <고형분:40%, 메틸트리메티콘:6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6) 알킬 변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44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2.5
(a)/(b):0.25
얻어진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은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7]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5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 8~12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C:B를 A에 첨가하여 유화하고, 성분 6~7을 가하여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을 얻었다.
조성 %
1.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조성물(주1) 3.5
2.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2) 10
3.실리콘·알킬 분기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주3) 2
4.시클로펜타실록산 10
5.페닐 변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4) 10
6.금속 비누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조성물(주5) 5
7.실리콘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조성물(주6) 10
8.에탄올 6
9.구연산나트륨 0.5
10.황산마그네슘 0.5
11.메틸파라벤 0.15
12.정제수 잔량
-----------------------------------------------------------------------
합계 100.0
(주1) 부분 가교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조성물;KSG-710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실리콘 분기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리콘;KF-610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페닐 변성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3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금속 비누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조성물;SPD-T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6) 실리콘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 조성물;SPD-Z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2.5
(a)/(b):0.25
얻어진 유중수형 베이스 크림은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8]
무스 컨실러
<화장료의 조제>
A:성분 6~11을 3본롤로 균일하게 혼합했다.
B:A와 성분 1~5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무스 컨실러를 얻었다.
조성 %
1.실리콘·알킬 공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1) 35
2.트리메틸실록시규산 조성물(주2) 10
3.폴리메타크릴산메틸 2
4.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3) 12
5.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4) 4
6.디메틸폴리실록산(6cs) 15
7.금속 비누 처리 미립자 산화티탄 9
8.실리콘 처리 산화티탄(주5) 6
9.실리콘 처리 산화철(주5) 1
10.실리콘 처리 마이카(주5) 1
11.실리콘 처리 탈크(주5) 잔량
-----------------------------------------------------------------------
합계 100.0
(주1) 실리콘·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045Z <가교물:20%, 시클로펜타실록산:8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트리메틸실록시규산 조성물;KF-9021 <고형분:5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5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실리콘 처리 분체(KF-9909: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를 사용하여 분체를 소수화 표면 처리)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23
(a)/(b):0.44
얻어진 무스 컨실러는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9]
스틱 컨실러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5를 디스퍼로 균일하게 혼합했다.
B:A와 성분 6~7을 90℃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스틱 용기에 충전 후, 서랭시켜 하기 스틱 컨실러를 얻었다.
조성 %
1.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1) 22
2.실리콘 구상 분체 조성물(주2) 10
3.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3) 12
4.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주4) 18
5.디메틸폴리실록산(6cs) 24
6.세레신 10
7.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4
-----------------------------------------------------------------------
합계 100.0
(주1) (변성)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9 <가교물:15%, 디메틸폴리실록산(6cs):8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실리콘 구상 분체 조성물;KSG-016F <구상 분체: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41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KMP-59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5.3
(a)/(b):0.28
얻어진 스틱 컨실러는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0]
바운시 파운데이션
<화장료의 조제>
A:성분 5~8을 3본롤로 균일하게 혼합했다.
B:A와 성분 1~4, 9를 니더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바운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조성 %
1.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1) 20
2.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2) 9.5
3.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주3) 0.5
4.메톡시신남산에틸헥실 2
5.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주4) 0.1
6.트리에틸헥사노인 6
7.실리콘 처리 산화티탄(주5) 20
8.실리콘 처리 산화철(주5) 4
9.실리콘 처리 탈크(주5) 잔량
-----------------------------------------------------------------------
합계 100.0
(주1)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KMP-59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조성물;KP-57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실리콘 처리 분체(KF-990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를 사용하여 분체를 소수화 표면 처리)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4.5
(a)/(b):0.53
얻어진 바운시 파운데이션은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1]
겔 아이 컬러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3을 80℃에서 균일하게 혼합했다.
B:A와 성분 4~5를 60℃에서 균일하게 혼합했다.
C:B와 성분 6~11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겔 아이 컬러를 얻었다.
조성 %
1.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24
2.스쿠알란 19.9
3.팔미틴산덱스트린(주1) 10
4.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2) 12
5.소수성 무수 실리카(주3) 0.1
6.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4) 8
7.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주5) 2
8.황산바륨 5
9.실리콘 처리 합성 마이카(주6) 13
10.유리 분말 7
11.(PET/Al)라미네이트 4.5
-----------------------------------------------------------------------
합계 100.0
(주1) 팔미틴산덱스트린(레오펄KL2:치바세이훈사제)
(주2)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소수성 무수 실리카;AEROSIL R972(닛폰아에로질사제)
(주4)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KMP-59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6) 실리콘 처리 분체(KP-574: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를 사용하여 분체를 소수화 표면 처리)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1
(a)/(b):0.38
얻어진 겔 아이 컬러는 요철 보정 효과, 투명감,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2]
립 앤드 치크
<화장료의 조제>
A:성분 1~5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 8~12를 3본롤로 균일하게 혼합했다.
C:A와 B와 성분 6~7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립 앤드 치크를 얻었다.
조성 %
1.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1) 35
2.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2) 10
3.디메틸폴리실록산(6cs) 잔량
4.실리콘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주3) 1
5.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0.6
6.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4) 14.5
7.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주5) 2
8.트리이소스테아린산폴리글리세릴-2 3
9.마이카 1.4
10.적202 3
11.황4 1
12.적201 0.3
-----------------------------------------------------------------------
합계 100.0
(주1) (변성)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9 <가교물:15%, 디메틸폴리실록산(6cs):8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16 <가교물:25%, 디메틸폴리실록산(6cs):75%>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실리콘 분기형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KF-6028(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4)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1(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5)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KMP-590(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22.25
(a)/(b):0.53
얻어진 립 앤드 치크는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 남지 않아, 마무리가 자연스러운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3]
수중유형 베이스 크림
<화장료의 조제>
A:성분 3~10을 균일하게 혼합했다.
B:성분 1~2를 균일하게 혼합했다.
C:B를 A에 첨가하고 유화하여 수중유형 베이스 크림을 얻었다.
조성 %
1.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주1) 12
2.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주2) 7
3.폴리소르베이트-60 2
4.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나트륨 공중합체 조성물(주3)
1
5.(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암모늄/VP)코폴리머 2% 용액 15
6.부틸렌글리콜 10
7.글리세린 3
8.펜틸렌글리콜 1
9.메틸파라벤 0.15
10.정제수 잔량
-----------------------------------------------------------------------
합계 100.0
(주1) 알킬 변성 부분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 조성물;KSG-43 <가교물:30%, 트리에틸헥사노인:70%> (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2) (주4) 하이브리드 실리콘 복합 분체;KSP-105(신에츠카가쿠코교(주)제)
(주3) 아크릴산나트륨·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산나트륨 공중합체 조성물(SIMULGEL EG <가교물 37.5%>:SEPPIC사제)
성분(a) 및 성분(b)의 합계량:10.6
(a)/(b):0.51
얻어진 수중유형 베이스 크림은 요철 보정 효과, 사용감, 전연성, 부착성이 우수하고, 가루가 남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6)

  1. (a)부분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흡유성 실리콘 복합 구상 분체, (c)25℃에서 점도가 1~100mm2/s인 유제:8~85질량%, 및 (d)비가교형 실리콘 활성제를 함유하고, 성분(a)과 성분(b)의 합계량이 10~35질량%, (a)/(b)으로 표시되는 성분(b)에 대한 성분(a)의 질량비가 0.04~0.45인, 요철 보정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 보정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e)굴절률이 1.8 이상인 안료(단, 상기 (b)성분을 제외한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 보정 화장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f)상기 (b) 및 (e)굴절률이 1.8 이상인 안료(단, 상기 (b)성분을 제외한다)성분 이외의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 보정 화장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c)이 실리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 보정 화장료.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b)이 화장품 표시 명칭으로 정의되는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티콘/비닐디페닐디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22, 폴리실리콘-1크로스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철 보정 화장료.
KR1020197025566A 2017-02-02 2018-01-26 요철 보정 화장료 KR102504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7479 2017-02-02
JPJP-P-2017-017479 2017-02-02
PCT/JP2018/002386 WO2018143061A1 (ja) 2017-02-02 2018-01-26 凹凸補正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130A KR20190110130A (ko) 2019-09-27
KR102504564B1 true KR102504564B1 (ko) 2023-02-28

Family

ID=6304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66A KR102504564B1 (ko) 2017-02-02 2018-01-26 요철 보정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60747B2 (ko)
EP (1) EP3578165A4 (ko)
JP (1) JP6848987B2 (ko)
KR (1) KR102504564B1 (ko)
CN (1) CN110234312B (ko)
WO (1) WO2018143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4935A4 (en) 2017-07-18 2021-05-05 Amaterasu Lifesciences LLP ANTI-FRICTION GEL COMPOSITION
EP3677250A4 (en) * 2017-08-31 2021-06-02 Shiseido Co., Ltd. COSMETIC PRODUCT FOR LIPS
JP7087930B2 (ja) * 2018-11-07 2022-06-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7412954B2 (ja) * 2019-10-17 2024-01-15 花王株式会社 固形化粧料
JP7412955B2 (ja) * 2019-10-17 2024-01-15 花王株式会社 固形化粧料
JP7272459B2 (ja) * 2019-11-19 2023-05-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油中水型化粧料
US20230172835A1 (en) * 2020-04-01 2023-06-08 Kao Corporation Topical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KR102428305B1 (ko) * 2020-05-25 2022-08-03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성을 가지는 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30284A1 (ja) * 2020-08-07 2022-02-10 株式会社 資生堂 塗布型身体補正皮膜用の下地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2022176390A (ja) * 2021-05-15 2022-11-28 ジェイオーコスメティックス株式会社 粉体化粧料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7250A1 (en) 2010-03-05 2011-09-08 Hayakawa Chihiro Composition for a cosmetic and a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US20110301247A1 (en) 2010-06-08 2011-12-08 Hayakawa Chihiro Cosmetic product containing film-forming polymer
US20130287824A1 (en) 2012-04-25 2013-10-31 Shin-Etsu Chemical Co., Ltd. Oil-based makeup cosmetic preparation
JP2015086196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コーセー 凹凸補正化粧料
JP2015193564A (ja)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コーセー メークアップ化粧料
WO2016030838A1 (en) 2014-08-28 2016-03-03 L'oreal Gel-gel comprising at lease two fillers with a soft-focus effec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2843B2 (ja) 1997-08-08 2005-05-25 株式会社資生堂 凹凸補正用組成物
WO1999056702A1 (fr) 1998-04-30 1999-11-11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pour usage externe
JP3689588B2 (ja) 1998-04-30 2005-08-31 株式会社資生堂 外用組成物
JP4490817B2 (ja) * 2002-09-12 2010-06-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重合物及びペースト状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JP5402063B2 (ja) 2008-03-13 2014-01-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5893896B2 (ja) 2011-11-10 2016-03-23 株式会社コーセー 凹凸補正化粧料
JP2016124846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フェース 粉体化粧料
JP6794096B2 (ja) * 2015-05-01 2020-12-02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粉末化粧料
JP6708371B2 (ja) * 2015-05-29 2020-06-10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17002016A (ja) * 2015-06-16 2017-01-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メイクアップ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7250A1 (en) 2010-03-05 2011-09-08 Hayakawa Chihiro Composition for a cosmetic and a cosmetic comprising the same
US20110301247A1 (en) 2010-06-08 2011-12-08 Hayakawa Chihiro Cosmetic product containing film-forming polymer
US20130287824A1 (en) 2012-04-25 2013-10-31 Shin-Etsu Chemical Co., Ltd. Oil-based makeup cosmetic preparation
JP2015086196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コーセー 凹凸補正化粧料
JP2015193564A (ja)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コーセー メークアップ化粧料
WO2016030838A1 (en) 2014-08-28 2016-03-03 L'oreal Gel-gel comprising at lease two fillers with a soft-focus eff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8165A4 (en) 2020-11-25
JPWO2018143061A1 (ja) 2019-11-21
WO2018143061A1 (ja) 2018-08-09
CN110234312A (zh) 2019-09-13
CN110234312B (zh) 2023-01-03
KR20190110130A (ko) 2019-09-27
JP6848987B2 (ja) 2021-03-24
EP3578165A1 (en) 2019-12-11
US11160747B2 (en) 2021-11-02
US20190350835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564B1 (ko) 요철 보정 화장료
JP6930589B2 (ja) ウォーターブレイク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6809255B2 (ja) 油中水型化粧料
JP6969546B2 (ja) 化粧料組成物
JPWO2018221174A1 (ja) ウォーターブレイク化粧料
JP7076941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6897779B2 (ja) 油中水乳化型スティック状デオドラント剤
JP7310795B2 (ja) 化粧料
JP7347515B2 (ja) 固形化粧料
JP2018162224A (ja) 油中水型口唇化粧料
US11419796B2 (en) Stick-shaped cosmetic product
WO2021100750A1 (ja) 油中水型化粧料
JP7287458B2 (ja) 化粧料
JP6935202B2 (ja) 油中水型日焼け止め料
WO2024058043A1 (ja) 油中水型化粧料
JP2020196690A (ja) 非乳化系油性化粧料
JP2022159775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