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530B1 - 유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유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530B1
KR102503530B1 KR1020177021559A KR20177021559A KR102503530B1 KR 102503530 B1 KR102503530 B1 KR 102503530B1 KR 1020177021559 A KR1020177021559 A KR 1020177021559A KR 20177021559 A KR20177021559 A KR 20177021559A KR 102503530 B1 KR102503530 B1 KR 102503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passage
milk beverage
milk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183A (ko
Inventor
유키히데 모치다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컵(C)에 대하여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디스펜서(1)에 적용되며, 또한 컵(C)에 우유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원액 공급부(20)를 통하여 BIB(21)로부터 공급되는 우유 원액과, 증기 공급부(10)를 통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가압 증기와, 공기 공급부(40)를 통하여, 압축된 상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시켜 우유 음료로서 컵(C)에 공급하는 믹싱부(5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유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유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에 대하여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적용되며, 또한 음료 용기에 유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유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카푸치노 등의 커피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거품이 일게 한 상태로 우유를 공급하는 것이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우유가 미리 공급된 음료 용기에 대하여, 가압된 상태의 증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압축된 상태의 공기를 공급하여 교반함으로써, 상기 우유에 거품이 일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5242907호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미리 우유가 공급된 음료 용기에 가압 증기 및 압축 공기를 공급시켜 교반하기 때문에, 음료 용기의 주변에 우유 등이 비산하거나 할 우려가 있어, 위생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위생성이 양호하면서 거품이 일게 한 상태로 유음료를 공급할 수 있는 유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유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 용기에 대하여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적용되며, 또한 상기 음료 용기에 유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원액 공급 수단을 통하여 원액 수납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음료 원액과, 증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가압 증기와, 공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압축된 상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시켜 유음료로서 상기 음료 용기에 공급하는 믹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음료의 통로를 구성하는 벽면에 상기 유음료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유음료의 거품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포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유음료의 통로의 일부를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유음료를 상기 굴곡 부위에 있어서의 통로의 벽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액 수납부는, 유음료 원액을 봉입한 주머니형 용기를 상자형 용기에 수용한 백·인·박스(bag-in-box)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믹싱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로와, 상기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역지 밸브부의 상방측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부를 통과한 상기 가압 증기 및 상기 압축 공기와, 상기 원액 공급 수단을 통하여 공급된 상기 유음료 원액을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믹싱부가, 원액 공급 수단을 통하여 원액 수납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음료 원액과, 증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가압 증기와, 공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압축된 상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시켜 유음료로서 음료 용기에 공급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음료 용기에 가압 증기 및 압축 공기를 공급시켜 유음료를 교반하여 거품이 일게 하게 것에 비해, 음료 용기의 주변에 유음료 등이 비산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따라서, 위생성이 양호하면서 거품이 일게 한 상태로 우유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가 적용된 음료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음료 디스펜서의 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원액 공급부를 구성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러그 및 소켓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원액 공급부를 구성하는 역지 밸브 구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역지 밸브 구성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역지 밸브 구성부를 구성하는 역지 밸브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역지 밸브 본체를 좌측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역지 밸브 본체를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소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플러그를 소켓에 장착하는 경우의 각각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이탈한 상태, (b)는 플러그가 소켓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플러그 및 소켓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나타낸 믹싱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나타낸 믹싱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2에 나타낸 포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2에 나타낸 포밍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2에 나타낸 노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2에 나타낸 노즐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노즐 본체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음료 안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역지 밸브 구성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믹싱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믹싱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포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포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유음료 공급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가 적용된 음료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음료 디스펜서(1)는, 음료 용기인 컵(C)(도 2 참조)에 대하여 커피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는, 상기 음료 디스펜서(1)에 적용되며, 또한 유음료인 우유를, 거품이 일게 한 상태로 컵(C)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 유음료 공급 장치는, 증기 공급부(증기 공급 수단)(10), 원액 공급부(원액 공급 수단)(20), 공기 공급부(공기 공급 수단)(40), 믹싱부(50), 포밍부(60) 및 노즐부(7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증기 공급부(10)는, 증기 탱크(11), 제1 증기 공급관(12) 및 제2 증기 공급관(1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증기 탱크(11)는, 종래 공지된 것이고, 가압 증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제1 증기 공급관(12)은, 일단이 증기 탱크(11)에 접속되고, 타단이 믹싱부(50)에 접속되어 있어, 증기 탱크(11)와 믹싱부(50)를 접속하는 것이다. 이 제1 증기 공급관(12)의 도중에는, 제1 증기 공급 밸브(1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증기 공급 밸브(14)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으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제1 증기 공급 밸브(14)는, 개방되는 경우, 가압 증기가 제1 증기 공급관(12)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증기 공급 밸브(14)는, 폐쇄되는 경우, 가압 증기가 제1 증기 공급 밸브(14)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제2 증기 공급관(13)은, 일단이 증기 탱크(11)에 접속되고, 타단이, 원액 공급부(20)를 구성하는 역지 밸브 구성부(30)에 접속되어 있어, 증기 탱크(11)와 역지 밸브 구성부(30)를 접속하는 것이다. 또한, 역지 밸브 구성부(30)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 제2 증기 공급관(13)의 도중에는, 제2 증기 공급 밸브(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증기 공급 밸브(15)는, 제어 수단으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제2 증기 공급 밸브(15)는, 개방되는 경우, 가압 증기가 제2 증기 공급관(13)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증기 공급 밸브(15)는, 폐쇄되는 경우, 가압 증기가 제2 증기 공급 밸브(15)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원액 공급부(20)는, 백·인·박스(이하, BIB라고도 함)(21), 튜브 펌프(23), 플러그(24) 및 역지 밸브 구성부(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BIB(21)는, 컵(C)에 공급하는 유음료(거품이 일게 한 상태의 우유)의 원액(이하, 우유 원액이라고도 함)을 봉입한 주머니형 용기를 상자형 용기에 수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 BIB(21)는, 음료 디스펜서(1)의 보랭고(2)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보랭고(2)는, 음료 디스펜서(1)의 디스펜서 본체(1a)의 내부에 설치된 단열 구조의 실(室)이고, 디스펜서 본체(1a)의 내부의 후방측에 구획되어 있다. 이 보랭고(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 본체(1a)의 후면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단열 구조의 후면 도어(3)에 의해 개폐되는 것으로, BIB(21)는, 후면 도어(3)를 개방 이동시켜 보랭고(2)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충되는 것이다.
튜브 펌프(23)는, 보랭고(2)의 내부에 있어서, BIB(21)의 하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튜브 펌프(23)는, 제어 수단으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구동하는 경우, BIB(21)에 접속된 튜브(22)를 복수의 롤러 등으로 눌러 찌부러뜨리도록 하여, BIB(21)의 우유 원액을 퍼내는 것이다.
플러그(24)는, BIB(21)에 접속된 튜브(22)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 4는, 원액 공급부(20)를 구성하는 플러그(2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24)는, 플러그 본체(24a)와 플러그 덮개체(2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본체(24a)는, 상부 및 전방부가 개방되며, 또한 후방부에 U 자형의 후면 홈(241)이 형성된 대략 직방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 플러그 본체(24a)의 좌우 양측부에는,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편(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우 한쌍의 걸림편(242)에는 각각 걸림 홈(2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24a)의 좌우 양측부의 전방측 상부에는, 좌우 한쌍의 축 지지 구멍(2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24a)의 바닥부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양태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장척형의 본체측 핀치부(245)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덮개체(24b)는, 대략 평판형의 부재이고, 관통공(246)(도 5 참조), 걸어맞춤 돌출부(247), 걸림 돌출부(248) 및 덮개측 핀치부(249)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46)은, 플러그 덮개체(24b)의 전방측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46)에는, 장척 로드형의 플러그 핀(25)이 관통하고 있고, 이 플러그 핀(25)의 좌우 양단부가 플러그 본체(24a)의 축 지지 구멍(244)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즉, 플러그 덮개체(24b)는, 플러그 핀(25)의 중심축 주위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플러그 본체(24a)에 지지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247)는, 플러그 덮개체(24b)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출부(248)는, 플러그 덮개체(24b)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외측(좌측, 우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측 핀치부(249)는, 플러그 덮개체(24b)의 하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양태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장척형의 것이다. 이 덮개측 핀치부(249)는, 플러그 덮개체(24b)가 플러그 본체(24a)에 근접하도록 요동하는 경우에, 본체측 핀치부(245)에 대하여 대향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24)는, 다음과 같이 하여 튜브(22)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우선, 플러그 덮개체(24b)를 플러그 본체(24a)로부터 이격하도록 요동시키고, 플러그 본체(24a)와 플러그 덮개체(24b) 사이에 있어서, 튜브(22)의 선단면이 플러그 본체(24a)의 전방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일부가 후면 홈(241)을 통과하도록 튜브(22)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플러그 덮개체(24b)를 플러그 본체(24a)에 근접하도록 요동시켜, 플러그 덮개체(24b)의 걸림 돌출부(248)가 플러그 본체(24a)의 걸림편(242)의 걸림 홈(243)에 진입하여 상기 걸림편(242)과 걸림으로써 플러그(24)를 튜브(22)의 선단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 덮개체(24b)의 덮개측 핀치부(249)는, 플러그 본체(24a)의 본체측 핀치부(245)와 대향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측 핀치부(245)와 함께 튜브(22)의 소정 부위를 사이에 끼워 상기 튜브(22)를 폐색시키고 있다. 즉, 플러그(24)는 폐색 자세가 된다.
도 6은, 원액 공급부(20)를 구성하는 역지 밸브 구성부(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역지 밸브 구성부(30)의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역지 밸브 구성부(30)는, 원액 공급관(26)을 통하여 믹싱부(50)에 접속되는 것이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 본체(30a)를 구비하고 있다.
도 8∼도 10은, 각각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역지 밸브 구성부(30)를 구성하는 역지 밸브 본체(30a)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역지 밸브 본체(30a)를 좌측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역지 밸브 본체(30a)를 전방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 8∼도 1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지 밸브 본체(30a)는, 소켓 수용부(31), 증기 유입부(32), 원액 유출부(33) 및 밸브체 수용부(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소켓 수용부(31)는, 역지 밸브 본체(30a)의 후방 부분에 구성되어 있고, 후면 개구(31a)를 통하여 소켓(27)(도 6 및 도 7 참조)의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소켓(27)을 수용하는 부위이다.
소켓(27)은, 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이 개방된 상자형의 소켓 본체(27a)를 갖고 있다. 이 소켓(27)은, 걸림 갈고리편(271), 규제 구멍(272), 원액 안내부(273) 및 안내 홈부(274, 275)가 소켓 본체(27a)에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걸림 갈고리편(271)은, 각각 소켓 본체(27a)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것이다. 이들 걸림 갈고리편(271)의 전방측에는, 걸림 갈고리(271a)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구멍(272)은, 소켓 본체(27a)의 상방부에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구멍이다.
원액 안내부(273)는, 소켓 본체(27a)의 전방부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장척형의 통형상체이다. 이 원액 안내부(273)의 외경은, 상기 튜브(22)의 내경보다 약간 큰 것이다. 이 원액 안내부(273)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액 통로(273a)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부(274, 275)는, 소켓 본체(27a)의 하방부의 후방측에서 좌우 한쌍이 되는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안내 홈부(274)에 있어서는, 우단부가 소켓 본체(27a)의 좌측부와 대향하고 있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우측 전연부(前延部)(274a)와, 이 제1 우측 전연부(274a)의 전단부에 연속하며, 또한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좌측으로 경사지는 우측 경사부(274b)와, 이 우측 경사부(274b)의 전단부에 연속하며, 또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우측 전연부(274c)가 연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안내 홈부(275)에 있어서는, 좌단부가 소켓 본체(27a)의 우측부와 대향하고 있고,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좌측 전연부(275a)와, 이 제1 좌측 전연부(275a)의 전단부에 연속하며, 또한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우측으로 경사지는 좌측 경사부(275b)와, 이 좌측 경사부(275b)의 전단부에 연속하며, 또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좌측 전연부(275c)가 연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켓(27)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 본체(27a)의 전방부가 역지 밸브 본체(30a)의 후면 개구(31a)를 통하여 소켓 수용부(31)에 진입하며, 또한 소켓 본체(27a)의 걸림 갈고리편(271)의 걸림 갈고리(271a)가 역지 밸브 본체(30a)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311)와 걸림으로써, 소켓 수용부(31)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소켓(27)의 원액 안내부(273)의 전단 부분은, 역지 밸브 본체(30a)에 있어서의 원통부(312)의 중공부(312a)에 진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통부(312)의 전단부에는 원액 유입구(313)가 형성되어 있고, 원액 안내부(273)의 원액 통로(273a)는 원액 유입구(313)를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켓(27)이 소켓 수용부(31)에 수용됨으로써 역지 밸브 구성부(30)를 구성하고 있고, 더구나 역지 밸브 구성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액 공급관(26)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소켓(27)은, 우유 원액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에 부착되어 있다.
증기 유입부(32)는, 상기 제2 증기 공급관(13)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증기 유입 통로(321)를 갖고 있다. 이 증기 유입 통로(321)는, 역지 밸브 본체(30a)에 형성된 증기 유입구(322)를 통하여 제2 증기 공급관(13)에 연통하고 있다.
원액 유출부(33)는, 상기 원액 공급관(26)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원액 유출 통로(331)를 갖고 있다. 이 원액 유출 통로(331)는, 역지 밸브 본체(30a)에 형성된 원액 유출구(332)를 통하여 원액 공급관(26)에 연통하고 있다.
밸브체 수용부(34)는, 역지 밸브 본체(30a)의 중앙 영역에 구획된 실(室)이고, 상기 증기 유입 통로(321) 및 상기 원액 유출 통로(331)에 연통함과 동시에, 소켓 수용부(31)에 수용된 소켓(27)의 원액 안내부(273)의 원액 통로(273a)에, 원액 유입구(313)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이 밸브체 수용부(34)에 볼 가이드(35)가 설치되어 있다.
볼 가이드(35)는,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고, 제1 개구(351) 및 제2 개구(352)를 갖고 있다. 제1 개구(351)는,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액 유입구(313)에 연통하고 있다. 제2 개구(352)는,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액 유출 통로(331)를 향함으로써 상기 원액 유출구(332)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볼 가이드(35)의 내부에는 볼 밸브(36)가 설치되어 있다. 볼 밸브(36)는, 예컨대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37)에 의해 상시 후방을 향하여 가압되는 것이고, 통상적인 상태에 있어서는, 볼 가이드(35)의 제1 개구(351)를 폐색함으로써 원액 유입구(313)를 폐색시키는 것이다.
또한, 볼 가이드(35)에는 복수의 분출 구멍(3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분출 구멍(353)은, 볼 가이드(35)의 둘레면에 있어서 그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이 상기 증기 유입 통로(321)를 통하여 증기 유입구(322)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이들 분출 구멍(353)은, 통상적인 상태의 볼 밸브(36), 즉 제1 개구(351)를 폐색하여 원액 유입구(313)를 폐색시키는 상태의 볼 밸브(36)에 대하여, 상기 볼 밸브(36)의 정중앙면[볼 밸브(36)를 전후 대칭으로 균등하게 분할하는 평면](38)보다 제2 개구(352)측(전방측)의 표면을 향하는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원액 공급부(20)에 있어서는, 플러그(24)와 소켓(27)이 다음과 같이 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24)를 소켓(27)의 후방측으로부터 근접시킴으로써, 플러그(24)를 소켓 본체(27a)의 후면으로부터 진입시킨다. 플러그(24)가 소켓 본체(27a)의 내부에 진입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걸림편(242)이 각각 대응하는 안내 홈부(274, 275)에 진입한다. 이와 같이 걸림편(242)이 대응하는 안내 홈부(274, 275)에 진입한 결과, 좌측의 걸림편(242)은 좌측의 안내 홈부(274)의 우측 경사부(274b)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에 제2 우측 전연부(274c)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좌측으로 변위되는 한편, 우측의 걸림편(242)은 우측의 안내 홈부(275)의 좌측 경사부(275b)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에 제2 좌측 전연부(275c)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우측으로 변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의 걸림편(242)이 좌측으로 변위되고, 우측의 걸림편(242)이 우측으로 변위되면, 각 걸림편(242)의 걸림 홈(243)에 진입되어 있던 걸림 돌출부(248)가 상기 걸림 홈(243)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탈함으로써 플러그 덮개체(24b)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플러그 덮개체(24b)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면, 튜브(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러그 덮개체(24b)가 플러그 본체(24a)로부터 이격되도록 요동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덮개체(24b)의 걸어맞춤 돌출부(247)가 규제 구멍(272)에 진입함으로써 플러그(24)는 소켓(27)과 걸어맞춤 상태가 되어 상기 소켓(27)에 연결된다. 이 때 소켓(27)의 원액 안내부(273)는, 일부가 튜브(22)의 내부에 진입하고, 원액 안내부(273)의 원액 통로(273a)와 튜브(22)의 내부가 연통 상태가 된다. 또한, 플러그 덮개체(24b)가 요동함으로써 덮개측 핀치부(249)가 본체측 핀치부(245)로부터 이격하여 이들 핀치부에 폐색되어 있던 튜브(22)의 소정 부위는 개방된다. 즉, 플러그(24)는, 소켓(27)과 걸어맞춤 상태가 됨으로써 개방 자세가 된다.
그런데, 플러그(24)를 소켓(27)으로부터 이탈시키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플러그 덮개체(24b)를 플러그 본체(24a)에 근접하도록 요동시켜 걸어맞춤 돌출부(247)를 규제 구멍(27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리고, 플러그 덮개체(24b)를 플러그 본체(24a)에 근접하도록 요동시킨 상태인 채로 후방을 향하여 플러그(24)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플러그(2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좌우 한쌍의 걸림편(242)이 각각 대응하는 안내 홈부(274, 275)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즉, 좌측의 걸림편(242)은 좌측의 안내 홈부(274)의 우측 경사부(274b)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에 제1 우측 전연부(274a)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우측으로 변위하는 한편, 우측의 걸림편(242)은 우측의 안내 홈부(275)의 좌측 경사부(275b)에 슬라이딩 접촉한 후에 제1 좌측 전연부(275a)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좌측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측의 걸림편(242)이 우측으로 변위하고, 우측의 걸림편(242)이 좌측으로 변위하면, 각 걸림편(242)의 걸림 홈(243)에 걸림 돌출부(248)가 진입하여 상기 걸림편(242)과 걸리고, 플러그(24)는 전술한 폐색 자세가 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24)와 소켓(27)은 서로 착탈 가능한 관계에 있고, 플러그(24)는, 소켓(27)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경우에는 폐색 자세가 되는 한편, 소켓(27)과 연결되는 경우에 개방 자세가 되는 것이다. 소켓(27)은, 플러그(24)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플러그(24)를 강제적으로 개방 자세로 만드는 것이다. 또한, 소켓(27)은, 소켓에 연결되는 플러그(24)가 폐색 자세가 되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24)가 이탈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공기 공급부(40)는, 공기 공급관(4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관(41)은, 일단이 에어 펌프(42)에 접속되고, 타단이 믹싱부(50)에 접속되어 있어, 에어 펌프(42)와 믹싱부(50)를 접속하는 것이다. 에어 펌프(42)는, 제어 수단으로부터 주어지는 지령에 따라 구동되는 것이고, 구동하는 경우에,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공급관(41)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송출하는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믹싱부(50)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4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믹싱부(50)는, 제1 증기 공급관(12), 원액 공급관(26) 및 공기 공급관(41)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음료 송출관(80)에도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음료 송출관(80)은, 일단이 믹싱부(50)에 접속되며, 또한 타단이 포밍부(60)에 접속되어 있어, 믹싱부(50)와 포밍부(60)를 접속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믹싱부(50)는, 증기 도입부(51), 음료 믹싱부(52), 원액 도입부(53) 및 공기 도입부(54)를 갖고 있다.
증기 도입부(51)는, 상기 제1 증기 공급관(12)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증기 도입 통로(511)를 갖고 있다. 이 증기 도입 통로(511)는, 증기 도입구(512)를 통하여 제1 증기 공급관(12)에 연통하고 있다.
음료 믹싱부(52)는, 상기 음료 송출관(80)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믹싱 통로(521)를 갖고 있다. 이 믹싱 통로(521)는, 오리피스부(55)를 통하여 증기 도입 통로(511)에 연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음료 송출구(522)를 통하여 음료 송출관(80)에 연통하고 있다.
원액 도입부(53)는, 상기 원액 공급관(26)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원액 도입 통로(531)를 갖고 있다. 이 원액 도입 통로(531)는, 일단이 원액 도입구(532)를 통하여 원액 공급관(26)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원액 도입 통로(531)는, 타단이 믹싱 통로(521)에 연통하고 있다.
공기 도입부(54)는, 상기 공기 공급관(41)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공기 도입 통로(541)를 갖고 있다. 이 공기 도입 통로(541)는, 일단이 공기 도입구(542)를 통하여 공기 공급관(41)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공기 도입 통로(541)는, 타단이 믹싱 통로(521)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공기 도입 통로(541)가 믹싱 통로(521)와 연통하는 개소는, 원액 도입 통로(531)가 믹싱 통로(521)와 연통하는 개소보다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2에 나타낸 포밍부(60)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6은 사시도이고, 도 17은 단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포밍부(60)는, 음료 송출관(80)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노즐부(7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포밍부(60)는, 음료 도입부(61)와 음료 도출부(62)를 갖고 있다.
음료 도입부(61)는, 상기 음료 송출관(80)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음료 도입 통로(611)를 갖고 있다. 이 음료 도입 통로(611)는, 음료 도입구(612)를 통하여 음료 송출관(80)에 연통하고 있다. 이 음료 도입 통로(611)는, 그 도중에서 굴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굴곡 부위(611a)의 상류측의 음료 도입 통로(611)와 하류측의 음료 도입 통로(611)가 이루는 각도(α)는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도출부(62)는, 노즐부(70)와 접속되는 부위이고, 음료 도출 통로(621)를 갖고 있다. 이 음료 도출 통로(621)는, 음료 도출구(622)를 통하여 노즐부(7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음료 도출 통로(621)는, 음료 도입 통로(611)와 연통하고 있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도 2에 나타낸 노즐부(70)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8은 사시도이고, 도 19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노즐부(7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 본체(1a)의 전면에 형성된 노즐 수용부(4)에 수용되는 것으로, 노즐 본체(70a)와 노즐 덮개체(70b)를 갖고 있다.
노즐 본체(70a)는, 도 20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장부가 개방된 용기이고, 바닥부는 기단으로부터 선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이 노즐 본체(70a)에는, 노즐실(711), 토출 통로(712) 및 방출 통로(713)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실(711)은, 노즐 본체(70a)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토출 통로(712)는, 노즐 본체(70a)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이 토출 통로(712)는, 토출 연락구(714)를 통하여 노즐실(711)에 연통하고 있고, 또한 노즐 본체(70a)에 형성된 토출구(715)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토출 연락구(714)는, 노즐실(7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방출 통로(713)는, 노즐 본체(70a)에 있어서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토출 통로(712)에 인접하는 양태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이 방출 통로(713)는, 방출 연락구(716)를 통하여 노즐실(711)에 연통하고 있고, 또한 노즐 본체(70a)에 형성된 방출구(717)를 통하여 외부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방출 연락구(716)는, 노즐실(7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즐 본체(70a)에 있어서는, 노즐실(711)에 음료 안내부(72)가 형성되어 있다. 음료 안내부(72)는, 노즐실(711)의 하부, 즉 노즐 본체(70a)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통로 구성 요소인 평판형 부재(721)가 병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평판형 부재(721)의 상단부가 공통의 지지판(722)에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음료 안내부(72)에 있어서의 각 평판형 부재(721)는, 토출 연락구(714)[토출구(715)]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다른 평판형 부재(721)와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평판형 부재(721)들 사이에 음료를 통과시키고 나서 토출 통로(712)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노즐 덮개체(70b)는, 노즐 본체(70a)의 천장부를 폐색하는 양태로 상기 노즐 본체(70a)에 부착되어 있다. 이 노즐 덮개체(70b)는, 연결관부(73) 및 증기 방출부(74)를 갖고 있다. 연결관부(73)는, 노즐 덮개체(70b)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통형 부위이다. 이 연결관부(73)에는, 노즐 본체(70a)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부(731)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포밍부(60)의 음료 도출부(62)의 일부의 진입을 허용하여 상기 포밍부(60)와 연결하는 것이다.
증기 방출부(74)는, 연결관부(73)와 동일하게, 노즐 덮개체(70b)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통형 부위이다. 이 증기 방출부(74)에는, 노즐 본체(70a)의 내부에 연통하는 중공부(741)가 형성되어 있고, 이는 노즐 본체(70a)의 내부로 이송되어 온 증기의 일부를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거품이 일게 한 상태로 우유를 컵(C)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 수단에 의해 제1 증기 공급 밸브(14)가 개방됨과 동시에, 튜브 펌프(23) 및 에어 펌프(42)가 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 증기 공급 밸브(15)는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튜브 펌프(23)가 구동됨으로써, 원액 공급부(20)에서는, BIB(21)의 우유 원액이 퍼내어진다. BIB(21)로부터 퍼내어진 우유 원액은, 튜브(22)를 통과한 후에 소켓(27)의 원액 안내부(273)의 원액 통로(273a)를 통과하여 원액 유입구(313)에 이른다. 원액 유입구(313)는 볼 밸브(36)에 의해 폐색되어 있지만, BIB(21)로부터 퍼내어지는 우유 원액의 압력에 의해 볼 밸브(36)가 가압 수단(3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전방을 향하여 후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원액 유입구(313) 및 제1 개구(351)는 개방되고, 우유 원액은, 원액 유입구(313) 및 제1 개구(351)를 통하여 원액 유출 통로(331)에 이르고, 이 원액 유출 통로(331)를 통과하여 원액 공급관(26)을 통과한다. 이 원액 공급관(26)을 통과하는 우유 원액은, 믹싱부(50)의 원액 도입 통로(531)에 이른다.
그런데, 제1 증기 공급 밸브(14)가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증기 탱크(11)에서 생성된 가압 증기는, 제1 증기 공급관(12)을 통과하여 믹싱부(50)의 증기 도입 통로(511)에 이른다. 또한, 에어 펌프(42)가 구동됨으로써, 압축 공기가 공기 공급관(41)을 통과하여 믹싱부(50)의 공기 도입 통로(541)에 이른다.
믹싱부(50)에 있어서는, 증기 도입 통로(511)를 통과한 가압 증기가 오리피스부(55)를 통과함으로써 감압되어 유속이 증대된 상태로 믹싱 통로(521)를 통과함으로써, 원액 도입 통로(531)의 우유 원액이 벤츄리 효과로 믹싱 통로(521)에 이르고, 가압 증기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이 믹싱부(50)에 있어서는, 공기 도입 통로(541)의 압축 공기가 믹싱 통로(521)에 진입함으로써 가압 증기로 가열된 우유 원액과 혼합되어 우유 음료가 생성된다. 여기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압축 공기에 의해 약간 거품이 일게 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믹싱부(50)에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음료 송출관(80)을 통과하여 포밍부(60)의 음료 도입 통로(611)에 이른다.
포밍부(60)에 있어서는, 음료 도입 통로(611)를 통과하는 우유 음료가 상기 음료 도입 통로(611)의 굴곡 부위(611a)에서 유로 변경되고, 상기 굴곡 부위(611a)에 있어서의 통로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우유 음료의 거품 발생량이 증대되어 거품이 일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거품이 일게 된 우유 음료는, 음료 도출 통로(621)를 통과하여 노즐부(70)에 송출된다.
노즐부(70)에 송출된, 거품이 일게 된 우유 음료는, 노즐실(711)에 일시적으로 저류되고, 음료 안내부(72)의 평판형 부재(721)들 사이를 통과한다. 여기서 평판형 부재(721)는, 토출구(715)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병설되어 있는 점에서, 거품이 크게 일어난 것은 평판형 부재(721)들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체류하고, 거품이 미세하게 일어난 것만이 평판형 부재(721)들 사이를 통과한다.
그리고, 노즐 덮개체(70b)에 형성된 증기 방출부(74)나, 방출 통로(713)로부터 증기 등의 일부가 방출되기 때문에, 노즐실(711)에 일시적으로 저류된 우유 음료는, 평판형 부재(721)들 사이를 통과한 후에 토출 통로(712)를 통과하여 토출구(715)로부터 컵(C)에 토출되고, 이와 같이 하여 우유 음료가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량의 우유 음료를 공급한 후, 유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제어 수단에 의해 제2 증기 공급 밸브(15)가 개방되고, 튜브 펌프(23)가 구동 정지된다. 또한, 에어 펌프(42)의 구동은 유지됨과 동시에, 제1 증기 공급 밸브(14)도 개방되어 있다.
제2 증기 공급 밸브(15)가 개방됨으로써, 증기 탱크(11)에서 생성된 가압 증기는, 제2 증기 공급관(13)을 통과하여 역지 밸브 구성부(30)의 증기 유입 통로(321)에 이른다. 여기서 역지 밸브 구성부(30)에 있어서는, 튜브 펌프(23)의 구동 정지에 의해 BIB(21)로부터 우유 원액이 퍼내어지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볼 밸브(36)에 의해 원액 유입구(313)가 폐색되어 있다.
역지 밸브 구성부(30)에 있어서, 증기 유입 통로(321)의 가압 증기는, 밸브체 수용부(34)에 이르고, 볼 가이드(35)의 주위를 통과하면서 분출 구멍(353)으로부터 볼 밸브(36)의 표면에 분출된다. 볼 밸브(36)의 표면에 분출된 가압 증기는, 볼 밸브(36)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우유 원액과 함께 원액 유출 통로(331)를 통하여 원액 공급관(26)을 통과하고, 믹싱부(50)의 원액 도입 통로(531)에 이른다.
그리고, 원액 도입 통로(531)의 가압 증기[우유 원액과 함께 역지 밸브 구성부(30)로부터 공급된 가압 증기]는, 제1 증기 공급관(12)을 통하여 믹싱부(50)에 공급되는 가압 증기나 공기 공급관(41)을 통하여 믹싱부(5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와 혼합되어 통로 상에 부착되는 우유와 함께 포밍부(60)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밍부(60)를 통과한 가압 증기 등은, 노즐부(70)의 노즐실(711)에서 체류하는 거품과 함께 우유를 흘려, 토출구(715)로부터 컵(C)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역지 밸브 구성부(30)로부터 노즐부(70)의 토출구(715)에 이르는 각 부위에 남은 우유도 컵(C)에 공급할 수 있어, 이들 경로 상의 청소를 행할 수 있다.
그 후에 제어 수단에 의해 제1 증기 공급 밸브(14) 및 제2 증기 공급 밸브(15)가 폐쇄됨과 동시에, 에어 펌프(42)가 구동 정지됨으로써, 우유의 공급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믹싱부(50)에 있어서, 우유 원액과 가압 증기와 압축 공기를 혼합시켜 거품이 일게 한 우유 음료로서 컵(C)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음료 용기에 가압 증기 및 압축 공기를 공급시켜 우유를 교반하여 거품이 일게 하는 것에 비하여, 컵(C)의 주변에 우유 등이 비산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따라서, 위생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거품이 일게 한 상태로 우유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믹싱부(50)에서 혼합된 우유 음료를, 포밍부(60)에서 음료 도입 통로(611)의 굴곡 부위(611a)의 통로 벽면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상기 우유 음료의 거품 발생량을 증대시키고 있기 때문에, 거품이 더 일어나게 한 우유 음료를 컵(C)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노즐부(70)의 음료 안내부(72)에서는, 평판형 부재(721)들이 토출구(715)에 근접함에 따라 서로의 간격이 작아지도록 병설되어 있고, 이들 평판형 부재(721) 사이로 우유 음료를 통과시키기 때문에, 큰 거품을 파열시키거나 체류시키거나 하여, 토출구(715)로부터 토출되어 컵(C)에 공급되는 우유 음료의 거품 발생 크기를 소직경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다공판의 작은 구멍으로 우유 음료를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컵(C)에 대한 우유 음료의 공급 시간의 장기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유 음료의 공급 시간의 장기화를 억제하면서, 거품이 일게 한 상태의 우유 음료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노즐부(70)에 송출된 우유 음료를 노즐실(711)에서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토출구(715)로부터 토출시키기 때문에, 원액 공급부(20)에서 이용되는 튜브 펌프(23)의 특성에 의해, 토출구(715)로부터 토출되는 우유 음료가 맥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노즐실(711)에 음료 안내부(7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노즐실(711)의 내부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노즐부(70)로 이송되어 온 가압 증기를 조기에 결로시켜, 노즐실(711)에 잔류하는 우유 음료와 함께 토출구(715)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어, 상기 우유 음료를 양호하게 씻어 내릴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BIB(21)의 튜브(22)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플러그(24)는, 소켓(27)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튜브(22)의 소정 부위를 사이에 끼워 폐색하는 폐색 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소켓(27)과 연결되는 경우, 튜브(22)의 소정 부위를 개방하는 개방 자세가 되어 상기 튜브(22)를 통하여 BIB(21)와 원액 공급관(26)을 연통시키기 때문에, 상기 튜브(22)의 선단부에 손이 닿아 잡균 등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더구나 배관 등에 튜브(22)를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BIB(21)에 접속된 튜브(22)를, 유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에 용이하게 접속시킴과 동시에, 위생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역지 밸브 구성부(30)의 볼 가이드(35)에는, 제1 개구(351)를 폐색하여 원액 유입구(313)를 폐색하는 상태의 볼 밸브(36)에 대하여, 상기 볼 밸브(36)의 정중앙면(38)보다 제2 개구(352)측의 표면을 향하는 개소에 분출 구멍(35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 밸브(36)가 원액 유입구(313)를 폐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볼 밸브(36)나 그 주변에 부착된 우유 원액을 씻어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역지 밸브 구성부(30)의 위생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 및 이 유음료 공급 장치가 적용된 음료 디스펜서(1)는, 전술한 작용 효과 외에,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압축된 공기를 에어 펌프(42)로 믹싱부(50)에 공급하여 우유 원액이나 가압 증기와 혼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에어 펌프(42)의 회전수 등을 변경하여 공기 공급부(40)로부터의 믹싱부(50)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량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상기 믹싱부(50)에서의 우유 음료의 거품 발생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증기 공급부(10)로부터 믹싱부(50)로의 가압 증기의 공급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공기 공급부(40)로부터 믹싱부(50)로의 압축 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BIB(21)에 수납된 우유 원액을 컵(C)에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유음료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음료 디스펜서(1)에 의하면, 보랭고(2)가 후면 도어(3)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음료 디스펜서(1)를 점포에 설치한 경우, 점포의 종업원은 음료 디스펜서(1)의 정면에 가지 않아도 후면 도어(3)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용이하게 BIB(21)의 교환 등을 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음료 디스펜서(1)를 점포의 카운터 상에 설치할 수 있고, 종업원에 의한 BIB(21)의 교환 작업도 행하기 쉬워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음료의 일례로서 우유를 이용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유 등의 유음료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포밍부(60)에 있어서 음료 도입 통로(611)의 일부를 굴곡시키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축 공기를 포함하는 가열된 유음료를 통로 벽면에 접촉시켜 거품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형태에서는 특별히 이용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역지 밸브 구성부(30')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세정용 소켓(27')을 역지 밸브 본체(30a)에 수용시켜도 좋다. 이 도 22에 나타내는 세정용 소켓(27')은, 전술한 소켓(27)에 비하여, 역지 밸브 본체(30a)의 원통부(312)를 외부로부터 덮어 수납하는 원통 수납부(273')를 원액 안내부(273) 대신에 형성한 것이 상이하다. 이러한 세정용 소켓(27')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켓(27)을 장착한 상태에서 세정하기 어려운 부분도 양호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믹싱부 및 포밍부를 이용해도 좋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믹싱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3은 사시도이고, 도 24는 단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유음료 공급 장치의 포밍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5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단면도이다.
믹싱부(90)는, 제1 증기 공급관(12), 원액 공급관(26) 및 공기 공급관(41)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음료 송출관(80)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믹싱부(90)는, 증기 도입부(91), 혼합부(92), 음료 믹싱부(93), 공기 도입부(94) 및 원액 도입부(95)를 갖고 있다.
증기 도입부(91)는, 상기 제1 증기 공급관(12)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믹싱부(90)의 가장 하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증기 도입부(91)는, 증기 도입 통로(911)를 갖고 있다. 증기 도입 통로(911)는, 증기 도입구(912)를 통하여 제1 증기 공급관(12)에 연통하고 있다.
혼합부(92)는, 증기 도입부(91)보다 상방측에 형성되어 있고, 혼합 통로(921)를 갖고 있다. 이 혼합 통로(921)는, 오리피스부(96)를 통하여 증기 도입 통로(911)에 연통하고 있다.
음료 믹싱부(93)는, 상기 음료 송출관(80)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혼합부(92)보다 상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음료 믹싱부(93)는, 믹싱 통로(931)를 갖고 있다. 믹싱 통로(931)는, 역지 밸브부(97)를 통하여 혼합 통로(921)에 연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음료 송출구(932)를 통하여 음료 송출관(80)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역지 밸브부(97)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항하는 흐름, 즉 혼합 통로(921)로부터 믹싱 통로(931)를 항하는 흐름이 순방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혼합 통로(921)로부터 믹싱 통로(931)로의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믹싱 통로(931)로부터 혼합 통로(921)로의 유체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공기 도입부(94)는, 상기 공기 공급관(41)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공기 도입 통로(941)를 갖고 있다. 이 공기 도입 통로(941)는, 일단이 공기 도입구(942)를 통하여 공기 공급관(41)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공기 도입 통로(941)는, 타단이 혼합 통로(921)에 연통하고 있다.
원액 도입부(95)는, 상기 원액 공급관(26)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원액 도입 통로(951)를 갖고 있다. 이 원액 도입 통로(951)는, 일단이 원액 도입구(952)를 통하여 원액 공급관(26)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원액 도입 통로(951)는, 타단이 믹싱 통로(931)에 연통하고 있다. 즉, 원액 도입부(95)는, 역지 밸브부(97)보다 상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믹싱부(90)에 있어서는, 증기 도입 통로(911), 혼합 통로(921) 및 믹싱 통로(931)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로가 구성되어 있고, 그 경로의 도중에 역지 밸브부(9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 도입 통로(911)를 통과한 가압 증기가 오리피스부(96)를 통과함으로써 감압되어 유속이 증대된 상태로 혼합 통로(921)를 통과하고, 이러한 혼합 통로(921)를 통과 중에 공기 도입 통로(941)로부터 진입한 압축 공기와 혼합된다. 그리고, 가압 증기는, 압축 공기와 함께 역지 밸브부(97)를 통과하여 믹싱 통로(931)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하여 믹싱 통로(931)를 통과하는 가압 증기 및 압축 공기는, 원액 도입 통로(951)로부터 진입한 우유 원액과 혼합된다. 이에 따라, 믹싱 통로(931)에 있어서, 약간 거품이 일게 되어 가열된 우유 음료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믹싱부(90)에서 생성된 우유 음료는, 음료 송출관(80)에 송출된다.
즉, 믹싱부(90)에 있어서는, 상기 경로에 있어서의 역지 밸브부(97)의 상방측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부(97)를 통과한 가압 증기 및 압축 공기와, 원액 공급부(20)를 통하여 공급된 우유 원액을 혼합시키고 있다.
이러한 믹싱부(90)에 의하면, 원액 공급부(20)를 통하여 우유 원료 대신에 세정액이 공급된 경우, 원액 도입 통로(951)에 유입된 세정액을 역지 밸브부(97)에 채우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역지 밸브부(97)를 양호하게 세정할 수 있다.
포밍부(60')는, 음료 송출관(80)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노즐부(7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포밍부(60')는, 음료 도입부(61')와 음료 도출부(62')를 갖고 있다.
음료 도입부(61')는, 상기 음료 송출관(80)과 접속되는 부위이고, 음료 도입 통로(611')를 갖고 있다. 이 음료 도입 통로(611')는, 음료 도입구(612')를 통하여 음료 송출관(80)에 연통하고 있다. 이 음료 도입 통로(611')는, 그 도중에서 굴곡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굴곡 부위(611a')의 상류측의 음료 도입 통로(611')와 하류측의 음료 도입 통로(611')가 이루는 각도(α)는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도출부(62')는, 노즐부(70)와 접속되는 부위이고, 음료 도출 통로(621')를 갖고 있다. 이 음료 도출 통로(621')는, 음료 도출구(622')를 통하여 노즐부(70)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음료 도출 통로(621')는, 음료 도입 통로(611')와 연통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 도출 통로(621')는, 음료 도출구(622')에 근접하는 하단 부분(621a')이 상단 부분(621b')에 비하여 소직경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포밍부(60')에 있어서는, 음료 도입 통로(611')를 통과하는 우유 음료가 상기 음료 도입 통로(611')의 굴곡 부위(611a')에서 유로 변경되고, 상기 굴곡 부위(611a')에 있어서의 통로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우유 음료의 거품 발생량이 증대되어 거품이 일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거품이 일게 된 우유 음료는, 음료 도출 통로(621')를 통과하여 노즐부(70)에 송출된다.
이러한 포밍부(60')에 의하면, 우유 음료의 거품 발생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음료 도출 통로(621')의 하단 부분(621a')이 상단 부분(621b')보다 소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한 거품을 생성시킬 수 있다.
10: 증기 공급부(증기 공급 수단), 20: 원액 공급부(원액 공급 수단), 21: 백·인·박스, 22: 튜브, 23: 튜브 펌프, 24: 플러그, 27: 소켓, 30: 역지 밸브 구성부, 30a: 역지 밸브 본체, 31: 소켓 수용부, 32: 증기 유입부, 33: 원액 유출부, 34: 밸브체 수용부, 35: 볼 가이드, 36: 볼 밸브, 40: 공기 공급부(공기 공급 수단), 50: 믹싱부, 60: 포밍부, 70: 노즐부, 70a: 노즐 본체, 711: 노즐실, 712: 토출 통로, 713: 방출 통로, 714: 토출 연락구, 715: 토출구, 716: 방출 연락구, 717: 방출구, 72: 음료 안내부, 721: 평판형 부재, C: 컵(음료 용기)

Claims (6)

  1. 음료 용기에 대하여 음료를 제공하는 음료 디스펜서에 적용되며, 또한 상기 음료 용기에 유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유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원액 공급 수단을 통하여 원액 수납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음료 원액과, 증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가압 증기와, 공기 공급 수단을 통하여, 압축된 상태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혼합시켜 유음료로서 상기 음료 용기에 공급하는 믹싱부
    를 구비하고,
    상기 믹싱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경로와,
    상기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역지 밸브부
    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에 있어서의 상기 역지 밸브부의 상방측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부를 통과한 상기 가압 증기 및 상기 압축 공기와, 상기 원액 공급 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유음료 원액을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음료의 통로를 구성하는 벽면에 상기 유음료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유음료의 거품 발생량을 증대시키는 포밍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음료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유음료의 통로의 일부를 굴곡시킴으로써 상기 유음료를 굴곡 부위에 있어서의 통로의 벽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음료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액 수납부는, 유음료 원액을 봉입한 주머니형 용기를 상자형 용기에 수용한 백·인·박스(bag-in-bo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음료 공급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7021559A 2015-03-03 2016-01-12 유음료 공급 장치 KR102503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41672 2015-03-03
JPJP-P-2015-041672 2015-03-03
PCT/JP2016/050644 WO2016139969A1 (ja) 2015-03-03 2016-01-12 乳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83A KR20170122183A (ko) 2017-11-03
KR102503530B1 true KR102503530B1 (ko) 2023-02-23

Family

ID=5684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559A KR102503530B1 (ko) 2015-03-03 2016-01-12 유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63859B2 (ko)
JP (1) JP6455591B2 (ko)
KR (1) KR102503530B1 (ko)
CN (1) CN107207236B (ko)
WO (1) WO2016139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0480B2 (ja) * 2018-02-06 2023-01-10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CN110448171B (zh) * 2019-09-18 2021-11-02 兰云科技(广州)有限责任公司 均化装置以及包含其的奶盖机
KR20220038119A (ko) * 2019-12-27 2022-03-25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71A (ja) * 2002-06-18 2004-04-02 Roland B Eckenhausen 乳飲料ディスペンサ、熱い乳飲料を計量分配するための方法、そして乳飲料のための使い捨て容器
JP2006289096A (ja) 2005-04-13 2006-10-26 Nestec Sa 泡立った液体を作るための交換ノズル
US20150020691A1 (en) 2012-01-24 2015-01-22 Bunn-O-Matic Corporation Milk heating and dispensing and flavor dispens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3366A (en) 1975-04-17 1976-10-28 Unitika Ltd Preetreatment oven for cotton or cotton mix textile fabric
DE3045383C2 (de) * 1980-12-02 1985-05-23 Deutsche Texaco Ag, 2000 Hamburg Vorrichtung zum Vermischen eines Konzentrats mit Wasser
DK1872698T3 (da) * 2002-07-09 2010-06-21 Coca Cola Co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skummet eller dampet mælk
US7550169B2 (en) * 2003-07-08 2009-06-23 The Coca-Cola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ed and steamed milk from milk concentrate
US6810795B1 (en) * 2003-11-18 2004-11-02 Lundar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lk foam delivery pipe for an espresso coffee maker
ATE381898T1 (de) 2005-10-21 2008-01-15 Gruppo Cimbali Spa Verfahren zum aufwärmen und schäumen von milch und vorrichtung um dieses verfahren auszuführen
DE102006014814A1 (de) * 2006-03-29 2007-10-18 Carbotek Holding Gmbh Poröser Festkörperimprägnierer
ITFI20060263A1 (it) * 2006-10-27 2008-04-28 Saeco Ipr Ltd Dispositivo emulsionatore per la produzione di latte schiumato e simili e relativo metodo
EP1932457A1 (en) * 2006-12-11 2008-06-18 Nestec S.A.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frothed liquid from soluble ingredients and diluent
EP2133010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JP5853020B2 (ja) * 2010-07-08 2016-02-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ミルク泡立てシステム
EP2636343B1 (de) * 2012-03-06 2014-06-18 Delica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ilchschaum und/oder erwärmter Milch
JP6620429B2 (ja) * 2015-06-02 2019-12-18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171A (ja) * 2002-06-18 2004-04-02 Roland B Eckenhausen 乳飲料ディスペンサ、熱い乳飲料を計量分配するための方法、そして乳飲料のための使い捨て容器
JP2006289096A (ja) 2005-04-13 2006-10-26 Nestec Sa 泡立った液体を作るための交換ノズル
US20150020691A1 (en) 2012-01-24 2015-01-22 Bunn-O-Matic Corporation Milk heating and dispensing and flavor dispens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63859B2 (en) 2020-12-15
WO2016139969A1 (ja) 2016-09-09
JPWO2016139969A1 (ja) 2017-12-14
KR20170122183A (ko) 2017-11-03
US20170325624A1 (en) 2017-11-16
CN107207236A (zh) 2017-09-26
CN107207236B (zh) 2019-04-26
JP6455591B2 (ja) 201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3773B2 (en) Unit, device and system for preparing beverage consumptions
KR102458026B1 (ko) 밀크 함유 음료 주출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음료 디스펜서
KR101302456B1 (ko) 소비에 적합한 소정의 양의 음료를 준비하는 시스템 및 교환가능한 홀더
KR102444989B1 (ko) 혼합 챔버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
CA2431180C (en) Hot dairy-based beverage dispenser
JP5355624B2 (ja) 液体及び希釈剤により混合物を形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装置
RU26912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пенивания молока
JP5422391B2 (ja) 可溶性原料および希釈剤から発泡液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RU2691298C2 (ru) Вспениватель молока, систем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и машин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KR102503530B1 (ko) 유음료 공급 장치
US6183800B1 (en) Method for preparing frothed milk or café crème
KR20040010693A (ko) 식음에 적합한 거품 음료를 조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542145A (ja) 飲料メーカーで使用するためのポンプ・ユニットと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
JP6455233B2 (ja) 飲料供給装置
JP2017528275A5 (ko)
JP6543963B2 (ja) 飲料供給装置
CN201243958Y (zh) 自动吸牛奶发泡器
KR20150117784A (ko) 액상 세정제 송급장치
JP2016526419A (ja) 飲料を製造するための混合チャンバ
CN110022730B (zh) 具有文丘里效应的乳品乳化设备及使用该设备制备含和不含泡沫的热乳品的方法
JP2022553673A (ja) 液状食品用保管容器のための冷却装置
JP6520223B2 (ja) 乳飲料供給装置
US20130341356A1 (en) Grit and foam dispenser
KR200470971Y1 (ko) 개방형 생맥주 인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