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513B1 -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513B1
KR102503513B1 KR1020197005729A KR20197005729A KR102503513B1 KR 102503513 B1 KR102503513 B1 KR 102503513B1 KR 1020197005729 A KR1020197005729 A KR 1020197005729A KR 20197005729 A KR20197005729 A KR 20197005729A KR 102503513 B1 KR102503513 B1 KR 102503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ow path
section
dye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731A (ko
Inventor
마사시 다카하시
도루 시미즈
다케시 혼마
히데오 쓰카자키
세이지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사카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3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D06B23/205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for adding or mixing constituen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30Workflow diagrams or layout of plants, e.g. flow charts; Details of workflow diagrams or layout of plants, e.g.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는, 분체상이면서 포백을 처리하는 처리제가 일단으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순환하는 순환 계통에 타단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유로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상기 유로 내에 이 유로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본 발명은, 포백을 처리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에, 포백 처리용 처리제를 공급하기 위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백을 처리하기 위한 포백 처리 장치에 하나로서,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순환시켜 포백을 처리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종래부터, 이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에 대하여, 포백 처리용 처리제를 공급하기 위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특허문헌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제 용해 장치(9100)는,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순환하는 순환 계통(9130)을 포함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9000)에 접속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처리제 용해 장치(9100)는, 처리제 W가 투입되는 투입구(9110)가 형성된 공급조(9120)를 구비하고, 이 공급조(9120)는 순환 계통(9130)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공급조(9120)는 투입구(9110)로부터 처리제 W가 투입됨으로써, 순환 계통(9130)을 순환하는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대하여 처리제 W를 공급한다.
일본공개특허 평7-102466호 공보
그런데, 처리제 W의 사용량은, 처리의 대상으로 되는 포백의 양이나 염색에 사용하는 액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결정된 양보다 적은 양으로 포백이 처리되면, 적정하게 포백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미리 계량된 처리제 W를 손실하지 않고, 처리제 W의 거의 전량이,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9000)를 순환하는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되는 것이 요망되거나, 또한, 처리제 W가 액체에 확실하게 분산 또는 용해되는 것도 요망된다.
그런데, 처리제 용해 장치(9100)에서는, 공급조(9120)는 순환 계통(9130)을 구성하는 배관(9140)의 상부에 직접 고정되어 있고, 처리제 W는 배관(9140)보다 상방에 위치한 투입구(9110)로부터, 순환하는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 중에 그대로 투입됨으로써, 처리제 W의 자중에 의해,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혼합된다. 이 경우, 처리제 용해 장치(9100)에서는, 처리제 W를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대하여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시키는 기구(機構)가 없기 때문에, 처리제 W가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되지 않고, 분산 또는 용해되어 있지 않은 처리제가 직접 포백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이, 처리 불균일이나 포백의 오염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처리제를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는, 분체상(粉體狀)이면서 포백을 처리하는 처리제가 일단(一端)으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순환하는 순환 계통에 타단(他端)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유로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상기 유로 내에 이 유로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제1 구간 및 이 제1 구간보다 상기 일단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가지고, 상기 제1 구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구간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 구간을 향하여,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분사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타단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을 가지고, 상기 제3 구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구간의 유로 단면적보다 커도 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로를 구획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고,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상기 내주면을 따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내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공급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로를 구획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분사해도 된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내주면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위치로부터,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분사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로의 상기 타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제1 분산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유로의 유통 방향으로 상기 제1 분산 부재와 겹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제2 분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분산 부재는, 이 제2 분산 부재의 복수의 개구와 상기 제1 분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는, 상기 처리제 용해 장치와, 상기 유로의 상기 일단을 향하여, 분체상 처리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와,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순환시켜, 포백을 처리하고 또한, 상기 유로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공급되는 순환 계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처리제 용해 장치를 구비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다.
[도 2]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처리제 용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처리제 용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처리제 용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종래의 처리제 용해 장치를 구비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다.
[도 6] 종래의 처리제 용해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제를 순환 계통에 공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100)(이하, 단지 「처리 장치(100)」라고 함) 및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처리제 용해 장치(1) (이하, 단지 「용해 장치(1)」라고 함)에 대하여,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포백은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의해 처리된다.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는, 포백 처리용 처리제(포백을 처리하는 처리제)가 혼합된 상태의 액체를 포함한다. 또한,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는, 처리제가 미혼합 상태의 액체 등도 포함한다.
포백 처리용 처리제는 염색용의 염료이다. 이 처리제는 필요에 따라 포백에 대한 염색을 촉진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예를 들면, 망초(황산나트륨), 방염 가공용 처리제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처리제는 분체상 처리제이다.
처리 장치(100)는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이하, 단지 「액체」라고 함)가 순환하면서 또한 포백을 처리하는 순환 계통(10)과, 분체상 처리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11)와, 공급 부재(11)로부터 처리제가 공급되고 또한 액체를 순환 계통(10)에 공급하는 용해 장치(1)를 구비한다.
순환 계통(10)은, 포백을 처리하는 체류조(101)과, 체류조(101)와 함께 액체의 순환 계통(10)을 구성하는 이송관(102)과, 액체를 체류조(101) 및 이송관(102)의 사이에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103)를 구비한다.
체류조(101)는, 포백을 처리하는 영역으로 되는 본체부(1011)와, 액체를 본체부(1011)에 도입하는 입구부(1012)과, 본체부(1011)로부터 유출하는 액체를 이송관(102)에 송출하는 출구부(1013)를 갖는다.
이송관(102)은, 체류조(101)의 출구부(1013)와 순환 펌프(103)의 흡입부(1031)를 연결하는 제1 이송관(1021)과, 순환 펌프(103)의 토출부(1032) 및 체류조(101)의 입구부(1012)를 연결하는 제2 이송관(1022)을 갖는다. 액체는 순환 펌프(103)에 의해 승압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이송관(1022) 내의 압력은 제1 이송관(1021) 내의 압력보다 높아지고 있다. 액체는, 순환 펌프(103)의 토출부(1032)로부터 토출되어 입구부(1012)를 통하여 체류조(101)에 되돌아간 후, 포백을 처리하면서 체류조(101)의 출구부(1013) 및 제1 이송관(1021)을 경유하여, 순환 펌프(103)의 흡입부(103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처리 장치(100)에서는 액체가 순환하고 있다.
순환 펌프(103)는,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부(1031)와, 액체를 송출하는 토출부(1032)를 갖는다. 순환 계통(10)으로부터는 이송관(104, 105)이 분기되어 있다. 이송관(104, 105)은 이송관(106)에서 합류한다. 이송관(106) 및 이송관(106)으로부터 분기된 이송관(107)은, 용해 장치(1)의 상류 측에 접속되어 있고, 이송관(106, 107)으로부터 용해 장치(1)에 액체가 공급된다. 또한, 순환 계통(10)으로부터는, 이송관(108)이 분기되어 있다. 이송관(108)은 용해 장치(1)의 하류 측에 접속되어 있고, 용해 장치(1)로부터 이송관(108)을 통하여 순환 계통(10)에 액체가 공급된다.
공급 부재(11)는, 일단으로부터 공급된 처리제를 저류(貯留)하고, 또한 타단으로부터 용해 장치(1)에 상기 저류되어 있는 처리제를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의 공급 부재(11)는 이른바 호퍼다. 이와 같은 호퍼의 타단부는 예를 들면 타단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원통형이다.
용해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2)를 획정하는 내주면(3)을 가지는 본체(4)와, 액체를 유로(2) 내에 분사하는 분사부(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본체(4)는, 액체에 처리제를 분산 또는 용해시키는 용해부(40)와, 공급 부재(11)와 용해부(40)를 연결하는 연결부(41)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본체(4)에 있어서의 용해부(40) 및 연결부(41)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1)의 일단 410(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상단)에는 공급 부재(11)가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용해 장치(1)는, 액체를 내주면(3)을 따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7)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해 장치(1)는 유로(2)에 접속되고, 유로(2)로부터 밀어내어지는 액체에 대하여 녹고 남은 처리제를 분산시키는 분산부(8)를 구비한다. 이하, 용해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로(2)는 내주면(3)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유로(2)의 형상을 설명하지만, 이 설명에 의해, 이하의 형상의 유로(2)를 획정하는 내주면(3)의 형상을 설명하게 된다.
유로(2)의 일단(20)(도 3에 있어서의 상단)으로부터는, 분체상 처리제가 공급 부재(11)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유로(2)의 타단(21)(도 3에 있어서의 하단)은, 이송관(108)을 통하여 체류조(101)의 본체부(1011)에 접속됨으로써, 순환 계통(10)에 액체를 공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2)의 단면은 예를 들면 원형이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유로(2)의 단면」이란, 유로(2)의 중심축 α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로(2)는 용해부(40)에 있어서, 제1 구간(22), 제1 구간(22)보다 일단(20)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23), 및 제1 구간(22)보다 타단(21)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24)을 갖는다. 용해부(40)에서는, 유로(2)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여, 제2 구간(23)과, 제1 구간(22)과, 제3 구간(24)이 순서대로 위치하고 있다.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은 제2 구간(23)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다. 제3 구간(24)의 유로 단면적은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다. 즉, 일단(20) 측과 타단(21) 측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이, 일단(20)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23) 및 타단(21)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24)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다.
제2 구간(23)은, 일단(20) 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231)과, 일단(20) 측 및 타단(21) 측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영역(232)과, 타단(21) 측에 위치하는 제3 영역(233)을 갖는다. 유로(2)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여, 제1 영역(231)과, 제2 영역(232)과, 제3 영역(233)이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영역(231)의 유로 단면적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작아진다. 즉, 제1 영역(231)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직경이 축소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영역(231)의 경사각[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1 영역(231)을 구획하는 부분과, 유로(2)의 중심축 α에 직교하는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사이의 각도 θ1]은, 분체상 처리제의 안식각보다 크다. 이와 같이, 제1 영역(231)의 경사각이 분체상 처리제의 안식각보다 크기 때문에, 분체상 처리제는 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1 영역(231)을 구획하는 부분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제2 영역(232)의 경사각[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2 영역(232)을 구획하는 부분과, 유로(2)의 중심축 α에 직교하는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사이의 각도 θ2]은, 분체상 처리제의 안식각보다 크다. 그러므로, 제1 영역(231)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분체상 처리제는 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2 영역(232)을 구획하는 부분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그리고, θ2는 분체상 처리제의 안식각보다 크고,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영역(232)에는 유로(2) 내에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영역(233)의 유로 단면적은 타단(21)에 접근할수록 작아진다. 즉, 제3 영역(233)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직경이 축소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영역(233)의 경사각[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3 영역(233)을 구획하는 부분과, 유로(2)의 중심축 α에 직교하는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사이의 각도 θ3]은, 분체상 처리제의 안식각보다 크다. 그러므로, 제1 영역(231)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분체상 처리제는 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3 영역(233)을 구획하는 부분을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유로(2)에 있어서, 제2 구간(22)의 유로 단면적은 가장 작아지고 있다.
제3 구간(24)은 일단(20) 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241)과, 타단(21) 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242)을 갖는다.
제1 영역(241)의 유로 단면적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커진다. 즉, 제1 영역(241)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직경이 확대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영역(242)의 유로 단면적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커진다. 즉, 제2 영역(242)은 타단(21) 측에 접근할수록 직경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제2 영역(242)의 경사각[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2 영역(242)을 구획하는 부분과, 유로(2)의 중심축 α에 직교하는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사이의 각도 θ5]은, 제1 영역(241)의 경사각[내주면(3)에 있어서의 제1 영역(241)을 구획하는 부분과, 유로(2)의 중심축 α에 직교하는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사이의 각도 θ4]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의 유로(2)가 이상의 구성이므로, 일단(20)으로부터 공급된 분체상 처리제는 유로(2) 내에 있어서, 수평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분사부(5)는 순환 계통(10) 중 타단(21)이 접속되는 부분보다 상류 부분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5)에는 이송관(106)(도 1 참조)을 통하여, 순환 계통(10)으로부터 액체가 공급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3)으로부터 유로(2) 내에 액체를 분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는 내주면(3)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분사 구멍)로부터, 유로(2) 내에 액체를 분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분사 구멍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의 중심축 α 방향에 있어서, 4개의 분사 구멍의 각각은 유로(2)의 타단(21)과 동등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5)는, 복수의 분사 구멍(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분사 구멍)과 각각 연통하는 복수의 유로(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유로)로 이루어지는 제1 부위(50)와, 제1 부위(50)에 액체를 공급하면서 또한 분배하는 제2 부위(51)를 갖는다.
제1 부위(50)은 본체(4)[본 실시형태에서는, 용해부(40)]를 구성하는 통 부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위(50)를 구성하는 유로의 단면은, 예를 들면 원형이다. 제1 부위(50)를 구성하는 유로는, 분사 구멍으로부터 연통하는 제1 영역(500)과, 제1 영역(500)과 연통하고, 또한 제2 부위(51)와 연통하는 제2 영역(501)을 갖는다. 제1 영역(500)의 유로 단면적은 제2 영역(501)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다. 그러므로, 제1 부위(50)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는 제1 영역(500)을 통과함으로써, 내주면(3)에 힘차게 분사된다. 그리고, 제1 영역(500) 각각의 유로 단면적이 동등하고, 또한 제2 영역(501) 각각의 유로 단면적이 동등하므로, 4개의 분사 구멍으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양은 동등하다.
제2 부위(51)은, 본체(4)[본 실시형태에서는, 용해부(40)]를 구성하는 통 부분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영역(510)과, 제1 영역(510)에 접속되고 또한 본체(4)[본 실시형태에서는, 용해부(40)]를 구성하는 통 부분의 외부에 돌출된 제2 영역(511)을 포함한다. 제1 영역(510)은 유로(2)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영역(510)은 유로(2)의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면 원환형이다.
제2 영역(511)을 유통하는 액체는 제1 영역(510)을 통과한 후, 제1 부위(50)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액체가, 제1 영역(510)에 있어서의 제2 영역(511)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 영역(510) 내를 주위 방향으로 유통한다.
분사부(5)는 순환 계통(10)으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유로(2) 내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분사한다. 분사부(5)의 분사 구멍으로부터의 액체의 분사 방향은, 분사 구멍으로부터 분사된 액체가 원활하게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하방향으로 흐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체가 내주면(3) 중 유로(2)의 중심축 α과의 경사각이 큰 개소(箇所)에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차한 액체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상방향으로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분사부(5)의 분사 구멍으로부터의 액체의 분사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의 분사 구멍으로부터의 액체의 분사 방향은 유로(2)의 중심축 α 상의 일점에서 교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에 의한 분사 방향이 교차하는 개소는 유로(2)의 제1 구간(22)과 제2 구간(23)의 경계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에 의한 액체의 분사 방향 β와, 유로(2)의 중심축 α 사이의 각도는, 4개의 분사 구멍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동등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에 의한 액체의 분사 방향 β와, 유로(2)의 중심축 α 사이의 각도는 45° 이하이고, 예를 들면 40°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에 의한 액체의 분사 방향 β와, 유로(2)의 중심축 α 사이의 각도는, 유로(2)에 있어서의 제2 구간(23)의 제1 영역(231)과, 유로(2)의 중심축 α 사이의 각도보다 크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5)는 유로(2)의 제1 구간(22), 즉, 유로(2)의 유로 단면적이 작은 구간에 액체를 분사한다. 그리고, 유로(2)의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은, 분체상 처리제가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에 대하여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공급부(7)는, 유로(2) 내에 있어서의 단면의 중심[유로(2)의 중심축 α]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유로(2)의 중심축 α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액체 공급부(7)는 내주면(3)을 따라 내주면(3)의 주위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주면(3)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액체를 공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액체 공급부(7)에는 이송관(107)(도 1 참조)을 통하여, 순환 계통(10)으로부터 액체가 공급되고 있다. 액체의 공급은 임의의 기간에 실시된다. 또한, 액체의 공급은 포백의 처치를 행하지 않는 기간, 예를 들면 가마 세척 등의 기간에도 실시된다.
분산부(8)는 유로(2)의 타단(21)으로부터 밀어내어지는 액체에 녹고 남은 처리제를 분산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산부(8)는 원통형의 고정부(80)와, 제1 분산 부재(81)와, 제2 분산 부재(82)를 갖는다. 제1 분산 부재, 제2 분산 부재(81)는 각각, 액체에 녹고 남은 처리제를 분산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80)의 내측에 본체(4)의 타단(40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분산 부재(81)는 유로(2)의 타단(21)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분산 부재(81)는 복수의 개구(810)를 가지는 원판형이다. 제2 분산 부재(82)는 유로(2)의 유통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종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향)으로 제1 분산 부재(81)와 겹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2 분산 부재(82)는 복수의 개구(820)를 가지는 원판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분산 부재(82)는, 제2 분산 부재(82)에 있어서의 복수의 개구(820)와 제1 분산 부재(81)에 있어서의 복수의 개구(810)가 겹치지 않도록[개구(810)의 중심축과 개구(820)의 중심축이 벗어남]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산 부재, 제2 분산 부재(81, 82)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있으나, 개구(810)의 일부가 개구(820)와 겹쳐 있으면, 제1 분산 부재, 제2 분산 부재(81, 82)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즉, 제1 분산 부재, 제2 분산 부재(81, 82)가 밀착하고 있어도], 분산부(8)에 액체를 유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구(810)의 전부가 개구(820)의 전부와 겹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분산 부재, 제2 분산 부재(81, 82) 사이에 공간을 존재시킴으로써, 분산부(8)에 액체를 유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는 고정부(80) 및 본체(4)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는 고정부(80) 및 본체(4)에 협지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산 부재(81)의 개구(810)에 의해, 액체를 분산부(8)에 유통시키면 분산부(8)로 난류가 발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산 부재(81)의 개구(810) 및 제2 분산 부재(82)의 개구(820)가 겹치지 않도록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가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처리 장치(100)에서는 액체가 다음과 같이 이동한다. 먼저, 공급 부재(11)에 의해, 분체상 처리제가 용해 장치(1)의 유로(2)의 일단(20)으로부터 공급된다. 용해 장치(1)에서는, 분사부(5)로부터 분사된 액체에 의한 이젝터 효과에 의해 부압이 생기므로, 상기 처리제는 유로(2)의 타단(21) 측으로 흡입되고, 액체와 혼합된다. 처리제가 혼합된 상태의 액체는, 유로(2)의 타단(21)으로 밀어내어져, 분산부(8)로 이동한다. 분산부(8)에 있어서, 액체에 녹고 남은 처리제는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의 개구 이외의 부분으로의 접촉, 및 분산부(8)에서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된다. 분산부(8)를 통과한 액체는 이송관(108)(도 1 참조)을 통하여, 체류조(101)의 본체부(1011)에 공급된 후, 또한 체류조(101)의 출구부(1013)로부터 순환 펌프(103)에 흡입되어, 순환 계통(10)을 순환한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용해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구성의 용해 장치(1)에서는, 내주면(3)에 둘러싸인 공간[유로(2)] 내에 있어서,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이젝터 효과에 의한 부압이 생기고, 상기 공간에 공급된 분체상 처리제는 유로(2)의 타단(21)으로 흡입되어,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게다가, 분사되는 액체가, 유로(2)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가짐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분산 또는 용해된 액체가 타단(21)으로부터 밀어내어진다. 그러므로, 분사된 액체가 향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구간(22)]에, 공급된 분체상 처리제가 차례차례로 도달하고, 이 위치에서 분산 또는 용해가 순차 행해짐으로써, 처리제가 효율적으로 분산 또는 용해된다.
용해 장치(1)에서는, 액체가 유로 단면적이 작은 제1 구간(22)을 향하여 분사됨으로써, 이젝터 효과가 높아지기 때문에, 분체상 처리제는 유로(2)의 타단(21)에 흡입되어 액체에 더 분산 또는 용해된다. 게다가, 액체가 유로 단면적이 작은 제1 구간(22)을 향하여 분사됨으로써, 유로 단면적이 큰 제2 구간(23)을 향하여 분사되는 경우보다 처리제와 접촉하기 쉽다. 이에 의해, 처리제와 상기 액체가 보다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용해 장치(1)에서는, 분사된 액체가 제1 구간(22)에서 교차함으로써, 이 교차하는 개소보다 상부에서 이젝터 효과에 의한 부압이 생기기 쉽다. 이에 의해, 공급 부재(11)로부터 처리제가 효율적으로 낙하하므로, 액체에 처리제를 효율적으로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게다가, 용해 장치(1)에서는, 일단(20) 측과 타단(21) 측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구간(22)의 단면적이 제1 구간(22)보다 일단(20)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23), 및 제1 구간(22)보다 타단(21)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24)의 단면적보다 작다. 그러므로, 일단(20)으로부터 공급된 처리제가 타단(21) 측에 흡입되기 쉽다. 이에 의해, 처리제와 액체가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용해 장치(1)에서는, 액체 공급부(7)가 액체를 내주면(3)에 따라 흐르게 한다. 이에 의해, 처리제의 내주면(3)으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되기 어려운 용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처리제의 내주면(3)으로의 부착의 진행에 기인하는 유로(2)의 폐쇄도 방지할 수 있다.
용해 장치(1)에서는, 액체 공급부(7)가 내주면(3)의 주위 방향으로 액체를 공급한다. 그러므로, 이 액체는, 내주면(3)의 주위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또한 중력에 의해 낙하하므로, 전체로서 나선형으로 이동하면서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여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내주면(3)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넓은 범위로의 처리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오염되기 어려운 용해 장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처리제의 내주면(3)으로의 부착의 진행에 기인하는 유로(2)의 폐쇄도 방지할 수 있다.
용해 장치(1)에서는, 분사부(5)가 유로(2) 내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분사부(5)가 분체상 처리제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용해 장치(1)에서는, 분사부(5)가, 내주면(3)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위치로부터 유로(2) 내에 액체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액체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처리제에 분사되므로, 처리제와 액체가 혼합되기 용이해지고,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용해 장치(1)에서는, 처리제가 녹고 남아도 제1 분산 부재(81)에 접촉함으로써, 이 충격에 의해 분쇄되거나, 또는, 처리제의 이동 방향이 변화되어 유로(2) 내에서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된다. 그러므로, 처리제와 액체가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용해 장치(1)에서는, 처리제가 녹고 남아도 제2 분산 부재(82)에 더 접촉함으로써, 이 충격에 의해 분쇄되거나, 또는, 처리제의 이동 방향이 변화되어 유로(2) 내에서 액체에 분산 또는 용해된다. 그러므로, 처리제와 액체가 더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용해 장치(1)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100)는, 용해 장치(1)와, 유로(2)의 일단(20)을 향하여 분체상의 처리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11)과, 유로(2)의 타단(21)으로부터 처리제를 분산 또는 용해시킨 액체가 공급되는 순환 계통(10)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내주면(3)에 둘러싸인 공간[유로(2)] 내에 있어서, 이 공간에 공급되고 있는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이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게다가, 분사되는 액체가 유로(2)의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으로의 속도 성분을 가짐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분산 또는 용해된 액체가 타단(21)으로부터 밀어내지어지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제가 효율적으로 분산 또는 용해된다.
분사부(5)에 있어서의 4개의 분사 위치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또한 유로(2)의 중심축 α 방향에 있어서, 4개의 분사 구멍의 각각은, 유로(2)의 타단(21)과 동등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사부(5)에 의한 액체의 분사 방향 β와, 유로(2)의 중심축 α 사이의 각도는, 4개의 분사 위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동등하다. 이에 의해,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분사되는 기세나 분사되는 양이 각각 동등해지기 때문에, 처리제를 치우침없이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처리제 용해 장치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구성 중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용해 장치(1001)는 유로(1002)을 획정하는 내주면(1003)을 가지는 본체(1004)와, 분사부(1005)와, 액체 공급부(7)와, 분산부(8)를 포함한다. 본체(1004)는 액체에 처리제가 분산 또는 용해되는 분산 또는 용해부(1040)와, 공급 부재(11)와 분산 또는 용해부(1040)를 연결하는 연결부(1041)를 갖는다.
유로(1002)는 제1 구간(1024), 제1 구간(1024)보다 일단(1020)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1025), 및 제1 구간(1024)보다 타단(1023)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1026)을 갖는다. 유로(1002)에 있어서, 제1 구간(1024)의 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1005)는, 유로(1002)의 중심축 α를 통과하는 하나의 위치(하나의 관통공)로부터, 유로(1002) 내의 일단(1020)으로부터 타단(1023)을 향하는 방향으로 액체를 분사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1005)에 의한 액체의 분사 방향은, 분체상 처리제가 흐르는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관통공은 유로(1002)의 중심축 α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분사부(1005)는, 하나의 분사 구멍과 연통하고 또한 단면이 원형인 제1 부위(1050)와, 제1 부위(1050)와 연통하고 또한 단면이 원형인 제2 부위(1051)와, 제2 부위(1051)와 연통하고 또한 순환 계통(10)과 접속되어 액체를 공급하는 제3 부위(105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부위(1050) 및 제2 부위(1051)는 유로(100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부위(1052)는 원통형이다. 제3 부위(1052)는 제1 영역(1520)과, 제1 영역(1520)과 접속되어 본체(1004)를 구성하는 통 부분의 외부로 돌출된 제2 영역(1521)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영역(1520)은 본체(1004)[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10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영역(1520)은 제2 부위(1051)를 둘러싸는 제2 통부(1053)와 접속되고 있다. 그리고, 제2 통부(1053)에는, 제1 부위(1050)을 둘러싸는 제1 통부(1054)가 접속되고 있다.
제2 영역(1521)을 유통하는 액체는 제1 영역(1520)을 통과한 후, 제1 부위(1050)을 통과하고, 유로(1002) 내에 분사된다.
제1 통부(1054)의 내경, 및 유로(1002)에 있어서의 제1 구간(1024)의 유로 단면적은 이젝터 효과가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용해 장치(1001)에 있어서도, 내주면(1003)에 둘러싸인 공간[유로(1002)] 내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공급되고 있는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상기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게다가, 분사되는 액체가 유로(1002)의 일단(1020)으로부터 타단(1023)으로의 속도 성분을 가짐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분산 또는 용해된 액체가 타단(1023)으로부터 밀어내어진다. 그러므로, 액체가 분사되는 위치에, 공급된 분체상 처리제가 차례차례로 도달하고, 이 위치에서 분산 또는 용해가 순차 행해지므로, 처리제가 효율적으로 분산 또는 용해된다.
제2 통부(1053)에 있어서의 유로(1002)의 유통 방향과 반대 방향(도 4에 있어서의 상방향)에 위치하는 면(1055)은, 이 방향으로 볼록하며, 매끄러운 형상이다. 그러므로, 일단(102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체상 처리제가 제2 통부(1053)의 면(1055)에 실렸다고 해도, 미끄러져 떨어지기 쉽다. 이에 의해, 분사부(1005)가 분체상 처리제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용해 장치(1)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에 있어서, 제1 구간(22)보다 타단(21)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24)의 유로 단면적이,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보다 컸으나, 제3 구간(24)의 유로 단면적이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아도 되고,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과 동등해도 된다. 이 경우라도, 분사부(5)로부터 분사된 액체에 의한 이젝터 효과에 의해 부압이 생기므로, 이 처리제는, 유로(2)의 타단(21) 측으로 흡입되어, 액체와 혼합된다. 그러므로, 액체에 처리제를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구간(22)보다 일단(20)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23)의 유로 단면적이 제1 구간(22)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고, 또한 분사부(5)가 액체를 유로 단면적이 작은 제1 구간(22)에 분사하고 있으면, 액체를 유로 단면적이 큰 제2 구간(23)에 분사하는 경우보다, 처리제와 접촉하기 쉽다. 이에 의해, 처리제와 상기 액체가 보다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보다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2)의 유로 단면적이 유로(2)의 중심축 α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균일, 즉, 유로(2)가 원기둥형의 유로였다고 해도, 내주면(3)에 둘러싸인 공간[유로(2)] 내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공급되고 있는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상기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의 단면은 원형이었으나, 타원형, 다각형상 등 기타의 형상이어도 된다. 단면이 타원형이나 다각형상인 경우, 유로의 중심축은 단면의 중심(重心)을 통과하는 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가 직선형이었으나, 일부가 곡선형이어도 되고, 전체적으로 곡선형이어도 된다. 이 경우라도, 유로(2)가 직선형이 아니어도, 내주면(3)에 둘러싸인 공간[유로(2)] 내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공급되고 있는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상기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유로(1002)의 내측에 분사부(1005)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로(1002)의 형상에 대응시켜, 분사부(1005)를 둘러싸는 제1 통부(1054) 및 제2 통부(1053)를 굽혀도 된다. 즉, 유로(1002)의 굽혀진 부분에 배치되는 분사부(1005)를 둘러싸는 통부를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굽혀도 되고, 이 경우라도,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상기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4)에서의 용해부(40)와 연결부(4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체 공급부(7)를 유로(2)의 타단(21)에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용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4)가 각각 개별로 형성된 용해부와 연결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액체 공급부(7)는, 유로(2)를 구획하는 내주면(3)이 유로(2)의 중심축 α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분사부(5)에 있어서, 복수의 분사 구멍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나, 상이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영역(510) 각각의 유로 단면적은 동등하고, 제2 영역(520) 각각의 유로 단면적은 동등하므로, 4개의 분사 위치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양은 동등하였으나, 제1 영역(510)의 유로 단면적이나 제2 영역(520)의 유로 단면적을 불규칙하게 함으로써, 4개의 분사 위치로부터 분사되는 액체의 양을 불규칙하게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사 구멍이 내주면(3)에 위치하고,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사 구멍이 유로(1002)의 중심축 α 부근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분사 구멍이 내주면 및 유로의 중심축 부근의 양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2)의 중심축 α 방향에 있어서, 4개의 분사 구멍의 각각은, 유로(2)의 타단(21)과 동등한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분사부(5)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균일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분사부가, 분사부에 의한 액체의 분사 방향 β와 유로(2)의 중심축 α 사이의 각도를 4개의 분사 구멍에 있어서 상이하게 설계됨으로써, 복수의 분사 구멍에 대하여 액체의 분사 방향의 교차 위치를 일점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단(20)으로부터 공급된 분체상 처리제는, 유로(2) 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하였으나, 분체상 처리제는, 유로(2) 내를 주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소용돌이치도록 이동하면서) 일단(20)으로부터 타단(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7)에 순환 계통(10)으로부터 액체가 공급되고 있으나, 액체 공급부(7)에 순환 계통(10)과는 상이한 장소(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액체가 공급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액체 공급부(7)에 처리제가 혼합되어 있지 않고, 또한 처리제를 분산 또는 용해 가능한 액체, 예를 들면, 물을 공급해도 된다. 이와 같이, 액체 공급부(7)로부터 내주면(3)에 물을 흐르게 하면, 미리 처리제가 혼합된 액체를 흐르게 하는 것보다도, 내주면(3)에 부착된 처리제를 보다 분산시키거나 또는 용해시키기 쉽고, 처리제의 내주면(3)으로의 부착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7)는 유로(2)의 중심축 α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심축 α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가 별도의 부재였으나, 이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분산 부재 및 제2 분산 부재의 조립 시에, 제1 분산 부재 및 제2 분산 부재에 형성되는 개구의 위치맞춤을 행하지 않고, 용해 장치를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분산부(8)가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라는 2개의 분산 부재를 가지고 있었으나, 하나의 분산 부재를 가져도 되고, 3개 이상의 복수의 분산 부재를 가져도 된다. 이 경우라도, 유로 내에서 습기에 의해 굳어진 처리제가 분산 부재에 접촉하여 분쇄되므로, 처리제와 액체가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개구(810, 820)의 각각은, 제1 분산 부재(81) 및 제2 분산 부재(8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면 원형상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이나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분산 부재 및 제2 분산 부재에 있어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슬릿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분산부(8)가, 제1 분산 부재 및 제2 분산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서로 그물코 부분이 겹칠 일이 없는 네트형의 제1 분산 부재 및 제2 분산 부재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유로 내에서 습기에 의해 굳어진 처리제가 분산 부재에 접촉하여 분쇄되기 때문에, 처리제와 액체가 혼합되기 용이해져, 액체에 처리제를 더 분산 또는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해 장치(1)는 액체 공급부(7), 분산부(8)를 포함하고 있었으나, 이들의 일부 및 전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라도, 내주면(3)에 둘러싸인 공간[유로(2)] 내에 있어서, 이 공간에 공급되고 있는 분체상 처리제에 액체가 힘차게 분사됨으로써, 분체상 처리제가 상기 액체에 충분히 분산 또는 용해된다.
또한, 용해 장치(1)의 본체(4), 액체 공급부(7) 및 분산부(8)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적어도 일부가 별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해 장치(1)가 이송관(104∼108)을 통하여 순환 계통(10)에 접속되었으나, 용해 장치(1)가 순환 계통(10)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이송관(104∼108)이 필요 없으므로, 처리 장치(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1 : 용해 장치
2 : 유로
3 : 내주면
4 : 본체
5 : 분사부
10 : 순환 계통
20 : 일단
21 : 타단
100 : 처리 장치

Claims (10)

  1. 분체상(粉體狀)이면서 포백을 처리하는 처리제가 일단(一端)으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순환하는 순환 계통에 타단(他端)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유로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상기 유로 내로 상기 유로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유로를 구획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제1 구간 및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일단 측에 위치하는 제2 구간을 가지고,
    상기 제1 구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2 구간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제1 구간을 향하여,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1 구간보다 상기 타단 측에 위치하는 제3 구간을 가지고,
    상기 제3 구간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1 구간의 유로 단면적보다 큰,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유로를 구획하는 내주면(內周面)을 가지고,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상기 내주면을 따라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내주면의 주위 방향으로,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공급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내주면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의 위치로부터,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상기 타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제1 분산 부재를 포함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8. 분체상(粉體狀)이면서 포백을 처리하는 처리제가 일단(一端)으로부터 공급되고, 또한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순환하는 순환 계통에 타단(他端)이 접속되도록 구성된 유로를 가지는 본체;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상기 유로 내로 상기 유로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유로의 상기 타단에 설치되고,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제1 분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의 유통 방향으로 상기 제1 분산 부재와 겹쳐,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제2 분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분산 부재는, 상기 제2 분산 부재의 복수의 개구와 상기 제1 분산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개구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9.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처리제 용해 장치;
    상기 유로의 상기 일단을 향하여, 분체상 처리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 및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를 순환시켜, 포백을 처리하고 또한, 상기 유로의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염색에 사용하는 액체가 공급되는 순환 계통
    을 포함하는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10. 삭제
KR1020197005729A 2016-08-29 2016-08-29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KR102503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5179 WO2018042486A1 (ja) 2016-08-29 2016-08-29 液流式布帛処理装置用の処理剤溶解装置、及び、液流式布帛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731A KR20190039731A (ko) 2019-04-15
KR102503513B1 true KR102503513B1 (ko) 2023-02-23

Family

ID=6130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729A KR102503513B1 (ko) 2016-08-29 2016-08-29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43145B2 (ko)
KR (1) KR102503513B1 (ko)
CN (1) CN109661489B (ko)
WO (1) WO2018042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6139A1 (it) * 2021-06-21 2022-12-21 Tecnorama Srl Apparecchiatura per produrre soluzioni coloranti per l'industria tessi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7265A (ja) * 1987-10-05 1989-04-14 Japan Exlan Co Ltd 染液自動調合装置
DE3834598A1 (de) * 1988-07-27 1990-02-01 Kleinewefers Ramisch Gmbh Vorrichtung zum behandeln einer textilware
FR2664506B1 (fr) * 1990-07-13 1993-05-07 Bp Chemicals Snc Procede et dispositif d'introduction d'une poudre dans un reacteur.
JPH07111024B2 (ja) 1993-10-05 1995-11-29 株式会社サカイエルコム 布帛処理機への粉剤直接投入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布帛処理機
JPH0952033A (ja) * 1995-08-12 1997-02-25 Sakai Erukomu:Kk 処理粉剤自動投入装置
TW304210B (ko) * 1995-08-18 1997-05-01 Sakai Elcom Kk
JPH09227838A (ja) * 1996-02-19 1997-09-02 Kishimoto Kosakusho:Kk 元糊自動連続溶解装置
JP2765817B2 (ja) * 1996-02-27 1998-06-18 株式会社日阪製作所 粉体状薬剤の溶解供給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9310270A (ja) * 1996-05-22 1997-12-02 Sakai Erukomu:Kk 処理粉剤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2821108B2 (ja) * 1996-09-26 1998-11-05 株式会社日阪製作所 薬剤溶解供給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薬剤充填容器
IT1307229B1 (it) * 1999-03-31 2001-10-30 Giorgio Pesenti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il trasporto e/o lo scioglimento dipolveri coloranti da dispositivi di dosaggio a dispositivi di
CN2561501Y (zh) * 2002-08-06 2003-07-23 深圳市清泉水系统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溶解混合装置
JP2009154049A (ja) * 2007-12-25 2009-07-16 Kawamura:Kk 液体混合装置
CN201172742Y (zh) * 2008-04-11 2008-12-31 林韦廷 一种染布机
CN101412011A (zh) * 2008-11-07 2009-04-22 浙江大学 可调式喷射器
JP6018838B2 (ja) * 2012-08-23 2016-11-02 株式会社加藤製作所 路面清掃車
CN103526479B (zh) * 2013-10-21 2016-08-31 江苏海大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色纺纱横向染色模具头
CN103861747B (zh) * 2014-04-03 2016-07-06 中国药科大学 微量喷嘴
CN204803562U (zh) * 2015-05-30 2015-11-25 象山商博电子商务有限公司 预热型染料溶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61489B (zh) 2021-11-02
CN109661489A (zh) 2019-04-19
JPWO2018042486A1 (ja) 2019-06-27
WO2018042486A1 (ja) 2018-03-08
KR20190039731A (ko) 2019-04-15
JP6843145B2 (ja)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513B1 (ko)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용 처리제 용해 장치, 및 액류식 포백 처리 장치
JP6899631B2 (ja) 分散ノズル
US6422827B1 (en) Injection apparatus for gas-liquid mixed flow
US9475070B2 (en) Water faucet
KR100681931B1 (ko) 수압을 이용한 과일 이동 세척장치 및 그 구성방법
JP6548424B2 (ja) 粉体混合機及び粉体混合方法
KR101819613B1 (ko) 유체 분사장치
JP5081801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における気液溶解タンク
JP2007313464A (ja) 気体溶解装置
KR101874478B1 (ko) 이액형 초속경 도막방수제 스프레이장치
JP5722059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切断装置
JP4373398B2 (ja) 噴射分散器
KR102526073B1 (ko) 벤츄리 노즐 장치
KR200226656Y1 (ko) 그라우팅 주입장치
JP6835364B2 (ja) 粉体混合機及び粉体混合方法
JP2020081995A (ja) 噴霧ノズル
KR101462860B1 (ko) 세탁기
JP5838014B2 (ja) 流体混合装置
KR200394244Y1 (ko) 수압을 이용한 과일 이동 세척 장치
WO2021075096A1 (ja) 液体噴射ノズル及び車両のセンサ洗浄装置
JP5846685B2 (ja) 流体噴射装置
KR101927612B1 (ko) 노즐장치
JPH0627679Y2 (ja) 粉体供給装置
JP6814381B2 (ja) 吐水装置
KR20230072000A (ko) 이중분사 노즐을 갖는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